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푸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찬푸루는 류큐 왕국 시대부터 오키나와에서 먹어 온 전통 요리로, 오키나와 방언으로 '섞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섬두부를 기본 재료로 사용하며, 채소, 돼지고기, 계란 등을 함께 볶아 만든다. 고야 찬푸루, 두부 찬푸루, 야채 찬푸루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오키나와 가정 요리의 대표로 자리 잡았다. 현재는 오키나와 요리 전문점에서도 인기 메뉴로 판매되며, 일본 전국 및 해외에서도 가정 요리로 즐겨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키나와 요리 - 오키나와 소바
오키나와 소바는 밀가루 면을 사용하여 돼지, 가다랑어 육수 국물과 삼겹살, 소키 등의 고명을 얹어 먹는 오키나와의 대표적인 면 요리로, 해외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즐겨 먹는다. - 오키나와 요리 - 타코라이스
타코라이스는 1984년 오키나와현 킨초의 음식점에서 개발되어 타코스의 재료를 밥 위에 얹어 먹는 오키나와 대표 음식으로, 다진 소고기, 양상추, 치즈, 토마토 등을 토핑하고 살사 소스나 케첩을 뿌려 먹으며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 일본의 퓨전 요리 - 멘치카츠
멘치카츠는 다진 고기를 빵가루에 튀긴 일본식 양식 요리로, 메이지 시대에 처음 판매된 후 쇼와 시대에 현재 명칭으로 불리기 시작했으며, 지역에 따라 재료와 조리법에 차이가 있고, 소스와 양배추를 곁들여 먹거나 샌드위치 재료, 지역 특산품 등으로 활용된다. - 일본의 퓨전 요리 - 가라아게
가라아게는 일본의 튀김 요리 방식 또는 튀긴 요리를 의미하며, 특히 닭고기 튀김을 가리키고, 1930년대 대중화 이후 가정에서 쉽게 조리되어 현재는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 문화로 자리매김하였다.
찬푸루 - [음식]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종류 | 볶음 요리 |
지역 | 오키나와현 |
주재료 | 두부, 채소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이름 | チャンプルー |
로마자 표기법 | Chanpurū |
요리 종류 | 오키나와 요리 |
주재료 | 두부, 야채, 돼지고기 |
요리 | |
주요 재료 | 두부, 채소 |
조리법 | 볶음 |
2. 역사와 문화
찬푸루는 류큐 왕국 시대부터 먹어 온 오키나와 전통 요리이다.[14] 기원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요리 연구가 신지마 마사코는 여성들의 지혜로 만들어진, 짧은 시간에 만들 수 있는 오키나와의 자랑할 만한 서민 요리라고 평가했다.[53] 다이쇼 시대까지 타마나(양배추) 찬푸루 등은 가정에서 꽤 좋은 음식으로 여겨졌다.[54] 오키나와 사범학교 식당에서도 찬푸루가 제공되었고, 1916년에는 오오아지 히사고로 오키나와 현지사가 실시한 시찰에서 마미나(숙주나물) 찬푸루가 제공되었다.[55]
오키나와 방언으로 '찬푸루'는 '섞다'라는 의미를 가진다.[14] 전통적으로 찬푸루는 반드시 두부를 포함해야 하며, 이는 야채볶음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21][22] 쇼와 시대의 요리책이나 연구서에서는 두부 요리로 분류된다.[21]
마지막 류큐 국왕 쇼타이왕의 넷째 왕자인 쇼준은 1919년에 "옛날에는 왕자라도 두부나 마미나, 그리고 다른 채소 찬푸루를 먹는 일이 흔했다"고 증언했다.[56] 쇼준은 자신의 수필 "두부의 찬사"에서 찬푸루를 언급했으며,[57] 그의 딸 시나 시게코는 "아버지는 평소 소박한 찬푸루 등을 먹었다"고 증언하는 등,[57] 찬푸루를 좋아했으며 서민 요리를 낮게 보지 않았다.
