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자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겨자무는 서양 고추냉이라고도 불리며, 십자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영어로는 호스래디시(horseradish)라고 불리며, 매운 맛을 내는 뿌리를 주로 식용한다. 고대부터 재배되었으며, 유럽, 북미, 동아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뿌리를 갈아 소스나 조미료로 사용하며, 훈제 연어, 로스트 비프, 스테이크 등과 잘 어울린다. 또한, 혈액 순환 개선, 감기 예방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생화학 연구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새냉이족 - 미나리냉이
미나리냉이는 동아시아 습지에 분포하는 십자화과 여러해살이풀로 흰색 꽃과 깃꼴겹잎을 가지며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나 현재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보호받고 있다. - 황새냉이족 - 물냉이
물냉이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 줄기, 열매를 식용하며, 맑은 물에서 자라고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간흡충 감염 위험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있다. - 향신채 - 겨자
겨자는 인류와 함께 재배되어 온 작물로 씨앗, 잎, 오일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며, 여러 종류가 존재하고, 한국에서는 김치 재료로 사용되거나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 향신채 - 달래
달래는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과 알뿌리는 식용하며 뿌리줄기는 약재로 사용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는다. - 조미료 - 향신료
향신료는 식물의 다양한 부분에서 얻어지는 천연 재료로, 음식의 풍미를 더하고 보존 기간을 늘리는 데 사용되었으며, 고대부터 귀하게 여겨져 무역과 식민지 경쟁을 촉발했고, 현대에는 전 세계 음식 문화에 기여하고 있다. - 조미료 - 소금
소금은 염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며, 조미료, 식품 보존, 산업,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암염 채굴, 천일염 생산, 해수 증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겨자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rmoracia rusticana |
이명 | Armoracia armoracia Armoracia lapathifolia Armoracia rustica Armoracia sativa Cardamine armoracia Cochlearia armoracia Cochlearia lancifolia Cochlearia lapathifolia Cochlearia rusticana Cochlearia variifolia Crucifera armoracia Nasturtium armoracia Raphanis magna Raphanus rusticanus Rorippa armoracia Rorippa rusticana |
과 | 아브라나과 |
속 | 서양고추냉이속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피자식물문 |
강 | 진정쌍떡잎식물강 |
목 | 아브라나목 |
보존 상태 | |
IUCN | LC (최소 관심) |
일반 정보 | |
영어 이름 | horseradish |
일본어 이름 | ホースラディッシュ (hōsurodishshu) |
한국어 이름 | 서양고추냉이 |
2. 명칭
겨자무의 영어 이름은 호스래디시(horseradish영어)이며, 서양의 고추냉이라 불린다.[49] 영어 단어 'horseradish'는 1590년대부터 사용된 기록이 있다.[15] 이 단어는 "강한" 또는 "거친"을 비유적으로 의미하는 데 과거에 사용되었던 단어 'horse'와 무를 의미하는 단어 'radish'가 결합된 것이다.[15]
겨자무는 영어로 호스래디시(horseradish영어)라고 부르며, 서양의 고추냉이라고 불린다.[49] 털이 없는 밝은 녹색 잎은 최대 1m까지 자라고, 최대 1.5m까지 자라는 다년생 식물이다.[3] 때때로 며느리밑씻개 (''며느리밑씻개속'')와 혼동될 수 있다.[3] 주로 크고 흰 원추형의 뿌리를 위해 재배된다.[4][5][6][7] 흰색의 네 장의 꽃잎을 가진 꽃은 향기가 나며 빽빽한 원추꽃차례로 달린다.[3] 잘 자란 겨자무는 넓게 퍼져 자라며[3]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침입종이 될 수 있다.[8]
고추냉이는 2~9번 내한성 구역에서 다년생 식물로 자라며, 다른 구역에서는 일년생 식물로 재배할 수 있지만, 긴 생장기와 식물의 휴면을 보장할 만큼 충분히 낮은 겨울 기온을 가진 구역에서처럼 성공적이지는 않다. 가을 첫 서리가 잎을 죽인 후, 뿌리를 캐서 나눈다. 주근을 수확하고 주근의 큰 곁뿌리 하나 또는 여러 개를 다시 심어 다음 해 작물을 생산한다. 정원에 그대로 두는 고추냉이는 지하 뿌리줄기를 통해 퍼져 침입종이 될 수 있다. 땅에 남아 있는 오래된 뿌리는 목질화되어 더 이상 요리에 사용할 수 없지만, 오래된 식물을 캐서 나누어 새로운 식물을 시작할 수 있다. 초기에 나오는 잎은 성숙한 전형적인 넓고 편평한 잎이 발달하기 전에 독특하게 비대칭적인 가시 모양일 수 있다.
