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치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첨치목은 가늘고 작은 머리를 가진 몸에 긴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를 가지는 물고기 무리이다. 표해수, 저서생물, 기생 종을 포함하며, 일부 종은 난태생이다. 크기는 5cm에서 2m까지 다양하다. 첨치목은 첨치아목과 실고기아목으로 나뉘며, 각 아목은 여러 과로 세분된다. 심해부터 얕은 물, 심지어 담수에서도 발견되며,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주로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첨치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명 | Ophidiiformes |
명명자 | L. S. Berg, 1937 |
속 | 오피디온 |
속 명명자 | Linnaeus 1758 |
화석 범위 | 마스트리흐트절 - 현재 |
이명 | Ophidioidei |
하위 분류 | |
아목 | 오피디오이데아아목 Bythitoidei아목 |
2. 형태
첨치목 어류는 일반적으로 뱀장어목 물고기처럼 가늘고 긴 몸에 작은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비늘이 매끄럽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있다. 긴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를 가지며, 이들은 보통 꼬리지느러미와 합쳐져 있다. 배지느러미는 목 부분에 위치하며, 1~2개의 연조로 이루어져 있어 지느러미로서의 형태는 뚜렷하지 않다. 입술 양쪽에는 두 쌍의 콧구멍이 있다.
첨치목 어류는 일반적으로 가늘고 긴 몸에 작은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피부는 매끄럽거나 비늘이 없는 경우도 있다. 긴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를 가지는데, 뒷지느러미는 보통 꼬리지느러미와 합쳐져 있다. 대구류와 비슷하게 몸의 꼬리 부분이 길게 늘어난 형태를 보인다. 배지느러미는 목 부분에 위치하며, 1~2개의 연조(지느러미 줄기)로 이루어져 있어 뚜렷한 지느러미 형태를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시작 부분이 길며, 꼬리지느러미와 이어지는 경우가 흔하다. 입술 양쪽에는 두 쌍의 콧구멍이 있다. 헤엄칠 때는 긴 지느러미와 몸을 물결치듯 움직이며, 주로 바닥 근처에서 생활하는 저서생물이다.
첨치목 어류는 대부분 해수어이지만, 실고기과의 일부는 담수역에 서식하기도 한다. 서식지는 매우 다양하여 심해는 물론, 산호초 근처의 얕은 물이나 담수에서도 발견된다.[4] 이 목에는 다양한 심해 종이 포함되어 있는데, ''심해가시멸치''는 푸에르토리코 해구에서 8370m 깊이에서 발견되었고,[4] 첨치과에 속하는 요미노아시로 역시 같은 깊이에서 확인된 어류이다. 대부분의 종은 열대 또는 아열대 해역에 살지만, 일부 종은 북쪽으로는 그린란드 해안, 남쪽으로는 웨델 해까지 분포한다.[4]
첨치목은 크게 2아목 5과로 분류된다.[5] 또한, 백악기 후기의 화석 속인 †''Pastorius''[3]가 알려져 있다.
몸 크기는 길이가 5cm에 불과한 ''Grammanoides opisthodon''부터 2m에 달하는 ''Lamprogrammus shcherbachevi''까지 매우 다양하다.[4]
대부분 해수어이지만, 실고기과의 일부 종은 담수에서 서식하기도 한다. 심해에 사는 종류가 많으며, 특히 첨치과에 속하는 요미노아시로(''Abyssobrotula galatheae'')는 수심 8370m의 세계 최심해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는 어류이다. 이들은 표해수에서 살거나 저서생물로 생활하며, 심지어 기생하는 종도 있지만 모두 비슷한 몸 형태를 유지한다. 긴 지느러미와 몸을 물결치듯 움직여 헤엄치는 저생 어류가 많다.
번식 방식은 아목에 따라 다른데, 첨치아목은 알을 낳는 난생이지만, 실고기아목 어류는 새끼를 낳는 난태생이며 수컷은 교미를 위한 기관(교접기)을 가진다.
