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부트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부트주는 아르헨티나의 남부에 위치한 주로, 파타고니아 지역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수천 년 동안 테우엘체족이 거주했으며, 17세기와 18세기에는 스페인 선교사들이, 1865년에는 웨일스인들이 정착했다. 1884년 아르헨티나가 추부트 국립 영토를 조직하면서 루이스 폰타나가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20세기 후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인구 이동이 있었고, 석유, 어업, 양 목축업, 관광업 등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추부트주는 안데스 산맥, 중앙 평원, 해안 지역으로 나뉘며,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주요 관광지로는 발데스 반도, 푼타 톰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부트주 - 라우손
    라우손은 1865년 웨일스계 이민자들이 건설한 아르헨티나 추부트 주의 도시이며, 1885년부터 이탈리아인들이 정착했고, 냉대 사막 또는 반사막 기후에 속하며 어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아르헨티나의 주 - 코리엔테스주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위치한 코리엔테스주는 파라나 강과 우루과이 강으로 둘러싸여 과라니족의 역사와 독립 전쟁 참여, 다양한 산업 발달, 야시레타 댐을 통한 에너지 생산, 차마메 음악의 발상지, 이베라 습지와 음부루쿠야 국립공원 등의 풍부한 자연, 그리고 과라니어 공용어 채택 등 다채로운 특징을 지닌 지역이다.
  • 아르헨티나의 주 - 멘도사주
    멘도사주는 아르헨티나 서부에 위치하며 안데스 산맥과 쿠요 평원을 포함하고, 와인 생산, 관광, 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칠레와 국경을 접한다.
  • 아르헨티나의 행정 구역 -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자치시로, 16세기 건설과 재건을 거쳐 아르헨티나 독립의 중심지였으며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남미 최대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여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자랑한다.
  • 아르헨티나의 행정 구역 - 코리엔테스주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위치한 코리엔테스주는 파라나 강과 우루과이 강으로 둘러싸여 과라니족의 역사와 독립 전쟁 참여, 다양한 산업 발달, 야시레타 댐을 통한 에너지 생산, 차마메 음악의 발상지, 이베라 습지와 음부루쿠야 국립공원 등의 풍부한 자연, 그리고 과라니어 공용어 채택 등 다채로운 특징을 지닌 지역이다.
추부트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데스 산맥의 푸탈라우프켄 호수
푸탈라우프켄 호수
추부트 주 깃발
깃발
추부트 주 문장
문장
아르헨티나 내 추부트 주 위치
아르헨티나 내 추부트 주의 위치
행정
국가아르헨티나
주도라우손
하부 행정 구역데파르트멘토 15개
자치체 및 코뮌47개
주지사이그나시오 토레스 (PRO)
부주지사구스타보 메나 (UCR)
입법부의원 27명
국민 하원 의원5명 (목록)
국민 상원 의원카를로스 리나레스 (FDT), 에디트 테렌지 (JXC), 안드레아 크리스티나 (JXC)
면적
총 면적224,686 km² (3위)
인구
총 인구 (2022년)603,120 명 (18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통계chubutense (추부트 사람)
경제
GDP 총액US$ 72억 달러
1인당 GDPUS$ 11,500 달러
시간대
시간대ART
UTC 오프셋-3
기타 정보
ISO 3166-2AR-U
언어스페인어 (공식어), 웨일스어 (공동 공식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인간 개발 지수 (2021년)0.858 (매우 높음, 3위)

2. 역사



스페인 사람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기 전, 수천 년 동안 파타고니아 지역에는 유목 생활을 하던 토착 테우엘체족이 거주했다.[4] 그들은 사냥과 채집을 하며 계절에 따라 동물을 따라 이동하며 생활했다.

17세기와 18세기에 스페인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와서 발데스 반도에 산 호세 요새를 세웠다. 하지만 토착민들이 나중에 파괴했다.

1865년, 웨일스인들이 ''미모사''를 타고 추부트에 도착하여 추부트 계곡에 정착했다.[5] 이 지역은 1881년까지 칠레아르헨티나 간의 분쟁 지역이었다. 칠레는 이미 페루 및 볼리비아와 전쟁 중이었던 태평양 전쟁에 아르헨티나가 참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다.

사막 정복의 일환으로, 아르헨티나는 마지막 토착 부족장인 이나카얄이 정부군에 항복한 후 1884년 추부트 국립 영토를 조직했다. 루이스 폰타나가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20세기 초, 보어 전쟁 이후 일부 보어인들이 사르미엔토 마을과 인근 다른 마을에 소규모로 정착했다.