슬라브어에서 겨자를 뜻하는 단어는 "불" 또는 "타는 것"을 의미하는 어근에서 유래하며, 종종 매운 음식이나 쓴 음식을 가리키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된다. 중앙유럽 및 동유럽에서 이러한 유래는 슬라브어권에서 겨자무를 뜻하는 단어 'chren', 'hren' 및 'ren'(다양한 철자로 'kren' 등)이 위에서 언급한 겨자를 뜻하는 단어와는 별개이기 때문에 자주 간과될 수 있다. 오스트리아, 독일의 일부 지역(다른 독일어 이름인 'Meerrettich'가 사용되지 않는 곳), 북동부 이탈리아 및 이디시어(''כריין'', ''khreyn''으로 음역)에서 사용된다. 우크라이나(хрінuk, 'khrin'), 벨라루스(хрэнbe, 'chren'), 폴란드(chrzanpl), 체코(křencs), 슬로바키아(chrencs), 러시아(хренru, 'khren'), 헝가리(tormahu), 루마니아(hreanro), 리투아니아(krienaslt) 및 불가리아(хрянbg)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영명의 호스래디시(horseradish)는 영어 단어 'horse'와 'radish'(갓)을 조합한 것이다.[44] 'horse'는 말을 의미하지만, 과거에는 "강한", "큰", "거친"과 같은 성질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형용사로 자주 사용되었다.[45][44] 한자로는 영명을 직역하여 '''마라복'''(蘿蔔은 무의 한명)이라고도 표기되었다.[46]
별명으로 '''와사비무''', 프랑스어 명칭에서 유래한 '''레포르'''(레홀, raifort), '''말와사비''', 영명의 직역인 '''말무'''가 있다. 상품명으로는 (물가에서 재배되는 경우가 많은 참와사비에 대비하여) "'''산와사비'''"라고 불리기도 한다.
3. 역사
겨자무는 고대부터 재배되어 왔다. 디오스코리데스는 겨자무를 ''Persicon sinapi'' (''Diosc.'' 2.186) 또는 ''Sinapi persicum'' (''Diosc.'' 2.168)으로 기록했고,[9] 플리니우스의 자연사에서는 ''Persicon napy''로 기록되어 있다.[10] 카토는 그의 농업 논문에서 이 식물을 논하고 있다. 오스티아 안티카의 벽화에는 이 식물이 그려져 있다. 겨자무는 아마도 플리니우스가 그의 저서 ''자연사''에서 ''Amoracia''라는 이름으로 언급하고 약효를 추천한 식물일 것이며, 야생 무 또는 그리스인들의 ''raphanos agrios''일 가능성이 있다. 초기 르네상스 시대의 허브 전문가인 피에트로 안드레아 마티올리와 존 제라드는 이를 ''Raphanus''로 분류했다.[11] 현대 린네식 분류의 속명인 ''Armoracia''는 하인리히 베른하르트 루피우스가 그의 저서 ''Flora Jenensis''(1745년)에서 처음 사용했지만, 린네 자신은 이를 ''Cochlearia armoracia''라고 불렀다.
