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마수트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마수트라는 고대 인도의 성과 사랑에 관한 텍스트로, 저술 시기는 기원전 400년에서 기원후 300년 사이로 추정된다. 바츠야야나를 저자로 널리 받아들이지만,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카마수트라는 결혼, 간통, 매춘, 동성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쾌락, 감정, 성적 결합과 관련된 다양한 선택지와 지역 관행을 제시한다. 7부 36장, 총 1250구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삶의 네 가지 목표인 다르마, 아르타, 카마, 목샤를 설명하는 푸루샤르타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1883년 리처드 버튼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으나, 빅토리아 시대의 검열로 인해 편집되었다. 현대에는 성적 행동에 대한 고대의 진지한 연구로 평가받으며, 영화 등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스크리트어 문학 - 산스크리트 문학
    산스크리트 문학은 고대 인도에서 발전한 문학으로, 베다,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과학 및 세속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현대에도 지속적으로 창작되고 있다.
  • 고대 인도 문학 - 차나키야니티
  • 힌두 수트라 - 요가수트라
    파탄잘리가 저술한 요가 철학의 기본 텍스트인 《요가 수트라》는 196개의 격언으로 이루어진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요가의 목적, 수행 방법, 해탈 과정 등을 설명하며, 다양한 인도 철학 체계를 통합하고 현대 요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힌두 수트라 - 니야야 수트라
    니야야 수트라는 고타마가 저술한 고대 인도 철학 텍스트로, 인식론, 논리학, 형이상학, 윤리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힌두교와 불교 철학 논쟁에 기여하고 베단타 학파에 영향을 주었다.
카마수트라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3~4세기 카마수트라, 바차야나, 13세기 야쇼다라의 자야망갈라 주석, 1885년 네팔에서 벤달이 구매, 산스크리트어, 데바나가리 문자
원저자바차야나 말라나가
원제कामसूत्र
원어산스크리트어
주제성애
장르수트라 문학
배경 시기2~3세기
국가고전 시대, 인도
출판일1883년 (영어판)
위키문헌카마수트라
명칭
로마자 표기Kāma-sūtra
의미사랑의 원리
발음IPA:
상세 정보
내용카마수트라는 성적 쾌락, 사랑, 결혼 생활에 대한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임.
특징힌두교의 성애 관련 가장 오래된 교과서 중 하나임.
중요성인도 문화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카주라호 사원에 영향을 줌.
관련 링크
웹사이트카마수트라 웹사이트

2. 역사

『카마수트라』의 저술 시기와 저자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역사가들은 기원전 400년에서 기원후 300년 사이에 저술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13] 웬디 도니거는 아비라 왕조와 안드라 왕조에 대한 언급을 바탕으로 기원후 225년 이후에 개정되거나 편찬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본문에 굽타 제국에 대한 언급이 없는 점을 들어 기원후 3세기 후반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저술 장소는 인도 북부의 도시 중심지나 동부 도시 파탈리푸트라(현재 파트나)가 유력한 후보로 꼽힌다.[14] 바츠야야나 말라나가가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다. 바츠야야나는 오랜 명상 끝에 이 글을 썼다고 전해진다. 그는 서문에서 많은 고대 경전을 참고했다고 밝혔지만, 이 경전들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아우달라키, 바브라브야, 다타카 등 다른 학자들의 저술을 인용하기도 했다.

바라하미히라의 『브리핫삼히타』와 칼리다사의 시에서 바츠야야나의 『카마수트라』가 언급되고 일부 구절이 인용된 것을 보면, 그는 5세기 이전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16]

카마(성애)는 다르마(의례), 아르타(실리)와 함께 고대 인도에서 삶의 3대 목표로 여겨졌다. 바츠야야나는 카마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책의 마지막에는 욕정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80]

『카마수트라』는 7부 3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특히 2부는 성행위에 대해 적나라하게 서술하고 있어 유명하다.

내용
1부 (서론)전 4장, 일반적인 사랑에 관하여.
2부 (성교)전 10장, 키스, 전희, 성적 쾌락, 88가지의 성교 체위 목록, 오럴섹스, 스팽킹, 변태 성욕, 3인 관계, 인도식 9상(음경의 움직임), 성기의 종류와 크기.
3부 (아내)전 5장, 구애와 결혼
4부 (아내)전 2장, 아내의 적절한 행위
5부 (기혼 여성)전 6장, 주로 여성 유혹 방법.
6부 (창부)전 6장, 기녀가 갖추어야 할 64가지 예능 (특히 연극). 최고위는 가니카(Ganikā).
7부전 2장, 다른 사람을 매료시키는 방법



『카마수트라』는 당시 인도 사회와 사람들의 생활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사 자료이다.

카마 관련 예술 작품은 힌두 사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2. 1. 베다 시대의 유산

카마수트라의 초기 기반은 힌두교의 베다 시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35] 바츠야야나는 본문 1.1.9절에서 스베타케투 우달라카를 "카마수트라의 최초 인간 저자"로 언급하며 이러한 유산을 인정한다. 우달라카는 초기 우파니샤드의 리시(학자이자 시인, 성인)로, 그의 사상은 브리하다라냐카 우파니샤드 6.2절과 찬도기야 우파니샤드 5.3절부터 5.10절까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35] 인도학자이자 산스크리트 학자인 패트릭 올리벨에 따르면, 이러한 힌두교 경전들은 기원전 900년에서 기원전 700년 사이에 다양하게 편찬되었다. 아트만(자아, 영혼)과 브라흐만의 존재론적 개념과 같은 다른 사상들과 함께, 이러한 초기 우파니샤드들은 인간의 삶, 활동, 그리고 존재의 본질을 내면화된 숭배의 형태로 논하며, 성(性)과 성행위는 종교적 야즈냐 의식(제사용 불, 아그니)의 한 형태로 묘사되고 영적인 용어로 가득 차 있다.[35]

브리하다라냐카 우파니샤드 6.2.13절에서는 여성을 불에 비유하며 성적 결합을 제의로 묘사한다.[33][34]

가우타마여, 여자란 불과 같다.

