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대학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영대학원은 경영학 교육을 제공하는 고등 교육 기관으로, 다양한 유형과 형태를 갖는다. 경영대학원은 대학 내 학부, 단과대학 또는 학과 형태로 운영되거나, 사립 또는 특정 분야에 특화된 형태로 존재하기도 한다. 안드레아스 카플란은 경영대학원을 문화, 범위, 자본, 내용의 네 가지 측면에서 분류했다. 경영대학원은 18세기 유럽에서 처음 등장하여 19세기 초부터 확산되었으며,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발전해왔다. 경영대학원에서는 학위 과정, 사례 연구, 정량적 방법, 경영 게임 등 다양한 교육 방식을 활용하며, AACSB, AMBA, EQUIS 등과 같은 기관에서 평가 및 인증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영학 교육 - 경영학 박사
경영학 박사(DBA)는 경영 이론 기여와 실무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며, 리더십 경험이 있는 지원자를 선호하고, 응용 연구를 통해 실무 현장에 기여하는 전문적인 박사 학위이다. - 경영학 교육 - 행정
행정은 국가 목표와 공익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으로, 입법 및 사법을 제외한 국가 통치 작용을 포괄하며, 공공 행정은 정부, 비영리 단체, 지역 사회 리더십을 통해 공동선을 추구하고, 학문 및 직업 분야로서 정책 분석과 평가 연구를 포함하며, 고대부터 발전해왔다. - 경영대학원 - 보코니 대학교
1902년 페르디난도 보코니가 설립한 이탈리아 밀라노 소재의 사립 보코니 대학교는 경제학, 경영학, 법학 분야에서 높은 명성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SDA 보코니 경영대학원을 운영하고, 여러 건물로 구성된 캠퍼스와 약 1800개의 기숙사를 제공하며, 다수의 국제 랭킹에서 상위권에 랭크되는 명문 대학이다. - 경영대학원 - 페퍼다인 대학교
페퍼다인 대학교는 1937년 조지 페퍼다인에 의해 로스앤젤레스에 설립된 기독교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1971년 법학전문대학원 설립 후 종합대학교로 성장하여 1972년 말리부로 이전했으며, 현재 세계 각지에 국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제공하는 높은 입학 경쟁률과 우수한 졸업생 배출로 명성이 높은 NCAA 디비전 I 소속의 운동 경기 팀을 운영하는 사립 대학교이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경영대학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고등 교육 기관 |
학문 분야 | 경영학 |
학위 | 경영학 학사 경영학 석사 경영학 박사 경영학 MBA |
역사 | |
역사 | 경영대학원은 19세기 후반에 설립되기 시작했으며,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와튼 스쿨이 그 효시로 알려져 있다. |
설립 시기 | 19세기 후반 |
조직 | |
조직 구조 | 일반적으로 학과, 연구소, 행정 부서 등으로 구성됨. |
교수진 | 경영학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 강의, 연구, 컨설팅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 |
학생 |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경영학 지식을 습득하고 리더십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모임. |
교육 과정 | |
교육 과정 | 회계학 재무학 마케팅 인사 관리 전략 경영 운영 관리 정보 시스템 기업가 정신 |
교육 방법 | 강의, 사례 연구, 팀 프로젝트, 시뮬레이션, 인턴십 등 다양한 교육 방법 활용. |
평가 | |
평가 방법 | 시험, 과제, 발표, 팀 프로젝트, 참여도 등 다양한 평가 방법 활용. |
역할 | |
역할 | 기업의 경영자 양성 경영학 연구 사회에 대한 봉사 |
현황 | |
현황 |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경영대학원이 존재하며, 각 대학원은 고유한 특성과 강점을 가지고 있음. |
기타 | |
관련 용어 | 비즈니스 스쿨 MBA EMBA 경영학 |
2. 경영대학원의 유형
경영대학원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안드레아스 카플란(Andreas Kaplan)은 경영대학원을 문화(유럽-미국), 범위(국제/글로벌-지역/지방), 자본(공공-사립), 내용(교육-연구)이라는 네 가지 측면으로 분류한다.[1]
2. 1. 설립 형태
경영대학원은 다음과 같은 여러 형태로 설립된다.- 대부분의 대학교 경영대학원은 대학교 내 학부, 단과대학 또는 학과로 구성되며 주로 경영학 과정을 가르친다.
- 북아메리카에서는 경영대학원이 종종 대학원 경영학 석사(MBA) 학위 및/또는 학부 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대학 프로그램으로 이해된다.
-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일부 대학에서 주로 경영학 과정을 가르친다.
- 어떤 대학에도 소속되지 않은 사립 경영대학원.
- 특정 부문이나 분야에 중점을 둔 고도로 전문화된 경영대학원.
- 프랑스에서는 많은 경영대학원이 공공 상공회의소(Chambres de Commerce)가 대부분 자금을 지원하는 공공-민간 파트너십(École consulaire 또는 EESC)이다. 이러한 학교는 엘리트 ''그랑제콜(Conférence des Grandes Écoles)''에서 인증받은 경영학 학부 및 대학원 학위를 제공하며, 대학과는 느슨한 관계를 맺거나 아예 관계가 없는 경우도 있다.