태평양 전쟁 이전에는 두부와 채소만으로 만들었으나,[58] 1955년 오키나와에서 주식이 고구마에서 쌀로 바뀐 후 일상식이 되었다.[59][60] 오키나와에서는 만들지 않는 집이 없을 정도[61]로 가정 요리의 대표가 되었다. 각 가정의 돼지기름을 사용하여 철제 기름 냄비[62]에 재료를 볶아 만들었으며, 손님이 왔을 때 접대용으로도 찬푸루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63] '오키나와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하 후유도 손님이 오면 고야 찬푸루를 대접했다는 일화가 있다.[64]
이시게 나오미치와 쿠로다 요이치로가 지적했듯이, "돼지기름으로 두부와 채소를 볶는다"는 것이 찬푸루의 본래 특징이었지만,[65] 현대에는 식물성 기름으로 볶는 경우가 많아졌다. 기름 냄비를 사용하여 강한 불로 재료를 볶으면 "찰라찰라" 하는 소리가 울려 퍼졌다고 전해지며,[66] 오키나와 출신 시인 야마노구치 바쿠는 "두부 요리라고 하면, 오키나와 출신이라면 누구든 찬푸루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라고 남길 정도로 가정 요리로 자리 잡았다.[67]
오키나와 최초의 프로 야구 선수 안니야 소하치는 찬푸루 덕분에 본토의 생채소를 먹는 습관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말했으며,[69] 오키나와 최초의 요코즈나 류오 유키도 "두부와 채소를 라드로 볶은 찬푸루"를 좋아한다고 꼽았다.[70] 복싱 세계 챔피언 방어 국내 기록 보유자 구시켄 요우코도 "찬푸루는 볶는다는 의미"라며 "먹으면 힘이 나는 기분이 든다"라고 말했다.[71]
찬푸루는 빠르고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 두부의 식물성 단백질과 채소의 식이섬유, 그리고 돼지기름 등 기름으로 볶아 지용성 비타민을 섭취할 수 있어 영양적으로도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72] 닛신식품 창업자 안도 모모후쿠도 찬푸루를 건강식으로 주목했다.[73] 1917년 오키나와 현 결핵 예방회를 창설한 의사 킨죠 세이쇼는 두부 찬푸루의 영양가에 대해 나라하라 시게루 오키나와 현지사 등에게 강연하기도 했다.[74]
미국 통치하의 오키나와를 거치면서 돼지고기 등 수입 가공육을 새로운 재료로 받아들였는데,[76][77] 이는 전통 행사[75] 음식이 아니기 때문에 가능했다. 쇼 히로코 류큐 대학 명예교수는 이를 "전후판 찬푸루"라고 불렀다.[78]
과거에는 찬푸루를 음식점에서 먹는 요리가 아니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현재는 오키나와 요리점, 식당에서도 인기 메뉴 중 하나이다.[79] 오키나와 현 외에서도 가정 요리로 자리 잡았으며, 찬푸루 양념 등 관련 상품도 많이 판매되고 있다.[80] 1983년 전국학교영양사협의회의 학교 급식 향토 요리 이벤트에서 오키나와 현은 "찬푸루"를 선택하는 등,[81] 현 외에서도 오키나와 대표 요리로 인식되고 있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 국어 교과서[12]에 실린 시이나 마코토의 "야도카리 탐험대"에도 "찬푸루는 볶음 요리라는 뜻이다"라고 소개되었다.[13]
3. 정의 및 어원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94]
어떤 설도 찬푸루라는 요리의 성립 과정이 불명확하기 때문에 증거 제시에는 이르지 못했다.[94]
4. 조리법 및 재료
섬두부(간두부)를 사용한 요리인 찬푸루에는 두부가 필수적이다.[21][22] 두부를 볶아서 약간 태운 색을 내는 것이 야채볶음과의 큰 차이점이다. 1920년생 요리 연구가 상도자(尚道子)는 찬푸루를 "두부가 들어간 볶음요리"로 번역하여 전국에 소개했고,[23][6][24] 류큐대학(琉球大学) 가정학부 학부장이었던 온나가 쿤요(翁長君代)도 "반드시 두부가 들어가는 것이 찬푸루"라고 정의하고 있다.[25]
오키나와 출신 시인 야마노구치 바쿠(山之口貘)는 "어떤 찬푸루의 경우에도 두부를 함께 볶는 것이 일반적이다[26]"라고 적었고, 오키나와 출신 에세이스트 후나구스라 야스요시(古波蔵保好)[27]도 "센 불에 냄비 기름을 달구고, 두부 등을 재빨리 볶은 요리[28]"라고 두부를 사용한 요리로 소개하고 있다.
