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대 수상 부문
- 3. 역대 수상자(작)
- 3.1. 2007년 제1회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
- 3.2. 2008년 제2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3. 2010년 제3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4. 2011년 제4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5. 2012년 제5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6. 2013년 제6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7. 2014년 제7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8. 2015년 제8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9. 2016년 제9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10. 2017년 제10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11. 2018년 제11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12. 2019년 제12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13. 2022년 제13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14. 2023년 제14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3.15. 2024년 제15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4. 기타
- 참조
1. 개요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는 대한민국 드라마를 대상으로 하는 시상식으로, 2007년 처음 개최되었다. 대상, 작품상, 연출상, 작가상, 연기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지며, 신인 배우, OST, 한류 스타, 공로상 등 특별 부문도 존재한다. 2007년 제1회 시상식에서는 김희애와 유동근이 대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2024년 제15회 시상식에서는 이하늬가 대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축제 - 진주남강유등축제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의 등불에서 유래하여 개천예술제의 일환으로 이어져 오다 독립적인 축제로 발전, 다양한 체험 행사와 공연, 세계 각국 등 전시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는 대한민국 대표 축제이다. - 경상남도의 축제 - 밀양아리랑대축제
밀양아리랑대축제는 영남루 중수를 기념하는 예술발표회에서 시작되어 밀양문화제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발전한 경상남도 밀양시의 축제로, 아랑전설의 아랑 낭자를 기리는 아랑제와 통합되어 충의, 지덕, 정순의 정신을 기리는 종합문화제이며, 무형문화재 공연, 아랑규수 선발대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지역 문화 발전과 시민들의 애국심 고취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상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상 - KBS 연기대상
KBS 연기대상은 1987년 KBS 탤런트 연기대상으로 시작하여 매년 KBS에서 방송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연말 시상식으로,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신인상, 작가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지며 수상 결과를 둘러싼 논란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문화에 관한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대한민국의 문화에 관한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로마자 표기 | Koria Deurama Eowojeu |
한글 표기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시상 분야 | 텔레비전 드라마 |
주최 |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진주, 경상남도 |
시작 연도 | 2007년 |
최근 시상 연도 | 2024년 |
웹사이트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공식 웹사이트 |
연혁 | |