1895년부터 1915년까지 수백 명의 스페인 및 이탈리아 출신 이민자들이 추부트 계곡 하류에 정착했으며, 백 명 이상의 칠레인도 정착했다.[6]

1944년, 추부트 남부와 산타크루스주 북부는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군사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이 구역은 1955년에 해체되었고, 추부트는 주로 선포되었다. 1950년대의 연구에서 이 지역의 광물 자원이 밝혀졌으며, 정부는 이를 개발하려 노력했다.

20세기 후반의 인구 이동, 특히 부에노스아이레스로부터의 이동으로 인해 인구가 1970년 190,000명에서 1991년 357,000명, 2001년 413,237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정부는 이곳으로의 재정착을 장려해 왔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주요 도시에 거주한다. 그들은 또한 추부트 강을 따라 정착했다. 대부분 지역의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당 1명 미만이다.

2. 1. 원주민 시대

스페인 사람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기 전, 수천 년 동안 파타고니아 지역에는 유목 생활을 하던 토착 테우엘체족이 거주했다.[4] 그들은 사냥과 채집을 하며 계절에 따라 동물을 따라 이동했다.

17세기와 18세기에 스페인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와서 발데스 반도에 산 호세 요새를 세웠으나, 토착민들이 나중에 파괴했다. 1865년, 웨일스인들이 ''미모사''를 타고 추부트에 도착하여 추부트 계곡에 정착했다.[5] 이 지역은 1881년까지 칠레와 아르헨티나 간의 분쟁 지역이었으나, 칠레가 태평양 전쟁에 아르헨티나가 참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다.

사막 정복의 일환으로, 아르헨티나는 1884년 추부트 국립 영토를 조직했고, 루이스 폰타나가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20세기 초, 보어 전쟁 이후 일부 보어인들이 사르미엔토와 인근 마을에 소규모로 정착했다. 1895년부터 1915년까지 수백 명의 스페인 및 이탈리아 출신 이민자들과 백 명 이상의 칠레인도 추부트 계곡 하류에 정착했다.[6]

2. 2. 스페인 식민 시대와 웨일스 이민

스페인 사람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기 전, 유목 생활을 하던 토착 테우엘체족이 수천 년 동안 파타고니아 지역에 거주했다.[4] 그들은 사냥과 채집을 하며 살았고, 계절에 따라 동물을 따라 이동하며 생활했다. 17세기와 18세기에 스페인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와서 발데스 반도에 산 호세 요새를 세웠으나, 토착민들이 나중에 파괴했다.

1865년, 웨일스인들이 ''미모사''를 타고 추부트에 도착하여 추부트 계곡에 정착했다.[5] 이 지역은 1881년까지 칠레와 아르헨티나 간의 분쟁 지역이었다. 칠레는 태평양 전쟁에 아르헨티나가 참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다.

사막 정복의 일환으로, 아르헨티나는 1884년 추부트 국립 영토를 조직했고, 루이스 폰타나가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보어 전쟁 이후 20세기 초, 일부 보어인들이 사르미엔토 마을과 인근 다른 마을에 소규모로 정착했다. 1895년부터 1915년까지 수백 명의 스페인 및 이탈리아 출신 이민자들이 추부트 계곡 하류에 정착했으며, 백 명 이상의 칠레인도 정착했다.[6]

1944년, 추부트 남부와 산타크루스 북부는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군사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이 구역은 1955년에 해체되었고, 추부트는 주로 선포되었다. 1950년대의 연구에서 이 지역의 광물 자원이 밝혀졌으며, 정부는 이를 개발하려 노력했다. 아르헨티나 지질학회 설립자 빅토리오 안젤렐리는 추부트주의 광물 자원 연구를 통해 경제 개발을 위한 자원을 확인했다.

20세기 후반의 인구 이동, 특히 부에노스아이레스로부터의 이동으로 인해 인구가 1970년 190,000명에서 2001년 413,237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정부는 이곳으로의 재정착을 장려해 왔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주요 도시에 거주하며, 추부트 강을 따라 정착하기도 했다. 대부분 지역의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당 1명 미만이다.

2. 3. 아르헨티나 독립 이후

스페인 사람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기 전, 유목 생활을 하던 토착 테우엘체족이 수천 년 동안 파타고니아 지역에 거주했다.[4] 17세기와 18세기에 스페인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와서 발데스 반도에 산 호세 요새를 세웠으나, 토착민들이 나중에 파괴했다.

1865년, 웨일스인들이 ''미모사''를 타고 추부트에 도착하여 추부트 계곡에 정착했다.[5] 이 지역은 1881년까지 칠레아르헨티나 간의 분쟁 지역이었다. 칠레는 태평양 전쟁에 아르헨티나가 참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다.

