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몽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몽룡은 1946년 서울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고고학자이다.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서울대학교 박물관 관장, 한국 문화재 위원, 한국상고사학회 초대 회장을 지냈다. 국사 교과서 편찬위원으로 활동했으나, 2015년 국정 역사 교과서 대표 집필진 선정 후 성희롱 논란으로 사퇴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민무늬토기 시대, 문명의 형성, 고대 성읍 국가 등이며, 관련 저서 및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고고학자 - 심봉근
심봉근은 한국 청동기 시대 문화를 주요 연구 분야로 하는 고고학자로, 동아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한일 고고학 관계 연구에 기여했으나 일부 연구 결과에 객관성 논쟁이 있다. - 대한민국의 고고학자 - 최순우
최순우는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서 미술사학자, 박물관 관장, 수필가로 활동하며 한국 미술 연구와 보존에 기여하고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등의 수필로 한국의 미를 알리는 데 힘썼다. - 전남대학교 교수 - 박준영 (1946년)
박준영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전라남도지사를 4선 역임했으며, F1 경주대회 유치와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등을 추진했으나, 금품 수수 및 업무추진비 부당 사용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다. - 전남대학교 교수 - 윤장현
윤장현은 조선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안과 병원을 운영하며 시민 사회 운동에 참여했으며, 광주광역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정치인이다.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 - 임동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임동원은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군과 정부의 요직을 거쳐 나이지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등을 역임하며 김대중 정부 시절 햇볕정책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제2연평해전 발언과 불법 감청 혐의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최몽룡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한글 이름 | 최몽룡 |
한자 이름 | 崔夢龍 |
로마자 표기 | Choi Mong-ry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oe Mong-ryong |
기본 정보 | |
이름 | 최몽룡 |
한자 표기 | 崔夢龍 |
가나 표기 | チェ・モンニョン |
로마자 표기 | Choi Mong-ryong |
영문 표기 | Choe Mong-ryong |
학자 정보 | |
이름 | 최몽룡 |
출생일 | 1946년 9월 13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학자 |
종교 | 미확인 |
배우자 | 미확인 |
자녀 | 미확인 |
수상 | 미확인 |
학력 | 미확인 |
소속 기관 | 미확인 |
2. 생애
194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2년 전남대학교에서 전임강사로 임용되었으며, 1981년 서울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1984년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A Study of Youngsan River Valley Culture" (영산강 유역 문화 연구)로 인류학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는 張光直|장광직영어의 지도를 받았다.
최몽룡은 민무늬토기 시기, 문명의 형성, 고대 성읍 국가와 같은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1987년 한국상고사학회를 창립하여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1988년부터 국사 교과서 편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95년 서울대학교 박물관장을 역임했다.
무문토기 시대, 문명의 발흥, 고대 도시, 고대 국가 등에 대한 고고학 조사를 해왔다. 전남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박물관이 발행한 다수의 고고학적 발굴 조사 보고서에 최몽룡의 이름이 실려 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고고미술사학과(후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오랫동안 재직했으며, 1980년대 후반에는 인문대학 학장 보좌를 맡았다.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대학교 박물관장을 역임했고, 1999년부터 한국의 문화재 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1987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상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2012년 2월 29일, 서울대학교 교수직에서 정년 퇴임하고 서울대학교 고고사학과 명예교수로 임명되었다.[6]
국사 교과서 검정 제도가 시행되던 시기에 20년 넘게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편찬에 관여했다. 2015년 11월 3일 중학교와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가 국사편찬위원회 편찬의 국정 교과서로 전환되는 결정이 내려진 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대표 집필진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대표 집필자로 선정되었다는 보도 직후, 여의도 자택을 방문한 여성 기자에게 성희롱에 해당하는 언행을 한 것으로 알려져 11월 6일 취임을 사퇴했다.
3. 연구 분야
3. 1. 주요 연구 주제
최몽룡은 민무늬토기 시기, 문명의 형성, 고대 성읍 국가와 같은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4. 학문적 기여
최몽룡은 무문토기 시대, 문명의 발흥, 고대 도시, 고대 국가 등에 대한 고고학 조사를 해왔다. 그 성과는 여러 연구자의 공저로 공표되었으며, 전남대학교나 서울대학교 박물관이 발행한 다수의 고고학적 발굴 조사 보고서에 최몽룡의 이름이 실려 있다.[1]
1987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상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
한국에서 국사 교과서 검정 제도가 시행되던 시기에,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편찬에 20년 넘게 관여한 경험이 있다.[1]
5. 저서 및 논문
최몽룡은 단독 저서, 번역 및 공저(편저), 논문 등 다양한 학술 활동을 펼쳤다.