첫 시상 | 2007년 |
최근 시상 | 제15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이전/다음 시상식 | |
이전 | 14회 |
다음 | 16회 |
2. 역대 수상 부문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의 역대 수상 부문은 다음과 같다.
- 대상
- 최고 드라마
- 최고 연출 감독
- 최고 극본
- 최우수 연기상, 남자 배우
- 최우수 연기상, 여자 배우
- 우수 연기상, 남자 배우
- 우수 연기상, 여자 배우
- 최고 조연 배우
- 최고 조연 여배우
- 남자 신인상
- 여자 신인상
- 아역상
- 최고 OST
- 심사위원 특별상
- 공로상
- 한류 스타상 (한류 핫스타상)
- 올해의 스타상
- 인기 캐릭터상
- 글로벌 스타상
- 핫스타상
3. 역대 수상자(작)
번호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김희애 내 남자의 여자 유동근 연개소문 2 2008 김명민 베토벤 바이러스 3 2010 4 2011 시크릿 가든 5 2012 김남주 넝쿨째 굴러온 당신 6 2013 이보영 너의 목소리가 들려, 내 딸 서영이 7 2014 김수현 별에서 온 그대 8 2015 김수현 프로듀사 9 2016 김소연 가화만사성 10 2017 김상중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11 2018 유동근 같이 살래요 12 2019 최수종 하나뿐인 내편 13 2022 하정우 수리남 14 2023 이성민 형사록 2 15 2024 이하늬 밤에 피는 꽃 No. 연도 수상작 1 2007 주몽 2 2008 엄마가 뿔났다 3 2010 추노 4 2011 5 2012 넝쿨째 굴러온 당신 6 2013 내 딸 서영이 7 2014 별에서 온 그대 8 2015 미생 9 2016 태양의 후예 10 2017 군주 - 가면의 주인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11 2018 같이 살래요 12 2019 SKY 캐슬 13 2022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14 2023 더 글로리 15 2024 눈물의 여왕[12]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김병욱 거침없이 하이킥! 2 2008 3 2010 김규태 (미니시리즈) 아이리스 이정섭 (연속극) 제빵왕 김탁구 4 2011 김원석 성균관 스캔들 5 2012 장태유 뿌리깊은 나무 6 2013 조수원 너의 목소리가 들려 7 2014 신원호 응답하라 1994 8 2015 서수민, 표민수 프로듀사 9 2016 김진민 결혼계약 10 2017 이장수 김과장 11 2018 colspan=2 12 2019 colspan=2 13 2022 박준화 환혼 14 2023 안길호 더 글로리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3 2010 천성일 (미니시리즈) 추노 강은경 (연속극) 제빵왕 김탁구 4 2011 김은숙 시크릿 가든 5 2012 박지은 넝쿨째 굴러온 당신 6 2013 박재범 굿 닥터 7 2014 정현민 정도전 8 2015 장혁린 용팔이 9 2016 노희경 디어 마이 프렌즈 10 2017 박혜진 군주 - 가면의 주인 11 2018 박필주 같이 살래요 12 2019 조정선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13 2022 번호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김상중 내 남자의 여자 2 2008 최수종 대조영 3 2010 장혁 추노 4 2011 이민호 시티헌터 5 2012 김상중 추적자 6 2013 정웅인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이정진 백년의 유산 7 2014 김재중 트라이앵글 8 2015 이종석 피노키오 9 2016 안재현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 장현성 닥터스 10 2017 김지석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권율 귓속말 11 2018 감우성 키스 먼저 할까요? 12 2019 김동욱 특별근로감독관 조장풍 13 2022 김범 고스트 닥터 14 2023 오정세 악귀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김하늘 온에어 3 2010 한효주 동이 4 2011 염정아 로열 패밀리 5 2012 한지민 옥탑방 왕세자 6 2013 조윤희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 7 2014 오연서 왔다! 