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 윌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린 윌슨은 1931년 잉글랜드 레스터에서 태어난 작가로,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100권이 넘는 저서를 남겼다. 그는 1956년 발표한 평론 『아웃사이더』로 작가적 명성을 얻었으며,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문학, 철학, 심리학, 초자연 현상, 범죄 등 폭넓은 주제를 탐구했다. 윌슨은 소설에서도 인간의 잠재력과 의식을 탐구했으며, 탐정 소설, 과학 소설, 그리고 크툴루 신화 작품을 썼다. 그의 작품은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았으며, 20세기의 비평과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심리학자 - 카를 융
카를 융은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이자 분석심리학 창시자로,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분석학을 발전시켰으나 집단 무의식, 원형, 개성화 등의 독자적인 개념을 제시하며 심리학, 종교, 예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고, 나치즘과의 관계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종교심리학자 - 윌리엄 제임스
윌리엄 제임스는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철학자로서, 심리학 원리를 저술하고 실용주의 철학을 창시했으며, 제임스-랑게 이론, 자아 이론, 자유 의지론 등 다양한 심리 이론을 제시하여 심리학과 철학 분야에 기여했다. - 크툴루 신화 작가 - 닐 게이먼
닐 게이먼은 영국의 소설가, 만화 작가, 시나리오 작가, 작사가, 저널리스트로, 《샌드맨》, 《스타더스트》, 《신들의 전쟁》, 《코렐라인》 등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2021년 윌 아이스너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크툴루 신화 작가 - 로저 젤라즈니
로저 젤라즈니는 신화, 종교, 철학 지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과학 소설과 판타지 작품을 쓴 미국의 작가로,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수상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내 이름은 콘라드》, 《빛의 왕》, 《앰버 연대기》 등이 있다. - 레스터 출신 - C. P. 스노
C. P. 스노는 영국의 소설가, 물리학자, 공무원으로, '두 문화' 논쟁과 소설 《낯선 사람들과 형제들》, 과학 및 정치 관련 논픽션 작품들을 남겼으며 과학 기술 발전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성찰을 촉구했다. - 레스터 출신 - 리처드 아미티지 (배우)
리처드 아미티지는 런던 극예술 학교를 졸업하고 뮤지컬 배우로 시작하여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연극, 성우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호빗》 3부작에서 토린 오큰실드 역으로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은 잉글랜드 배우이다.
콜린 윌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콜린 헨리 윌슨 (Colin Henry Wilson) |
출생지 | 레스터, 레스터셔, 잉글랜드 |
사망 장소 | 세인트 오스텔, 콘월, 잉글랜드 |
국적 | 영국 |
직업 | |
직업 | 작가 |
활동 기간 | 1956–2013, 20세기 |
장르 | 논픽션 소설 초자연 현상 실존주의 긍정 심리학 |
사조 | 성난 젊은이들 |
영향 | 조지 버나드 쇼 게오르기이 그루지예프 프리드리히 니체 에드문트 후설 에이브러햄 매슬로 앨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윌리엄 제임스 니코스 카잔차키스 장폴 사르트르 |
영향을 받은 인물 | 로버트 안톤 윌슨 |
대표 작품 | 《아웃사이더》 《오컬트: 역사》 |
기타 정보 | |
주요 작품 | |
대표작 | 아웃사이더 오컬트 |
2. 초기 생애 및 교육
1931년 6월 26일, 잉글랜드 레스터의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났다.[25][5] 어린 시절 과학에 흥미를 보였으나, 11세에 입학한 게이트웨이 중등 기술 학교 재학 중 조지 버나드 쇼의 작품, 특히 ''인간과 초인''을 접하고 문학으로 관심을 돌렸다.
16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실험 조교, 공무원 등 여러 직업을 전전했으며, 1949년 가을에는 영국 공군에 징집되었으나 권위적인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고 제대했다. 이후 유럽을 여행하고 런던 등지에서 불안정한 생활을 이어가며 첫 결혼 생활을 했으나 오래가지 못했다. 이 시기 그는 소호 표류기의 바탕이 된 경험을 쌓았고, 꾸준히 소설 ''어둠 속의 의식''을 집필했다.[6] 빌 홉킨스, 스튜어트 홀로이드, 로라 델-리보 등 젊은 작가들과 교류하기도 했다.[7]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대영 박물관을 드나들며 독서와 집필을 계속했고, 때로는 햄스테드 히스에서 노숙하며 생활비를 아꼈다.[8] 이 시기의 경험과 고독은 그가 문학 작품 속 소외된 인물, 즉 '아웃사이더'에 대한 성찰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2. 1. 출생과 가정 환경
1931년 6월 26일, 잉글랜드 레스터에서[25] 신발 공장 노동자였던 아버지 아서 윌슨과 어머니 아네타 윌슨 사이의 첫째 아이로 태어났다.[5] 전형적인 노동자 계급 가정 환경이었다. 11세에 게이트웨이 중등 기술 학교에 입학하여 과학에 흥미를 보였고, 14세에는 여러 과학 분야를 다룬 에세이 모음집 ''일반 과학 매뉴얼''을 쓰기도 했다. 그러나 16세에 학교를 그만둘 무렵에는 조지 버나드 쇼, 특히 그의 희곡 ''인간과 초인''에 깊은 영향을 받아 문학으로 관심이 옮겨갔다. 그는 스스로를 '쇼의 자연스러운 후계자'로 여기며 소설, 희곡, 에세이 등을 쓰기 시작했다.학교를 그만둔 후 모교에서 실험 조교로 잠시 일했으나 만족하지 못했고, 이후 공무원이 되었지만 이 역시 적성에 맞지 않았다. 1949년 가을에는 영국 공군에 징집되었으나 권위적인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고 충돌을 빚었으며, 결국 동성애자인 척하여 제대했다. 제대 후에는 여러 힘든 직업을 전전하고 유럽을 여행하다가 1951년 레스터로 돌아왔다.
레스터에서 첫 번째 아내 도로시 베티 트룹과 결혼하여 런던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아들 로데릭 제라드가 태어났다. 이 시기의 런던 생활은 훗날 반자전적 소설 ''소호 표류기''의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여러 직업을 전전하는 불안정한 생활 속에 결혼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이 어려운 시기에도 그는 소설 ''어둠 속의 의식''(1960년 출판)을 계속 집필했다.[6] 또한 빌 홉킨스, 스튜어트 홀로이드, 로라 델-리보와 같은 젊은 작가들과 교류하며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7]
다시 유럽으로 건너가 파리에서 잡지 구독 판매 일을 하기도 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레스터로 돌아왔다. 그곳에서 훗날 두 번째 아내이자 세 자녀의 어머니가 되는 조이 스튜어트를 만났고, 그녀와 함께 다시 런던으로 갔다. 런던에서는 대영 박물관 열람실의 부관이었던 작가 앵거스 윌슨(친척 관계는 아님)의 조언을 받으며 ''어둠 속의 의식'' 작업을 이어갔다.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햄스테드 히스에서 침낭 생활을 하며 노숙하기도 했다.[8]
1954년 크리스마스, 그는 방에 홀로 앉아 일기를 쓰다가 문득 자신이 처한 상황을 깨달았다.
