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스라에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라에주는 캐롤라인 제도의 최동단에 위치한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주로, 110km²의 면적에 6,616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서기 1000년 초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1250년부터 1850년까지 렐루 유적이 존재했다. 1529년 스페인에 의해 발견되었고, 이후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1945년 미국 통치 하에 들어갔다. 1979년 미크로네시아 연방을 구성했으며, 현재 4개의 지방 자치체로 나뉘어 있다. 코스라에어와 영어를 사용하며, 기독교가 주된 종교이다. 주요 산업은 관광, 어업, 농업이며, 스쿠버 다이빙과 하이킹 명소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스라에주 - 코스라에 국제공항
    미크로네시아 연방 코스라에 주에 위치한 코스라에 국제공항은 유나이티드 항공이 괌, 마주로, 추크 등 여러 지역을 운항하며, 캐롤라인 아일랜드 항공은 폰페이 전세편을 운항하고 과거에는 다른 항공사들도 운항했으나 현재는 중단되거나 불확실하다.
  • 코스라에주 - 코스라에어
    코스라에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코스라에 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SVO 어순을 따르고 영어와 일본어로부터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주 - 폰페이주
    폰페이주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네 개 주 중 하나로, 태평양 중서부 캐롤라인 제도 동쪽 끝에 위치하며 폰페이 섬과 여러 섬, 환초로 구성되어 다양한 식민 통치 역사를 거쳤고 난마돌 같은 미크로네시아 문명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주 - 야프주
    야프주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최서단에 위치한 네 개 주 중 하나로, 네 개의 주요 섬과 134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돌 화폐를 사용했고 여러 나라의 통치를 거쳐 1986년에 독립한 민주주의 국가이다.
코스라에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코스라에의 기
코스라에의 기
이름코스라에
로마자 표기Kosrae
유형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주
닉네임미크로네시아의 보석
잠자는 미녀 섬
모토Lelu Kosrae (렐루 코스라에)
주가(州歌)Lelu Kosrae (렐루 코스라에)
지리
코스라에 지도
코스라에 지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내 코스라에 위치
미크로네시아 연방 내 코스라에 위치
면적111.3 km²
행정
수도토폴
정부코스라에 주 정부
주지사툴렌사 팔리크 (2023년부터)
웹사이트코스라에 주 의회 웹사이트
인구
인구 (2010년)6616명
인구 밀도auto
기타 정보
시간대UTC+11
ISO 코드FM-KSA

2. 역사

코스라에주는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적어도 서기 1천년 초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1529년 9월 14일 스페인 항해사 알바로 데 사아베드라 세론이 티도레에서 누에바에스파냐로 돌아가던 중 처음으로 서양에 기록되었다.[2] 1668년부터 명목상 스페인의 주권 하에 있었으나 1885년까지 실질적인 점령은 없었다.

1898년 미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스페인은 1899년 2월 2일 캐롤라인 제도를 독일에 ()에 매각했다. 이후 섬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919년부터 1947년까지 일본 남양 군도 통치 기간 동안 광범위한 경제적 개선이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군에 의해 요새화되었지만, 코스라에에서는 전투가 벌어지지 않았다.

1945년, 코스라에에 대한 행정권은 미국으로 넘어갔으며, 미국은 이 섬을 태평양 제도 신탁 통치령의 일부로 통치했다. 1960년대부터 원조와 투자가 증가했다.[3] 미크로네시아 연방 헌법이 팔라우마셜 제도에서 부결되자, 코스라에는 야프, 추크, 폰페이와 함께 미크로네시아 연방(FSM)을 형성했다.

2. 1. 초기 역사

렐루의 폐허


코스라에, 2015


포트 로틴의 토착 카누(1899–1900).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 섬에는 적어도 서기 1천년 초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서기 1250년부터 1850년까지 존재했던 렐루는 전성기에 약 1,500명의 인구가 있었고 약 27ha의 면적을 차지했으며, 귀족을 위한 매장용 피라미드가 있었다.[1]

2. 2. 유럽인과의 만남

프랑스 코르벳 S. M. ''라 코키유''는 1824년 6월 3일 오카트 항구에 도착하여 6월 15일까지 머물렀다. 루이-이지도르 뒤페레이가 지휘하는 ''라 코키유''에는 쥘 뒤몽 뒤르빌이 부지휘관으로, 르네-프리므베르 레송이 해군 의사이자 박물학자로 탑승하여 지구 일주 항해(1822–1825)에 나섰다. ''라 코키유''는 코스라에에서 열흘 동안 정박했으며, 이 기간 동안 여러 선원이 섬을 건너 렐루 섬을 방문했다.