구분 | 내용 |
---|---|
단독 저서 | 1975년 전남고고학 지명표를 시작으로, 2018년 중국 고고학 -중요주제, 항목별로 본 중국 문화사 서설-까지 총 19권 |
번역 및 공저(편저) | 1984년 네드우달(Ned Woodall)의 신고고학의 개요 번역을 시작으로, 2016년 세계사속에서의 한국까지 총 28권 |
논문 | 1967년 미술사학연구에 발표한 전라북도 해안 일대의 선사유적을 시작으로, 2013년 마한·백제연구에 발표한 마한-연구현황과 과제-까지 총 115편 |
자세한 목록은 하위 목차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저서
출판 연도 | 저서명 |
---|---|
1975 | 전남고고학 지명표 |
1977 | 도시의 기원 |
1983 | 인류문화의 발생과 전개 |
1984 | A Study of the Yŏngsan River Valley Culture -the rise of chiefdom society and state in ancient Korea-|영산강 유역 문화 연구 - 고대 한국에서의 족장 사회와 국가의 발생-영어 |
1987 | 한국 고대사의 제 문제 |
1990 | 고고학에의 접근 |
1991 | 재미있는 고고학 여행 |
1993 | 한국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
1997 | 도시.문명.국가 |
2000 | 흙과 인류 |
2006 | 최근의 고고학 자료로 본 한국고고학.고대사의 신연구 |
2007 | 인류문명발달사 |
2008 | 청동기.철기시대와 고대사회의 복원 |
2008 | 한국상고사연구 여적 |
2011 | 한국 고고학 연구의 제문제 |
2013 | 인류문명발달사(개정5판) |
2014 | 고구려와 중원문화 |
2014 | 한국고고학연구 -세계사속에서의 한국- |
2015 | 인류문명발달사(개정6판) |
2016 | 한국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
2018 | 중국 고고학 -중요주제, 항목별로 본 중국 문화사 서설- |
5. 2. 번역 및 공저(편저)
출판 연도 | 도서명 | 출판사 | 비고 |
---|---|---|---|
1984 | 신고고학의 개요 | 동성사 | 네드우달 (Ned Woodall영어) 저, 최몽룡 역 |
1987 | 인류의 선사시대 | 을유문화사 | 브라이언 페이건 (Brian Fagan영어) 저, 최몽룡 역 |
1989 | 원시국가의 진화 | 민음사 | 조나단 하스 (Jonathan Haas영어) 저, 최몽룡 역 |
1989 | 韓國の考古學일본어 | 講談社일본어 | 최몽룡 외 |
1991 | 백제사의 이해 | 학연문화사 | 최몽룡 외 |
1991 | 한국선사고고학사 | 까치 | 최몽룡 외 |
1993 | 한강유역사 | 민음사 | 최몽룡 외 |
1994 | 러시아의 고고학 | 학연문화사 | 최몽룡 외 |
1995 | 문명의 발생 | 민음사 | 찰스 레드만 (Charles Redman영어) 저, 최몽룡 역 |
1995 | 5천년 전의 남자 | 청림출판사 | 콘라드 슈핀들러 (Konrad Spindler영어) 저, 최몽룡 역 |
1996 | 고고학과 자연과학 | 서울대학교 출판부 | 최몽룡 외 |
1997 | 한국의 문화유산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최몽룡 외 |
1997 | 한국고대국가 형성론 | 서울대학교 출판부 | 최몽룡 외 |
1997 | 인물로 본 고고학사 | 한울 | 최몽룡 외 |
1998 | 백제를 다시 본다 | 주류성 | 최몽룡 외 |
1998 | 고고학 연구방법론 | 서울대학교 출판부 | 최몽룡 외 |
2000 | 한국지석묘 연구 이론과 방법 | 주류성 | 최몽룡 외 |
2001 | 단군 | 서울대학교 출판부 | 최몽룡 외 |
2002 | 한국사1 | 탐구당 | 최몽룡 외 |
2003 | 시베리아 선사고고학 | 주류성 | 최몽룡 외 |
2004 | 동북아 청동기시대 문화 연구 | 주류성 | 최몽룡 외 |
2004 | 백제를 다시 생각한다 | 도서출판 주류성 | 하정룡 역, 최몽룡 외 |
2005 | 한성시대의 백제와 마한 | 주류성 | 최몽룡 외 |
2007 | 경기도의 고고학 | 주류성 | 최몽룡 외 |
2008 | 21세기 한국고고학1 | 주류성 | 최몽룡 외 |
