맨위로가기

중국계 미얀마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계 미얀마인은 미얀마에 거주하는 중국계 민족을 의미하며, 'Tayoke'라는 미얀마어 단어로 불린다. 이들은 주로 푸젠성, 광둥성, 윈난성에서 이주해 왔으며, 호키엔족, 광둥족, 윈난족 등으로 구성된다. 중국계 미얀마인은 미얀마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업, 무역, 소매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역사적으로 영국 식민지 시대와 독립 이후 사회주의 통치 시기를 거치며 차별과 갈등을 겪었으나, 1988년 이후 경제 자유화 정책으로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오늘날에도 미얀마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교육, 문화, 경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미얀마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중국 관계 - 미얀마 주둔 중화민국군
    미얀마 주둔 중화민국군은 1949년 중국 공산군을 피해 미얀마로 피신한 중화민국 국군과 그 가족들로, 미얀마 정부와 갈등을 빚고 아편 무역에 연루되었으며 미얀마의 내부 갈등을 심화시켰다.
  • 미얀마-중국 관계 - 장신포
    장신포는 (문서 주제)의 역사, 주요 특징, 한국 현황과 미래, 그리고 기타 관련 주제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 중국계 미얀마인 - 쿤사
    쿤사는 중국계 미얀마인으로 골든 트라이앵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아편 군벌이었으며 몽 타이 군을 이끌고 버마 정부와 대립하며 전 세계 헤로인 공급을 통제하고 부를 축적했다가 미얀마 정부에 항복 후 은퇴 생활을 했다.
  • 중국계 미얀마인 - 산 유
    산 유는 버마 독립군 출신 중국계 미얀마인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네 윈 쿠데타 이후 연방 혁명 평의회 의원, 미얀마 대통령을 역임하고 랑군 폭탄 테러 사건과 8888 항쟁을 겪은 뒤 정계에서 은퇴했다.
  • 미얀마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중국계 미얀마인
일반 정보
바모에 사는 중국인 (1900년)
바모에 사는 중국인 (1900년)
인구1,637,540명 (2012년)
거주 지역양곤
만달레이
따웅지
코캉
라시오
미치나
메이크
종교상좌부 불교
대승불교
도교
유교
이슬람교
관련 민족코캉
판테이족
화교
사용 언어버마어
윈난 방언
호키엔어
광둥어
하카어
표준 중국어
역사 및 사회
관련 용어(미얀마어)
(중국어)
(중국어)
추가 정보Michael Barry Hooker의 "Law and the Chinese in Southeast Asia" 참조
추가 정보Renaud Egreteau와 Larry Jagan의 "Soldiers and Diplomacy in Burma: Understanding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Burmese Praetorian State" 271–273쪽 참조
추가 정보Frank B. Tipton의 "Asian Firms: History, Institutions and Management" 277쪽 참조
추가 정보이라와디의 "The Road To Riches?" http://www.irrawaddy.org/article.php?art_id=3799&page=1 참조
추가 정보더 내셔널의 "Ethnic tensions grow in Myanmar" http://www.thenational.ae/news/world/asia-pacific/ethnic-tensions-grow-in-myanmar 참조
추가 정보Medha Chaturvedi의 "Indian Migrants in Myanmar: Emerging Trends and Challenges" https://www.mea.gov.in/images/pdf/Indian-Migrants-Myanmar.pdf 참조
추가 정보Michael Barry Hooker의 "Law and the Chinese in Southeast Asia" 참조
추가 정보렉스 리펠의 "Myanmar/Burma: inside challenges, outside interests" 95–97쪽 참조 https://archive.org/details/myanmarburmainsi0000unse/page/n116
추가 정보"China's Ambitions in Myanmar" http://www.asiapacificms.com/articles/myanmar_influence/ (July 2000)
추가 정보에이미 추아의 "Review: The Ethnic Question in Law and Development" https://www.jstor.org/stable/4141938 참조
추가 정보요스 산타솜밧의 "Chinese Capitalism in Southeast Asia: Cultures and Practices" 234쪽 참조
추가 정보제인 펄레즈의 "Animosity in a Burmese Hub Deepens as Chinese Get Richer" https://www.nytimes.com/2016/11/27/world/asia/mandalay-china-myanmar-trade.html (2016년 11월 28일)
추가 정보"China's Future Role in Burma" https://web.archive.org/web/20120314155426/http://irrawaddy.org/article.php?art_id=22592&page=2
추가 정보메다 차투르베디의 "Indian Migrants in Myanmar: Emerging Trends and Challenges" 35쪽 참조 https://www.mea.gov.in/images/pdf/Indian-Migrants-Myanmar.pdf

2. 어원

미얀마어에서 중국인은 'Tayoke'(တရုတ်|təjoʊʔmy)라고 불리며, 이전에는 တရုပ်|tarupmy으로 표기되었다. 이 용어의 가장 초기의 증거는 13세기 바간 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에는 미얀마 북쪽과 북동쪽에 위치한 영토와 다양한 민족을 가리켰다. 여러 학자들은 이 용어가 "투르크" (突厥, ''Tūjué'' / ''tú jué'')를 뜻하는 중국어에서 유래되었거나,[9] 다리 (大理國, ''Dàlǐguó'') 즉 남조 왕국의 수도 이름에서 유래되었거나, 몽골어를 사용하는 쿠샨 훈족을 지칭하는 중국어 용어인 ''Dàyuèzhī'' (大月支 or 大月氏)의 중국식 변형에서 유래되었다고 제안했다.[10] 한족에 대한 타칭으로 'Tayoke'가 사용된 것은 19세기에 이르러서야 정착되었다.[10]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paukphaw'(ပေါက်ဖော်|pauʔ pʰɔ̀|형제my)라는 용어가 중국인을 친근하게 부르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중국과 미얀마 간의 외교 관계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1] 이 용어는 중국인과 미얀마인이 같은 부모, 즉 용 공주와 태양신의 후손이라는 미얀마 신화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1]

몬어에서 중국인은 'Krawk'(ကြုက်|krɜkmy)으로 알려져 있으며,[12] 샨어에서는 'Khe'(ၶႄႇ|kʰɛ˨my)라고 불린다.[13] 윈난성샨주의 경계 지역에서 사용되는 와어에서 중국인을 지칭하는 단어는 'Hox/Hawx'(/hɔʔ/my)이다.

3. 민족 구성

양곤과 미얀마 하부에는 전통적으로 푸젠성광둥성 출신의 한족들이 살고 있었고, 만달레이와 코캉 같은 미얀마 상부에는 윈난성 출신의 한족들이 살고 있었다.

화교 인구 중 호키엔족과 광둥족은 45%를 차지하고,[97][98] 윈난인은 30~40%를 차지한다.[99] 객가, 민남인 및 광동인은 화교 인구의 45%를 차지했고,[14][15] 윈난인은 화교 인구의 30~40%를 차지했다.[16]

호키엔 중국 사원, 라타 타운십의 켕 혹 꼉 사원 (Yangon)

  • 호키엔인(버마어: ''eingyi shay'', အင်္ကျီရှည်my 또는 ''let shay'', လက်ရှည်my, 긴 소매 재킷)은 푸젠성 출신이다. 호키엔인 대부분은 상인, 은행가 및 중개인이었다.

중국 광동 출신이 세운 관음궁묘 (양곤 라타 타운십)

  • 광둥어 (버마어: ''eingyi to'', အင်္ကျီတိုmy 또는 ''let to'', လက်တိုmy, 반소매 셔츠)는 중국 광둥 성 중부에서 유래했다. 대부분의 광둥 성 출신 이주민은 장인이었다.
  • 객가인(Hakkas, 버마어: ''zaka'', စကmy, 중간 길이 소매)은 푸젠성광둥성 출신이다.


객가인은 다시 푸젠성 출신을 지칭하는 ''eingyi shay haka'' (အင်္ကျီရှည်ဟကာmy)와 광둥성 출신을 지칭하는 ''eingyi to haka'' (အင်္ကျီတိုဟကာmy)로 세분된다.