그녀의 장작은 음부이고,

그녀의 연기는 음모이며,

그녀의 불꽃은 질이다.

누군가 그녀를 꿰뚫을 때, 그것은 그녀의 잿불이고,

그녀의 불꽃은 절정이다.

그 불 속에서 신들은 정액을 바치고,

그 제물에서 남자가 태어난다.

– 브리하다라냐카 우파니샤드 6.2.13, 번역: 패트릭 올리벨


인도학자 데에 따르면, 도니거도 동의하는 견해로, 이것은 카마수트라가 베다 시대의 종교 문헌에서 시작되었다는 많은 증거 중 하나이며, 그러한 사상들이 궁극적으로 바츠야야나에 의해 수트라 장르의 텍스트로 다듬어지고 추출되었다.[35] 도니거에 따르면, 쾌락, 즐거움, 그리고 성을 '다르마'(dharmic) 행위로 기리는 이러한 패러다임은 힌두교도들의 "리그베다"라고 알려진 "세속적이고 활기찬 텍스트"에서 시작되었다.[36] 카마수트라와 성, 에로티시즘, 쾌락에 대한 찬양은 힌두교의 종교적 분위기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사원에서 매우 흔하다.[36]

2. 2. 서사시

마하바라타라마야나 등 주요 힌두교 서사시에서 인간관계, 성, 정서적 만족은 중요한 부분이다.[37] 고대 인도에서는 사랑과 성을 즐거운 필수 요소로 여겼다. 여성이 내성적이고 선택적이기는 하지만, "여성은 '수라타'(애정 또는 성적 쾌락)를 매우 필요로 하며", "남성보다 훨씬 강한 성적 성향을 가지고 있고, 성행위에서 남성보다 더 큰 즐거움을 느낀다"고 보았다.[37]

3. 구조

바츠야야나의 『카마수트라』는 7권, 36장, 1250구절로 구성되어 있다고 서술되어 있다.[37] 산문과 운문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나야카(nayaka, 남성)와 나이카(nayika, 여성)라는 두 인물이 피타마르다(pitamarda, 방탕한 자), 비타(vita, 매춘알선자), 비두샤카(vidushaka, 광대)라는 인물들의 도움을 받는 극적인 허구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39] 『카마수트라』에 나오는 가르침과 논의는 고대 힌두교 신화와 전설을 광범위하게 포함하고 있다.[39]

카마수트라
권.장구절주제
1총론
1.11–24서문, 카마 문학의 역사, 내용 개요
1.21–40카마 지식에 적합한 나이, 삶의 세 가지 목표: 다르마, 아르타, 카마; 그들의 필수적인 상호 관계, 자연스러운 인간의 질문
1.31–22카마를 위한 준비, 더 나은 삶의 질을 위한 64가지 예술, 소녀들이 이러한 예술을 배우고 훈련하는 방법, 평생 동안의 이점과 카마 향상에 대한 기여
1.41–39도시 신사의 삶, 일상, 오락 및 축제, 스포츠, 소풍, 사교, 게임, 오락 및 음주 파티, 카마에서의 성공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자(심부름꾼, 친구, 조력자) 찾기, 시골 신사를 위한 선택 사항, 카마 추구 과정에서 절대 해서는 안 될 일
1.51–37여성의 유형, 성 파트너 찾기, 성관계, 연인이 되는 것, 충실한 것, 허용되는 여성, 간통 및 간통을 저지를 때, 피해야 하는 금지된 여성, 심부름꾼과 조력자에 대한 신중함, 삶에서의 몇 가지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2애정 표현/성적 결합
2.11–45성관계와 성적 쾌락, 모든 연인의 독특함, 기질, 크기, 지구력, 전희, 사랑과 연인의 유형, 성관계 지속 시간, 절정의 유형, 친밀감, 기쁨
2.21–31누군가가 관심 있는지 알아내는 방법, 대화, 서곡과 준비, 서로 만지는 것, 마사지, 포옹
2.3–51–32, 1–31, 1–43키스, 어디에 어떻게 키스할 것인가, 서로 놀리고 게임하기, 다른 사람을 위한 신호와 암시, 청결, 치아, 머리카락, 몸, 손톱 관리, 비성적 신체적 친밀감(긁기, 찌르기, 물기, 때리기, 잡기)
2.6–101–52성교, 그 정의와 방법, 자세, 다양한 방법, 다양성 가져오기, 일반적이고 특이한 성행위, 성교 전후의 의사소통(신음), 다양한 지역 관습과 풍습, 남성의 필요, 여성의 필요, 변화와 놀라움, 여성의 오럴섹스, 남성의 오럴섹스, 의견, 의견 차이, 서로 실험하기, 첫 경험, 성적 흥분이 사라지는 이유, 열정 되살리기, 싸움, 성생활 흥미롭게 유지하기, 헌신적인 관계에서 행복을 찾는 64가지 방법
3아내 얻기
3.11–24결혼, 적절한 여성 찾기, 피해야 할 여성, 설득해야 할 여성, 결정 방법, 진행 방법, 동맹 맺기
3.2–31–35, 1–32그녀의 신뢰 얻기, 서두르지 않고 부드러운 것의 중요성, 점진적으로 성적 개방으로 나아가는 것, 여성에게 접근하는 방법, 우정으로 나아가는 것, 우정에서 친밀함으로, 소녀의 다양한 반응 해석하기
3.4–51–55, 1–30그의 신뢰 얻기, 남성과 그의 접근 방식 알기, 여성이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마음 얻기; 연인의 신뢰하는 사람 활용하기, 결혼 유형, 결혼 공식화, 가출
4아내의 의무와 권리
4.1–21–48, 1–30아내이기, 그녀의 삶, 행동, 가정에 대한 권력, 남편이 없을 때의 의무, 핵가족과 대가족, 책임을 져야 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4.230–72재혼, 불운, 첩, 일부다처제
5다른 남자의 아내
5.11–56인간의 본성, 남성의 경향, 여성의 경향, 여성이 흥미를 잃고 다른 곳을 찾는 이유, 간통 피하기, 간통 추구, 부정행위에 관심 있는 여성 찾기
5.2–51–28, 1–28, 1–66, 1–37많은 연인 찾기, 심부름꾼 활용하기, 그들의 필요와 좋은 중개인을 찾는 방법, 친해지기, 어떻게 추파를 던질 것인가, 선물과 사랑의 표시, 만남 주선하기, 여성이 이용 가능하고 관심 있는지 은밀하게 알아내는 방법, 경고와 언제 멈춰야 하는지 알기
5.61–48공창(매춘), 그들의 삶, 기대할 것과 기대하지 말 것, 그들을 찾는 방법, 지역 관행, 보호하고 존중하기
6매춘부에 관하여
6.11–33매춘부, 그들을 동기 부여하는 것, 고객을 찾는 방법, 누군가가 단지 친구이거나 연인이어야 하는지 결정하기, 피해야 할 연인, 연인을 얻고 그를 흥미롭게 유지하기
6.21–76연인을 기쁘게 하는 방법
6.31–46연인을 당신에게 열광하게 만드는 방법, 사랑 생활이 충족되지 않으면 그를 없애는 방법
6.4–51–43, 1–39전 연인이 다시 당신에게 관심을 갖게 만드는 방법, 재회, 방법, 노력할 가치가 있는지 확인하기, 연인의 유형, 고려해야 할 사항
6.61–53사랑 생활이 지루해지는 이유, 예시, 친숙함과 의심
7비술(秘術)
7.1–21–51, 1–51잘 보이기, 기분 좋기, 매력적이 되는 이유와 방법, 마법, 남성다움, 주의 깊게 보기, 진실성과 인위성, 보디 아트와 구멍 뚫기, 성기 관리, 자극제, 처방전과 특이한 관행