오키나와 민요의 진수성찬을 읊는 노래[34]에서 "두부와 볶은 채소 찬푸루"라고 부르는 것 외에도, 오키나와현의 시마쿠토바 핸드북에도 "찬푸룬 리 이셰 토후 누 잇쵸 싱카이루 인도(ちゃんぷるーんり いーしぇー とーふぬ いっちょー しんかいる いーんどー, 찬푸루는 두부가 들어있는 것을 말한다)"[35]라는 예문이 있다.
하지만, 오키나와 요리의 볶음요리 전반을 포괄적으로 찬푸루라고 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36] 예를 들어, 소멘 찬푸루나 후 찬푸루는 두부가 들어있지 않더라도 찬푸루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37][38]
재료로는 간두부를 사용한다. 간두부는 민속학자 류타 고쿠오(柳田國男)가 “야만인과 같은 강건한 두부[39]”라고 평하고, 소설가 히노 아시헤이(火野葦平)가 “류큐 두부는 못이 박힐 정도로 단단하다[40]”라고 작품 속에서 묘사할 정도로 단단하며,[41][42] 제철 채소와 함께 볶아도 부서지지 않는다. 간두부를 구하기 어려운 오키나와 현 외 지역에서는 물기를 뺀 모두부나 두부부침 등으로 대신 사용한다.
서민 음식으로서의 찬푸루는 간두부와 이름을 딴 한 가지 채소를 돼지기름으로 재빨리 강한 불에 볶아 두부와 제철 채소의 맛을 즐기는 간단한 볶음 요리였다.[43] 점차 다시마 가루(가쓰오부시)와 돼지고기, 달걀이 들어가고 채소도 여러 종류가 재료로 사용되게 되었다.[44] 미국 통치하의 오키나와를 거쳐 런천미트(포크)・콘비프 해시・참치캔 등의 통조림류[45]가 들어가게 되었다.[46]
이러한 재료를 돼지기름으로 볶는 것이 원래의 조리법이지만, 현재는 식용유 등 식물성 기름을 두르고 볶는 경우가 많다. 먼저, 손으로 찢은 두부[47]를 표면이 갈색이 될 때까지[48] 볶아 일단 접시에 꺼낸 후, 채소와 돼지고기 등을 순서대로 볶고, 갈색이 된 두부를 다시 넣어 볶으면서 소금과 간장 등으로 간을 맞춰 마무리한다.[49][50]
5. 종류
찬푸루는 주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고야 찬푸루''': 여주를 중심으로 만든다.
- '''두부 찬푸루''': 두부를 중심으로 채소와 함께 볶은 요리이다.
- '''야채 찬푸루''': 두부보다 채소의 양이 많은 것을 말한다.
- '''마미나 찬푸루''': 숙주나물을 중심으로 만든다.
- '''치키나 찬푸루''': 소금에 절인 겨자무를 중심으로 만든다.
- '''타마나 찬푸루''': 양배추를 중심으로 만든다.
- '''라치요 찬푸루''': 라치요를 중심으로 만든다.
- '''치리비라 찬푸루''': 파를 중심으로 만든다.
- '''나베라 찬푸루''': 수세미오이를 중심으로 만든다.
