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지 철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지 철로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에 위치한 철도 노선으로, 1924년 건설이 시작되어 1925년 3월 3일 개통된 무링 철로가 시초이다. 무링 철로는 샤청쯔 역에서 리수진 탄광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석탄 수송을 위해 건설되었다. 1938년 남만주철도가 관리하게 되었고, 1940년 리수진에서 지시까지 연장되면서 청지선으로 개칭되었다. 청지선은 지시 광산구의 석탄 수송 외에, 주변 광산에서 생산되는 원료탄과 인산염 비료, 흑연 등을 수송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2015년 하무이 선의 신선 개통으로 무링 역이 기점역이 되었다. 무렁역은 빈쑤이 철로와, 시지시역과 지시역은 린미 철로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이룽장성의 교통 - 징하 고속철도
징하 고속철도는 베이징과 하얼빈을 잇는 약 1,700km 길이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중국 동북부 고속철도 회랑의 일부이며 2021년 1월에 개통된 중국의 "사종사횡" 고속철도 네트워크 계획 중 하나이다. - 헤이룽장성의 교통 - 징하 철로
징하 철로는 베이징과 하얼빈을 잇는 중국 철도 노선으로, 1881년 건설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연장 및 개칭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총 1257km 거리에 78개의 역이 존재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빈쑤이 철로
빈쑤이 철도는 하얼빈역과 쑤이펀허역을 잇는 544.5km의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를 사용하며 하얼빈-무단장 구간은 복선으로 운영되고 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연결되며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역이 위치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철도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징후 철로
징후선은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 복선 전철화된 주요 철도 노선으로, 1968년 난징 창장 대교 개통으로 전 구간이 연결되었으며, 현재는 화물 운송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청지 철로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성계선 (城鶏線) |
로마자 표기 | Seonggye seon |
국가 | 중국 |
소재지 | 헤이룽장성 |
노선 종류 | 보속철로 (普速铁路) |
상태 | 영업 중 |
운영 정보 | |
기점 | 샤청쯔역 |
종점 | 시지시역 |
역 수 | 12 |
개통일 | 1925년 |
운영자 | 하얼빈 철로국 무단장 철로분국 무단장 차무단 |
기술 정보 | |
노선 거리 | 107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1 (단선) |
전철화 | 비전철 |
노선도 |
2. 역사
1924년 1월 지린성 정부는 백러계 상인 셰제스와 "리수거우쯔, 샤오젠청 탄광에 대한 중러 관영 상업 합작 계약"을 체결하고, 동시에 빈쑤이 철로 샤청쯔 역에서 리수진 탄광을 잇는 철도 노선이 착공하였으며, “무렁 철로(穆棱铁路)”로 불리었다. 1925년 2월말 총 131만 은화를 투자하여 무링 철로가 완공되었다.
1925년 3월 3일, 무릉 리수거우쯔 광산에서 개통식을 거행하였다. 철도의 총 길이는 63.5km이었다.(1호 갱구까지) 이 중 샤청쯔역에서 리수진역까지의 본선은 길이가 59km에 이른다. 노선을 따라 샤청쯔(下城子), 싼다오허쯔(三道河子), 바몐퉁(八面通), 량쯔허(亮子河), 리수전(梨树镇) 등의 역이 있으며, 무링 광산까지 직통으로 이어져있다. 1925년 3월 4일 첫 화물차량 편조 40대와 석탄 800t을 싣고 무링 철로를 통해 샤청쯔에서 중둥 철로(中东铁路, 빈쑤이선은 그 일부)를 거쳐 하얼빈으로 옮겨졌다.
1938년 9월 1일 남만주철도에서 청지선을 대체 관리하였고, 1938년 11월 일만(日满) 당국은 남만주철도를 인수하여 경영을 위탁하였다.
1940년, 일제는 921만 4천 위안의 만주 은행권을 투자하여 리수진(梨樹鎭)에서 지시(鷄西)까지의 철도를 개통하였다. 리수진 스린역(옛 이름 스창역), 라오다 승강소, 류마오역, 바이자역, 시지시역을 거쳐 시지역까지 48.3km 구간이다. 1941년 봄에 측량과 설계, 시공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1942년 11월 1일 시지시역에서 후린 선과 접선하였다. 건설 당시에는 리지선(梨鸡线)이라고 불렸으며, 기존의 무링 철로(穆棱铁路)와 연결되어 청지선(城鸡线, 샤청쯔역~지시역)으로 개칭되었다.
청지 철로는 지시 광산구 석탄 수송을 분류하는 것 외에, 리수전 역에서 무렁, 핑강, 잔창, 라오다 등 광산에서 생산되는 원료탄을 집중 수송하는 역할을 맡았다. 스린 역에서는 인산염 비료, 흑연 및 기타 제품의 수송을 담당한다.
1924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다음 해 1925년 3월 3일에 개업한 하무이 선 샤청쯔 역에서 롄수이진까지의 전 노선 63.5km의 탄광 철도인 "무링 선"이 시초이다. 무링 선 건설에는 131만 은원이 투자되었다. 1938년 11월에는 일본 당국이 매수하여 남만주철도의 경영 하에 놓였다. 1940년에는 921.4만 위안(만주 은행권)의 비용으로 개수 공사가 이루어졌고, 1942년 11월 1일에는 시지시역에서 후린 선과 연결되어 동시에 "청지 선"으로 개칭되었다.