2009 | 21세기 한국고고학2 | 주류성 | 최몽룡 외 |
2010 | 21세기 한국고고학3 | 주류성 | 최몽룡 외 |
2011 | 21세기 한국고고학4 | 주류성 | 최몽룡 외 |
2012 | 21세기 한국고고학5 | 주류성 | 최몽룡 외 |
2016 | 세계사속에서의 한국 | 주류성 | 최몽룡 외 |
5. 3. 논문
발표 연도 | 논문 제목 | 학술지/출판사 |
---|---|---|
1967 | 전라북도 해안 일대의 선사유적 | 미술사학연구 81, 82, 83 |
1968 | 홍성군 팔괘리 출토 마제석기류 | 미술사학연구 90 |
1971 | 한국동과(韓國銅戈)에 대하여 | 미술사학연구 110 |
1972 | 대항리패총, 영암 청풍사지석탑내 발굴유물 | 미술사학연구 115, 116 |
1973 | 영산강 유역의 선사 유적·유물, 원시채석문제에 대한 소고(小考) | 역사학보 59, 미술사학연구 119 |
1974 | 영산강 Dam 공사로 인한 수몰지구의 선사유적 | 호남문화연구 6 |
1975 | 고흥 옥하리 홍교(虹橋), 전남지방에서 새로이 발견된 선사유물 | 미술사학연구 125, 호남문화연구 7 |
1976 | 담양 제월리 백제고분과 그 출토유물, 영산강유역에서 새로이 발견된 선사유물, 이조묘지(李朝墓誌) 수례(數例) | 문화재 10, 호남문화연구 8, 미술사학연구 129·130 |
1977 | 나주 보산리 지석묘 발굴조사 보고서, 완도 관음사 목조여래좌상과 복장유물, 노화(蘆花)·보길도의 선사유적, 청동기시대, 초기철기시대 | 한국문화인류학 9, 미술자료 20, 호남문화연구 9, 한국사론1 |
1978 | 광주 송암동주거지 발굴조사보고, 전남지방의 불상수례(佛象數例), 이조묘지(李朝墓誌) 수례(數例)(其三), 광주 십신사지 범우비 및 석불이전시말(石佛移轉始末), 전남지방소재 지석묘의 형식과 분류 | 한국고고학보 4, 미술자료 22, 미술사학연구 136·137, 138·139, 역사학보 78 |
1979 | 진도의 선사유적 | 호남문화연구 10·11 |
1980 | 전남선사유적출토무문토기편의 과학적 분석(요약) | 한국고고학보 9 |
1981 | 전남지방 지석묘 사회와 계급의 발생, 도시·문명·국가 –미국 고고학연구의 일동향- | 한국사연구 35, 역사학보 92 |
1982 | 고고학에 있어서 복원문제, 임자도의 선사유적 | 인문논총 8, 고문화 20 |
1983 | 사기 조선열전 영역, 충청북도 제원구 양평리 주거지에서 발굴된 무문토기와 홍도의 과학적 분석, 고고학방법론, 청동기시대 주거생활, 한국고대국가형성에 대한 일고찰 –위만조선의 예- | 고문화 22, 동아문화 21, 한국사론12, 한국사론13, 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
1984 | 고흥 본포진성 발굴조사 보고서, 백제연구의 회고와 전망 -영산강 유역의 백제문화 연구- | 백산학보 29, 백제연구 15 |
1985 | 전남 고고학의 어제와 오늘, 한성시대 백제의 도읍지와 영역, 고려도경에 보이는 기명(器皿) | 고문화 27, 진단학보 60, 한국문화 6 |
1986 | 청동기·초기철기시대, 고고학적 측면에서 본 마한 | 제 10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마한·백제문화 9 |
1987 | 삼국시대 전기의 전남지방문화, 한성시대 백제의 돌무지무덤, 노화(蘆花)·보길도의 선사유적, 欣岩里 先史聚落址の特性, 한국고고학의 시대 구분에 대한 약간의 제언 | 진단학보 63,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11, 고산연구 1, 한국고고학보 20, 최영희선생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 |
1988 | 몽촌토성과 하남 위례성,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토기의 과학적 분석,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본 황해교섭사연구 서설, 토기의 과학적 분석 | 백제연구 19, 문화재 21, 진단학보 66,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12 |
1989 | 한성시대 백제의 영역과 문화, 1980년대의 역사고고학, 삼국시대 전기의 전남지방 문화 | 한국고고학보 22, 한국상고사학보 2, 성곡논총 20 |