- '''파파야 찬푸루''': 파파야를 중심으로 만든다.
- '''후 찬푸루''': 밀가루 글루텐의 일종인 후를 사용하여 만든다.
- '''소민 찬푸루''': 매우 가는 소면을 포함한다.
이 외에도 운체, 친쿠아, 비라가, 토마미누파, 데쿠니 등을 주요 제철 채소로 한 찬푸루가 알려져 있다.[140][141]
5. 1. 고야 찬푸루
고야(ゴーヤー)는 여주를 가리키며, 여주(쓴오이)를 중심으로 한 찬푸루를 가리킨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찬푸루이다.[106][107] 이 요리가 널리 알려지면서 여주가 전국에 보급되었다.
5. 2. 두부 찬푸루
시마도후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오키나와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찬푸루로 여겨진다.[21][22] 두부를 볶아서 약간 태운 듯한 색을 내는 것이 야채볶음과의 큰 차이점이며, 쇼와 시대의 요리책이나 연구서에서는 두부 요리로 분류된다.상도자(尚道子)(1920년생)는 찬푸루를 "두부가 들어간 볶음요리"로 번역하여 방송과 서적을 통해 전국에 소개했고,[23][6][24] 류큐대학(琉球大学) 가정학부 학부장이었던 온나가 쿤요(翁長君代)도 "반드시 두부가 들어가는 것이 찬푸루입니다. 때로는 돼지고기나 계란이 추가될 수는 있지만, 두부가 없으면 찬푸루가 아닙니다[25]"라고 정의하고 있다.
오키나와 출신 시인 야마노구치 바쿠(山之口貘)는 "어떤 찬푸루의 경우에도 두부를 함께 볶는 것이 일반적이다[26]"라고 적었고, 오키나와 출신 에세이스트 후나구스라 야스요시(古波蔵保好)[27]도 "센 불에 냄비 기름을 달구고, 두부 등을 재빨리 볶은 요리[28]"라고 두부를 사용한 요리로 소개하고 있다.
오키나와현과 오키나와현 영양사회가 공개하는 모든 찬푸루 레시피에 두부가 재료로 사용되며,[29][30] NHK의 요리 프로그램 오늘의 요리(きょうの料理)에서도 두부를 중심으로 한 기름에 볶는 요리로 소개되고 있다.[31]
오키나와의 식문화를 차세대에 계승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현의 인증 사업인 "류큐 요리 전승인[32]" 자격 취득 조건인 "담당자 육성 강좌"에서도 "찬푸루는 두부가 들어간 볶음요리"라고 가르친다.[33]
오키나와 민요의 진수성찬을 읊는 노래[34]에서 "두부와 볶은 채소 찬푸루"라고 부르는 것 외에도, 오키나와현의 시마쿠토바 핸드북에도 "찬푸룬 리 이셰 토후 누 잇쵸 싱카이루 인도(ちゃんぷるーんり いーしぇー とーふぬ いっちょー しんかいる いーんどー, 찬푸루는 두부가 들어있는 것을 말한다)"[35]라는 예문이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그 정의를 후세에 전달하려고 하고 있다.
두부 찬푸루(豆腐チャンプルー)는 채소와 스팸, 베이컨, 얇게 썬 삼겹살 또는 통조림 참치와 함께 볶은 두부 요리이다. 일본 본토의 두부와 달리 오키나와 두부는 단단하여 볶을 때 부서지지 않는다. 균일한 크기의 두부가 아닌, 손으로 두부를 부수어 팬에 넣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겨진다.