상부 미얀마와 샨 고원에는 코캉이 주를 이룬다.

판테이는 오랫동안 한족 디아스포라 커뮤니티와 구별되어 왔다. 그들은 중국에서 회족이라고 불리는 중국계 무슬림이다.

마지막으로 중국인과 토착 미얀마인의 혼혈인 ''tayoke kabya'' (တရုတ်ကပြားmy)가 있다. ''kabya'' (ကပြားmy, "혼혈"을 의미)는 미얀마인보다 중국의 관습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미얀마의 관습을 따르는 ''tayoke kabya''는 주류 미얀마 사회에 흡수되어 구별하기 어려워진다.[17] 이민자들이 토착 미얀마인과의 결혼을 통해 미얀마 시민권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많은 수의 미얀마 화교가 어느 정도의 ''kabya'' 혈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4. 역사

바모(Bamaw)의 사당


오늘날 미얀마에서 중국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송나라명나라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97] 18세기 명나라 왕자들이 코캉(현재의 미얀마 북부)에 정착하기도 했다. 중국 상인들은 이라와디 북부의 바모와 같은 마을과 수도까지 진출했다. 일부는 아마라뿌라에 정착하여 중국인 공동체를 형성했는데, 1859년 민둔왕이 수도를 만달레이로 옮길 때 잔류를 선택한 유일한 중국인 공동체였다. 이들의 후손 다수는 현지 사회와 결혼하여 아마라뿌라에서 중요하고 존경받는 시민으로 남았다.

1895년 양곤에서 중국계 미얀마인 상인과 그의 아내의 초상화


19세기 영국의 식민 통치하에 또 다른 이민 물결이 발생했다. 영국은 인도인과 중국인들의 영국령 버마 이주를 장려했고, 취업 기회와 사업, 부의 축적을 위한 인센티브는 많은 중국인들을 끌어들였다. 이들은 주로 영국령 말라야를 통해 버마로 유입되었다.[97] 중국인들은 수익성이 높은 쌀과 보석 산업을 빠르게 장악했다. 많은 이들이 상인이 되었고 도매와 소매업을 겸하는 무역상이 되었다. 대부분의 중국인이 쿨리 노동자였던 영국령 말라야와 달리, 버마의 중국인들은 주로 장인과 상인 계층 출신이었다.[100]

1800년대 후반 만달레이 차이나타운의 제빵점


버마족과 마찬가지로 중국티베트어족 계통이었고, 푸크포(남매)라는 별명으로 불린 불교 신자들이었기 때문에 버마 사회에 잘 통합되었다.[101] 영국 통치 기간 동안 중국인과 버마인, 특히 중국인과 버마인 여성 사이의 결혼은 버마에서 가장 흔한 형태였다. 이는 버마 불교법에 따른 중국인과 버마인 결혼의 법적 지위에 대한 고등법원의 판결에서 증명되었다.[102] 1935년부터 영국 통치가 끝날 때까지, 중국인들은 식민지 입법부인 하원에서 대표되었다.[103]

만달레이의 윈난 불교 사원 및 협회는 이 도시의 주요 중국 사원이다.


1950년대에 미얀마중화인민공화국을 국가로 인정한 최초의 국가 중 하나였다. 그러나 미얀마 내 중국계 인구는 외국인으로 취급되었다. 독립 후 미얀마 화교는 정부가 채택한 계층적 시민권 시스템에서 외국인 등록 카드(FRC)를 발급받았다.[22] 중국 공산당이 중국 국민당을 축출하자, 많은 이들이 미얀마태국으로 도망쳐 윈난성 국경을 넘었다. 미얀마 정부는 무장한 KMT와 싸워 그들을 제거하고 타이완으로 강제 이주시켰으며,[22] 그곳에 남은 사람들은 번성했다. 1950년대에는 해외 화교에 대한 차별 정책이 시민권, 정부 고용, 사업 규제 및 면허 승인, 대출 연장 및 송금 허용 등으로 확대되었다.[2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얀마 화교의 40%가 전국에서 상인 및 무역상으로 활동하면서 모든 미얀마 도시와 마을에는 중국 소유의 일반 상품점이 있었다.[24] 중국식 빵집, 과자점, 국수 노점, 시계 수리점, 화장품 소매점 및 식료품점은 미얀마의 작은 마을 전체에서 경제 생활의 중심지가 되었다.[58] 야망이 커지면서 중국 이민자들은 주류 상점과 전당포와 같이 가장 수익성이 높은 사업 기회에 진출하여 더욱 공격적인 기업가적 및 투자 거래를 모색했다.[25] 1952년, Kheng Hock Keong Temple 간행물에 따르면 Sinohdan, Latha, Maung Khaing Streets를 따라 앙클레이브에 거주하는 중국계(광둥인은 일반적으로 마하 반둘라 로드 위에, 푸젠인은 아래에 거주)는 양곤 인구의 9.5%를 차지했다.[26]

이 기간 동안 미얀마에서는 사립 중국어 학교 수가 급증했는데, 주로 만다린을 가르쳤으며, 1935년 65개에서 1953년 259개, 1962년 최고 259개로 증가했다. 이 학교들 중 다수는 중국 민족주의자(တရုတ်ဖြူ|백색 중국인my) 또는 공산주의(တရုတ်နီ|적색 중국인my) 운동과 관련이 있었다.[27] 그러나 학교에 다니는 미얀마 화교 중 10% 미만이 중국어 학교에 다녔다.[27] 1950년대에는 약 80개의 씨족 협회가 운영되었다.

네 윈은 사회주의 쿠데타를 일으켜 혁명 평의회를 수립했다. 1963년 2월, 기업 국유화법이 통과되어 모든 주요 산업이 사실상 국유화되었고 새로운 공장 설립이 금지되었다. 이 법은 특히 완전한 시민권을 갖지 못한 많은 산업가와 기업가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3] 정부의 경제 국유화 프로그램은 비시민권자인 중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의 토지 소유, 송금, 사업 면허 취득 및 의료 행위도 금지했다.[23] 이러한 정책으로 약 10만 명의 중국인이 미얀마를 떠나는 등 중국계 미얀마인들의 대규모 탈출이 발생했다.[22]

네 윈은 '카브야'였지만, 중국어 교육을 금지하고 중국인들의 이탈을 강요하기 위한 다른 조치를 취했다. 네 윈 정부는 인도계 및 중국계 미얀마인에 대한 인종적 적대감과 민족 갈등을 부추겼고, 이들은 미얀마 시민에 의해 테러를 당했으며, 가장 폭력적인 폭동은 1967년에 발생했다.[22] 모든 학교는 중국어 학교를 포함하여 국유화되었다. 1967년부터 1970년대까지 반중 폭동과 반 인도 감정이 계속해서 격화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폭동이 정부의 은밀한 지원을 받는다고 믿었다.[28] 중국 상점들은 약탈당하고 불태워졌다. 네 윈은 통제 불가능한 인플레이션, 소비재 부족 및 가격 상승으로부터 대중의 관심을 성공적으로 돌렸다. 1982년 시민권법은 중국계 미얀마인에 대한 미얀마 시민권을 더욱 제한하고 전문 대학원 진학을 심각하게 제한했다.[14] 이 기간 동안, 국가의 실패한 경제와 광범위한 차별은 중국계 미얀마인의 미얀마 이민을 가속화했다.

