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마저고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마저고리는 한국 전통 여성 의복으로, 짧은 저고리와 긴 치마로 구성된다. 조선 시대에는 저고리 길이가 변화하여 노출이 심해지기도 했으나, 1930년대 이후 현재의 형태로 정착되었다. 치마저고리는 저고리, 치마, 옷고름, 동정, 섶, 배래 등으로 구성되며, 속저고리, 속치마, 속바지, 버선 등의 속옷과 함께 착용한다. 착용 시에는 저고리, 바지, 속치마, 치마, 속저고리, 저고리 순으로 입고 옷고름을 매어 마무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속의상 - 파파하
    파파하는 코카서스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남성들의 정체성 상징으로 여겨지는 카라쿨 양가죽으로 만든 원통형 모피 모자이며, 러시아 군복으로 채택된 후 전통 의상이나 문화적 상징으로 널리 착용된다.
  • 민속의상 - 캐시미어
    캐시미어는 캐시미어 염소의 솜털로 만든 고급 섬유로, 가볍고 부드러우며 따뜻하며, 스웨터, 머플러, 코트 등에 사용되고 중국과 몽골이 주요 생산국이다.
  • 한국의 문화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한국의 문화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치마저고리
기본 정보
치마저고리
치마저고리
한글치마저고리
로마자 표기Chima jeogori
일본어 표기チマチョゴリ
설명
종류한복의 여성용 복식
구성치마와 저고리로 구성

2. 역사

조선시대의 치마저고리


한복은 저고리가 짧고 치마가 긴 편이다. 그러나 이런 형태는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여성용 조선옷은 남녀 공용의 겉옷인 저고리(襦)와, 치마(裳)로 구성된다.

한국에서는 현재 소매의 부드러운 곡선, 전체를 돋보이게 하는 흰색 동정(半襟), 덧입는 듯한 형태가 “민족의상 한복의 3대 아름다움”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최근에는 겹쳐 입는 형태가 아닌 저고리도 등장하고 있다.

일본 국내에 있는 조선학교에서는 여학생 교복으로 치마저고리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흰색 저고리와 검은색 치마를 착용하는 것이지만, 북한에서는 이 색상의 치마저고리가 여성 정장이 되고 있다. 참고로, 한국에서는 이러한 색상의 치마저고리는 일반적으로 볼 수 없다.

2. 1. 조선 시대

조선 초기에는 저고리가 길었으나, 후기로 갈수록 짧아져 1900년대에는 젖가슴이 보일 정도로 짧아졌다. 이후 1930년대부터 다시 길어져 현재의 모습으로 정착되었다.[7] 옷 색깔과 장식은 신분을 나타내는 역할을 했다.

조선 중기 1580년경 청주 한씨 덧저고리 길이는 81cm였으나, 1616년에는 63cm, 1700년대에도 42cm 정도로 허리를 덮었다. 그런데, 1780년경에는 27cm가 되더니 1890년에는 19.5cm, 1900년대에는 14.5cm까지 짧아졌다.[7]

조선시대에는 옷 색깔로 자신의 처지를 나타냈다. 결혼하지 않은 아가씨는 다홍치마, 노랑저고리를 입었고, 새색시는 다홍치마, 연두저고리를 입었다. 결혼한 부인은 남치마, 옥색저고리를 입었다. 저고리의 끝동(소매)이 남색이면 아들이 있다는 표시이고, 자주색 고름을 달면 남편이 아직 살아있다는 뜻이다. 왕가나 명문세도가는 금박무늬를 새길 수 있었는데, 임진왜란 이후에는 양반이 늘면서 금박이 일반화되었다.