과거에는 올챙이대구과(Ranicipitidae)와 유클라대구과(Euclichthyidae)가 첨치목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대구목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올챙이대구과는 대구과에 통합되었다.
3. 생태
대부분 해수어이지만, 실고기과의 일부 종처럼 민물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서식 환경은 매우 다양하여 표해수층에서 사는 종류부터 심해 깊은 곳에 사는 종류까지 있으며, 심지어 다른 생물에 기생하는 종도 존재한다. 특히 첨치과의 요미노아시로는 수심 8370m에서 발견되어,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깊은 곳에 사는 어류로 기록되어 있다.
몸 크기 또한 매우 다양해서, 길이가 5cm에 불과한 ''Grammanoides opisthodon''부터 2m에 이르는 ''Lamprogrammus shcherbachevi''까지 존재한다.[4]
번식 방식은 아목에 따라 차이가 있다. 첨치아목은 알을 낳는 난생이지만, 실고기아목 어류는 어미 몸 안에서 알을 부화시켜 새끼를 낳는 난태생이며, 이들의 수컷은 교미를 위한 교접기를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올챙이대구과(Ranicipitidae)와 유클리크티스과(Euclichthyidae)가 첨치목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이들을 대구목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올챙이대구과는 대구과에 통합되었다.
4. 분포
5. 하위 분류
아목 Ophidioidei에 속하는 어류는 난생이며 측계통군일 가능성이 제기되는 반면, 아목 Bythitoidei는 난태생이며 단계통군을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6][7]
첨치목에는 최소 385종이 포함되며,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미기재종이 다수 존재하여 분류는 더욱 확대될 수 있다.[8]
5. 1. 첨치아목 (Ophidioidei)
첨치아목(Ophidioidei)은 첨치목의 두 아목 중 하나이다. 이 아목에는 숨이고기과(Carapidae)와 첨치과(Ophidiidae)가 포함되며[5], 약 55속 253종이 속해 있다. 측계통군일 가능성이 제기된다.[6]
첨치아목 어류는 알을 낳는 난생(卵生)이며, 수컷은 교접기를 가지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7] 이는 난태생이며 수컷이 교접기를 가지는 곱등양메기아목(Bythitoidei)과 구별된다.[6][7]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되어 있다.
숨이고기과는 주로 얕은 바다에 서식하는 반면, 첨치과에는 심해어가 많이 포함된다.
5. 1. 1. 첨치과 (Ophidiidae)
'''첨치과'''(Ophidiidae)는 4아과 48속 222종을 포함하며, 첨치목에서 가장 큰 그룹이다. 등지느러미의 지느러미 줄기 길이는 뒷지느러미와 같거나 더 길다. 항문과 뒷지느러미의 시작 부분은 가슴지느러미보다 뒤에 위치한다. 거의 모든 속이 심해에서 저서 생활(底棲生活)을 한다. 식용어로 이용되는 대형 종은 남반구에 많이 분포한다[10].
첨치과는 다음과 같이 4개의 아과로 나뉜다.5. 1. 2. 숨이고기과 (Carapidae)
'''숨이고기과'''(la)는 첨치목 Ophidioidei 아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과이다.[5] 흔히 진주돔(pearlfish)으로 불리며, 7속 31종으로 구성된다.
=== 특징 ===
유생은 등지느러미의 첫 번째 가시가 길게 뻗어 있는 독특한 형태(vexillifer 유생)를 가진다. 등지느러미의 지느러미 줄기는 뒷지느러미보다 짧다. 항문과 뒷지느러미의 시작점은 몸 앞쪽, 보통 가슴지느러미보다 앞에 위치한다. 아가미는 크게 열리고, 아가미뚜껑뼈에는 가시가 없다.
대부분의 숨이고기과 어류는 해삼, 이매패류, 불가사리 등 무척추동물의 체내에 숨어 사는 공생 또는 기생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생기는 두 단계로 나뉘는데, 첫 번째 단계(vexillifer)에서는 부유 생활을 하다가, 두 번째 단계(tenuis)에서는 등지느러미와 몸길이가 짧아지며 숙주를 찾아 공생 또는 기생 생활을 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 하위 분류 ===
숨이고기과는 다음과 같이 2개 아과로 나뉜다.
