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리 58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량리 588은 일제강점기부터 매춘이 이루어진 서울의 사창가였다. 청량리역 건설 이후 매춘이 시작되었고, 한국 전쟁 중에는 군인들이 주요 고객이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윈도우 매춘이 도입되기도 했다. 2004년 성매매 특별법 시행 이후 불법화되었으나, 경찰 단속에도 불구하고 영업을 이어갔다. 서울시는 2013년 폐쇄를 목표로 시민 감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재개발 계획을 발표하여 2020년까지 해당 지역을 철거하고 주상복합 건물과 쇼핑몰을 건설할 예정이다. 청량리 588은 여러 문학 작품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등가 - 옐로우 하우스
옐로우 하우스는 1902년 인천 신흥동에 설립되어 일제강점기부터 2020년까지 존속했던 사창가로, 2020년 재개발로 철거되었으며 성매매 여성 지원 문제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 홍등가 - 완월동 (부산)
- 서울 동대문구의 지리 - 전농천
전농천은 대한민국의 특정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형적 또는 사회적 현상을 지칭하며, 초기 역사부터 기술적 측면과 사회문화적 영향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이고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영향에 대한 비판과 논란이 존재한다. - 서울 동대문구의 지리 - 정릉천
- 서울 동대문구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는 세종대왕 관련 문헌 간행 및 유물·유적 수집·보관 사업을 통해 민족 문화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단체이다. - 서울 동대문구 - 동대문도서관
동대문도서관은 1971년에 개관하여 관외대출, 디지털자료실 개설, 리모델링 등 변화를 거쳐 종합자료실, 자율학습실, 어린이실, 식당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청량리 588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유형 | 과거의 사창굴 |
별칭 | 오팔팔 (588) |
위치 | |
국가 | 대한민국 |
특별시 | 서울특별시 |
자치구 | 동대문구 |
면적 | |
총 면적 | 4 헥타르 |
2. 역사
청량리역 건설 이후 일제강점기부터 매춘이 시작되었다.[3] 1982년 야간 통행 금지가 해제되면서[5] 이 지역의 상업 활동이 증가했다.[3]
2. 1.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청량리역이 건설된 이후 일제강점기인 1910년~1945년 사이에 청량리 588 지역이 매춘에 이용되기 시작했다.[3] 1950년대 한국 전쟁 중에는 이 역을 거쳐가는 군인들이 많았고, 이들이 이 지역의 주요 고객이었다.[3]2. 2. 1988년 서울 올림픽과 홍등가 정비
1988년 하계 올림픽이 서울에서 개최되면서, 올림픽을 앞두고 도시 미관을 개선하기 위해 암스테르담의 데 발렌 지역을 본뜬 '윈도우 매춘' 형태의 성매매 업소가 들어섰다. 이러한 변화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다.[3]2. 3. 2004년 성매매 특별법 시행 이후
2004년, 대한민국 정부는 성매매를 금지하고 성매매 업소를 폐쇄하는 반성매매법(2004년 성매매 특별법)을 통과시켰다.[7]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의 단속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암암리에 계속 영업을 이어갔다.[3]3. 폐쇄와 재개발
서울특별시청은 2010년대 후반 청량리 588 재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이 재개발은 2020년까지 해당 지역을 철거하고 65층 규모의 고급 주상복합 건물 4개 동과 42층 규모의 쇼핑몰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9] 2016년 말부터 156개 업소의 폐쇄가 시작되었으며, 많은 성매매 여성들이 이 지역을 떠났다. 이들 중 일부는 마사지 업소나 ''휴게텔''(성매매 호텔)에서 일하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했다.[1][10] 2017년 3월부터 철거가 시작되었을 당시, 8개의 업소와 40명의 성매매 여성이 여전히 영업을 하고 있었다.[9] 2018년 3월까지 한 업소가 영업을 계속했다.[8]
3. 1. 서울시의 시민 감시 프로그램 논란
서울특별시청은 2013년 청량리 588을 폐쇄하기 위해 "시민 감시 프로그램"을 마련했고, 이 계획 하에 일부 자경단 활동이 발생했다.[8] 이 과정에서 인권 침해 논란과 성매매 여성들의 생존권 문제가 제기되었다.4. 문학 작품에서의 묘사
청량리 지역은 범죄 드라마 ''서울: 거대 도시에서의 상실''(Seoul: Lost in the Big City영어)과 소설 ''삶을 찾아서''(In Search of Life영어) 등 여러 소설 및 논픽션 작품에서 배경으로 언급된다.[1]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Sex Trade At Cheongnyangni 588 Is A History, Commercial Complexes And Malls To Be Developed
http://en.koreaporta[...]
2018-03-20
[2]
웹사이트
"[Subway Stories] Seoul's once-thriving red-light district fades into history"
https://www.koreaher[...]
2023-09-30
[3]
웹사이트
Curtain falling on Seoul's red-light district called 588
https://www.koreatim[...]
2018-12-27
[4]
뉴스
韓国ソウル最大の色街オーパルパルの昔と今
https://www.koreawor[...]
KoreaWorldTimes
2020-05-19
[5]
웹사이트
South Korea reports peaceful end to 36-year curfew
https://www.upi.com/[...]
1982-01-06
[6]
웹사이트
Seoul 1988
http://www.olympic.o[...]
2018-12-27
[7]
뉴스
South Korea gets tough on sex tourism
http://www.smh.com.a[...]
2007-09-20
[8]
웹사이트
South Korea: Sex workers hit hard by government's crackdown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8-03-19
[9]
웹사이트
Korea's infamous red-light zone to fade into history
http://www.koreahera[...]
2017-03-15
[10]
웹사이트
South Korea's Sex Industry Thrives Underground a Decade After Crackdown
https://blogs.wsj.co[...]
The Wall Street Journal
2014-11-28
[11]
간행물
東大門外遊郭「清凉里588」空間構成の歴史と変化
ソウル市立大学ソウル学研究所
2009
[12]
웹사이트
韓国ソウル最大の色街オーパルパルの昔と今
https://www.koreawor[...]
2019-07-30
[13]
웹사이트
ソウル・清凉里の売春街、痕跡も消去へ…「歴史文化空間計画」白紙に
https://www.chosunon[...]
2024-10-21
[14]
뉴스
清涼里588が消えた場所...「文化空間」清涼里620が埋める
https://www.chosun.c[...]
朝鮮日報
2019-07-24
[15]
문서
588번지라서 유래한 이름은 아니다. 588은 당시 이곳을 지나가는 버스 명칭이었다고 한다. 다만 구전된 설에 불과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