1988년,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LORC)가 집권하면서 경제에서 정부의 역할을 점차 줄이고 민간 부문의 성장과 외국인 투자를 장려했다. 이러한 경제 자유화는 미미하고 불균등했지만, 중국계 기업들이 경제력을 확장하고 재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오늘날 소매, 도매 및 수입 무역 사업의 대다수는 미얀마 화교가 운영하고 있다.[14] 미얀마 군사 통치자와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긴밀한 관계는 미얀마 화교 문제에 더 민감하게 대처하게 했다. 1980년대 베이징은 중국 디아스포라를 위한 개혁을 추진했고, 중국 기업들은 중국계 민족을 고용하는 경향이 있었다.[29]

오늘날 대부분의 미얀마 화교는 양곤, 만달레이, 타웅지, 바고 및 그 주변 지역의 주요 도시에 거주한다. 주요 도시에는 차이나타운(တရုတ်တန်း|타요케 탄my)이 있지만, 중국인들은 전국에 널리 퍼져 있다. 양곤에는 거의 10만 명의 중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미얀마 북부 지역에는 최근 중국 본토 출신 이주 노동자, 암시장 상인, 도박꾼들이 유입되었다. 중국과 세 방향으로 국경을 접하고 있는 카친 주에서는 표준 중국어공용어이다.

상부 미얀마는 최근 만달레이 구역, 샨 주[30], 카친 주로 많은 중국 본토인 이주로 인한 인구 변화를 겪었다.[31] 중국계 민족은 현재 만달레이 인구의 약 30~40%를 차지한다.[32] 화재로 인해 도심의 넓은 땅이 비게 되었고, 이후 대부분 중국계 민족에 의해 불법적으로 구매되었다. 이들 중 많은 수가 윈난에서 온 최근 불법 이민자였다.[33] 이러한 중국인 유입은 현재의 군사 정부가 1988년에 집권한 후 가속화되었다. 정부는 도시 미화 및 개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현지 미얀마인을 위성 도시로 강제 이주시키고, 새로 유입된 중국 이민자들이 만달레이 중심부에 토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34] 1990년대에만 약 25만에서 30만 명의 윈난인이 만달레이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32] 만달레이의 인구는 1980년 약 50만 명에서 2008년 10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현지 미얀마인의 비율은 50% 미만으로 감소했다. 중국 축제는 현재 도시의 문화 일정에 확고히 자리 잡았다.[33] 이 시기에 만달레이로 유입된 중국 본토 이민자들은 주요 부동산을 구매할 자본을 가지고 왔으며, 1990년대 초의 경제 위기 동안 만달레이 중심부를 장악할 수 있게 되었다. 중국인의 우세는 두 커뮤니티 간의 인종적 긴장의 원인이 되었다.[35]

4. 1. 식민지 이전 시대

오늘날 미얀마에서 중국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송나라명나라의 기록이다.[97] 18세기에 명나라 왕자들은 코캉(현재의 미얀마 북부)에 정착했다. 그러나 중국 상인들은 수도와 바모와 같은 이라와디 북부의 마을까지 여행했다. 그들 중 일부는 아마라뿌라에 머물며 중국인 공동체를 시작했고, 1859년 민둔왕이 수도를 만달레이로 옮겼을 때, 뒤에 남기로 결정한 유일한 중국인 공동체였다. 그들의 후손들 중 많은 수가 현지 사회와 결혼했고 아마라뿌라의 중요하고 존경받는 시민으로 남아있다.

4. 2. 영국 식민지 시대



19세기 영국의 식민지 관리하에서 또 다른 이민의 물결이 일어났다. 영국은 인도인들과 중국인들이 영국령 버마로 이주하는 것을 장려했고, 취업 기회와 기업, 그리고 부를 축적하기 위한 그러한 인센티브는 많은 중국인들을 끌어들였다. 그들은 주로 영국령 말라야를 거쳐 버마로 왔다.[97] 중국인들은 매우 수익성이 높은 쌀과 보석 산업에서 빠르게 지배적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상인이 되었고 도매와 소매업을 모두 소유한 무역상이 되었다. 대부분의 중국인이 쿨리 노동자였던 영국령 말라야와는 달리 버마의 중국인들은 주로 장인과 상인 계층 출신이었다.[100]

그들은 버마족과 마찬가지로 중국티베트어족 계통의 사람들이었고, 푸크포(남매)라는 별명에 내포된 불교 신자들이었기 때문에 버마 사회에 잘 통합되었다.[101] 영국 통치 기간 동안 중국인과 버마인, 특히 중국인과 버마인 여성 사이의 결혼은 버마 불교법에 따른 중국인과 버마인 결혼의 법적 지위에 대한 고등법원의 판결에서 증명되었듯이 버마에서 가장 흔한 형태의 결혼이었다.[102] 1935년부터 영국 통치가 끝날 때까지, 중국인들은 식민지 입법부인 하원에서 대표되었다.[103]

4. 3. 독립 이후



1950년대에 미얀마중화인민공화국을 국가로 인정한 최초의 국가 중 하나였다. 그러나 미얀마 내 중국계 인구는 외국인으로 취급되었다. 독립 후 미얀마 화교는 정부가 채택한 계층적 시민권 시스템에서 외국인 등록 카드(FRC)를 발급받았다.[22] 중국 공산당이 중국 국민당을 몰아내자 많은 사람들이 미얀마태국으로 도망쳐 윈난성 국경을 넘었다. 미얀마 정부는 무장한 KMT와 싸워 그들을 제거하고 타이완으로 강제 이주시켰으며,[22] 그곳에 머물 수 있었던 사람들은 번성했다. 1950년대에는 해외 화교에 대한 차별 정책이 시민권, 정부 고용, 사업 규제 및 면허 승인, 대출 연장 및 송금 허용 등으로 확대되었다.[2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얀마 화교의 40%가 전국에서 상인 및 무역상으로 활동하면서 모든 미얀마 도시와 마을에는 중국 소유의 일반 상품점이 있었다.[24] 중국식 빵집과 과자점, 국수 노점, 시계 수리점, 화장품 소매점 및 식료품점은 미얀마의 작은 마을 전체에서 경제 생활의 중심지가 되었다.[58] 야망이 커지면서 중국 이민자들은 주류 상점과 전당포와 같이 가장 수익성이 높은 사업 기회에 진출하여 더욱 공격적인 기업가적 및 투자 거래를 모색했다.[25]

1952년, Kheng Hock Keong Temple 간행물에 따르면 Sinohdan, Latha, Maung Khaing Streets를 따라 앙클레이브에 거주하는 중국계(광둥인은 일반적으로 마하 반둘라 로드 위에, 푸젠인은 아래에 거주)는 양곤 인구의 9.5%를 차지했다.[26] 이 기간 동안 미얀마에서는 사립 중국어 학교 수가 급증했는데, 주로 만다린을 가르쳤으며, 1935년 65개에서 1953년 259개, 1962년 최고 259개로 증가했으며, 이러한 학교 중 다수는 중국 민족주의자(တရုတ်ဖြူ|백색 중국인my) 또는 공산주의(တရုတ်နီ|적색 중국인my) 운동과 관련이 있었다.[27] 그러나 학교에 다니는 미얀마 화교 중 10% 미만이 중국어 학교에 다녔다.[27] 이와 유사하게 1950년대에는 약 80개의 씨족 협회가 운영되었다.

4. 4. 사회주의 통치 시기 (1962-1988)

네 윈은 사회주의 쿠데타를 일으켜 혁명 평의회를 수립했다. 1963년 2월, 기업 국유화법이 통과되어 모든 주요 산업이 사실상 국유화되었고 새로운 공장 설립이 금지되었다. 이 법은 특히 완전한 시민권을 갖지 못한 많은 산업가와 기업가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3] 정부의 경제 국유화 프로그램은 비시민권자인 중국인을 포함한 외국인의 토지 소유, 송금, 사업 면허 취득 및 의료 행위도 금지했다.[23] 이러한 정책으로 중국계 미얀마인들이 다른 국가로 대규모 탈출을 하여, 약 10만 명의 중국인이 미얀마를 떠났다.[22]

네 윈은 '카브야'였지만, 중국어 교육을 금지하고 중국인들의 이탈을 강요하기 위한 다른 조치를 취했다. 네 윈 정부는 인도계 및 중국계 미얀마인에 대한 인종적 적대감과 민족 갈등을 부추겼고, 이들은 미얀마 시민에 의해 테러를 당했으며, 가장 폭력적인 폭동은 1967년에 발생했다.[22] 모든 학교는 중국어 학교를 포함하여 국유화되었다. 1967년부터 1970년대까지 반중 폭동과 반 인도 감정이 계속해서 격화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폭동이 정부의 은밀한 지원을 받는다고 믿었다.[28] 이와 유사하게, 중국 상점들은 약탈당하고 불태워졌다. 네 윈은 통제 불가능한 인플레이션, 소비재 부족 및 가격 상승으로부터 대중의 관심을 성공적으로 돌렸다. 1982년 시민권법은 중국계 미얀마인에 대한 미얀마 시민권을 더욱 제한하고 전문 대학원 진학을 심각하게 제한했다.[14] 이 기간 동안, 국가의 실패한 경제와 광범위한 차별은 중국계 미얀마인의 미얀마 이민을 가속화했다.

