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차카 변경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차카 변경주는 캄차카 반도, 인접한 본토, 카라긴스키 섬 및 코만도르스키예 제도를 포함하는 러시아의 행정 구역이다. 이 지역은 동쪽으로는 베링 해, 서쪽으로는 오호츠크 해에 접해 있으며, 다양한 화산과 간헐천을 포함한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17세기 러시아의 영유권 선언 이후 코사크의 탐험과 식민화 과정을 거쳤으며, 19세기에는 알래스카 매각, 크림 전쟁 등 역사적 사건을 겪었다. 2007년 캄차카주와 코랴크 자치구가 합병되어 캄차카 지방이 되었으며, 현재는 3개의 시, 11개의 군, 1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산업은 어업, 임업, 관광업이며, 러시아 정교회가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차카 변경주 - 캄차카 시간
캄차카 시간은 러시아의 시간대 중 하나로, 캄차카 지방과 추코트카 자치구에 적용되며, 2014년 부활 이후 UTC+12를 사용한다. - 캄차카 변경주 - 이텔멘족
이텔멘족은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으로, 코사크 정복 이후 인구 감소와 문화적 동화 과정을 겪었으나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문화를 유지하며 문화 부흥 운동을 펼치고 있고, 유전적으로 특정 하플로그룹과 연관되어 있다. - 러시아 극동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는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자 항구 도시로, 태평양 함대 기지가 주둔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고, 한때 폐쇄 도시였다가 현재는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러시아 극동 - 하바롭스크 변경주
하바롭스크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에 위치하며 광대한 면적에 다양한 지형과 하천,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이는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고, 하바롭스크를 중심으로 기계 제작, 목재 가공, 어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러시아인과 소수 민족이 함께 거주하고 경상남도, 효고현과 자매결연을 맺은 러시아의 연방 주체이다. - 아이누 - 도호쿠 지방
도호쿠 지방은 일본 혼슈 북동부에 위치하며 6개 현으로 이루어져 있고, 산악 지형과 화산, 온천이 풍부하며, 쌀 생산이 활발했으나 현재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 지진의 영향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가 과제인 지역이다. - 아이누 - 사할린섬
사할린섬은 러시아 최대의 섬이자 세계에서 29번째로 큰 섬으로, 러시아어, 일본어, 한국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러시아와 일본 간 영토 분쟁과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 다양한 민족 거주, 그리고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을 겪은 복잡한 역사를 지닌 섬이다.
캄차카 변경주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캄차카 지방 (Камчатский край) |
로마자 표기 | Kamchatskiy kray |
위치 | 러시아 극동 |
![]() | |
![]() | |
국가 | 러시아 |
연방관구 | 극동 연방관구 |
경제 지구 | 극동 경제 지구 |
지방 | 지방 |
행정 중심지 |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
공휴일 | 7월 1일 |
국가 | 캄차카 지방 찬가 |
정치 | |
정치 체제 | 지방 |
수반 | 지사 |
지사 | 블라디미르 솔로도프 |
입법부 | 입법 의회 |
행정 구역 | |
행정 구역 수 | 시군 11개, 도시 3개 |
면적 | |
총 면적 | 464,275km² |
면적 순위 | 러시아 내 10위 |
인구 | |
총 인구 (2021년) | 291,705명 |
인구 순위 | 러시아 내 77위 |
도시 인구 비율 (2021년) | 77.8% |
농촌 인구 비율 (2021년) | 22.2% |
인구 밀도 | 0.62명/km² |
기타 정보 | |
