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소련 분쟁 (192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소련 분쟁 (1929년)은 1929년 중국 동북 지역에서 발생한 중국과 소련 간의 무력 충돌이다. 19세기 말 러시아가 청나라로부터 획득한 중국 동청 철도(CER)의 관리권을 둘러싼 갈등이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1928년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가 북벌을 완료하고 장쉐량이 중동철도 회수를 시도하면서 본격화되었다. 1929년 7월 장쉐량은 소련의 공산주의자들을 체포하고 중동철도 관리를 시도했고, 이에 소련은 군사적 보복을 감행하여 만주 지역을 침공했다. 소련군은 압도적인 전력으로 중국군을 격파하고 주요 도시들을 점령했으며, 12월 하바롭스크 의정서 체결을 통해 분쟁을 종결했다. 이 분쟁은 만주 지역의 권력 공백을 초래하여 일본의 만주 침략을 용이하게 했으며, 중소 관계 악화와 한국인 강제 이주 등의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9년 중국 - 장계 전쟁
장계 전쟁은 1929년 장제스와 신광서파 군벌 간의 내전으로, 장제스의 승리로 끝났으며, 국민정부의 권력 강화와 군벌 세력 확장의 충돌로 발발하여 장제스의 세력 강화에 기여했지만, 중원 대전의 원인이 되고 공산 게릴라의 세력 확대를 초래했다.
중국-소련 분쟁 (1929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분쟁 명칭 | 중소 분쟁 (1929년) |
별칭 | 중동로 사건 봉소 전쟁 |
일부 | 전간기 |
날짜 | 1929년 7월 - 12월 |
장소 | 만주 |
결과 | 소련의 승리 1924년 협정 조항 유지, 하바롭스크 의정서 체결 2004년까지 볼쇼이 우수리스키 섬 전체에 대한 소련/러시아의 군사 점령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러시아 백군 |
지휘관 및 지도자 | |
사령관 1 | 장쉐량 |
사령관 2 | 바실리 블류헤르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군사력 | |
부대 1 | 동북군 백계 러시아인 지원병 백군 게릴라 그룹 나자로프 분견대 두토프-포즈드니코프 백위군 네차예프 분견대 |
부대 2 | 특별 적기 극동군 제18소총군단 제19소총군단 제21소총사단 제12소총사단 OGPU 분견대 소련 공군 분견대 소련 해군 및 국경 경비대 분견대 |
병력 1 | 약 200,000명 3,000명 이상의 백계 러시아인 |
병력 2 | 약 113,000명 (최고) |
사상자 및 피해 | |
사상자 1 | 공식 중국 측 기록: 2,000명 사망, 1,000명 부상, 8,550명 포로 현대 추정: 약 5,000명 손실 |
사상자 2 | 공식 소련 측 기록: 812명 사망, 665명 부상, 4명 실종 현대 추정: 공식 보고보다 훨씬 많음 |
이미지 | |
![]() |
2. 배경
1919년 7월 25일, 소련 정부 외무 차관보 레프 카라한은 중국 정부에 중국동청철도(CER)를 재정적 부담 없이 중국에 넘기겠다고 약속했다.[6] 그러나 8월 26일 공개된 카라한 선언 수정본에는 CER의 중국 반환이나 재정적 보상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6] 7월 25일자 카라한 전보는 중국의 외교적 요구를, 8월 26일자 전보는 소련의 선전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것이었다.[6]
1924년 3월 14일 비밀 의정서와 9월 20일 비밀 협정으로 소련과 중국 간의 이전 협약, 조약 등은 무효화되었다.[7] 이는 소련이 장쉐량과 협상할 시간을 벌어주었다. 소련은 CER 공동 관리를 제안했으나, 장쉐량은 이를 방해했고, 결국 소련은 장쉐량과 거래하기로 했다.[8]
1924년 5월 31일, 레프 카라한과 중화민국 외교부 장관 V. K. 웰링턴 구는 중소 조약을 체결했다. 조약 5조는 철도 각 부서 인력 채용 시 소련과 중국 국민을 동등하게 대우한다고 명시했다.[6] 그러나 소련은 철도 운영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을 붙였다.[6]
소련은 장쉐량에게 CER 중소 공동 관리 위원회 중국 측 관리 선택권을 약속하며 CER 절반의 통제권을 주는 듯했다. 1924년 9월 20일, 장쉐량은 비밀 협정에 서명했다. 그러나 CER은 원래 소련이 통제했기에 요직은 대부분 소련이 차지하고 있었다. 소련은 다수 통제권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소련은 CER 회장을 배후 조종하며 비밀 의정서를 이용해 CER 다수 통제권을 되찾았다. 소련은 중국이 자국 정부에 충성하는 노동자를 고용한다고 믿게 했지만, 실제로는 소련이 철도에서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고 소련 노동자를 고용해 CER 전체 직책의 67%를 통제했다.[6]
2. 1. 중동철도 건설과 러일전쟁
