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지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지도자는 중화인민공화국을 통치하는 최고 권력자를 의미한다. 마오쩌둥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당, 군, 국가의 지도자 직책을 모두 역임하며 권력을 집중시켰다. 덩샤오핑은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며 실질적인 최고지도자 역할을 했으며, 장쩌민과 후진타오는 당 총서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국가 주석을 역임하며 권력을 집중시켰다. 현재 시진핑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국가 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등을 겸임하며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국가원수 - 데므치그돈로브
    데므치그돈로브는 청나라 시대에 태어나 몽골 자치 운동에 관여했으며, 일본과 협력하여 내몽골 자치를 추진하고 몽골군정부 및 몽강 연합 자치 정부의 수뇌를 역임하다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직전 몽골로 망명하여 체포된 몽골의 정치인이다.
  • 중국의 정치 - 인민대회당
    인민대회당은 중국 베이징 천안문 광장 서쪽에 위치하며 전국인민대표대회 등 주요 정치 행사와 문화 공연이 열리는 1959년 건립된 건축물로, 만인대회당, 국가연회장, 각 지역 이름을 딴 홀 등을 갖추고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
  • 중국의 정치 - 4대 현대화
    4대 현대화는 중국이 농업, 공업, 국방, 과학 기술의 현대화를 통해 경제 발전을 이루고 소강 사회를 건설하려 한 정책으로, 저우언라이에 의해 구체화되고 덩샤오핑 시대에 개혁개방 정책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중국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되었다.
  • 역직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역직 - 의장
    의장은 입법 기관, 회의, 단체 등에서 회의를 주재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국회, 지방 의회, 법인 등 다양한 조직에서 사용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지도자
개요
시진핑
직위 정보
직위 명칭최고영도인
국가중화인민공화국
휘장[[파일:중화인민공화국 국장.png|180px|border]]
휘장 설명중화인민공화국의 국장
당기[[파일:Flag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svg|180px|border]]
당기 설명중국공산당의 당기
현직자시진핑
취임일2012년 11월 15일
소속 기관중앙위원회
중앙정치국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담당 기관중앙서기처
중앙군사위원회
중앙국가안전위원회
중앙위원회 총서기 판공실
국가주석 판공실
지명 주체전국대표대회 주석단
임명 주체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헌법적 근거중국공산당 장정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선임 직위없음
임기종신직 (5년, 임기 제한 없음)
관저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중난하이 / 쯔광거
초대마오쩌둥 (당 주석)
최종없음
형성일1949년 10월 1일 (건국 대전)
로마자 표기
중국어 간체zuì gāo lǐng dǎo rén
관련 용어
한자最高领导人
한글최고영도인

2. 역사

마오쩌둥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을 건설하면서 최고 지도자 체제가 시작되었다. 마오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겸임하며 당, 국가, 군을 모두 통솔했다.[15]

문화 대혁명 이후, 권력 분산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후야오방, 리셴녠, 자오쯔양 등이 권력 분립을 요구했으나, 덩샤오핑은 집권 기간 동안 이 체제를 유지했다. 덩샤오핑은 당의 최고 직위(총서기)와 군 통수권(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분리하여 자신의 측근을 당 총서기에 앉히고 자신은 군 통수권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덩샤오핑의 후계자인 장쩌민후진타오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를 통한 집단지도체제를 구축했다.[24] 1993년부터 장쩌민은 당 총서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국가 주석의 세 직책을 겸임하며 권력을 집중시켰다. 이러한 권력 집중 체제는 후진타오와 시진핑에게도 계승되었다. 시진핑은 국가안전위원회와 중앙전면심화개혁위원회 등 새로운 기구를 설립하여 권력을 더욱 집중시키고 있다.[19][20]