나는 내가 좋아하는 많은 소설 속 인물들, 즉 도스토예프스키의 라스콜니코프, 릴케의 말테 라우리츠 브리게, 함순의 ''굶주림''에 나오는 젊은 작가와 같은 처지에 놓여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방에 혼자 남아 사회와 완전히 단절된 느낌이었다. 이것은 내가 즐기는 위치가 아니었다... 그러나 내면의 강요가 나를 이 고립된 위치로 밀어 넣었다. 나는 그것에 대해 일기에 쓰기 시작했고, 그것을 규명하려고 노력했다. 그러자 갑자기 책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일기 뒤로 가서 페이지 머리에 다음과 같이 썼다: '문학 속의 아웃사이더 책에 대한 노트'
이 경험은 훗날 그의 대표작 아웃사이더 집필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2. 2. 학창 시절과 문학적 관심
윌슨은 1931년 6월 26일, 레스터에서[25] 신발 공장에서 일하던 아버지 아서 윌슨과 어머니 아네타 윌슨 사이의 첫째 아이로 태어났다.[5] 11살에 게이트웨이 중등 기술 학교에 입학하여 과학에 대한 관심을 키우기 시작했다. 14살에는 과학의 여러 분야를 다룬 에세이 모음집 ''일반 과학 매뉴얼''을 쓰기도 했다. 하지만 16세에 학교를 졸업할 무렵, 그의 관심은 이미 문학으로 옮겨가 있었다. 특히 조지 버나드 쇼의 작품, 그중에서도 ''인간과 초인''을 접한 것은 그의 문학적 여정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는 소설, 희곡, 에세이를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했으며, ''인간과 초인''의 영향을 받아 스스로를 '쇼의 자연스러운 후계자'로 생각하기도 했다.졸업 후에는 모교에서 실험 조교로 일하거나 공무원 생활을 하는 등 마음에 들지 않는 일자리를 전전했다. 1949년 가을에는 영국 공군에 징집되었으나, 권위적인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고 결국 동성애자인 척하여 제대했다. 제대 후에는 여러 힘든 일을 거치고 유럽을 여행하다가 1951년 레스터로 돌아왔다. 그곳에서 첫 번째 아내 도로시 베티 트룹과 결혼하고 런던으로 이사하여 아들 로데릭 제라드를 얻었다. 훗날 그는 이 시기의 런던 생활을 바탕으로 반 자전적 소설 ''소호 표류기''를 썼다. 그러나 불안정한 직업 생활 속에서 결혼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이 어려운 시기에도 윌슨은 꾸준히 글을 썼고, 이때 집필하고 수정하던 소설은 나중에 ''어둠 속의 의식''(1960)으로 출판되었다.[6] 그는 또한 빌 홉킨스, 스튜어트 홀로이드, 로라 델-리보와 같은 젊은 작가들과 만나 교류하며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7]
이후 다시 유럽을 여행하며 파리에서 잡지 구독을 판매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레스터로 돌아온 그는 두 번째 아내가 될 조이 스튜어트를 만났고, 그녀와 함께 런던으로 갔다. 런던에서는 당시 대영 박물관 열람실 부관이었던 작가 앵거스 윌슨 (친척 관계는 아님)의 조언을 받으며 ''어둠 속의 의식'' 작업을 이어갔다.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햄스테드 히스 공원에서 침낭 생활을 하기도 했다.[8]
1954년 크리스마스 날, 그는 방에 혼자 앉아 침대에 앉아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의 감정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나는 내가 좋아하는 많은 소설 속 인물들, 즉 도스토예프스키의 라스콜니코프, 릴케의 말테 라우리츠 브리게, 함순의 ''굶주림''에 나오는 젊은 작가와 같은 처지에 놓여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방에 혼자 남아 사회와 완전히 단절된 느낌이었다. 이것은 내가 즐기는 위치가 아니었다... 그러나 내면의 강요가 나를 이 고립된 위치로 밀어 넣었다. 나는 그것에 대해 일기에 쓰기 시작했고, 그것을 규명하려고 노력했다. 그러자 갑자기 책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일기 뒤로 가서 페이지 머리에 다음과 같이 썼다: '문학 속의 아웃사이더 책에 대한 노트'
2. 3. RAF 복무와 방황
1949년 가을, 영국 공군에 징집되었으나 권위주의적인 분위기에 적응하지 못하고 충돌을 겪었다. 결국 그는 동성애자인 척하여 군 복무를 조기에 마쳤다. 제대 후에는 여러 힘든 직업을 전전했으며, 유럽을 여행하며 시간을 보냈다.1951년, 고향 레스터로 돌아와 첫 번째 아내 (도로시) 베티 트룹과 결혼했다. 이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아들 로데릭 제라드를 낳았다. 훗날 그는 이 시기의 런던 생활을 바탕으로 반 자전적 소설 ''소호 표류기''를 집필했다. 그러나 여러 직업을 전전하는 불안정한 생활 속에서 결혼 생활은 오래가지 못하고 파탄을 맞았다. 이 힘든 시기에도 윌슨은 소설 쓰기를 멈추지 않았고, 이때 쓴 작품은 나중에 ''어둠 속의 의식''(1960)으로 출판되었다.[6] 그는 또한 빌 홉킨스, 스튜어트 홀로이드, 로라 델-리보와 같은 젊은 작가들과 만나 교류하며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7]
다시 유럽으로 떠난 윌슨은 파리에서 잡지 구독을 판매하며 생계를 유지하려 애썼다. 이후 레스터로 돌아와 두 번째 아내가 될 조이 스튜어트를 만났고, 그녀와 함께 다시 런던으로 향했다. 런던에서는 대영 박물관 열람실 부관이었던 앵거스 윌슨 (친척 관계 아님)의 조언을 받으며 ''어둠 속의 의식'' 집필을 이어갔다.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햄스테드 히스 공원에서 침낭 생활을 하기도 했다.[8]
1954년 크리스마스, 그는 방에 홀로 앉아 일기를 쓰다가 문득 자신의 처지가 도스토예프스키의 라스콜니코프, 릴케의 말테 라우리츠 브리게, 함순의 ''굶주림''에 나오는 젊은 작가와 비슷하다고 느꼈다. 그는 자신의 감정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나는 내가 좋아하는 많은 소설 속 인물들, 즉 도스토예프스키의 라스콜니코프, 릴케의 말테 라우리츠 브리게, 함순의 ''굶주림''에 나오는 젊은 작가와 같은 처지에 놓여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방에 혼자 남아 사회와 완전히 단절된 느낌이었다. 이것은 내가 즐기는 위치가 아니었다... 그러나 내면의 강요가 나를 이 고립된 위치로 밀어 넣었다. 나는 그것에 대해 일기에 쓰기 시작했고, 그것을 규명하려고 노력했다. 그러자 갑자기 책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일기 뒤로 가서 페이지 머리에 다음과 같이 썼다: '문학 속의 아웃사이더 책에 대한 노트'
3. 작가 경력
1956년, 24세의 나이로 발표한 첫 저서 《아웃사이더》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작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9] 이 책은 영국에서 실존주의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후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이 성공으로 윌슨은 당시 영국 문학계의 성난 젊은이들 운동과 연관되기도 했다.[10][11]
윌슨은 《아웃사이더》를 시작으로 "아웃사이더 사이클"로 불리는 일련의 철학 서적을 통해 자신만의 긍정적인 "신(新)실존주의"를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미국의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와 교류하며 그의 "절정 경험"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 또한 예술 작품을 존재의 의미와 연결하여 평가하는 "실존적 비평"이라는 독자적인 비평 방법론을 제시하고 여러 저작과 서평을 통해 이를 적용했다.
그의 관심사는 철학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1960년대 후반부터는 형이상학과 오컬트 분야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여 1971년 『오컬트』(The Occult: A History영어)를 출간했으며, 알레이스터 크로울리, 게오르기 구르지예프 등 신비주의 사상가들에 대한 평전을 쓰기도 했다. 동시에 살인, 특히 연쇄 살인과 성범죄 심리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살인 백과』(Encycloedia of Murder영어, 1961), 『살인 사례집』(A Casebook of Murder영어, 1969) 등 범죄 관련 논픽션 저작들을 발표했다.
윌슨은 자신의 철학적 사상을 탐구하는 또 다른 방식으로 소설 집필을 병행했다. 그는 주로 탐정 소설이나 과학 소설 장르를 통해 인간의 잠재력과 의식 확장의 문제를 다루었으며, H. P. 러브크래프트의 크툴루 신화 세계관을 차용한 작품들도 발표했다. 대표적인 소설로는 『마인드 파라사이트』(The Mind Parasites영어, 1967), 『철학자의 돌』(The Philosopher's Stone영어, 1969), 『우주 뱀파이어』(The Space Vampires영어, 1976), 그리고 4권으로 구성된 『스파이더 월드』(Spider World영어) 시리즈 등이 있다. 그는 소설 쓰기를 "철학하는 방식"으로 여겼으며, 철학자와 소설가의 역할을 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17] 특히 『스파이더 월드』 시리즈는 스스로 "이 작품을 쓴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다"고 말할 정도로 애착을 보였다.
그의 소설 중 『우주 뱀파이어』는 토비 후퍼 감독에 의해 영화 《생명력》(Lifeforce영어, 1985)으로 만들어졌으며[21], 『소호에서 표류하다』(Adrift in Soho영어, 1961) 역시 2018년에 영화화되었다.
윌슨은 박학다식함을 바탕으로 철학, 문학 비평, 오컬트, 범죄 심리, 소설 등 매우 폭넓은 분야에 걸쳐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2012년 6월 뇌졸중으로 쓰러져 대화 능력을 상실했고,[36] 이듬해인 2013년 12월 5일 세상을 떠났다. 2023년에는 그의 삶과 작품을 다룬 6부작 다큐멘터리 시리즈 "콜린 윌슨: 그의 삶과 작품"(Colin Wilson: His Life and Work영어)이 제작되었다.
3. 1. 《아웃사이더》와 실존주의
1956년, 콜린 윌슨은 24세의 나이로 첫 저서인 《아웃사이더》(The Outsider)를 골란츠 출판사를 통해 발표했다. 이 책은 당시 집필 중이던 소설 『암흑의 축제』를 잠시 멈추고 단숨에 써 내려간 결과물이었다. 윌슨은 이 시기 변변한 직업 없이 낮에는 대영 박물관에서 글을 쓰고 밤에는 노숙을 하는 어려운 생활 속에서 이 책을 완성했다.《아웃사이더》는 알베르 카뮈, 장-폴 사르트르, 어니스트 헤밍웨이, 헤르만 헤세,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윌리엄 제임스, T. E. 로렌스, 바슬라프 니진스키, 빈센트 반 고흐 등 문학과 문화계의 주요 인물들의 작품을 분석하며, 그들이 묘사한 사회적 '아웃사이더'의 역할과 사회적 소외 문제를 탐구했다. 윌슨은 이들의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실존주의적 위기를 핵심 주제로 다루었다.