러시아 제국은 청나라로부터 중동철도 부설권을 획득하여 만주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그러나 러일전쟁에서 러시아가 패배하면서 중동철도의 남만주 지선은 일본의 소유가 되었고, 이는 만주 지역의 세력 구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24]2. 2. 러시아 혁명과 소련의 등장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임시 정부가 탄생했다. 같은 해 10월, 소비에트 혁명이 일어나고, 이어서 러시아 내전이 발발하자, 1917년 12월부터 중국 내 러시아 조차지인 중동 철도 부속지(하얼빈)에서 Дмитрий Леонидович Хорват|드미트리 호르바트ru 중장과 중국 정부가 소비에트 세력의 단속을 시작했다.[23]1919년 7월 25일, 소련 정부 외무 차관보 레프 카라한은 중국 정부에 중국동청철도(CER)를 재정적 부담 없이 중국의 통제 하에 반환하겠다고 약속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6] 그러나 8월 26일, 카라한 선언의 개정판이 소련 언론에 의해 발표되었지만, 이 문서에는 CER의 중국 반환이나 재정적 보상 부족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6]
1919년부터 친백계 러시아인 성향의 북양 정부 안휘파, 돤치루이 휘하의 쉬수정이 Occupation of Mongolia|외몽골 통치영어를 실시했다, 1920년의 안직 전쟁으로 인해 안휘파가 직례파에 패배하고, 일본군도 극동 공화국과 Gongota Agreement of 1920|완충국 건설 각서영어를 맺고 러시아 극동으로부터 철수했기 때문에, 적군과 극동 공화국군에 의해 1921년에 Mongolian Revolution of 1921|외몽골이 적화영어되었다. 1922년에 장쭤린 (봉천파, 동삼성 정부), 돤치루이 (안휘파), 쑨원 (혁명 정부)의 세 사람은 반직 삼각 동맹을 맺고 제1차 봉직 전쟁을 벌였으나, 직례파에 패배하고 만다.
1924년 1월, 혁명 정부는 소련의 지원 아래 국공 합작을 시작했다. 같은 해 5월, 소련은 직예파의 북양 정부와 카라한 협정 및 中蘇解決懸案大綱協定|중소 해결 현안 대강 협정중국어을 맺으면서 러시아 제국이 청으로부터 획득한 중동 철도의 이권을 승계받았다. 그러나 직예파와 대립하던 동삼성의 장쭤린 정권(봉천군벌)은 이에 저항했다.
1924년 3월 14일의 비밀 의정서와 9월 20일의 비밀 협정은 소련과 중국 간의 모든 이전 협약, 조약, 의정서, 계약 및 문서를 회의가 소집될 때까지 무효화했다.[7] 이는 소련이 당시 가장 강력한 군벌이었던 장쉐량과 거래할 시간을 벌어주었다. 소련은 중국과 CER 공동 관리를 처음 제안했지만, 장쉐량은 공동 관리를 방해했다. 소련은 장쉐량과 거래하기로 결정했다.[8]
1924년 5월 31일, 레프 카라한과 중화민국의 외교부 장관 V. K. 웰링턴 구 박사는 중소 조약을 체결했는데, 이 조약은 소련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조약 제5조는 "철도의 각 부서에서 사람을 고용하는 것은 소련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과 중화민국의 국민 간의 동등한 대표성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명시했다.[6] 소련은 "동등한 대표성의 원칙을 실행함에 있어 철도의 정상적인 생활과 활동이 어떠한 경우에도 중단되거나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였다.[6]
9월 18일, 혁명 정부의 북벌 선언에 따라 장쭤린 정권이 관내 출병을 결의하자, 장쭤린 정권은 타협하여 봉소 협정에 조인하고 소련의 이권을 인정하게 되었다.[24] 봉소 협정에 규정된 관리 형태는 대등한 공동 경영이 기본이었으며, 철도 경영의 수장으로 배치된 이사회는 중소 양측에서 5명씩의 이사로 구성되어 이사회에서의 완전한 평등이 확립되었다. 직원의 채용도 쌍방의 이사가 대등한 권리를 갖도록 되어 있었다.[25]
소련은 CER의 중소 공동 관리 위원회에 참여할 중국 관리를 선택할 수 있는 완전한 통제권을 장쉐량에게 약속했고, 이는 그에게 CER의 절반의 통제권을 부여할 것이었다. 1924년 9월 20일, 장쉐량은 중국 정부가 그 해 초에 비밀 의정서에 서명했다는 것을 알지 못한 채 비밀 협정에 서명했다. CER은 원래 소련이 통제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직책은 소련의 통제 하에 있었다. 소련은 다른 해결책이 철도를 방해할 것이기 때문에 다수 통제권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소련은 또한 CER 회장의 배후 조종자였다. 그들은 비밀 의정서를 서로 이용하고 중국을 능가함으로써 CER에 대한 다수 통제권을 되찾았다. 소련은 중국이 자신들의 정부에 충성하는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소련이 철도에서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련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었다. 결국 소련은 CER의 모든 직책의 67%를 통제했다.[6]