사막 정복의 일환으로, 아르헨티나는 1884년 추부트 국립 영토를 조직했고, 루이스 폰타나가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20세기 초, 보어 전쟁 이후 일부 보어인들이 사르미엔토 마을과 인근 다른 마을에 소규모로 정착했다. 1895년부터 1915년까지 수백 명의 스페인 및 이탈리아 출신 이민자들이 추부트 계곡 하류에 정착했으며, 백 명 이상의 칠레인도 정착했다.[6]

1944년, 추부트 남부와 산타크루스주 북부는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군사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이 구역은 1955년에 해체되었고, 추부트는 주로 선포되었다. 1950년대의 연구에서 이 지역의 광물 자원이 밝혀졌으며, 정부는 이를 개발하려 노력했다.

20세기 후반, 특히 부에노스아이레스로부터의 인구 이동으로 인해 인구가 190,000명 (1970년)에서 357,000명 (1991년), 413,237명 (2001년)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정부는 이곳으로의 재정착을 장려해 왔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주요 도시에 거주하며, 추부트 강을 따라 정착하기도 했다. 대부분 지역의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당 1명 미만이다.

2. 4. 20세기 이후의 발전

스페인 사람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기 전, 유목 생활을 하던 토착 테우엘체족이 수천 년 동안 파타고니아 지역에 거주했다.[4] 17세기와 18세기에 스페인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왔으나, 발데스 반도에 세운 산 호세 요새는 토착민들에 의해 파괴되었다. 1865년, 웨일스인들이 ''미모사''를 타고 추부트에 도착하여 추부트 계곡에 정착했다.[5] 1881년까지 이 지역은 칠레와 아르헨티나 간의 분쟁 지역이었으나, 칠레는 태평양 전쟁에 아르헨티나가 참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다.

사막 정복의 일환으로, 아르헨티나는 1884년 추부트 국립 영토를 조직하고 루이스 폰타나를 주지사로 임명했다. 20세기 초, 보어 전쟁 이후 일부 보어인들이 사르미엔토 마을과 인근 다른 마을에 소규모로 정착했다. 1895년부터 1915년까지 수백 명의 스페인 및 이탈리아 출신 이민자들과 백 명 이상의 칠레인도 추부트 계곡 하류에 정착했다.[6]

1944년, 추부트 남부와 산타크루스 북부는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군사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이 구역은 1955년에 해체되었고, 추부트는 주로 선포되었다. 1950년대의 연구에서 아르헨티나 지질학회 설립자 빅토리오 안젤렐리 등에 의해 이 지역의 광물 자원이 밝혀졌으며, 정부는 이를 개발하려 노력했다.

20세기 후반, 특히 부에노스아이레스로부터의 인구 이동으로 인해 인구가 1970년 190,000명에서 1991년 357,000명, 2001년 413,237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정부는 이곳으로의 재정착을 장려해 왔으며, 대부분의 주민들은 주요 도시나 추부트 강을 따라 정착했다. 대부분 지역의 인구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당 1명 미만이다.

3. 지리

3. 1. 안데스 산맥 지역

추부트주는 대서양에서 안데스 산맥까지 뻗어 있으며 안데스, 중앙 평원, 해안 지역의 3개의 뚜렷한 환경 지역을 가지고 있다.[10] 추부트주에서 가장 서쪽에 위치한 안데스 산맥은 대부분 칠레 국경을 따라 뻗어 있다. 추부트주 안데스 산맥은 대부분의 봉우리가 평균 1500m에서 2000m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남쪽 지역에서는 고도가 낮아진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촐릴라 호 동쪽에 위치한 세로 도스 피코스로, 높이는 2515m이다. 이 주의 안데스 산맥은 제3기 기원으로, 동서 방향으로 넓고 깊은 횡단 계곡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계곡들은 빙하 호수와 산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강으로 채워져 있으며, 대부분 안데스 산맥이 형성되기 전에 존재했다. 주로 주 서부에 위치한 호수들은 빙하 기원으로, 최후 빙하기 동안 빙하의 움직임으로 인해 광대한 지역의 함몰부가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오늘날의 호수가 되었다.

3. 2. 중앙 고원 지대

3. 3. 해안 지대

3. 4. 기후

쾨펜 기후 지도, 추부트주, 아르헨티나


촐릴라 호수


로스 알타레스


|thumb|225px|에스켈 마을

안데스 산맥은 태평양에서 오는 습한 바람을 상승시켜 대부분의 습기가 안데스 산맥 서쪽에 비로 내리게 하여, 주의 안데스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건조하다.[11] 안데스 지역은 높은 고도와 태평양 바람의 영향으로 위도에 비해 춥고, 산봉우리는 보통 일년 내내 눈으로 덮여 있다. 이 지역 강수량은 700mm에서 일부 지역에서는 2500mm 이상이다.