2. 2. 근대

19세기 말, 편리성을 위해 이음새가 없는 한 장의 짧은 치마인 통치마가 등장했다. 근대 교육기관에서는 여학생들이 흰색 저고리와 검은색 통치마를 착용했다. 이러한 유행은 대한민국에서는 점차 사라졌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부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

1920년대 초, 김일엽은 가슴을 지나치게 압박하여 성장을 저해하고 질병을 유발하는 등의 결점이 있는 치마저고리 대신 양복의 편리성을 도입한 개량복을 주장하였다. 반면 나혜석은 미적 관점에서 이에 반대하였다. 이들의 “여성 의복 개량 문제” 논쟁은 동아일보 지면에 연재되는 등, 전문가들의 활발한 논쟁으로 이어졌다.[4]

3. 구조

저고리 구조: 1-동정, 2-깃, 3-끝동, 4-섶, 5-고름, 6-배래


동정은 저고리 깃 위에 덧대는 흰 헝겊이며, 깃은 목선의 칼라를 말한다. 끝동은 여자 저고리 소맷부리에 댄 다른 색의 천을 말하며, 섶은 저고리의 양쪽이 만나 가슴 앞에 맞물리는 부분이다. 배래는 소매가 아래로 오면서 부풀어져 있는 것을 가리키며, 물고기 배가 볼록하게 나온 것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여성용 조선옷은 남녀 공용의 겉옷인 저고리와 치마로 구성된다. 한국에서는 소매의 부드러운 곡선, 흰색의 동정, 덧입는 듯한 형태를 “민족의상 한복의 3대 아름다움”으로 여긴다. 하지만, 최근에는 겹쳐 입는 형태가 아닌 저고리도 등장하고 있다.

일본 조선학교에서는 여학생 교복으로 치마저고리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이는 흰색 저고리와 검은색 치마를 착용하는 것이지만, 북한에서는 이 색상의 치마저고리가 여성 정장이 된다. 한국에서는 이 색상의 치마저고리를 일반적으로 볼 수 없다.

1920년대 초, 가슴을 지나치게 압박하여 성장을 저해하고 질병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양복의 편리성을 도입한 개량복을 주장하는 김일엽과 미적 관점에서 이에 반대하는 나혜석 간의 “여성 의복 개량 문제” 논쟁이 동아일보 지면에서 벌어지기도 했다.[4]

3. 1. 구성 요소

저고리는 윗옷으로, 여성용은 남성용보다 길이가 짧다. 치마는 덧치마로, 가슴부터 발목까지 내려오는 길이다. 옷고름은 장식용 리본 모양의 끈으로, 옷을 여미는 역할을 한다. 동정은 저고리 깃 위에 덧대는 흰 헝겊이다. 섶은 저고리의 양쪽이 만나 가슴 앞에 맞물리는 부분이다. 배래는 소매가 아래로 오면서 부풀어져 있는 형태이다.[7]

3. 2. 속옷

속저고리는 저고리 안에 입는 속옷이다.[1] 속치마는 슬립 모양의 속옷이고,[1] 속바지는 바지 모양의 속옷이다.[1] 버선은 양말 또는 발가락 양말이다.[1]

4. 착용 방법

치마저고리 착용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저고리를 입는다.

2. 바지를 입는다.

3. 속치마를 입는다.

4. 치마를 입는다. 치마 끈은 가슴 아래에서 묶어 고정한다.

5. 속저고리를 입는다.

6. 저고리를 입는다. 저고리는 안쪽 끈 또는 단추로 여민다.

7. 옷고름을 맨다. 옷고름은 한쪽이 고리 모양이 되도록 맨다.[5]

참조

[1]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culture : 233 traditional key words
[2] 논문 Ethnic Education and Multicultural Coexistence in Zainichi Korean Literature: On Che Sil's Jini no pazuru https://s-space.snu.[...] 2021
[3] 서적 Hate Speech in Japan: The Possibility of a Non-Regulatory Approac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1-28
[4] 간행물 韓国「新女性」と「近代」の出会い はじめに http://www.jkcf.or.j[...] 日韓文化交流基金
[5] Youtube How to wear Hanbok 한복 https://www.youtube.[...]
[6] 위키 조선학교의 특징 (조선학교 항목 참조)
[7] 서적 맛깔스런 우리문화 속풀이 31가지 이지출판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