서양인이 기록한 최초의 발견은 1529년 9월 14일, 티도레에서 누에바에스파냐로 돌아가려던 스페인 항해사 알바로 데 사아베드라 세론에 의해서였다.[2] 코스라에는 1668년부터 명목상 스페인의 주권 하에 있었지만, 1885년까지 실질적으로 점령되지는 않았다. 1824년 유럽 여행객과 처음 만났을 당시, 코스라에에는 주변 섬들의 전형적인 계층 사회가 존재했다. 모계 혈통과 씨족, "평민"이 경작하는 토지를 지배하는 "귀족"의 봉건적 구조, 단일 취사장을 공유하는 소규모 친족 집단으로 구성된 정착촌 등이 문화적 특징이었다.

최초의 선교 기지는 1852년 회중교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870년대까지 섬 전체가 사실상 기독교로 개종했다.[3] 오늘날 코스라에에는 다양한 종파의 기독교가 존재하며, 종교는 여전히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악명 높은 선장이자 흑인 노예 매매업자였던 불리 헤이스는 1874년 3월 15일, 그의 배 ''레오노라''가 폭풍으로 인해 우트웨 항구에 갇히면서 코스라에에 난파되었다. 불리 헤이스는 7개월 동안 우트웨에 거주하면서 현지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4] 1874년 9월, HMS ''로사리오'' (듀피스 선장 지휘)가 헤이스에 대한 주장을 조사하기 위해 도착했다. 그는 체포되었지만, ''레오노라'' 잔해의 목재로 만든 14피트 보트를 타고 탈출했다.[4][5] 그의 보물은 숲 어딘가에 묻혀 있을 수 있지만,[4] 이후의 발굴에도 발견되지 않았다.[6] 이 묻힌 돈의 존재는 헤이스를 둘러싼 신화의 일부이다.[7]

1885년, 스페인 제국과 독일 제국 간의 분쟁이 발생한 후, 바티칸의 중재에 따라 스페인 해군이 섬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

2. 3. 스페인, 독일, 일본 통치 시대

서양인에 의한 코스라에 최초 기록은 1529년 9월 14일 스페인 항해사 알바로 데 사아베드라 세론이 티도레에서 누에바에스파냐로 돌아가던 중 발견하면서 이루어졌다.[2] 1668년부터 명목상 스페인의 주권 하에 있었으나, 1885년까지 실질적인 점령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824년 유럽 여행객과의 첫 만남 당시, 코스라에는 모계 혈통과 씨족, "평민"이 경작하는 토지를 지배하는 "귀족"의 봉건적 구조, 단일 취사장을 공유하는 소규모 친족 집단 등 주변 섬들의 전형적인 계층 사회가 존재했다.

1852년 회중교회에 의해 최초의 선교 기지가 설립되었고, 1870년대까지 섬 전체가 사실상 기독교로 개종했다.[3] 오늘날 코스라에에는 다양한 종파의 기독교가 존재하며, 종교는 여전히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악명 높은 선장이자 흑인 노예 매매업자인 불리 헤이스는 1874년 3월 15일 그의 배 ''레오노라''가 폭풍으로 우트웨 항구에 갇히면서 코스라에에 난파되었다. 그는 7개월 동안 우트웨에 거주하면서 현지 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4] 1874년 9월, HMS ''로사리오''가 헤이스에 대한 주장을 조사하기 위해 도착했고, 그는 체포되었으나 ''레오노라'' 잔해의 목재로 만든 14피트 보트를 타고 탈출했다.[4][5] 그의 보물은 숲 어딘가에 묻혀 있을 수 있지만,[4] 이후 발굴에도 발견되지 않았다.[6]