안드레아스 카플란(Andreas Kaplan)은 경영대학원을 다음 네 가지 측면으로 분류한다.[1]
분류 기준 | 설명 |
---|---|
문화 (유럽 - 미국) | 실제 위치와 관계없이, 유럽 모델 또는 미국 모델 중 어느 쪽을 따르는지에 따라 분류 |
범위 (국제/글로벌 – 지역/지방) | 국제/글로벌 학교에서 지역/지방 학교까지 연속적으로 분류 |
자본 (공공 – 사립) | 기부금이나 수업료 등 공공(주) 자금 또는 사립 자금으로 운영되는지에 따라 분류 |
내용 (교육 – 연구) | 학교가 교육 또는 연구 중 어느 것을 주요 초점으로 간주하는지에 따라 분류 |
2. 2. 교육 및 연구 중점
경영대학원에는 여러 형태가 있다.- 대부분의 대학교 경영대학원은 대학교 내 학부, 단과대학 또는 학과로 구성되며 주로 경영학 과정을 가르친다.
- 북아메리카에서는 경영대학원이 종종 대학원 경영학 석사(MBA) 학위 및/또는 학부 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대학 프로그램으로 이해된다.
-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일부 대학에서 주로 경영학 과정을 가르친다.
- 어떤 대학에도 소속되지 않은 사립 경영대학원.
- 특정 부문이나 분야에 중점을 둔 고도로 전문화된 경영대학원.
- 프랑스에서는 많은 경영대학원이 공공 상공회의소(Chambres de Commerce)가 대부분 자금을 지원하는 공공-민간 파트너십(École consulaire 또는 EESC)이다. 이러한 학교는 엘리트 ''그랑제콜(Conférence des Grandes Écoles)''에서 인증받은 경영학 학부 및 대학원 학위를 제공하며, 대학과는 느슨한 관계를 맺거나 아예 관계가 없는 경우도 있다.
안드레아스 카플란(Andreas Kaplan)은 네 가지 측면에 따라 경영대학원을 분류한다.[1]
기준 | 설명 |
---|---|
문화 (유럽 - 미국) | 실제 (물리적) 위치와 관계없이 경영대학원은 유럽 모델 또는 미국 모델을 따르는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
범위 (국제/글로벌 – 지역/지방) | 경영대학원은 국제/글로벌 학교가 한쪽 끝에 있고 지역/지방 학교가 다른 한쪽 끝에 있는 연속체를 따라 분류될 수 있다. |
자본 (공공 – 사립) | 경영대학원은 예를 들어 기부금이나 수업료를 통해 공공(주) 자금 또는 사립 자금으로 운영될 수 있다. |
내용 (교육 – 연구) | 경영대학원은 학교가 교육 또는 연구를 주요 초점으로 간주하는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
2. 3. 재정 지원 방식
경영대학원은 다양한 재정 지원 방식을 가지고 있다.- 공공-민간 파트너십: 프랑스의 많은 경영대학원은 공공 상공회의소(Chambres de Commerce)가 대부분 자금을 지원하는 공공-민간 파트너십(École consulaire 또는 EESC) 형태로 운영된다. 이들 학교는 ''그랑제콜(Conférence des Grandes Écoles)'' 인증을 받은 경영학 학위(학부 및 대학원)를 제공하며, 대학과는 느슨한 관계를 맺거나 아예 관계가 없는 경우도 있다.[1]
- 공공(주) 자금 또는 사립 자금: 경영대학원은 기부금이나 수업료 등을 통해 공공(주) 자금 또는 사립 자금으로 운영될 수 있다.[1]
안드레아스 카플란(Andreas Kaplan)은 경영대학원을 분류할 때 자본(공공 – 사립) 측면을 고려한다.[1]
3. 경영대학원의 역사
경영대학원은 18세기 유럽에서 처음 등장하여 19세기 초부터 확산되기 시작했다. 세계 최초의 경영대학원은 1819년 프랑스 파리에 설립된 ESCP이다.[61][62] 미국 최초의 경영대학원은 1881년 설립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워튼 스쿨이다.[63] 영국에서는 1965~1966년에 런던 비즈니스 스쿨, 맨체스터 비즈니스 스쿨 등이 설립되었다.
3. 1. 세계 경영대학원의 역사
최초의 경영대학원은 18세기에 유럽에서 나타났고, 19세기 초부터 증가하기 시작했다.설립 연도 | 명칭 | 국가 및 도시 | 추가 설명 |
---|---|---|---|
1759년 | {{lang | 리스본 | 세계 최초로 회계 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3] 유럽 전역의 유사한 정부 지원 학교의 개발 모델이 되었으며, 1844년에 폐교되었다.[3][4] |
1819년 | 파리 고등상업학교(ESCP Business School) | 프랑스 파리 | Ecole Supérieure de Commerce de Paris프랑스어로 설립. 현재까지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경영대학원. 초기에는 사립학교였으나 1830년부터 1869년까지 가족 기업이 됨.[5][6] |
1852년 | 벨기에 고등상업연구소 | 벨기에 안트베르펜 | 최초의 국립 경영대학원이자 벨기에 최초의 경영대학원.[18] |
1857년 | 부다페스트 경영대학교(Budapest Business School)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다페스트 | 중앙유럽 최초의 경영대학원.[7] |
1868년 | 카포스카리 베네치아대학교(Ca' Foscari University) | 베네치아 | 이탈리아 최초의 경영대학원.[18] |
1881년 | 워튼 경영대학원(Wharton School) | 미국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 미국 최초의 경영대학원.[8][9] |
1898년 | 하스 경영대학원(Haas School of Business) |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 미국 최초의 공립 경영대학원.[10][11] |
