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프트베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라프트베르크는 1970년 랄프 휘터와 플로리안 슈나이더가 결성한 독일의 전자 음악 밴드이다. 아방가르드와 실험 록을 시도하며 시작하여, 1970년대 중반부터 '로봇 팝'으로 불리는 전자 사운드를 개척했다. 이들은 기술, 도시 생활, 기차 여행 등을 주제로 한 컨셉 앨범들을 발표했으며, 보코더, 전자 드럼, 시퀀서 등 혁신적인 음악 기술을 활용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신스팝, 일렉트로팝, 하우스, 테크노 등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미쳤으며, 2021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뒤셀도르프의 음악 - 노이!
1971년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클라우스 딩거와 미하엘 로터를 주축으로 결성된 크라우트록 밴드 노이!는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과 "모터릭" 비트로 일렉트로니카, 펑크 록 등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미쳤으며, 멤버 교체와 재결합을 거쳐 2010년까지 활동했다. - 뒤셀도르프의 음악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1
2011년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43개국이 참가한 제56회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가 개최되었고, 아제르바이잔의 엘 & 니키가 "Running Scared"로 우승했으며, 레나 마이어-란드루트, 앙케 엥겔케, 유디트 라커스가 사회를 맡았다. - 독일의 전자 음악 그룹 - 스냅!
스냅!은 루카 안질로티와 마이클 뮌징이 결성한 독일 댄스 팝 듀오로, "파워", "웁스 업", "리듬 이즈 어 댄서" 등의 히트곡으로 1990년대 초 유럽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누렸으나 1996년 해산 후 여러 차례 복귀 시도에도 이전의 성공을 재현하지 못했다. - 독일의 전자 음악 그룹 - 모던 토킹
1983년 서베를린에서 결성된 독일 유로 디스코 듀오 모던 토킹은 디터 볼렌의 작곡 및 프로듀싱, 토마스 안데르스의 보컬로 "You're My Heart, You're My Soul" 등 다수의 히트곡을 내며 유럽, 아시아, 남아메리카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해체와 재결합을 거쳐 전 세계적으로 1억 2천만 장 이상의 음반을 판매했다. - 프로그레시브 팝 음악가 - XTC
XTC는 1972년 영국 스윈던에서 결성되어 글램 록으로 시작, 펑크와 뉴 웨이브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하고 후대 밴드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멤버 건강 문제와 갈등으로 스튜디오 밴드로 전환 후 2005년 사실상 해체된 록 밴드이다. - 프로그레시브 팝 음악가 - 버글스
버글스는 트레버 혼과 제프 다운스가 결성한 영국의 뉴 웨이브 듀오로, "비디오 킬드 더 라디오 스타"의 세계적인 성공과 실험적인 음악, 기술과 예술의 융합으로 평가받으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크라프트베르크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독일어: Kraftwerk |
로마자 표기 | Keurapeuteubeurekeu (크라프트베르크) |
의미 | 발전소 |
결성 | 1970년 |
활동 | 1970년 – 현재 |
국적 | 독일 |
결성지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뒤셀도르프 |
웹사이트 | kraftwerk.com |
음악 스타일 | |
장르 | 전자 음악 신스팝 크라우트 록 전위 음악 테크노 뉴 웨이브 프로그레시브 록 실험 록 |
음반 정보 | |
음반 목록 | 크라프트베르크 음반 목록 |
레이블 | Kling Klang EMI 캐피털 워너 브라더스 필립스 버티고 머큐리 뮤트 Astralwerks 엘렉트라 팔로폰 |
프로듀서 | 코니 플랑크 (앨범 프로듀서) 프랑수아 케보키안 (믹스 프로듀서) 윌리엄 오빗 (믹스 프로듀서)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랄프 휘터 (보컬, 신디사이저, 키보드) 헤닝 슈미츠 (키보드, 사운드 효과) 팔크 그리펜하겐 (전자 드럼) 게오르크 봉가르츠 (비디오 운영) |