1885년 스페인 제국과 독일 제국 간 분쟁 후, 바티칸의 중재로 스페인 해군이 섬에 대한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 1898년 미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스페인은 1899년 2월 2일 캐롤라인 제도를 독일에 ()에 매각했다. 이후 섬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919년부터 1947년까지 일본의 남양 군도 통치 기간 동안 광범위한 경제적 개선이 이루어졌다. 섬은 인구를 개종시킨 소수의 선교사들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윌라드 프라이스는 1930년대 방문 당시 섬에 감옥이 없고 60년 동안 살인 사건이 없었으며, 술과 담배는 상상도 할 수 없었다고 보고했다.[8]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군에 의해 요새화되었지만, 코스라에에서는 전투가 벌어지지 않았다. 하라다 요시카즈 중장이 지휘하는 일본군은 전차 1개 중대와 700명의 해군을 포함하여 3,811명의 육군 병력으로 구성되었다.[9] 섬 내부 산봉우리에는 여러 개의 입구가 있는 터널 벙커가 파여졌으며, 오늘날에도 대부분 탐험이 가능하다.

2. 4. 미국 신탁 통치와 미크로네시아 연방

1945년, 코스라에에 대한 행정권은 미국으로 넘어갔으며, 미국은 이 섬을 태평양 제도 신탁 통치령의 일부로 통치했다. 1960년대부터 원조와 투자가 증가했다.[3]

신탁 통치령(TTPI) 시대 동안 코스라에는 처음에는 폰페이 구의 자치구 중 하나로 행정을 받았지만, 1977년 별도의 구가 되었다.[10] 미크로네시아 연방 헌법이 팔라우마셜 제도의 TTPI 구에서 부결되자, 코스라에는 나머지 구들(야프, 추크, 폰페이)과 함께 미크로네시아 연방(FSM)을 형성했다. 코스라에는 유일한 단일 섬 FSM 주(환초 내의 7~8개의 작은 해안 섬들, 가장 중요한 레루 섬을 포함한, 본 섬에 속하는)이며, 다른 세 주는 각각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7년까지 코스라에는 자치구 수준에서 구 또는 마을로 세분되었다. 1980년까지, 이전의 마을 또는 구에서 다섯 개의 자치구가 생성되었다가 이후 왈룽이 타푼삭에 통합되면서 네 개의 자치구로 변경되었다.

1977년까지의 구/마을1980년 생성된 자치구이후 통합
레루 (레루 섬만으로 구성)레루rowspan="2" |
예펜 (오늘날 레루 자치구의 본토 부분, 주도인 토폴 포함)
타푼삭 (타푼삭 구의 북동부에서 생성)타푼삭타푼삭
왈룽 (타푼삭 구의 남서부에서 생성)왈룽(타푼삭에 통합)
말렘 (오늘날 말렘 자치구와 대략 일치)말렘말렘
우트웨 (오늘날 우트웨 자치구와 대략 일치)우트웨우트웨


3. 지리

왈룽은 이후 타푼삭에 흡수되었다.]]

코스라에 주변의 띠 모양 산호초 내에는 중요한 근해 섬이 하나 있는데, 바로 렐루 섬이다. 렐루 섬은 면적이 2km2에 불과하지만, 인구는 약 1,500명이다. 렐루 섬은 주도인 토폴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렐루 자치구에 속한다. 띠 모양 산호초 내의 다른 매우 작은 무인도에는 옌 옌과 예나스르(렐루 자치구), 공항 섬, 키울, 무투냘, 스로안삭(타푼삭 자치구) 및 스루카메스(타푼삭 자치구, 왈룽 일부)가 있다.

코스라에 국제공항(IATA 코드 KSA)은 해안에서 약 150m 떨어진 곳에 띠 모양의 산호초 내 인공 섬에 위치해 있으며, 2016년 1월 일반에 개방된 새로운 다리를 통해 본섬과 연결되어 있다. 유나이티드 항공(구 컨티넨탈 마이크로네시아)의 아일랜드 호퍼 737-800편이 하와이와 사이를 주 3회 운항하며, 그 과정에서 다른 FSM(폰페이 및 추크) 및 마셜 제도 목적지에 들른다. 나우루 항공도 주 1회 737-300 제트기를 이용하여 호주 브리즈번과 피지 나디로 연결된다.

코스라에 주는 타푼사크, 레라, 말렘, 우토에의 4개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타푼사크 안에는 육로로는 갈 수 없는 왈룽 마을이 있으며, 레라 안에는 주도인 토폴 마을과 고고 유적인 레라 유적도 포함된다. 유인도인 레라 섬과는 현재 "코즈웨이"라고 불리는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섬의 외곽에 자동차가 다닐 수 있는 포장도로가 있지만, 주변의 4분의 3 정도밖에 없으며, 도로가 없는 왈룽 마을로 가려면 해상 교통수단밖에 없다.

