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컨솔리데이티드 B-24 리버레이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컨솔리데이티드 B-24 리버레이터는 컨솔리데이티드 사가 개발한 미국의 4발 대형 폭격기이다. 1938년 미 육군 항공대의 B-17 플라잉 포트리스 면허 생산 거절 이후 자체 개발을 통해 탄생했으며, 1939년 첫 비행에 성공했다. B-24는 B-17보다 항속거리, 폭탄 적재량이 우수했으나, 기체 안정성 및 낮은 비행 고도 등의 단점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및 유럽 전선에서 활약했으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수송기로도 활용되었다. B-24는 총 18,000대 이상 생산되어 B-17보다 생산량이 많았지만, 대중적인 인기는 B-17에 미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국 폭격기 - 보잉 B-17 플라잉 포트리스
    보잉 B-17 플라잉 포트리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의 주력 폭격기로, 주간 폭격에 특화된 설계, 강력한 화력, 그리고 고고도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하여 유럽과 태평양 전선에서 활약하며 많은 승무원들의 신뢰를 얻은 4발 대형 폭격기이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국 폭격기 -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보잉사에서 개발되어 미 육군 항공대가 장거리 전략 폭격 임무에 사용한 4발 중폭격기로, 일본의 전쟁 지속 능력 약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원자 폭탄 투하에 사용되어 전쟁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1939년 첫 비행한 항공기 - 일류신 Il-2
    일류신 Il-2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의 장갑 지상 공격기로, 두꺼운 장갑으로 지상 사격에 대한 방호력이 뛰어나고 지상 목표물에 효과적인 공격 능력을 갖춰 소련군의 대독 항쟁에 크게 기여했으며, 단좌형에서 2인승형으로 발전하고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전후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 1939년 첫 비행한 항공기 - 하인켈 He 178
    하인켈 He 178은 세계 최초의 터보제트 엔진 항공기로, 1939년 독일에서 한스 폰 오하인이 설계한 HeS 3 엔진을 장착하여 첫 비행에 성공했으나, 독일 항공성의 관심을 끌지 못해 실용화되지 못하고 축류식 압축기 방식의 엔진 개발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컨솔리데이티드 B-24 리버레이터
기본 정보
B-24J가 비행 중이다.
B-24J가 비행 중이다.
기종폭격기
제작콘솔리데이티드 에어크래프트
첫 비행1939년 12월 29일
도입1941년
퇴역1945년
현황퇴역
주요 사용자미국 육군 항공대
미국 해군
기타 사용자영국 공군
캐나다 공군
생산 시기1940년-1945년
생산 대수18,482
대당 가격US$ 297,627
파생형PB4Y-2 프라이바티어
XB-41
C-87 리버레이터 익스프레스
콘솔리데이티드 R2Y
콘솔리데이티드 리버레이터 I

2. 개발 경위

1938년 미국 육군 항공대가 콘솔리데이티드에 B-17 플라잉 포트리스 라이선스 생산을 의뢰했을 때, 콘솔리데이티드는 이를 거절하고 독자적인 4발 대형 폭격기 개발을 제안했다. 이후 미국 육군 항공대 전용 생산이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수송기로 사용되었다. 1941년 12월 터보차저 부착형 폭격기 B-24C 9기를 인도받았고, 1942년 1월 본격 양산형 B-24D가 등장했다.

2. 1. 초기 개발

1938년 미국 육군 항공대가 콘솔리데이티드에 B-17의 라이선스 제조를 의뢰했을 때, 콘솔리데이티드는 이를 거절하고 독자적인 4발 대형 폭격기 개발을 제안했다.

콘솔리데이티드는 사내에서 검토 중이던 모델 31안을 기반으로 모델 32안을 작성했다. 이 안이 미 육군 항공대에 채택되어 1939년 2월, 시제기 XB-24 1기가 발주되었다. 계속해서 1939년 4월에 시험 제작기인 YB-24 7기, 1939년 8월에 양산형인 B-24A 38기가 발주되었다. 1939년 12월 29일에 첫 비행에 성공했지만, 속도가 440km까지 나오지 않아 터보차저 장착형인 XB-24B로 개조되었다. 이후 양산형인 YB-24 및 거의 동등한 B-24A가 생산되었지만, 이 초기 생산형들은 영국에 LB-30 A/LB-30 B (리버레이터 I/리버레이터 II)라는 이름으로 보내져 초계 임무에 투입되었다.