사진이름직함시기이념국가주석국무원 총리
--마오쩌둥
1949년 10월 1일

1976년 9월 9일
마오쩌둥 사상
132x132픽셀
화궈펑
1976년 9월 9일

1978년 12월 22일
두개의 대강
(마오쩌둥 사상)
폐지겸직
120x120픽셀
덩샤오핑
1978년 12월 22일

1989년 11월 9일
덩샤오핑 이론
(중국 특색 사회주의)
120x120픽셀
장쩌민
1989년 11월 9일

2002년 11월 15일
삼개대표사상
120x120픽셀
후진타오
2002년 11월 15일

2012년 11월 15일
과학적 발전관
(사회주의 조화사회)
겸직원자바오
120x120픽셀
시진핑
2012년 11월 15일

현재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중국몽)
겸직리커창


2. 1. 마오쩌둥 시대 (1949-1976)

마오쩌둥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 공산당 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주석(1954~59)의 세 직책을 동시에 역임하여 당, 군, 국가의 지도자 역할을 각각 수행했다.[15] 마오쩌둥 사상을 통해 개인숭배 통치를 강화하고 권력을 집중시켰다. 문화 대혁명을 통해 반대파를 숙청하고 권력을 더욱 강화했다.[15]

사진이름재임 기간이념공산당 주석국가 주석국무원 총리겸임 직책
--마오쩌둥
毛泽东|마오쩌둥중국어
(1893–1976)
1949년 10월 1일

1976년 9월 9일
마오쩌둥 사상
(1세대)
본인본인
류사오치
폐지됨
저우언라이
화궈펑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주석1943년 3월 20일 – 1956년 9월 28일
중국 공산당 중앙서기처 주석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1945년 6월 19일 – 1976년 9월 9일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 주석1949년 10월 1일 – 1954년 9월 27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주석1949년 10월 9일 – 1954년 12월 25일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54년 9월 8일 – 1976년 9월 9일
국가 주석1954년 9월 27일 – 1959년 4월 27일


2. 2. 덩샤오핑 시대 (1978-1989)

덩샤오핑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며 중국 경제를 발전시켰다. 덩샤오핑 이론을 통해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제시했다.[21] 중국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 주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등을 역임하며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사진이름재임 기간이념공산당 주석국가 주석국무원 총리겸임 직책
덩샤오핑
邓小平|덩샤오핑중국어
(1904–1997)
1978년 12월 22일

1989년 6월 24일[21]
덩샤오핑 이론
(2세대)
화궈펑
후야오방
자오쯔양
장쩌민
폐지됨
리셴녠
양상쿤
화궈펑
자오쯔양
리펑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1975년 1월 17일 – 1983년 6월 18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주석1978년 3월 8일 – 1983년 6월 17일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81년 6월 28일 – 1989년 11월 9일
중국 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 주임1982년 9월 13일 – 1987년 11월 2일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83년 6월 6일 – 1990년 3월 19일



1980년대부터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마오쩌둥 주석처럼 단일 지도자가 당을 뛰어넘는 것을 막고자 했다. 이에 따라 1982년에는 중국 공산당 주석직이 폐지되었다.[16] 지도부는 총서기, 국가주석, 국무총리가 서로 다른 사람이 맡는 준삼권 분립을 실험했다. 예를 들어, 1985년에는 중국 공산당 총서기는 후야오방이었고, 중국 국가주석은 리셴녠, 중국 국무원 총리는 자오쯔양이었다. 그러나 덩샤오핑은 여전히 지도부의 핵심으로 인정받았다. 후야오방과 자오쯔양 모두 1980년대 후반에 실각했지만, 덩샤오핑은 궁극적인 정치적 통제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중국 공산당 제13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1989년 6월 23~24일)를 앞두고 중앙위원들과의 논의에서 덩샤오핑은 "핵심 지도자"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덩샤오핑은 천두슈, 취추바이, 샹중파, 리리싼, 왕밍과 같은 인물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935년 준의 회의에서 마오쩌둥이 부상하기 전까지 당에는 적절한 "핵심 지도자"가 없었다고 분석했다. 마오의 선출은 중국 공산당 지도부의 "제1세대"를 열었다. 덩샤오핑은 제2세대에 관해서는, 돌이켜보면 자신이 "핵심"이었지만, 제3세대로의 전환을 끊임없이 계획해 왔다고 인정했다. 이를 위해 그는 참석자들에게 장쩌민을 "제3세대"의 핵심으로 뭉치도록 독려했다.[17] 덩샤오핑은 제5차 전체회의(1989년 11월 6~9일)까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을 공식적으로 사임했지만, 중국 공산당이 발행한 공식 역사에서는 제4차 전체회의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지지가 덩샤오핑 행정부에서 장쩌민 행정부로의 전환으로 간주한다.