설립일 | 2007년 7월 1일 |
차량 번호판 | 41, 82 |
ISO 3166-2 | RU-KAM |
시간대 | 캄차카 시간 |
공식 웹사이트 | 캄차카 지방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740년 덴마크인비투스 베링에 의해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가 건설된 후, 캄차카는 유배지가 되었고 점차 개방되었다.[1] 러시아 제국 정부는 캄차카 반도로의 이주를 장려했다.[1] 1812년 선주민은 약 3,200명으로 감소했지만, 러시아인은 2,500명에 달했다.[1] 1854년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와 싸우던 프랑스와 영국이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를 공격(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포위전)했는데, 988명의 성인 남자는 단 68정의 총으로, 206정의 총을 가진 2,540명의 영국-프랑스 연합군의 침입을 물리쳤다.[1] 영국-프랑스 연합군이 퇴각한 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군사적 책임을 벗어나 군항의 기능은 우스티아무르(Ust-Amur)로 옮겨졌다.[1] 이듬해 다시 영국-프랑스 연합군이 와서 항구를 공격했을 때는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무인이었다.[1]
1867년 알래스카가 미국에 매각되면서, 미국으로 건너가는 상인과 탐험가의 중계지로서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의 의의도 사라졌다.[1] 1860년 연해주가 설치되면서 캄차카 반도는 그 관리하에 놓였다.[1] 19세기 말 캄차카 반도의 러시아인은 2,500명 정도였고, 선주민은 5,000명까지 증가했다.[1]
1917년 러시아 혁명과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을 거쳐, 1920년 3월 7일 극동 공화국이 건국되었지만, 캄차카 반도는 그해 12월 30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양도되어, 1922년에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의 일부가 되었다. 캄차카 반도 전역은 하바롭스크 지방에 편입되었다. 1930년 12월 10일에는 반도 북부에 코랴크 자치구가, 1932년 10월 20일에는 반도 남부에 캄차카주가 설치되었다.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등 베링해 연안에는 일본의 북양 어업 기지가 설치되어, 일본 기업에 의한 통조림 공장 등이 건설되었지만, 어법의 변화에 따라 점차 철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캄차카는 군사 지역으로 폐쇄되었고, 1968년에는 소련 해군태평양 함대의 잠수함 기지가 건설되었다 (현재의 빌류친스크). 1989년까지는 일반 러시아인도 출입할 수 없었지만, 1990년 이후에는 외국인에게도 개방되었다.
1991년 12월 25일 소련이 소멸하면서, 캄차카주와 코랴크 자치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 2007년 캄차카주와 코랴크 자치구가 합병되어 캄차카 지방이 설치되었고, 코랴크 자치구는 동 지방의 일부인 "코랴크 구"가 되었다.
2. 1. 초기 탐험과 식민지화
캄차카 반도 남쪽 끝은 한때 아이누족의 거주지였으며, 일본인도 교역을 위해 거주했다. 러시아는 17세기에 캄차카 반도의 영유권을 선언했다. 17세기 중반에 이반 캄차츠키, 세묜 데즈뇨프, 코사크의 이반 루베츠 등이 탐험했다.1697년 블라디미르 아트라소프는 65명의 코사크와 60명의 유카기르인을 이끌고 반도를 조사하여 캄차카 강에 2개의 선착장을 만들었다. 이들은 후에 러시아 모피 상인들의 교역 거점이 되었다. 1704년부터 1706년까지 코사크들은 자체적으로 식민지를 형성하고, 선주민인 캄차달인들을 수탈했다. 야쿠츠크에서 지역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아트라소프가 파견되었으나 이미 늦어, 1711년 아트라소프는 살해당했다. 그 이후 캄차카는 야쿠츠크로부터 중앙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반독립적인 지역이 되었다. 1713년에는 약 500명의 코사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코사크들의 과도한 수탈은 주민들의 반란을 불러일으켰고, 1731년 봉기한 주민들이 니즈네캄차츠키에 살던 코사크들을 살해했다. 남은 코사크들은 화기나 대포로 반격하여 봉기를 진압했다. 18세기 초 약 2만 명으로 추정되는 선주민은 1750년에 8,000명으로 줄었다.