1898년 | 라이프치히 HHL 경영대학원(HHL Leipzig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 독일 | 라이프치히 상업대학교(Handelshochschule Leipzig)로 설립. 독일 최초의 경영대학원이자 독일어권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경영대학원.[12][18] |
1898년 | 생갈렌 대학교(University of St. Gallen) | 스위스 | 스위스에서 최초로 경영학과 경제학을 가르치는 대학교.[13] |
1900년 | 턱 경영대학원(Tuck School of Business) |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Dartmouth College) | 미국 최초의 경영대학원.[14] 최초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수여했는데, 구체적으로는 MBA의 전신인 상업 과학 석사 학위였음.[9] |
1902년 | 상업학교 | 영국 버밍엄 대학교(University of Birmingham) | 영국의 최초의 상업 전문 학교. 최초의 상업 학사 학위를 수여.[15] |
1906년 | 바르샤바 경제대학교(Warsaw School of Economics) (SGH) | 폴란드 | 폴란드에서 최초로 상업과 경제를 가르치는 대학교.[16] |
1908년 | 하버드 경영대학원(Harvard Business School) | 미국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 세계 최초로 MBA 학위를 제공하는 경영 프로그램 운영.[17] |
1909년 | 스톡홀름 경제대학원(Stockholm School of Economics) | 스웨덴 | 스웨덴 경영계의 주도로 설립. 스웨덴 최초의 경영대학원.[18] |
1921년 | 상하이 상업대학교 | 중국 | 중국 최초의 경영대학원.[17] |
1926년 | 맨체스터 공과대학 | 영국 | 영국 최초의 대학원 경영학 과정 제공.[19] |
1936년 | 노르웨이 경영대학원(Norwegian School of Economics) (NHH) | 노르웨이 | 노르웨이 최초의 경영대학원.[20] |
1943년 | 부스 경영대학원(Booth School of Business) | 미국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 | 최초의 주임원 MBA 프로그램 시작.[9] |
1946년 | 선더버드 글로벌 경영대학원(Thunderbird School of Global Management) | 미국 | 당시 미국 국제무역 연구소. 세계 사업에만 집중하는 최초의 대학원 경영대학원.[21][22][9] |
1948년 | 리차드 아이비 경영대학원(Richard Ivey School of Business) | 캐나다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 미국 외 지역 최초의 MBA 프로그램 설립.[9] |
1949년 | 고든 경영과학연구소(Gordon Institute of Business Science) |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레토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Pretoria) | 아프리카 최초의 경영대학원. 북미 이외 지역 최초의 MBA 과정 개설.[23][24][9] |
1949년 | XLRI | 인도 | 인도 최초의 경영대학원. |
1955년 | 카라치 대학교(University of Karachi) 경영행정학과 | 파키스탄 | 아시아 최초의 MBA 과정 개설.[9] |
1957년 | 인시아드(INSEAD) | 프랑스 | 유럽 최초의 MBA 과정 시작. 1년제 MBA를 개척.[17] |
1963년 | ESAN 대학교(ESAN University) 경영대학원 | 페루 리마 | 라틴 아메리카 최초로 설립된 대학원 경영대학원. 미국 정부, 스탠퍼드 경영대학원(Stanford Graduate School of Business) 그리고 페루 정부 간의 협약에 따라 설립. |
1963년 | 멜버른 경영대학원(Melbourne Business School)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MBA 프로그램 설립.[9] |
1965년 | 맨체스터, 더럼 | 영국 | 1963년 프랭크스 보고서에 이어 영국 대학에 최초의 경영대학원 설립.[25][26][27][28] |
1966년 | 런던 경영대학원(London Business School),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 영국 | 영국 최초의 MBA 프로그램 개설.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는 영국에서 표준이 된 1년제 MBA를 제공한 최초의 영국 대학교.[19][29] |
1991년 | IEDC 블레드 경영대학원(IEDC-Bled School of Management) | 슬로베니아 | 동유럽 최초로 MBA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경영대학원.[30] |
일본 최초의 경영대학원으로는, 메이지 시대인 1875년에 모리 아리요시, 시부사와 에이이치, 마스다 타카시 등에 의해 설립된 상법강습소(현 히토츠바시 대학교)와 1878년에 효고현과 후쿠자와 유키치에 의해 설립된 고베 상업강습소(현 효고현립 고베상업고등학교)[64][65], 모리시타 이와쿠스와 이와사키 야타로에 의해 1878년에 설립된 미쓰비시 상업학교(메이지 기숙), 1880년에 고다이 토모아쓰 등에 의해 설립된 오사카 상업강습소(현 오사카 시립대학교), 1882년에 설립된 요코하마 상법학교(현 요코하마 시립대학교)[64] 등이 있다.
4. 경영대학원 교육 과정
경영대학원에서는 다양한 학위 과정과 교육 방식을 제공한다.
