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범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범술은 1904년 경상남도 사천 출생으로, 승려이자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인, 다도 연구가이다.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고, 일본 유학 중 박열과 흑우회에 가입하여 노동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다. 해방 후에는 한국불교중앙총무원 총무부장, 해인사 주지, 국민대학 이사장을 역임하고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6.25 전쟁 중 해인사와 팔만대장경을 지키는 데 기여했으며, 이후 해인대학을 설립했다. 말년에는 원효불교교단을 선포하고 다도 연구에 전념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과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친일 의혹과 관련한 논란이 존재한다.
최범술은 1904년 경상남도 사천시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양포사립개진학교 재학 중 일본인 교사의 폭력에 항의하여 동맹휴학을 주도하다 퇴학당했다. 이후 곤양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했다. 1916년 사천 다솔사로 출가하여 불문에 입문했으며, 1917년 해인사 지방학림에 입학하여 수학했다.
임혜봉의 저서 <친일승려 108인> 등을 통해 최범술의 일부 행적에 대한 친일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이에 대한 학계 및 관련 인물들의 반론도 존재한다.
2. 생애
1919년 3·1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등사하여 배포하고 만세 시위를 계획하다 체포되어 고문을 당했으나 나이가 어려 풀려났다. 1922년 일본으로 유학하여 박열과 만나 흑우회에 가입하고 노동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의열단 활동에도 관여하여 박열 대역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렀다.
1928년 다솔사 주지로 선출되었고, 1931년 김법린, 한용운 등과 비밀결사 만당을 조직하는 등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1933년 귀국하여 명성여자학교와 광명학원을 설립하는 등 교육 활동에도 힘썼으며, 1936년에는 다솔사에 불교전수강원을 설립하여 독립운동의 거점으로 삼았다. 1938년 만당 조직이 발각되어 옥고를 치렀고, 이후에도 신채호 문집 출간 시도, 조선어학회 사건 연루 등으로 여러 차례 체포 및 구금되었다.
1945년 광복 후 사천군 건국회 총무위원장, 한국불교중앙총무원 총무부장 등을 맡았다. 1946년 부산대학교 설립에 옥천사 사답 기부를 주도했다. 1947년 해인사 주지가 되었고, 신익희와 함께 국민대학을 창설했다. 1948년 제헌국회의원에 당선되어 무소속구락부 소속으로 활동하며 농지개혁, 반민족특별법 제정 등에 참여하고 남북통일 결의안을 제출하는 등 진보적 의정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1949년 불교계 내부 문제와 정치적 탄압으로 잠적하기도 했다.
6.25 전쟁 중에는 해인사 주지로서 공비들을 설득하여 해인사와 팔만대장경을 지켜냈으며, 1951년 해인중·고등학교를 설립하고 1952년 해인대학을 설립하여 이사장 및 학장을 맡았다. 1954년 이승만 정권의 불교정화유시 이후 해인대학 관련 횡령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
1960년 참의원 선거 낙선 후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1962년 다솔사에서 원효불교교단을 선포하고 원효 사상과 다도 연구 및 보급에 전념했다. 1969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으며, 1979년 서울 정릉 보현암에서 입적하여 다솔사에 부도가 세워졌다. 사후 1986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2. 1. 출생과 성장 (1904년 ~ 1915년)
1904년 5월 26일 경상남도 곤양군 서부면 금진리 율포(現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금진리 율포)에서 아버지 최종호(崔鐘浩)와 어머니 광산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909년 4월 2일 서포면 구평리로 이사했으며, 5월 5일에는 까치섬에 있는 서당에서 김윤집에게 글을 배웠다. 1910년 4월 5일, 7세의 나이로 서포초등학교의 전신인 양포사립개진학교에 입학했다. 3학년이던 1912년에는 일본인 교사 기타무라의 폭력적인 행동에 분개하여, 빈기홍, 임성엽, 신영곤 세 친구와 함께 동맹휴학을 주도했다. 이들은 군수와 도장관에게 진정서를 제출했으나, 결국 그 해 6월 퇴학 처분을 받았다.