4. 5. 현대 (1988년 이후)

1988년,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LORC)가 집권하면서 경제에서 정부의 역할을 점차 줄이고 민간 부문의 성장과 외국인 투자를 장려했다. 이러한 경제 자유화는 미미하고 불균등했지만, 중국계 기업들이 경제력을 확장하고 재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오늘날 소매, 도매 및 수입 무역 사업의 대다수는 미얀마 화교가 운영하고 있다.[14]

미얀마 군사 통치자와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긴밀한 관계는 미얀마 화교 문제에 더 민감하게 대처하게 했다. 또한, 1980년대 베이징은 중국 디아스포라를 위한 개혁을 추진했고, 중국 기업들은 중국계 민족을 고용하는 경향이 있었다.[29]

오늘날 대부분의 미얀마 화교는 양곤, 만달레이, 타웅지, 바고 및 그 주변 지역의 주요 도시에 거주한다. 주요 도시에는 차이나타운(တရုတ်တန်း|타요케 탄my)이 있지만, 중국인들은 전국에 널리 퍼져 있다. 양곤에는 거의 10만 명의 중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미얀마 북부 지역에는 최근 중국 본토 출신 이주 노동자, 암시장 상인, 도박꾼들이 유입되었다. 중국과 세 방향으로 국경을 접하고 있는 카친 주에서는 표준 중국어공용어이다.

상부 미얀마는 최근 만달레이 구역, 샨 주[30], 카친 주로 많은 중국 본토인 이주로 인한 인구 변화를 겪었다.[31] 중국계 민족은 현재 만달레이 인구의 약 30~40%를 차지한다.[32] 화재로 인해 도심의 넓은 땅이 비게 되었고, 이후 대부분 중국계 민족에 의해 불법적으로 구매되었다. 이들 중 많은 수가 윈난에서 온 최근 불법 이민자였다.[33] 이러한 중국인 유입은 현재의 군사 정부가 1988년에 집권한 후 가속화되었다. 정부는 도시 미화 및 개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현지 미얀마인을 위성 도시로 강제 이주시키고, 새로 유입된 중국 이민자들이 만달레이 중심부에 토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34] 1990년대에만 약 25만에서 30만 명의 윈난인이 만달레이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32] 만달레이의 인구는 1980년 약 50만 명에서 2008년 10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현지 미얀마인의 비율은 50% 미만으로 감소했다. 중국 축제는 현재 도시의 문화 일정에 확고히 자리 잡았다.[33] 이 시기에 만달레이로 유입된 중국 본토 이민자들은 주요 부동산을 구매할 자본을 가지고 왔으며, 1990년대 초의 경제 위기 동안 만달레이 중심부를 장악할 수 있게 되었다. 중국인의 우세는 두 커뮤니티 간의 인종적 긴장의 원인이 되었다.[35]

5. 사회 경제

19세기 영국의 식민 통치하에, 영국은 인도인들과 중국인들이 영국령 버마로 이주하는 것을 장려했고, 취업 기회와 기업, 부를 축적하기 위한 인센티브는 많은 중국인들을 끌어들였다. 이들은 주로 영국령 말라야를 거쳐 버마로 왔다.[97] 중국인들은 쌀과 보석 산업에서 빠르게 지배적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상인이 되었고 도매와 소매업을 모두 소유한 무역상이 되었다. 대부분의 중국인이 쿨리 노동자였던 영국령 말라야와는 달리 버마의 중국인들은 주로 장인과 상인 계층 출신이었다.[100]

역사적으로, 미얀마 화교는 상인, 무역상, 상점 주인이었으며, 고용 노동자(경멸적으로 "쿨리"라고 불림), 부두 노동자, 시립 노동자, 인력거꾼, 조랑말 마차 운전사와 같은 육체 노동자로 생계를 유지했다. 또한 공무원, 대학교수, 약사, 안경사, 변호사, 기술자, 의사와 같은 특정 전문 분야에도 많이 종사했다.[38]

1988년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LORC) 집권 후 경제 자유화가 추진되면서, 중국계 미얀마 기업들은 경제력을 확대하고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14] 중국계 미얀마 사업가들은 미얀마 유니버설 은행, 요마 은행, 미얀마 메이플라워 은행, 아시아 웰스 은행 등 미얀마 5대 상업 은행 중 4개를 통제하고 있다.[46]

만달레이의 중국계 미얀마 옥 시장


중국인들은 미얀마의 보석 채굴 산업과 옥 수출의 주요 동력이었다.[51]

네윈 통치 시대의 자급자족 정책은 1980년대 후반부터 레스토랑, 가라오케 바, 호텔과 같은 중국계 소규모 사업에 유리하게 작용했다.[52]

사업가 로 싱 한과 기업가 꺄우 윈은 대표적인 중국계 미얀마 토종 거물이다. 이들은 SLORC 정부와 협력하면서 주요 은행, 양곤 항공과 같은 항공사, 티크 목재 회사, 보석 채굴권을 관리하게 되었다.[50] 로 싱 한은 아편 군벌이기도 했으며, 고향 코캉의 분쟁 해결을 위해 정부와 거래하여 경제적 영향력을 얻었다. 많은 중국계 미얀마인들은 미얀마의 암시장을 지배한다.[53]

만달레이는 수천 개의 번창하는 중국 사업체가 있는 미얀마 사업가와 중국계 투자자들의 주요 금융 및 네트워킹 허브이다.[56][57]

지난 30년 동안, 기업가 정신이 투철한 중국 소수 민족은 만달레이를 외국 기업과 보석 거래 센터로 가득한 번성하는 현대 도시로 탈바꿈시켰다.[62] 1988년 이후 국가의 경제 자유화와 미얀마의 개방형 이민 정책은 윈난성에서 경제적 기회를 찾아온 많은 중국 이민자들을 끌어들였다.[58][59][60]

많은 미얀마 화교 기업가와 투자자들은 유교적 인간관계 패러다임의 강력한 지지자이며, 기업가적 성공과 투자 성공의 근본적인 원천이 개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있다고 믿었다.[71]

2000년대 초, 미얀마 화교 상공 회의소가 설립되어 현지 사업가와 화교 투자자들이 공동의 경제적 이익을 확보하고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72]

영국 식민 통치 시기, 많은 중국인들이 경제적 기회를 찾아 미얀마로 이주하여 쌀과 보석 산업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97] 이들은 버마족과 같은 중국티베트어족 계통이었고, 불교 신자였기 때문에 '푸크포'(남매)로 불리며 버마 사회에 잘 통합되었다.[101]

8888 항쟁 당시에는 중국계 이주민들이 만달레이를 장악하고 문화 보존에 무관심하다는 내용의 미얀마 정치 문헌들이 등장하며 반중 감정을 드러냈다.[73] 미얀마 원주민들은 경제 자유화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미얀마계 중국인들이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소외감과 반감을 느끼게 되었다.[6][74][75]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LORC) 군부는 사회 통제를 위해 미얀마인들을 강제 이주시키기도 했으며, 1990년대 부동산 호황기에 중국 투자자들은 부동산 투기를 통해 미얀마 원주민들을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게 했다.[34][58]