2. 2. 코사크 지배와 원주민 저항
17세기 러시아는 캄차카 반도의 영유권을 선언했다. 17세기 중반 이반 캄차츠키, 세묜 데즈뇨프, 코사크 이반 루베츠 등이 캄차카 반도를 탐험했다.[1]1697년 블라디미르 아트라소프는 65명의 코사크와 60명의 유카기르인을 이끌고 반도를 조사하여 캄차카 강에 2개의 선착장을 만들었는데, 이들은 후에 러시아 모피 상인들의 교역 거점이 되었다.[1] 1704년부터 1706년까지 코사크들은 자체적으로 식민지를 형성하고 선주민인 캄차달인들을 수탈했다.[1] 야쿠츠크에서 지역 질서 회복을 위해 아트라소프가 파견되었으나 이미 늦어, 1711년 아트라소프는 살해당했다.[1] 이후 캄차카는 야쿠츠크로부터 중앙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반독립적인 지역이 되었다.[1] 1713년에는 약 500명의 코사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1] 코사크들의 과도한 수탈은 주민들의 반란을 불러일으켰고, 1731년 봉기한 주민들이 니즈네캄차츠키에 살던 코사크들을 살해했다.[1] 남은 코사크들은 화기나 대포로 반격하여 봉기를 진압했다.[1] 18세기 초 약 2만 명으로 추정되는 선주민은 1750년에 8,000명으로 줄었다.[1]
2. 3. 러시아 제국과 캄차카
17세기에 러시아는 캄차카 반도의 영유권을 선언했다. 17세기 중반에 이반 캄차츠키, 세묜 데즈뇨프, 코사크의 이반 루베츠 등이 캄차카를 탐험했다.[1]1697년 블라디미르 아트라소프가 65명의 코사크와 60명의 유카기르인을 이끌고 반도를 조사하여 캄차카 강에 2개의 선착장을 만들었는데, 이들은 후에 러시아 모피 상인들의 교역 거점이 되었다.[1] 1704년부터 1706년에 걸쳐 코사크들은 자체적으로 식민지를 형성하고, 선주민인 캄차달인들을 수탈했다.[1] 야쿠츠크에서 지역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아트라소프가 파견되었으나 이미 늦어, 1711년에 아트라소프는 살해당했다.[1] 그 이후 캄차카는 야쿠츠크로부터 중앙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반독립적인 지역이 되었다.[1] 1713년에는 약 500명의 코사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1] 코사크들의 과도한 수탈은 주민들의 반란을 불러일으켰고, 1731년 봉기한 주민들이 니즈네캄차츠키에 살고 있던 코사크들을 살해했다.[1] 남은 코사크들은 화기나 대포로 반격하여 봉기를 진압했다.[1] 18세기 초 약 2만 명으로 추정되는 선주민은 1750년에는 8,000명으로 줄었다.[1]
1740년 덴마크인비투스 베링에 의해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가 건설된 후, 캄차카는 유배지가 되었고 점차 개방되었다.[1] 러시아 제국 정부는 캄차카 반도로의 이주를 장려했다.[1] 1812년 선주민은 약 3,200명으로 감소했지만, 러시아인은 2,500명에 달했다.[1] 1854년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와 싸우던 프랑스와 영국이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를 공격(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포위전)했는데, 988명의 성인 남자는 단 68정의 총으로, 206정의 총을 가진 2,540명의 영국-프랑스 연합군의 침입을 물리쳤다.[1] 영국-프랑스 연합군이 퇴각한 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군사적 책임을 벗어나 군항의 기능은 우스티-아무르(Ust-Amur)로 옮겨졌다.[1] 이듬해 다시 영국-프랑스 연합군이 와서 항구를 공격했을 때는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무인이었다.[1]
1867년 알래스카가 미국에 매각되면서, 미국으로 건너가는 상인과 탐험가의 중계지로서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의 의의도 사라졌다.[1] 1860년 연해주가 설치되면서 캄차카 반도는 그 관리하에 놓였다.[1] 19세기 말 캄차카 반도의 러시아인은 2,500명 정도였고, 선주민은 5,000명까지 증가했다.[1]
2. 4. 근대와 현대
17세기에 러시아는 캄차카 반도의 영유권을 선언했다. 17세기 중반에 이반 캄차츠키, 세묜 데즈뇨프, 코사크의 이반 루베츠 등이 이 지역을 탐험했다.1697년 블라디미르 아트라소프는 65명의 코사크와 60명의 유카기르인을 이끌고 반도를 조사하여 캄차카 강에 2개의 선착장을 만들었다. 이곳은 이후 러시아 모피 상인들의 교역 거점이 되었다. 코사크들은 1704년부터 1706년에 걸쳐 자체적으로 식민지를 형성하고, 선주민인 캄차달인들을 수탈했다. 야쿠츠크에서 지역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아트라소프가 파견되었으나, 1711년에 그는 살해당했다. 그 이후 캄차카는 야쿠츠크로부터 중앙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반독립적인 지역이 되었다. 1713년에는 약 500명의 코사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코사크들의 과도한 수탈은 주민들의 반란을 불러일으켜, 1731년에는 봉기한 주민들이 니즈네캄차츠키에 살고 있던 코사크들을 살해했다. 남은 코사크들은 화기와 대포로 반격하여 봉기를 진압했다. 18세기 초 약 2만 명으로 추정되는 선주민은 1750년에는 8,000명으로 감소했다.