이전 구성원 | 플로리안 슈나이더 (보컬, 신디사이저, 플루트) Houschäng Nejadépour Plato Kostic Peter Schmidt Hans-Günther Weiss Thomas Lohmann Eberhard Kranemann Andreas Hohmann 클라우스 딩어 (드럼) 미하엘 로터 (일렉트릭 기타) 에밀 슐트 (작사, 일러스트레이션) 볼프강 플뤼어 (전자 드럼) 클라우스 뢰더 (전자 바이올린, 기타) 카를 바르토스 (전자 드럼, 키보드, 보컬) 페르난도 아브란테스 (전자 드럼, 키보드) Stefan Pfaffe (비디오 운영) 프리츠 힐페르트 (전자 드럼) |
관련 활동 | |
스핀오프 | 노이! |
이전 그룹 | 오르가니자치온 |
영향 | 클래식 음악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탄제린 드림 비치 보이스 실버 애플즈 |
수상 | |
그래미상 평생 공로상 | 그래미상 평생 공로상 (2014) |
로큰롤 명예의 전당 | 로큰롤 명예의 전당 (2021) |
2. 결성 및 초기 활동 (1970-1973)
1970년 랄프 휘터와 플로리안 슈나이더는 서독 뒤셀도르프 근교 렘샤이트의 예술 아카데미에서 클래식 음악 교육을 받던 중 뒤셀도르프 음악원의 즉흥 음악 수업에서 만나 인더스트리얼 뮤직에 대한 관심에서 잼 프로젝트 Organisation 등을 거쳐 크라프트베르크를 결성했다.[121][122]
당시, 영미권에 의해 유입된 문화와 음악에 쉽게 물드는 것을 좋게 생각하지 않았던 크라우트록 (저먼 록)의 한 그룹이었던 그들은, 전후 세대의 독일인으로서의 자각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123][124] 쾰른 출신의 밴드 칸과도 친교가 있었으며, 칸의 첫 공연은 크라프트베르크의 악기를 빌려 진행되었다.[125] 동독의 디나모 드레스덴 (드레스덴의 발전기)이라는 축구 클럽의 이름에서 영감을 얻어 그룹명도 독일어로 표현하고 있다.[126][127]
초기 크라프트베르크 라인업은 유동적이었는데, 휘터와 슈나이더는 세 개의 앨범을 준비하고 녹음하는 동안, 그리고 산발적인 라이브 공연을 하는 동안 약 6명의 다른 음악가들과 함께 작업했다.[6] 이 라인업에서 유일한 고정 멤버는 슈나이더였으며, 당시 그의 주된 악기는 플루트였다. 그는 때때로 바이올린과 기타도 연주했으며, 이 모든 악기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통해 처리되었다. 밴드를 떠나 8개월 동안 대학교 졸업에 전념했던 휘터는 신시사이저와 키보드 (Farfisa 오르간 및 전자 피아노 포함)를 연주했다.
미하엘 로터 (기타)와 클라우스 딩거 (드럼)가 탈퇴하여 노이!를 결성하기도 했다.[6] 이 시대의 악곡은 70년대 중반 이후 전혀 연주되지 않으며, 정규 CD도 존재하지 않는다.[133]
이 밴드는 두 개의 자유 형식 실험 록 앨범인 ''크라프트베르크''(1970)와 ''크라프트베르크 2''(1972)를 발매했다. 이 앨범들은 기타, 베이스, 드럼, 오르간, 플루트, 바이올린 등 다양한 전통 악기로 연주된 탐구적인 음악 즉흥 연주로 구성되었다. 이 녹음물에 대한 후반 작업으로는 악기 사운드를 왜곡하기 위한 사용, 특히 오디오 테이프 조작과 한 악기의 여러 중복 녹음이 사용되었다. 두 앨범 모두 순수 기악곡이다. 1972년부터 1973년까지의 라이브 공연은 주로 듀오로 이루어졌으며, 전기 오르간에서 가져온 프리셋 리듬이 있는 단순한 비트 박스 유형의 전자 드럼 머신을 사용했다. 때때로 베이시스트와 함께 공연하기도 했다. 이 쇼는 주로 독일에서 열렸으며, 프랑스에서도 가끔 공연이 있었다.[6]
리듬 머신, 오르간, 전기 플루트 등을 사용한 그들의 초기 인더스트리얼하고 즉흥적이며 실험적인 작풍[128]은 버즈콕스나 수지 앤 더 밴시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129] 당시 주요 연주 장소는 대학이나 미술관[130] 등이었다. 몇 차례의 멤버 교체를 거치면서, 결국 랄프와 플로리안이 중심이 되어 3장의 앨범을 제작했다. 앨범 재킷 디자인을 직접 담당하는 것 외에도, 악기 개조·개발[131] 등, 그룹 초창기부터 현재까지의 DIY 정신은 이 그룹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1973년 후반, 볼프강 플뤼르가 리허설에 합류했고, 이 유닛은 독일 텔레비전 네트워크 ZDF의 텔레비전 쇼 ''아스펙테''에서 트리오로 공연했다.[9] 1973년에 발매된 ''랄프 운트 플로리안''을 통해 크라프트베르크는 신시사이저와 드럼 머신에 더 많이 의존하기 시작했다. 거의 전적으로 기악곡으로 구성된 이 앨범은 크라프트베르크가 노래 "Ananas Symphonie" (파인애플 심포니)에서 보코더를 처음 사용한 것을 보여주며, 이 곡은 크라프트베르크의 음악적 특징 중 하나가 되었다.