장보리 8 2015 김태희 용팔이 9 2016 백진희 내 딸, 금사월 10 2017 이하늬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11 2018 왕빛나 그녀로 말할 것 같으면 12 2019 김민정 국민 여러분! 13 2022 신현빈 너를 닮은 사람 14 2023 김선아 가면의 여왕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김래원 식객 3 2010 4 2011 5 2012 이희준 넝쿨째 굴러온 당신 곽도원 유령 6 2013 이종석 너의 목소리가 들려 김동완 힘내요 미스터 김! 7 2014 이광수 괜찮아, 사랑이야 8 2015 이준 풍문으로 들었소 김대명 미생 9 2016 조재윤 태양의 후예 10 2017 전노민 군주 - 가면의 주인 민진웅 아버지가 이상해 11 2018 황찬성 김비서가 왜 그럴까 온주완 밥상 차리는 남자 12 2019 강기영 열여덟의 순간 이규형 의사 요한 13 2022 이기우 나의 해방일지 14 2023 김성균 D.P. 2 이상이 사냥개들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한지혜 미우나 고우나 3 2010 4 2011 5 2012 송선미 골든 타임 6 2013 서현진 오자룡이 간다 7 2014 강소라 닥터 이방인 8 2015 최수영 내 생애 봄날 9 2016 박세영 내 딸, 금사월 10 2017 이일화 김과장 송하윤 쌈, 마이웨이 11 2018 채정안 슈츠 12 2019 이세영 왕이 된 남자 13 2022 전소민 쇼윈도: 여왕의 집 14 2023 김지은 오랫동안 당신을 기다렸습니다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3 2010 정동환 동이 4 2011 주상욱 자이언트 5 2012 6 2013 7 2014 8 2015 9 2016 10 2017 11 2018 12 2019 13 2022 박호산 오늘의 웹툰 14 2023 안세하 킹더랜드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3 2010 김해숙 인생은 아름다워 4 2011 이유리 반짝반짝 빛나는 5 2012 6 2013 7 2014 8 2015 9 2016 10 2017 11 2018 12 2019 13 2022 황보라 키스 식스 센스 14 2023 소주연 낭만닥터 김사부 3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3 2010 윤시윤 제빵왕 김탁구 4 2011 김수현 드림하이 5 2012 서인국 응답하라 1997 6 2013 박서준 금 나와라, 뚝딱! 용준형 몬스타 7 2014 안재현 별에서 온 그대 서강준 앙큼한 돌싱녀 8 2015 박찬열 우리 옆집에 EXO가 산다 9 2016 서하준 옥중화 10 2017 육성재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11 2018 차은우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 12 2019 옹성우 열여덟의 순간 13 2022 김도훈 오늘의 웹툰 14 2023 박지훈 약한영웅 Class 1 15 2024 이시우 소년시대 백서후 낮과 밤이 다른 그녀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3 2010 서우 신데렐라 언니 4 2011 임수향 신기생뎐 5 2012 윤진이 신사의 품격 6 2013 보아 연애를 기대해 7 2014 민도희 응답하라 1994 8 2015 임지연 상류사회 9 2016 김새론 마녀보감 10 2017 고원희 최강 배달꾼 11 2018 서은수 황금빛 내 인생 12 2019 권나라 닥터 프리즈너 13 2022 배우희 사내맞선 보나 스물다섯 스물하나 14 2023 이연 이로운 사기 15 2024 강혜원 소년시대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3 2010 4 2011 5 2012 곽동연 넝쿨째 굴러온 당신 6 2013 갈소원 출생의 비밀 7 2014 김지영 왔다! 장보리 8 2015 9 2016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3 2010 4 2011 허각 – "나를 잊지 말아요" 최고의 사랑 5 2012 린 – "시간을 거슬러" 해를 품은 달 6 2013 포맨 – "Only You" 구가의 서 7 2014 에일리 – "Goodbye My Love" 운명처럼 널 사랑해 8 2015 장재인 – "환청" 킬미, 힐미 9 2016 인순이 – "엄마라는 이름" 엄마 10 2017 딘딘 – "Must Be The Money" 김과장 11 2018 먼데이 키즈 – "그 사람" 같이 살래요? 12 2019 하진 - "We All Lie" SKY 캐슬 번호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김해숙 내 여자 3 2010 김병욱 지붕뚫고 하이킥! 4 2011 5 2012 이희준 넝쿨째 굴러온 당신 인수대비 6 2013 7 2014 8 2015 임시완 미생 9 2016 소유진 아이가 다섯 10 2017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김동욱 커피프린스 1호점 김재욱 이언 이한위 2 2008 김범 에덴의 동쪽 3 2010 정용화 미남이시네요 4 2011 김수현 드림하이 5 2012 6 2013 7 2014 8 2015 9 2016 10 2017 번호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임윤아 너는 내 운명 김희정 아내의 유혹 김현숙 막돼먹은 영애씨 3 3 2010 황정음 지붕뚫고 하이킥! 4 2011 5 2012 6 2013 7 2014 8 2015 9 2016 10 2017 No. 연도 수상자 드라마 1 2007 2 2008 3 2010 4 2011 5 2012 서인국 & 정은지 응답하라 1997 6 2013 이종석 & 이보영 너의 목소리가 들려 7 2014 김성균 & 도희 응답하라 1994 8 2015 9 2016 10 2017
{| class="wikitable"
|-
! No.