5. 3. 야채 찬푸루
야채 찬푸루는 두부보다 채소의 양이 많은 찬푸루를 의미한다.5. 4. 마미나 찬푸루
마미나 찬푸루(マーミーナチャンプルー)는 콩나물 또는 숙주나물을 주재료로 사용한 찬푸루의 한 종류이다.5. 5. 치키나 찬푸루
주어진 소스에는 '치키나 찬푸루'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섹션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출력합니다.5. 6. 타마나 찬푸루
주어진 소스에는 '타마나 찬푸루'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5. 7. 기타 찬푸루
후 찬푸루는 밀가루 글루텐의 일종인 후(fu)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든다.[142] 채소와 고기를 넣고 볶는다. 두부와 함께 볶지 않는 경우에는 후이리치·후타샤라고 불렸지만, 찬푸루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다.[143][144][145]소민 찬푸루는 소면을 주재료로 한다.[146] 파와 함께 기름에 살짝 볶는다. 원래 명칭은 소민타샤이며,[147] 국물을 넣은 경우에는 소민 풋투루라고 한다.[149][150][151]
나베라를 중심으로 한 나베라 찬푸루,[121] 파파야를 중심으로 한 파파야 찬푸루[127][128] 등 다양한 채소를 주재료로 활용한 찬푸루도 있다.
6. 표기
오키나와어로는 「チャンプルー」(champurū), 「ちゃんぷるー」(champurū) 등으로 표기한다.[82][83] 음식점 이름 등에서는 표기를 중시하여 장음을 사용하지 않는 「ちゃんぷるう」(champurū), 「ちゃんぷるぅ」(champurū)도 사용된다.[82][83] 야에야마 지방에서는 상품명이나 상호명 등에서 「チャンプル」(champuru), 「ちゃんぷる」(champuru) 표기가 많이 보인다.[84][85][86]
표준어로는 섬두부를 함께 볶는 조리법을 표현하기 위해 「두부가 들어간 볶음」(豆腐入り炒め物), 「두부와 채소 볶음」(豆腐入り野菜炒め) 등으로 표기되기도 했지만, 현대에는 간략하게 「볶음」(炒め物)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29][30]
외국어로는 「Chanpuru」로 표기한다. 오키나와현은 고유명사는 오키나와 특유의 읽는 방식을 중시하여, 찬푸루도 로마자로 「Chanpuru」라고 표기한다.[88] 외무성 등이 공개하는 유학 정보 사이트에서도 오키나와 방언으로 볶음 요리를 의미하는 「Chanpuru」라고 설명한다.[89]
오키나와현은 중국과 대만, 한국을 위해서는 로마자 표기 이외를 채택하여, 현의 출판물이나 관광 팜플렛에서는 중국어는 「炒豆腐」(chǎo dòufu), 한국어는 음역으로 「찬푸루」(chanpuru)라고 표기한다.[90][91][92]
참조
[1]
간행물
沖縄県民を対象に知っている沖縄料理を自由記述式で調査した結果
沖縄県
2018
[2]
웹사이트
沖縄語辞典データ集
https://mmsrv.ninjal[...]
2023-10-17
[3]
간행물
undefined
内間・野原
2006
[4]
웹사이트
うちなーぐち一覧 - OKINAWA41
https://www.okinawa4[...]
内閣府
2023-02-01
[5]
웹사이트
うちなーぐち辞典
https://www.kozaweb.[...]
沖縄市
2023-10-18
[6]
간행물
undefined
新島
1971
[7]
간행물
undefined
沖縄県観光文化局文化振興課
1995
[8]
웹사이트
みんなのきょうの料理「 ゴーヤーチャンプルー」
https://www.kyounory[...]
NHK
2023-10-20
[9]
기타
undefined
[10]
웹사이트
「うちの郷土料理 次世代に伝えたい大切な味-沖縄県ゴーヤーチャンプル-」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3-10-19
[11]
기타
undefined
[12]
웹사이트
教科書クロニクル 小学校編 {{!}} 教科書クロニクル
https://www.mitsumur[...]
2023-02-10
[13]
간행물
undefined
椎名
2021
[14]
간행물
undefined
渡邊・岡野・佐藤・塩月・宮下
2008
[15]
웹사이트
大琉球語辞典
https://ryukyu-lang.[...]