4. 내용

뤼도 로셔(Ludo Rocher)의 번역에 따르면, ''카마수트라''는 삶의 기술, 파트너와의 관계, 성적 쾌락, 결혼, 간통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46] 각 주제에 대해 다양한 선택지와 지역 관행을 제시하며, 독자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도록 유도한다.[42] 특히, 웬디 도니거(Wendy Doniger)는 "진짜 카마수트라"는 "삶의 기술"에 관한 책으로, 자신의 몸과 파트너의 몸을 이해하고, 파트너와 정서적 유대감을 찾고, 결혼하며, 친밀한 관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권력 역학을 이해하는 것을 다룬다고 설명한다. 또한, 욕망과 쾌락이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는 심리적 논문이기도 하다.[46]

''카마수트라''는 매우 간결하고 격언적인 구절들로 이루어진 "수트라" 장르의 텍스트이다. 도니거는 이것을 "의미의 일종의 원자적 사슬(실)"이라고 묘사하며, 너무 비밀스러워서 어떤 번역도 텍스트를 해독하고 채우는 것과 같다고 말한다. 텍스트를 수트라 장르의 종교 텍스트 형식으로 간결하게 만드는 것은 기억하고 전달하기 쉽게 하지만, 모호성을 도입하고 각 장의 맥락, 어원적 뿌리, 그리고 이전 문헌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식 보존 및 전달 방법은 베다(Vedas)에 그 기초를 두고 있는데, 베다 자체도 비밀스러우며 세부 사항과 아이디어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주석가와 교사-안내자가 필요하다.

''카마수트라''는 7부 3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서론(전 4장): 일반적인 사랑
  • 성교(전 10장): 키스, 전희, 성적 쾌락, 성교 체위, 오럴섹스, 스팽킹, 변태 성욕, 3인 관계, 인도식 9상(음경의 움직임), 성기의 종류와 크기
  • 아내를 얻는 방법(전 5장): 구애, 결혼
  • 아내(전 2장): 아내의 적절한 행위
  • 기혼 여성(전 6장): 여성 유혹 방법
  • 창부(기생)(전 6장): 기녀의 64가지 예능(특히 연극). 최고위 기녀는 가니카(Ganikā).
  • 다른 사람을 매료시키는 방법(전 2장)


''카마수트라''는 현존하는 고대 인도의 성애론 서적 『카마샤스트라(Kāmashastra)』 중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문헌이다.[80] 카마(Kāma, 성애)는 다르마(Dharma, 의례), 아르타(Artha, 실리)와 함께 고대 인도에서 삶의 3대 목표로 여겨졌지만, 바츠야야나는 카마 연구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책의 마지막에는 욕정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80]

''카마수트라''는 당시 인도 사회와 사람들의 생활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사 자료이다.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에 따르면, 인류 문화 전반에서 “섹스의 진실”은 “색정 예술” 교본("ars erotica" text)과 “성과학” 문헌("scientia sexualis" literature)의 두 가지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고 공유되어 왔다. 웬디 도니거는 『카마수트라』가 두 영역 모두에 걸쳐 있다고 말한다. 카마(kama)의 본질에 대한 선행 산스크리트 학문을 인용하면서, 생리학, 감정, 그리고 경험을 함께 제시한다.[77]

4. 1. 푸루샤르타

힌두교 전통에는 삶의 네 가지 주요 목표를 설명하는 푸루샤르타라는 개념이 있다.[17][18] 이는 모든 인간에게 충만하고 행복한 삶에 필요하고 충분한 네 가지 적절한 목표가 있다고 주장한다.[19]

  • 다르마(Dharma) – 삶과 우주를 가능하게 하는 질서인 『르타(rta)』에 부합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행동을 의미하며,[20] 의무, 권리, 법, 행동, 미덕 및 "올바른 삶의 방식"을 포함한다.[21] 힌두교의 다르마는 각 개인의 종교적 의무, 도덕적 권리와 의무뿐만 아니라 사회 질서, 올바른 행동 및 미덕 있는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행동을 포함한다.
  • 아르타(Artha) – "삶의 수단", 원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활동과 자원을 의미한다.[23] 아르타는 부, 직업, 생계를 위한 활동, 재정적 안정 및 경제적 번영을 포함한다. 아르타의 적절한 추구는 힌두교에서 인간 삶의 중요한 목표로 간주된다.[24][25]
  • 카마(Kama) – 욕망, 소망, 열정, 감정, 감각적 쾌락, 삶의 미학적 즐거움, 애정 또는 사랑을 성적 의미가 있든 없든 의미한다.[26] 가빈 플러드(Gavin Flood)는[27] 카마를 다르마(도덕적 책임), 아르타(물질적 번영) 및 목샤(영적 해방)를 향한 여정을 위반하지 않는 "사랑"으로 설명한다.
  • 목샤(Moksha) – 해방, 자유 또는 해탈을 의미한다.[28]