주의 중앙부는 덥고 맑은 여름과 추운 겨울을 보이며 연간 평균 200mm의 강수량을 보이는 건조 기후를 나타내고, 일년 내내 바람이 많이 분다. 해안은 덥지만 짧은 여름과 추운 겨울을 가진 건조 또는 반건조 기후를 보이며, 연평균 기온이 가장 높은 온화한 지역이다. 해안 지역 기후는 북쪽의 온대 기후와 남쪽의 더 추운 기후 사이의 전환기적 성격을 띤다. 여름은 특히 북쪽에서 오는 아열대 공기와 따뜻한 브라질 해류의 지류가 46°까지 주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남쪽의 산타 크루스 주보다 훨씬 더 따뜻하다.해양 순환과 기후/Ocean Circulation and Climate영어, 2013년, p=316 남반구에는 육지가 거의 없어 대부분의 한랭 전선은 태평양을 지나면서 완화되어, 추운 기온은 북반구만큼 극단적이지 않다. 파타고니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기후는 일년 내내 강한 바람이 특징이며, 이는 높은 증발산으로 이어져 주의 대부분이 건조하게 되는 또 다른 요인이 된다.

추부트주 서부 지역은 해발고도가 높아 연평균 기온이 8℃로 가장 춥고, 해안 지역은 연평균 기온이 12~14℃로 가장 따뜻하다. 추부트주 중부 지역은 해안 지역보다 해발고도가 높아 연평균 기온이 10~12℃이다. 겨울철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은 북부 지역에서는 6~7℃에서 남부 지역에서는 4~7℃이다. 안데스 산맥의 평균 기온은 0℃에 가까울 수 있다. 북반구와 달리 대부분의 한랭 기단이 태평양에서 발생하여 찬 공기를 완화하므로 극심한 저온 현상은 드물지만, 때때로 남극에서 유입되는 한랭 기단은 해양의 영향을 받지 않아 매우 추운 기온을 나타낸다. 여름철에는 겨울철보다 온도 변화가 크다. 북부 지역은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이 20℃ 이상인 반면, 남부 지역은 북쪽의 아열대 공기의 영향으로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7~19℃이다. 추부트주에서 가장 서쪽 지역은 여름철에 평균 14℃로 가장 시원하다. 추부트주 중부 지역은 여름철에는 40℃ 이상, 겨울철에는 -20℃ 이하로 가장 극심한 기온 변화를 보인다. 추부트주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사르미엔토에서 -33℃였다.

상대 습도 값은 주 전역에서 크게 변동하지 않으며 그 차이도 크지 않다. 해안 지역의 평균 상대 습도는 약 70%인 반면, 주 나머지 지역은 약 50%~60%이다. 예외는 안데스 산맥의 고도가 높은 추운 지역으로, 습도가 상당히 높다. 여름철에는 습도가 비교적 낮다.

안데스 산맥이 태평양에서 유입되는 습기를 대부분 차단하여 서쪽 경사면에 강수량을 대부분 쏟아내기 때문에, 주의 대부분 지역은 건조하며 연평균 강수량은 200mm 미만이다. 주의 중앙 지역의 일부 지역은 연간 강수량이 100mm 미만이다. 안데스 지역에서는 칠레 국경 방향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증가하며, 강수량은 700mm에서 3000mm 이상에 이른다. 안데스 지역에서 동쪽의 건조한 스텝 지역 사이에는 칠레 중부와 유사한 지중해성 강수 패턴, 즉 여름에는 건조하고 겨울에는 습한 기후가 나타난다. 강수량은 주 전역에서 크게 다를 수 있지만, 모든 지역에서 강수량은 겨울철에 더 높다. 뇌우는 드물며, 오직 여름에만 발생한다.

추부트주의 기후를 정의하는 특징 중 하나는 강한 바람이며, 이는 수분 증발을 촉진하여 주 대부분을 건조하게 만든다. 대부분의 바람은 서쪽, 서남쪽 또는 북서쪽에서 불어오지만, 여름철 해안 지역에서는 서풍이 약해지면 해풍이 형성되어 해안에서 최대 10km까지 동풍이 불어올 수 있다. 평균 풍속은 6m/s이며, 남부 지역에서는 평균 9m/s 이상으로 더 높은 풍속이 기록된다. 고도가 높은 지역은 고도가 낮은 지역보다 바람이 더 많이 불어 안데스 지역이 해안 지역보다 더 바람이 많이 분다. 파타고니아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여름이 겨울보다 바람이 더 강한 경향이 있다.