프로듀서이자 엔지니어인 콘라드 "코니" 플랭크의 투입, 전문성 및 영향력은 크라프트베르크 초기 시절에 매우 중요했다. 플랭크는 Can, 노이!, 클러스터, 하르모니아 등 당시 독일의 다른 주요 전자 음악가들과도 함께 작업했다. 크라프트베르크와의 작업 결과, 플랭크의 쾰른 근처 스튜디오는 1970년대 후반 가장 인기 있는 스튜디오 중 하나가 되었다. 플랭크는 크라프트베르크의 처음 4개의 앨범을 공동 제작했다.[6]
2. 1. 결성 배경
1970년 랄프 휘터와 플로리안 슈나이더는 뒤셀도르프의 로베르트 슈만 음악대학에서 만나 당시 독일의 실험 음악과 예술계에 참여했는데, 이 시기를 ''멜로디 메이커''는 농담 삼아 "크라우트록"이라고 불렀다.[6] 이들은 오르가니제이션이라는 5인조 밴드에 합류하여 1970년 영국 RCA 레코드를 통해 한 장의 앨범인 ''톤 플로트''를 발매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해체했다.[7] 슈나이더는 신시사이저에 관심을 갖게 되어 1970년에 신시사이저를 구입하기로 결정했다. 고향에서 열린 시각 예술가 길버트 앤 조지에 대한 전시회를 방문했을 때, 그들은 "양복과 넥타이를 착용하고 일상생활에 예술을 가져오겠다고 주장하는 두 남자"를 보았다. 같은 해에 휘터와 슈나이더는 일상생활을 예술로, 그리고 크라프트베르크의 형태로 만들기 시작했다.[8]1970년부터 1974년까지의 초기 크라프트베르크 라인업은 유동적이었으며, 휘터와 슈나이더는 여러 음악가들과 함께 작업했다.[6] 이 라인업에서 유일한 고정 멤버는 슈나이더였으며, 당시 그의 주된 악기는 플루트였다. 그는 때때로 바이올린과 기타도 연주했으며, 이 모든 악기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통해 처리되었다. 밴드를 떠나 8개월 동안 대학교 졸업에 전념했던 휘터는 신시사이저와 키보드 (Farfisa 오르간 및 전자 피아노 포함)를 연주했다.