! 연도
! 수상자
! 드라마
|-
| 1
| 2007
|
|
|-
| 2
| 2008
| 배용준
| ''태왕사신기''
|-
| 3
| 2010
|
|
|-
| 4
| 2011
| 이민호
| ''시티헌터''
|-
| 5
| 2012
|
|
|-
| 6
| 2013
|
|
|-
| 7
| 2014
| rowspan=2| 김수현
| ''별에서 온 그대''
|-
3. 1. 2007년 제1회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
2007년 10월 8일에 개최된 제1회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에서는 배우 김희애(《내 남자의 여자》)와 유동근(《연개소문》)이 대상을 공동 수상했다. 작품상은 《주몽》이 수상했다. 최우수연기자상은 《내 남자의 여자》의 김상중에게 돌아갔다. 김영철(《얼마나 좋길래》)과 양정아(《아줌마가 간다》)는 특별상을 수상했다. 《거침없이 하이킥》의 김병욱 PD가 프로듀서상을 받았다.
3. 2. 2008년 제2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08년 11월 1일에 열린 제2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상 결과가 있었다.
부문 | 수상자 | 작품 |
---|---|---|
대상 | 김명민 | 베토벤 바이러스 |
작품상 | 엄마가 뿔났다 | |
남자 최우수상 | 최수종 | 대조영 |
여자 최우수상 | 김하늘 | 온에어 |
남자 우수상 | 김래원 | 식객 |
여자 우수상 | 한지혜 | 미우나 고우나 |
심사위원특별상 | 김해숙 | 조강지처 클럽 |
공로상 | 백일섭 | 엄마가 뿔났다 |
한류공로상 | 배용준 |
3. 3. 2010년 제3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10년 제3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에서는 《추노》가 작품상을 수상했다. 작가상은 천성일(《추노》)과 강은경(《제빵왕 김탁구》)이 공동 수상하였고, 연출상은 김규태(《아이리스》)와 이정섭(《제빵왕 김탁구》)이 공동 수상했다. 남자 주연상은 《추노》의 장혁, 여자 주연상은 《동이》의 한효주가 수상했다. 남자 조연상은 《동이》의 정동환, 여자 조연상은 《인생은 아름다워》의 김해숙이 수상했다. 남자 신인상은 《제빵왕 김탁구》의 윤시윤, 여자 신인상은 《신데렐라 언니》의 서우가 수상했다. 남자 인기상은 《미남이시네요》의 정용화, 여자 인기상은 《지붕 뚫고 하이킥》의 황정음이 수상했다. 프로듀서상은 《아이리스》의 정태원, 뉴미디어상은 《위기일발 풍년빌라》의 조현탁, 공로상은 《동이》의 이병훈에게 돌아갔다.3. 4. 2011년 제4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11년 제4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에서는 《시크릿 가든》이 대상을 수상했다. 작가상은 《시크릿 가든》의 김은숙에게 돌아갔으며, 연출상은 《성균관 스캔들》의 김원석 PD가 수상했다. 남자 주연상은 《시티헌터》의 이민호, 여자 주연상은 《로열 패밀리》의 염정아가 수상했다. 남자 조연상은 《자이언트》의 주상욱, 여자 조연상은 《반짝반짝 빛나는》의 이유리가 받았다. 인기상과 남자 신인상은 《드림하이》의 김수현에게 돌아갔고, 여자 신인상은 《신기생뎐》의 임수향이 수상했다.3. 5. 2012년 제5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12년 10월 2일 경남문화예술회관(진주)에서 제5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가 개최되었으며, 전현무와 김은정이 진행을 맡았다. 대상은 《넝쿨째 굴러온 당신》이 수상했다. 작품상 역시 《넝쿨째 굴러온 당신》이 차지했으며, 작가상은 《넝쿨째 굴러온 당신》의 박지은에게 돌아갔다. 연출상은 《뿌리깊은 나무》의 장태유 PD가 수상했다.남자 최우수상은 《추적자 THE CHASER》의 김상중이, 여자 최우수상은 《옥탑방 왕세자》의 한지민이 수상했다. 남자 우수상은 《넝쿨째 굴러온 당신》의 이희준과 《유령》의 곽도원이 공동 수상했으며, 여자 우수상은 《골든 타임》의 송선미가 받았다. 남자 신인상은 《사랑비》의 서인국, 여자 신인상은 《신사의 품격》의 윤진이에게 돌아갔다.