이 책은 출간 즉시 큰 반향을 일으키며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영국 사회에 실존주의 사상을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9] 《아웃사이더》는 이후 한 번도 절판되지 않았으며, 전 세계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꾸준히 읽히고 있다. 이 책의 성공으로 윌슨은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윌슨은 《아웃사이더》를 시작으로 자신만의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구축해 나갔는데, 스스로 이를 "신실존주의"라고 명명했다. 그의 초기 사상은 사르트르, 바르뷔스, 카뮈, 도스토옙스키, 니체, 조지 폭스, 구르지예프 등 다양한 사상가와 소설가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실존적 위기에서 벗어나는 길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는 종교, 역사, 사회학, 문학, 성(性), 철학 등 폭넓은 분야의 지식을 동원하여 자신의 사상을 전개했다.
《아웃사이더》 출간과 비슷한 시기에 등장하여 사회 질서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낸 젊은 작가들을 언론은 앵그리 영맨(Angry young men)이라 불렀다. 이는 존 오스본의 희곡 《분노를 되돌아보라》(Look Back in Anger)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윌슨 역시 이들과 함께 묶여 언급되기도 했다.
3. 2. '성난 젊은이들'과의 관계
《아웃사이더》 출판 시기와 맞물려 등장한, 기존 사회 질서에 비판적인 젊은 작가들을 영국의 언론 타임스는 존 오스본의 희곡 《분노를 되돌아보라》(Look Back in Anger)에서 이름을 따 "성난 젊은이들(Angry Young Men)"이라고 불렀다. 이들은 주로 킹슬리 에이미스의 《럭키 짐》, 존 웨인의 《서둘러 내려가라》(Hurry on Down), 앨런 실리토의 《토요일 밤과 일요일 아침》 등으로 대표된다.윌슨 역시 이러한 영국 문학계의 "성난 젊은이들" 중 한 명으로 분류되었다. 그는 이 운동에 참여한 작가들의 선언문 모음집인 ''선언''(''Declarations'', 1957년 톰 마슐러 편집)에 글을 기고했으며, 대중적인 페이퍼백 선집인 ''항의: 비트 세대와 성난 젊은이들''(''Protest: The Beat Generation and the Angry Young Men'')에도 참여했다.[10][11]
다만 일각에서는 윌슨과 그의 친구들인 빌 홉킨스, 스튜어트 홀로이드를 일반적인 자유주의나 사회주의 정치 성향보다는 "종교적 가치"에 더 주목하는 "성난 젊은이들" 내의 별도 그룹으로 간주하기도 했다.[12] 이러한 시각 때문에 좌파 성향의 비평가들은 그들을 파시스트라고 비판했으며, 평론가 케네스 올솝은 그들을 "법을 제정하는 자들(the law-givers)"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2][13]
3. 3. '아웃사이더 사이클'과 신(新)실존주의
윌슨은 영국 문학의 "성난 젊은이들" 운동과 연관되었으나[10][11], 빌 홉킨스, 스튜어트 홀로이드 등과 함께 자유주의나 사회주의 정치보다는 "종교적 가치"에 더 관심을 둔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기도 했다.[12]『아웃사이더』(1956)의 성공 이후 출간한 두 번째 책 『종교와 반역자』(Religion and the Rebel영어, 1957)는 비평가들에게 혹평을 받았지만[15], 윌슨 자신은 이를 첫 책보다 더 포괄적인 작업으로 여겼다. 『아웃사이더』가 정신적 긴장과 광기에 가까운 상태를 다루었다면, 『종교와 반역자』는 의식을 확장하고 인간을 비전가로 변모시키는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
윌슨은 이에 굴하지 않고 문학 경력 초기 10년 동안 "아웃사이더 사이클"(Outsider Cycle)로 알려진 6권의 철학 서적 시리즈를 통해 긍정적이고 새로운 실존주의, 즉 "신(新)실존주의"(New Existentialism영어)를 계속해서 발전시켰다. 이 사상은 『새로운 실존주의 입문』(Introduction to the New Existentialism영어, 1966)에서 요약되었으며, 이 책이 1980년 『새로운 실존주의』로 재출간될 때 윌슨은 "만약 내가 실존주의에, 또는 사실상 20세기 사상 전반에 기여한 것이 있다면, 그것이 바로 이것이다. 나는 그것에 따라 서거나 쓰러질 의향이 있다"고 서술하며 자신의 철학적 핵심으로 간주했다.
"아웃사이더 사이클"은 사르트르, 바르뷔스, 카뮈, 도스토옙스키, 니체, 조지 폭스, 구르지예프 등 다양한 사상가와 작가들이 겪은 실존적 위기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길을 모색했다. 이 과정에서 종교 사상, 역사학, 사회학, 문학, 성(性), 철학 등 광범위한 분야의 지식을 동원했다.
사이클의 세 번째 책인 『패배의 시대』(The Age of Defeat영어, 1959)에서는 20세기 문학과 삶에서 영웅상이 사라진 것을 비판하며, 인간이 "무의미의 오류"(fallacy of insignificance영어)에 빠져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작업은 1963년 미국의 저명한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의 관심을 끌었다.[15] 윌슨은 매슬로가 학생들에게서 관찰한 "절정 경험"(peak experiences영어) - 압도적인 행복감을 느끼는 갑작스러운 순간 - 에 주목했는데, 이는 『아웃사이더』에서 탐구했던 "비전의 순간"을 통제할 방법을 찾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매슬로는 절정 경험이 의도적으로 유도될 수 없다고 보았지만, 윌슨은 가능하다고 믿었으며, 『내면 세계에의 접근』(Access to Inner Worlds영어, 1983)이나 『초의식』(Super Consciousness영어, 2009) 같은 후기 저작에서 이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윌슨은 매슬로와의 교류를 바탕으로 『심리학의 새로운 길: 매슬로와 포스트 프로이트 혁명』(New Pathways in Psychology: Maslow and the Post-Freudian Revolution영어, 1972)을 저술했다.
윌슨은 또한 "실존적 비평"(Existential Criticism영어)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는 예술 작품을 단순히 문학 비평이나 이론의 원칙만으로 평가할 것이 아니라, 특히 존재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 무엇을 말하는지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시카고 리뷰 (1959년)의 한 에세이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15]
어떤 예술도 순전히 미적인 기준으로만 판단될 수는 없지만, 그림이나 음악 작품은 순전히 미적인 즐거움을 주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미적 즐거움은 생명 반응의 강화이며, 이 반응은 모든 가치 판단의 기초를 형성한다. 실존주의자는 모든 가치가 인간 존재의 문제, 인간의 위상, 삶의 목적과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가치들은 미적 가치 외에도 모든 예술 작품에 내재되어 있으며, 그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주제는 『꿈을 꿀 힘』(The Strength to Dream영어, 1962), 『독수리와 귀뚜라미』(Eagle and Earwig영어, 1965), 『시와 신비주의』(Poetry and Mysticism영어, 1970), 『소설의 기술』(The Craft of the Novel영어, 1975), 『양원적 비평가』(The Bicameral Critic영어, 1985), 『내 인생의 책들』(The Books in My Life영어, 1998) 등 여러 저작에서 다루어졌다. 그는 또한 다수의 서평을 통해 실존적 비평을 실제 비평 활동에 적용했다.
윌슨의 "신 실존주의"는 화이트헤드나 니체의 영향을 받았지만, 보다 평이하고 대중적인 형태로 전개되었다. 특히 사르트르 사상의 비관주의적 측면을 강하게 비판하며 독자적인 낙관주의 철학을 구축하고,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를 재정립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웃사이더 사이클"을 구성하는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 『아웃사이더』 (The Outsider영어, 1956)
- 『종교와 반역자』 (Religion and the Rebel영어, 1957)
- 『패배의 시대』 (The Age of Defeat영어, 1959)
- 『꿈을 꿀 힘: 문학과 상상력』 (The Strength to Dream: Literature and the Imagination영어, 1962)
- 『성적 충동의 기원』 (Origins of the Sexual Impulse영어, 1963)
- 『아웃사이더를 넘어』 (Beyond the Outsider영어, 1965)
이 사이클의 사상은 『새로운 실존주의 입문』 (Introduction to the New Existentialism영어, 1966)에서 종합되었다.
