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태평양방면함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부태평양방면함대는 1944년 3월 4일 창설된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였다. 마셜 제도와 캐롤라인 제도에서 일본군을 몰아내는 미국 해군에 대항하기 위해 창설되었으며, 초대 사령관은 나구모 주이치 중장이었다. 14항공함대 사령관을 겸임했으나, 아호 작전으로 항공 전력을 상실했다. 사이판 전투에서 패배하여 1944년 7월 8일 해체되었고, 지휘부를 잃은 제4함대와 잔존 부대는 연합함대에 예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함대 - 연합함대
연합함대는 청일 전쟁 이후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일본 제국 해군의 주력 부대로서 천황 직속 지휘를 받았으며, 항공모함 함대 결전 사상 실패와 해상 호위 부대 부족으로 궤멸되었고, 현재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자위함대가 그 역할을 일부 계승한다. -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 제1함대 (일본)
제1함대 (일본)는 1903년 창설되어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며 일본 해군의 주요 전력으로 활동하다가 1944년 해체되었다. -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 제2함대 (일본)
제2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이 창설한 기동 함대로, 러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참전하며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나, 주요 해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1945년 해체되었다. - 1944년 폐지 - 프랑스 민병대
프랑스 민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시 프랑스에서 조직되어 레지스탕스 진압, 치안 유지, 유대인 강제 수용 등의 임무를 수행한 준군사 조직으로, 극우 성향 인사와 친독 협력자들이 주축이었으나 해방 후 보복과 처벌을 받았다. - 1944년 폐지 - 벨기에 북프랑스 군정청
벨기에 북프랑스 군정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를 점령한 후 설치한 군정 기관으로, 점령 지역 통치, 경제 통제, 나치즘 선전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자원 약탈, 인권 유린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연합군의 해방 작전과 레지스탕스 운동으로 와해되었다.
중부태평양방면함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
명칭 | 중부태평양방면함대 |
원어 명칭 | (주부 타이헤이요 호멘 칸타이) |
영어 명칭 | Central Pacific Area Fleet |
기본 정보 | |
창설일 | 1944년 3월 4일 |
해체일 | 1944년 7월 18일 |
소속 | 대일본제국 해군 |
규모 | 불명 |
역할 | 중부 태평양 방면 작전 지휘 |
참전 전투 | 태평양 전쟁 |
지휘부 | |
주요 지휘관 | 주이치 나구모 |
2. 역사
마셜 제도와 캐롤라인 제도로 진주하는 미국군을 막기 위해 1944년 3월 4일에 중부태평양방면함대가 창설되었다. 일본 제국 해군은 태평양 관할 부대인 제4함대와 제14항공함대 및 잔존 병력을 모아 편성하였다. 제14항공함대 사령장관인 나구모 주이치 중장이 중부태평양방면함대 사령장관을 겸임하였다.[1]
1944년 4월 2일에 시행된 아호 작전으로 제14항공함대의 항공기가 모두 제1항공함대로 넘겨지면서 사실상 전력을 모두 잃었다. 부대는 육군 제31군과 함께 사이판 전투에 대비하여 사이판에 사령부를 두고 육상 부대로서 싸웠으나 전멸하였고, 나구모 주이치 중장은 1944년 7월 9일에 자결하였다. 지휘부를 잃은 제4함대와 잔존 부대는 연합함대로 전속되었다.[1]
사이판 전투에서 1944년 7월 8일, 미군에게 사이판이 함락되고 나구모 주이치 제독과 그의 참모들이 사망하면서 중부태평양방면함대는 해체되었다.[1]
날짜 | 상급 부대 | 하급 부대 및 함선 |
---|---|---|
1944년 3월 4일 (원래) | 연합 함대 | 제4함대, 제14항공함대, 이스즈, 제5 특별 근거지 부대, 제30 근거지 부대, 제4 기상 관측대 |
1944년 7월 8일 | 사령부가 괴멸됨. | |
1944년 7월 18일 | 해산 |
계급 | 이름 | 날짜 | 비고, 겸임 보직 | |
---|---|---|---|---|
1 | 중장/대장 | 나구모 주이치 | 1944년 3월 4일 | 제14항공함대 사령관. 1944년 7월 8일 전사. 같은 날 대장으로 추서. |
x | 공석 | 1944년 7월 9일 | ||
'''참모장'''
계급 | 이름 | 날짜 | 비고, 겸임 보직 | |
---|---|---|---|---|
1 | 소장/중장 | 야노 히데오 | 1944년 3월 4일 | 제14항공함대 참모장. 1944년 7월 8일 전사. 같은 날 중장으로 추서. |