1740년 덴마크인비투스 베링에 의해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가 건설된 후, 캄차카는 유배지가 되었고, 점차 개방되었다. 러시아 제국 정부는 캄차카 반도로의 이주를 장려했다. 1812년에는 선주민이 약 3,200명으로 감소했지만, 러시아인은 2,500명에 달했다. 1854년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와 싸우던 프랑스와 영국이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를 공격했다(페트로파블롭스크 캄차츠키 포위전). 988명의 성인 남자는 단 68정의 총으로, 206정의 총을 가진 2,540명의 영국-프랑스 연합군의 침입을 물리쳤다. 영국-프랑스 연합군의 퇴각 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군사적 책임을 벗어나 군항의 기능은 우스티-아무르(Ust-Amur)로 옮겨졌다. 이듬해 다시 영국-프랑스 연합군이 와서 항구를 공격했을 때는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무인이었다.
1867년 알래스카가 미국에 매각되면서, 미국으로 건너가는 상인과 탐험가의 중계지로서의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의 의의도 사라졌다. 1860년 연해주가 설치되면서, 캄차카 반도는 그 관리하에 놓였다. 19세기 말 캄차카 반도의 러시아인은 2,500명 정도였고, 선주민은 5,000명까지 증가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과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을 거쳐, 1920년 3월 7일 극동 공화국이 건국되었지만, 캄차카 반도는 그해 12월 30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양도되어, 1922년에는 러시아 등에서 형성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의 일부가 되었고, 캄차카 반도 전역은 하바롭스크 지방에 편입되었다. 1930년 12월 10일에는 반도 북부에 코랴크 자치구가, 1932년 10월 20일에는 반도 남부에 캄차카주가 설치되었다.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등 베링해 연안에는 일본의 북양 어업 기지가 설치되어, 일본 기업에 의한 통조림 공장 등이 건설되었지만, 어법의 변화에 따라 점차 철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캄차카는 군사 지역으로 폐쇄되었고, 1968년에는 소련 해군태평양 함대의 잠수함 기지가 건설되었다(현재의 빌류친스크). 1989년까지는 일반 러시아인도 출입할 수 없었지만, 1990년 이후에는 외국인에게도 개방되었다.
1991년 12월 25일 소련이 소멸하면서, 캄차카주와 코랴크 자치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 2007년 캄차카주와 코랴크 자치구가 합병되어 캄차카 지방이 설치되었고, 코랴크 자치구는 동 지방의 일부인 "코랴크 구"가 되었다.
3. 지리
캄차카 변경주는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넓은 캄차카 반도 전체와 그 주변 지역을 포함한다. 북쪽으로는 마가단주, 추코트 자치구와 닿아 있고, 동쪽은 베링 해, 서쪽은 오호츠크 해와 접해 있다.