이러한 푸루샤르타의 각 개념은 개별적인 연구 대상이 되어 고대 인도에서 풍부한 산스크리트어와 일부 프라크리트어 문학을 낳았다. 다르마샤스트라, 아르타샤스트라 및 목샤샤스트라와 함께 카마샤스트라 장르는 야자수 잎 필사본으로 보존되었다. 『카마수트라』는 카마샤스트라 장르의 텍스트에 속한다.

인도 카마샤스트라 문학의 특징적인 대상은 "자아와 세계" 사이의 좋은 관계에서 나오는 "조화로운 감각적 경험"이며, 감각 능력을 발견하고 향상시켜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세계의 영향을 받는" 것이다.[32] 바츠야야나(Vatsyayana)는 주로 카마와 다르마 및 아르타와의 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4. 2. 구애와 유혹

『카마수트라』 3권은 주로 결혼을 목표로 한 구애의 기술을 다룬다. 우파디야야(Upadhyaya)에 따르면, 이 책의 서두는 결혼을 "파트너 간의 순수하고 자연스러운 사랑"을 위한 좋은 수단으로 선언한다.[48] 이는 더 많은 친구, 친척, 자녀, 연인 간의 애정 어린 성관계, 그리고 부부가 함께 추구하는 다르마(정신적, 윤리적 삶)와 아르타(경제적 삶)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서적 만족으로 이어진다.[48]

처음 세 장에서는 남성이 어떻게 적절한 신부를 찾아야 하는지에 대해 논하고, 네 번째 장에서는 여성이 원하는 남성을 얻는 방법에 대해 동등하게 논의한다.[48] 이 책은 현실적이어야 하며 파트너에게서 기대하는 "같은 자질"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친구와 친척을 찾는 데 참여하고 결혼 전에 미래 배우자의 현재 친구와 친척을 만나는 것을 제안한다.[48] 알랭 다니엘루(Alain Danielou)에 따르면 바츠야야나(Vatsyayana)는 "같은 가치관과 종교적 관점을 공유하는 자신의 동등한 사람들, 자신의 범위의 사람들과 놀고, 결혼하고, 교류해야 한다"고 권장한다. 『카마수트라』 3.1.20절에 따르면, 두 사람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으면 좋은 행복한 관계를 유지하기가 더 어렵다.

3세기의 『카마수트라』는 현대에도 공감을 얻는 능숙한 교제(flirtation)와 같은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고 뉴욕 타임즈의 서평에서 언급하고 있다.[73] 예를 들어, 여성의 마음을 얻고자 하는 젊은 남성은 파티를 열고 손님들에게 시를 낭송하도록 초대해야 한다. 파티에서 일부가 빠진 시를 낭송하고, 손님들은 창의적으로 시를 완성하기 위해 경쟁해야 한다.[73] 또 다른 예로, 『카마수트라』는 남녀가 함께 강에서 수영하는 등 놀이를 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관심 있는 여성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남자는 물속으로 잠수하여 여성에게 접근하고, 물 위로 나와 여성을 놀라게 한 다음, 가볍게 그녀를 만진 후 다시 그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잠수해야 한다.[73]

4. 3. 친밀함과 전희

바츠야야나의 『카마수트라』는 연인들 사이의 성행위 전후 다양한 형태의 친밀함을 묘사한다. 본문 2.2.7~23절에서는 8가지 형태의 알링가나(포옹)인 스프리슈타카, 비드다카, 우드그리슈타카, 피디타카, 라타베슈티타카, 브릭샤드히루다, 틸라탄둘라, 크시라니라를 논한다.[49] 처음 네 가지는 서로 간의 사랑을 표현하지만 성적인 행위는 아니다. 마지막 네 가지는 바츠야야나가 전희와 성적 친밀함 중 쾌락을 증진시키기 위해 권장하는 포옹의 형태이다. 바츠야야나는 이 8가지 포옹의 범주에 대해 바브라야 학파의 이전 – 현재는 소실된 – 인도의 문헌을 인용한다. 다양한 형태의 친밀함은 의도를 반영하고 쾌락을 위해 감각의 조합을 참여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바츠야야나에 따르면 라라티카 형태는 서로의 감각을 느끼게 하고 남성이 "여성의 아름다움을 온전히 감상"할 수 있게 해준다고 S.C. 우파디야야는 말한다.[49]

『카마수트라』에서 논의되는 친밀함의 또 다른 예로는 춤바나스(키스)가 있다.[50] 본문은 존경과 애정을 보이는 데 적절한 것부터 전희와 성행위 중에 하는 것까지 26가지 형태의 키스를 제시한다. 바츠야야나는 고대 인도의 여러 지역에서 키스 문화의 차이점도 언급한다.[50] 『카마수트라』에 따르면, 친밀한 파트너에게 가장 좋은 키스는 두 사람이 성적으로 결합하지 않았을 때 아바스타(파트너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는 데 기반한 키스이다. 성행위 중에는 흐름에 따라 아비요가와 삼프라요가로 반응하는 것이 좋다고 본문은 권장한다.[50]

『카마수트라』에 묘사된 전희와 성적 친밀함의 다른 기술로는 다양한 형태의 잡기와 포옹(그라하나, 우파구하나), 상호 마사지와 문지르기(마르다나), 꼬집고 물기, 손가락과 손을 사용하여 자극하기(카리카라크리다, 나디-크쇼바나, 앙굴리-프라베샤), 세 가지 스타일의 지흐바-프라베샤(프렌치 키스), 그리고 많은 스타일의 펠라티오와 쿠닐링구스가 있다.[51]