2015년에는 하무이 선의 신선 개통으로 샤청쯔 역과 신 무링 역 사이 구간이 본선에 편입되면서 무링 역이 기점역이 되었다.
2. 1. 초기 역사 (무링 철로 시대)
1924년 1월 지린성 정부는 백러계 상인 셰제스와 "리수거우쯔, 샤오젠청 탄광에 대한 중러 관영 상업 합작 계약"을 체결하고, 동시에 빈쑤이 철로 샤청쯔 역에서 리수진 탄광을 잇는 철도 노선이 착공하였으며, “무렁 철로(穆棱铁路)”로 불리었다. 1925년 2월말 총 131만 은화를 투자하여 무링 철로가 완공되었다.1925년 3월 3일, 무릉 리수거우쯔 광산에서 개통식을 거행하였다. 철도의 총 길이는 63.5km이었다.(1호 갱구까지) 이 중 샤청쯔역에서 리수진역까지의 본선은 길이가 59km에 이른다. 노선을 따라 샤청쯔(下城子), 싼다오허쯔(三道河子), 바몐퉁(八面通), 량쯔허(亮子河), 리수전(梨树镇) 등의 역이 있으며, 무링 광산까지 직통으로 이어져있다. 1925년 3월 4일 첫 화물차량 편조 40대와 석탄 800t을 싣고 무링 철로를 통해 샤청쯔에서 중둥 철로(中东铁路, 빈쑤이선은 그 일부)를 거쳐 하얼빈으로 옮겨졌다.
2. 2. 남만주철도 인수 및 개수
1924년 지린성 정부와 백러계 상인 셰제스는 "리수거우쯔, 샤오젠청 탄광에 대한 중러 관영 상업 합작 계약"을 체결하고, 빈쑤이 철로 샤청쯔 역에서 리수진 탄광을 잇는 무렁 철로(穆棱铁路)를 착공하였다. 1925년 2월 말, 131만 은화를 투자하여 무링 철로가 완공되었고, 3월 3일 무릉 리수거우쯔 광산에서 개통식을 거행하였다. 철도의 총 길이는 63.5km였다. 3월 4일 첫 화물차량 편조 40대와 석탄 800t을 싣고 무링 철로를 통해 샤청쯔에서 중둥 철로를 거쳐 하얼빈으로 옮겨졌다.1938년 9월 1일 남만주철도에서 청지선을 대체 관리하였고, 1938년 11월 일만(日满) 당국은 남만주철도를 인수하여 경영을 위탁하였다.
2. 3. 청지선 개칭 및 확장
1940년, 일만(日滿) 당국은 921만 4천 위안의 만주 은행권을 투자하여 리수진(梨樹鎭)에서 지시(鷄西)까지의 철도를 개통하였다. 리수진 스린역(옛 이름 스창역), 라오다 승강소, 류마오역, 바이자역, 시지시역을 거쳐 시지역까지 48.3km 구간이다. 1941년 봄에 측량과 설계, 시공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1942년 11월 1일 시지시역에서 후린 선과 접선하였다. 건설 당시에는 리지선(梨鸡线)이라고 불렸으며, 기존의 무링 철로(穆棱铁路)와 연결되어 청지선(城鸡线, 샤청쯔역~지시역)으로 개칭되었다.청지 철로는 지시 광산구 석탄 수송을 분류하는 것 외에, 리수전 역에서 무렁, 핑강, 잔창, 라오다 등 광산에서 생산되는 원료탄을 집중 수송하는 역할을 맡았다. 스린 역에서는 인산염 비료, 흑연 및 기타 제품의 수송을 담당한다.
2. 4. 하무이선 편입 (2015년)
1924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다음 해 1925년 3월 3일에 개업한 하무이 선 샤청쯔 역에서 롄수이진까지의 전 노선 63.5km의 탄광 철도인 "무링 선"이 시초이다. 무링 선 건설에는 131만 은원이 투자되었다. 1938년 11월에는 일본 당국이 매수하여 남만주철도의 경영 하에 놓였다. 1940년에는 921.4만 위안(만주 은행권)의 비용으로 개수 공사가 이루어졌고, 1942년 11월 1일에는 시지시역에서 후린 선과 연결되어 동시에 "청지 선"으로 개칭되었다.2015년에는 하무이 선의 신선 개통으로 샤청쯔 역과 신 무링 역 사이 구간이 본선에 편입되면서 무링 역이 기점역이 되었다.
3. 역할
3. 1. 석탄 수송
3. 2. 기타 물자 수송
4. 연결 노선
무렁역은 빈쑤이 철로(빈쑤이 선)와 연결된다.
시지시역과 지시역은 린미 철로(린미 선)와 연결된다.
4. 1. 무렁역
무렁역은 빈쑤이 철로(빈쑤이 선)와 연결된다.4. 2. 시지시역, 지시역
시지시역과 지시역은 린미 철로(린미 선)와 연결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