2. 2. 시험 및 양산

1939년 2월, 미육군 항공대는 시험 제작기 XB-24 1기를 발주했다. 같은 해 4월에는 시험 제작기 YB-24 7기, 8월에는 양산형 B-24A 38기를 발주했다. XB-24는 1939년 12월 29일에 첫 비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속도가 440 km/h까지 나오지 않아 터보차저 장착형인 XB-24B로 개조되었다. 초기 양산형인 YB-24 및 B-24A는 영국에 인도되어 LB-30 A/LB-30 B (리버레이터 I/리버레이터 II)라는 이름으로 초계 임무에 투입되었다.

2. 3. 개량 및 발전

1938년 미국 육군 항공대가 콘솔리데이티드에 B-17의 라이선스 제조를 의뢰했을 때, 콘솔리데이티드는 이를 거절하고 독자적인 4발 대형 폭격기 개발을 제안했다.

콘솔리데이티드는 사내 모델 31안을 바탕으로 모델 32안을 작성했고, 미 육군 항공대는 1939년 2월에 시작형 XB-24 1기를 발주했다. 이어 1939년 4월 시험 제작기 YB-24 7기, 1939년 8월 양산형 B-24A 38기를 발주했다. XB-24는 1939년 12월 29일 첫 비행에 성공했지만, 속도가 440km/h에 미치지 못해 터보차저를 장착한 XB-24B로 개조되었다. 초기 생산형인 YB-24 및 B-24A는 영국에 인도되어 LB-30 A/LB-30 B (리버레이터 I/리버레이터 II)라는 이름으로 초계 임무에 투입되었다.

이후 미국 육군 항공대 전용 생산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수송기로 사용되었으나, 1941년 12월 터보차저 부착형 폭격기 B-24C 9기를 인도받았고, 1942년 1월 본격 양산형 B-24D가 등장했다.

3. 기술적 특징

B-24는 컨솔리데이티드 사의 특징인 굵은 동체와 데이비스 날개라고 불리는 고익배치 직선 날개를 가지고 있다. 쌍수직꼬리 형태로, 수평꼬리 끝에 수직꼬리가 장착된 구조이다.

3. 1. 데이비스 날개

B-24의 주 날개는 가로세로 비율이 높은 데이비스 날개로, 양력 발생에 유리하지만 피탄 시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B-24는 비행정을 주로 개발하던 컨솔리데이티드 사에 의해 굵은 모양의 동체를 가졌고, 주 날개는 고익배치인 홀쪽한 직선날개 형태였다. 쌍수직꼬리이며 수평꼬리의 끝에 수직꼬리가 장착되었다.

4. 활약

B-24 리버레이터는 1942년부터 태평양 전선과 유럽 전선에 실전 배치되어 활약했다. 미국 육군 항공대 전용으로 18,431기가 생산되어 종전 직전까지 사용되었고, 해군용으로도 1,000기 가까이 만들어져 총 19,000기 가량이 생산되었다. B-24는 무장과 제조사에 따라 E, G, H, J형 등으로 나뉜다. G형부터 기수에 회전총좌가 장착되었다. 콘솔리데이티드의 샌디에이고 및 포트워스 공장, 더글라스의 털사 공장, 포드의 위 로란 공장, 노스 아메리칸에서 제조되었다. L형과 M형은 경량형이다. B-24를 수송기로 개조한 C-87 리버레이터 익스프레스도 개발되었는데, C-47 쌍발 수송기보다 뛰어난 성능으로 미국 공군과 영국 공군에서 운용되었다.