학위 과정은 준학사, 학사, 석사, 박사 과정으로 나뉜다. 미국과 유럽은 각기 다른 학위 명칭과 교육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볼로냐 과정에 따라 학위 과정을 표준화하는 추세이다.[35]
교육 방식으로는 사례 연구 방법, 기술 기반 접근 방식, 경영 게임, 강의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사례 연구 방법은 실제 기업 사례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식으로,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시작된 문제 해결 분석이 널리 사용된다. 기술 기반 접근 방식은 정량적 방법을 강조하며, 카네기멜론 대학교의 테퍼 경영대학원이 대표적이다. 경영 게임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일부 대학에서는 여러 교육 방식을 융합하기도 한다. 강의 방식은 여전히 기본적인 경영 교육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지만,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비판도 있다.[44]
4. 1. 학위 과정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영학 학위를 제공한다.[31][32][33][34]- 준학사 학위: 응용 경영 준학사(AAB), 경영학 준학사(ABA)
- 학사 학위: 경영학 학사(BB), 경영학 학사(BBA), 경영학 과학 학사(BSB)
- 석사 학위: 회계학 석사(MAcc), 경영학 석사(MBA), 경영학 과학 석사(MSBA), 최고 경영자 과정(EMBA), 공학 경영 석사(MEM), 공학 경영 과학 석사(MSEMgt), 보건행정 석사(MHA), 의료 행정 석사(MHCA), 의료 관리 석사(MHCM), 보건 서비스 행정 석사(MHSA), 보건 행정 과학 석사(MSHA), 의료 행정 과학 석사(MSHCA), 호텔 경영 석사(MHM), 국제 경영 석사(MIB), 국제 경영학 석사(MIBA), 경영학 석사(MM), 제조 경영 석사(MMM), 전문 회계 석사(MPA), 경영 과학 석사(MSM 또는 MSMgt), 관광 경영 석사(MTM), 관광 및 호텔 경영 석사(MTHM)
- 박사 학위: 경영학 박사(DBA)
경영학 졸업생은 과학 학사(BS), 과학 석사(MS) 또는 철학 박사(PhD)와 같은 일반적인 학위를 취득할 수도 있다.
유럽에서는 볼로냐 과정에 따라 고등 교육 학위가 학사, 석사, 박사의 세 가지 과정으로 구성되어 국제 이동성을 용이하게 한다. 학위 구성의 세부 사항은 국가와 교육기관에 따라 다르지만, 60학점이 1년치 학업에 해당하는 ECTS 학점으로 볼 때, 학사 학위는 일반적으로 180~240학점이 필요하고 석사 학위는 90~120학점이 필요하다.[35]
대학원 수준의 일반적인 학위는 다음과 같다.
- 석사: (Master's degree, 마스터 디그리) 경영학 석사/'''MBA''', 경영학 석사(MBM), 경영학 석사, 회계학 석사, 마케팅 조사 석사, 정보 시스템 경영 석사, 경영학 석사, 보건행정학 석사, 금융학 석사, 이학 석사, 세무학 석사, 경영학 석사, EMBA, 상학 석사
- 박사: 박사, 경영학 박사 ('''DBA'''), 보건행정학 박사, 경영학 박사, 경영학 박사(DCOM), 경영학 박사 또는 경영학 박사 (철학 박사), 전문연구 박사(DPS)
4. 2. 교육 방식
일부 경영대학원은 사례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교육 과정을 구성한다. 사례 연구는 거의 100년 동안 대학원 및 학부 경영 교육에 사용되어 왔다. 경영 사례는 실제 사업 상황에 대한 역사적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제품, 시장, 경쟁, 재무 구조, 판매량, 경영진, 직원 및 기업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소에 대한 정보가 제시된다. 경영 사례 연구의 길이는 2~3페이지에서 30페이지 이상까지 다양할 수 있다.학생들은 사례 연구를 면밀히 조사하고 기업이 앞으로 채택해야 할 전략과 전술을 논의할 준비를 해야 한다. 경영 사례 교육에는 세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 학생이 답해야 할 사례별 질문을 준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학부생을 위한 짧은 사례 연구에 사용된다. 기본 개념은 이러한 학생들이 사례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문제 해결 분석은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시작된 두 번째 방법이며, 경영학 석사(MBA) 및 임원 개발 프로그램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기본 개념은 충분한 연습(수백 건의 사례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복잡한 사업 상황을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한 직관적인 기술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이 방법의 성공적인 구현은 토론 주도자의 기술에 크게 의존한다.
#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전략 기획 접근 방식이다. 이 세 번째 방법은 학생들이 수백 건의 사례를 분석할 필요가 없다. 전략 기획 모델이 제공되며,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6건에서 최대 12건의 사례에 모델의 단계를 적용하도록 지시받는다. 이것은 복잡한 상황을 분석하고 다양한 전략을 생성하며 최상의 전략을 선택하는 능력을 개발하기에 충분하다. 사실상 학생들은 사례 연구와 실제 상황을 분석하는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접근 방식을 배우게 된다.[39] 이 접근 방식은 교사의 예술적이고 극적인 재능에 대한 특별한 요구를 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교수는 이 방법의 적용을 감독할 수 있다.
경영대학원의 사례 연구 방식과는 달리, 일부 학교에서는 경영 교육에 기술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이 접근 방식은 특히 운영 연구, 경영 정보 시스템, 통계학, 조직 행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그리고 의사결정 과학과 같은 정량적 방법을 강조한다. 이 방법의 선두 기관은 카네기멜론 대학교의 테퍼 경영대학원이다. 목표는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에 필요한 도구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경영대학원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중요한 접근 방식은 경영, 경제,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경영 게임이다. 일부 대학에서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학위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융합하고 있으며, 각 접근 방식의 전달 방식도 융합하고 있다. Inside Higher Ed와 Babson Survey Research Group의 연구[41]에 따르면, 이러한 접근 방식의 효과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여전히 존재하지만, 접근성은 점점 더 매력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논란이 있는 학습 방법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자유주의 대학들, 예를 들어 뉴잉글랜드 대학교[42], 웨슬리안 대학교[43], 브린 모어 대학교는 현재 많은 경영 교육 과정에서 완전한 온라인 학위를 제공하고 있다.