주의 일조량은 북-남 방향으로 변화하며(북쪽에서 남쪽으로 감소), 특히 여름철에는 주의 북부 지역이 하루 10시간의 일조량을 받는 반면 남부 지역은 8시간의 일조량을 받는다. 겨울철에는 주가 하루 4–5시간의 일조량을 받는다.

4. 경제

추부트 주의 경제는 오랫동안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번영한 경제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다변화되지 않은 경제 중 하나이다. 2006년 생산량의 거의 4분의 1(46억 5,200만 달러, 1인당 소득 11,256달러)이 광업과 석유 부문에서 발생했다.[7] 이 부문의 기여(대부분 코모도로 리바다비아를 중심으로)는 2011년 추부트 주가 1인당 생산량 기준으로 전국 4위를 차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25,250달러에 달했다.

== 석유 및 천연가스 산업 ==

석유 정제는 이 주의 주요 경제 활동이며, 아르헨티나 석유 생산량의 13%를 차지한다(대부분 해상). 2014년 5월 21일, YPF의 미겔 갈루치오와 추부트 주지사 마틴 부찌는 골포 산 호르헤 분지의 초기 백악기 D-129 지층의 파쇄 우물에서 추부트 주 최초의 비전통 석유 및 가스 발견을 발표했다.[8]

== 어업 ==

추부트 주는 전국 어획량의 21%를 생산한다.

== 양 목축업 ==

목축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양모의 합성 대체재가 등장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고, 아르헨티나의 정치적 불안정과 자연 재해로 인한 피해로 인해 더욱 쇠퇴했다. 1990년까지에 비해 21세기에는 생산성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지만, 지역 수준에서는 여전히 중요하다. 그러나 2002년 이후 양모 생산량은 증가하여 2006년에는 총 71,000톤에 달했다.[9]

== 관광 산업 ==

관광 산업 또한 성장하고 있다. 주요 관광 명소는 발데스 반도와 푼타 톰보, 푼타 님파스를 비롯한 다른 해양 야생동물 보호 구역으로, 이곳에서는 남방긴수염고래, 바다사자, 코끼리해표, 펭귄, 범고래 등 다양한 동물들을 볼 수 있다. 푼타 톰보 지역에는 마젤란펭귄의 대규모 번식지가 있다.

더 남쪽, 인구 밀도가 낮은 산 호르헤 만의 해변에는 특이한, 날지 못하는 추부트 증기오리를 관찰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장소가 있다. 안데스 산맥 지역의 로스 알레르세스 국립공원, 에스켈 인근의 인상적인 호수와 하이킹 코스 또한 매년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폴 서루에 의해 유명해진 오래된 증기 기관차 '올드 파타고니아 익스프레스'(일명 ''라 트로치타'')는 에스켈로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며, ''라 호야'' 스키장도 인기가 높다. 사르미엔토 인근의 규화목은 세계에서 가장 큰 화석 나무가 있는 150 km2 규모의 공원이다.

4. 1. 석유 및 천연가스 산업

추부트 주의 경제는 오랫동안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번영한 경제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다변화되지 않은 경제 중 하나이다. 2006년 생산량의 거의 4분의 1(46억 5,200만 달러, 1인당 소득 11,256달러)이 광업과 석유 부문에서 발생했다.[7] 2011년 추부트 주는 1인당 생산량 기준으로 전국 4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25,250달러에 달했다. 코모도로 리바다비아를 중심으로 한 이 부문의 기여가 컸다.

석유 정제는 이 주의 주요 경제 활동이며, 아르헨티나 석유 생산량의 13%를 차지한다(대부분 해상).[8] 2014년 5월 21일, YPF의 미겔 갈루치오와 추부트 주지사 마틴 부찌는 골포 산 호르헤 분지의 초기 백악기 D-129 지층의 파쇄 우물에서 추부트 주 최초의 비전통 석유 및 가스 발견을 발표했다.[8] 추부트 주는 전국 어획량의 21%를 생산한다.