캄차카 변경주는 화산 활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약 300개의 크고 작은 화산이 있으며 그 중 29개는 활화산이다. 유라시아 대륙에서 가장 높은 화산인 클류체프스카야 산을 비롯해 여러 활화산과 간헐천, 분기공 등을 볼 수 있다. 캄차카 화산군은 1996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기후는 스코틀랜드와 비슷한 위도에 있지만 아한대 기후이며,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캄차카 변경주의 지형, 수계, 화산 활동, 기후, 자연 환경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지형 및 수계
캄차카 변경주는 캄차카 반도, 인접한 본토, 카라긴스키 섬 및 코만도르스키예 제도를 포함한다. 동쪽으로는 태평양의 베링 해(해안선 길이 2000km 이상), 서쪽으로는 오호츠크 해(해안선 약 2000km)와 접해 있다.주요 산맥으로는 스레딘니 산맥(길이 약 900km), 동부 산맥(길이 약 600km), 코랴크 산맥 등이 있다. 우켈라야트 산맥, 베트베이 산맥, 펜진스키, 파하친스키, 필긴 산맥, 올류토르 산맥도 캄차카 변경주에 위치한다. 주요 고봉으로는 후브코이툰(2613m), 레댄아야(2562m), 아쿠트(2552m), 시셸(2531m), 틸렐 화산(2234m) 등이 있다.
캄차카 변경주에서 가장 긴 강은 뱌벤카 강, 펜지나 강, 탈로프카 강, 라하차 강, 아푸카 강, 캄차카 강, 우켈라야트 강이다. 가장 큰 담수호는 크로노츠코예 호, 탈로프스코예 호, 팔란스코예 호이다.
주요 반도로는 올류토르 반도, 가베나 반도, 일핀스키 반도, 오제르노이 반도, 캄차츠키 반도, Шипунский полуостров|시푼스키 반도ru, 옐리스트라토바 반도가 있다.
주요 섬(북서쪽에서 북동쪽 시계 방향)으로는 베르호투로프 섬, 카라긴스키 섬,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프티치 섬(캄차카 지방), 코누스 섬, 주브차티 섬, 로브니 섬, 도브르잔스코고 섬, 브토로이 섬, 크라니 섬, 트레티 섬이 있다. 쿠릴 열도는 캄차카 변경주가 아닌 사할린 주에 속한다.
캄차카는 화산 활동 지역으로, 약 300개의 크고 중간 크기의 화산이 있으며 이 중 29개가 활화산이다. 유라시아에서 가장 큰 화산인 클류체프스카야 산(해발 4750m)이 캄차카 변경주에 있다.
3. 2. 화산 활동
캄차카는 화산 활동 지역으로, 경계 내에 약 300개의 크고 중간 크기의 화산이 있으며 이 중 29개가 활화산이다.[1] 유라시아에서 가장 큰 화산인 클류체프스카야 산(해발 4750m)이 이곳에 있다.[1] 클류체프스카야 산 외에도 무트노프스키 화산, 크로노츠키 산, 우슈코프스키 산, 카멘 산, 시벨루치 산, 코랴크스카야 산, 아바친스카야 산, 주파노프스키 산 등 활발한 화산들이 있다.[1] 화산 외에도 분기공과 간헐천도 볼 수 있다.[1]캄차카 화산군은 1996년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록되었다.[1]
3. 3. 기후
캄차카는 스코틀랜드와 비슷한 위도에 있지만, 아한대 기후로 평가된다. 또한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몬순의 영향을 받기 쉽다.[12][13][14][15][16]도시 | 7월(°C) | 1월(°C) |
---|---|---|
클류치 | 20.7/11.1 | -12.9/-20.4 |
카멘스코예 | 19.1/8.8 | -20.8/-28.2 |
오소라 | 16.4/9.3 | -11/-20.1 |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 16.5/10 | -4.4/-9.2 |
베링 섬 | 10.7/7.7 | -2/-5.5 |
3. 4. 자연 환경
캄차카 변경주는 캄차카 반도, 인접한 본토, 카라긴스키 섬 및 코만도르스키예 제도를 포함한다. 동쪽으로는 태평양의 베링 해(해안선 길이 2000km 이상), 서쪽으로는 오호츠크 해(해안선 약 2000km)와 접해 있다.주요 산맥으로는 스레딘니 산맥(길이 약 900km), 동부 산맥(길이 약 600km), 코랴크 산맥 등이 있다. 우켈라야트 산맥, 베트베이 산맥, 펜진스키, 파하친스키, 필긴 산맥, 올류토르 산맥도 위치해 있다. 주요 고도는 후브코이툰(2613m), 레댄아야(2562m), 아쿠트(2552m), 시셸(2531m), 틸렐 화산(2234m) 등이다.