비행중인 XB-24


YB-24

4. 1. 태평양 전선

1942년 11월, 오스트레일리아에 배치된 B-24는 그때까지 사용되어 온 B-17 플라잉 포트리스를 대체해 주력 폭격기로서 운용을 시작하였다. B-29 슈퍼포트리스가 투입되기 전까지 태평양 전선의 주력으로 활약했으며, 일본 본토 공습에도 참가했다.

4. 2. 유럽 전선

B-24는 1942년에 실용화되어 태평양 전선에서 B-17 플라잉 포트리스를 대체하여 주력 폭격기로 운용되었다. B-29 슈퍼포트리스가 투입되기 전까지 태평양 전선에서 주력으로 활약했으며, 일본 본토 공습에도 참가했다.

4. 3. 한국 전쟁

B-24 리버레이터는 태평양 전쟁에서 B-17 플라잉 포트리스를 대체하여 주력 폭격기로 운용되었으며, B-29 슈퍼포트리스가 투입되기 전까지 활약했다. 일본 본토 공습에도 참가했다.

5. 파생형

B-24는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초기형인 B-24A, B-24C, B-24D는 소수만 생산되었고, B-24D부터 본격적인 양산이 이루어졌다.

5. 1. 기타 파생형

B-24는 무장이나 제조 회사 등에 따라 E형, G형, H형, J형 등으로 나뉜다. G형부터 기수에 회전총좌가 장착되어 인상이 크게 바뀌었다. 콘솔리데이티드의 샌디에이고 공장 및 포트워스 공장, 더글라스의 털사 공장, 포드의 위 로란 공장, 노스 아메리칸에서 제조되었다.

L형 및 M형은 경량형이다.

B-24를 수송기로 개조한 C-87 리버레이터 익스프레스도 개발되었다. C-87은 기존의 C-47 쌍발 수송기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 미국 공군이나 영국 공군에서 운용되었다.

6. B-17과의 비교

B-17 플라잉 포트리스와 비교했을 때, B-24는 설계가 새로워 최대 속도, 항속 거리, 폭탄 적재량에서 우위를 보였다. 그러나 총탄이 기체에 맞으면 안정성 유지에 어려움이 있었고, 비행 고도는 B-17보다 낮았다.

날개의 가로 세로 비율이 너무 높아 주 날개가 피탄 시 쉽게 접히는 문제, 셔터식 폭탄창 문이 구조적으로 약해 승무원이 실수로 파손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불시착했을 때 폭탄창 문이 파손되어 기체가 순식간에 물에 잠겨 승무원 전원이 익사하는 치명적인 결함은 B-17에 비해 운용 평가를 낮추는 요인이었다.

반면, 영국 공군은 초기형 B-17의 성능에 실망하여 B-24를 선호했다. 영국 공군은 중폭격기에 대해 "어쨌든 대량의 폭탄을, 조금이라도 멀리"라는 폭탄 운반 능력 중시 자세를 가지고 있었고, B-24는 폭탄창이 커서 아브로 랭카스터와 유사한 성격을 가졌다.

흔히 B-24는 주로 태평양 전선에, B-17은 유럽 전선에 배치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실제로는 B-24도 유럽 전선에 압도적으로 많이 배치되었다.

인기는 B-17이 더 높았는데, 이는 유럽 전선에서의 활약과 외형적 인상 등이 영향을 미쳤다. 반면 B-24는 범용성이 높아 생산 수량에서는 B-17을 능가했다.

6. 1. 장점

B-17 플라잉 포트리스보다 설계 연도가 새로운 B-24는 최대 속도, 항속 거리, 폭탄 적재량 모두 우수했다. 그러나 총탄이 기체에 맞으면 안정성 유지에 어려움이 있었고, 비행 고도는 B-17보다 낮았다.

영국 공군은 초기형 B-17의 낮은 성능에 실망하여 B-24를 선호했다. 영국 공군은 중폭격기에 대해 "어쨌든 대량의 폭탄을, 조금이라도 멀리"라는 폭탄 운반 능력 중시 자세를 가지고 있었고, B-24는 폭탄창이 커서 아브로 랭카스터와 유사한 성격을 가졌다.

B-24는 범용성이 높아 생산 수에서 B-17을 능가했다.