琉球大学
2024-12-30
[16]
간행물
undefined
沖縄県文化協会
2024
[17]
간행물
undefined
宮良
1930
[18]
웹사이트
「本物のチャンプルー」に欠かせない沖縄の食材とは 琉球料理の第一人者のこだわり
https://ryukyushimpo[...]
2022-10-02
[19]
간행물
undefined
半田
1999
[20]
기타
undefined
[21]
간행물
undefined
沖縄県観光文化局文化振興課編
1995
[22]
간행물
undefined
沖縄県次世代の健康教育検討委員会編
2015
[23]
간행물
NHKきょうの料理
尚
1976
[24]
간행물
undefined
尚
1964
[25]
간행물
undefined
翁長
1969
[26]
간행물
undefined
山之口貘
1976
[27]
간행물
undefined
古波蔵
1983
[28]
간행물
undefined
古波蔵
1983
[29]
웹사이트
伝えよう沖縄の食文化 レシピ
https://ryukyuryouri[...]
沖縄県
2023-10-20
[30]
웹사이트
うちなー料理レシピ
https://okinawa-eiyo[...]
沖縄栄養士会
2023-10-20
[31]
기타
undefined
[32]
웹사이트
琉球料理伝承人
https://ryukyuryouri[...]
沖縄県
2024-08-23
[33]
웹사이트
琉球料理担い手講座受講生教本
https://ryukyuryouri[...]
沖縄県
2024-08-23
[34]
웹사이트
御馳走数え歌
https://www.youtube.[...]
2023-10-20
[35]
간행물
undefined
沖縄県
2014
[36]
書籍
緒方(2008),p205
不明
2008
[37]
ニュース
琉球料理は沖縄の宝4
琉球新報
2021-06-17
[38]
その他
沖縄県の資料
沖縄県
不明
[39]
書籍
柳田(1940)p79
不明
1940
[40]
書籍
火野(1957)p116
不明
1957
[41]
書籍
新島(1965)
不明
1965
[42]
書籍
黒田(1964)
不明
1964
[43]
書籍
尚(1964),p20-21;翁長(1969),p60-64;新島(1971),p157-158
不明
1964-1971
[44]
書籍
友利・沖縄の食を考える会(2007)p20
不明
2007
[45]
その他
沖縄の流通事情
不明
不明
[46]
書籍
沖縄の食を考える会(1999)p22
不明
1999
[47]
その他
沖縄県文化観光スポーツ部文化振興課(2019)
沖縄県
2019
[48]
その他
沖縄県文化観光スポーツ部文化振興課(2019)
沖縄県
2019
[49]
웹사이트
うちの郷土料理~次世代に伝えたい大切な味~ 沖縄県「ゴーヤーチャンプルー」レシピムービー
https://www.youtube.[...]
農林水産省
2023-10-20
[50]
その他
砂糖とピーナッツバターの使用
不明
不明
[51]
웹사이트
豆腐チャンプルー
https://www.mod.go.j[...]
海上自衛隊
2024-09-01
[52]
웹사이트
ゴーヤチャンプルー|北沢産業株式会社
https://www.kitazawa[...]
2024-12-14
[53]
書籍
新島(1965)
不明
1965
[54]
書籍
平敷令治・恵原義盛(1974),p83-84
不明
1974
[55]
書籍
沖縄師範龍潭同窓会(1980)、p259
不明
1980
[56]
書籍
浦崎(1977)、p48
不明
1977
[57]
ニュース
新報料理講習会500回/「尚男爵」の食紹介
琉球新報
2009-04-05
[58]
웹사이트
沖縄の伝統的な食文化データベース 検索結果「チャンプルー」
https://jmapps.ne.jp[...]