3. 4. 매슬로와의 교류
에이브러햄 매슬로의 심리학적 영향을 받아 건강한 사람의 심리학을 발전시키고, 독자적인 낙관주의를 전개했다. 이 과정에서 센트 니오트 마진(St. Neot Margin), 로봇(the Robot)과 같은 개념을 제시하며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성을 재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3. 5. 실존적 비평
윌슨은 그가 "실존적 비평"이라고 칭한 비평 방식으로도 유명하다.[9] 이는 예술 작품을 단순히 문학 비평이나 이론의 원칙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이 존재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 무엇을 이야기하는지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시카고 리뷰(1959년 13권, 2호, 152–181쪽)에 기고한 선구적인 에세이에서 자신의 관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어떤 예술도 순전히 미적인 기준으로 판단될 수 없지만, 그림이나 음악 작품은 순전히 미적인 즐거움을 주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미적 즐거움은 생명 반응의 강화이며, 이 반응은 모든 가치 판단의 기초를 형성한다. 실존주의자는 모든 가치가 인간 존재의 문제, 인간의 위상, 삶의 목적과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가치들은 미적 가치 외에도 모든 예술 작품에 내재되어 있으며, 그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윌슨은 이러한 실존적 비평의 관점에서 여러 편의 에세이와 책을 저술했다. 이 주제를 다룬 주요 저작으로는 다음이 있다.
- ''꿈을 꿀 힘'' (The Strength to Dream: Literature and the Imagination영어, 1962)[41]: 이 책에서 윌슨은 SF와 판타지 문학, 세계 문학, 그리고 자신의 철학을 논하며 상상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루소의 『신 엘로이즈』나 리처드슨의 『파멜라』 같은 작품이 유럽 문학에서 상상력의 비약적인 확대를 가져왔다고 보았다. 또한 H.P. 러브크래프트나 데이비드 린제이 등의 작가를 재평가하기도 했다.
- ''독수리와 귀뚜라미'' (Eagle and Earwig영어, 1965)
- ''시와 신비주의'' (Poetry and Mysticism영어, 1970)
- ''소설의 기술'' (The Craft of the Novel영어, 1975)
- ''양원적 비평가'' (The Bicameral Critic영어, 1985)
- ''내 인생의 책들'' (The Books in My Life영어, 1998)
그는 또한 Books & Bookmen, 문학 리뷰, 런던 매거진, 존 오'런던, 스펙테이터, 에일스포드 리뷰 등 여러 저널에 기고한 수백 편의 서평에도 실존적 비평을 적용했다. 이 서평들 중 일부는 2009년 ''실존적 비평: 선별된 서평'' (Existential Criticism: Selected Book Reviews영어)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묶여 출판되었다.
윌슨은 실존적 비평의 관점에서 특정 작가들에 대한 독자적인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그는 셰익스피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자주 표명했으며, 반대로 영국의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는 셸리나 바그너에 버금가는 낭만주의자이자, 괴테 이후 유럽 작가들 중 가장 높은 수준의 객관성을 갖춘 인물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그는 관련 논문을 출판하기도 했으며, 뒤렌마트, 사르트르, 도스토옙스키 등을 자신의 비평에서 즐겨 다루었다.
3. 6. 오컬트 연구
1971년 콜린 윌슨은 출판사의 의뢰로 『오컬트』(The Occult: A Historyeng)를 발표하며 당시 오컬트 붐을 일으킨 인물 중 하나가 되었다. 그는 이 시기 종교와 심리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오컬티즘 자체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인 시각을 유지했다. 윌슨은 라스푸틴이나 구르지예프 같은 인물들을 단순한 오컬티스트가 아닌, 그 이상의 사상가로 평가했다.윌슨은 윌리엄 제임스가 초상 현상에 대해 "믿고 싶어하는 사람에게는 믿을 만한 근거를 제공하지만, 회의적인 사람까지 설득할 증거는 없다. 초상 현상 연구는 본질적으로 이러한 한계를 지닌다."라고 고찰한 것에 주목하여, 이를 "윌리엄 제임스의 법칙"이라고 명명했다.
3. 7. 범죄 연구
콜린 윌슨은 범죄, 특히 살인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으며, 여러 관련 저작을 남겼다.대표적인 저서로는 1961년 파트리샤 피트만과 함께 쓴 『살인 백과』(Encycloedia of Murder영어)가 있다. 이 책에서는 잭 더 리퍼나 페터 퀴르텐과 같은 역사적으로 유명한 살인 사건들을 다루었다. 그의 살인에 대한 철학적 접근은 일본의 심리학자나 평론가인 오다 스스무나 후쿠시마 아키라 등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1972년 작 『암살단의 명령: 살인의 심리학』(이후 『현대 살인의 해부』로 개제)에서는 니체나 도스토예프스키의 『악령』 등을 인용하며 '의지의 마비'라는 개념을 통해, 겉보기에 동기가 없어 보이는 살인 사건의 이면에 숨겨진 동기를 파헤치려는 박력 있는 논고를 전개했다.[39]
그는 파리에서 여학생을 살해한 혐의로 알려진 사카와 잇세이와 직접 대담을 나누기도 했다.
이 외에도 1969년에는 『살인 사례집』(A Casebook of Murder영어)을 출간하는 등 꾸준히 범죄와 살인 문제를 깊이 파고들었다.
4. 소설
윌슨은 소설을 인간의 잠재력과 의식에 대한 자신의 철학적 아이디어를 탐구하는 중요한 방식으로 여겼다.[17] 그는 주로 탐정 소설이나 과학 소설 장르를 활용했으며, 여러 크툴루 신화 관련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종종 비소설 저작과 소설 집필을 병행하며 자신의 사상을 구체적인 이야기로 풀어냈다.
그의 소설 중 상당수는 『어둠 속의 의식』(1960) 이후 발표된 작품들처럼 살인, 특히 연쇄 살인의 심리에 깊은 관심을 보인다. 동시에 철학적 색채가 강한 과학 소설도 꾸준히 발표했는데, 대표작으로는 『마인드 파라사이트』(1967), 『철학자의 돌』(1969), 『우주 뱀파이어』(1976) 등이 있다. 또한 로알드 달의 제안으로 4권으로 이루어진 『스파이더 월드』 시리즈(1987-2003)를 집필했으며, 이 작품이 높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18]
윌슨은 H. P. 러브크래프트에 대해 초기에는 비판적이었으나,[19] 이후 그의 영향을 인정하며[20] 『마인드 파라사이트』, 『로이거의 귀환』(1969/1974), 『고대인의 무덤』(2002) 등 크툴루 신화에 기반한 작품들을 발표했다. 이 외에도 제라드 소옴 3부작(『암흑의 축제』, 『제라드 소옴 씨의 성의 일기』, 『미궁의 신』)과 연쇄 살인을 다룬 『유리의 감옥』(1966) 등 다수의 소설을 남겼다.
4. 1. 철학적 사유의 투영
골란츠 출판사는 24세였던 윌슨의 저서 『아웃사이더』를 1956년에 출판했다. 이 책은 알베르 카뮈, 장-폴 사르트르, 어니스트 헤밍웨이, 헤르만 헤세,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윌리엄 제임스, T. E. 로렌스, 바슬라프 니진스키, 빈센트 반 고흐 등 다양한 문학 및 문화계 인물들의 작품을 통해 사회적 "아웃사이더"의 역할을 탐구하고, 그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소외 문제를 다루었다. 『아웃사이더』는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영국 사회에 실존주의를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9] 이 책은 이후 절판된 적 없이 3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윌슨은 소설이라는 매체를 통해 자신의 철학적 사유, 특히 인간의 잠재력과 의식에 대한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탐구했다. 그는 주로 탐정 소설이나 과학 소설 장르를 활용했으며, 여러 크툴루 신화 관련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종종 비소설 저작과 소설 집필을 병행했는데, 이는 자신의 철학적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이야기 속에서 실현해 보려는 시도였다. 그는 소설 쓰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나에게 [소설]은 철학하는 방식이다.... 철학은 그것이 파악하려는 현실의 그림자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소설은 훨씬 더 만족스럽다. 나는 거의 어떤 철학자도 소설가도 겸하지 않으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자격이 없다고 말하고 싶을 정도이다.... 나는 확실히 앨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나 비트겐슈타인의 어떤 작품이라도 그들이 썼어야 할 소설과 바꾸겠다.[17]
그의 여러 비소설 작품과 마찬가지로, 1960년작 『어둠 속의 의식』 이후 발표된 다수의 소설들은 살인, 특히 연쇄 살인의 심리에 깊은 관심을 보인다. 동시에 철학적 색채가 강한 과학 소설도 꾸준히 발표했는데, 대표작으로는 『마인드 파라사이트』(1967), 『철학자의 돌』(1969), 『우주 뱀파이어』(1976) 등이 있다. 또한 로알드 달의 제안으로 어린이를 위한 소설을 구상하여 4권으로 이루어진 『스파이더 월드』 시리즈(『스파이더 월드: 타워』(1987), 『스파이더 월드: 델타』(1987), 『스파이더 월드: 마법사』(1992), 『스파이더 월드: 섀도우랜드』(2003))를 집필하기도 했다. 한 평론가는 이 소설들을 "최고 수준의 예술적 성취... 20세기의 상상력의 중심 산물 중 하나로 간주될 운명"이라고 평가했으며,[18] 윌슨 자신도 '『스파이더 월드』를 쓴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다'고 말한 바 있다.