5. 1. 교육

미얀마 화교들은 교육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미얀마에서 의학, 공학, 박사 학위 등 고급 학위를 가진 사람들의 비율이 불균형적으로 높다. 1982년 네 윈이 시민권법을 제정하여 중국계 미얀마인의 미얀마 시민권을 더욱 제한하고,[36] 특히 완전 시민권이 없거나 FRC(외국인등록증)를 소지한 사람들의 경우 의학, 공학, 농업 및 경제 관련 전문 고등 교육 기관 진학이 심각하게 제한되었다.[97] 만약 미얀마 시민권이 없는 사람들의 고급 학위 취득을 오랫동안 금지하지 않았다면 그 비율은 더욱 높았을 것이다. 많은 부유한 중국계 미얀마인 가족들은 자녀들을 초등 및 중등 교육을 위해 도시의 영어 학교에 보내고, 중국과 싱가포르 대학에서 교육을 받게 한다. 현재 많은 부유한 중국계 미얀마인들은 자녀들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로 유학 보내 고급 과정을 공부하게 한다.[94] 대만 또한 주요 유학 목적지인데, 대만 정부가 해외 '귀환' 중국인들에게 학업 및 정착을 위한 지원과 장학금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이다.[94][105][106]

1963년 네 윈 정부의 광범위한 국유화 이전까지 대부분의 중국계 미얀마인들은 중국어를 주 언어로, 미얀마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학교에 다녔다. 당시 주목할 만한 중국 학교는 다음과 같다.

  • 버마-중국 고등학교(緬甸華僑中學)
  • 난양 고등학교(緬甸南洋中學) - 현재 바한 제2 공립 고등학교
  • 양곤 중국 초등학교(仰光華僑小學)
  • 키 메이 초등학교(仰光集美小學)

5. 2. 역사적 고용



19세기 영국의 식민지 관리하에서 또 다른 이민의 물결이 일어났다. 영국은 인도인들과 중국인들이 영국령 버마로 이주하는 것을 장려했고, 취업 기회와 기업, 그리고 부를 축적하기 위한 인센티브는 많은 중국인들을 끌어들였다. 그들은 주로 영국령 말라야를 거쳐 버마로 왔다.[97] 중국인들은 매우 수익성이 높은 쌀과 보석 산업에서 빠르게 지배적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상인이 되었고 도매와 소매업을 모두 소유한 무역상이 되었다. 대부분의 중국인이 쿨리 노동자였던 영국령 말라야와는 달리 버마의 중국인들은 주로 장인과 상인 계층 출신이었다.[100]

역사적으로, 미얀마 화교는 상인, 무역상, 상점 주인이었으며, 고용 노동자(경멸적으로 "쿨리"라고 불림), 부두 노동자, 시립 노동자, 인력거꾼, 조랑말 마차 운전사와 같은 육체 노동자로 생계를 유지했다. 또한 공무원, 대학교수, 약사, 안경사, 변호사, 기술자, 의사와 같은 특정 전문 분야에도 많이 종사했다.[38]

1895년부터 1930년 사이에 중국 소유의 미얀마 사업은 처음에는 중개, 제조 및 계약 부문에 집중되었다. 영국 식민 통치하에서 중국의 사업 점유율은 모든 부문에서 감소했지만, 제조 부문에서는 28.5%에서 10%로, 중개 부문에서는 26.6%에서 1.8%로, 계약 부문에서는 31%에서 4.3%로 크게 감소했다. 반면 미얀마계 인도인은 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고 이러한 사업의 더 큰 비중을 통제했다.[14][40] 이전에 33.3%였던 중국의 은행 점유율은 사라졌다. 그러나 제분, 대리인, 상업과 같은 산업에서는 점유율이 증가했으며, 특히 상점 운영에서 6.7%에서 18.3%로 크게 증가했다. 미얀마에 있는 47개의 쌀 공장 중 13%는 중국인이 통제했으며, 중국 쌀 상인이 쌀 수출 및 가공에 사용했다. 19세기 말 수십 년 동안 중국은 농촌 자금 대출과 석유 및 천연 가스 대리인으로 다각화했다. 일부 사업가는 불법 아편 및 도박장, 찻집, 술집도 운영했다.[14]

5. 3. 상업 및 산업



19세기 영국의 식민 통치하에 중국인 이민이 크게 늘었다. 영국은 인도인중국인영국령 버마 이주를 장려했는데, 취업 기회와 사업, 부의 축적을 위한 인센티브는 많은 중국인을 끌어들였다. 이들은 주로 영국령 말라야를 거쳐 버마로 왔다.[97] 중국인들은 수익성이 높은 쌀과 보석 산업을 빠르게 장악했다. 많은 이들이 상인이 되었고, 도매와 소매업을 모두 소유한 무역상이 되었다. 대부분의 중국인이 쿨리 노동자였던 영국령 말라야와 달리, 버마의 중국인들은 주로 장인과 상인 계층 출신이었다.[100]

1988년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LORC) 집권 후 경제 자유화가 추진되면서, 중국계 미얀마 기업들은 경제력을 확대하고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14] 예를 들어, 1985년 양곤 차이나타운에서 시작된 미얀마 주요 소매업체인 세인 게이 하르는 하카 출신 미얀마인 가족이 소유하고 있다.[45] 중국계 미얀마 사업가들은 미얀마 유니버설 은행, 요마 은행, 미얀마 메이플라워 은행, 아시아 웰스 은행 등 미얀마 5대 상업 은행 중 4개를 통제하고 있다.[46]

중국인들은 미얀마의 보석 채굴 산업과 옥 수출의 주요 동력이었다.[51] 미얀마의 호황을 누리는 보석 산업은 금융가와 채굴 사업자부터 새로 개장한 보석 시장의 소매 상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중국인의 손으로 운영된다. 한 중국계 보석 회사는 100개의 보석 광산을 통제하고 연간 2000kg 이상의 생 루비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50]

네윈 통치 시대의 자급자족 정책은 1980년대 후반부터 레스토랑, 가라오케 바, 호텔과 같은 중국계 소규모 사업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모든 사업이 무에서부터 건설되어야 했기 때문이다.[52] 미얀마 화교는 자전거 타이어를 판매하는 행상이나 북부 미얀마에서 쌀을 재배하는 새로운 중국인 이민 농부와 같은 소규모 사업도 운영하고 있다.[44]

사업가 로 싱 한과 기업가 꺄우 윈은 대표적인 중국계 미얀마 토종 거물이다. 이들은 SLORC 정부와 협력하고 뇌물을 제공하면서 주요 은행, 양곤 항공과 같은 항공사, 티크 목재 회사, 보석 채굴권을 관리하게 되었다.[50] 로 싱 한은 아편 군벌이기도 했으며, 고향 코캉의 분쟁 해결을 위해 정부와 거래하여 경제적 영향력을 얻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많은 중국계 미얀마인들은 다른 경제 산업과 마찬가지로 미얀마의 암시장을 지배한다.[53] 로 싱 한의 아들인 스티븐 로는 미얀마 최대 복합 기업 아시아 월드의 수장으로 잘 알려진 저명한 사업가이며, 이 회사의 투자에는 컨테이너 해운 회사, 항만 건물, 유료 도로 당국이 포함된다.[54]

5. 4. 만달레이 이주

만달레이는 수천 개의 번창하는 중국 사업체가 있는 미얀마 사업가와 중국계 투자자들의 주요 금융 및 네트워킹 허브로 남아 있다.[56][57] 중국 소유 상점은 시내 경제 활동의 50%를 차지하며, 전체 도시 레스토랑의 70%와 거의 모든 중국산 상품 판매 센터가 중국 소유이다.[59]