심사위원특별상은 《넝쿨째 굴러온 당신》의 이희준과 드라마 《인수대비》가 수상했다. OST상은 《해를 품은 달》의 린이, 아역상은 《넝쿨째 굴러온 당신》의 곽동연이 받았다. 베스트커플상은 《응답하라 1997》의 서인국과 정은지가 수상했다.
3. 6. 2013년 제6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13년 10월 1일 경남 진주시 진주종합실내체육관에서 제6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가 개최되었다. 오상진과 수빈이 진행을 맡았다. 대상은 《너의 목소리가 들려》가 수상했다. 작품상은 《내 딸 서영이》, 작가상은 《굿 닥터》의 박재범, 연출상은 《너의 목소리가 들려》의 조수원이 수상했다. 남자 최우수상은 정웅인(《너의 목소리가 들려》)과 이정진(《백년의 유산》)이, 여자 최우수상은 조윤희(《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가 수상했다. 남자 우수상은 이종석(《너의 목소리가 들려》)과 김동완(《힘내요 미스터 김》)이, 여자 우수상은 서현진(《오자룡이 간다》)이 수상했다. 남자 신인상은 박서준(《금 나와라, 뚝딱!》)과 용준형(《몬스타》)이, 여자 신인상은 보아(《연애를 기대해》)가 수상했다. OST상은 포맨(《구가의 서》), 아역상은 갈소원(《출생의 비밀》), 베스트커플상은 이보영과 이종석(《너의 목소리가 들려》), 핫스타상은 클라라(《결혼의 여신》)가 수상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
대상 | 《너의 목소리가 들려》 | |
작품상 | 《내 딸 서영이》 | |
작가상 | 박재범 | 《굿 닥터》 |
연출상 | 조수원 | 《너의 목소리가 들려》 |
남자 최우수상 | 정웅인 이정진 | 《너의 목소리가 들려》 《백년의 유산》 |
여자 최우수상 | 조윤희 |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 |
남자 우수상 | 이종석 김동완 | 《너의 목소리가 들려》 《힘내요 미스터 김》 |
여자 우수상 | 서현진 | 《오자룡이 간다》 |
남자 신인상 | 박서준 용준형 | 《금 나와라, 뚝딱!》 《몬스타》 |
여자 신인상 | 보아 | 《연애를 기대해》 |
OST상 | 포맨 | 《구가의 서》 |
아역상 | 갈소원 | 《출생의 비밀》 |
베스트커플상 | 이보영, 이종석 | 《너의 목소리가 들려》 |
핫스타상 | 클라라 | 《결혼의 여신》 |
3. 7. 2014년 제7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14년 10월 1일 경남 진주시 진주종합실내체육관에서 제7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가 개최되었으며, 오상진과 강소라가 진행을 맡았다. 대상은 《별에서 온 그대》의 김수현에게 돌아갔다. 작품상은 《별에서 온 그대》, 작가상은 《정도전》의 정현민, 연출상은 《응답하라 1994》의 신원호 PD가 수상했다. 남자 최우수상은 《트라이앵글》의 김재중, 여자 최우수상은 《왔다! 장보리》의 오연서가 수상했다. 남자 우수상은 《괜찮아, 사랑이야》의 이광수, 여자 우수상은 《닥터 이방인》의 강소라가 수상했다. 서강준과 안재현은 각각 《앙큼한 돌싱녀》와 《별에서 온 그대》로 남자 신인상을 공동 수상하였고, 여자 신인상은 《응답하라 1994》의 도희에게 돌아갔다. OST상은 《운명처럼 널 사랑해》의 에일리가 수상했다.