일본의 위임 통치 하에서는 근대적인 전기, 수도, 학교, 병원 등의 인프라가 충실하게 갖춰졌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통치 하에서는 정체되었고, 1998년에는 뎅기열이 유행했다. 섬에는 주립 병원이 한 곳만 있지만, 의료 수준은 낮고 병원 내의 위생 상태도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역병은 없다.

3. 1. 자연환경

코스라에는 캐롤라인 제도의 최동단에 위치하며, 하와이 제도 사이, 적도 북쪽 약 600km 지점에 있다. 육지 면적은 약 110km2이며, 섬의 일부 지역은 해안 침식을 겪고 있다.[12]

코스라에는 거의 훼손되지 않은 화산섬으로, 스쿠버 다이빙하이킹을 즐기려는 사람들의 목적지가 되고 있다.[13][14] 섬을 둘러싼 산호초는 정부의 해양 자원 부서의 도움을 받아 다이빙 사업자들이 설치하고 관리하는 광범위한 부표 시스템을 통해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15] 산호초는 거의 손길이 닿지 않았으며, 수 마일에 걸쳐 단단한 산호가 존재하고, 일부는 수천 년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 내부에는 정글이 펼쳐져 있으며, 사람들은 해안을 따라 살고 있다. 연중 25 - 32℃ 정도의 기온이다. 주변보다 해수 온도가 높고, 바다의 투명도가 높다. 그렇기 때문에 해중 풍경은 즐길 수 있지만, 대형 해양 생물을 보기 위한 다이빙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 흰꼬리상어나 가오리, 바라쿠다는 가끔 볼 수 있다. 고래상어는 한 번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3. 2. 행정 구역

코스라에 주는 4개의 지방 자치체로 세분화된다.[16] 1980년에는 5개의 지방 자치체가 있었으나, 왈룽은 이후 타푼삭에 흡수되었다.[17]

지방 자치체면적
(km2)[16]
인구
(1980년 인구 조사)[17]
인구
(2010년 인구 조사)[16]
비고
레루21.5km21,9952,160 
말렘16.8km21,0911,300 
우트웨28.5km2912983 
타푼삭23.3km21,3422,173 
왈룽19.5km2151타푼삭의 일부 
코스라에109.6km25,4916,616 



주의 수도는 레루 지방 자치체에 있는 토폴이다.

4. 정치 및 정부

코스라에는 민주주의 연방 국가인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4개 주 중 하나이다.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각 주는 연방 행정 구역에 전형적인 수준의 주권과 함께 자국 영토 내에서 다수의 권한을 보유할 수 있다. 코스라에의 최고 행정 책임자는 주지사이다. 코스라에는 단원제 입법부를 가지고 있다.[18]

5. 경제

코스라에 공항


초기에는 코스라에에서 조개껍데기를 기반으로 한 교환 시스템이 존재했지만, 현재 그 운영 방식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19]

1960년대 이후 코스라에 정부가 섬의 주요 고용주가 되었으며, 어업과 전통적인 농업은 섬 주민들의 생계의 주요 원천으로 남아있다. 수입품은 거의 모든 다른 토착 제조업을 대체했다.[3] 미국 달러는 코스라에와 미크로네시아 전역에서 사용되는 공식 통화이다.

현재까지 관광 산업은 주로 섬을 둘러싼 산호초에서의 스쿠버 다이빙에 집중되어 있다. 서핑, 하이킹 및 광범위한 맹그로브 시스템을 통한 스탠드업 패들보딩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2013년에는 연례 10km 록호퍼 달리기 경주가 시작되었으며, 인근 섬인 콰잘레인과 폰페이에서 수십 명의 경쟁자가 참여한다.