윌슨은 H. P. 러브크래프트에 대해 복합적인 시각을 보였다. 『꿈을 꾸는 힘』(1961)에서는 러브크래프트를 "병든", "현실을 거부한", "나쁜 작가"라고 비판하면서도, 그의 단편 「시간 밖의 그림자」는 훌륭한 과학 소설이라고 인정했다. 이러한 비판에 어거스트 덜레스는 윌슨에게 직접 소설 형식으로 자신의 철학을 설명해 보라고 권유했고, 이는 『마인드 파라사이트』 집필의 계기가 되었다.[19] 『마인드 파라사이트』 서문에서 윌슨은 러브크래프트가 "헤밍웨이, 윌리엄 포크너, 심지어 카프카보다 훨씬 더 20세기의 아웃사이더-예술가의 상징"이라며 평가를 일부 수정했다. 그는 만약 러브크래프트에게 경제적 여유가 있었다면, "그의 작품의 많은 부분을 훼손하는 펄프 잡지 클리셰도 없었을 것이고... 그의 작품은 어떤 면에서는 아나톨 프랑스나 동시대 아르헨티나 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작품에 더 가까웠을 것"이라고 추측했다.[20] 윌슨은 이후 『암살자의 조직』(1972), 『철학자의 돌』(1969) 서문 등에서도 러브크래프트를 언급했으며, 크툴루 신화에 기반한 단편 소설 『로이거의 귀환』(1969/1974)과 장편 소설 『고대인의 무덤』(2002)을 발표하기도 했다. 『로이거의 귀환』에서는 보이치 사본이 중세 아랍어로 된 『네크로노미콘』의 번역본이라는 설정을 사용했다.
『아웃사이더』에서 시작된 윌슨의 사상적 탐구는 장-폴 사르트르, 앙리 바르뷔스, 알베르 카뮈,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프리드리히 니체, 조지 폭스, 게오르기 구르지예프 등 다양한 사상가와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실존적 위기를 분석하고 극복 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는 종교, 역사, 사회학, 문학, 성(性), 철학 등 폭넓은 분야의 지식을 동원하여 이러한 문제에 접근했다. 특히 에이브러햄 매슬로의 심리학에 영향을 받아 건강한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고 독자적인 낙관주의 철학을 발전시켰으며, '신 실존주의'라는 용어로 자신의 철학을 설명했다. 이는 앨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나 프리드리히 니체의 영향 아래 있으면서도 보다 대중적인 언어로 표현되었다. 그는 사르트르 사상에 내재된 비관주의를 강하게 비판하며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할 필요성을 주장했다.
살인이라는 주제 역시 윌슨의 주요 관심사였다. 『살인 백과』에서는 잭 더 리퍼나 페터 퀴르텐 같은 고전적인 살인 사건들을 다루었으며, 『현대 살인의 해부』에서는 니체와 도스토옙스키의 『악령』 등을 참조하며 의지의 마비와 무동기 살인 이면에 숨겨진 동기를 탐구하는 논의를 펼쳤다.[39] 그의 살인에 대한 철학적 접근은 오다 스스무나 후쿠시마 아키라 등 일본의 심리학자 및 평론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파리 유학생 살인 사건의 범인인 사카와 잇세이와 대담을 갖기도 했다.
윌슨은 인간 상상력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며 과학 소설이나 판타지 장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장 자크 루소의 『신 엘로이즈』나 새뮤얼 리처드슨의 『파멜라』 같은 작품들이 유럽 문학에서 상상력의 비약적인 확대를 가져왔다고 보았으며, H. P. 러브크래프트나 데이비드 린제이 같은 작가들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윌리엄 셰익스피어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여러 평론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대신 영국의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를 셸리나 리하르트 바그너에 버금가는 낭만주의자이자, 괴테 이후 어떤 유럽 작가보다도 높은 수준의 객관성을 지녔다고 극찬하며 관련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윌슨은 '실존 비평'이라는 관점에서 뒈렌마트, 장 폴 사르트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등을 분석했으며, 그의 문예 비평을 대표하는 저작 중 하나인 『꿈꾸는 힘』에서는 SF, 세계 문학, 그리고 자신의 철학을 열정적으로 논했다.[41]
4. 2. 주요 작품
윌슨은 소설을 통해 인간의 잠재력과 의식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탐구했으며, 주로 탐정 소설이나 과학 소설 형식을 사용했고 여러 크툴루 신화 작품도 포함했다. 그는 종종 비소설과 소설 작업을 병행했는데, 이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방식이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나에게 [소설]은 철학하는 방식이다.... 철학은 그것이 파악하려는 현실의 그림자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소설은 훨씬 더 만족스럽다. 나는 거의 어떤 철학자도 소설가도 겸하지 않으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자격이 없다고 말하고 싶을 정도이다.... 나는 확실히 앨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나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어떤 작품이라도 그들이 썼어야 할 소설과 바꾸겠다.[17]
윌슨의 소설 중 『어둠 속의 의식』(1960) 이후의 많은 작품들은 그의 비소설 일부처럼 살인, 특히 연쇄 살인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그는 철학적 경향이 강한 과학 소설도 집필했는데, 대표작으로는 『마인드 파라사이트』(1967), 『철학자의 돌』(1969), 『우주 뱀파이어』(1976) 등이 있다. 또한 4권으로 구성된 『스파이더 월드』 시리즈(『스파이더 월드: 타워』(1987), 『스파이더 월드: 델타』(1987), 『스파이더 월드: 마법사』(1992), 『스파이더 월드: 섀도우랜드』(2003))도 집필했다. 한 평론가는 이 소설들을 "최고 수준의 예술적 성취... 20세기의 상상력의 중심 산물 중 하나로 간주될 운명"이라고 평가했다.[18] 윌슨은 로알드 달이 '어린이를 위한 소설을 써보라'고 제안하자 『스파이더 월드』 시리즈를 쓰기 시작했으며, '자신이 『스파이더 월드』를 쓴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란다'고 말하기도 했다.
『꿈을 꾸는 힘』(1961)에서 윌슨은 H. P. 러브크래프트를 비판했지만, 어거스트 덜레스의 권유로 크툴루 신화의 영향을 받은 소설 『마인드 파라사이트』를 집필하게 되었다.[19] 이후 『마인드 파라사이트』 서문 등에서 러브크래프트에 대한 평가를 일부 수정하며 그의 영향력을 인정했다.[20] 윌슨의 작품 중 『로이거의 귀환』(1969/1974)과 『고대인의 무덤』(2002) 등은 크툴루 신화에 직접적인 뿌리를 두고 있다. 제라드 소옴 3부작(『암흑의 축제』, 『제라드 소옴 씨의 성의 일기』, 『미궁의 신』)과 연쇄 살인을 다룬 『유리의 감옥』 등도 그의 주요 소설 작품이다.
윌슨은 『꿈꾸는 힘』에서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을 높이 평가했으며, SF와 판타지가 가진 상상력의 가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는 장 자크 루소나 새뮤얼 리처드슨의 작품이 유럽 상상력 확대에 기여했다고 보았고, H.P. 러브크래프트나 데이비드 린제이 등을 재평가하기도 했다.
반면, 윌슨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 그는 영국의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를 셸리나 리하르트 바그너에 버금가는 낭만주의자이자 괴테 이후 유럽 작가 중 가장 높은 객관성을 지녔다고 평가하며 관련 논문을 출판하기도 했다.