4. 4. 성적 결합

키스, 전희, 성적 쾌락, 88가지의 성교 체위 목록, 오럴섹스, 스팽킹, 변태 성욕, 3인 관계, 인도식 9상(음경의 움직임), 성기의 종류와 크기 등을 설명한다.[80]

바차야나의 『카마수트라』는 연인 사이의 성행위 전 및 성행위 중에 포함되는 다양한 체위(form영어)의 친밀한 행위를 기록한다. 예를 들어, “알링가나(포옹, alingana영어)”의 여덟 가지 형태인 "sphrishtaka", "viddhaka", "udghrishtaka", "piditaka", "lataveshtitaka", "vrikshadhirudha", "tilatandula" 및 "kshiranira"에 대해 본문 2.2.7-23절에서 논한다.[86]

처음 네 가지는 상호 애정의 표현이지만 비성적인 것이다. 나머지 네 가지는 바차야나가 권장하는 전희 및 성적인 애정을 표현하는 행위에서 신체적 쾌락을 높이는 포옹 자세이다. 현재는 남아 있지 않은 바브라야 학파 유래의 인도 문헌에서 바차야나는 이 여덟 가지 포옹의 범주에 대해 인용한다. 친밀함을 보여주는 많은 자세는 신체적 쾌락의 감각 결합을 이끌어내는 의지를 반영하고 수단을 제공한다. 바차야나에 따르면, “랄라치카” 자세는 상호 감각을 느끼는 동시에 남성이 시각적으로 여성 자태의 풍부한 미점을 인정하게 한다고 S.C. 우파자야나는 말한다.[77]

4. 5. 간통

뤼도 로셔(Ludo Rocher)에 따르면, 『카마수트라』는 간통을 막지만 "남자가 결혼한 여자를 유혹할 수 있는 이유('''카라나(karana)''')"를 열거하는 15개 이상의 수트라(1.5.6~20)를 할애한다.[52][85] 바츠야야나는 간통적인 성적 관계를 남자가 관련된 여자로 하여금 자신을 돕도록 유도하는 수단으로, 적과 싸우고 성공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가르친다. 또한 여자가 간통 관계를 맺고 싶어하는 징후와 이유, 그리고 간통을 저지르고 싶어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53]

『카마수트라』는 간통 관계를 맺는 전략을 가르치지만, 성적 관계에 대한 장을 마무리하면서 간통은 결혼에서 양측 중 한쪽만을 기쁘게 하고 다른 쪽을 해치며, '''다르마'''와 '''아르타''' 모두에 위배되기 때문에 간통을 저질러서는 안 된다고 결론짓는다.[47]

4. 6. 동성애

『카마수트라』에는 두 남자 간, 혹은 두 여자 간의 구강성교 등 동성애 관계를 묘사하는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87][88] 레즈비언 관계는 2권 5장과 8장에서 광범위하게 다루어진다.[89]

도니거에 따르면, 『카마수트라』는 “트리티야 프라크리티(tritiya prakriti)”라는 개념을 통해 동성애 관계를 논의하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제3의 성(性)” 또는 “제3의 본성”을 의미한다. 도니거는 『카마수트라 재해석(Redeeming the Kamasutra)』에서 "카마수트라는 동성애에 대한 다르마적 관점과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동성애를 논한다"고 말한다. 『카마수트라』는 경멸적인 용어인 “클리바(kliba)”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대신 "제3의 본성" 또는 성적 행위의 맥락에서 "제3의 성(性)"에 대해 이야기한다.[58]

본문에는 두 가지 유형의 "제3의 본성"이 있다고 명시되어 있는데, 하나는 남자가 여자처럼 행동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여자가 남자처럼 행동하는 것이다. 성행위를 묘사하는 가장 긴 연속 구절 중 하나에서 『카마수트라』는 여자처럼 차려입은 남자가 다른 남자에게 구강 성교를 하는 기술을 묘사한다.[58] 본문에는 여자아이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여자 친구와 처녀성을 잃는 것[59]과 같이 두 여자 사이의 동성애 행위, 그리고 여자들 사이의 구강 성교와 성적 장난감 사용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60] 다니엘루가 레즈비언으로 번역한 용어인 “스바이리니(Svairini)”는 다른 여자와 부부 생활을 하거나 남편에게 관심이 없는 독립적인 삶을 사는 여자로 본문에 묘사되어 있다.[61] 또한 본문에는 양성애 관계에 대한 몇 가지 간략한 언급이 있다.[59]

4. 7. 매춘부

카마수트라에서는 기녀는 64가지 예능에 능숙해야 하며, 특히 연극에 정통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최고위 기녀는 가니카(Ganikā)라고 불렸다.[80]

4. 8. 사회 계급

『카마수트라』는 고대 인도의 사회학적 정보와 문화적 배경에 대한 독특한 자료 중 하나이다. 도니거(Doniger)는 이 책이 "계급(바르나)과 카스트(자티)를 거의 무시한다"고 말한다.[54] 성적 유형을 포함한 인간 관계는 성별이나 카스트에 의해 분리되거나 억압되지 않고, 오히려 개인의 부(『아르타』에서의 성공)와 연결된다. 『카마수트라』에서 연인들은 "상류층이 아니지만" 옷을 잘 입고, 사교적인 여가 활동을 하고, 선물을 사서 연인을 놀라게 할 만큼 "부유해야" 한다. 카스트가 언급되는 드문 경우는, 남성이 법적인 아내를 찾는 것과 여성을 유혹하는 유머러스한 이야기는 "같은 자티(jati)(카스트)의 다른 처녀들"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는 조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책은 도시와 농촌 모두에서 계급과 카스트를 넘나드는 남녀 간의 성 활동을 묘사한다.[54]