뿌리와 잎 모두 중세 시대에는 민간 요법으로 사용되었다. 뿌리는 독일, 스칸디나비아, 영국에서 고기 요리의 조미료로 사용되었다. 유럽의 식민지 개척 시대에 북아메리카에 소개되었으며, 조지 워싱턴과 토머스 제퍼슨 모두 정원 기록에서 겨자무를 언급했다.[12]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겨자무를 땀샘을 자극하고 괴혈병을 예방하며 발한제로 감기를 치료하는 데 사용했다.[13]
윌리엄 터너는 그의 저서 "Herbal"(1551-1568)에서 겨자무를 ''Red Cole''로 언급했지만, 조미료로서 언급하지는 않았다. ''The Herball, or Generall Historie of Plantes''(1597)에서 존 제라드는 이를 ''raphanus rusticanus''라는 이름으로 설명하며, 영국의 여러 지역에서 야생으로 자란다고 언급한다. 약효에 대해 언급한 후,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약간의 식초를 넣고 찧은 겨자무는 독일인들이 생선이나 다른 고기 요리에 겨자처럼 소스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약간의 식초를 넣고 찧은 겨자무는 독일인들이 생선이나 다른 고기 요리에 겨자처럼 소스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영어 [14]
4. 특징
온전한 겨자무 뿌리는 향이 거의 없다. 그러나 자르거나 갈면 세포 내의 효소가 시니그린(글루코시놀레이트)을 분해하여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겨자 기름)를 생성하는데, 이는 부비강과 눈의 점막을 자극한다. 공기나 열에 노출되면 매운맛을 잃고 색이 어두워지며 쓴맛이 난다.
핀란드와 동유럽이 원산지이며, 60cm 정도의 뾰족한 끝을 가진 밝은 녹색의 큰 잎이 특징이다.[47] 현재는 미국 일리노이주가 세계 수요의 80%를 생산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일반종(Common type)과 보헤미안종(Bohemian type)의 두 가지 품종이 알려져 있다. 뿌리를 말려 분말로 만든 것은 (경우에 따라 정종와사비와 혼합하여) 가루와사비나 튜브형 겨자무의 원료가 된다. 겨자무의 매운맛 성분은 겨자와 마찬가지로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갈아서 효소가 작용해야 매운맛과 향이 나타난다. 생화학 실험에서는 이 종에서 유래한 효소 퍼옥시다아제가 시판되고 있으며 이용되고 있다.
5. 재배
재배는 매우 용이하다. 생명력이 강하여 뿌리의 조각을 땅에 묻어두기만 해도 쉽게 발아한다. 수확할 때 남겨두거나 잘린 뿌리에서도 번식한다. 배추와 같은 십자화과 식물이므로 때때로 배추흰나비의 애벌레(청충)에게 잎을 피해를 입는다. 잎은 다양한 곤충이 좋아하며, 거의 잎맥만 남을 정도로 먹어치우는 경우도 드물지 않지만, 보통 그것이 원인으로 시들어 죽는 일은 없다.
6. 활용
겨자무는 혈액 순환을 돕고, 고혈압, 감기 예방, 가래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49]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겨자무를 땀샘을 자극하고 괴혈병을 예방하며 발한제로 감기를 치료하는 데 사용했다.[13] 뿌리와 잎 모두 중세 시대에는 민간 요법으로 사용되었다.
6. 1. 요리
겨자무는 톡 쏘는 매운 맛 때문에 훈제연어에 많이 곁들이며, 크림을 섞어 먹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전통 영국음식인 로스트비프와 스테이크에 곁들여 먹는다.[49]
겨자무의 매운 맛은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라는 화합물 때문이다. 겨자무를 으깨면 미로시나아제라는 효소가 나와 시니그린 등의 물질에 작용하여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생성한다.[41]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식물 자체에도 해롭기 때문에 효소와 분리된 형태로 저장되며, 동물이 씹으면 방출되어 동물을 쫓아낸다.[41]
요리사들은 겨자무의 으깬 뿌리와 식초를 섞은 것을 "겨자무" 또는 "준비된 겨자무"라고 부른다. 준비된 겨자무는 흰색에서 크림색을 띠며, 냉장 보관하면 최대 3개월 동안 보관할 수 있지만,[26] 시간이 지나면 색이 어두워지고 풍미가 떨어진다.