1990 | 전남지방 삼국시대 전기의 고고학연구 현황, 호남지방의 지석묘사회, 고고학 | 한국고고학보 24, 25, 역사학보 128 |
1991 | 중국 동북삼성 답사여적, 고고학 관계문헌을 통해 본 인류문화사의 연구, 소련·체코슬로바키아 답사 여적, 고고학과 토기분석 | 한국상고사학보 5, 6, 8, 세라미스트 6 |
1992 | 태국지역 답사 여적, 환태평양 선사회의 참관기, 중국(3차)과 러시아(2차) 답사여적 | 한국상고사학보 9, 10, 11 |
1993 | 문명의 발생과 멸망, 한국 고고학에 있어서 자연과학적 연구 | 한국상고사학보 12, 13 |
1994 | 최근 발견된 백제 향로의 의의, 단군릉 발굴에 대한 몇가지 이견, 러시아고고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백제의 건국신화, 중국내의 고구려유적, 백제의 제사유적 | 한국상고사학보 15, 16, 17 |
1995 | 오사카 국제학술회의 참관기 –북한측 발표논문에 대한 해제- | 한국상고사학보 20 |
1996 | 삼불 김원용교수와의 대학박물관 | 고문화 48 |
1997 | 한국상고사학회 창립 10주년을 맞아 –회고와 전망- | 한국상고사학보 26 |
1999 | 문화재연구 국제교류현황과 과제, Origin and Diffusion of Korean Dolmens,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 발해유물 | 문화재 32, 한국상고사학보 30, 고구려발해연구 6 |
2002 | 21세기 한국고고학의 새로운 조류와 전망 |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회 4 |
2003 | 한성시대의 백제와 마한 | 문화재 36 |
2004 | 통시적으로 본 경기도의 통상권, 고고학으로 본 마한 |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회 10, 마한·백제문화 16 |
2007 | 한국고고학고대사에서 안성 원곡 반제리 종교·제사유적의 의의 | 제45책 안성 반제리 유적, 중원문화재연구원 |
2008 | 다원론의 입장에서 본 한국문화의 기원과 시베리아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2010 | 부여 송국리 유적의 새로운 편년 |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회 10 |
2011 | 한국고고학·고대사에서 종교·제사유적의 의의 |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회 11 |
2013 | 마한-연구현황과 과제- | 마한·백제연구 22 |
1978 | 수중 고고학 –조사와 발굴- (죠지베스·최몽룡譯) | 한국고고학보 5 |
1975 | 영암군의 역사 –해양 교통로서의- (송정현, 최몽룡) | 한국문화인류학 7 |
1979 | 나주반남면 대안리5호 백제석실분 발굴조사보고, 수중 고고학 –발굴- (최몽룡·이청규·노혁진 / 죠지베스·최몽룡譯) | 문화재 12, 한국고고학보 6 |
1982 | 백령·연평도의 즐문토기유적 –서해5도서의 고고학적 조사- (최몽룡·노혁진·안승모) | 한국문화 3 |
1984 | 제원군 양평리의 선사주거지, 여주 흔암리 선사취락지, 여주 흔암리토기의 과학적 분석, 명주(溟州) 금진리 선사유적 조사예보(調査豫報), 홍성 팔괘리 풀무학원 소장유물 수례(數例) (최몽룡·임영진 / 최몽룡·박양진 / 최몽룡·추연식) | 백산학보 28, 정신문화연구 7-3, 고문화 25, 문화재 17, 고문화 24 |
1985 | 여주 흔암리 선사취락지 출토 석기류Ⅱ -남한강유역의 선사문화연구(8)- (최몽룡·박순발) | 고문화 26 |
1987 | 승주 대곡리 주거지 발굴약보 (최몽룡·권오영·김승옥) | 문화재 20 |
1988 | 한국 고고학에 있어서 토기의 과학분석에 대한 검토, 홍성 은하일대의 지표조사 약보 (최몽룡·신숙정 / 최몽룡·임영진·송은숙) | 한국상고사학보 1, 고문화 32 |
1990 | 전남지방의 마한·백제시대의 주거지 연구 (최몽룡·김경택) | 한국상고사학보 4 |