지난 30년 동안, 기업가 정신이 투철한 중국 소수 민족은 만달레이를 외국 기업과 보석 거래 센터로 가득한 번성하는 현대 도시로 탈바꿈시켰다.[62] 1988년 이후 국가의 경제 자유화와 미얀마의 개방형 이민 정책은 윈난성에서 경제적 기회를 찾아온 많은 가난한 중국 이민자들을 끌어들였으며, 그들은 재능, 기술, 상품, 서비스 및 자본을 가져와 만달레이의 경제 환경을 변화시켰다.[58][59][60] 가난한 상태로 도착한 중국계 미얀마 사업가들은 이제 번영하는 사업 공동체로서 미얀마 경제를 이끌고 있다.[61] 미얀마의 새로운 시장 변화에 따라 윈난성 출신의 중국 이민자들은 암시장에서 불법적으로 신분증을 획득하여 하룻밤 사이에 미얀마 시민으로 귀화할 수 있었다.[62] 상당한 규모의 외국인 직접 투자가 중국 본토에서 쏟아져 들어왔으며, 대부분은 중국계 미얀마 시민 중개인을 통해 만달레이의 부동산 부문으로 흘러 들어갔다.[62] 만달레이가 경제적으로 더욱 번영해짐에 따라 기존의 미얀마계 중국인들은 중국에서 지속적인 이민을 촉진했다.[63]

만달레이 중심부의 주요 부동산은 부유한 중국 사업가와 투자자들이 매입했다.[64] 호텔이나 쇼핑센터와 같은 대규모 상업 부동산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중국 사업가와 부동산 투자자들이 개발한다.[44] 중국계 미얀마 사업 공동체의 도시 개발에 대한 영향력은 대나무 네트워크를 통한 중국 본토 및 해외 중국 투자의 추가 투자로 더욱 증폭되었다.[68] 중국 본토의 영향력은 도시 전역에서 느껴지며, 현지인들은 만달레이를 "중국 도시"라고 부른다.[65]

최근 중국에서 온 이민자들은 그곳에 정착할 의도 없이 사업을 위해 만달레이로 이주한다.[62] 이들 "새로운 중국인"은 만달레이 외곽의 새로운 중국인 거주 지역으로 이주하는데, 시내 중심부의 미얀마계 중국인 지역은 그들에게 너무 비싸기 때문이다.[63] 문화적 차이로 인해 현지 미얀마인과 새로운 중국 사업가들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66]

5. 5. 대나무 네트워크

중국 본토 및 해외 중국계 투자자로부터 미얀마 경제로 유입되는 외국인 투자 자본의 대부분은 새로운 회사를 설립하고 잠재적인 사업 인수를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대나무 네트워크를 통해 유입되었다. 미얀마 화교 네트워크는 서로뿐만 아니라 골프와 같은 활동을 통해 미얀마 고위 정부 관리들과도 연결되어 있다.[67] 또한, 중국 소유의 미얀마 기업은 대중화권 및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운영되는 해외 중국 기업의 더 큰 비즈니스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며, 이는 공통의 유대 관계를 공유한다.[6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등장한 국수 노점상 및 제과점과 같은 현지 중국 소유 기업은 미얀마 전역의 소도시에서 경제 생활의 중심지가 되었다.[58] 오늘날, 미얀마의 중국 커뮤니티는 외국인 사업 및 직접 투자를 유치하고, 특히 외국인 화교 투자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제 해외 중국 경제 전초 기지 역할을 하면서 국가 경제를 개방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69] 이방인 소수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미얀마 군사 정권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긴밀한 관계는 1980년대 중국계 디아스포라를 위한 개혁을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게다가 중국 기업들은 화교를 고용하는 경향이 있었다.[70] 2010년대 중국의 부상과 "신 중국인"의 유입은 문화적 이해의 증가를 환영하고 중국 정책에 대한 적대감이 모든 중국계 사람들에게 향할 것을 두려워하는 미얀마 화교들 사이에 불안감을 조성했다.[63]

공통된 민족적 조상, 문화적, 언어적, 가족적 유대 관계를 공유하는 것 외에도, 많은 미얀마 화교 기업가와 투자자들은 서로 사업을 할 때 유교적 인간관계 패러다임의 강력한 지지자이다. 그들은 기업가적 성공과 투자 성공의 근본적인 원천이 개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있다고 믿었다.[71]

2000년대 초, 미얀마 화교 상공 회의소가 설립되었다. 이는 현지 사업가와 화교 투자자들이 공동의 경제적 이익을 확보하고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길드, 비즈니스 네트워킹 센터 및 상업 감시 역할을 한다.[72]

5. 6. 미얀마인의 태도와 반응

영국 식민 통치 시기, 많은 중국인들이 경제적 기회를 찾아 미얀마로 이주하여 쌀과 보석 산업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97] 이들은 버마족과 같은 중국티베트어족 계통이었고, 불교 신자였기 때문에 '푸크포'(남매)로 불리며 버마 사회에 잘 통합되었다.[101] 중국인과 버마인, 특히 중국인 남성과 버마인 여성 간의 결혼은 흔한 일이었다.[102]

8888 항쟁 당시에는 중국계 이주민들이 만달레이를 장악하고 문화 보존에 무관심하다는 내용의 미얀마 정치 문헌들이 등장하며 반중 감정을 드러냈다.[73] 미얀마 원주민들은 경제 자유화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미얀마계 중국인들이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소외감과 반감을 느끼게 되었다.[6][74][75]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LORC) 군부는 사회 통제를 위해 미얀마인들을 강제 이주시키기도 했으며, 1990년대 부동산 호황기에 중국 투자자들은 부동산 투기를 통해 미얀마 원주민들을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게 했다.[34][58] 미얀마에서 중국인들의 경제적 영향력이 커지면서 원주민들 사이에 불신과 반중 감정이 커졌다. 에이미 추아에 따르면, 자유 시장 자유화는 바마족 다수에게 경제적 이점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소수의 외부인들이 나라를 지배하는 결과를 낳았다. 많은 바마족은 만달레이의 중국인 공동체가 중국어, 음식, 그리고 미얀마 불교의 전통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에 불만을 느꼈다.[76][61]

6. 문화

중국 설날 축제; 주로 탄색 중국계 10대, 양곤


관음사(''관인 시'')는 바고의 미얀마 화교 지역 예배 장소이며 지역 사회를 위한 만다린 학교로 사용된다.


만달레이의 판테이 모스크 ()는 지역 판테이 공동체를 섬기고 있다.


중국계 미얀마인은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미얀마어를 사용하며,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표준 중국어 및/또는 영어를 구사한다. 푸젠어, 타이산어는 양곤 및 미얀마 남부에서, 윈난어는 미얀마 북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등 중국 방언 사용도 여전히 널리 퍼져 있다.[77]

네 윈 장군 통치 시기(1962~1988)에는 중국어 학교가 금지되어 표준 중국어 사용자가 감소했지만, 최근 중국어 학교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2012년 미지마 뉴스는 점점 더 많은 젊은 중국계 미얀마인이 중국어에 관심을 보이며 어학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가 중국 커뮤니티나 문화 단체 가입으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으며, 미얀마 해외 화교 청년 연맹 등은 중국계 미얀마인 청년들의 관심 부족을 보고하고 있다.[77]

대부분의 미얀마 화교는 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일부는 대승 불교와 도교 신념을 포함하여 중국 조상 숭배를 행한다. 사야도 우 테자니야와 같이 중국계 출신의 저명한 상좌부 불교 명상 스승도 있다. 양곤에는 푸산 사원, 켄 혹 케옹 사원, 관인 구묘 사원을 포함한 여러 유명한 중국 사원이 있다. 소수인 빤타이는 윈난에서 기원했으며 주로 무슬림이다.

미얀마 화교는 미얀마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중국식 이름도 가지고 있다. 다양한 중국 방언의 이름은 음성 전사 또는 번역을 사용하여 종종 미얀마어로 음역된다. 미얀마에는 성이 없기 때문에, 많은 미얀마 화교는 가계 내력을 나타내기 위해 이름의 일부를 후대에 물려주는 경향이 있다.

룽산탕 출판물에 따르면, 양곤에 기반을 둔 씨족 협회에 따르면 양곤에서 가장 흔한 10개의 중국 성씨는 다음과 같다.