6. 2. 단점

B-17 플라잉 포트리스와 비교했을 때, B-24는 설계 연도가 더 늦어 최대 속도, 항속 거리, 폭탄 적재량은 모두 우수했다. 그러나 총탄이 기체에 맞으면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려웠고, 비행 고도가 B-17보다 낮다는 약점이 있었다.

또한, 날개의 가로 세로 비율이 너무 높아 주 날개가 피탄 시 쉽게 접히는 문제와 셔터식 폭탄창 문이 구조적으로 약해 승무원이 실수로 파손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불시착 시에는 폭탄창 문이 파손되어 기체가 순식간에 물에 잠겨 승무원 전원이 익사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B-24는 B-17에 비해 취약하여 운용 측의 평가는 좋지 않았다.

6. 3. 평가

영국 공군의 B-24


B-17 플라잉 포트리스와 비교하면, B-24는 더 최신 설계로 최대 속도, 항속 거리, 폭탄 적재량에서 모두 우수했다. 그러나 총탄 피격 시 안정성 유지의 어려움, B-17보다 낮은 비행 고도 등의 약점이 있었다.

날개의 가로세로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 피탄 시 쉽게 접히는 문제, 셔터식 폭탄창 문이 구조적으로 약해 승무원의 실수로 파손되기도 했다. 특히 불시착수 시 폭탄창 문 파손으로 기체가 순식간에 수몰되어 승무원 전원이 익사하는 치명적 결함은 B-17에 비해 운용 평가를 낮추는 요인이었다.

반면, 영국 공군은 B-24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졌다. 초기형 B-17의 성능에 실망한 경험으로 B-17보다 B-24를 선호했으며, "대량의 폭탄을 최대한 멀리"라는 폭탄 운반 능력 중시 관점도 작용했다. B-24는 B-17보다 큰 폭탄창을 가졌고, 아브로 랭카스터와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흔히 B-24는 주로 태평양 전선에, B-17은 유럽 전선에 배치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실제로는 B-24도 유럽 전선에 압도적으로 많이 배치되었다.

인기는 B-17이 더 높았는데, 이는 유럽 전선에서의 활약과 외형적 인상 등이 영향을 미쳤다. 반면 B-24는 범용성이 높아 생산 수량에서는 B-17을 능가했다.

6. 4. 배치

B-17 플라잉 포트리스와 비교했을 때, B-24는 설계 연도가 더 늦어 최대 속도, 항속 거리, 폭탄 적재량 모두가 우수했다. 그러나 총탄에 맞으면 안정성 유지가 어렵고, 비행 고도가 B-17보다 낮다는 약점이 있었다. 또한, 날개의 가로세로 비율이 너무 높아 피탄 시 쉽게 접히는 문제와 셔터식 폭탄창 문이 구조적으로 약해 승무원이 실수로 파손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불시착수 시 폭탄창 문이 파손되어 기체가 빠르게 수몰, 승무원 전원이 익사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어, B-17에 비해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영국 공군은 B-24를 선호했다. 초기형 B-17의 성능에 실망한 경험 때문에 B-17보다 B-24를 더 원했다고 알려져 있다. 영국 공군은 중폭격기에 대해 "어쨌든 대량의 폭탄을, 조금이라도 멀리"라는 폭탄 운반 능력 중시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고, B-24는 B-17에 비해 폭탄창이 커서 아브로 랭카스터와 유사한 성격을 지녔다.

"B-24는 주로 태평양 전선에 배치되었고 유럽 전선에는 B-17을 배치했다"는 통념과 달리, 실제로는 B-24 역시 유럽 전선에 더 많이 배치되었다.

인기는 B-17이 더 높았다. 유럽 전선에서의 B-17의 활약과 외형 등이 그 이유로 꼽힌다. 반면, B-24는 범용성이 높아 생산 수에서는 B-17을 앞섰다.

7. 생산

B-24는 총 19,000여 기가 생산되어 미 육군 항공대 폭격기 중 최다 생산량을 기록했다. 콘솔리데이티드, 더글러스, 포드, 노스 아메리칸 등 여러 회사에서 생산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