2016년 7월, 코스라에 노틸러스 리조트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된 복권 추첨에서 당첨되었다. 이전 소유주인 더그와 샐리 베이츠는 호주로 돌아가기 전에 리조트를 매각하는 대신 가족의 설득으로 복권을 실시했다. 당첨자 조슈아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출신으로, 부채가 없고 수익성이 있으며 임대 기간이 20년 이상 남은 리조트의 소유주가 될 것이다.[20]

6. 교육

코스라에 교육부(DOE)는 공립 초등학교 6곳(타푼삭 초등학교, 말렘 초등학교, 우트웨 초등학교, 렐루 초등학교, 산스릭 초등학교, 왈룽 초등학교)과 고등학교 1곳(코스라에 고등학교)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사립학교 1곳(코스라에 제칠일 안식일교회 학교)도 있다.[21]

2011년 7월, 코스라에 교육부는 One Laptop per Child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공립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XO" 컴퓨터 720대를 배포하였다. 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최초로 이 프로그램을 시행한 것이다.[22]

7. 언어

코스라에의 공식 언어는 코스라에어이며, 영어 또한 정부 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코스라에 헌법에 따르면 영어는 코스라에어와 "동등한 권위"를 갖는다 (단, 헌법의 코스라에어 버전과 영어 버전 사이에 해결할 수 없는 충돌이 발생할 경우 코스라에어 버전이 우선한다).[1] 스페인어 또한 코스라에에서 학습되고 사용된다.[1]

영어코스라에어가 통용된다.[2] 고령 남성 중에는 유창한 일본어를 구사하는 사람도 적지 않지만, 그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2] 태평양 전쟁 후에는 미국의 통치 하에 있으며, 고등학교에서의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생활 언어가 거의 코스라에어이기 때문에, 코스라에어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2]

8. 종교

개신교 계열의 한 종파가 거의 전 섬 주민의 신앙을 받들고 있다. 신앙심이 깊어 일요일안식일로 정해져 바다에 들어가는 것, 일, 낚시 등이 금지되어 있으며, 관광객이 모르고 놀고 있으면 주민에게 혼난다. 가정에서는 요리도 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며, 전날 만들어 둔 코코넛 수프로 끓인 죽을 먹는다. 코스라에인이 운영하는 가게는 매주 일요일이 휴무이다. 호주나 미국인이 경영하는 호텔의 레스토랑은 일요일에도 영업하지만, 맥주 등의 주류는 구매할 수 없다.[1]

주민들은 일요일에 교회에 모여 예배를 드린다. 찬송가를 통해 합창 문화가 발달하여, 모르는 노래도 금방 합창한다. 크리스마스에는 각지의 교회에서 마치가 열리며, "1조", "2조" 등, 일제강점기 시대의 "이웃조"로 나뉘어 조별로 경쟁한다.[1]

종교상의 지위가 사회적인 지위보다 높은 경우도 있으며, 종파의 계율인 "술을 마시지 않는다·담배를 피우지 않는다"는 것이 지도자의 조건으로 여겨진다.[1]

9. 문화

전통적인 음식으로는 빵나무, 코코넛, 바나나, 토란, 참마, 사탕수수 등이 있다. 빵나무는 일반적인 주식이었으며, 식량이 부족할 때를 대비하여 잎으로 덮인 구덩이에 보관했다. 코코넛은 귀족들을 위해 남겨두었다.

음식은 섬 생활의 중심이었는데, 각 정착지는 최소한 하나의 흙 가마솥을 갖춘 요리집 주변에 모인 소규모 가족 그룹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부드러운 토란은 제대로 준비하는 데 필요한 정교한 기술을 연마한 남성들이 ''파파''라고 불리는 축제 음식으로 만들었으며, 수카(카바)도 준비했다. 산 식물의 뿌리에서 추출한 수카는 귀족들에게 제공되었다. 물고기는 주로 그물을 사용하여 석호에서 잡았다.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에서 식량은 수입된 쌀, 통조림 육류 및 생선, 신선한 지역 생선 및 뿌리 작물로 구성된다. 오늘날에도 ''파파''와 돼지고기는 주로 축제 음식으로 간주된다.[19] 일본인들이 섬에 라임 나무를 들여왔고, 현재는 거의 일년 내내 열매를 맺으며 고품질로 간주된다. 다양한 귤이 익으면 녹색을 띠며,[23] 또한 풍부하며 주변 섬 전체에서 유명하고 인기 있다. 사과(Malus)와 관련이 없는 열대 나무 열매인 산사과, 맛있는 딸기 파파야 및 파인애플이 코스라에의 여러 지역에서 재배된다. 어디에서나 찾을 수 있는 최고의 맛을 가진 다양한 바나나가 있으며, 일부는 먹기 전에 요리해야 하고 다른 일부는 여전히 푸르스름할 때 먹을 수 있다(KALIFORNI). 소수의 지역 농부들이 오이, 배추, 상추, 가지, 호박, 멜론, 수박과 같은 다양한 채소를 재배하여 마셜 제도에 수출하고 있다.