아과 | 특징 | 속 |
---|---|---|
오니카쿠레우오아과 (Pyramodontinae) | 2속 5종 가슴지느러미 길이가 머리와 거의 같음 | 오니카쿠레우오속 (Pyramodon) Snyderidia |
카쿠레우오아과 (Carapinae) | 5속 26종 가슴지느러미 길이가 머리보다 훨씬 짧음 배지느러미 없음 | 카쿠레우오속 (Encheliophis) 쿠마노카쿠레우오속 (Echiodon) 시로카쿠레우오속 (Carapus) 신주카쿠레우오속 (Onuxodon) 소코카쿠레우오속 (Eurypleuron) |
5. 2. 실고기아목 (Bythitoidei)
실고기아목(Bythitoidei)은 첨치목의 두 아목 중 하나이다.[5] 이 아목에 속하는 어류들은 난태생이며, 단계통군을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6] 이는 난생이며 측계통군일 가능성이 있는 다른 아목 Ophidioidei와 구분되는 특징이다.[7]실고기아목 어류의 수컷은 종에 따라 형태가 다른 교접기를 가지며, 이는 종 분류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꼬리지느러미의 형태는 다양하여,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와 연결된 경우도 있고 독립적으로 분리된 경우도 있다.
실고기아목은 약 45속 130종 이상을 포함하며, 주요 과는 다음과 같다.[5]
5. 2. 1. 곱등양메기과 (Bythitidae)
'''곱등양메기과'''(Bythitidae)는 첨치목 Bythitoidei 아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과이다. 총 37속 107종을 포함한다. 꼬리지느러미가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와 이어져 있는지 여부에 따라 Bythitinae 아과와 Brosmophycinae 아과로 나누기도 한다. 몸에는 비늘과 부레가 있으며, 아가미 덮개뼈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이들은 산호초 지대부터 심해까지 매우 넓은 범위에 서식하며, 약 5종은 담수나 기수에서도 발견된다. 얕은 바다에 사는 종들은 보통 몸집이 작고 야행성 생활을 한다.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미기재종이 많을 것으로 추정되어, 앞으로 분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10] ''Lucifuga'' 속 어류 6종은 눈이 퇴화된 맹어(盲魚)로, 주로 종유동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 서식한다.
주요 속은 다음과 같다.
- ''Cataetyx''
- ''Saccogaster''
- ''Brotulina''
- ''Oligopus''
- ''Brosmophyciops''
- ''Abythites''
- ''Diplacanthopoma''
- ''Dinematichthys''
- 기타 29속 (''Diancistrus'', ''Ogilbia'' 등)
5. 2. 2. 아피오누스과 (Aphyonidae)
'''아피오누스과'''(Aphyonidae)는 첨치목 Bythitoidei 아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과의 하나이다. Jordan과 Evermann이 1898년에 명명하였다. 아피온류 또는 맹갯민어라고도 불린다. 총 6속 22종을 포함한다.이 과의 물고기들은 눈이 퇴화되었으며, 비늘과 부레가 없다. 아가미 덮개 뼈의 가시도 없거나 매우 작다. 대부분 수심 700m 이상의 심해에 서식한다.
아피오누스과에 포함되는 속은 다음과 같다.
- ''Aphyonus''
- ''Barathronus'' (소코오쿠메우오속)
- ''Meteoria''
- ''Nybelinella''
- ''Parasciadonus''
- ''Sciadonus''
5. 2. 3. 파라브로툴라과 (Parabrotulidae)
'''니세타치우오과'''(Parabrotulidae)는 2속 3종을 포함한다. 장어처럼 가늘고 길며, 배지느러미를 갖지 않는다. 이 과의 분류학적 위치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첨치목에 포함시키지 않는 견해도 있다.[11]하위 속은 다음과 같다.