이후 곤양초등학교의 전신인 곤양보통학교 3학년으로 편입하여 학업을 이어갔고, 1915년 3월에 졸업했다. 졸업 후에는 구산재(鳩山齊)라는 서당에서 9촌 당숙인 최남준에게 사서(四書)를 배웠다.
2. 2. 출가와 독립운동 (1916년 ~ 1945년)
1916년 백부와 아버지를 따라 다솔사에서 하룻밤을 지내던 중, 젊은 스님에게 들은 지원법사의 치문 면학편에 감명받아 그 해 사천 다솔사(多率寺)로 출가했다. 1917년 환경(幻鏡) 스님을 은사로 수계한 후 해인사 지방학림에 입학했다.
해인사 지방학림 재학 중이던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경기고보에 유학 중이던 재종질 최원형(崔垣亨)으로부터 독립선언서를 입수하여 지방학림 학생들과 함께 등사해 영남 지역에 배포했다. 또한 고향인 서포에서 양포개진학교 동기 임성엽·신영곤·송지환·송수완·송용수·송찬범 등을 만나 독립선언서를 나누어 주고 곤양 장날에 맞추어 거사를 계획했다. 양포개진학교에서 밤에 촛불을 켜고 태극기를 만들던 중 일본 헌병에게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곤양 헌병분견대에서 심한 고문을 당했으나, 닷새 후 진주 검사국으로 이송된 뒤 만 15세 이하여서 범죄자 자격 미달이라는 이유로 풀려났다.
1922년 6월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도쿄 시부야에서 신문 배달을 하던 중, 구독자였던 박열을 만나 그가 이끄는 흑우회(불령선인회)에 가입했다. 흑우회 활동을 통해 조선인 노동자들로 구성된 노동조합 결성에 참여하고 월간 '불령선인지'를 간행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다른 일자리를 찾던 중 일본 보천사 주지 사카도 치카이와 인연을 맺어 형제처럼 지냈으며, 1923년 관동대지진 당시에는 일본 자경단에게 쫓기던 최범술을 사카도 치카이가 숨겨주기도 했다. 엿장수, 공사장 인부, 인력거꾼 등 힘든 일을 하며 학업을 이어갔고, 김상철 등과 함께 조선인 노동자들을 위한 노동단체 '상조회'를 조직하여 야학 수업을 열었다. 또한 사회주의 사상 단체인 '코스모 구락부'에 가입하여 사회주의 사상을 접하고, 부라쿠민 차별 철폐 운동인 수평사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후 박열의 일왕 암살 계획을 돕기 위해 의열단 단원으로서 상하이로 잠입하여 폭탄을 도쿄로 운반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이 일로 관동대지진 후 박열 대역사건에 연루되어 8개월간 옥고를 치렀으며, 출옥 후에도 3년간 매달 29일씩 구금되는 등 지속적인 감시와 탄압을 받았다.
1928년 7월 1일 다솔사 주지로 선출되어 일본과 국내를 오가며 주지직을 수행했다. 1931년에는 김법린, 한용운 등과 함께 비밀결사 만당(卍黨)을 조직하는 데 참여했으며, 1933년에는 조선불교청년동맹 중앙집행위원장을 맡아 활동했다.
같은 해 귀국하여 1933년 6월 14일 명성여자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을 지냈다. 1934년에는 사천 원전에 농민 자녀들을 위한 광명학원(光明學園)을 세웠는데, 이때 소설가 김동리가 교사로 재직하기도 했다. 만당의 활동 기반을 마련하고 재건하기 위해 1936년에는 다솔사에 불교전수강원을 설립했다. 이 시기 다솔사는 김법린, 김범부 등 여러 독립운동가들이 머물며 은밀히 활동하는 거점이 되었다. 1937년에는 고려대장경 인경(印經) 도감을 맡아 만당 당원들과 함께 인경 작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1938년 말, 만당의 조직이 일제 경찰에게 발각되면서 체포되어 징역 6개월 형을 선고받고 다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도 일제의 감시는 계속되었고, 세 차례나 더 검거되었다.