5. 번역



『카마수트라』의 최초 영어 번역본은 1883년 동양학자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Sir Richard Francis Burton) 경에 의해 개인적으로 인쇄되었다.[63] 그는 직접 번역하지 않고 빅토리아 시대 영국인의 태도에 맞게 편집했다. 편집되지 않은 번역본은 인도 학자 바가완랄 인드라지(Bhagwan Lal Indraji)가 버튼의 친구이자 인도 행정관인 포스터 피츠제럴드 아부스노트(Forster Fitzgerald Arbuthnot)의 지도하에 학생 시바람 파르슈람 비데(Shivaram Parshuram Bhide)의 도움을 받아 제작했다.[63] 웬디 도니거(Wendy Doniger)에 따르면, 버튼 판은 "결함이 있는 영어 번역"이지만, 현대 번역가와 힌디어와 같은 인도 언어의 축약판조차도 원본 산스크리트어 사본이 아닌 버튼 판의 재번역이라는 점에서 영향력이 있다.[64]

버튼의 카마수트라 판은 빅토리아 시대의 사고방식과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이 힌두교와 그 문화의 결점을 찾고 공격하며, 힌두교 예술과 문학에서 관능적이고 성적인 것을 "더러운 이교도"로 거부하던 환경에서 제작되었다. 도니거는 "힌두교도들은 그들의 경멸 아래 움츠리고 있었고", 카마수트라에서 성에 대한 공개적인 논의는 19세기 유럽인들을 충격에 빠뜨렸다고 말한다.[64] 버튼의 카마수트라 판은 1962년까지 영국과 미국에서 출판이 불법이었다. 그러나 도니거는 1883년 출판 직후 "영어로 가장 많이 불법 복제된 책 중 하나"가 되어 리처드 버튼의 이름 없이 널리 복사되고, 재인쇄되고, 재출판되었다고 말한다.[64]

버튼은 카마수트라에 두 가지 중요한 공헌을 했다. 첫째, 그는 영국 엘리트의 정치적, 문화적 관습에 반하여 식민 시대에 카마수트라를 출판할 용기를 가졌다. 그는 1857년 외설 간행물법(Obscene Publications Act)에 따른 당시 영국의 만연한 검열법을 교묘하게 무력화할 방법을 찾았다.[65][64] 버튼은 "개인적인 배포만을 위해"라는 선언과 함께 "런던과 바라나시(바라나시(Varanasi))의 카마 샤스트라 협회(The Kama Shastra Society)"라는 가짜 출판사를 만들었다.[64] 둘째, 단어를 바꾸고 부분을 다시 작성하여 일반 영국 대중에게 더 받아들일 수 있도록 크게 편집했다. 예를 들어, 원본 산스크리트어 카마수트라는 성기를 나타내는 데 링검(lingam)이나 요니(yoni)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거의 항상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 버튼은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에서 성, 성관계, 인간의 성적 자세를 논의할 때 페니스, 외음부, 질과 같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성적 용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빅토리아 시대의 사고방식에 외설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교묘하게 피했다. 그는 대신 번역 전체에 걸쳐 링검과 요니라는 용어를 사용했다.[66] 도니거는 이러한 의도적이고 잘못된 단어 대체가 "성을 인류학적으로 만들고, 거리를 두고, 영국 독자들에게 텍스트가 실제 성기, 즉 그들의 성기에 관한 것이 아니라 멀리 떨어진 이상하고 어두운 사람들의 부속물에 관한 것이라고 확신시키거나, 그렇게 속이려는" 것으로서 동양주의적 수단으로 작용했다고 말한다.[66] 버튼은 링검과 요니라는 용어를 인간의 성기에 사용했지만, 이 용어들은 실제로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에서 훨씬 더 많은 의미를 가지며 그 의미는 문맥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버튼의 카마수트라는 서구의 상상 속에서 이 단어들에 독특하고 구체적인 의미를 부여했다.[66]

도니거는 버튼의 번역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첫째, 그 텍스트는 "버튼이 말하는 것을 단순히 말하지 않는다".[64] 둘째, "여성들의 목소리를 빼앗고, 직접 인용을 간접 인용으로 바꿈으로써 작품을 활기 있게 만드는 대화의 힘을 잃고 카마수트라에서 말하는 많은 여성들의 생생한 존재를 지운다". 셋째, 원본 텍스트의 단어의 힘을 바꾼다. 예를 들어, 바츠야야나(Vatsyayana)의 원본 텍스트에서 여성이 "그만!" 또는 "날 놓아줘!"라고 말할 때, 버튼은 "그녀는 계속해서 금지, 충분함 또는 해방에 대한 욕망을 표현하는 말을 한다"라고 바꾸어 원본 텍스트의 문맥과 의도를 잘못 해석한다고 도니거는 말한다.[64] 마찬가지로, 원본 카마수트라는 "여성은 강력한 특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버튼은 이러한 구절을 지움으로써 인도 문화를 비인간화하는 전형적인 동양주의 방식으로 고대 인도에서 여성의 주체성을 훼손했다.[64][66] 인도학과 비교종교학 교수인 데이비드 슐만(David Shulman)은 도니거와 마찬가지로 버튼의 번역이 잘못되고 결함이 있다는 데 동의한다.[73] 슐만에 따르면, 버튼 판은 "빅토리아 시대의 섬세함과 간접적인 쾌락 포르노로 성 문제를 다루는" 다른 사고방식으로 쓰여졌다. 이것은 텍스트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고대 "힌두교 포르노그래피"라는 잘못된 인상을 만들어냈다.[73]

1961년, S. C. 우파드야야(S. C. Upadhyaya)는 ''카마수트라 오브 바츠야야나: 원본에서 완전 번역(Kamasutra of Vatsyayana: Complete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을 출판했다.[67] 조티 푸리(Jyoti Puri)에 따르면, 이것은 독립 이후 인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카마수트라의 학술적인 영어 번역 중 하나로 간주된다.