가장 긴 강으로는 뱌벤카 강, 펜지나 강, 탈로프카 강, 라하차 강, 아푸카 강, 캄차카 강, 우켈라야트 강이 있다. 가장 큰 담수호는 크로노츠코예 호, 탈로프스코예 호, 팔란스코예 호이다.
주요 반도는 올류토르 반도, 가베나 반도, 일핀스키 반도, 오제르노이 반도, 캄차츠키 반도, Шипунский полуостров|시푼스키 반도ru, 옐리스트라토바 반도이다.
주요 섬(북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시계 방향)은 베르호투로프 섬, 카라긴스키 섬,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프티치 섬(캄차카 지방), 코누스 섬, 주브차티 섬, 로브니 섬, 도브르잔스코고 섬, 브토로이 섬, 크라니 섬, 트레티 섬이다. 쿠릴 열도는 캄차카 변경주가 아닌 사할린 주에 속한다.
캄차카는 화산 활동 지역으로, 약 300개의 크고 중간 크기의 화산 중 29개가 활화산이다. 유라시아에서 가장 큰 화산인 클류체프스카야 산(해발 4750m)이 있다. 캄차카는 스코틀랜드와 비슷한 위도에 있지만, 아한대 기후이며 태평양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반도 대부분은 돌자작나무 숲으로 덮여 있으며, 오리나무와 눈잣나무는 고지대에 흔하다. 캄차카강 계곡 등 중앙 지역에는 낙엽송과 가문비나무가 넓게 분포한다. 범람원에서는 향기로운 포플러, 오리나무, ''Salix arbutifolia'', 사할린 버드나무 숲이 자란다. 산사나무, 아시아 벚나무, 캄차카 마가목, 캄차카 딱총나무, 캄차카 인동덩굴, 골풀, 버드나무 관목 등이 하층 식생을 이룬다.
캄차카 변경주 영토의 14.5% 이상이 특별 보호 구역이다. 6개의 연방 중요 보호 구역(3개의 국립 자연 보호 구역, 1개의 연방 보호 구역 "남 캄차카", 2개의 온천 구역), 4개의 지역 중요 자연 공원, 22개의 지역 중요 보호 구역, 116개의 자연 기념물, 4개의 보호 구역이 있다.
크로노츠키 자연 보호 구역은 캄차카 반도 해안에 위치한 자연 과학 연구를 위해 지정된 자연 구역이다.[9] 1934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경계는 10990km2의 면적을 포함한다.[9] 러시아 유일의 간헐천 분지와 활화산, 휴화산을 포함한 여러 산맥이 있다. "불과 얼음의 땅"으로 자주 묘사되며,[10]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11] 과학자들만 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연간 약 3,000명의 관광객이 헬리콥터를 타고 방문한다.
캄차카 화산군은 1996년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넓은 반도인 캄차카 반도 전체를 차지하며, 북쪽으로는 마가단주, 추코트 자치구와 접경하고 있다. 동쪽은 베링 해, 서쪽은 오호츠크 해이다. 화산대가 지나가며 약 300개의 화산이 있는데, 이 중 29개가 활화산이다. 유라시아 대륙에서 가장 높은 화산인 클류체프스카야 산 외에도, 무트노프스키 화산, 크로노츠키 산, 우슈코프스키 산, 카멘 산, 시벨루치 산, 코랴크스카야 산, 아바친스카야 산, 주파노프스키 산 등 활발한 화산들이 있다. 화산 외에도 분기공과 간헐천도 볼 수 있다.