여전히 강의 방식에 의존하여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경영 교육을 제공하는 경영대학원도 여러 곳 있다. 강의는 일반적으로 교수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며, 필기가 요구되지 않는 한 학생들의 상호 작용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경영대학원에서 강의를 교육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문가들에 의해 학습 경험에서 동기 부여와 개인주의를 감소시킨다는 비판을 받아왔다.[44]
5. 경영대학원 평가 및 인증
오늘날 세계적으로 경영대학원이 난립하는 가운데, 트리플 크라운이나 주요 경영대학원 평가 순위 100위 이내의 MBA 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취업에 유리하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파이낸셜 타임스, 이코노미스트 등 유명 비즈니스 잡지들이 독자적으로 MBA 프로그램의 세계 순위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5. 1. 국제 인증 기관
미국에는 경영대학을 위한 주요 인증 기관으로 ACBSP, AACSB, IACBE가 있다. 유럽에서는 EFMD에 의해 EQUIS 경영대학 인증 시스템이 운영되며, 특정 과정에 대해 더 좁은 범위의 EPAS 라벨을 적용하기도 한다. AMBA는 75개국에서 MBA 프로그램 및 기타 대학원 경영 프로그램을 인증한다. AMBA의 자매 기관인 Business Graduates Association (BGA)는 윤리 및 책임 있는 경영 관행 등 학생, 고용주 및 더 넓은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 경영대학을 인증한다. 트리플 인증은 한 학교가 AACSB, AMBA, EQUIS의 세 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았음을 나타낸다.[46] 경영대학의 약 1%만이 트리플 인증을 받았다.[47]세계 비즈니스 스쿨의 주요 인증 기관으로는 미국대학경영대학원협회(AACSB), MBA협회(AMBA), 유럽품질개선시스템(EQUIS) 3가지가 있다.
일본에서 인증을 받은 학교는 다음과 같다(취득 순).
학교명 | 소재지 | 인증 |
---|---|---|
교토대학 | 교토 | EQUIS |
게이오기주쿠대학 | 도쿄 | AACSB |
나고야상과대학 | 도쿄/아이치/오사카 | AACSB, EQUIS, AMBA |
리츠메이칸 아시아태평양대학 | AACSB, AMBA | |
국제대학 | AACSB | |
와세다대학 | 도쿄 | AACSB, EQUIS |
추오대학 | AMBA | |
히토츠바시대학 | 도쿄 | AACSB |
도시샤대학 | AMBA |
AACSB, AMBA, EQUIS 3개 인증을 모두 취득한 비즈니스 스쿨은 '''트리플 인증''' 또는 '''트리플 크라운'''이라고 불린다. 2023년 1월 현재, 세계 118개교가 3개 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았다. 일본에서 트리플 인증을 취득한 트리플 크라운은 나고야상과대학뿐이다.
또한, 「파이낸셜 타임스」, 「eduniversal」, 「이코노미스트」, 「QS(Quacquarelli Symonds)」, 「비즈니스위크」, 「US 뉴스 & 월드 리포트」, 「포춘」, 「월스트리트 저널」 등의 유명 비즈니스 잡지가 독자적으로 비즈니스 스쿨 MBA 프로그램의 세계 순위를 정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6. 국가별 경영대학원 목록
다음은 세계 각국의 경영대학원 목록이다.
- 아프리카의 경영대학 목록
-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영대학 목록
- 아시아의 경영대학 목록
- 캐나다의 경영대학 목록
- 칠레의 경영대학 목록
- 유럽의 경영대학 목록
- 인도의 경영대학 목록
- 뉴질랜드의 경영대학 목록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영대학원 목록
- 스위스의 경영대학 목록
- 타이완의 경영대학 목록
- 미국의 경영대학 목록
- * 빅 텐 경영대학 목록
- * 아이비리그 경영대학 목록
- * M7 경영대학 목록
- * 미국 대학원 경영학과 순위 목록






- 브뤼셀 자유대학교 솔베 경영대학원
- 프레하노프 기념 러시아 경제 아카데미#국제 비즈니스 스쿨
- 스콜코보 혁신센터
- 톰스크 대학교 비즈니스 스쿨
- 중국 MBA 취득자는 200만 명에 달한다.[78]
- 중국유럽국제경영대학원(CEIBS)
- 장강상학원(CKGSB)
- 베이징대학교 광화경영대학원
- 베이징외국어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IBS)
- 칭화대학교 경영대학원
- 푸단대학교 경영대학원
- 상하이자오퉁대학교 경영대학원
- 홍콩과학기술대학교 경영대학원(HKUST)
- 홍콩대학교 경영대학원(HKU)
- 홍콩중문대학교 경영대학원(CUHK)
- 홍콩침례대학교
- 홍콩이공대학교
- 홍콩도시대학교
- 홍콩메트로폴리탄대학교
-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경영대학원(NUS)
- 난양이공대학교 경영대학원(NTU/NBS)
- 싱가포르경영대학교 리콴유 경영대학원(SMU)
- 모나시 비즈니스 스쿨(Monash University Faculty of Business and Economics) (모나시 대학교 말레이시아 분교)
세계 비즈니스 스쿨의 주요 인증 기관으로는 미국대학경영대학원협회(AACSB), MBA협회(AMBA), 유럽품질개선시스템(EQUIS)이 있다. AACSB, AMBA, EQUIS 3개 인증을 모두 취득한 비즈니스 스쿨은 '''트리플 인증''' 또는 '''트리플 크라운'''이라고 불린다.