그러나 백계 러시아인이 많은 만주에서 장쭤린 정권과 소련의 관계는 좋지 않았고, 중동 철도의 운영은 종종 장쭤린 정권으로부터 항의를 받게 되었다. 특히 소련인으로 공산당원인 중동 철도 관리국장 A・I・이바노프가 실권을 잡고 제94호 명령 등으로 이사회를 유명무실하게 만들어 문제가 되었다.[26][27]
1926년 1월에는 장쭤린이 요구한 군대의 무료 수송을 둘러싸고 대립이 표면화되어, 반대했던 이바노프 지배인 등 러시아인 간부들이 중국 관헌에 체포되었으며, 이사의 해임 및 노동 조합의 해산이 이루어졌다. 이때 소련 정부는 타협안을 제시하여 외교적 해결을 꾀했다. 장쭤린은 이바노프의 경질, 철도의 정치 이용 금지 등의 타협안을 받아들여 구속자들을 석방했다.[26]
그 후, 장쭤린군이 베이징을 점령했을 때에도 1927년 4월에 소련 대사관의 가택 수색 등을 실시하여 소련과 외교 문제를 일으켰다. 장쭤린의 주장은 톈진에서 폭동을 계획하고 있는 중국 공산당원들이 은닉되어 있었다는 것이었으며, 실제로 대사관 내에 있던 다수의 공산당원들이 체포되었고, 러시아인 19명도 체포되었다. 다수의 기밀 자료도 압수되었다. 이 수색은 외교 거주 구역의 관리 권한자였던 덴마크 공사의 허가를 받아 이루어졌다. 같은 해 2월에는 외교관을 이송 중이던 소련 선박이 나포되었다. 이 때에도 소련은 최종적으로 전면 충돌을 회피했다. 항의 후 대사관을 폐쇄했지만, 각지의 영사관은 그대로 유지했다.[28]
1928년, 장쭤린 폭사 사건이 일어나자, 후계자 장쉐량은 같은 해 12월에 동치하여 국민 정부에 귀순했다. 이로 인해 북벌이 완료되어 중국 전토는 일응의 통일을 이루었다. 국민 정부를 주도하는 장제스는 반공주의였기 때문에 소련과의 대립 관계는 지속되었지만, 그 결과 오히려 기타 열강과의 중국 관계는 호전되어, 조약 개정을 통한 관세 자주권 회복 등을 실현해 나갔다.[29]
2. 3. 중소 협정과 봉천군벌
1924년 5월 31일, 레프 카라한과 중화민국 외교부 장관 V. K. 웰링턴 구 박사는 중소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의 제5조는 "철도의 각 부서에서 사람을 고용하는 것은 소련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과 중화민국의 국민 간의 동등한 대표성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명시하여, 중동철도에 대한 공동 관리권을 명시했다.[6] 그러나 소련은 "동등한 대표성의 원칙을 실행함에 있어 철도의 정상적인 생활과 활동이 어떠한 경우에도 중단되거나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이며, 실질적인 운영권은 자신들이 행사했다.[6]만주 지역의 실권자였던 장쭤린은 소련의 이러한 지배에 반발했다. 장쭤린은 1926년 1월 군대의 무료 수송 문제로 소련과 대립, 반대했던 중동 철도 관리국장 이바노프 등 러시아인 간부들을 체포하고 이사회를 해산시켰다. 소련은 외교적 해결을 시도, 장쭤린은 이바노프 경질, 철도 정치 이용 금지 등의 타협안을 받아들여 구속자들을 석방했다.[26] 1927년 4월에는 소련 대사관을 수색해 다수의 공산당원을 체포하고 기밀 자료를 압수하는 등 소련과 외교 문제를 일으켰다.[28]
장쭤린의 아들 장쉐량은 중동철도 회수를 위한 노력을 본격화했다. 1928년 12월, 장쉐량은 중동 철도에 부속된 전화국을 점령하고, 중동 철도의 사기(--)를 내리고 국민 정부의 청천백일기를 게양했다.[31] 소련이 협정 위반이라고 비난했지만, 장쉐량은 협상을 거부하고 중동 철도의 배타적 지배를 회복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31]
2. 4. 국민당 정부의 북벌과 장쉐량의 동북역치
1928년,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 정부는 북벌을 완료하고 중국을 통일했다. 장쉐량은 국민 정부에 합류(동북역치)하면서, 국민당의 지지를 바탕으로 중동철도 회수 시도를 구체화했다.[31]1928년 12월, 장쉐량은 중동 철도에 부속되어 중소 공동 관리하에 있던 전화국을 점령했다. 12월 22일, 펑톈 당국의 경찰대가 전화국을 점거했고, 29일에는 중동 철도의 사기(--와 러시아 국기를 조합한 것)를 내리고 국민 정부의 청천백일기를 게양했다.[31]
소련 정부는 전화국 점거를 협정 위반이라고 비난했지만, 장쉐량은 협상을 거부했다. 중국 측은 적절한 시기에 중동 철도의 배타적 지배를 회복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31]
3. 원인
1919년 7월 25일, 소련 정부 외무 차관보 레프 카라한은 중국 정부에 중국동청철도(CER)를 재정적 부담 없이 중국에 반환하겠다고 약속했다.[6] 그러나 8월 26일 발표된 카라한 선언의 개정판에는 CER의 중국 반환이나 재정적 보상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6]
1924년, 소련은 중국과 비밀 협정을 맺어 CER에 대한 공동 관리권을 확보하고, 장쉐량과도 협력하여 CER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소련은 CER 운영에 있어 다수 지분을 차지하며, 중국 측의 이익을 침해했다.
