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사 자기부상 고속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사 자기부상 고속선은 중국 창사 시를 운행하는 자기부상 열차 노선이다. 2014년 5월 건설을 시작하여, 2016년 5월 6일에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 창사 남역에서 창사 황화 국제공항을 연결하며, 총 18km 이상의 거리를 운행한다. 최고 속도 120km/h로 설계되었으나 현재는 100km/h로 운행하며, 현재 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사시의 교통 - 창사 황화 국제공항
창사 황화 국제공항은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창사에 위치하며 1989년 개항하여 2016년 중국 내 여객 처리량 13위를 기록한 국제공항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노선 - 징후 고속철도
징후 고속철도는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총 길이 1,318km의 중국 주요 고속철도 노선으로, 2011년 개통 이후 중국 경제 발전에 기여하며 잦은 고장과 안전 문제에도 불구하고 수송량이 증가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속철도 노선 - 징하 고속철도
징하 고속철도는 베이징과 하얼빈을 잇는 약 1,700km 길이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중국 동북부 고속철도 회랑의 일부이며 2021년 1월에 개통된 중국의 "사종사횡" 고속철도 네트워크 계획 중 하나이다. - 201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201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서평택고속선
수서평택고속선은 SR이 운영하며 서울 수서역과 평택시 지제역을 잇는 61.1km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2016년 12월 개통되었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과 일부 구간을 공용하며 평택고속연결선을 통해 경부선과 연결된다.
창사 자기부상 고속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본명 | 창사 자기부상 고속선 |
로마자 표기 | Chángshā cífú kuàixiàn |
교통 유형 | 자기 부상 |
노선 수 | 1 |
역 수 | 초기 3개, 계획 5개 |
일일 승객 수 | 8,299명 (2017년 평균) |
일일 최대 승객 수 | 12,759명 (최고 기록) |
개업일 | 2016년 5월 6일 |
운영자 | 후난 자기부상 교통 개발 유한회사 |
시스템 길이 | 18.55km |
평균 속도 | 57km/h (정차 시간 포함) |
최고 속도 | 100km/h |
노선 정보 | |
기점 | 창사 남역 |
종점 | 창사 황화 국제공항역 |
역 수 | 3 |
운영자 | 창사 자기부상 교통 |
영업 거리 | 18.55 km |
개통일 | 2016년 5월 6일 |
최고 속도 | 100 km/h |
2. 역사
중국 최초의 국산 자기부상열차 노선으로,[12] 2014년 5월에 건설을 시작하여 2016년 5월 6일에 정식 개통했다.[2][8][15] 초기에는 창사 황화 국제공항과 창사 남역을 연결했으며, 2021년 4월 25일부터는 공항 제3터미널 방면으로 노선을 연장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10]
2. 1. 건설 배경
중국 최초의 국산 자기부상열차 노선으로 건설되었다.[12] 건설은 2014년 5월에 시작되었으며, 이 프로젝트에는 약 46억위안(7.49억달러)이 투자되었다.[9][14] 2015년 12월 26일에 시범 운행을 시작했고,[2][8] 2016년 5월 6일에 시험 운영에 들어갔다.[2][8][15]노선 길이는 18km 이상이며, 자기부공항역(창사 황화 국제공항)에서 자기부샹리역을 거쳐 자기부고속철도역(창사 남역)까지 운행한다.[12] 열차는 최고 속도 120km/h로 설계되었으나, 현재는 최대 100km/h로 운행 중이다.[13] 현재는 창사 황화 국제공항의 제1 터미널에서 출발하며, 향후 제2, 제3 터미널까지 연장될 계획이다. (제2, 제3 터미널 방면은 제1 터미널을 경유하지 않을 예정)