- ''Leucobrotula'' 속
- ''Parabrotula'' 속
6. 계통 분류
2016년 연구에 따른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2] 첨치목은 극기류에 속하며, 얼게돔목과 자매군을 이루는 분기군에 포함된다. 이 분기군 내에서 첨치목은 두꺼비고기목 및 고등어목, 실고기목, 망둑어류, 에우페르카리아류 등을 포함하는 더 큰 그룹과 자매 관계를 형성한다.
속명 | 존속 기간 (백만 년 전) | 지질 시대 |
---|---|---|
에올람프로그램무스 | 65.5 – 61.7 | 고신세 |
암페리스투스 | 65.5 – 33.9 | 고신세 – 에오세 |
오피디온 | 55.8 – 현재 | 에오세 – 현재 |
오눅소돈 | 55.8 – 현재 | 에오세 – 현재 |
올리고푸스 | 55.8 – 현재 | 에오세 – 현재 |
오길비아 | 55.8 – 현재 | 에오세 – 현재 |
글립토피디움 | 55.8 – 현재 | 에오세 – 현재 |
브로툴라 | 55.8 – 현재 | 에오세 – 현재 |
놀포피디온 | 48.6 – 15.97 | 에오세 – 마이오세 |
네오바이티스 | 48.6 – 현재 | 에오세 – 현재 |
모노미토푸스 | 48.6 – 현재 | 에오세 – 현재 |
호플로브로툴라 | 48.6 – 현재 | 에오세 – 현재 |
다네비지아 | 48.6 – 현재 | 에오세 – 현재 |
카라푸스 | 48.6 – 현재 | 에오세 – 현재 |
벤토코메테스 | 48.6 – 현재 | 에오세 – 현재 |
사코가스터 | 37.2 – 현재 | 에오세 – 현재 |
디풀루스 | 37.2 – 현재 | 에오세 – 현재 |
프로토브로툴라 | 33.9 – 28.4 | 올리고세 |
프로프테리디움 | 33.9 – 28.4 | 올리고세 |
게니푸테루스 | 33.9 – 현재 | 올리고세 – 현재 |
디플라칸토포마 | 33.9 – 현재 | 올리고세 – 현재 |
시렘보 | 28.4 – 현재 | 올리고세 – 현재 |
에키오돈 | 28.4 – 현재 | 올리고세 – 현재 |
레포피디움 | 23.03 – 현재 | 마이오세 – 현재 |
데르마토프시스 | 15.97 – 현재 | 마이오세 – 현재 |
바소제투스 | 11.608 – 현재 | 마이오세 – 현재 |
킬라라 | 5.332 – 현재 | 플리오세 – 현재 |
참조
[1]
논문
A Cretaceous Cusk-Eel (Teleostei, Ophidiiformes) from Italy and the Mesozoic Diversification of Percomorph Fishes
https://bioone.org/j[...]
2015
[2]
논문
The Cretaceous–Paleogene transition in spiny-rayed fishes: surveying “Patterson’s Gap” in the acanthomorph skeletal record André Dumont medalist lecture 2018
https://popups.ulieg[...]
2023-06-16
[3]
논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ray-finned fishes (Actinopterygii)
2024-04-18
[4]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5]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fishes from Fishes of the World 5th Edition
https://81a86d48-a-6[...]
2018-06-10
[6]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ume 18 Ophidiiform Fishes of the World (Order Ophidiiformes)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pearlfishes, cusk-eels, brotulas and other ophidiiform fish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7]
서적
NOAA Technical Report NMFS Circular 417 Guide to the Identification of Genera of the Fish Order Ophidiiformes With a Tentative Classification of the Order
https://spo.nmfs.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2018-06-30
[8]
서적
Fishes of the world (4th edn)
John Wiley and Sons
[9]
서적
深海生物図鑑
[10]
서적
日本の海水魚
[11]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18. Ophidiiform fishes of the world (Order Ophidiiformes)
[12]
웹인용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20-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