이 밴드는 ''크라프트베르크''(1970)와 ''크라프트베르크 2''(1972)를 발매했다. 이 앨범들은 기타, 베이스, 드럼, 오르간, 플루트, 바이올린 등 다양한 전통 악기로 연주된 탐구적인 음악 즉흥 연주로 구성되었다. 이 녹음물에 대한 후반 작업으로는 악기 사운드를 왜곡하기 위한 사용, 특히 오디오 테이프 조작과 한 악기의 여러 중복 녹음이 사용되었다. 두 앨범 모두 순수 기악곡이다. 1972년부터 1973년까지의 라이브 공연은 주로 듀오로 이루어졌으며, 전기 오르간에서 가져온 프리셋 리듬이 있는 단순한 비트 박스 유형의 전자 드럼 머신을 사용했다. 때때로 베이시스트와 함께 공연하기도 했다. 이 쇼는 주로 독일에서 열렸으며, 프랑스에서도 가끔 공연이 있었다.[6] 1973년 후반, 볼프강 플뤼르가 리허설에 합류했고, 이 유닛은 독일 텔레비전 네트워크 ZDF의 텔레비전 쇼 ''아스펙테''에서 트리오로 공연했다.[9]
1973년 발매된 ''랄프 운트 플로리안''을 통해 크라프트베르크는 신시사이저와 드럼 머신에 더 많이 의존하기 시작했다. 거의 전적으로 기악곡으로 구성된 이 앨범은 "Ananas Symphonie" (파인애플 심포니)에서 보코더를 처음 사용한 것을 보여주며, 이 곡은 크라프트베르크의 음악적 특징 중 하나가 되었다. 영국의 음악 저널리스트 사이먼 레이놀즈에 따르면, 크라프트베르크는 60년대 후반 MC5와 더 스투지스의 디트로이트 아티스트들의 "아드레날린이 분출된 반란"에 영향을 받았다.[10]
프로듀서이자 엔지니어인 콘라드 "코니" 플랭크의 투입, 전문성 및 영향력은 크라프트베르크 초기 시절에 매우 중요했다. 플랭크는 Can, 노이!, 클러스터, 하르모니아 등 당시 독일의 다른 주요 전자 음악가들과도 함께 작업했다. 크라프트베르크와의 작업 결과, 플랭크의 쾰른 근처 스튜디오는 1970년대 후반 가장 인기 있는 스튜디오 중 하나가 되었다. 플랭크는 크라프트베르크의 처음 4개의 앨범을 공동 제작했다.[6]
2. 2. 초기 음악 스타일
1970년 랄프 휘터와 플로리안 슈나이더는 서독 뒤셀도르프 근교 렘샤이트의 예술 아카데미에서 클래식 음악 교육을 받던 중 뒤셀도르프 음악원의 즉흥 음악 수업에서 만나 인더스트리얼 뮤직에 대한 관심에서 잼 프로젝트 Organisation 등을 거쳐 크라프트베르크를 결성했다.[121][122] 당시, 영미권에 의해 유입된 문화와 음악에 쉽게 물드는 것을 좋게 생각하지 않았던 크라우트록 (저먼 록)의 한 그룹이었던 그들은, 전후 세대의 독일인으로서의 자각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123][124] 쾰른 출신의 밴드 칸과도 친교가 있었으며, 칸의 첫 공연은 크라프트베르크의 악기를 빌려 진행되었다.[125] 동독의 디나모 드레스덴 (드레스덴의 발전기)이라는 축구 클럽의 이름에서 영감을 얻어 그룹명도 독일어로 표현하고 있다.[126][127]초기 크라프트베르크 라인업은 유동적이었는데, 휘터와 슈나이더는 세 개의 앨범을 준비하고 녹음하는 동안, 그리고 산발적인 라이브 공연을 하는 동안 약 6명의 다른 음악가들과 함께 작업했다.[6] 이 라인업에서 유일한 고정 멤버는 슈나이더였으며, 당시 그의 주된 악기는 플루트였다. 그는 때때로 바이올린과 기타도 연주했으며, 이 모든 악기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통해 처리되었다. 밴드를 떠나 8개월 동안 대학교 졸업에 전념했던 휘터는 신시사이저와 키보드 (Farfisa 오르간 및 전자 피아노 포함)를 연주했다.