다른 번역으로는 알랭 다니엘루(Alain Daniélou)의 번역(1994년 ''완전한 카마수트라(The Complete Kama Sutra)'')이 있다.[68] 원래 프랑스어로 번역된 후 영어로 번역된 이 번역에는 바츠야야나에게 귀속된 원본 텍스트와 중세 및 현대 해설이 포함되어 있다. 1883년 판과 달리 다니엘루의 새로운 번역은 원본의 번호가 매겨진 구절 구분을 보존하고 텍스트에 주석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는 자야망갈라(Jayamangala)의 중요한 해설 두 개와 데바다타 샤스트리(Devadatta Shastri)의 보다 현대적인 해설을 주석으로 포함한다. 도니거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에 내포된 성별을 무시하면서 다니엘루가 카마수트라를 자유롭게 재해석했다고 말하며 그의 번역의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때때로 카마수트라가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것을 말할 때 목적어와 주어를 바꾸어 여성을 주어로, 남성을 목적어로 만든다. 도니거에 따르면, "이러한 비밀스러운 텍스트(카마수트라)조차도 무한히 유연한 것은 아니다"라고 하며 이러한 창의적인 재해석은 텍스트를 반영하지 않는다.

인드라 시나(Indra Sinha)의 번역은 1980년에 출판되었다. 1990년대 초, 성적 자세에 관한 장이 독립적인 텍스트로 인터넷에서 유통되기 시작했고, 오늘날에는 종종 카마수트라 전체로 간주된다.[69]

도니거와 수디르 카카르(Sudhir Kakar)는 옥스포드 월드 클래식 시리즈의 일환으로 2002년에 또 다른 번역을 출판했다. 도니거는 번역과 함께 카마수트라와 관련된 수많은 기사와 책 장을 출판했다.[70][71][72] 도니거의 번역과 카마수트라 관련 문학은 칭찬과 비판을 모두 받았다. 데이비드 슐만에 따르면, 도니거의 번역은 "이 책과 고대 인도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를 바꿀 것이다. 이전의 번역은 hopelessly outdated, inadequate and misguided하다".[73] 나라싱가 실(Narasingha Sil)은 도니거의 작품을 "많이 오해되고 남용된 힌두교 에로티즘의 또 다른 서명 작품"이라고 부른다. 그녀의 번역은 구어체의 "반짝이는 산문", 매력적인 스타일, 그리고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의 독창적인 번역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은 도니거의 작품이 그녀 자신의 "정치적이고 논쟁적인" 견해와 그녀의 후기구조주의적 번역과 해석을 혼합한다고 덧붙인다. 그녀는 원본 텍스트나 벵골 르네상스 운동(나라싱가 실의 학문적 전문 분야 중 하나)과 같은 다른 관련 고대 및 후기 인도 문학의 증거의 무게로 뒷받침되지 않는 광범위한 일반화와 경솔한 삽입을 한다. 도니거의 발표 스타일은 자극적이지만, 일부 세부 사항은 잘못 정보를 제공하고 그녀의 해석의 일부는 의심스럽다고 실은 말한다.[74]

6. 대중문화

카마수트라: 사랑 이야기(Kama Sutra: A Tale of Love), 카마수트라 3D(Kamasutra 3D) 등 카마수트라를 바탕으로 한 장편 영화가 제작되었다.[1][2]

7. 현대적 의의

인디라 카푸르 국제 계획된 부모 연합 이사는 『카마수트라』가 인간의 성적 행동에 대한 논문이며, 고대의 성에 대한 진지한 연구 시도라고 말한다.[75] 카푸르는 『카마수트라』를 "자신의 신체와 감정에 대한 자신감과 이해를 발견하고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75]

『카마수트라』는 에로틱한 고대 문학의 인기 있는 참고 자료였다. 미국 여성 잡지인 『레드북』과 같은 서구 매체에서는 카마수트라를 "수세기 전에 쓰여졌지만, 남녀 모두에게 미묘한 쾌락의 변화를 제공하는 수백 가지의 자세를 자세히 설명하는, 여전히 최고의 섹스 매뉴얼"이라고 묘사한다.[75]

조티 푸리는 "『카마수트라』는 비서구적이고 관용적이며, 실제로는 성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의 확실한 증거로 자주 이용되고" 있으며, "『카마수트라』가 성에 대한 긍정적이고 심지어 고귀한 견해를 투명하게 보여준다는 믿음"을 위해 사용된다고 말했다.[75] 그러나 푸리에 따르면, 이것은 본 저서에 대한 식민주의적이고 반식민주의적인 근대주의적 해석이며, 다른 역사가들이 발표한 고대 인도에 만연했을 수 있는 "성별, 인종, 국적 및 계급의 정치"와 공감하거나 제공하지 않는다.[75]

도니거에 따르면, 『카마수트라』는 "위대한 문화적 걸작"이며, 현대 인도인들이 "자기 의심을 극복하고" 고대 유산을 "기뻐하게" 영감을 줄 수 있다.[76]

『카마수트라』는 현존하는 고대 인도의 성애론 서적 『카마샤스트라』 중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문헌이다.[80]

카마(성애)는 다르마(의례), 아르타(실리)와 함께 고대 인도에서 삶의 3대 목표로 여겨져 왔지만, 바츠야야나는 카마 연구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책의 마지막에는 욕정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80]

당시 인도 사회와 사람들의 생활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사 자료이다.

미셸 푸코는 인류 문화 전반에서 “섹스의 진실”은 두 가지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고 공유되어 왔다고 말한다. 하나는 “색정 예술” 교본이었고, 다른 하나는 “성과학” 문헌이었다. 전자는 전형적으로 은밀하게 전해지는 것으로, 친구 관계 또는 스승과 제자 사이, 한 사람에서 다른 사람으로 전달되며, 생리학 없이 감정과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이들은 성과 인간의 성적 본질에 관한 많은 진실을 감추고 있다.[82][83] 후자는 생물학, 생리학, 그리고 의학 교본에서 볼 수 있는 유형의 경험적 연구이며, 감정 없이 생리학과 객관적인 관찰에 초점을 맞춘다.[77] 웬디 도니거는 『카마수트라』가 두 영역 모두에 걸쳐 있다고 말한다. 카마의 본질에 대한 선행 산스크리트 학문을 인용하면서, 생리학, 감정, 그리고 경험을 그 제시된 형태로 논한다.[77]