6. 1. 대한민국
명칭 | 대학 | 설립 | 구분 | 위치 | 비고 |
---|---|---|---|---|---|
경영대학원 | 가천 | 사립 | 특수 | 경기 성남 | |
경영대학원 | 가톨릭 | 사립 | 특수 | 서울 서초 | |
경영정책과학대학원 | 강릉원주 | 국립 | 특수 | 강원 강릉 | |
경영대학원 | 강원 | 국립 | 특수 | 강원 춘천 | |
경영전문대학원 | 건국 | 사립 | 전문 | 서울 광진 | |
경영대학원 | 경북 | 국립 | 특수 | 대구 북구 | |
경영대학원 | 경상국립 | 국립 | 특수 | 경남 진주 | |
경영대학원 | 경희 | 사립 | 특수 | 서울 동대문 | |
경영대학원 | 계명 | 사립 | 특수 | 대구 달서 | |
경영대학원 | 공주 | 국립 | 특수 | 충남 공주 | |
경영대학원 | 광운 | 사립 | 특수 | 서울 노원 | |
경영대학원 | 국민 | 사립 | 특수 | 서울 성북 | |
경영대학원 | 단국 | 사립 | 특수 | 경기 용인 | |
경영전문대학원 | 동국 | 사립 | 전문 | 서울 중구 | |
경영대학원 | 동국 (경주) | 사립 | 특수 | 경북 경주 | |
경영대학원 | 동서 | 사립 | 특수 | 부산 사상 | |
경영대학원 | 동아 | 사립 | 특수 | 부산 서구 | |
경영대학원 | 동의 | 사립 | 특수 | 부산 부산진 | |
경영대학원 | 명지 | 사립 | 특수 | 서울 서대문 | |
경영대학원 | 부경 | 국립 | 특수 | 부산 남구 | |
경영대학원 | 부산 | 국립 | 특수 | 부산 금정 | |
산업·경영대학원 | 부산외국어 | 사립 | 특수 | 부산 금정 | |
경영대학원 | 삼육 | 사립 | 특수 | 서울 노원 | |
경영대학원 | 상명 | 사립 | 특수 | 서울 종로 | |
경영문화대학원 | 서경 | 사립 | 특수 | 서울 성북 | |
경영전문대학원 | 서울 | 국립대법인 | 전문 | 서울 관악 | |
경영대학원 | 서울시립 | 공립 | 특수 | 서울 동대문 | |
경영대학원 | 성균관 | 사립 | 전문 | 서울 종로 |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경기 수원 | ||||
경영대학원 | 세종사이버 | 사립 | 특수 | 서울 광진 | |
경영대학원 | 수원 | 사립 | 특수 | 경기 화성 | |
경영대학원 | 숭실 | 사립 | 특수 | 서울 동작 | |
경영대학원 | 아주 | 사립 | 특수 | 경기 수원 | |
경영대학원 | 영남 | 사립 | 특수 | 대구 남구 | |
경영대학원 | 용인 | 사립 | 특수 | 경기 용인 | |
경영대학원 | 우송 | 사립 | 특수 | 대전 동구 | |
경영대학원 | 울산 | 사립 | 특수 | 울산 남구 | |
경영대학원 | 원광 | 사립 | 특수 | 전북 익산 | |
경영대학원 | 위덕 | 사립 | 특수 | 경북 경주 | |
경영대학원 | 인제 | 사립 | 특수 | 경남 김해 | |
경영대학원 | 인천 | 국립대법인 | 특수 | 인천 연수 | |
경영대학원 | 인하 | 사립 | 특수 | 인천 남구 | |
경영대학원 | 전북 | 국립 | 특수 | 전북 전주 | |
경영행정대학원 | 전주 | 사립 | 특수 | 전북 전주 | |
경영대학원 | 제주 | 국립 | 특수 | 제주 제주 | |
경영대학원 | 조선 | 사립 | 특수 | 광주 동구 | |
경영대학원 | 차의과학 | 사립 | 특수 | 경기 포천 | |
경영대학원 | 창원 | 국립 | 특수 | 경남 창원 | |
경영대학원 | 충남 | 국립 | 특수 | 대전 유성 | |
경영대학원 | 충북 | 국립 | 특수 | 충북 청주 | |
경영대학원 | 한국방송통신 | 국립 | 특수 | 서울 종로 | |
경영대학원 | 한국외국어 | 사립 | 특수 | 서울 동대문 | |
경영·국방전략대학원 | 한남 | 사립 | 특수 | 대전 대덕 | |
경영대학원 | 한림 | 사립 | 특수 | 강원 춘천 | |
경영대학원 | 한성 | 사립 | 특수 | 서울 성북 | |
경영전문대학원 | 한양 | 사립 | 전문 | 서울 성동 | |
경영대학원 | 한양사이버 | 사립 | 특수 | 서울 성동 | |
경영대학원 | 호서 | 사립 | 특수 | 충남 천안 | |
경영대학원 | 홍익 | 사립 | 특수 | 서울 마포 |
6. 2. 일본
일본 최초의 경영대학원은 메이지 시대인 1875년에 모리 아리요시, 시부사와 에이이치, 마스다 타카시 등에 의해 설립된 상법강습소(현 히토츠바시 대학교)와 1878년에 효고현과 후쿠자와 유키치에 의해 설립된 고베 상업강습소(현 효고현립 고베상업고등학교)이다.[64][65]일본 국내에서는 사회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영학 석사 프로그램은 온사이트형, 완전 원격형 등 다양하게 존재하며, Executive MBA(실무 경험 12년 이상), MBA(실무 경험 3년 이상), MSc(실무 경험 불필요)로 분류된다.