4. 행정 구역
-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 빌류친스크
- 팔라나
- 알레우츠키 군
- 비스트린스키 군
- 옐리좁스키 군
- 카라긴스키 군
- 밀콥스키 군
- 올류토르스키 군
- 펜진스키 군
- 소볼렙스키 군
- 티길스키 군
- 우스티볼셰레츠키 군
- 우스티캄차츠키 군
5. 인구
통합 전인 2002년에 캄차카 주의 인구는 33만 3,644명(러시아인: 83.14%)이었고, 코랴크 자치구는 2만 5,157명(러시아인: 50.56%, 코랴크인: 26.67%)이었다. 통합 당시인 2007년 기준으로 이 지역 인구는 35만 8,801명이었다.
2021년 기준, 캄차카 변경주에는 110개의 인정된 민족 집단이 있었으며, 시베리아 원주민은 전체 인구의 5%에 불과했다.[25] 주민의 대부분은 주도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 거주한다.
민족 | 인구 | 비율 |
---|---|---|
러시아인 | 233,198 | 88.3% |
코랴크족 | 6,413 | 2.4% |
우크라이나인 | 3,873 | 1.5% |
이텔멘족 | 1,910 | 0.7% |
에벤족 | 1,777 | 0.7% |
우즈벡인 | 1,706 | 0.6% |
키르기스족 | 1,407 | 0.5% |
타타르족 | 1,351 | 0.5% |
캄차달 | 1,311 | 0.5% |
축치족 | 1,222 | 0.5% |
기타 | 9,934 | 3.8% |
행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27,603명의 사람들은 민족을 밝힐 수 없었다. 이 집단의 민족별 비율은 신고된 집단과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26]
연도 | 인구 |
---|---|
1926년 | 34,958명 |
1939년 | 109,300명 |
1959년 | 220,753명 |
1970년 | 287,612명 |
1979년 | 378,491명 |
1989년 | 466,096명 |
2002년 | 358,801명 |
2010년 | 322,079명 |
2021년 | 291,705명 |
'''2022년 출생 및 사망 통계:'''[21][22]
- 출생: 2,992명 (인구 1,000명당 9.6명)
- 사망: 3,845명 (인구 1,000명당 12.3명)
'''총 출산율 (2022년):'''[23] 여성 1명당 1.63명
'''기대 수명 (2021년):'''[24] 전체 68.09세 (남성 63.76세, 여성 72.93세)
러시아의 아이누도 참고
6. 종교
2012년 조사[27]에 따르면, 캄차카 변경주 인구의 31.2%가 러시아 정교회를 따르고, 4.4%는 특정 종교에 속하지 않은 기독교인이며, 0.8%는 러시아 정교회에 속하지 않는 정교회 기독교인이다. 인구의 2%는 슬라브 토착 신앙 또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을 따르고, 1.2%는 이슬람교, 0.6%는 개신교, 0.4%는 힌두교를 따른다. 또한, 인구의 22.8%는 종교는 없지만 영적이라고 밝히고, 21%는 무신론자이며, 14.8%는 다른 종교를 따르거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27]
7. 경제
캄차카 변경주의 주요 산업은 어업과 임업이다. 석탄을 비롯한 자원이 채굴되고 있다. 주요 해상 루트와 가까운 지리적 위치 덕분에 조선업, 선박 수리업 및 관련 업종의 중심지이다.[18] 또한 아직 완전히 개발되지 않은 석유 및 광물 자원이 있다.[19]
이 지역의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20]
기업명 | 주요 산업 | 매출 (2017년) |
---|---|---|
캄차카에네르고(Kamchatskenergo) | 전력 유통 | 1500만달러 |
오케안리브플로트(Oceanrybflot) | 어업 | 1450만달러 |
모르스코이 트라스트(Morskoy Trast) | 어업 | 1150만달러 |
아메티스트보예 광업 및 가공 복합(Amethystvoye Mining and Processing Combine) | 금광 (레노바 그룹(Renova Group)의 일부) | 1000만달러 |
석탄, 금, 운모, 황철광, 천연 가스 등을 생산한다. 주요 산업은 어업, 임업, 관광업이다.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기지가 아바차 만에 있으며, 공군 기지 및 레이더 기지가 있어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이다.
