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캐롤라이나귀상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롤라이나귀상어는 홍살귀상어와 유사하며, DNA 유전자가 다르고 회청색 등, 큰 눈, 적은 척추, 흰색 배를 특징으로 하는 어종이다. 2013년 조 콰드로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멸치, 청어, 정어리, 고등어, 꽁치, 게, 오징어 등을 먹는 육식성 어류이다. 대서양 연안의 수심 10~120m에서 서식하며, 11월에서 2월 사이에 번식한다. 샥스핀, 고기, 스테이크, 스쿠알렌, 회 등으로 식용되지만, 남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IUCN의 보호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상어과 - 홍살귀상어
    홍살귀상어는 망치 모양 머리를 가진 귀상어과 어류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무리를 지어 다양한 해양 생물을 섭취하지만, 남획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귀상어과 - 날개귀상어
    날개귀상어는 머리 양쪽으로 날개처럼 넓게 뻗은 독특한 외형을 가진 귀상어과의 상어로, 시각과 후각 능력이 뛰어나 얕은 바다에서 다양한 해양 생물을 포식하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서식하지만, 멸종 위기에 놓여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흉상어목 - 별상어
    별상어는 몸에 흰색 반점 무늬가 있는 상어로, 서부 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하며 갑각류를 주로 먹고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식용으로 이용되면서 수은 축적 위험과 과도한 어획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 흉상어목 - 표범상어
    표범상어는 몸에 표범과 유사한 반점 무늬가 있는 까치상어과의 어류로, 서북부 태평양 대륙붕 해저와 연안에 서식하며 멸치, 청어, 새우, 게, 오징어 등을 먹는 육식성 어류이고, 6월에서 8월 사이 산란기에 난태생으로 이듬해 봄에 새끼를 낳는다.
캐롤라이나귀상어
기본 정보
캐롤라이나귀상어
캐롤리나귀상어
학명Sphyrna gilberti
명명자Quattro, Driggers, Grady, Ulrich & M. A. Roberts, 2013
분류
상태정보 부족
상태 기준IUCN3.1
CITESCITES_A2
CITES 기준CITES
CITES 참고CITES|url=https://cites.org/eng/app/appendices.php|access-date=14 January 2022|website=cites.org}}
귀상어속 (Sphyrna)
gilberti

2. 특징

2013년에 새로 발견되어 명명된 종으로, 영어권에서는 Carolina hammerhead Shark|캐롤라이나 해머헤드 샤크eng라고 불린다.[1] 홍살귀상어와 전반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우선 DNA 유전자가 다르며, 등쪽의 색깔이 홍살귀상어의 적갈색과 달리 회청색을 띤다. 또한, 양쪽 눈이 다른 귀상어 종들보다 더 크게 돌출되어 있으며, 척추뼈의 개수도 더 적다. 배쪽은 흰색을 띤다.[1]

이 종은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 대학의 어류 학자인 조 콰드로(Joe Quattro)에 의해 2013년에 처음 발견되고 명명되었다.[1] 크기 면에서는 귀상어 종류 중에서 큰귀상어 다음으로 큰 편에 속한다.[1]

사람에게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는 상어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사람을 공격했다는 공식적인 보고는 없다. 오히려 사람을 마주치면 피하는 경향을 보인다.[1] 주요 먹이로는 멸치, 청어, 정어리, 고등어, 꽁치와 같은 어류뿐만 아니라 와 같은 갑각류,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도 포함하는 육식성 어류이다.[1]

3. 서식지 및 생태

캐롤라이나귀상어의 주요 서식지는 대서양이며,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대륙붕으로 이루어진 연안에 주로 분포한다. 수심 10m에서 120m 사이의 표해수대에 서식하는 어류이다. 산란기는 11월부터 2월까지의 늦은 가을겨울이다. 산란기에 수컷에게 수정된 암컷은 9개월에서 11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다음 해 여름가을에 20마리에서 30마리의 새끼를 출산한다. 캐롤라이나귀상어는 식용으로도 이용되는데, 주로 샥스핀, 고기, 스테이크, 스쿠알렌, 등으로 소비된다. 그러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여 멸종위기에 처했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다.[1]

4. 인간과의 관계

캐롤라이나귀상어는 인간에게 샥스핀, 고기, 스쿠알렌 등 다양한 용도로 어획되어 식용으로 이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남획으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었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등 국제 사회의 보호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4. 1. 어획 및 이용

캐롤라이나귀상어는 식용으로도 쓰이는 어종으로 주로 샥스핀, 고기, 스테이크, 스쿠알렌, 로 많이 먹는다. 하지만 사람들의 남획으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했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개체수의 보호를 받는 어종이다.

4. 2. 보호 활동

캐롤라이나귀상어는 사람들의 남획으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한 어종이다. 이에 따라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는 이 종을 보호 대상으로 지정하고 개체수 보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Sphyrna gilberti''" 2023-05-19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논문 Distribution and relative abundance of scalloped (Sphyrna lewini) and Carolina (S. gilberti) hammerheads in the western North Atlantic Ocean 2021
[4] 논문 Cryptic hammerhead shark lineage occurrence in the western South Atlantic revealed by DNA analysis https://link.springe[...] 2012
[5] 논문 "''Sphyrna gilberti'' sp. nov., a new hammerhead shark (Carcharhiniformes, Sphyrnidae) from the western Atlantic Ocean." http://www.mapress.c[...]
[6] 웹사이트 The Carolina hammerhead, a new species of shark https://www.sc.edu/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