갈은 겨자무 뿌리와 식초로 만든 겨자무 소스는 영국, 덴마크(설탕 첨가), 폴란드에서 흔한 소스이다.[29] 영국에서는 주로 로스트 비프와 함께 제공되지만, 샌드위치나 샐러드 등 다른 요리에도 사용될 수 있다. 프랑스에서는 ''sauce au raifort''가 알자스 요리에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겨자 무 소스"라는 용어는 갈은 겨자 무와 마요네즈 또는 샐러드 드레싱을 결합한 것을 말한다. 준비된 겨자 무는 블러디 메리 칵테일과 칵테일 소스의 재료로 사용되며, 소스나 샌드위치 스프레드로 사용된다.
유럽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크렌이 있다. "붉은" 크렌은 붉은 비트와 섞이고, "흰" 크렌에는 비트가 들어있지 않다. 크렌은 동유럽과 중유럽의 기독교 부활절과 유대교 유월절 전통의 일부이다.
일본 홋카이도에서는 갈아서 간장을 뿌려 밥반찬으로 하는 관습이 있으며, 도산 산와사비를 사용한 컵라면이 편의점에서 판매되고 있다.[48] 방어회의 양념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와사비나 겨자와 마찬가지로, 갈아서 오랫동안 두면 매운맛 성분이 날아가 버리므로, 빨리 먹는 것이 좋다. 또한, 와사비 가공품의 원료로 진짜 와사비의 대용품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6. 2. 영양
겨자무는 혈액 순환을 돕고, 고혈압, 감기 예방, 가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49] 100g의 겨자무에는 48칼로리가 들어 있으며, 비타민 C가 풍부하고 나트륨, 엽산, 식이섬유가 적당량 함유되어 있다.[40] 하지만 다른 필수 영양소는 미미한 수준이다.[40] 한 큰술(15g) 분량에는 유의미한 영양소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40]
겨자무에는 휘발성 오일, 특히 겨자 기름이 들어 있다.[41]
6. 3. 생화학
겨자무는 혈액 순환을 돕고, 고혈압, 감기 예방, 가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49]
식물에서 발견되는 효소인 호스라디시 퍼옥시다제(HRP)는 주로 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표적 분자의 검출 가능성을 높이는 능력 때문에 분자생물학 및 생화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42] HRP는 수십 년간의 연구에서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특히 뇌의 모세혈관의 혈관 투과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43]
생화학 실험에서는 이 종에서 유래한 퍼옥시다아제 효소가 시판되어 이용되고 있다.
참조
[1]
IUCN
Horseradish
2023-02-05
[2]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rmoracia rusticana P.Gaertn., B.Mey. & Scherb.
http://www.theplantl[...]
[3]
서적
New Flora of the British Isles
C & M Floristics
[4]
웹사이트
Flora of North America, Armoracia rusticana P. Gaertner, B. Meyer & Scherbius, Oekon. Fl. Wetterau. 2: 426. 1800
http://www.efloras.o[...]
[5]
웹사이트
Flora of China, Armoracia rusticana P. Gaertner et al.
http://www.efloras.o[...]
[6]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Rafano rusticano, Meerrettich, Armoracia rusticana P. Gaertn., B. Mey. & Scherb.
http://luirig.alterv[...]
[7]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4 county distribution map
http://bonap.net/Map[...]
[8]
웹사이트
Horseradish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0-05-17
[9]
문서
Early Modern translators of Dioscurides offered various names.
[10]
웹사이트
Pliny on Thlaspi or Persicon napy H.N. i. 37.113
https://www.perseus.[...]
[11]
학술지
Historical notes on horseradish
1969-04-01
[12]
서적
American Gardens in the Eighteenth Century: 'For Use or Delight'
[13]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Edible Wild Plants, Mushrooms, Fruits, and Nuts: How to Find, Identify, and Cook Them
https://www.worldcat[...]
FalconGuides
[14]
서적
History of Cultivated Vegetables
https://archive.org/[...]
H. Colburn and Co.
[15]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orseradish
http://www.etymonlin[...]