미하엘 로터 (기타)와 클라우스 딩거 (드럼)가 탈퇴하여 노이!를 결성하기도 했다.[6] 이 시대의 악곡은 70년대 중반 이후 전혀 연주되지 않으며, 정규 CD도 존재하지 않는다.[133]
이 밴드는 두 개의 자유 형식 실험 록 앨범인 ''크라프트베르크''(1970)와 ''크라프트베르크 2''(1972)를 발매했다. 이 앨범들은 기타, 베이스, 드럼, 오르간, 플루트, 바이올린 등 다양한 전통 악기로 연주된 탐구적인 음악 즉흥 연주로 구성되었다. 이 녹음물에 대한 후반 작업으로는 악기 사운드를 왜곡하기 위한 사용, 특히 오디오 테이프 조작과 한 악기의 여러 중복 녹음이 사용되었다. 두 앨범 모두 순수 기악곡이다. 1972년부터 1973년까지의 라이브 공연은 주로 듀오로 이루어졌으며, 전기 오르간에서 가져온 프리셋 리듬이 있는 단순한 비트 박스 유형의 전자 드럼 머신을 사용했다. 때때로 베이시스트와 함께 공연하기도 했다. 이 쇼는 주로 독일에서 열렸으며, 프랑스에서도 가끔 공연이 있었다.[6]
리듬 머신, 오르간, 전기 플루트 등을 사용한 그들의 초기 인더스트리얼하고 즉흥적이며 실험적인 작풍[128]은 버즈콕스나 수지 앤 더 밴시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129] 당시 주요 연주 장소는 대학이나 미술관[130] 등이었다. 몇 차례의 멤버 교체를 거치면서, 결국 랄프와 플로리안이 중심이 되어 3장의 앨범을 제작했다. 앨범 재킷 디자인을 직접 담당하는 것 외에도, 악기 개조·개발[131] 등, 그룹 초창기부터 현재까지의 DIY 정신은 이 그룹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1973년 후반, 볼프강 플뤼르가 리허설에 합류했고, 이 유닛은 독일 텔레비전 네트워크 ZDF의 텔레비전 쇼 ''아스펙테''에서 트리오로 공연했다.[9] 1973년에 발매된 ''랄프 운트 플로리안''을 통해 크라프트베르크는 신시사이저와 드럼 머신에 더 많이 의존하기 시작했다. 거의 전적으로 기악곡으로 구성된 이 앨범은 크라프트베르크가 노래 "Ananas Symphonie" (파인애플 심포니)에서 보코더를 처음 사용한 것을 보여주며, 이 곡은 크라프트베르크의 음악적 특징 중 하나가 되었다.
프로듀서이자 엔지니어인 콘라드 "코니" 플랭크의 투입, 전문성 및 영향력은 크라프트베르크 초기 시절에 매우 중요했다. 플랭크는 Can, 노이!, 클러스터, 하르모니아 등 당시 독일의 다른 주요 전자 음악가들과도 함께 작업했다. 크라프트베르크와의 작업 결과, 플랭크의 쾰른 근처 스튜디오는 1970년대 후반 가장 인기 있는 스튜디오 중 하나가 되었다. 플랭크는 크라프트베르크의 처음 4개의 앨범을 공동 제작했다.[6]
3. 전성기 (1974-1986)
크라프트베르크는 1975년 무선 통신을 주제로 한 컨셉트 음반인 Radio-Activity로 다시 수면에 떠올랐다. 그것은 그들의 전 세계적인 인기를 다시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 음반은 독일어와 영어로 발매되었는데 후자는 76년 초에 발매되었다.[11] 기차 여행이라는 주제로 1977년 Trans-Europe Express가 발매되었는데 그것은 음악의 기계화를 향한 발걸음이었다. 그 라인은 다음 해인 1978년의 The Man Machine라는 이름으로 더욱 극대화되었는데 그것은 인간성의 상실을 드러내는 컨셉이었다. 이때까지 크라프트베르크의 멤버들은 그들을 로봇 같은 사람이라고 묘사했는데 '''We Are the Robots'''이란 곡으로 형상화했다. 그들의 영향력은 절정에 다다랐지만 그룹은 정체성을 잃어버렸다. 그들은 1981년의 기술의 새로운 세계적인 지배에 대한 사색인 Computer World에 앞서 그들의 음악이 예견했던 사회로 돌아갈 준비가 되지 않았다. 싱글 곡인 Computer Love로 영국에서 차트 정상을 기록한 후 크라프트베르크는 다시 사라졌으며 1986년의 Electric Cafe 발매까지 5년간 휴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때까지 팝 음악은 신시사이저와 드럼 머신이 주를 이뤘는데 그룹의 위상은 약해졌다.