1929년 중반, 중국은 소련의 영향력이 커지자 CER에서 소련 관리를 제거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중국은 하얼빈의 소련 영사관을 급습하고 소련인들을 체포했다. 소련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 시민을 체포하고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9]
이후 소련은 군사 개입을 고려했고, 바실리 블류헤르 지휘 하의 특별 적기 극동군을 창설했다. 장쉐량은 백계 러시아인들을 모집하여 소련에 맞섰다.
3. 1. 중소 협정의 불평등성
1928년 12월, 장쉐량은 중동 철도 회수를 위한 첫 조치로 중소 공동 관리하에 있던 전화국을 점거했다. 펑톈 당국 경찰이 전화국을 점거하고, 중동 철도의 기를 내리고 청천백일기를 게양했다[31]。 소련은 이를 협정 위반이라 비난했지만, 장쉐량은 협상을 거부하고 중국 측은 중동 철도의 배타적 지배를 회복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31]。7월 22일과 29일, 차이윈성과 장쉐량은 구속자 석방과 1924년 협정의 전면 재검토를 제안했지만, 소련 측은 이를 거부했다. 8월 27일, 난징 정부는 1924년 협정을 준수하며 지배인 교체를 실시한다는 양보안을 제시했지만, 소련은 지배인 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42]。
3. 2. 소련의 중동철도 지배 강화
1924년 5월 31일, 레프 카라한과 중화민국의 외교부 장관 V. K. 웰링턴 구는 중소 조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소련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조약 제5조는 "철도의 각 부서에서 사람을 고용하는 것은 소련과 중화민국 국민 간의 동등한 대표성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명시했다.[6] 소련은 "동등한 대표성의 원칙을 실행함에 있어 철도의 정상적인 생활과 활동이 어떠한 경우에도 중단되거나 훼손되지 않아야 하며, 양 국적의 고용은 지원자의 경험, 개인 자격 및 적합성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6]소련은 중국동청철도(CER) 회장의 배후 조종자였다. 그들은 비밀 의정서를 서로 이용하고 중국을 능가함으로써 CER에 대한 다수 통제권을 되찾았다. 소련은 중국이 자신들의 정부에 충성하는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했으나, 실제로는 철도에서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련 노동자를 고용하여 CER 모든 직책의 67%를 통제했다.[6]
1928년 12월, 레프 카라한 소련 외무인민위원 대리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중동철도 인원 정리가 필요하다는 서한을 보냈다. 카라한에 따르면, 중동철도 직원은 중국 측의 요구로 불필요하게 증가했으며, 직위 확보를 위해 많은 한직이 만들어지고, 막대한 보조금이 투입되었다. 그 결과, 운임 수입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영 상태는 악화되어 중국 은행으로부터 거액의 차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는 뇌물 수수, 태만, 강욕, 횡령이 일상다반사인 "중국식 기업"이 되었다고 평하며, 지배인의 권한 축소, 내부 통제 강화, 공금 횡령자 및 수뢰자 해고, 가능한 경우 공산당원인 소련 측 직원으로 교체할 것을 제안했다.
1929년 5월 27일, 중화민국 둥베이 북부 특경 관리국은 하얼빈 주재 소련 총영사관에서 코민테른의 비밀 회의가 열리고 있음을 확인하고, 해당 영사관을 수색하여 중국과 소련의 공산당원 39명을 체포했다. 중국 측에 따르면, 이때 압수된 문서에서 중동철도 직원의 구성을 중소 양국에서 평균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방해하고, 소련인 외의 인원을 배제하며 공산당원을 충원하라는 모스크바에서 하얼빈으로 보낸 전보 등 소련의 여러 음모가 밝혀졌다.