1942년에는 신채호(申采浩)의 문집을 출간하려 했다는 이유로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구금되었다. 같은 해 7월에는 김범부, 김법린 등과 함께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어 함경남도 홍원경찰서에 구금되었다. 1943년 9월부터는 경상남도 경찰국 유치장에 13개월 동안 수감되었는데, 감방 안에서 신사참배 거부로 투옥된 주기철 목사, 한상동 목사, 이양신 등 기독교인들과 교류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었다.
2. 3. 해방 이후 활동 (1945년 ~ 1979년)
1945년 8월 광복 후 사천군 건국회를 결성하고 총무위원장을 맡았다. 같은 해 9월 한국불교중앙총무원이 설립되자 총무부장이 되었다. 1946년 5월 총무부장 재직 중 경상남도 불교교무원장 박원찬에게 지시하여 고성 옥천사의 사답 44.6ha(13만 5천 평)을 부산대학교 설립 기금으로 기부하게 하고, 그 대가로 일제강점기 적산 건물이었던 입정상업학교를 인수하였다.
1947년 미소공동위원회에 대한불교단체 대표로 참여했으며, 같은 해 해인사 주지가 되었다. 7월에는 신익희와 함께 국민대학을 창설하고 초대 이사장에 취임했다. 그러나 초대 학장이었던 신익희와의 갈등으로 인해 1948년 마포에 국민대학관을 별도로 재건했다.
1948년 5월 10일 경상남도 사천군 선거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제헌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국회에서는 조봉암 등과 함께 무소속구락부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좌우 교섭위원과 재정위원으로 선출되었다. 무소속구락부는 농지개혁과 반민족특별법 제정을 주도했는데, 최범술은 학교나 사찰과 같은 공공기관 소유 농지는 농지개혁 대상에서 제외할 것을 제안하고, 반민특위 위원을 각 도별 출신 국회의원 3명씩 선발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조소앙을 국무총리로 임명할 것을 요구했으며, 정현모 등과 이화장을 방문하여 이승만에게 거국중립내각 구성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70여 명의 의원과 함께 남북 양측 군대의 철수를 요구하는 남북통일 관련 긴급결의안을 제출하기도 했다.
1949년 12월 태고사의 적산 관리 문제와 박원찬 총무원장 감금 사건 등 불교총무원 내부 문제에 연루되었고, 공산주의 프락치 혐의로 수배령이 내려져 잠적했다. 1950년 5월 30일 열린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한국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사천군 선거구에 다시 출마했으나, 무소속 정헌주 후보에게 패배하여 낙선했다. 이후 백성욱 내무부 장관의 특명으로 서울 중부경찰서에 체포되었다.
6.25 전쟁 발발 직후 북한군에게 체포되어 성남호텔에 연금되었다. 유엔군의 반격으로 북한군이 후퇴할 당시 풀려나 해인사로 돌아왔다. 해인사 주지로 있던 중, 백련암에 침입한 남도부가 이끄는 약 200명의 공비를 설득하여 해인사와 팔만대장경을 지켜냈다. 1951년에는 해인중·고등학교를 설립했으며, 1952년에는 국민대학관을 해인사로 옮겨 해인대학으로 개편하고 이사장 겸 학장을 맡았다.
1954년 5월, 이승만 대통령의 불교정화유시 발표 이후 5월 26일 해인대학 운영과 관련하여 횡령 혐의로 구속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그 이전에 이승만 제거를 위한 혁명 계획을 세웠다는 기록도 있다.)
1960년 7월 29일 제5대 참의원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1962년 3월 다솔사에서 원효 사상을 기반으로 한 원효불교교단을 선포하고, 원효학 연구와 다도(茶道) 보급에 힘썼다. 다솔사 대웅전 뒤편에 직접 차나무를 심어 차밭을 가꾸기도 했다. 1968년 9월에는 부산 대각사 관련 횡령 혐의로 부산교도소에 6일간 구금되었다.