==《Autobahn》 (1974)==
1974년, Autobahn의 발매와 함께 크라프트베르크는 처음 세 앨범의 사운드에서 벗어났다. 랄프 휘터와 플로리안 슈나이더는 미니무그와 EMS 신시 AKS와 같은 새로운 기술에 투자하여 크라프트베르크에게 새롭고 "절제된" 사운드를 선사했다. ''Autobahn''은 또한 코니 플랭크가 엔지니어링한 마지막 앨범이었다.[11] 미국에서 ''Autobahn''이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빌보드 톱 LP & 테이프에서 5위에 오르자, 휘터와 슈나이더는 스튜디오를 업데이트하는 데 투자하여 외부 프로듀서에 대한 의존도를 줄였다. 이 시기에 화가이자 그래픽 아티스트인 에밀 슐트가 정기적인 협력자가 되어 아트워크를 디자인하고, 가사를 공동 집필하며, 그룹과 함께 투어를 다녔다.[6] 초기 활동으로 얻은 자금을 투자하여 손에 넣은 미니 무그를 사용하여, 새 멤버 볼프강 플뤼어는 자작 전자 퍼커션 등을 구사하며 이전 음악을 새로운 차원으로 승화시킨 1974년 발표된 4번째 앨범 『아우토반』이 영미에서 히트했다. 특히 동명의 싱글 곡은 그 이전의 많은 뮤지션들이 신시사이저를 관념적이고 명상적인 음악에 사용하거나, 곡의 부속물로 사용했던 방식과는 크게 다르며, 곡의 길이가 20분을 넘고, 즉물적이면서도 어디까지나 그것 자체를 주체로 한 팝 음악이라는 수법으로 하나의 완성형이라고 할 수 있게 되었다.[134]
1975년은 크라프트베르크의 라이브 쇼에서 전환점이 되었다. 미국 포노그램 Inc.의 재정적 지원으로, 그들은 처음으로 미국, 캐나다, 영국을 방문하는 ''Autobahn'' 앨범 홍보 투어를 할 수 있었다. 투어에서는 4인조의 새로운 안정적인 라이브 라인업을 선보였다. 휘터와 슈나이더는 미니무그와 ARP 오디세이와 같은 키보드 신시사이저를 계속 연주했으며, 슈나이더의 플루트 사용은 줄어들었다. 두 사람은 처음으로 라이브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으며, 슈나이더는 보코더로 자신의 목소리를 라이브로 처리했다. 볼프강 플뤼어와 새로운 멤버 카를 바르토스는 직접 만든 전자 타악기를 연주했다. 바르토스는 또한 무대에서 비브라폰을 사용했다. 휘터-슈나이더-바르토스-플뤼어의 구성은 1980년대 후반까지 유지되었으며, 현재 크라프트베르크의 고전적인 라이브 라인업으로 간주된다. 에밀 슐트는 일반적으로 투어 매니저 역할을 수행했다.[6] 플로리안의 지인인 음악 학교 교수의 제자이자, 클래식 분야의 다양한 일을 해왔던 카를 바르토스도 합류하여 미국 횡단 투어[135]도 실시되었다(칼 본인의 말이기도 하지만, 이후 크라프트베르크의 곡들의 주된 특징으로 펑키한 리듬, 뮤지크 콩크레트, 팝 음악의 혼합이 꼽힌다).
1975년 ''Autobahn'' 투어 이후, 크라프트베르크는 후속 앨범인 ''Radio-Activity'' (독일어 제목: ''Radio-Aktivität'') 작업을 시작했다. 새로운 장비에 대한 추가 투자를 통해, 클링클랑 스튜디오는 완전한 작동 스튜디오가 되었다. 비주얼이나 가사 등의 이미지에 관해서는 아우토반 이전부터 스테이지에 나오지 않는 멤버였던 시인이자 화가인 에밀 슐트의 공헌이 컸고, 당시의 비주얼 컨셉에는 표현주의나 대전으로 중단된 1930년대의 독일 모더니즘과 엘 리시츠키 등의 러시아 구성주의를 의식한 것 등이 있다.
==《Radio-Activity》 (1975)==
크라프트베르크는 1975년 무선 통신을 주제로 한 컨셉트 음반인 Radio-Activity를 발표했다. 이 음반은 독일어와 영어로 발매되었으며, 영어판은 76년 초에 발매되었다.[11] 이 앨범은 Autobahn보다 영국과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덜 성공했지만, 크라프트베르크에게 유럽 시장을 열어주는 역할을 했으며, 프랑스에서 골드 디스크를 받았다.[6]
1975년 ''Autobahn'' 투어 이후, 크라프트베르크는 클링클랑 스튜디오를 완전한 작동 스튜디오로 만들고, 새로운 음반인 ''Radio-Activity'' 작업을 시작했다.[6] 에밀 슐트가 아트워크와 가사를 담당하였고, 미국 투어에서 발전된 라디오 통신을 주제로 사용했다.[6] 크라프트베르크는 앨범 홍보를 위해 뮤직비디오를 제작하고 여러 유럽 라이브 공연을 했다.[6]
1976년, 크라프트베르크는 ''Radio-Activity'' 앨범을 지원하는 투어를 했다. 데이비드 보위는 이 음반의 팬으로, 밴드를 그의 ''Station to Station'' 투어에 지원하도록 초대했지만, 그룹은 이 제안을 거절했다.[12] 몇 가지 혁신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크라프트베르크는 1976년 ''Radio-Activity'' 투어 이후 라이브 공연을 중단했다.