x | 공석 | 1944년 7월 9일 | ||
1944년 3월 4일, 연합 함대는 제4함대, 제14항공함대, 이스즈, 제5 특별 근거지 부대, 제30 근거지 부대, 제4 기상 관측대를 편성하여 중부태평양방면함대를 창설했다.[1] 그러나 아호 작전에 따라 제14항공함대는 같은 해 5월 5일에 모든 기체를 제1항공함대로 전출시켜 가동기는 전무하게 되었다.[1]
3. 조직
사이판 전투 당시 사이판 섬에 설치되었던 사령부는 미국군의 침공에 맞서 지상 부대로서 분투했으나, 전멸하여 해체되었다.[1] 제4함대 등의 잔존 부대는 연합함대의 지휘 하에 들어갔다.[1]
중부태평양방면함대의 조직 변천은 다음과 같다.날짜 상급 부대 하급 부대 및 함선 1944년 3월 4일 (원래) 연합 함대 제4함대, 제14항공함대, 이스즈, 제5 특별 근거지 부대, 제30 근거지 부대, 제4 기상 관측대 1944년 7월 8일 사령부 괴멸 1944년 7월 18일 해산
3. 1. 지휘부
'''사령관'''
계급 | 이름 | 날짜 | 비고, 겸임 보직 | |
---|---|---|---|---|
1 | 중장/대장 | 나구모 주이치 | 1944년 3월 4일 | 제14항공함대 사령관. 1944년 7월 8일 전사. 같은 날 대장으로 추서.[1] |
x | 공석 | 1944년 7월 9일 |
'''참모장'''
3. 2. 전투 서열 (1944년 3월 4일 창설 당시)
- 제4함대
- 제14항공함대
- 직속
- * 제5특별근거지대 - 사이판
- * 제30설상대 - 팔라우
- 배속
- * 이스즈
- * 제23어뢰정대
- * 제59방공대, 제60방공대, 제82방공대, 제83방공대, 제91방공대
- * 제205설상대, 제214설상대, 제217설상대, 제218설상대, 제223설상대, 제233설상대
3. 3. 1944년 4월 1일 전투 서열 (전시편제 개정)
1944년 3월 4일에 제4함대 및 새로 편성된 제14항공함대를 가지고 편성되었다.[1] 그러나 아호 작전에 따라 제14항공함대는 같은 해 5월 5일에 모든 기체를 제1항공함대로 전출시켜 가동기는 전무하게 되었다.[1]사령부는 사이판 섬에 설치되었고, 미국군의 사이판 침공(사이판 전투) 당시 지상 부대로서 분투했으나, 사령부는 전멸하여 해체되었다.[1] 제4함대 등의 잔존 부대는 연합함대의 지휘 하에 들어갔다.[1]
- 직속
- * 제5근거지대(사이판 섬)
- ** 제21 구축잠수대
- ** 제54 경비대
- ** 제55 경비대
- ** 제56 경비대
- ** 제5 통신대
- ** 제5 수송대
- ** 기뢰 부설대: 부설정: 측천
- * 제30 근거지대(팔라우)
- ** 제31 구축잠수대
- ** 제45 경비대
- ** 제46 경비대
- ** 제30 잠수함 기지대
- ** 제3 통신대
- ** 제6 수송대
- ** 부속 기뢰 제거정 부대: 제21호 기뢰 제거정, 제22호 기뢰 제거정
- 제4함대(트럭 섬)
- * 독립 기함 경순양함: 나가라
- 제4 근거지대
- * 제32 구축잠수대: 제31호 구축정, 외 1척
- * 제57 구축잠수대: 제32호 구축정, 제33호 구축정
- * 제902해군항공대
- * 제41 경비대
- * 제42 경비대
- * 제44 경비대
- * 제67 경비대
- * 제85 잠수함 기지대
- * 제4 통신대
- * 제4 수송대
- * 제4 항무부
- 제6 근거지대
- * 제61 경비대
- * 제62 경비대
- * 제63 경비대
- * 제64 경비대
- * 제65 경비대
- * 제66 경비대
- 부속
- * 제2 어뢰정대
- * 제31 어뢰정대
- * 요코스카 진수부 제2 특별 육전대
- * 제6 방공대
- * 제43 방공대
- * 제46 방공대
- * 제48 방공대
- * 제81 방공대
- * 제84 방공대
- * 제86 방공대
- * 제221 설영대
- * 제227 설영대
- 제14항공함대(사령부 요원은 중부 태평양 방면 함대 사령부 요원이 겸임)
- * 제22 항공전대 경순양함: 이스즈
- ** 제202해군항공대(함전/트럭)
- ** 제301해군항공대(함전/이오지마)
- ** 제503해군항공대(함폭/야프)
- ** 제551해군항공대(천산/테니안)
- ** 제755해군항공대(육공/테니안)
- ** 제802해군항공대(비행정/야루이트)
- * 제26 항공전대 수상기 모함: 아키츠시마
- ** 제201해군항공대(함전/사이판)
- ** 제501해군항공대(함공/사이판)
- ** 제751해군항공대(육공/카비엔)
- * 제23 어뢰정대
- * 제59 방공대
- * 제60 방공대
- * 제82 방공대
- * 제83 방공대
- * 제91 방공대
- * 제205 설영대
- * 제214 설영대
- * 제217 설영대
- * 제218 설영대
- * 제223 설영대
- * 제233 설영대
4. 참전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였다.
1944년(쇼와 19년) 3월 4일에 제4함대 및 신편된 제14항공함대를 가지고 편성되었다. 그러나 아호 작전에 따라 제14항공함대는 같은 해 5월 5일에 모든 기체를 제1항공함대로 전출시켜 가동기는 전무하게 되었다.[1]
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의 일부인 사이판 전투에서 사이판 섬에 사령부를 두고, 미국군의 사이판 침공에 맞서 지상 부대로서 분투했으나, 사령부는 전멸하여 해체되었다. 제4함대 등의 잔존 부대는 연합함대의 지휘 하에 들어갔다.[1]
참조
[1]
서적
Death of a Navy
[2]
웹사이트
Axis History Data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