목축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양모의 합성 대체재가 등장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고, 아르헨티나의 정치적 불안정과 자연 재해로 인한 피해로 인해 더욱 쇠퇴했다. 1990년까지에 비해 21세기에는 생산성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지만, 지역 수준에서는 여전히 중요하다. 그러나 2002년 이후 양모 생산량은 증가하여 2006년에는 총 71,000톤에 달했다.[9]

4. 2. 어업

추부트 주의 경제는 오랫동안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번영한 경제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다변화되지 않은 경제 중 하나이다. 2006년 생산량의 거의 4분의 1(46억 5,200만 달러, 1인당 소득 11,256달러로 추정)이 광업과 석유 부문에서 발생한다.[7] 이 부문의 기여(대부분 코모도로 리바다비아를 중심으로)는 2011년 추부트 주가 1인당 생산량 기준으로 전국 4위를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석유 정제는 이 주의 주요 경제 활동이며, 아르헨티나 석유 생산량의 13%를 차지한다(대부분 해상).[8] 추부트 주는 전국 어획량의 21%를 생산한다.

목축업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양모의 합성 대체재가 등장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아르헨티나의 정치적 불안정과 자연 재해로 인한 피해로 인해 더욱 쇠퇴했지만, 2002년 이후 양모 생산량은 증가하여 2006년에는 총 71,000톤에 달했다.[9]

4. 3. 관광 산업

관광 산업 또한 성장하고 있다. 주요 관광 명소는 발데스 반도와 푼타 톰보, 푼타 님파스를 비롯한 다른 해양 야생동물 보호 구역으로, 이곳에서는 남방긴수염고래, 바다사자, 코끼리해표, 펭귄, 범고래 등 다양한 동물들을 볼 수 있다. 푼타 톰보 지역에는 마젤란펭귄의 대규모 번식지가 있다.[12]

더 남쪽, 인구 밀도가 낮은 산 호르헤 만의 해변에는 특이한, 날지 못하는 추부트 증기오리를 관찰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장소가 있다. 안데스 산맥 지역의 로스 알레르세스 국립공원, 에스켈 인근의 인상적인 호수와 하이킹 코스 또한 매년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폴 서루에 의해 유명해진 오래된 증기 기관차 '올드 파타고니아 익스프레스'(일명 ''라 트로치타'')는 에스켈로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며, ''라 호야'' 스키장도 인기가 높다. 사르미엔토 인근의 규화목은 세계에서 가장 큰 화석 나무가 있는 150 km2 규모의 공원이다.

4. 4. 양 목축업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양모의 합성 대체재가 등장하면서 양 목축업 부문은 큰 타격을 입었다.[9] 아르헨티나의 정치적 불안정과 자연 재해로 인한 피해로 인해 더욱 쇠퇴했다.[9] 그러나 2002년 이후 양모 생산량은 증가하여 2006년에는 총 71,000톤에 달했다.[9] 1990년까지에 비해 21세기에는 생산성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지만, 지역 수준에서는 여전히 중요하다.

5. 교통

wikitext

국도 제3호는 해안선을 따라 부에노스 아이레스까지, 그리고 티에라델푸에고까지 이어진다. 국도 제25호는 추부트주를 동서로 가로질러 트레레우와 에스켈을 연결하지만, 노선의 절반은 아직 포장되지 않았다. 부에노스 아이레스와 산타 크루스 주의 여러 지역으로 가는 정기 장거리 버스가 하루에 여러 번 운행된다. 추부트주 내의 도시로 가는 단거리 버스는 하루에 최소 한 번 운행된다. 또한 여름에는 25번 노선에 매일 버스가 운행된다.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2번 노선, 푸에르토 피라미데스와 발데스 반도에서 출발
  • 3번 노선, 트레레우와 코모도로 리바다비아를 경유하는 남북 노선
  • 26번 노선, 코모도로 리바다비아에서 서쪽으로 223 km
  • 20번 노선, 호세 데 산 마르틴까지 북쪽으로 178 km
  • 22번 노선, 페리토 모레노(산타 크루스 주)에서 북쪽으로 125 km
  • 25번 노선, 트레레우에서 서쪽으로 341 km
  • 62번 노선, 테카에서 40번 노선에 합류하기 위해 서쪽으로 166 km
  • 40번 노선, 에스켈을 경유하여 카베자 델 인디오까지 북쪽으로 266 km
  • 30번 노선, 3번 노선에서 카마로네스 해안까지 동쪽으로 73 km
  • 259번 노선, 에스켈에서 칠레로 서쪽으로


발마세다와 코이하이케 알토를 포함하여 칠레의 아이센 지역으로 가는 다른 4개의 도로가 있으며, 코르코바도에서 팔레나로, 에스켈에서 트레벨린을 거쳐 푸탈레우푸로 가는 칠레의 "로스라고스" 지역으로 가는 2개의 도로가 있다.

트레레우 공항(IATA '''REL''')은 부에노스 아이레스와 엘 칼라파테를 오가는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공항(헤네랄 엔리케 모스코니 국제공항), 라우손, 에스켈에도 공항이 있다.