- 국제 인증된 학위 과정
학교명 | 인증 |
---|---|
메이지대학 대학원 글로벌 비즈니스 연구과 | EPAS |
추오대학 대학원 전략경영연구과 (추오대학 비즈니스 스쿨) 경영석사 | AMBA |
6. 3. 기타 국가














- 유럽
- 보코니 대학교 SDA Bocconi (이탈리아)
- ESCP 유럽 (프랑스 파리에 있는 그랑제콜 중 하나, 세계 최초의 경영대학원)[61][62]
- ESSEC(프랑스, 싱가포르)
- HEC 파리(프랑스)
- IE 비즈니스 스쿨(스페인 마드리드)
- IESE(스페인 바르셀로나)
- INSEAD(프랑스 퐁텐블로, 싱가포르)
- 런던 비즈니스 스쿨(런던 대학교 연합 소속 경영대학원)[67]
- 미국
- 워튼 스쿨 (미국 최초의 경영대학원)[63]
- 하버드 경영대학원
- 스탠퍼드 경영대학원
- MIT 슬론 경영대학원
- 켈로그 경영대학원
- 시카고 부스 경영대학원
- 컬럼비아 경영대학원
- 아시아
- 칭화대학교 경영대학원 (중국)
- 푸단대학교 경영대학원 (중국)
- HKUST (홍콩)
- 홍콩대학교 경영대학원(HKU) (홍콩)
-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경영대학원(NUS) (싱가포르)
- 난양이공대학교 경영대학원(NTU/NBS) (싱가포르)
- 인도경영대학원(IIMs) (인도)
- 오세아니아
- 멜버른 경영대학원 (멜버른 대학교)
- UNSW 경영대학원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ANU 경영대학원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 아프리카
- 케이프타운대학교 경영대학원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메리카
- 토르쿠아토 디 텔라 대학교(Universidad de Torcuato Di Tella) (아르헨티나)
세계 비즈니스 스쿨의 주요 인증 기관으로는 미국대학경영대학원협회(AACSB), MBA협회(AMBA), 유럽품질개선시스템(EQUIS)이 있다. AACSB, AMBA, EQUIS 3개 인증을 모두 취득한 비즈니스 스쿨은 '''트리플 인증''' 또는 '''트리플 크라운'''이라고 불린다.
참조
[1]
논문
Andreas Kaplan: A school is "a building that has four walls…with tomorrow inside": Toward the reinvention of the business school
[2]
서적
Business Schools post-Covid-19 - A Blueprint for Survival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4-12-19
[3]
웹사이트
Aula do Comércio (1759-1844): Primeiro Estabelecimento Governamental de Ensino de Contabilidade
http://www.otoc.pt/f[...]
Ordem dos Técnicos Oficiais de Contas
2012-04-09
[4]
웹사이트
Business Schools and business programs - Graduate International
https://web.archive.[...]
2012-08-07
[5]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Business School?
https://www.business[...]
2022-08-11
[6]
웹사이트
Jean-Baptiste Say Institute {{!}} ESCP
https://www.escp.eu/[...]
2022-08-11
[7]
웹사이트
BBS History
https://web.archive.[...]
2016-02-09
[8]
웹사이트
Wharton History
http://www.wharton.u[...]
The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2-06-03
[9]
웹사이트
An International MBA History I: From US Origins to Journeys Overseas
https://www.topmba.c[...]
QS Quacquarelli Symonds
2023-09-12
[10]
웹사이트
Haas School of Business
https://web.archive.[...]
Haas School of Business
2016-03-04
[11]
웹사이트
History of Haas
https://web.archive.[...]
Haas School of Business
2016-03-04
[12]
웹사이트
HHL Leipzig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https://web.archive.[...]
2018-12-19
[13]
웹사이트
Definition: Betriebswirtschaftlehre (BWL)
https://web.archive.[...]
Gabler Wirtschaftslexikon
2012-06-10
[14]
웹사이트
Tuck School of Business | History
http://www.tuck.dart[...]
2013-07-26
[15]
뉴스
Birmingham Business School
https://web.archive.[...]
2017-08-25
[1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chool
https://web.archive.[...]
SGH
2012-08-08
[1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BA MBA Friday Facts
https://web.archive.[...]
2014-05-27
[18]
논문
European Management and European Business Schools: Insights from the History of Business Schools
2014
[19]
논문
The Future of the MBA in the UK
1996-03
[20]
웹사이트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NHH
https://web.archive.[...]
www.nhh.no
2014-08-01
[21]
뉴스
Thunderbird school changes name as it seizes new opportunities – Phoenix Business Journal
http://phoenix.bizjo[...]
Phoenix.bizjournals.com
2012-03-22
[22]
웹사이트
Thunderbird history showcased through Arizona Memory Project – Thunderbird School of Global Management
https://web.archive.[...]
Thunderbird.edu
2012-03-22
[23]
웹사이트
Wits Business School
https://web.archive.[...]
MBA.co.za
2012-03-22
[24]
웹사이트
Gordon Institute of Business Science
https://www.gibs.co.[...]
2015-11-09
[25]
보고서
UK Business Schools: Historical Contexts and Future Scenarios
https://web.archive.[...]
Advanced Institute of Management Research
2023-09-23
[26]
웹사이트
Manchester Business School Archive
https://archiveshub.[...]
Jisc
2023-08-31
[27]
잡지
Education
https://books.google[...]
2023-09-25
[28]
잡지
Durham
https://books.google[...]
2023-09-25
[29]
웹사이트
About the MBA & General Management Unit
https://www.strath.a[...]
2023-09-02
[30]
뉴스
IEDC – Bled School of Management
https://web.archive.[...]
2017-08-25
[31]
웹사이트
Associate degrees
https://www2.ed.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ducation
2023-09-12
[32]
웹사이트
Bachelor's degrees
https://www2.ed.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ducation
2023-09-12
[33]
웹사이트
Master's degrees
https://www2.ed.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ducation
2023-09-12
[34]
웹사이트
Research doctorate degrees
https://www2.ed.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ducation
2023-09-12
[35]
웹사이트
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 (ECTS)
https://education.ec[...]