덩샤오핑은 당의 최고 직위인 주석·총서기와, 중국 공산당의 당군이자 사실상의 국군이기도 한 중국 인민해방군을 통솔하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맡는 인물이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에, 권력의 원천이 되는 군의 통수권자인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의 지위를 확보하고, 자신의 측근인 후야오방·자오쯔양 등을 당 총서기에 앉힘으로써 주도권을 장악했다. 덩샤오핑은 1987년 10월의 제13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 위원·중앙 정치국 상무위원에서 물러났지만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의 지위를 확보했고, 더 나아가 제13기 당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제13기 1중전회)에서 당 중앙 정치국의 중요 결정에 관한 최종 결정권을 승인받았다. 그 후, 1989년의 제2차 톈안먼 사건을 겪고 개최된 제13기 5중전회에서 덩샤오핑은 당 총서기인 장쩌민에게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물려주고 '완전 은퇴'를 선언하여, 무위무관의 몸이 되었지만, 이후에도 장쩌민의 후견인으로서 1992년에 '남순강화'를 발표하여 개혁개방 노선을 추진하도록 당 지도부에 촉구하는 등, 최고 실력자로서 행동했다.

2. 3. 장쩌민 시대 (1989-2002)

장쩌민삼개대표사상을 제시하며 중국 공산당의 이념적 기반을 확대했다.[22]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등을 역임하며 권력을 집중시켰다.[22] 덩샤오핑개혁개방 정책을 계승하여 경제 발전을 지속했다.

1989년 6월 24일부터 2002년 11월 15일까지 재임한 장쩌민은 덩샤오핑의 뒤를 이어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22] 1993년부터 장쩌민은 당, 국가, 군대의 수장이 되는 세 직책을 공식적으로 역임했다.

사진이름재임 기간이념공산당 주석국가 주석국무원 총리겸임 직책
장쩌민
江泽民|장쩌민중국어
(1926–2022)
1989년 6월 24일

2002년 11월 15일[22]
세 가지 대표
(3세대)
본인양상쿤
본인
리펑
주룽지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1989년 6월 24일 – 2002년 11월 15일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89년 11월 9일 – 2004년 9월 19일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90년 3월 19일 – 2005년 3월 13일
중화인민공화국 주석1993년 3월 27일 – 2003년 3월 15일



장쩌민은 2002년과 2003년에 각각 총서기와 국가주석직을 떠났지만,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은 유지했다. 군사력은 공산주의 통치 중국에서 정치 권력 행사에 항상 중요한 측면이었으며, 따라서 최고 군사 직책을 유지하는 것은 장쩌민이 어느 정도의 공식적인 권력을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2. 4. 후진타오 시대 (2002-2012)

후진타오과학적 발전관과 사회주의 조화사회를 제시하며 사회 통합과 균형 발전을 강조했다.[3] 그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등을 역임했다.

후진타오는 재임 기간 동안 이 직책들을 겸임했다. 2012년 11월 시진핑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되고, 2013년 3월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이 되면서 후진타오는 모든 직책을 시진핑에게 이양했다.

사진이름재임 기간이념당 총서기국가 주석국무원 총리겸임 직책
138x138px
후진타오
胡锦涛|후진타오중국어
(1942년 출생)
2002년 11월 15일

2012년 11월 15일
과학적 발전관
(4세대)
본인본인원자바오


2. 5. 시진핑 시대 (2012-현재)

시진핑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중국몽을 제시하며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 있다.[19]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등을 역임하고 있다.[19] 중앙전면개혁심화지도소조 조장, 중앙국가안전위원회 주석 등을 겸임하며 권력을 더욱 집중시키고 있다.[19][20]