3. 3. 장쉐량의 중동철도 회수 시도
1928년 12월, 장쉐량은 중동 철도를 무력으로 회수하기 시작했다. 우선 중동 철도에 부속되어 중소 공동 관리하에 있던 전화국을 점령했다. 12월 22일, 펑톈 당국의 경찰대가 전화국을 점거했고, 29일에는 중동 철도의 기(--와 러시아 국기를 조합한 것)를 내리고 국민정부의 청천백일기를 게양했다.[31]소련 정부는 전화국 점거를 협정 위반이라고 비난했지만, 장쉐량은 협상을 거부했다. 중국 측은 적절한 시기에 중동 철도의 배타적 지배를 회복할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31]
1929년 5월 27일, 중화민국 둥베이 북부 특경 관리국은 하얼빈 주재 소련 총영사관에서 코민테른의 비밀 회의가 열리고 있음을 확인하고, 해당 영사관을 수색하여 중국과 소련의 공산당원 39명을 체포했다.[22] 중국 측에 따르면, 이때 압수된 문서에서 소련의 여러 음모가 밝혀졌다.[32] 그 중에는 중동철도 직원의 구성을 중소 양국에서 평균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방해하고, 소련인 외의 인원을 배제하고 공산당원을 충원하라는 모스크바에서 하얼빈으로 보낸 전보가 포함되어 있었다.[33]
4. 전개
1929년 중-소 분쟁은 7월 소규모 교전으로 시작되었으나, 본격적인 군사 행동은 8월 17일 소련군이 차라이노르를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소련군은 바실리 블류헤르의 지휘 아래 두 차례의 신속한 작전을 통해 중국군을 압도했다. 10월에는 소련 해군이 아무르강과 쑹화강을 따라 진격하여 라하수수를 점령하는 등 해상에서도 우위를 점했다. 소련군은 민간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겠다고 선전하며,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11월에는 만주 지역을 공격했다. 결국 11월 26일, 중국은 소련과 조약을 체결할 준비를 하게 되었다.[9]
이 분쟁에서 소련은 군사력뿐만 아니라 선전전을 병행하여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를 확산시키고 중국군을 혼란시키는 데 성공했다.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에게 스탈린은 "극동군에서 우리 동료들이 [중국인]을 꽤 겁먹게 했다"고 자랑했다.[9]
소련의 승리는 미국, 프랑스, 영국 등 서방 국가들로부터 갈채를 받았지만, 동시에 소련의 군사력과 외교적 영향력에 대한 우려를 낳기도 했다. 특히, 이 분쟁은 일본이 만주 사변을 일으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9]
4. 1. 군사적 충돌
1929년 7월, 소련은 장쉐량이 중동철도를 접수하려는 시도에 대응하여 군사 행동을 시작했다.[9] 소련군은 만주 북부와 동부 지역을 침공하여 주요 도시들을 점령하고, 중국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8월 17일, 차라이노르에서 첫 번째 주요 전투가 벌어졌다. 소련군은 이 전투에서 큰 손실을 보았는데, 이는 소련군이 겪은 유일한 큰 피해였다.[9]
바실리 블류헤르는 두 번의 신속한 작전으로 공격 계획을 세웠다. 첫 번째는 중국 해군을 목표로 했고, 두 번째는 신속한 포위 작전으로 중국 지상군을 파괴하는 것이었다.[9] 10월, 소련 해군은 아무르강과 쑹화강을 따라 함대를 진격시켜 라하수수를 점령했다. 이로 인해 중국군은 다른 곳으로 이동해야 했다.[9]
소련군은 민간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중국 민간인이 중국군과 함께 싸울 것을 장려한다고 밝혔다. 또한 민간인 살해를 부인하고 군용 물품만 가져간다고 말했다.[9]
11월 17일, 소련군은 10개 사단을 투입하여 공격을 두 단계로 나누었다. 첫 번째 단계는 만저우리를 지나 차라이노르 지역을 공격하는 것이었다. 이 지역을 점령한 후, 소련군은 만저우리를 목표로 삼았다.[9]
만저우리에 도착했을 때, 소련군은 중국군이 전투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약탈과 도주를 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11월 26일, 중국은 소련과 조약을 체결할 준비가 되었다.[9]
9월부터 소련군은 헤이룽강·쑹화강 합류 지점을 본격적으로 공격했다. 9월 19일 수이빈, 10월 12일 퉁장, 10월 31일 푸진을 공략하여 쑹화강 연안 약 50km에 걸쳐 침공했다.[45] 10월 12일 퉁장에서는 소련군과 중국 동북 해군 강방 함대가 교전하여 중국 함대는 큰 피해를 입었다.[52] 10월 30일 푸진에서도 중국 함대는 패배했다.[51]
11월 17일 밤, 소련군은 만저우리 방면으로 대규모 진격을 시작했다. 11월 18일까지 만저우리와 다라이노르, 11월 24일(소련 측 기록 27일)에는 하이랄을 공략했다.[53] 만저우리를 수비하던 중국군은 소련군에 포위되어 투항했다.[47]