현재 노선의 4.5km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며, 건설 중인 공항 동쪽의 제3터미널과 연결될 예정이다. 연장 구간 중 0.2km는 고가로, 4.3km는 지하로 건설되며, 두 개의 지하역이 계획되어 있다. 연장 공사는 2021년 4월 25일에 시작되었다.[10]
2. 2. 건설 과정
2014년 5월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이 프로젝트에는 약 46억위안 (7.49억달러)이 투자되었다.[9][14] 2015년 12월 26일에 시범 운행을 시작했고, 2016년 5월 6일에는 시험 운영에 들어갔다.[2][8][15]이 노선은 중국 최초의 국산 자기부상 열차 노선으로, 총 연장은 18km 이상이다. 자기부공항역(창사 황화 국제공항)에서 출발하여 자기부샹리역을 거쳐 자기부고속철도역(창사 남역)까지 운행한다.[12] 차량은 최고 속도 120km/h로 운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현재 운행 최고 속도는 100km/h이다.[13]
현재 노선을 4.5km 더 연장하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 연장 구간은 건설 중인 공항 동쪽의 제3터미널과 연결될 예정이다. 연장 구간 중 0.2km는 고가로, 나머지 4.3km는 지하로 건설되며, 지하역 두 개가 계획되어 있다. 연장 공사는 2021년 4월 25일에 시작되었다.[10]
현재 열차는 창사 황화 국제공항의 제1 터미널까지만 운행하고 있다. 앞으로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까지 노선이 확장될 계획이지만, 제2, 제3 터미널 방면 노선은 제1 터미널을 경유하지 않을 예정이다.
2. 3. 개통 및 운영
2014년 5월 건설을 시작하여 약 46억위안(7.49억달러)이 투자되었다.[9][14] 2015년 12월 26일에 시범 운행을 시작했고, 2016년 5월 6일부터 시험 운영에 들어갔다.[2][8][15] 이 노선은 중국에서 자체 기술로 건설한 최초의 자기부상열차 노선이다.[12]초기 개통 구간은 자기부공항역에서 자기부고속철도역까지 총 18.55km 길이이며[6], 중간에 자기부샹리역을 포함하여 총 3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12] 열차는 최고 속도 120km/h로 설계되었으나, 현재는 최고 100km/h의 속도로 운행하고 있다.[13] 현재는 창사 황화 국제공항의 제1 터미널까지만 운행하고 있다.
아래는 노선 구간별 개통 정보이다.
구간 | 개통 | 노선 길이 | 역 | 명칭 |
---|---|---|---|---|
창사난 — 황화 공항 | 2016년 5월 6일[2] | 18.55km[6] | 3 | 초기 구간 |
T2 & T3 연결 | 2025년 (건설 중) | 4.454km[11] | 2 | 동쪽 연장 |
2021년 4월 25일부터는 총 4.454km 길이의 동쪽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10][11] 이 연장 구간은 건설 중인 공항 동쪽의 제3터미널과 연결될 예정이며, 고가 구간 0.2km와 지하 구간 4.3km으로 이루어져 있다.[10] 연장 구간에는 2개의 지하역이 추가될 계획이며, 2025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11] 향후 제2, 제3 터미널까지 노선이 연장될 계획이며, 이 구간은 제1 터미널을 경유하지 않을 예정이다.
2. 4. 향후 확장 계획
현재 노선은 창사 황화 국제공항의 제1 터미널까지만 운행하고 있다. 장래에는 공항의 제2 터미널과 제3 터미널까지 노선을 연장할 계획이다. 이 확장 구간은 제1 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연결될 예정이다.동쪽으로 연장되는 이 구간의 길이는 4.454km이며, 2개의 새로운 역이 건설될 예정이다.[11] 2025년 개통을 목표로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11]
3. 역 목록
창사 자기부상 고속선은 후난성 창사시의 창사 남역과 창사 황화 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자기부상열차 노선이다.
주요 역으로는 시종착역인 자기부상고속철역(창사 남역)과 자기부상공항역(창사 황화 국제공항)이 있으며, 중간역으로 낭리역이 운영 중이다. 현재 회의 & 전시센터역, 기차 성역 등 추가 역과 공항 제2, 제3 터미널을 연결하는 지선이 공사 중에 있다.[11]
자세한 역 목록 및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1. 본선
(km)(km)
2호선
4호선
창사시
공항 (T2/T3) 지선 분기 예정
6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