사진이름재임 기간이념공산당 주석국가 주석국무원 총리겸임 직책
시진핑
习近平|시진핑중국어
2012년 11월 15일

현직
시진핑 사상본인리커창
리창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2012년 11월 15일 – 현직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주석2013년 3월 14일 – 현직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국 공산당 중앙전면심화개혁위원회 주임2013년 12월 30일 – 현직
중국 공산당 국가안전위원회 주임2014년 1월 25일 – 현직



;현재

대수인물당 총서기/최고 지도자생년월일나이정권최고 지도부재임 기간일수소속 정당
56
135x135픽셀
시진핑1953년 6월 15일시진핑 정권시진핑, 리커창, 장더장, 위정성, 류윈산, 왕치산, 장가오리2012년 11월 15일 -중국 공산당
시진핑, 리커창, 리잔수, 왕양, 왕후닝, 자오러지, 한정2017년 10월 25일 - 2022년 10월 23일
시진핑, 리창, 자오러지, 왕후닝, 차이치, 딩쉐샹, 리시2022년 10월 23일 -
colspan="7" |전체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을 포함한 시진핑 정권의 총 재임 일수


3. 최고지도자 목록

사진이름직함재임 기간이념국가주석국무원 총리
--마오쩌둥
毛泽东|마오쩌둥중국어
(1893–1976)
100x100픽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총서기1943년 3월 20일 – 1956년 9월 28일1949년 10월 1일

1976년 9월 9일
마오쩌둥 사상겸직
(1945~1959)
류사오치
(1959~1968)
공석(1968~1975)
1975년 폐지
저우언라이
(1949~1976)
화궈펑
(1976)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1945년 6월 19일 – 1976년 9월 9일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 주석1949년 10월 1일 – 1954년 9월 27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1949년 9월 9일 – 1954년 12월 25일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54년 9월 8일 – 1976년 9월 9일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1954년 9월 27일 – 1959년 4월 27일
화궈펑
华国锋|화궈펑중국어
(1921–2008)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무원총리1976년 2월 4일 – 1980년 9월 10일1976년 9월 9일

1978년 12월 22일
두 개의 대강
(마오쩌둥 사상)
폐지겸직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1976년 4월 7일 – 1976년 10월 7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1976년 10월 7일 – 1981년 6월 28일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76년 10월 6일 – 1981년 6월 28일
덩샤오핑
邓小平|덩샤오핑중국어
(1904–1997)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상무부총리1975년 1월 17일 – 1983년 6월 18일1978년 12월 22일

1989년 11월 9일
덩샤오핑 이론
(중국 특색 사회주의)
부활
리셴녠
(1983~1988)
양상쿤
(1988~1989)
화궈펑
(1978~1980)
자오쯔양
(1980~1987)
리펑
(1987~1989)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주석1978년 3월 8일 – 1983년 6월 17일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81년 6월 28일 – 1989년 11월 9일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83년 6월 6일 – 1990년 3월 19일
장쩌민
江泽民|장쩌민중국어
(1926–2022)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1989년 6월 24일 – 2002년 11월 15일1989년 11월 9일

2002년 11월 15일
삼개대표사상양상쿤
(1989~1993)
겸직
(1993~2003)
리펑
(1989~1993)
주룽지
(1993~2003)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89년 11월 9일 – 2004년 9월 19일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1990년 3월 19일 – 2005년 3월 13일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1993년 3월 27일 – 2003년 3월 15일
후진타오
胡锦涛|후진타오중국어
(1942년 출생)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2002년 11월 15일 – 2012년 11월 15일2002년 11월 15일

2012년 11월 15일
과학적 발전관
(사회주의 조화사회)
겸직원자바오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2003년 3월 15일 – 2013년 3월 14일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2004년 9월 19일 – 2012년 11월 15일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2005년 3월 13일 – 2013년 3월 14일
시진핑
习近平|시진핑중국어
(1953년 출생)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2012년 11월 15일 – 현재2012년 11월 15일

현재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중국몽)
겸직리커창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2013년 3월 14일 –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국공산당 중앙전면개혁심화지도소조 조장2013년 12월 30일 – 현재
중국공산당 중앙국가안전위원회 주석2014년 1월 25일 – 현재