3. 8. 2015년 제8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15년 10월 9일 경남문화예술회관(진주)에서 제8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가 개최되었다. 진행은 오상진과 최수영이 맡았다.이 해 시상식에서는 김수현이 《프로듀사》로 대상을 수상했다. 작품상은 《미생》이, 작가상은 《용팔이》의 장혁린이, 연출상은 《프로듀사》의 표민수 외 1인이 수상했다. 남자 최우수연기상은 《피노키오》의 이종석이, 여자 최우수연기상은 《용팔이》의 김태희가 수상했다. 남자 우수연기상은 이준과 김대명이 각각 《풍문으로 들었소》와 《미생》으로, 여자 우수연기상은 최수영이 《내 생애 봄날》로 수상했다. 남자 신인상은 《우리 옆집에 엑소가 산다》의 찬열이, 여자 신인상은 《상류사회 (드라마)》의 임지연이 수상했다.
김수현과 찬열은 각각 《프로듀사》와 《우리 옆집에 엑소가 산다》로 한류스타상을 수상했다. 심사위원 특별상은 《미생》의 임시완에게 돌아갔다. 김영애는 공로상을, 장재인은 《킬미힐미》로 OST상을 수상했다. 서강준은 《화정》으로 핫스타상을, 김소현은 《후아유 - 학교 2015》로 올해의 스타상을, 샘 오취리는 《맨도롱 또똣》으로 글로벌 스타상을 수상했다. KDA상은 《나쁜 녀석들》의 박해진이 수상했다.
3. 9. 2016년 제9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16년 10월 7일 경남문화예술회관(진주)에서 제9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가 개최되었다. 진행은 오상진과 김새론이 맡았다. 대상은 김소연(《가화만사성》)에게 돌아갔으며, 작품상은 《태양의 후예》가 수상했다. 작가상은 노희경(《디어 마이 프렌즈》), 연출상은 김진민(《결혼계약》)이 수상했다. 남자 최우수연기상은 안재현(《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과 장현성(《닥터스》), 여자 최우수연기상은 백진희(《내 딸, 금사월》)가 수상했다. 남자 우수연기상은 조재윤(《태양의 후예》), 여자 우수연기상은 박세영(《내 딸, 금사월》)에게 돌아갔다. 남자 신인상은 서하준(《옥중화》), 여자 신인상은 김새론(《마녀보감》)이 수상했다. 한승연(《청춘시대》)은 한류스타상을, 소유진(《아이가 다섯》)은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임동진(《징비록》)은 공로상을, 인순이(《엄마》)는 OST상을 수상했다. 이기우(《기억》)는 핫스타상, 김소연(《가화만사성》)은 올해의 스타상, 안재현(《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은 글로벌 스타상을 수상했다. 글로벌매니지먼트상은 문보비가 수상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
대상 | 김소연 | 《가화만사성》 |
작품상 | 《태양의 후예》 | |
작가상 | 노희경 | 《디어 마이 프렌즈》 |
연출상 | 김진민 | 《결혼계약》 |
남자 최우수연기상 | 안재현 장현성 |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 《닥터스》 |
여자 최우수연기상 | 백진희 | 《내 딸, 금사월》 |
남자 우수연기상 | 조재윤 | 《태양의 후예》 |
여자 우수연기상 | 박세영 | 《내 딸, 금사월》 |
남자 신인상 | 서하준 | 《옥중화》 |
여자 신인상 | 김새론 | 《마녀보감》 |
한류스타상 | 한승연 | 《청춘시대》 |
심사위원 특별상 | 소유진 | 《아이가 다섯》 |
공로상 | 임동진 | 《징비록》 |
OST상 | 인순이 | 《엄마》 |
핫스타상 | 이기우 | 《기억》 |
올해의 스타상 | 김소연 | 《가화만사성》 |
글로벌 스타상 | 안재현 | 《신데렐라와 네 명의 기사》 |
글로벌매니지먼트상 | 문보비 |
3. 10. 2017년 제10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17년 10월 2일 경남문화예술회관(진주)에서 제10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가 개최되었다. 진행은 신영일과 박규리가 맡았다.대상은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의 김상중이 수상했다. 작품상은 《군주 - 가면의 주인》,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가 공동 수상했다. 작가상은 《군주 - 가면의 주인》의 박혜진, 연출상은 《김과장》의 이장수가 수상했다. 남자 최우수연기상은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의 김지석과 《귓속말》의 권율이 공동 수상하였고, 여자 최우수연기상은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의 이하늬가 수상했다. 남자 우수연기상은 《군주 - 가면의 주인》의 전노민과 《아버지가 이상해》의 민진웅이 수상하였고, 여자 우수연기상은 《김과장》의 이일화와 《쌈 마이웨이》의 송하윤이 수상했다. 남자 신인상은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의 육성재가, 여자 신인상은 《최강 배달꾼》의 고원희가 수상했다.