쑤이펀허 방면에서는 소련군이 공격을 시도했지만 중국군의 방어에 막혔다.[40] 소련 측은 한카 호 방면의 중국군이 이만으로 침공했다는 명목으로 작전을 실행했으나, 이는 조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54]
이 전투들에서 중국군은 큰 피해를 보았다. 전사 약 1690명, 전상 약 2210명, 포로 약 6900명, 행방불명 약 1800명으로 추정된다.[47]
4. 2. 국제 사회의 반응
미국의 헨리 스팀슨 국무장관은 영국, 프랑스와 함께 1929년 12월 1일, 미·영·프 3개국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소련의 군사 행동을 불전 조약 위반이라고 비난하며 중재에 나설 뜻을 밝혔지만, 소련은 이를 부당한 간섭으로 간주하고 거부했다.[59] 소련은 제3자의 개입 없이 중국과의 직접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59]독일 정부도 장쭤빈 주독 대사의 요청으로 중재를 시도했지만, 소련은 양보할 의사가 없어 실패했다.[53]
소련의 승리는 서방 국가들에게 소련이 외교와 군사력을 모두 사용하여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일부는 소련의 이러한 능력을 칭찬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소련이 언젠가 서방 국가들을 이길 수 있다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9]
5. 결과
1931년 만주사변으로 일본 제국이 만주를 침공하여 소련의 세력권을 점령했을 때, 소련은 동쪽에서 일본에 대항할 만큼 강하지 못했다.[10] 스탈린은 중립 정책을 채택했고, 1935년 3월 23일에 소련은 중국 동부 철도에 대한 권리를 만주국 정부에 매각했다.[11]
5. 1. 하바롭스크 의정서 체결
1929년 12월 16일부터 하바롭스크에서 중국 측 대표 차이윈성과 소련 외무 인민 위원회 대표 A. 시마노프스키에 의한 중소 직접 협상이 진행되었으며, 12월 22일에 하바롭스크 의정서(zh)가 조인되었다[60]。 의정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소련 이사, 관리국장, 부국장의 복직.
- 충돌 기간 중 체포된 사람들의 상호 석방.
- 소련인 직원들의 면직 처분 취소 및 정직 기간 중 급여 지급.
- 중국 관헌에 의한 백계 러시아인의 무장 해제와 책임자들의 동삼성으로부터의 추방.
- 중소 양측의 영사관과 상업 기구 재개.
하바롭스크 의정서 조인에 따라, 1929년 12월 25일에 소련군은 철수를 완료했다. 이듬해인 1930년 1월 10일 이후, 중동 철도의 운행도 점차 회복되었다[61]。
그러나 국민 정부는 하바롭스크 의정서가 소련 측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인정한 것이라며 비준하지 않고, 교섭 재개를 요구했다. 새롭게 중동 철도 이사장이 된 모더후이가 전권 대표로서 모스크바에 파견되었지만, 소련은 하바롭스크 의정서의 유효성을 주장하며 협상에 응하지 않았다. 1930년 10월부터 25회에 걸친 회담에서도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했다[62]。
5. 2. 중동철도 분쟁의 장기화
1930년 1월 10일 이후, 중동 철도의 운행은 점차 회복되었다.[61] 그러나 국민 정부는 하바롭스크 의정서가 소련 측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인정한 것이라며 비준하지 않고, 교섭 재개를 요구했다. 새로운 중동 철도 이사장 모더후이가 전권 대표로 모스크바에 파견되었지만, 소련은 하바롭스크 의정서의 유효성을 주장했고, 1930년 10월부터 25회에 걸친 회담에서도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했다.[62] 국민 정부의 이러한 행동 뒤에는, 중소 간의 접근을 경계하는 열강의 지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61] 중소 간의 중동 철도 협상은, 만주 사변의 발발로 인해, 1931년 10월 말로써 사실상 중단되었다.6. 영향
1929년 중동철도 사건은 만주 지역의 권력 공백, 중소 관계 악화, 그리고 한인들의 피해와 강제 이주 등 동북아시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은 소련군이 중국군을 쉽게 물리치는 것을 보고 만주 침략의 기회로 삼았다. 결국 1931년 만주 사변을 일으켜 만주를 점령했다.[9] 스탈린은 일본에 대항할 힘이 부족했기에 중립 정책을 택했고, 1935년 소련은 중국 동부 철도(중동철도)에 대한 권리를 만주국에 매각했다.[11]
중국 공산당은 소련군의 침공에 맞춰 광둥성 등지에서 봉기, 장시 소비에트를 성립시켰다.[56] 펑위샹도 국민 정부에 반기를 들어, 국민 정부는 이들을 진압해야 했다.[56][57]
소련은 1931년부터 중국인의 국경 통과를 막고, 자국 외교관을 소환하고 중국 외교관을 추방했다.[14][15] 이 과정에서 극동 지역 한인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켰고, 많은 한인들이 희생되었다. 소련은 중국인들을 중국 동북부로 강요했고, 이르쿠츠크 등지의 중국인들을 체포, 재산을 몰수했다.
