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촛불 집회는 촛불을 들고 모여 정치적 의사를 표현하는 집회 형태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야간 집회가 제한되었으나, 문화 행사 등을 통해 촛불 시위가 진행되었으며, 2008년 촛불 시위 이후 야간 집회 금지에 대한 헌법 불합치 결정으로 합법적인 야간 촛불집회가 가능해졌다. 주요 촛불집회로는 1992년 코텔 유료화 반대, 2002년 미군 장갑차 여중생 사망 사건 추모,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반대,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규탄 등이 있다. 다른 나라에서도 추모, 시위 등의 목적으로 촛불집회가 열리며, 홍콩에서는 천안문 사건 희생자를 기리는 촛불집회가 2019년까지 열렸으나,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초 - 2008년 대한민국 촛불 시위
2008년 대한민국 촛불 시위는 이명박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결정과 교육 정책 변화에 대한 국민적 반발로 시작되어 수십만 명이 참여, 정부 정책 비판 및 퇴진 요구를 펼치며 사회적 논쟁과 갈등을 야기한 대규모 시위 운동이다. - 양초 - 촛대
촛대는 초를 꽂아 사용하도록 제작된 도구이며, 다양한 디자인과 재료로 만들어지고 종교 의식에 사용되기도 한다. - 비교정치학 - 사회 운동
사회 운동은 사회의 구조적 모순 해결과 사회적 영향력 행사를 위해 조직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현대 사회의 특징을 반영하며 변화한다. - 비교정치학 - 정당제
정당제는 정당의 수와 이념적 스펙트럼, 정당 간의 관계, 이데올로기 수용 정도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며, 역사적, 사회적 요인에 따라 각국의 정당 체제가 다르게 나타난다. - 사회변동 - 사회 운동
사회 운동은 사회의 구조적 모순 해결과 사회적 영향력 행사를 위해 조직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현대 사회의 특징을 반영하며 변화한다. - 사회변동 - 사회 변천
사회 변천은 사회 구조의 변화를 의미하며 사회 조직, 제도 등의 변동을 다루고, 사회 진보, 혁명, 운동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문화, 종교, 경제, 기술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촛불 집회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시위의 일종 |
목적 | 특정 사건에 대한 애도 또는 추모 정치적 항의 및 사회적 문제에 대한 지지 표명 단결과 공동체 의식 강화 |
특징 | 촛불 또는 기타 조명 사용 종종 밤에 진행 평화롭고 차분한 분위기 조성 침묵 또는 간단한 연설 및 기도 |
역사 | |
기원 | 고대 종교 의식에서 유래 |
현대적 의미 | 20세기 후반부터 시위 및 추모의 수단으로 사용 정치적 탄압에 대한 저항 자연 재해 및 비극에 대한 애도 사회적 불의에 대한 항의 |
문화적 의미 | |
상징성 | 희생, 슬픔, 희망, 결속 등을 상징 빛은 어둠을 밝히고, 긍정적인 미래를 향한 염원 촛불의 깜빡임은 생명의 연약함과 소중함 의미 |
종교적 의미 | 일부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기도와 묵상에 사용 기타 종교 전통에서도 빛은 깨달음과 영적 각성을 상징 |
주요 사례 | |
동유럽 | 냉전 시대에 공산주의 정권에 대한 저항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 |
대한민국 | 2002년 미군 장갑차 여중생 사망 사건 관련 촛불 집회 2008년 대한민국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논란 관련 촛불 집회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 관련 촛불 집회 |
추가 정보 | |
조직 방법 | 목적과 목표 설정 적절한 장소와 시간 선정 참가자 모집 및 홍보 촛불, 피켓, 배너 등 필요한 물품 준비 참가자 안전 확보 |
기타 | |
관련 용어 | 비질 (철야 기도) 추모식 시위 항의 사회 운동 |
2. 대한민국의 촛불집회
대한민국의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에 따르면 해가 진 뒤에는 집회나 시위가 금지되어 있었다.[10] 그러나 문화 행사 등은 예외였기 때문에[11], 촛불집회는 문화제 형식을 빌려 진행되곤 했다. 문화제에서는 노래 공연 등이 가능했지만, 구호를 외치거나 피켓을 드는 것은 원래 불가능했다. 2008년 대한민국의 촛불 시위 이후 야간 집회 금지 사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과 자정까지의 야간 시위 금지 위헌 결정으로, 밤에도 합법적으로 촛불집회를 열 수 있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촛불집회[4] 또는 촛불시위[5]는 불의에 맞서 평화롭게 저항하는 상징적인 정치적 반대 집회이다.[6] 이러한 시위 방식은 미군 장갑차 여중생 사망 사건[7]을 계기로 시작되어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 2016년~2018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반대 시위 등에서 사용되었다.[8]
2. 1. 대한민국의 주요 촛불집회
- 1992년 코텔 유료화 반대 촛불집회[12]
- 2002년 11월 ~ 12월: 미군 장갑차 여중생 사망 사건 추모 촛불집회 - 오마이뉴스의 김기보(아이디 '앙마') 시민기자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 2004년 3월 ~ 4월: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통과 반대 촛불집회
- 2004년 12월: 밀양지역 고교생의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촛불집회
- 2004년 11월 ~ 2005년 2월: 국가보안법 반대 촛불집회
- 2008년 5월: 미국 광우병 수입 협상 반대 시위 촛불집회
- 2009년 2월: 용산 참사 추모 촛불문화제
- 2011년 : 반값등록금 공약 촉구 촛불집회
- 2013년 6월: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 규명 촛불집회
- 2016년 10월 ~ 2017년 5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규탄 및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 촛불집회
- 2018년 : 대한항공 조양호 일가 퇴진 촛불집회
- 2019년 9월 ~ 12월 : 조국수호 및 검찰, 언론 개혁 촛불집회
- 2022년 11월 ~ 12월 :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및 윤석열 대통령 퇴진 운동 촛불집회
3. 다른 나라의 촛불집회
다른 나라에서도 촛불집회가 열리기도 한다. 온라인 게임 EVE 온라인에서는 플레이어들이 사망한 플레이어들을 기리는 "사이노 추모식"을 거행하기도 한다.[9]
3. 1. 온라인 촛불집회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 EVE 온라인에서 플레이어들은 사망한 플레이어들을 기리는 의미로 "사이노 추모식"을 거행한다.[9]3. 2.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Do Something: how to organise a vigil
http://www.dosomethi[...]
2012-12-28
[2]
서적
Generations of Praise: The History of Worship
College Press
2007
[3]
웹사이트
love to know: Organise a candlelight vigil
http://candles.lovet[...]
2012-12-28
[4]
뉴스
South Korea's 'Candlelight Revolution' Matters
https://www.huffingt[...]
2019-03-14
[5]
논문
South Korean Democracy in the Digital Age: The Candlelight Protests and the Internet
2009
[6]
잡지
Koreans Have Mastered the Art of the Protest
https://foreignpolic[...]
2019-03-09
[7]
뉴스
Deja vu? Candlelight vigils in 2002 and present
http://www.koreahera[...]
2019-03-14
[8]
뉴스
South Korea: thousands of protesters call for president to resign
https://www.theguard[...]
2019-03-14
[9]
웹사이트
An EVE Online Funeral Means Ozone-Light Vigils And Spaceship Sacrifices
https://kotaku.com/a[...]
2024-02-24
[10]
법률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10조
[11]
법률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15조
[12]
뉴스
PC통신, 인터넷기반 `부활의 변신`모색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3-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