한류스타상은 《병원선》의 권민아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의 박규리가 수상했다. KDA상은 《군주 - 가면의 주인》의 허준호가, 공로상은 《꽃 피어라 달순아!》의 정영숙이 수상했다. OST상은 《김과장》의 딘딘이, 핫스타상은 《품위있는 그녀》의 이태임이 수상했다. 올해의 스타상과 인기 캐릭터상은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의 육성재, 김병철, 박경혜가 수상했다. 글로벌매니지먼트상은 큐브 엔터테인먼트가 수상했다.
3. 11. 2018년 제11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18년 10월 2일 경남문화예술회관(진주)에서 제11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가 개최되었으며, 조우종과 공서영이 진행을 맡았다. 대상은 유동근(《같이 살래요》)이 수상했다. 작품상은 《같이 살래요》, 작가상은 박필주(《같이 살래요》)가 수상했다. 남자 최우수연기상은 감우성(《키스 먼저 할까요》), 여자 최우수연기상은 왕빛나(《인형의 집》)가 수상했다. 남자 우수연기상은 온주완(《밥상 차리는 남자》)과 황찬성(《김비서가 왜 그럴까》), 여자 우수연기상은 채정안(《슈츠》)이 수상했다. 남자 신인상은 차은우(《내 아이디는 강남미인》), 여자 신인상은 서은수(《황금빛 내 인생》)가 수상했다. 황찬성과 차은우는 한류 스타상을 공동 수상했다. KDA상은 박정숙, 공로상은 김영옥에게 돌아갔다. OST상은 먼데이키즈(《같이 살래요》)가 수상했다. 올해의 스타상은 조우리(《내 아이디는 강남미인》)가 수상했으며, 인기 캐릭터상은 정상훈(《데릴남편 오작두》)과 표예진(《김비서가 왜 그럴까》)이 수상했다.부문 | 수상자 | 작품 |
---|---|---|
대상 | 유동근 | 《같이 살래요》 |
작품상 | 《같이 살래요》 | |
작가상 | 박필주 | 《같이 살래요》 |
남자 최우수연기상 | 감우성 | 《키스 먼저 할까요》 |
여자 최우수연기상 | 왕빛나 | 《인형의 집》 |
남자 우수연기상 | 온주완 황찬성 | 《밥상 차리는 남자》 《김비서가 왜 그럴까》 |
여자 우수연기상 | 채정안 | 《슈츠》 |
남자 신인상 | 차은우 |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 |
여자 신인상 | 서은수 | 《황금빛 내 인생》 |
한류 스타상 | 황찬성 차은우 | 《김비서가 왜 그럴까》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 |
KDA상 | 박정숙 | |
공로상 | 김영옥 | |
OST상 | 먼데이키즈 | 《같이 살래요》 |
올해의 스타상 | 조우리 |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 |
인기 캐릭터상 | 정상훈 표예진 | 《데릴남편 오작두》 《김비서가 왜 그럴까》 |
3. 12. 2019년 제12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19년 10월 2일 경남문화예술회관(진주)에서 제12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가 개최되었다. 진행은 조우종과 공서영이 맡았다. 대상은 《하나뿐인 내편》의 최수종이 수상했다. 작품상은 《SKY 캐슬》, 작가상은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의 조정선 작가가 수상했다. 