윌슨은 실존 비평을 통해 뒬렌마트, 장 폴 사르트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등을 자주 논했다. 그의 문예 비평 대표작 중 하나인 『꿈꾸는 힘』은 SF, 세계 문학, 그리고 윌슨 자신의 철학을 열정적으로 논한 저작이다.[41]
다음은 콜린 윌슨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소설'''
원제 | 출판 연도 | 한국어 제목 | 비고 |
---|---|---|---|
Ritual in the Dark영어 | 1959 | 『암흑의 축제』 | 제라드 소옴 3부작 1 |
Adrift in Soho영어 | 1961 | 『소호 거리 표류』 | 미번역 |
Man Without a Shadow영어 | 1963 | 『제라드 소르메 씨의 성의 일기』 / 『형이상학자의 성의 일기』 | 미국판 제목: The Sex Diary of Gerard Sorme영어. 제라드 소옴 3부작 2 |
The Glass Cage영어 | 1966 | 『유리의 감옥』 | |
The Mind Parasites영어 | 1967 | 『마인드 파라사이트』 | |
The Philosopher's Stone영어 | 1969 | 『현자의 돌』 | |
The God of Labyrinth영어 | 1969 | 『미궁의 신』 | 제라드 소옴 3부작 3 |
The Killer영어 | 1970 | 『살인자』 | 미국판 제목: Lingard영어 |
The Black Room영어 | 1974 | 『검은 방』 | |
The Schoolgirl Murder Case영어 | 1975 | 『스쿨걸 살인 사건』 | |
The Space Vampires영어 | 1976 | 『우주 뱀파이어』 | |
The Return of the Lloigor영어 | 1977 | 『로이거의 부활』 | 단편 |
Spider World: The Tower영어 | 1987 | 『스파이더 월드 현자의 탑』 | 스파이더 월드 시리즈 1 |
Spider World: The Delta영어 | 1987 | 『스파이더 월드 신비의 델타』 | 스파이더 월드 시리즈 2 |
Spider World: The Magician영어 | 1992 | 스파이더 월드 시리즈 3 (미번역) | |
Spider World: Shadowlands영어 | 2003 | 스파이더 월드 시리즈 4 (미번역) | |
The Tomb of the Old Ones영어 | 2002 | 『고대인의 무덤』 | 미번역 |
'''비소설'''
원제 | 출판 연도 | 한국어 제목 | 비고 |
---|---|---|---|
The Strange Genius of David Lindsay영어 | 1970 | 『데이비드 린제이의 기이한 천재성』 | E. H. 비지악, J. B. 픽 공저 (미번역) |
The Occult: A History영어 | 1971 | 『오컬트』 | |
Order of Assassins: The Psychology of Murder영어 | 1972 | 『순수한 살인자의 세계』 / 『현대 살인의 해부—암살자의 세계』 | |
New Pathways in Psychology: Maslow and the Post-Freudian Revolution영어 | 1972 | 『지고 체험—자기 실현을 위한 심리학』 | |
Strange Powers영어 | 1973 | 『세 명의 초능력자 이야기』 / 『초능력자』 | |
"Tree" by Tolkien영어 | 1973 | "톨킨의 "나무"" | (미번역) |
Hermann Hesse영어 | 1974 | 『헤르만 헤세』 | (미번역) |
Wilhelm Reich영어 | 1974 | 『빌헬름 라이히』 | (미번역) |
Jorge Luis Borges영어 | 1974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미번역) |
Hesse-Reich-Borges: Three Essays영어 | 1974 | 『헤세-라이히-보르헤스: 세 개의 에세이』 | (미번역) |
Ken Russell: A Director in Search of a Hero영어 | 1974 | 『켄 러셀: 영웅을 찾는 감독』 | (미번역) |
A Book of Booze영어 | 1974 | 『나의 술에 대한 찬가 문학・음악・그리고 와인의 여행』 | |
The Unexplained영어 | 1975 | 『설명할 수 없는 것』 | (미번역) |
Mysterious Powers영어 | 1975 | 『경이로운 초능력자들』 | 미국 제목: They Had Strange Powers영어 |
The Craft of the Novel영어 | 1975 | 『소설을 위하여—상상력의 비밀』 | |
Enigmas and Mysteries영어 | 1975 | 『신비와 괴기』 | |
The Geller Phenomenon영어 | 1975 | 『겔러 현상』 | (미번역) |
Colin Wilson's Men of Mystery영어 | 1977 | 『콜린 윌슨의 미스터리한 사람들』 | 미국 제목: Dark Dimensions영어. 다수 공저 (미번역) |
Mysteries영어 | 1978 | 『미스터리즈 오컬트・초자연・PSI의 탐구』 | |
Mysteries of the Mind영어 | 1978 | 『마음의 미스터리』 | 스튜어트 홀로이드 공저 (미번역) |
The Haunted Man: The Strange Genius of David Lindsay영어 | 1979 | 『유령이 들린 남자: 데이비드 린제이의 기이한 천재성』 | (미번역) |
Science Fiction as Existentialism영어 | 1980 | 『SF와 신비주의』 | 일부 번역 |
Frankenstein's Castle: the Right Brain-Door to Wisdom영어 | 1980 | 『프랑켄슈타인의 성――의식의 메커니즘』 | |
Starseekers영어 | 1980 | 『스타시커즈』 | |
The Book of Time영어 | 1980 | 『시간의 발견』 | 존 그랜트와 공동 편집 |
The War Against Sleep: The Philosophy of Gurdjieff영어 | 1980 | 『각성에의 싸움』 | |
The Directory of Possibilities영어 | 1981 | 『「미지」에의 사전』 | 존 그랜트와 공동 편집 |
Poltergeist!: A Study in Destructive Haunting영어 | 1981 | 『폴터가이스트』 | |
Anti-Sartre, with an Essay on Camus영어 | 1981 | (미번역) | |
The Quest for Wilhelm Reich영어 | 1981 | 『성과 문화의 혁명가 라이히의 비극』 | |
The Goblin Universe영어 | 1982 | 테드 홀리데이 공저 (미번역) | |
Access to Inner Worlds: The Story of Brad Absetz영어 | 1983 | 『우뇌의 모험 내 우주로의 길』 | |
Encyclopedia of Modern Murder, 1962–83영어 | 1983 | 『현대 살인 백과』 | 도널드 시먼 공저 |
The Psychic Detectives: The Story of Psychometry and Paranormal Crime Detection영어 | 1984 | 『사이킥――인체에 숨겨진 초상 능력의 탐구와 초감각 세계』 | |
A Criminal History of Mankind영어 | 1984 | 『세계 잔혹 이야기』 | 2005년 개정판 |
Lord of the Underworld: Jung and the Twentieth Century영어 | 1984 | 『융――지하의 대왕』 | |
The Bicameral Critic영어 | 1985 | 『콜린 윌슨 평론집――신 낙관주의를 요구하며』 | |
The Essential Colin Wilson영어 | 1985 | (미번역) | |
Rudolf Steiner: The Man and His Vision영어 | 1985 | 『루돌프 슈타이너 그 인물과 비전』 | |
Afterlife: An Investigation of the Evidence of Life After Death영어 | 1985 | 『콜린 윌슨의 「내세 체험」』 | |
Scandal!: An Encyclopedia of Scandal영어 | 1986 | 『세계 추문 극장』 | 도널드 시먼과 공동 편집 |
The Book of Great Mysteries영어 | 1986 | 크리스토퍼 에반스와 공동 편집 (미번역) | |
An Essay on the New Existentialism영어 | 1988 | (미번역) | |
The Laurel and Hardy Theory of Consciousness영어 | 1986 | (미번역) | |
Marx Refuted – The Verdict of History영어 | 1987 | 로널드 던컨과 공동 편집 및 기고 (미번역) | |
Aleister Crowley: The Nature of the Beast영어 | 1987 | 『현대의 마술사 크로울리 전』 | |
The Musician as Outsider영어 | 1987 | (미번역) | |
The Encyclopedia of Unsolved Mysteries영어 | 1987 | 『세계 불가사의 백과』 | 아들 데이먼 윌슨 공저 |
Jack the Ripper: Summing Up and Verdict영어 | 1987 | 『잭 더 리퍼――세기말 런던의 살인마는 누구였는가?』 | 로빈 오델 공저 |
Autobiographical Reflections영어 | 1988 | (미번역) | |
The Misfits: A Study of Sexual Outsiders영어 | 1988 | 『성의 아웃사이더』 | |
Beyond the Occult영어 | 1988 | (미번역) | |
The Mammoth Book of True Crime영어 | 1988 | 『콜린 윌슨의 범죄 컬렉션』 | |
The Decline and Fall of Leftism영어 | 1989 | (미번역) | |
Written in Blood: A History of Forensic Detection영어 | 1989 | 『세계 범죄 백과』 | |
Existentially Speaking: Essays on the Philosophy of Literature영어 | 1989 | 『지혜의 끝으로의 여행――사상과 문학의 현재』 | |
Serial Killers: A Study in the Psychology of Violence영어 | 1990 | 『연속 살인의 심리』 | 도널드 시먼 공저 |
The Mammoth Book of the Supernatural영어 | 1991 | 『세계 초능력 백과』 | |
Colin Wilson's World Famous Murders영어 | 1991 | 『콜린 윌슨의 살인 라이브러리』 (전 4권) | |
Mozart's Journey to Prague영어 | 1992 | 『모차르트의 프라하 여행』 | (미번역) |
The Strange Life of P.D. Ouspensky영어 | 1993 | 『20세기의 신비가 우스펜스키』 | |
The Mammoth Book of True Crime 2영어 | 1993 | 『세계 범죄사』 | |
Unsolved Mysteries Past and Present영어 | 1993 | 『세계 불가사의 백과 총집편』 | 데이먼 윌슨 공저 |
Outline of the Female Outsider영어 | 1994 | 『여성 아웃사이더의 개요』 | (미번역) |