개신교 계열의 한 종파가 거의 전 섬 주민의 신앙을 받들고 있다. 신앙심이 깊어 일요일안식일로 정해져 바다에 들어가는 것, 일, 낚시 등이 금지되어 있으며, 관광객이 모르고 놀고 있으면 주민에게 혼난다. 가정에서는 요리도 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며, 전날 만들어 둔 코코넛 수프로 끓인 죽을 먹는다. 코스라에인이 운영하는 가게는 매주 일요일이 휴무이다. 호주나 미국인이 경영하는 호텔의 레스토랑은 일요일에도 영업하지만, 맥주 등의 주류는 구매할 수 없다.

주민들은 일요일에 교회에 모여 예배를 드린다. 찬송가를 통해 합창 문화가 발달하여, 모르는 노래도 금방 합창한다. 크리스마스에는 각지의 교회에서 마치가 열리며, "1조", "2조" 등, 일제강점기 시대의 "이웃조"로 나뉘어 조별로 경쟁한다.

종교상의 지위가 사회적인 지위보다 높은 경우도 있으며, 종파의 계율인 "술을 마시지 않는다·담배를 피우지 않는다"는 것이 지도자의 조건으로 여겨진다.

10. 코스라에 출신 인물

애덜린 노다 - 코스라에 출신 최연소 안수 집사.

참조

[1] 웹사이트 Ancient pyramids in Pacific reveal environmental clues for the future http://www.abc.net.a[...]
[2] 간행물 Conflicto hispano-alemán Boletín de Sociedad Geográfica de Madrid 1885
[3] 웹사이트 History and cultural relations – Kosrae http://www.everycult[...]
[4] 서적 Louis Becke Hill of Content
[5] 문서 Bully Hayes, South Sea Buccaneer Secker & Warburg 1957
[6] 웹사이트 Article on Bully Hayes http://www.tombentle[...] 2018-03-17
[7] 서적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http://adb.anu.edu.a[...] National Centre of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8] 문서 The South Sea Adventure: Through Japan’s Equatorial Empire 1936
[9] 웹사이트 Japanese garrisons on the by-passed Pacific Islands 1944–1945 https://warfare.gq/d[...] 1999–2000
[10] 웹사이트 Micronesia http://flagspot.net/[...]
[11] 웹사이트 FSM Population http://www.fsmgov.or[...]
[12] 웹사이트 KOSRAE COASTAL EROSION: | Pacific Islands Report http://www.pireport.[...] 2019-02-27
[13] 웹사이트 Scuba diving in Kosrae, Micronesia https://www.girlstha[...] 2016-11-04
[14] 웹사이트 Micronesia: Kosrae – Hiking to Menke Ruins – Travel2Unlimited http://travel2unlimi[...]
[15] 웹사이트 Oceanearth kosrae mooring buoy project http://www.oceaneart[...]
[16] 웹사이트 2000 Kosrae Census http://www.pacificwe[...] 2018-03-17
[17] 웹사이트 Trust Territory Pacific Islands 1980 Number of Inhabitants http://www.pacificwe[...] 2018-03-17
[18] 웹사이트 Kosrae - Legal Information System of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http://fsmlaw.org/ko[...]
[19] 웹사이트 Economy – Kosrae http://www.everycult[...]
[20] 뉴스 Man wins an entire resort on Micronesian island with $65 raffle ticket http://www.abc.net.a[...] ABC News Online 2016-07-27
[21] 웹사이트 Kosrae State DOE http://www.kosraedoe[...] 2010-12-05
[22] 웹사이트 US rep at Kosrae OLPC handover: "We are your dedicated partner" http://olpcoceania.b[...] 2011-08-14
[23] 웹사이트 Is It EDible? http://www.isitedibl[...]
[24] 학술지 A Survey of the Land Snails of Kosrae (Caroline Islands, Micronesia) Including the Rediscovery of Endemic Delos oualanensis (Pease, 1866) (Mollusca: Pulmonata: Rhytididae) https://bioone.org/j[...] 201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