沖縄県
2023-12-08
[59]
書籍
沖縄の食を考える会(1999),p22
不明
1999
[60]
その他
芋と合う汁気の多いンブシー
不明
不明
[61]
書籍
読売新聞社編(1973),p79
読売新聞社
1973
[62]
その他
油鍋の貸し借り
不明
不明
[63]
書籍
宮城(1960)p143、黒田(1964)p56、新島(1965)、朝日新聞社編(1969)p141
不明
1960-1969
[64]
書籍
外間編(1976)
不明
1976
[65]
書籍
渡部(1998)
不明
1998
[66]
書籍
古波蔵(1983)p234
不明
1983
[67]
書籍
山之口貘(2004),p270-272
不明
2004
[68]
書籍
福木詮(1973),p403
不明
1973
[69]
웹사이트
カープ寮に父と入居。安仁屋宗八が振り返る「沖縄の星」としての歩み
https://sportiva.shu[...]
2024-09-01
[70]
書籍
琉王(1972)
不明
1972
[71]
뉴스
ゴーヤーチャンプル(沖縄県)元ボクサー具志堅用高さん
1990-01-05
[72]
서적
黒田(1965)p56
黒田
1965
[73]
서적
安藤(1987)、p201
安藤
1987
[74]
서적
琉球新報社編(1969)、p233
琉球新報社
1969
[75]
간행물
沖縄県教育庁文化財課(2020)の調査報告
沖縄県教育庁文化財課
2020
[76]
서적
稲福(2015)p246
稲福
2015
[77]
웹사이트
クイズで味わう沖縄料理
https://web.quizknoc[...]
2024-02-01
[78]
서적
尚弘子(2008),p101-102
尚弘子
2008
[79]
웹사이트
郷土料理ゆうなんぎい
https://www.kp-group[...]
2024-02-03
[80]
뉴스
ものづくりの邦・地場産業力22 赤マルソウ糸満市 県産素材生かし調味料 発想豊か 県外市場開拓 醸造復活も見据える 座間味亮社長
2009-03-14
[81]
서적
全国学校栄養士協議会(1983)p354
全国学校栄養士協議会
1983
[82]
웹사이트
うちなあぐち南謡出版
https://haisai.co.jp
南謡出版
2024-02-10
[83]
웹사이트
ちゃんぷるぅ屋
https://e046002.gorp[...]
2024-08-22
[84]
서적
宮城(1982)
宮城
1982
[85]
웹사이트
島海のもの山のもの
https://umiyama.org/[...]
農事組合法人石垣島海のもの山のもの生産組合
2024-08-22
[86]
웹사이트
まるぎ
https://www.city.ish[...]
石垣市
2024-08-22
[87]
웹사이트
「ゴーヤー」VS「ゴーヤ」 ヤーと伸ばす沖縄側の主張を聞いてほしい
https://www.okinawat[...]
沖縄タイムス社
2024-08-22
[88]
웹사이트
沖縄県における多言語観光案内サイン翻訳ルール
https://www.pref.oki[...]
沖縄県
2024-08-22
[89]
웹사이트
Okinawa
https://www.studyinj[...]
2024-12-14
[90]
서적
沖縄県文化振興課(1996年)p88
沖縄県文化振興課
1996
[91]
웹사이트
DISCOVER OKINAWA – OKINAWA HANDBOOK(2021)
https://travel-broch[...]
沖縄観光コンベンションビューロー
2024-09-01
[92]
웹사이트
DISCOVER OKINAWA – OKINAWA HANDBOOK(2021)
https://travel-broch[...]
2024-12-14
[93]
서적
沖縄県文化観光スポーツ部 MICE 推進課(2019),p9
沖縄県文化観光スポーツ部 MICE 推進課
2019
[94]
웹사이트
日清オイリオ(2010)
https://www.nisshin-[...]
日清オイリオ
2010
[95]
서적
琉球新報社編(1980),p303「豆腐乳の話」『琉球新報』1956年1月1日」
琉球新報社
1980
[96]
뉴스
琉球料理は沖縄の宝4
https://ryukyushimpo[...]