참조

[1] 서적 Kamasutra - Oxford World's Classics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Gender and famili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11-15
[3] 서적 Gender and famili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11-15
[4] 학술지 The "Kamasutra": It Isn't All about Sex
[5] 서적 Sexuality Now: Embracing Diversit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5-11-15
[6] 서적 From Om to Orgasm: The Tantra Primer for Living in Bliss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5-11-15
[7] 서적 The Complete Kama Sutra: The First Unabridged Modern Translation of the Classic Indian Text
[8] 서적 Kama sense marketing iUniverse
[9] 서적
[10] 웹사이트 Khajuraho Group of Monuments https://whc.unesco.o[...] 2018-11-16
[11] 웹사이트 Ramgarh temple http://www.bl.uk/onl[...] 2022-01-09
[12]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13] 서적 Refractions of Desire, Feminist Perspectives in the Novels of Toni Morrison, Michèle Roberts, and Anita Desai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2014-12-07
[14] 서적 India: A History: from the Earliest Civilisations to the Boom of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14-12-10
[15] 뉴스 The Kama Sutra as a Work of Philosophy https://www.nytimes.[...] 2023-02-10
[16] 서적 Brhat Samhita of Varahamihir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18-11-27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Philosophy Routledge 2020-12-29
[20] 웹사이트 Th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Dharma'' http://www.encyclope[...] 2016-09-26
[21] 서적 Dharma Columbia University Press, Gale
[22] 학술지 Dharma and Moksa
[23] 학술지 Puruṣārtha as Human Aims
[24]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Rosen Publishing
[2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Hinduism
[26] 학술지 The Dialectics of Desire BRILL
[27] 서적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Purusarthas
[28]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Knowledge and Freedom in Indian Philosophy
[30] 서적 Living Liberation in Hindu Thought
[31] 학술지 Padmaśrī's "Nāgarasarvasva" and the World of Medieval Kāmaśāstra
[32] 학술지 The Pleasure is Mine: The Changing Subject of Erotic Science Springer
[33] 서적 The Early Upanishads Oxford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https://sa.wikisourc[...] 2022-01-25
[35] 서적 Ancient Indian Erotics and Erotic Literature https://archive.org/[...] K.L. Mukhopadhyay
[36] 논문 The Erotic Sculptures of India
[37] 서적 Sexual Life in Ancient India: A Study in the Comparative History of Indian Cultur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Orig: 1953) 2018-11-22
[38] 서적 Kama sutra of Vatsyayana Complete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Sanskrit DB Taraporevala (Orig publication year: 1961)
[39] 서적 The Anthropologist and the Native: Essays for Gananath Obeyesekere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18-11-26
[40] 서적 Kama sutra of Vatsyayana Complete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Sanskrit DB Taraporevala (Orig publication year: 1961)
[41] 논문 Concerning Kamasutras: Challenging Narratives of History and Sexuality https://www.research[...]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3-18
[42] 논문 The Kāmasūtra: Vātsyāyana's Attitude toward Dharma and Dharmaśāstra
[43]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44] 서적 Indian Linguistic Studies: Festschrift in Honor of George Cardon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18-11-28
[45]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46]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47]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48] 서적 Kama sutra of Vatsyayana Complete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Sanskrit DB Taraporevala (Orig publication year: 1961)
[49] 서적 Kama sutra of Vatsyayana Complete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Sanskrit DB Taraporevala (Orig publication year: 1961)
[50] 서적 Kama sutra of Vatsyayana Complete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Sanskrit DB Taraporevala (Orig publication year: 1961)
[51] 서적 Kama sutra of Vatsyayana Complete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Sanskrit DB Taraporevala (Orig publication year: 1961)
[52] 논문 The Kāmasūtra: Vātsyāyana's Attitude toward Dharma and Dharmaśāstra
[53] 서적 The Sense of Adharm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2-03
[54]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55] 서적 Kama sutra of Vatsyayana Complete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Sanskrit DB Taraporevala (Orig publication year: 1961)
[56]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57] 서적 A Question of Silence: The Sexual Economies of 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Zed Books 2018-12-05
[58]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59]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60] 서적 Encyclopedia of Love in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8-11-28
[61] 서적 Encyclopedia of Love in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8-11-28
[62]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63] 서적 (정보 부족)
[64] 웹사이트 Sir Richard Burton’s Version of the Kamasutra https://lithub.com/r[...] 2018-11-22
[64] 서적 Against Dharma: Dissent in the Ancient Indian Sciences of Sex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8-11-22
[65] 논문 Translating/'The' "Kama Sutra" Taylor & Francis
[66] 논문 God's Body, or, The Lingam Made Flesh: Conflicts over the Representation of the Sexual Body of the Hindu God Shiv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7] 서적 Kama sutra of Vatsyayana Complete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Sanskrit DB Taraporevala (Orig publication year: 1961)
[68] 웹사이트 The Complete Kama Sutra http://www.alaindani[...] 2008-05-06
[69] 서적 (정보 부족)
[70]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71] 논문 On the Kamasutra The MIT Press
[72] 서적 The Sense of Adharm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2-03
[73] 뉴스 A New Kama Sutra Without Victorian Veils https://www.nytimes.[...] 2002-05-04
[74] 논문 Book Review: Wendy Doniger, Redeeming the Kamasutra
[75] 논문 A Love Map to His Body
[76] 서적 Redeeming the Kamasut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1-20
[77] 문서 ただしこの成立年代の根拠は確かではない
[78] 비디오 道教の性愛術 古代中国人の悦楽秘法 シティブックス 2019-03-19
[79] 문서 バーツヤーヤナ(マッラナーガ)とも表記。生没不明。(Vātsyāyana)
[80] 서적 『南アジアを知る事典』 平凡社
[81] 참고자료
[82] 참고자료
[83] 참고자료
[84] 참고자료
[85] 참고자료
[86] 참고자료
[87] 참고자료
[88] 참고자료
[89] 참고자료
[90] 참고자료
[91] 웹사이트 The significance of The Oriental Translation Fund and the role of Forster Fitzgerald Arbuthnot https://royalasiat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