2012-11-18
[16]
웹사이트
Horseradish History
https://horseradish.[...]
2023-03-16
[17]
웹사이트
The Herb Society of America's Essential Guide to Horseradish
https://www.herbsoci[...]
2023-03-15
[18]
웹사이트
Horseradish: America's Favorite Root?
https://ipm.missouri[...]
2023-03-15
[19]
웹사이트
How Was Horseradish Named? Did Horses Eat It?
https://culinarylore[...]
2023-03-16
[20]
웹사이트
Caterpillar Pests of Cole Crops in Home Garden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innesota
2007-09-30
[21]
학술지
Antimicrobial Activity of Exocrine Glandular Secretions, Hemolymph, and Larval Regurgitate of the Mustard Leaf BeetlePhaedon cochleariae
https://linkinghub.e[...]
1998-11
[22]
학술지
Novel glucosinolate metabolism in larvae of the leaf beetle Phaedon cochleariae
2020-09
[23]
학술지
Horseradish Production in Illinois
https://journals.ash[...]
2010-04-01
[24]
뉴스
Hungary is Europe's horseradish production king
https://rmx.news/art[...]
2021-04-30
[25]
학술지
Decomposition Rate of Allyl Isothiocyanate in Aqueous Solution
[26]
웹사이트
Prepared Horseradish Recipe
https://cooking.nyti[...]
2022-06-16
[27]
서적
Field Guide to Edible Wild Plants
https://archive.org/[...]
Stackpole Books
[28]
뉴스
What Goes on a Seder Plate?
https://www.haaretz.[...]
2022-04-20
[29]
서적
The Edible Atlas: Around the World in Thirty-Nine Cuisines
https://books.google[...]
Canongate Books
[30]
웹사이트
Henry IV, Part II, Scene 4
https://web.archive.[...]
opensourceshakespeare.org
2008-05-10
[31]
웹사이트
Horseradish Cream
https://www.seriouse[...]
[32]
서적
Polish-American Folklor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0
[33]
서적
Vocabolario vernacolo-italiano pei distretti roveretano e trentino
https://archive.org/[...]
[34]
서적
Dizionario del dialetto veneziano
https://archive.org/[...]
[35]
웹사이트
Rafano rusticano
http://www.friul.net[...]
[36]
서적
Vocabolario friulano
https://archive.org/[...]
coi tipi dello stabilimento Antonelli
1871
[37]
서적
Encyclopedia of Past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06-24
[38]
웹사이트
Horseradish Soup Recipe Updated with Photographs – Polish Easter Food
https://web.archive.[...]
Culture.polishsite.us
2012-07-08
[39]
학술지
Wasabi: In condiments, horseradish stands in for the real thing
http://cen.acs.org/a[...]
2012-11-11
[40]
웹사이트
Nutrient content of prepared horseradish per 100 g
https://fdc.nal.usda[...]
FoodData Central,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08-09
[41]
학술지
Isothiocyanates, nitriles and thiocyanates as products of autolysis of glucosinolates in ''Cruciferae''
1976
[42]
학술지
Introduction and use of horseradish (Armoracia rusticana) as food and medicine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Emphasis on the nordic countries
2011
[43]
학술지
Structural pathways for macromolecular and cellular transport across the blood-brain barrier during inflammatory conditions. Review
2004
[44]
웹사이트
horseradish
https://www.etymonli[...]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21-08-11
[45]
문서
시로오오하라타케의 영명(horse mushroom) 등
[46]
웹사이트
百科全書. 上巻
https://dl.ndl.go.jp[...]
[47]
서적
基本ハーブの事典
東京堂出版
2005
[48]
웹사이트
北海道が誇る「泣けるカップ麺」 セコマ「山わさび」焼そば&ラーメンの刺激的すぎる魅力(全文表示)|Jタウンネット
https://j-town.net/2[...]
Jタウンネット
2023-02-07
[49]
뉴스
서양고추냉이 호스래디시 효능, 소화 돕고 감기에도 저항력 생겨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2-1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