2021-06-17
[97]
서적
大城、高良、比嘉、又吉、宮城(1982)、p19
大城、高良、比嘉、又吉、宮城
1982
[98]
서적
半田(1999),p56
半田
1999
[99]
서적
桑江(1954)p346
桑江
1954
[100]
서적
田島(1966)、p46
田島
1966
[101]
웹사이트
沖縄語辞典データ集
https://mmsrv.ninjal[...]
国立国語研究所
2023-10-21
[102]
서적
尚監修(2002),p140、中本(1981)p306-307
尚監修, 中本
2002
[103]
서적
藤木勇人の沖縄妄想食堂
藤木勇人
[104]
기타
長崎のちゃんぽん由来説
[105]
서적
友利友子・沖縄の食を考える会(2007),p10
友利友子・沖縄の食を考える会
2007
[106]
웹사이트
うちなー料理レシピ ゴーヤーチャンプルー (にがうりの炒め物)
https://okinawa-eiyo[...]
沖縄栄養士会
2023-10-20
[107]
서적
null
1971
[108]
서적
null
1969
[109]
서적
null
1979
[110]
서적
null
1971
[111]
서적
null
1987
[112]
서적
null
1979
[113]
서적
null
2020
[114]
웹사이트
うちなー料理のレシピ チキナーチャンプルー (からし菜漬けの炒め物)
https://okinawa-eiyo[...]
沖縄栄養士会
2023-10-20
[115]
웹사이트
うちなーの料理レシピ ラッチョウチャンプルー (らっきょうの炒め物)
https://okinawa-eiyo[...]
沖縄栄養士会
2023-10-20
[116]
서적
null
1975
[117]
뉴스
null
沖縄タイムス
1983
[118]
서적
null
1961
[119]
서적
null
2007
[120]
서적
null
1979
[121]
서적
null
2007
[122]
서적
null
1999
[123]
간행물
null
沖縄県文化観光スポーツ部文化振興課
2019
[124]
간행물
null
沖縄県文化観光スポーツ部文化振興課
2019
[125]
웹사이트
うちなーの料理レシピ ナーベーラーンブシー (へちまのみそ煮)
https://okinawa-eiyo[...]
沖縄栄養士会
2023-10-20
[126]
웹사이트
うちの郷土料理 ナーベーラーンブシー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3-10-20
[127]
서적
null
1979,1981,1997,2010
[128]
null
null
[129]
서적
null
沖縄大百科事典刊行事務局
1983
[130]
서적
null
日本の食生活全集沖縄編集委員会
1988
[131]
서적
null
2006
[132]
서적
null
2002
[133]
웹사이트
沖縄語辞典データ集
https://mmsrv.ninjal[...]
国立国語研究所
2023-10-20
[134]
서적
null
2004
[135]
서적
null
2007
[136]
서적
null
2001
[137]
웹사이트
うちなーの料理レシピ 野菜チャンプルー (沖縄風野菜の炒め物)
https://okinawa-eiyo[...]
沖縄栄養士会
2023-10-20
[138]
null
null
[139]
서적
null
1970
[140]
서적
null
平凡社
1962
[141]
서적
없음
없음
없음
[142]
서적
없음
1992
[143]
웹사이트
うちなーの料理レシピ 麩イリチー(麩の炒め物)
https://okinawa-eiyo[...]
沖縄栄養士会
2023-10-21
[144]
서적
없음
2018
[145]
웹사이트
沖縄家庭料理 * フーチャンプルー(お麩の炒めもの)
https://oceans-nadia[...]
2024-12-14
[146]
서적
없음
朝日新聞社
1984
[147]
웹사이트
うちの郷土料理 ソーミンタシヤー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3-10-20
[148]
서적
없음
2018
[149]
서적
없음
沖縄県文化観光スポーツ部文化振興課
2019
[150]
서적
없음
2010
[151]
웹사이트
沖縄料理研究家に教わる! 「ゴーヤーチャンプルー」と「ソーメンチャンプルー」 {{!}} WEBマガジン {{!}} サーモス
https://www.thermos.[...]
2022-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