5. 1. 도로

국도 제3호는 해안선을 따라 부에노스 아이레스까지, 그리고 티에라델푸에고까지 이어진다. 국도 제25호는 추부트주를 동서로 가로질러 트레레우와 에스켈을 연결하지만, 노선의 절반은 아직 포장되지 않았다. 부에노스 아이레스와 산타 크루스 주의 여러 지역으로 가는 정기 장거리 버스가 하루에 여러 번 운행된다. 추부트주 내의 도시로 가는 단거리 버스는 하루에 최소 한 번 운행된다. 또한 여름에는 25번 노선에 매일 버스가 운행된다.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 2번 노선, 푸에르토 피라미데스와 발데스 반도에서 출발
  • 3번 노선, 트레레우와 코모도로 리바다비아를 경유하는 남북 노선
  • 26번 노선, 코모도로 리바다비아에서 서쪽으로 223 km
  • 20번 노선, 호세 데 산 마르틴까지 북쪽으로 178 km
  • 22번 노선, 페리토 모레노(산타 크루스 주)에서 북쪽으로 125 km
  • 25번 노선, 트레레우에서 서쪽으로 341 km
  • 62번 노선, 테카에서 40번 노선에 합류하기 위해 서쪽으로 166 km
  • 40번 노선, 에스켈을 경유하여 카베자 델 인디오까지 북쪽으로 266 km
  • 30번 노선, 3번 노선에서 카마로네스 해안까지 동쪽으로 73 km
  • 259번 노선, 에스켈에서 칠레로 서쪽으로


발마세다와 코이하이케 알토를 포함하여 칠레의 아이센 지역으로 가는 다른 4개의 도로가 있으며, 코르코바도에서 팔레나로, 에스켈에서 트레벨린을 거쳐 푸탈레우푸로 가는 칠레의 "로스라고스" 지역으로 가는 2개의 도로가 있다.

5. 2. 항공

트레레우 공항(IATA '''REL''')은 부에노스 아이레스와 엘 칼라파테를 오가는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공항(헤네랄 엔리케 모스코니 국제공항), 라우손, 에스켈에도 공항이 있다.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번호경로
2번 노선푸에르토 피라미데스와 발데스 반도에서 출발
3번 노선트레레우와 코모도로 리바다비아를 경유하는 남북 노선
26번 노선코모도로 리바다비아에서 서쪽으로 (223 km)
20번 노선호세 데 산 마르틴까지 북쪽으로 178 km
22번 노선페리토 모레노(산타 크루스 주)에서 북쪽으로 125 km
25번 노선트레레우에서 서쪽으로 (341 km)
62번 노선테카에서 40번 노선에 합류하기 위해 서쪽으로 166 km
40번 노선에스켈을 경유하여 카베자 델 인디오까지 북쪽으로 266 km
30번 노선3번 노선에서 카마로네스 해안까지 동쪽으로 73 km
259번 노선에스켈에서 칠레로 서쪽으로



국도 제3호는 해안선을 따라 부에노스 아이레스까지, 그리고 티에라델푸에고까지 이어진다. 국도 제25호는 추부트주를 동서로 가로질러 트레레우와 에스켈을 연결하지만, 노선의 절반은 아직 포장되지 않았다. 부에노스 아이레스와 산타 크루스 주의 여러 지역으로 가는 정기 장거리 버스가 하루에 여러 번 운행된다. 추부트주 내의 도시로 가는 단거리 버스는 하루에 최소 한 번 운행된다. 또한 여름에는 25번 노선에 매일 버스가 운행된다.

발마세다와 코이하이케 알토를 포함하여 칠레의 아이센 지역으로 가는 다른 4개의 도로가 있으며, 코르코바도에서 팔레나로, 에스켈에서 트레벨린을 거쳐 푸탈레우푸로 가는 칠레의 "로스라고스" 지역으로 가는 2개의 도로가 있다.

6. 행정 구역



추부트 주는 15개의 부서 (departamentoses)로 나뉜다.