8. 상징
9. 입법부
캄차카 지방의회는 캄차카주와 코랴크 자치구가 합병된 후인 2007년에 결성되었다. 따라서 캄차카주 인민 대표 의회(1997-2007)와 코랴크 자치구 두마(1994-2007)를 대체했다.[17]
'''캄차카 지방 입법 의회 의장'''은 해당 입법부의 의장이다.[17]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보리스 알렉산드로비치 네브조로프 | 2007 | 2011 |
발레리 표도로비치 라옌코 | 2011 | 2021 |
10. 표준시
이 지역은 캄차카 시간을 사용한다. 시차는 UTC+12시간이다.
2010년 3월 28일까지 캄차카 시간을 사용했고, 시차는 통상 UTC+12시간, 서머타임에는 UTC+13시간이었으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정권의 국내 시간대 삭감책("시간 개혁")에 따라 마가단 시간에 통합되었다. 2011년에는 기존의 서머타임이 연중 적용되었다. 이 개혁에 대해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츠키에서는 반대 시위가 발생했다(자세한 내용은 "캄차카 시간" 참조). 그러나 2014년 10월 26일에 마가단 시간이 폐지되어 캄차카 시간이 부활했다. 시차는 그대로 연중 UTC+12가 되었다.
참조
[1]
문서
Law #397
[2]
문서
Charter of Kamchatka Krai, Article 10
[3]
문서
Charter of Kamchatka Krai, Article 12
[4]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5]
문서
Law #2-FKZ, Article 4
[6]
문서
Charter of Kamchatka Krai, Article 13
[7]
웹사이트
Vladimir Viktorovich Solodov
https://www.kamgov.r[...]
[8]
문서
ru-pop-ref
[9]
웹사이트
Kronotsky Nature Reserv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03-12
[10]
간행물
Fragile Russian Wilderness: The Kronotsky Nature Reserve Is Best Appreciated From Afar
http://ngm.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2009-01
[11]
웹사이트
Wild Russia: Centre For Nature Conservation website
http://www.wild-russ[...]
2009-03-11
[12]
웹사이트
CLIMATE Klyuchi
http://www.pogodaikl[...]
2020-04-25
[13]
웹사이트
CLIMATE Kamenskoie
http://www.pogodaikl[...]
2020-04-25
[14]
웹사이트
CLIMATE Ossora
http://www.pogodaikl[...]
2020-04-25
[15]
웹사이트
CLIMATE Petropavlovsk Kamchatsky
http://www.pogodaikl[...]
2020-04-25
[16]
웹사이트
CLIMATE Bering Ostrovie
http://www.pogodaikl[...]
2020-04-25
[17]
웹사이트
Законодательное собрание Камчатского края
http://www.zaksobr.k[...]
[18]
웹사이트
Kamchatka Region
http://www.kommersan[...]
2013-08-18
[19]
웹사이트
Bountiful Breed
https://www.pbs.org/[...]
2013-08-18
[20]
웹사이트
Выписки ЕГРЮЛ и ЕГРИП, проверка контрагентов, ИНН и КПП организаций, реквизиты ИП и ООО
https://sbis.ru/cont[...]
2018-10-20
[21]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registered births, deaths, marriages and divorces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22]
웹사이트
Birth rate, mortality rate, natural increase, marriage rate, divorce rate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23]
웹사이트
Суммарный коэффициент рождаемости
https://rosstat.gov.[...]
2023-08-10
[24]
웹사이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Росс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of Russia
2022-06-01
[25]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26]
웹사이트
Перепись-2010: русских становится больше
http://www.perepis-2[...]
Perepis-2010.ru
2012-09-27
[27]
웹사이트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2012
[28]
웹사이트
2012 Arena Atlas Religion Maps
http://c2.kommersant[...]
Ogonek
2012-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