A Plague of Murder영어 | 1995 | 『살인의 역병』 | (미번역) |
『 이상한가!? — 『파리 인육 사건』 사가와 잇세이의 정신 감정』일본어 | 1995 | 아마노 테츠오, 사가와 잇세이 공저 (일본어 원저) | |
『 계속, 인간에 대해서만 생각했다.』일본어 | 1996 | 오가와 타카시 번역 (일본어 원저 추정) | |
From Atlantis to the Sphinx영어 | 1996 | 『아틀란티스의 유산』 | |
An Extraordinary Man in the Age of Pigmies: Colin Wilson on Henry Miller영어 | 1996 | 『난쟁이 시대의 특별한 남자: 헨리 밀러에 대한 콜린 윌슨』 | (미번역) |
Atlas of Holy Places & Sacred Sites영어 | 1996 | 『세계 유적 지도』 | |
『 향연 — 카니발』일본어 | 1996 | 사가와 잇세이 공저 (일본어 원저) | |
The Unexplained Mysteries of the Universe영어 | 1997 | 『우주의 설명되지 않는 미스터리』 | (미번역) |
Below the Iceberg: Anti-Sartre and Other Essays영어 | 1998 | 『빙산 아래: 반-사르트르와 기타 에세이』 | 재발행 (미번역) |
The Corpse Garden: The Crimes of Fred and Rose West영어 | 1998 | 『"시체의 정원" 혹은 "공포의 관" 살인 사건』 | |
The Books in My Life영어 | 1998 | 『나의 청춘 나의 독서』 / 『초독서 체험』 | |
Alien Dawn영어 | 1999 | 『외계인의 새벽』 |
5. 평가 및 영향
콜린 윌슨에 대한 평가는 그의 생애 동안과 사후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난다. 초기작 『아웃사이더』(1956)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이후 오컬트, 초자연 현상 등 비주류 주제에 대한 탐구로 인해 일부 비평가들로부터 비과학적이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28][29][30] 반면, 그의 작업을 20세기 사상에 대한 중요한 도전으로 보고 미래의 재평가를 예측하는 긍정적인 시각도 존재한다.[26][27] 그는 인간 의식의 잠재력 확장을 지속적으로 탐구했으며, 이는 '신실존주의'라는 독자적인 사상 체계로 이어졌다. 사후에는 그의 작업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높아지며 전기 출간, 학술 컨퍼런스 개최, 다큐멘터리 제작 등 재평가 움직임이 일고 있다.[31][33] 그의 방대한 기록물은 노팅엄 대학교에 보관되어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34]
5. 1. 비판과 논란
과학 저술가 마틴 가드너는 윌슨을 초자연 현상에 쉽게 속아 넘어가는 지적인 작가로 평가하며, "콜린은 모든 것을 샀다. 비할 데 없는 자기중심성과 과학적 무지로 그는 초자연 현상에 대해 읽은 거의 모든 것을, 아무리 터무니없는 내용이라도 믿었다."라고 비판했다. 가드너는 윌슨의 책 『겔러 현상』을 "우리 겔러에 대해 쓰인 가장 잘 속는 책"이라고 혹평했고, 윌슨이 "광신적 괴짜"가 되어 "미치광이들"을 위한 글을 쓴다고 결론지었다.[28] 심리학자 도로시 로우 역시 윌슨의 책 『미스터리의 남자』에 대해 "초자연 현상 연구를 진전시키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29] 회의주의자인 벤자민 래드포드는 윌슨이 "미스터리 장사를 향한 편견"을 가지고 있으며, 과학적이고 회의적인 주장을 무시한다고 지적했다. 래드포드는 윌슨의 『미해결의 거대한 백과사전』이 "오류와 모호한 누락으로 가득 차 있으며, 정확성에 대한 기괴한 무시를 보여준다"고 비판했다.[30]반면, 윌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각도 있다. 하워드 F. 도서는 윌슨을 "20세기의 비평가들에게 가장 중요한 도전 과제 중 하나"로 평가하며 미래에 그의 작품이 재평가될 것이라고 예측했다.[26] 니콜라스 트레델 역시 윌슨이 "소설의 미래, 어쩌면 인간의 미래를 예견한 소설가 중 한 명"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보았다.[27]
2016년 출간된 게리 라흐만의 전기 『로봇 너머: 콜린 윌슨의 삶과 작품』은 필립 풀먼으로부터 "윌슨 자신의 스타일처럼 항상 매우 읽기 쉽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31] 워싱턴 포스트의 마이클 디르다 역시 윌슨을 "인간 의식의 본질을 탐구한 논쟁적인 작가"로 소개하며, 서양의 밀교 전통 연구자인 라흐만이 "탁월한 우아함, 힘, 명확성"으로 전기를 썼다고 평가했다.[31] 그러나 브렛 테일러는 이 전기에 대해 "재미있게 읽었지만, 더 비판적인 저자였다면... 가치를 주장하는 책을 썼을 것"이라며, 라흐만이 "밀교 문제에 대해 지나치게 믿는 경향을 보이며, 때때로 수상한 윌슨의 철학에 대한 칭찬을 드러낸다"고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했다.[32]
윌슨은 파리에서 여학생을 살해한 사카와 잇세이와 대담을 나누기도 했다.
5. 2. 긍정적 평가와 재조명
콜린 윌슨 사후 그의 작업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워드 F. 도서(Howard F. Dossor)는 윌슨을 "20세기의 비평가들에게 가장 중요한 도전 과제 중 하나"로 평가하며, 미래에는 그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윌슨의 작품을 탐구하는 것이 우리 시대의 핵심 질문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26] 비평가 니콜라스 트레델(Nicolas Tredell) 역시 "21세기는 콜린 윌슨을 소설의 미래, 어쩌면 인간의 미래를 예견한 소설가 중 한 명으로 되돌아볼 수 있을 것"이라며 그의 선구적인 면모를 강조했다.[27]2016년에는 게리 라흐만(Gary Lachman)이 윌슨의 첫 장편 전기인 『로봇 너머: 콜린 윌슨의 삶과 작품(Beyond the Robot: The Life and Work of Colin Wilson)』을 출판했다. 이 책은 작가 필립 풀먼(Philip Pullman)으로부터 "윌슨은 유행하는 의견이 주장하는 것보다 항상 훨씬 더 훌륭하고 흥미로운 인물이었으며, 라흐만은 그의 작품 전체에 공감과 이해를 가지고 응답할 수 있는 전기를 찾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워싱턴 포스트의 마이클 디르다(Michael Dirda)는 윌슨을 "수십 권의 책에서 인간 의식의 본질을 탐구한 논쟁적인 작가"로 칭하며, 서양의 밀교 전통 연구자인 라흐만이 "탁월한 우아함, 힘, 명확성"으로 글을 썼다고 호평했다.[31]
윌슨에 대한 학술적 관심도 이어져, 2016년 7월 1일 노팅엄 대학교에서 제1회 국제 콜린 윌슨 컨퍼런스가 열렸고, 2018년 7월 6일 같은 장소에서 제2회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다. 2023년 9월 1일부터 3일까지 노팅엄에서 열린 제3회 컨퍼런스에서는 제이슨 피기스(Jason Figgis)가 감독한 8부작 다큐멘터리 영화 시리즈 『콜린 윌슨: 그의 삶과 작품』이 처음 공개되었다. 이 다큐멘터리는 우리 겔러(Uri Geller), 게리 라흐만, 타히르 샤(Tahir Shah), 데이먼 윌슨(Damon Wilson), 제이슨 피기스, 존 웨스트(John West), 마사 라퍼티(Martha Rafferty), 필립 풀먼 등과의 인터뷰를 통해 윌슨의 삶과 작품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33]
윌슨의 방대한 기록물은 영국 노팅엄 대학교의 필사본 및 특별 컬렉션 부서에 보관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그의 출판된 모든 작품의 원고, 서신, 일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34]
6. 작품 목록
wikitext
원제 | 출판 연도 | 비고 |
---|---|---|
아웃사이더 (The Outsider영어) | 1956 | |
Religion and the Rebel영어 | 1957 | |
The Age of Defeat영어 | 1959 | |
Encycloedia of Murder영어 | 1961 | 파트리샤 피트만 공저 |
The Strength to Dream: Literature and the Imagination영어 | 1962 | |
Origins of the Sexual Impulse영어 | 1963 | |
Rasputin and the Fall of the Romanovs영어 | 1964 | |
Brandy of the Damned영어 | 1964 | |
Beyond the Outsider영어 | 1965 | |
Eagle and Earwig영어 | 1965 | |
Sex and the Intelligent Teenager영어 | 1966 | |
Introduction to the New Existentialism영어 | 1966 | |
Voyage to a Beginning영어 | 1969 | 자서전 |
A Casebook of Murder영어 | 1969 | |
Bernard Shaw: A Reassessment영어 | 1969 | |
Poetry and Mysticism영어 | 1969 | 1970년 확장판 출간 |
'Lamour: The Ways of Love영어'' | 1970 | |
The Strange Genius of David Lindsay영어 | 1970 | E. H. 비지악, J. B. 픽 공저 |
오컬트: 역사 (The Occult: A History영어) | 1971 | |
Order of Assassins: The Psychology of Murder영어 | 1972 | |
New Pathways in Psychology: Maslow and the Post-Freudian Revolution영어 | 1972 | |
Strange Powers영어 | 1973 | |
Tree by Tolkien영어 | 1973 | |
Hermann Hesse영어 | 1974 | |
Wilhelm Reich영어 | 1974 | |
Jorge Luis Borges영어 | 1974 | |
Hesse-Reich-Borges: Three Essays영어 | 1974 | |
Ken Russell: A Director in Search of a Hero영어 | 1974 | |
The Book of Booze영어 | 1974 | |
The Unexplained영어 | 1975 | |
Mysterious Powers영어 (미국 제목: They Had Strange Powers영어) | 1975 | |
The Craft of the Novel영어 | 1975 | |
Enigmas and Mysteries영어 | 1975 | |