상하이의 신문 ''선바오''는 소련에 구금된 중국인들의 고통을 상세히 보도했다.[16]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약 1,000명의 중국인이 부르주아로 몰려 구금되었고,[16] 이후에도 굶주림과 고문이 이어졌다.[17][18][19][20] 체포된 중국인들은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으며, 가혹한 환경에서 연명했다.[21][15] 하바롭스크 조약 이후, 중국인들은 석방되었지만, 고문 후유증과 재산 몰수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 놓였고, 결국 중국으로 돌아갔다.[15]
6. 1. 만주 지역의 권력 공백과 일본의 진출
1929년 중동철도 사건으로 인해 만주 지역에 힘의 공백이 생겼다. 소련군이 중국군을 쉽게 물리치는 것을 본 일본은 이를 기회로 삼았다. 일본은 1931년 만주 사변을 일으켜 만주를 침략했고, 비슷한 전술을 사용하여 중국군을 격파하고 만주를 점령했다.[9]당시 소련은 동쪽에서 일본에 대항할 만큼 강력하지 못했기 때문에[10], 스탈린은 엄격한 중립 정책을 채택했다. 결국 1935년 3월 23일, 소련은 중국 동부 철도(중동철도)에 대한 권리를 만주국 정부에 매각했다.[11]
6. 2. 중소 관계 악화와 국공 내전
소련군의 침공에 발맞춰 중국 공산당은 10월 말 광둥성 하이펑·루펑 방면에서 행동을 개시했다. 마오쩌둥, 주더 등이 이끄는 공산군은 광둥·푸젠·장시 성 경계 부근에서 폭동을 일으켰고, 이듬해 2월 루이진에서 장시 소비에트를 성립시켰다.[56] 펑위샹[57]도 중앙 국민 정부에 반기를 들었기 때문에, 국민 정부는 그 토벌 작전도 전개해야 했다.[56]6. 3. 한국인의 피해와 강제 이주
1928년, 붉은 군대 본부 참모 대령 아르세니예프 미하일 미하일로비치(Арсеньев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ru)는 코민테른 극동국에 보고서를 제출하여, 중국과 대한민국에서 인접 지역으로의 자유 이주를 중단하고, 그 지역을 시베리아와 유럽에서 온 이주민들로 채울 것을 권고했다.[12][13]중국 동청 철도를 둘러싼 중소 분쟁으로 양국 관계가 악화되면서, 소련은 1931년부터 중국인의 국경 통과를 중단하기 시작했다.[14] 중국 주재 모든 소련 외교관이 소환되었고, 소련 주재 모든 중국 외교관이 추방되었으며, 양국 간 기차 운행이 중단되었다.[15] 이 과정에서 소련은 극동 지역에 거주하던 한인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켰고, 많은 한인들이 희생되었다.
소련은 중국인들에게 중국 동북부로 이동하도록 강요했고, 이르쿠츠크, 치타, 울란우데에 거주하는 수천 명의 중국인이 현지 명령 위반, 탈세 등의 이유로 체포되었다. 러시아를 떠날 때 30루블 이상의 현금을 소지한 중국인은 초과분을 당국에 지불해야 했고, 1,000루블 이상의 현금을 소지한 경우에는 체포되어 모든 돈을 몰수당했다. 이 과정에서 한인들도 피해를 입었을 가능성이 있다.
상하이에 본사를 둔 신문 ''선바오''는 소련 당국에 의해 많은 중국인이 구금되었다고 보도하며, 이들이 겪는 고통에 대해 상세히 전했다.[16]
- 1929년 7월 24일: 블라디보스토크에 거주하는 약 1,000명의 중국인이 소련 당국에 의해 구금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부르주아로 알려졌다.[16]
- 이후: 블라디보스토크와 하바롭스크에 구금된 중국인들이 겪는 굶주림과 고문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도.[17][18][19][20]
- 9월 21일: 체포된 중국인들이 헤이허와 하바롭스크 사이의 철도 건설에 강제 동원되었으며, 매일 호밀빵 두 조각만으로 연명하며 가혹한 노동에 시달렸다.[21][15]
하바롭스크 조약 체결 이후, 소련 정부는 체포된 중국인 대부분을 석방했다. 하지만 이들은 심각한 고문을 당했고, 몰수된 재산은 반환되지 않았으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이로 인해 석방된 모든 중국인들은 중국으로 돌아갔다.[15]
이 사건은 소련의 소수민족 정책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사례로, 특히 한인 강제 이주는 현재까지도 논란이 되는 문제이다.