이름지도 번호수도면적 (km2)2000년 인구2010년 인구
비에드마15푸에르토 마드린12,94058,67782,883
쿠슈아멘1쿠슈아멘16,25017,13420,919
에스칼란테2코모도로 리바다비아14,015143,689186,583
플로렌티노 아메기노3카마로네스16,0881,4841,627
푸탈레우푸4에스켈9,43537,54043,076
가이만5가이만11,0769,61211,141
가스트레6가스트레16,3351,5081,427
랑기네오7테카15,3393,0173,085
마르티레스8라스 플루마스15,445977778
파소 데 인디오스9파소 데 인디오스22,3001,9051,867
라손10라손3,922115,829131,313
리오 센구에르11알토 리오 센구에르22,3356,1945,979
사르미엔토12사르미엔토14,5638,72411,396
테우엘체스13호세 데 산 마르틴14,7505,1595,390
텔센14텔센19,8931,7881,644
'추부트주 전체'라손224,686413,237509,108


7. 문화

7. 1. 웨일스 문화

7. 2. 원주민 문화

8. 인물

9. 기타

9. 1. 매체

추부트 주의 주요 신문은 다음과 같다.

  • 코모도로 리바다비아: ''크로니카''(Crónica), ''엘 파타고니코''(El Patagónico)
  • 에스켈: ''엘 오에스테''(El Oeste)
  • 푸에르토 마드린: ''엘 디아리오 데 마드린''(El Diario de Madryn)
  • 트레르: ''엘 추부트''(El Chubut), ''호르나다''(Jornada)
  • 1891년부터 발행된 웨일스어 신문 ''이 드라포드/Y Drafodcy''


온라인 저널리즘은 추부트 주에서 성장하고 있다. 6개의 인쇄 신문이 온라인 판을 가지고 있으며, 24시간마다 업데이트된다. Infochubut.com과 같은 새로운 디지털 매체는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및 사진을 뉴스에 활용하고, 대중 참여를 위한 포럼을 제공한다. 추부트 주 북서부의 일부 라디오 방송국은 라디오 방송에서 진행된 인터뷰를 온라인에 게시하기 시작했다.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에는 AM 라디오 방송국이 있으며, 트레르의 추부트 라디오와 쓰리 라디오, 푸에르토 마드린의 골포 누에보 라디오, 코모도로 리바다비아와 에스켈의 국립 라디오 등이 있다. 또한 전국 중앙 사무소에서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여러 FM 라디오 방송국도 있다.

추부트주 정부는 주 전역을 관할하는 TV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트레레우, 코모도로리바다비아, 에스켈, 푸에르토마드린 및 몇몇 소도시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네트워크에서 송출되는 프로그램 외에 자체 지역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지역 TV 방송국들이 있다.

9. 2. 스포츠

9. 3. 교육

추부트주는 로마 가톨릭 코모도로 라바다비아 교구에 속한다. 성 요한 보스코에게 헌정된 대성당은 코모도로 라바다비아에 있다.

파타고니아 산 후안 보스코 국립 대학교(Universidad Nacional de la Patagonia San Juan Bosco)는 코모도로 라바다비아에 본교를 두고 있으며, 에스켈, 트레레우, 푸에르토 마드린, 그리고 우수아이아, 티에라델푸에고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플라야 우니온 광생물학 연구소(Estación de Fotobiología Playa Unión)는 플라야 우니온 마을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uevos datos provisorios del Censo 2022: Argentina tiene 46.044.703 habitantes https://www.infobae.[...] Infobae 2023-01-31
[2] 웹사이트 TelluBase—Argentina Fact Sheet (Tellusant Public Service Series) https://tellusant.co[...] Tellusant 2024-01-11
[3] 웹사이트 El mapa del desarrollo humano en Argentina https://www.undp.org[...] 2023-06-25
[4] 백과사전 Tehuelch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5] 백과사전 Chubut ABC-CLIO
[6] 서적 The desert and the dream: A study of Welsh colonization in Chubut 1865 – 1915 University of Wales Press 1975
[7] 웹사이트 El déficit consolidado de las provincias rondará los $11.500 millones este año http://www.iader.org[...] Instituto Argentino para el Desarrollo de las Economías Regionales 2015-07-10
[8] 웹사이트 YPF confirmó la presencia de hidrocarburos no convencionales en Chubut http://www.ypf.com/Y[...] 2014-05-27
[9] 웹사이트 MECON Republica Argentina http://www.mecon.gov[...] 2008
[10] 웹사이트 Annuario Estadístico Chubut http://www.estadisti[...] Dirección General de Estadística y Censos Chubut 2015-04-17
[11] 웹사이트 Provincia de Chubut–Clima Y Metéorologia http://www.mineria.g[...] Secretaria de Mineria de la Nacion (Argentina) 2015-04-17
[12] 간행물 Magellanic Penguin http://globaltwitche[...] 2008
[13] 웹사이트 Distribución de la población por jurisdicción. Total del país. Año 2022 https://www.censo.go[...] 2023-02-02
[14] 뉴스 世界最大級の恐竜化石を発見、体重はゾウ14頭分 アルゼンチン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3-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