순위성씨
1리/리 (李)
2펑/팡 (彭)
3스/씨/시 (時)
4동/퉁 (董)
5민/만 (閔)
6니우/응아우 (牛)
7피안/핀 (邊)
8 (辛)
9관 (關)
10카우 (許)



미얀마식 중화 요리는 중국 요리를 기반으로 하며, 특히 푸젠, 광둥, 윈난 지방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현지 요리의 영향도 받았는데, 강황고춧가루와 같은 향신료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간장, 두부, 콩나물, 중국 절인 겨자 및 말린 버섯의 사용은 중국 요리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6. 1. 언어

대부분의 중국계 미얀마인은 일상생활에서 미얀마어를 사용한다.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표준 중국어 및/또는 영어를 구사한다. 중국 방언의 사용은 여전히 널리 퍼져 있다. 푸젠어 (취안저우, 장저우, 진장에서 유래된 민난어 방언)와 타이산어 (광둥성 타이산, 신후이에서 유래된 위에어 방언으로 광둥어와 유사)는 양곤 및 미얀마 남부에서 주로 사용되며, 윈난어는 미얀마 북부에서 잘 보존되어 있다.

네 윈 장군의 통치 (1962–1988) 동안 중국어 학교를 금지하여 표준 중국어 사용자가 감소했지만, 중국어 학교의 수는 다시 증가하고 있다. 표준 중국어중화인민공화국대만의 국어를 가리키며, 미얀마 북부, 코캉, 판테이의 윈난어와는 다르다. 2012년 말, 미지마 뉴스는 점점 더 많은 수의 젊은 중국계 미얀마인이 중국어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부모가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어학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가 반드시 부모와 같이 중국 커뮤니티나 문화 단체에 가입하려는 관심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미얀마 해외 화교 청년 연맹과 같은 단체는 중국계 미얀마인 청년들의 관심 부족을 보고하고 있다.[77]

6. 2. 종교

대부분의 미얀마 화교는 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일부 대승 불교와 도교 신념을 포함하여 중국 조상 숭배를 행한다. 사야도 우 테자니야와 같이 중국계 출신의 저명한 상좌부 불교 명상 스승도 있다. 양곤에는 푸산 사원(칭수이 주스에게 헌정됨), 켄 혹 케옹 사원(마조에게 헌정됨), 관인 구묘 사원(관세음보살에게 헌정됨)을 포함한 여러 유명한 중국 사원이 있다.

소수인 빤타이 또는 중국 무슬림(ပန်းသေးလူမျိုးmy, '작은 꽃'이라는 뜻)은 윈난에서 기원했으며 주로 무슬림이다.

6. 3. 이름

미얀마 화교는 미얀마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중국식 이름도 가지고 있다. 다양한 중국 방언의 이름은 음성 전사 또는 번역을 사용하여 종종 미얀마어로 음역된다. 예를 들어, 'Khin Aung'이라는 미얀마 화교는 慶豐 (민난어 POJ: Khèng-hong)이라는 중국 이름을 가질 수 있는데, '慶' (민난어 POJ: khèng)는 'Khin'에 해당하고 '豐' (민난어 POJ: hong)은 'Aung'에 해당한다. 그러나 (방언 간의) 음역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일부 미얀마 화교는 비슷한 소리의 미얀마 이름과 중국 이름을 채택하지 않는다. 미얀마에는 성이 없기 때문에, 많은 미얀마 화교는 가계 내력을 나타내기 위해 그들 이름의 일부를 후대에 물려주는 경향이 있다.

룽산탕 출판물에 따르면, 양곤에 기반을 둔 씨족 협회에 따르면 양곤에서 가장 흔한 10개의 중국 성씨는 다음과 같다.

순위성씨
1리/리 (李)
2펑/팡 (彭)
3스/씨/시 (時)
4동/퉁 (董)
5민/만 (閔)
6니우/응아우 (牛)
7피안/핀 (邊)
8 (辛)
9관 (關)
10카우 (許)



미얀마에서 대부분의 중국 성씨는 림(林), 탄(陈), 양(杨), 리(李), 저우(周), 왕(王), 장(张), 수(苏), 황(黄), 예(叶), 쉬(许), 팡(方), 우(吴)이다.

6. 4. 요리

미얀마식 중화 요리는 중국 요리를 기반으로 하며, 특히 푸젠, 광둥, 윈난 지방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현지 요리의 영향도 받았는데, 강황고춧가루와 같은 향신료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간장, 두부, 콩나물, 중국 절인 겨자 및 말린 버섯의 사용은 중국 요리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다음은 미얀마 요리에 대한 중국 요리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나열한 것이다. 이 요리들은 오늘날 미얀마 요리의 확립된 부분이며, 외국 요리로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

  • : 찐빵
  • : 오리 구이
  • : 중국식 튀김 도넛
  • 흐타민 교my: 볶음밥
  • : 월병
  • : 얇은 쌀국수 수프
  • : 얇은 밀가루 국수
  • 산 뵉my: 쌀죽
  • 판타이 커욱 스웨my: 판타이 스타일 볶음 국수
  • 시젯 커욱스웨my: 문자 그대로 "기름에 적신 국수"로, 일반적으로 닭고기와 함께 제공
  • 카이 오my: 문자 그대로 "닭고기 또는 돼지고기와 함께 제공되는 비훈 수프"
  • 커 예 커욱스웨my: 걸쭉한 녹말 소스를 곁들인 국수


7. 미얀마 외부의 미얀마 화교

미얀마 외부에 상당한 규모의 중국계 미얀마인 커뮤니티가 존재하며, 특히 타이완, 마카오, 홍콩, 싱가포르, 미국(예: 뉴욕시의 헨리 스트리트[78]) 및 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하고 있다.[14][79] 타이베이 인근의 중허 구는 2008년 기준 4만 명의 중국계 미얀마인이 거주하며, 이는 미얀마 외부에서 가장 큰 커뮤니티 중 하나이다.[80] 화신가(Huaxin Street)는 "리틀 버마"[81]로 알려져 있다.

중국계 민족이 소유한 다른 동남아시아 기업과 마찬가지로, 미얀마의 중국 소유 기업들은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대나무 네트워크를 통해 중화권 및 기타 해외 중국 기업과 기업 파트너십을 맺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유한 중국계 미얀마인 사업가들은 미얀마에 머무르거나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과 같은 주변 동남아시아 시장과 중국 경제권 시장에 노력을 집중해 왔다.[68] 이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본토에 친구와 친척을 두고 있다. 이러한 관계는 1970년대 후반 이후 중국의 경제 개혁으로 인한 경제 상황과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본토 제품의 도매 시장을 미얀마 및 기타 동남아시아 시장에 도입함으로써 기업 목표와 개인적 부의 축적을 지원할 수 있게 했다.[59]