7. 한국인의 피해와 강제 이주 (별도 항목)
1928년, 붉은 군대 본부 참모 대령인 아르세니예프 미하일 미하일로비치는 코민테른 극동국에 보고서를 제출하여, 중국과 대한민국에서 인접 지역으로의 자유 이주를 중단하고, 그 지역을 시베리아와 유럽에서 온 이주민들로 채울 것을 권고했다.[12][13]
중국 동청 철도를 둘러싼 중소 분쟁으로 양국 관계가 악화되면서, 소련 정부는 한인들을 잠재적인 위협 세력으로 간주했다. 1931년부터 소련 정부는 중국인의 국경 통과를 중단하기 시작했다.[14] 이 과정에서 극동 지역에 거주하던 한인들은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당했으며, 많은 한인들이 재산을 몰수당하고 가혹한 환경 속에서 강제 노동에 동원되는 등 큰 고통을 겪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많은 한인들이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다. 이 문제는 현재까지도 한국과 러시아, 그리고 중앙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역사적 갈등 요인으로 남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Нечаев Константин Петрович
http://www.hrono.ru/[...]
2018-07-13
[2]
서적
Soviet Casual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
1997
[3]
서적
The 1929 Sino-Soviet War: The War Nobody Knew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17
[4]
웹사이트
Collective security
http://mars.wnec.edu[...]
[5]
뉴스
Signs and Symbols on the Sino-Russian Border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6-05-05
[6]
논문
The Soviet Union's Secret Diplomacy Concerning the Chinese Eastern Railway, 1924–1925
1994
[7]
논문
[8]
논문
[9]
서적
Russian Politics in Exile: The Northeast Asian Balance of Power, 1924–1931
Basingstoke
2002
[10]
서적
Nomonhan, 1939: The Red Army's Victory That Shaped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2012-04-15
[11]
웹사이트
Chinese Eastern Railway railway, China
https://www.britanni[...]
2016-12-11
[12]
간행물
俄罗斯远东开发与华人华侨(1860-1941)
http://gb.oversea.cn[...]
[13]
간행물
十月革命前后的旅俄华工及苏俄相关政策研究
http://qks.jhun.edu.[...]
[14]
간행물
Политика советских властей в отношении китайской диаспоры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СССР в 1920— 1930 -Е ГГ
https://elibrary.ru/[...]
[15]
간행물
近代俄罗斯西伯利亚及远东地区华侨华人社会研究(1860—1931年)
http://www.ims.sdu.e[...]
[16]
웹사이트
海参威华侨被拘禁
http://shenbao.dache[...]
申报
1929-07-24
[17]
웹사이트
威部在狱华侨受虐待
http://shenbao.dache[...]
申报
1929-08-12
[18]
웹사이트
伯力华侨备受虐待
http://shenbao.dache[...]
申报
1929-08-26
[19]
웹사이트
威埠华侨复遭逮捕
http://shenbao.dache[...]
申报
1929-09-17
[20]
웹사이트
苏俄大捕华侨
http://shenbao.dache[...]
申报
1929-09-15
[21]
웹사이트
威部在狱华侨受虐待
http://shenbao.dache[...]
申报
1929-09-21
[22]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23]
간행물
シベリア・極東ロシアにおける十月革命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スラブ研究センター
[24]
서적
最近支那國際關係
https://iss.ndl.go.j[...]
國際聯盟協會
[25]
문서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26]
문서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27]
웹사이트
東支鉄道を中心とする露支勢力の消長 下巻
https://books.google[...]
南滿洲鐵道株式會社哈爾濱事務所運輸課
1928-05
[28]
문서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29]
문서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30]
서적
平和はいかに失われたか―大戦前の米中日関係もう一つの選択肢
原書房
1997
[31]
문서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32]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33]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34]
문서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35]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36]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37]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38]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39]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40]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41]
서적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42]
서적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43]
서적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44]
서적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45]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46]
간행물
北満国境に於ける蘇支両軍の対抗
軍令部
[47]
서적
満州帝国
文藝春秋
1983
[48]
서적
中山
2007
[49]
서적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50]
서적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51]
서적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52]
간행물
支那事件 外務省発着(12)
海軍省・八木総領事
[53]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54]
서적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55]
서적
中山
2007
[56]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57]
서적
シナ大陸の真相―1931-1938
展転社
2001
[58]
서적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59]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60]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61]
서적
スラヴィンスキー
2002
[62]
뉴스
サンケイ新聞
1976
[63]
서적
Russian Politics in Exile: The Northeast Asian Balance of Power, 1924–1931
Basingstoke
2002
[64]
서적
Soviet Casual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
1997
[65]
서적
The 1929 Sino-Soviet War: The War Nobody Knew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17
[66]
웹사이트
Collective security
http://mars.wnec.edu[...]
2008-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