==《Trans-Europe Express》 (1977)==
크라프트베르크는 1975년 무선 통신을 테마로 한 컨셉트 음반인 Radio-Activity를 발매하여 전 세계적인 인기를 다시 얻었다. 이 음반은 독일어와 영어로 발매되었다.[6] 1977년에는 기차 여행을 주제로 한 Trans-Europe Express가 발매되었는데, 이는 음악의 기계화를 향한 발걸음이었다.[6] 이 앨범은 로스앤젤레스의 레코드 플랜트 스튜디오에서 믹싱되었고, EMI 프랑스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호화로운 기차 여행을 기자 회견으로 활용했다. 그해 말 뉴욕에서 이 앨범은 디스코 상을 수상했다.[6]
1978년 발매된 The Man Machine는 인간성 상실을 드러내는 컨셉으로, 음악의 기계화가 더욱 극대화되었다. 이때까지 크라프트베르크 멤버들은 자신들을 로봇 같은 사람이라고 묘사했는데, '''We Are the Robots'''라는 곡으로 형상화했다. 카를 바르토스가 공동 작곡가로 이름을 올린 첫 번째 크라프트베르크 앨범이며, 커버는 러시아 예술가 엘 리시츠키와 절대주의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검정, 흰색, 빨간색으로 제작되었다. 군터 프로흘링이 촬영한 사진은 쿼텟이 빨간 셔츠와 검은 넥타이를 착용한 상징적인 이미지가 되었다.[6]
1981년 발매된 Computer World는 기술의 새로운 세계적인 지배에 대한 사색이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Computer Love로 영국에서 차트 정상을 기록한 후 다시 사라졌으며, 1986년 Electric Cafe 발매까지 5년간 휴업에 들어갔다.[6] 이 앨범은 1978년과 1981년 사이에 클링 클랑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이 기간의 대부분은 밴드가 투어에 사용할 수 있도록 스튜디오를 휴대할 수 있게 개조하는 데 사용되었다.[6] ''컴퓨터 세계''에 사용된 일부 전자 보컬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언어 번역기를 사용하여 생성되었다.[13] 싱글 컴퓨터 사랑은 B면인 ''인간-기계''의 수록곡 "모델"이 라디오 DJ들에게 더 인기를 얻자, EMI는 이 싱글을 재포장하여 "모델"을 A면으로 재발매했다. 이 싱글은 영국에서 1위를 차지했고, "모델"은 크라프트베르크의 그 나라에서 가장 성공적인 곡이 되었다.[6] 그 결과, ''인간-기계'' 앨범도 영국에서 성공을 거두어 1982년 2월 앨범 차트에서 9위에 올랐다.[14]
==《The Man-Machine》 (1978)==
크라프트베르크는 1978년에 《인간-기계》(독일어: ''Die Mensch-Maschine'')를 발매했다. 이 음반은 클링 클랑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고, 디트로이트 출신 엔지니어 레너드 잭슨이 참여했다. 카를 바르토스가 공동 작곡가로 이름을 올린 첫 번째 앨범이며, 커버는 러시아 예술가 엘 리시츠키와 절대주의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6] 군터 프로흘링이 촬영한 사진은 쿼텟이 빨간 셔츠와 검은 넥타이를 착용한 상징적인 이미지가 되었다. 이 앨범은 인간성의 상실을 드러내는 콘셉트로, 'We Are the Robots'라는 곡으로 형상화되었다.[6] 발매 후 크라프트베르크는 3년 동안 앨범을 발매하거나 투어를 하지 않았다. 그들의 음악은 기계화를 향한 발걸음이었고, 이는 인간성의 상실을 드러내는 컨셉이었다.