1969년 12월 16일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1979년 7월 10일 서울 정릉 보현암에서 숙환으로 입적했으며, 유해는 다솔사에 부도로 봉안되었다. 사후 1986년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고,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3. 논란
3. 1. 친일 의혹
임혜봉이 저술한 <친일승려 108인>에서는 최범술의 행적 중 일부를 친일 행위로 지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가 문제로 제기되었다.3. 2. 친일 의혹 반론
김상현 동국대 교수는 최범술이 1934년 5월부터 1937년 6월까지 세 차례나 검거될 정도로 일제의 주목을 받는 인물이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위문사 참여를 거절하는 것은 만당(卍黨)의 존립 자체를 위태롭게 할 수 있었기에, 항일운동의 '위장전략'으로서 부득이하게 참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김 교수는 최범술이 중국 방문 기간 동안 친일적인 언행이나 사건에 연루된 기록이 전혀 없다는 점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채정복 원장은 일제강점기 당시 해인사 주지로 이고경 스님, 직지사 주지로 김봉률 스님과 같이 독립운동에 기여한 인물들도 31본산의 주지를 역임한 사례가 있음을 언급했다. 이를 근거로, 최범술이 단지 다솔사라는 말사(末寺)의 주지를 지냈다는 사실만으로 친일 행위를 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기묘 다솔사 하안거법회의 경우, 최범술이 일본 유학 시절부터 알고 지낸 일본 천태종 스님 사카토 치카이와의 개인적인 인연으로 성사된 행사라는 점이 강조된다. 사카토 치카이는 관동대지진 당시 일본 자경단에게 쫓기던 최범술을 자신의 사찰 불단 밑에 숨겨주었으며, 최범술이 구속되었을 때 면회와 신원보증을 서주기도 했던 인물이다. 김광식 동국대 특임교수는 이 법회가 일각의 주장과는 달리 친일 행사와는 관련이 없으며, 순수한 학술대회의 성격이 강했다고 평가했다. 최범술 본인 또한 생전에 "일제의 침략전쟁이 치열해지던 가운데서도 두 나라의 불교계는 화기애애하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서로 지키려 했다"고 회고한 바 있다.
4. 약력
연도 | 내용 |
---|---|
1925년 3월 | 일본 동경 릿쇼(立正) 중학교 졸업 |
1930년 3월 | 일본 다이쇼(大正) 대학 예과 수료 |
1933년 3월 | 일본 다이쇼(大正) 대학 불교학과 졸업 |
1933년 ~ 1934년 | 명성여자학교·광명학원 설립 |
1936년 | 다솔사 불교전수강원 설립 |
1945년 | 조선불교 중앙총무원 총무부장 |
1947년 | 해안사 주지 |
1947년 | 국민대학 설립 |
1948년 5월 10일 | 제헌 국회의원 (경남 사천) |
1951년 ~ 1952년 | 해인중고, 해인대학 설립 |
5. 저서
- 《한국차생활사》
-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하나》
- 《한국의 다도》
6. 최범술이 등장한 작품
7. 가족 관계
wikitext
관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조부 | 최경락(崔景洛) | 1820 ~ ? | |
조모 | 여산 송씨(礪山宋氏) | 1820 ~ 1885 | |
부 | 최종호(崔鐘浩) | 1861 ~ 1931 | |
모 | 광산 김씨(光山金氏) | 1871 ~ ? | |
처 | 박정임(朴正任) | 1924 ~ 1964 | |
장녀 | 최연경(崔連卿) | 1943 ~ | 박정임 소생 |
차녀 | 최채경(崔埰卿) | 1949 ~ | 박정임 소생 |
후처 | 채정복(蔡貞福) | 1946 ~ | |
자 | 최화정(崔和丁) | 1972 ~ | 채정복 소생 |
삼녀 | 최화인(崔和人) | 1974 ~ | 채정복 소생 |
8.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결과 | 비고 |
---|---|---|---|---|---|---|---|---|---|
1948 | 총선 | 1대 | 국회의원 | 경남 사천군 | 무소속 | 16,685표 (34.96%) | 1위 | 당선 | 초선 |
1950 | 총선 | 2대 | 국회의원 | 경남 사천군 | 대한국민당 | 3,430표 (7.17%) | 6위 | 낙선 | |
1960 | 총선 | 5대 | 참의원 | 경상남도 선거구 | 민주당 | 96,438표 (6.28%) | 16위 | 낙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