4. 역대 영부인

역대 지도자 6명 모두 재임 기간 동안 배우자가 있었다. 현재 영부인은 시진핑 국가 주석의 부인인 펑리위안이다. 영부인은 공적인 직책이 아니므로 급여나 공적 직무는 주어지지 않지만, 일부 배우자는 고유한 역할을 수행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역대 영부인
사진이름지도자재임 기간비고
장칭
江青|장칭중국어
(1914–1991)
마오쩌둥1949년 10월 1일 – 1976년 9월 9일당 주석 부인. 문화 대혁명을 지도한 사인방 중 한 명.
한즈쥔
韩芝俊|한즈쥔중국어
(1930년 출생)
화궈펑1976년 9월 9일 – 1978년 12월 22일당 주석 부인.
줘린
卓琳|줘린중국어
(1916–2009)
덩샤오핑1978년 12월 22일 – 1989년 11월 9일
왕예핑
王冶坪|왕예핑중국어
(1928년 출생)
장쩌민1989년 11월 9일 – 2002년 11월 15일당 총서기 부인.
류융칭
刘永清|류융칭중국어
(1940년 출생)
후진타오2002년 11월 15일 – 2012년 11월 15일당 총서기 부인.
펑리위안
彭丽媛|펑리위안중국어
(1962년 출생)
시진핑2012년 11월 15일 – 현직당 총서기 부인. 군대 가수.


5. 현대 중국의 정치

마오쩌둥 주석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확고한 통치자였으며, 중국 공산당 주석,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주석(1954~59)의 세 직책을 동시에 역임하여 당, 군, 국가의 지도자 역할을 각각 수행했다. 문화 대혁명 이후, 정치 권력 행사의 균형과 견제가 부족하여 "개인 숭배 통치"가 초래되었다는 대략적인 공감대가 당 내에서 형성되었다.[15]

1980년대부터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단일 지도자가 당을 뛰어넘는 것을 막고자 했다. 1982년에는 중국 공산당 주석직이 폐지되었고, 해당 직책의 대부분의 기능은 부활된 총서기 직책으로 이전되었다.[16] 지도부는 총서기, 국가주석, 국무총리가 서로 다른 사람이 맡는 준삼권 분립을 실험했다. 예를 들어, 1985년에는 중국 공산당 총서기는 후야오방이었고, 중국 국가주석은 리셴녠, 중국 국무원 총리는 자오쯔양이었다. 그러나 덩샤오핑은 여전히 지도부의 핵심으로 인정받았다.

덩샤오핑은 "핵심 지도자"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1935년 준의 회의에서 마오쩌둥이 부상하기 전까지 당에는 적절한 "핵심 지도자"가 없었다고 분석했다. 덩샤오핑은 제2세대에 관해서는 자신이 "핵심"이었지만, 제3세대로의 전환을 계획해 왔다고 인정했다. 이를 위해 장쩌민을 "제3세대"의 핵심으로 뭉치도록 독려했다.[17]

최고 지도자라는 칭호는 장쩌민과 후진타오에게도 적용되었지만, 집단 지도체제가 더욱 강조되었으며, 최고 지도자는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합의를 통해 권력을 행사했다.[3] 1993년부터 장쩌민은 당, 국가, 군대의 수장이 되는 세 직책을 공식적으로 역임했다.


  • 중국 공산당 총서기: 당 지도자이자 국가의 주요 직책.
  •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의 최고 군사 사령부.
  •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1982년 헌법에 따라 주로 의례적 국가 대표.[18]