참조

[1]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ia.gov 2012-05-11
[2] 웹사이트 Burma https://2009-2017.st[...] State.gov 2011-08-03
[3] 서적 Law and the Chinese in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Asian Studies
[4] 서적 Soldiers and Diplomacy in Burma: Understanding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Burmese Praetorian Stat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s
[5] 서적 Asian Firms: History, Institutions and Management Edward Elgar Publishing
[6] 간행물 The Road To Riches? http://www.irrawaddy[...] 2004-07
[7] 웹사이트 Ethnic tensions grow in Myanmar http://www.thenation[...] The National 2010-07-03
[8] 웹사이트 Indian Migrants in Myanmar: Emerging Trends and Challenges https://www.mea.gov.[...]
[9] 웹사이트 http://dict.revised.[...] 2019-10-08
[10] 논문 The question of 'China' in Burmese chronicle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11] 논문 The "Pauk Phaw" narrative and China's relations with Myanmar since the 1950s http://ijaps.usm.my/[...] 2020-01-30
[12] 서적 Dictionary of Modern Spoken Mon http://sealang.net/m[...]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Shan-English Dictionary http://sealang.net/s[...] Dunwoody Press
[14]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15] 논문 The Chinese in Rangoon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rtibus Asiae Publishers
[16]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97-06-02
[17] 논문 Burma: An Undeveloped Monsoon Country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1930-01
[18] 간행물 Tango with China http://www.irrawaddy[...] 2003-09-16
[19] 논문 The Modern Burmese Woman and the Politics of Fashion in Colonial Bur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논문 The Chinese in South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the Souther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1947-02
[21] 논문 Repatriating China's Expatriates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1948-02-25
[22] 서적 Burma – Insurgency and the Politics of Ethnicity Zed Books
[23] 논문 Burmese Domestic Policy: The Politics of Burman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5] 서적 Chinese Capitalism in Southeast Asia: Cultures and Practices Palgrave Macmillan
[26] 논문 Performativity of Difference: Mapping Public Soundscapes and Performing Nostalgia among Burmese Chinese in Central Rangoon 2011
[27] 논문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1964-10
[28] 서적 Burma: The State of Myanmar https://archive.org/[...]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9] 웹사이트 Indian Migrants in Myanmar: Emerging Trends and Challenges https://www.mea.gov.[...]
[30] 뉴스 Wa People Rely on Chinese Wages for Survival http://irrawaddy.org[...] 2011-04-18
[31] 뉴스 Instability Beckons in Wake of Kachin Conflict http://www.irrawaddy[...] 2011-06-15
[32] 논문 The Political Economy of China–Myanmar Relations: Strategic and Economic Dimensions http://www.ritsumei.[...] Ritsumeikan University
[33] 간행물 The Chinese Road to Mandalay http://www.irrawaddy[...] 2009-04
[34] 뉴스 Myanmar's Chinese connection https://www.japantim[...] 1999-05-13
[35] 뉴스 Dangerous Anti-Chinese Discontent Growing in Mandalay http://irrawaddy.org[...] 2011-07-08
[36]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97
[37] 간행물 Negotiating Ethnicity: Burmese Chinese Migrants in Taiwan https://www.research[...] 2008
[38] 뉴스 A History Of Indentured Labor Gives 'Coolie' Its Sting https://www.npr.org/[...] NPR 2017-05-03
[39] 서적 Business Networks in Asia: Promises, Doubt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9-06-02
[40] 서적 Indian Communities in Southeast Asia (First Reprint 2006)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8-06-02
[41]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42] 서적 World On Fire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43] 웹사이트 동남아의 중국인과 중국문화 https://www.aseankor[...] ASEAN-Korea Centre 2022-07-14
[44] 서적 World On Fire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45] 웹사이트 Marketing, advertising,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using effective tools http://www.slideshar[...] Sein Gay Har Company Limited 2016-11-07
[46] 서적 Fiery Dragons: Banks, Moneylenders and Microfinance in Burma NIAS Press
[47] 서적 Chinese Capitalism in Southeast Asia: Cultures and Practices Palgrave Macmillan
[48] 서적 Burma: Prospects for a Democratic Futur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49] 서적 Chinese Capitalism in Southeast Asia: Cultures and Practices Palgrave Macmillan
[50] 서적 World On Fire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51] 서적 Chinese Circulations: Capital, Commodities, and Networks in Southeast Asia Duke University Press
[52] 서적 Soldiers and Diplomacy in Burma: Understanding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Burmese Praetorian Stat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s
[53] 서적 World On Fire Knopf Doubleday Publishing
[54] 웹사이트 Tracking the Tycoons http://www.irrawaddy[...] The Irrawaddy 2009-01-10
[55] 웹사이트 Handle with care: China's economic engagement in Myanmar https://www.lowyinst[...]
[56] 서적 The Dragon Looks South: China and Southeast Asia in the New Century Praeger
[57] 서적 The New ASEANs: Vietnam, Burma, Cambodia & Laos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58] 서적 Under Beijing's Shadow: Southeast Asia's China Challenge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59] 서적 Chinese Capitalism in Southeast Asia: Cultures and Practices Palgrave Macmillan
[60] 뉴스 China's Ambitions in Myanmar http://www.asiapacif[...] IISS Strategic Comments 2000-07
[61] 서적 World On Fire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62] 서적 China's Asian Dream: Empire Building Along the New Silk Road Zed Books
[63] 서적 China's Rise and the Chinese Overseas Routledge
[64] 서적 Identity and Ethnic Relations in Southeast Asia: Racializing Chineseness Springer
[65] 서적 Charm Offensive: How China's Soft Power Is Transforming the World Yale University Press
[66] 뉴스 Animosity in a Burmese Hub Deepens as Chinese Get Rich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6-11-28
[67] 서적 Business Networks in Asia: Promises, Doubt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9-06-02
[68]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69]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70] 웹사이트 Indian Migrants in Myanmar: Emerging Trends and Challenges https://www.mea.gov.[...]
[71]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72]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73] 서적 Under Beijing's Shadow: Southeast Asia's China Challenge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74] 서적 World On Fire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75] 뉴스 Location, location, location: Myanmar's the hot new neighbourhood https://www.reuters.[...] 2012-01-30
[76] 서적 World On Fire https://archive.org/[...] Knopf Doubleday Publishing
[77] 뉴스 A new generation of Burmese-Chinese http://www.mizzima.c[...] 2012-12-31
[78] 서적 Gateway to the promised land: ethnic cultures on New York's Lower East Side Rodopi
[79]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American Folklore and Folklife https://archive.org/[...] ABC-CLIO
[80] 저널 Festivalizing Thingyan, Negotiating Ethnicity: Burmese Chinese Migrants in Taiwan
[81] 뉴스 Taiwan's 'Little Burma' https://thediplomat.[...] 2017-03-18
[82] 서적 Law and the Chinese in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Asian Studies
[83] 서적 Myanmar/Burma: inside challenges, outside interests https://archive.org/[...] Brookings Institution Press
[84] 뉴스 China's Ambitions in Myanmar http://www.asiapacif[...] 2000-07
[85] 웹인용 C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ia.gov 2012-05-11
[86] 웹인용 Burma https://2009-2017.st[...] State.gov 2011-08-03
[87] 서적 Soldiers and Diplomacy in Burma: Understanding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Burmese Praetorian State https://archive.org/[...]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s
[88] 서적 Asian Firms: History, Institutions and Management Edward Elgar Publishing
[89] 서적 Chinese Capitalism in Southeast Asia: Cultures and Practices Palgrave Macmillan
[90] 웹인용 Indian Migrants in Myanmar: Emerging Trends and Challenges https://www.mea.gov.[...]
[91] 뉴스 Animosity in a Burmese Hub Deepens as Chinese Get Richer https://www.nytimes.[...] 2016-11-28
[92] 웹인용 China's Future Role in Burma http://www.irrawaddy[...] Irrawaddy.org 2012-05-11
[93] 저널 Review: The Ethnic Question in Law and Development The Michigan Law Review Association 2004-05
[94] 잡지 The Road To Riches? http://www.irrawaddy[...] 2004-07
[95] 웹인용 Ethnic tensions grow in Myanmar http://www.thenation[...] The National 2010-07-03
[96] 웹인용 Indian Migrants in Myanmar: Emerging Trends and Challenges https://www.mea.gov.[...]
[97] 서적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https://archive.org/[...]
[98] 저널 The Chinese in Rangoon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rtibus Asiae Publishers
[99] 저널 Ethnic Chinese as Southeast Asian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97-06-02
[100] 저널 Burma: An Undeveloped Monsoon Country https://archive.org/[...]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1930-01
[101] 잡지 Tango with China http://www.irrawaddy[...] 2003-09-16
[102] 저널 The Modern Burmese Woman and the Politics of Fashion in Colonial Bur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 저널 The Chinese in South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on behalf of the Souther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1947-02
[104] 저널 Repatriating China's Expatriates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1948-02-25
[105] 웹인용 Mandalay Featured http://realfoodchica[...] Realfoodchicago 2012-09-12
[106] 저널 Negotiating Ethnicity: Burmese Chinese Migrants in Taiwan https://www.research[...]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