The Geller Phenomenon영어 | 1975 | |
'Colin Wilsons Men of Mystery영어 (미국 제목: Dark Dimensions영어'') | 1977 | 다수 작가 공저 |
Mysteries영어 | 1978 | |
Mysteries of the Mind영어 | 1978 | 스튜어트 홀로이드 공저 |
The Haunted Man: The Strange Genius of David Lindsay영어 | 1979 | |
Science Fiction as Existentialism영어 | 1980 | |
'Frankensteins Castle: the Right Brain-Door to Wisdom영어'' | 1980 | |
Starseekers영어 | 1980 | |
The Book of Time영어 | 1980 | 존 그랜트와 공동 편집 |
The War Against Sleep: The Philosophy of Gurdjieff영어 | 1980 | |
The Directory of Possibilities영어 | 1981 | 존 그랜트와 공동 편집 |
Poltergeist!: A Study in Destructive Haunting영어 | 1981 | |
Anti-Sartre, with an Essay on Camus영어 | 1981 | |
The Quest for Wilhelm Reich영어 | 1981 | |
The Goblin Universe영어 | 1982 | 테드 홀리데이 공저 |
Access to Inner Worlds: The Story of Brad Absetz영어 | 1983 | |
Encyclopedia of Modern Murder, 1962–83영어 | 1983 | 도널드 시먼 공저 |
The Psychic Detectives: The Story of Psychometry and Paranormal Crime Detection영어 | 1984 | |
A Criminal History of Mankind영어 | 1984 | 2005년 개정판 출간 |
Lord of the Underworld: Jung and the Twentieth Century영어 | 1984 | |
The Bicameral Critic영어 | 1985 | |
The Essential Colin Wilson영어 | 1985 | |
Rudolf Steiner: The Man and His Vision영어 | 1985 | |
Afterlife: An Investigation of the Evidence of Life After Death영어 | 1985 | |
Scandal!: An Encyclopedia of Scandal영어 | 1986 | 도널드 시먼과 공동 편집 |
The Book of Great Mysteries영어 | 1986 | 크리스토퍼 에반스와 공동 편집 |
'An Essay on the NewExistentialism영어 | 1988 | |
The Laurel and Hardy Theory of Consciousness영어 | 1986 | |
Marx Refuted – The Verdict of History영어 | 1987 | 로널드 던컨과 공동 편집 및 기고 |
Aleister Crowley: The Nature of the Beast영어 | 1987 | |
'{{lang|en|The Musician as Outsider} | 1987 | |
The Encyclopedia of Unsolved Mysteries영어 | 1987 | 아들 데이먼 윌슨 공저 |
Jack the Ripper: Summing Up and Verdict영어 | 1987 | 로빈 오델 공저 |
Autobiographical Reflections영어 | 1988 | |
{{lang | 1988 | |
Beyond the Occult영어 | 1988 | |
The Mammoth Book of True Crime영어 | 1988 | |
The Decline and Fall of Leftism영어 | 1989 | |
Written in Blood: A History of Forensic Detection영어 | 1989 | |
Existentially Speaking: Essays on the Philosophy of Literature영어 | 1989 | |
Serial Killers: A Study in the Psychology of Violence영어 | 1990 | 도널드 시먼 공저 |
The Mammoth Book of the Supernatural영어 | 1991 | |
'Colin Wilsons World Famous Murders영어'' | 1991 | |
'Mozarts Journey to Prague영어'' | 1992 | |
The Strange Life of P.D. Ouspensky영어 | 1993 | |
The Mammoth Book of True Crime 2영어 | 1993 | |
Unsolved Mysteries Past and Present영어 | 1993 | 데이먼 윌슨 공저 |
Outline of the Female Outsider영어 | 1994 | |
A Plague of Murder영어 | 1995 | |
{{lang | 1996 | |
An Extraordinary Man in the Age of Pigmies: Colin Wilson on Henry Miller영어 | 1996 | |
The Atlas of Sacred Places영어 | 1996 | |
The Unexplained Mysteries of the Universe영어 | 1997 | |
Below the Iceberg: Anti-Sartre and Other Essays영어 | 1998 | 재발행 (포스트모더니즘 에세이 포함) |
The Corpse Garden영어 | 1998 | |
The Books in My Life영어 | 1998 | |
Alien Dawn영어 | 1999 |
참조
[1]
뉴스
Colin Wilson, author of The Outsider, dies aged 82
https://www.bbc.co.u[...]
BBC News
2013-12-13
[2]
서적
Beyond the Robot: The Life and Work of Colin Wilson
Penguin
[3]
서적
Introduction to the New Existentialism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Obituary of Colin Wilson
http://philosophynow[...]
Philosophy Now
2014-03
[5]
서적
Dreaming to Some Purpose
Arrow
[6]
웹사이트
Colin Wilson: Ritual in the Dark
http://www.londonfic[...]
2013-02-24
[7]
웹사이트
Laura Del-Rivo: The Furnished Room
http://www.londonfic[...]
2014-06-02
[8]
문서
Desert Island Discs Archive: 1976–1980
[9]
서적
The Angry Decade; A Survey of the Cultural Revolt of the Nineteen Fifties
Peter Owen Ltd
[10]
서적
Declaration
MacGibbon and Kee
[11]
서적
Protest: The Beat Generation and the Angry Young Men
Citadel Press
[12]
서적
The Angry Decade; A Survey of the Cultural Revolt of the Nineteen Fifties
Peter Owen Ltd
[13]
서적
Contraries: A Personal Progression
The Bodley Head Ltd
[14]
간행물
Oswald Mosley
[15]
서적
The Angry Years
Robson Books
[16]
간행물
Colin Wilson on Music
The Musical Times
1967-04
[17]
서적
Voyage to a Beginning
Cecil Woolf
[18]
서적
Colin Wilson: the man and his mind
Element
[19]
서적
The Mind Parasites (original preface)
Monkfish
[20]
서적
The Mind Parasites
https://www.amazon.c[...]
Oneiric Press
[21]
서적
A guide to apocalyptic cinem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2]
서적
Dreaming to Some Purpose
Monkfish
[23]
웹사이트
COLIN WILSON DIES AT 82
http://www.colinwils[...]
[24]
웹사이트
The Quietus – Anthony Reynolds Discusses Colin Wilson
http://thequietus.co[...]
2013-04-11
[25]
뉴스
Colin Wilson: Author (Obituary)
https://www.independ[...]
2013-12-08
[26]
서적
Colin Wilson: the Man and His Mind
Element Books
[27]
서적
Novels to Some Purpose: the fiction of Colin Wilson
Paupers' Press
[28]
서적
Order and Surprise
Oxford University Press
[29]
뉴스
Men of mystery
1981-01-26
[30]
웹사이트
Colin Wilson: A Case Study in Mystery Mongering
http://www.centerfor[...]
Center for Inquiry
2014-03-16
[31]
뉴스
Ufos, alien abductions, the occult: to one man, the building blocks of scholarship
The Washington Post
2016-08-31
[32]
간행물
Colin Wilson's Idiosyncratic Literary Legacy
2018
[33]
웹사이트
Colin Wilson Conference
http://pauperspress.[...]
[34]
웹사이트
Colin Wilson Archive
https://mss-cat.nott[...]
[35]
뉴스
英作家コリン・ウィルソンさん死去 「アウトサイダー」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3-12-11
[36]
웹사이트
The Quietus - Anthony Reynolds Discusses Colin Wilson
http://thequietus.co[...]
2013-04-13
[37]
간행물
"アウトサイダー」は未来を孕んでいるか : コリン・ウィルソン序説"
http://ir.lib.ibarak[...]
茨城大学文理学部紀要 人文科学
1966
[38]
서적
宗教とアウトサイダー
河出書房新社
1992-09-01
[39]
서적
無動機殺人の解剖
河出文庫
1991-11-04
[40]
서적
コリン・ウィルソンの「来世体験」
三笠書房
1991
[41]
서적
夢見る力:文学と想像力
河出書房新社
1994-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