장쩌민이 2002년과 2003년에 각각 총서기와 국가주석직을 떠났을 때 그는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을 유지했다. 군사력은 공산주의 통치 중국에서 정치 권력 행사에 항상 중요한 측면이었다. 후진타오는 재임 기간 동안 동일한 세 직책을 역임했다. 후진타오는 2012년 11월 시진핑이 중국 공산당 총서기이자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 되었을 때부터 2013년 3월 시진핑이 국가주석이 되었을 때까지 이 세 직책을 모두 시진핑에게 이양했다. 시진핑이 권력을 잡은 이후, 국가안전위원회와 중앙전면심화개혁위원회라는 두 개의 새로운 기구가 설립되어, 덩샤오핑 이후 그 누구보다도 최고 지도자에게 정치 권력을 더 집중시키려는 의도가 드러났다.[19] 이 기구들은 국가 안보와 경제 개혁을 위한 일반적인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임무를 맡았다. 두 기구 모두 총서기가 수장이다.[20]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 구조는 헌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중국 공산당이 국가를 영도한다. 따라서,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 (총서기)가 국가의 최고 지도자가 된다.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는 당규상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1982년 이전에는 중앙위원회 주석)이지만, 1980년대덩샤오핑과 같이 당의 최고 직위에 오르지 않고 최고 지도자가 된 경우도 있다. 이는 당의 최고 직위인 주석·총서기와, 중국 공산당의 당군이자 사실상의 국군이기도 한 중국 인민해방군을 통솔하는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맡는 인물이 분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덩샤오핑은 군의 통수권자인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의 지위를 확보하고, 자신의 측근인 후야오방·자오쯔양 등을 당 총서기에 앉힘으로써 주도권을 장악했다.

1992년 제14차 당대회에서 장쩌민 체제가 확립됨에 따라, 덩샤오핑으로부터 장쩌민에게 최고 지도자로서의 지위가 이행되었다. 장쩌민은 당 총서기·중앙군사위원회 주석과 함께, 1993년에 국가 대표인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국가 주석)에 취임하여, 당·국가·군의 삼권을 장악했다. 이는 마오쩌둥이 국가 주석에 재직 (1954년 - 1959년)했을 때 이후의 일이다.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가 당·국가·군의 최고 직위를 독점하는 권력 집중 체제는, 다음 시대의 후진타오, 다다음 시대의 시진핑 체제에도 계승되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China's Communist Party Congress: A really simple guide https://www.bbc.com/[...] 2022-10-27
[2] 뉴스 From Mao to Xi: Power plays in the succession of Chinese leadership https://www.washingt[...] 2022-10-24
[3] 웹사이트 How China is ruled http://news.bbc.co.u[...] 2007-01-16
[4] 뉴스 Stop Calling China's Xi Jinping 'President,' U.S. Panel Says https://www.wsj.com/[...] 2022-10-27
[5] 서적 China's Elite Politics: Political Transition And Power Balancing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2007
[6] 뉴스 Xi Jinping's Radical Secrecy https://www.theatlan[...] 2022-09-12
[7] 뉴스 How Xi Jinping became the world's most powerful man https://www.thetimes[...] 2022-09-12
[8] 뉴스 Xi and Putin, two of world's most powerful men, to meet in China, US absent https://www.newsweek[...] 2022-09-12
[9] 뉴스 Ending Term Limits for China's Xi Is a Big Deal. Here's Why. https://www.nytimes.[...] 2018-03-12
[10] 뉴스 Xi's here to stay: China leader tipped to outstay term https://www.business[...] 2017-09-23
[11] 웹사이트 Krishna Kanta Handique State Open University http://www.kkhsou.in[...] 2014-05-02
[12] 뉴스 Stop Calling China's Xi Jinping 'President,' U.S. Panel Says https://www.wsj.com/[...] 2019-11-16
[13] 뉴스 View China's Xi as Party Leader, Not President, Scholars Say https://www.voanews.[...] 2022-10-07
[14] 뉴스 A simple guide to the Chinese government https://multimedia.s[...] 2018-05-12
[15] 서적 The Fall and Rise of China
[16] 웹사이트 China - Constitution, Government, Politics https://www.britanni[...]
[17] 문서 Selected Works of Deng Xiaoping
[18] 웹사이트 Section 2, Article 80–81 http://english.peopl[...] 2010-08-12
[19] 뉴스 习近平频现身成常态 将回归"领导核心"? http://china.dwnews.[...] 2014-08-05
[20] 뉴스 How the Chinese government works https://multimedia.s[...] 2018-05-12
[21] 문서 Verdict of the Central Committee on the Major Accomplishments and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Communist Party during the Past 100 Years
[22] 문서 Verdict of the Central Committee on the Major Accomplishments and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Communist Party during the Past 100 Years
[23] 서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24] 웹사이트 중국의 지배체제 BBC http://news.bbc.co.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