남자 최우수연기상은 《특별근로감독관 조장풍》의 김동욱, 여자 최우수연기상은 《국민 여러분!》의 김민정이 수상했다. 남자 우수연기상은 《열여덟의 순간》의 강기영과 《의사요한》의 이규형, 여자 우수연기상은 《왕이 된 남자》의 이세영이 수상했다. 남자 신인상은 《열여덟의 순간》의 옹성우, 여자 신인상은 《닥터 프리즈너》의 권나라가 수상했다. 옹성우는 한류 스타상도 수상하여 2관왕을 차지했다. 핫스타 차이나상은 《SKY 캐슬》의 김서형에게 돌아갔다. 공로상은 정동환이 수상했다. OST상은 《SKY 캐슬》의 하진이 수상했다. 올해의 스타상은 《열혈사제》의 고준과 《사이코메트리 그녀석》의 신예은이 수상했으며, 인기 캐릭터상은 《열혈사제》의 안창환과 《SKY 캐슬》의 김보라가 수상했다.3. 13. 2022년 제13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22년 10월 8일 경남문화예술회관(진주)에서 제13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가 개최되었다. 진행은 김환, 공서영이 맡았다.대상은 《수리남》의 하정우가 수상했다. 작품상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게 돌아갔다. 남자 최우수연기상은 《고스트 닥터》의 김범, 여자 최우수연기상은 《너를 닮은 사람》의 신현빈이 수상했다. 남자 우수연기상은 《나의 해방일지》의 이기우, 여자 우수연기상은 《쇼윈도: 여왕의 집》의 전소민이 수상했다.
남자 신인상은 《오늘의 웹툰》의 김도훈, 여자 신인상은 《사내맞선》의 배우희와 《스물다섯 스물하나》의 보나가 공동 수상했다. 글로벌 우수상은 《환혼》의 이재욱, 글로벌 스타상은 《암행어사: 조선비밀수사단》의 김명수가 수상했다.
남자 조연상은 《오늘의 웹툰》의 박호산, 여자 조연상은 《키스 식스 센스》의 황보라가 수상했다. 감독상은 《환혼》의 박준화 감독에게 돌아갔다. 최불암은 공로상을, 민채은은 KDA상을 수상했다.
3. 14. 2023년 제14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2023년 10월 14일, 경남문화예술회관(진주시)에서 제14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가 개최되었다. 박찬민과 공서영이 진행을 맡았다. 대상은 《형사록 2》의 이성민에게 돌아갔으며, 작품상은 《더 글로리》가 수상했다. 남자 최우수연기상은 《악귀》의 오정세, 여자 최우수연기상은 《가면의 여왕》의 김선아가 수상했다. 남자 우수연기상은 《D.P. 2》의 김성균과 《사냥개들》의 이상이가 공동 수상하였고, 여자 우수연기상은 《오랫동안 당신을 기다렸습니다》의 김지은이 수상했다.박지훈은 《약한영웅 Class1》로 남자 신인상을, 이연은 《이로운 사기》로 여자 신인상을 수상했다. 핫스타상은 《가슴이 뛴다》의 고규필과 《셀러브리티》의 정유미에게 돌아갔다. 배현성은 《기적의 형제》로 글로벌 스타상을 수상했다. 남자 조연상은 《킹더랜드》의 안세하, 여자 조연상은 《낭만닥터 김사부 3》의 소주연이 수상했다. 길용우는 공로상을, 정희태는 《재벌집 막내아들》로 KDF상을 수상했다.
3. 15. 2024년 제15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지승현《고려 거란 전쟁》
김지원
《눈물의 여왕》
이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