2023-09-12
[36]
웹사이트
France's educational elite
https://www.telegrap[...]
2003-11-17
[37]
서적
The State Nobility: Elite Schools in the Field of Power
https://books.google[...]
Stanford UP
[38]
웹사이트
Top Grandes Écoles in France: Ranking, costs, job placements and more
https://www.mbacryst[...]
2019-04-19
[39]
웹사이트
Chapter 1.2. A Model for Strategic Planning, Analyzing Cases and Decision Making
http://www.mbatoolbo[...]
Mbatoolbox.org
2006-02-22
[40]
뉴스
MICA innovation to help Harvard business school sharpen teaching tools
http://timesofindia.[...]
TNN
2011-07-25
[41]
웹사이트
Online Learning and Liberal Arts Colleges
https://www.insidehi[...]
2012-06-29
[42]
웹사이트
Bisk Education
http://www.bisk.com/[...]
[43]
웹사이트
Liberal arts college explore uses of 'blended' online learning - InsideHigherEd.com
http://www.insidehig[...]
[44]
학술지
Natur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https://marketing.wh[...]
[45]
서적
From Coal to Biotech The Transformation of DSM with Business School Suppor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4-15
[46]
웹사이트
Business Schools Post-COVID-19: A Blueprint for Survival
https://www.routledg[...]
Routledge
[47]
웹사이트
Triple accredited business schools (AACSB, AMBA, EQUIS)
http://www.mba.today[...]
MBA Today
[48]
웹사이트
The World's Best Business Schools, Ranked
https://www.bloomber[...]
[49]
웹사이트
Top 40 MBA
https://www.corporat[...]
[50]
웹사이트
Eduniversal Business Schools Ranking 2022
https://www.eduniver[...]
[51]
웹사이트
Business school rankings
https://rankings.ft.[...]
[52]
웹사이트
Top MBA programmes in the world 2023
https://www.topmba.c[...]
2022-12-09
[53]
웹사이트
From Best Business School to Best MBA Fit for You
http://blog.bestmatc[...]
Best Match
[54]
학술지
Learning versus Teaching: Reply to Commentaries
http://qbox.wharton.[...]
[55]
학술지
Business School Prestige – Research versus Teaching
http://qbox.wharton.[...]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56]
학술지
Book Reviewed: Peter Robinson, Snapshots from Hell, New York: Warner Books, 1994.
http://marketing.wha[...]
[57]
웹사이트
Accelerating Global Engagement With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http://www.aacsb.edu[...]
2017-09-19
[58]
뉴스
If not Oxford, then what? How much is studying abroad and what will happen after Brexit
https://www.european[...]
2019-06-26
[59]
웹사이트
Trends in College Pricing and Student Aid 2021
https://research.col[...]
CollegeBoard
[60]
웹사이트
Trends in College Pricing 2019
https://research.col[...]
2019-11
[61]
학술지
Andreas Kaplan: European Management and European Business Schools: Insights from the History of Business Schools,
2014
[62]
웹사이트
Business Schools Post-Covid-19: A Blueprint for Survival
https://www.routledg[...]
[63]
웹사이트
Wharton History
http://www.wharton.u[...]
The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64]
학술지
明治期における商業教育史の回顧-明治大学商学部創立の歴史的背景-
https://hdl.handle.n[...]
歴史編纂委員会専門委員会
[65]
웹사이트
HUBの歴史
http://www.ba.hub.hi[...]
[66]
웹사이트
European Business School Rankings 2009
http://rankings.ft.c[...]
Financial Times
[67]
웹사이트
London Business School
http://www.london.ed[...]
[68]
웹사이트
http://www.mbs.ac.uk[...]
[69]
웹사이트
Said Business School, University of Oxford
http://www.sbs.ox.ac[...]
[70]
웹사이트
http://www.dur.ac.uk[...]
[71]
웹사이트
http://www.wbs.ac.uk[...]
[72]
웹사이트
http://wwwf.imperial[...]
[73]
웹사이트
Judge Business School, University of Cambridge
http://www.jbs.cam.a[...]
[74]
웹사이트
Global MBA
https://www.london.a[...]
[75]
웹사이트
Ecoles de commerce post-prépas - Palmarès des grandes écoles - Lepoint.fr
http://www.lepoint.f[...]
[76]
블로그
商業系(MBA)のグランゼコール
http://mesetudesenfr[...]
[77]
웹사이트
ESCP EUROPE - Torino
http://www.topuniver[...]
2015-11-09
[78]
웹사이트
https://www.itmedia.[...]
[79]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accreditation[...]
2008-10-07
[80]
웹사이트
国際認証
https://mba.nucba.ac[...]
2021-10-16
[81]
웹사이트
WBSが国際認証AACSBを取得することが決定しました
https://www.waseda.j[...]
2020-02-16
[82]
웹사이트
ビジネススクールの国際認証AACSBを取得しました
https://www.hit-u.ac[...]
2021-07-30
[83]
웹사이트
同志社ビジネススクールが国際認証AMBAを取得!
https://www.doshisha[...]
2023-12-20
[84]
문서
平成25年度以降募集停止。
[85]
PDF
慶應義塾大学・京都大学・神戸大学によるMBA連携について
http://www.keio.ac.j[...]
[86]
웹사이트
ICS Hitotsubashi国立大学法人 一橋大学大学院 経営管理研究 ネットワーク
HUB #This seems to 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