1992 | 미사리 출토 토기의 과학적 분석(Ⅱ), Emergence of Complex Society in Prehistoric Korea (최몽룡·강형태·신숙정 / Rhee Song Nai·Choi Mong-Lyong) | 고고역사학지 8, Journal of World Prehistory 6 |
1993 | 전남 승주·여천지역 무문토기의 과학적 분석 (최몽룡·이영문·정창규·강경인) | 한국상고사학보 14 |
1995 | 신라·가야토기의 생산과 분배 대한 연구 (최몽룡·강형태·이성주·김승원) | 한국상고사학보 15 |
1997 | 제천 한수면 송계리 선사유적 조사 보고 (최근영·이호영·최몽룡·지병목) | 사학연구 54 |
1999 | 문화재연구소 발굴 30년의 성과와 전망2, 한국 지석묘사회 연구의 이론적 배경 (최몽룡·김재현·이헌종·박양진 / 최몽룡·김경택) | 문화재 32, 사학연구 58·59 |
2002 | Korean Archaeology for the 21st century -From Prehistory to State Formation (Choi Mong-Lyong·Rhee Song Nai) |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4 |
2003 | 연해주 출토 자료의 소개 (최몽룡·김경택·신경철·강인욱) | 박물관기요 19 |
2000 | 한국의 고인돌, 고고학 | 유라시아 민족지 및 인류학 2 |
1999 | 한국 고인돌의 기원과 분포 | 한국상고사학보 39 |
1992 | 위만 국가 형성에 있어서의 교역, (이송내 공저, 제1저자). 선사 시대 한국의 복합 사회의 출현 | C. 멜빈 에이컨스 및 이송내 편, 《선사 시대의 태평양 북동아시아》, 워싱턴 주립대학교, Journal of World Prehistory 6(1):51-95 |
1984 | 영산강 유역 문화 연구 | 하버드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
1991 | 재미있는 고고학 여행 | 학연문화사 |
1973 | 영산강 유역의 선사 유적 유물 | 역사학보 73:67-87 |
1992 | (리성나이와 공동 저술, 주저자). 한국 선사 시대 복합 사회의 출현, 위만 국가 형성에 있어서의 무역 | Journal of World Prehistory 6(1):51-95, Pacific Northeast Asia in Prehistory, C. 멜빈 에이컨스와 리성나이 편집, 워싱턴 주립대학교 |
1999 | 한국 고인돌의 기원과 분포 | 한국상고사학보 39 |
2000 | 한국의 고인돌, 고고학 | Ethnology & Anthropology of Eurasia 2 |
6. 사건 사고
최몽룡은 2015년 박근혜 정부의 국정역사교과서 대표 필진으로 초빙되었으나,[7] 여기자 성희롱 논란으로 인해 국정교과서 필진에서 불명예 사퇴했다.[8]
6. 1. 국정교과서 필진 불명예 사퇴
최몽룡은 2015년 박근혜 정부의 국정역사교과서 대표 필진으로 초빙되었다.[7] 하지만 초빙된 지 2일 만에 여기자 성희롱 논란이 일어났으며, 이에 국정교과서 필진에서 불명예 사퇴했다.[8]참조
[1]
문서
「チェ・モンリョン」と表記する例もある。
[2]
웹사이트
<韓国歴史教科書国定化>上古史・古代史増やす
https://japanese.joi[...]
JTBC Content Hub Co., Ltd.
2015-11-04
[3]
웹사이트
国定教科書代表執筆者の崔夢龍氏、セクハラ疑惑で辞退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5-11-07
[4]
웹사이트
<韓国歴史教科書国定化>代表執筆者が辞退…女性記者への不適切言動を謝罪
https://japanese.joi[...]
JTBC Content Hub Co., Ltd.
2015-11-07
[5]
웹사이트
女性記者にいやらしい言葉…韓国の国定教科書責任者の大学名誉教授、セクハラで辞退 体も触る? 強制わいせつの可能性も
https://web.archive.[...]
産經新聞/産経デジタル
2015-11-06
[6]
뉴스
한국 고고학의 대부, 41년 만에 강단 떠난다
https://www.joongang[...]
[7]
뉴스
최몽룡 교수 "그동안의 새 자료들 살펴 국정교과서 쓸 것"
http://www.mediapen.[...]
[8]
뉴스
'성희롱' 최몽룡, 대표집필자 선정 뒤 이틀만에 사퇴
https://www.ytn.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