==《Computer World》 (1981)==
크라프트베르크는 1981년 5월 EMI 레코드를 통해 ''컴퓨터 세계(독일어: ''Computerwelt'')''를 발매했다.[6] 이 앨범은 1978년과 1981년 사이에 클링 클랑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6] 이 기간의 대부분은 밴드가 투어에 사용할 수 있도록 스튜디오를 휴대할 수 있게 개조하는 데 사용되었다.[6] ''컴퓨터 세계''에 사용된 일부 전자 보컬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언어 번역기를 사용하여 생성되었다.[13]
싱글 곡인 "컴퓨터 사랑"은 ''인간-기계''의 수록곡 "모델"과 함께 싱글로 발매되었다.[6] 라디오 DJ들이 B면에 더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EMI는 이 싱글을 재포장하여 "모델"을 A면으로 재발매했다. 이 싱글은 영국에서 1위를 차지했고, "모델"은 크라프트베르크의 그 나라에서 가장 성공적인 곡이 되었다.[6] 그 결과, ''인간-기계'' 앨범도 영국에서 성공을 거두어 1982년 2월 앨범 차트에서 9위에 올랐다.[14]
밴드의 라이브 공연은 노래 중심의 소재에 점점 더 집중했으며, 보컬의 사용이 늘고 퍼커션과 음악 모두에 시퀀싱 장비를 더 많이 사용했다. 차갑고 절제된 이미지와는 대조적으로, 이 그룹은 시퀀서를 상호 작용적으로 사용하여 라이브 즉흥 연주를 가능하게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크라프트베르크는 ''컴퓨터 세계''를 녹음할 당시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지 않았다.
크라프트베르크는 1981년 ''컴퓨터 세계'' 투어를 통해 라이브 공연으로 복귀했으며, 밴드는 실제로 클링 클랑 스튜디오 전체를 포장하여 함께 여행했다. 또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음악과 동기화된 백 프로젝션 슬라이드와 영화를 포함한 라이브 비주얼을 더 많이 사용하고, 세트 중에 휴대용 소형 악기를 사용하고, "로봇"을 연주하는 동안 무대에서 스스로의 복제 마네킹을 사용했다.
==《Electric Café》 (1986)==
1982년 크라프트베르크는 새로운 앨범 작업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Technicolor"라는 제목으로 작업했지만, 상표권 문제로 인해 1986년 처음 발매될 때 "Electric Café"로 변경되었다(2009년 리마스터 재발매에서는 원래 작업 제목인 "Techno Pop"으로 다시 제목이 변경되었다).[6] 이 녹음 세션의 곡 중 하나는 "Tour de France"였으며, EMI는 이 곡을 1983년에 싱글로 발매했다.[6] 이 곡은 밴드의 새롭게 발견된 사이클링에 대한 열정을 반영한 것이다. 육체적으로 힘든 ''Computer World'' 투어 이후, 랄프 휘터는 크라프트베르크의 이미지에 맞는 운동 형태를 찾고 있었고, 그 결과 그룹이 채식주의자가 되고 사이클링을 시작하도록 권장했다. "Tour de France"에는 자전거 체인, 기어 메커니즘, 사이클리스트의 호흡을 포함하여 이 테마를 따르는 사운드가 포함되었다.[6] 싱글 발매 당시 랄프 휘터는 나머지 밴드 멤버들에게 사이클링을 주제로 한 앨범 전체를 녹음해야 한다고 설득하려 했다. 하지만 다른 밴드 멤버들은 설득되지 않았고, 그 테마는 싱글에만 남게 되었다.[6] "Tour de France"는 독일어와 프랑스어로 발매되었다. 노래의 보컬은 적절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클링클랑 스튜디오 계단에서 녹음되었다.[6] "Tour de France"는 1984년 영화 ''Breakin''에 등장하여 크라프트베르크가 서부 해안 힙합에 미친 영향을 보여주었다.[6]
1982년 5월 또는 6월,[15] "Tour de France" 녹음 중 랄프 휘터는 심각한 자전거 사고를 당했다.[6] 그는 머리 부상을 입고 며칠 동안 혼수상태에 빠졌다.[16] 1983년 볼프강 플뤼어는 스튜디오에서 시간을 덜 보내기 시작했다. 밴드가 시퀀서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그의 드러머 역할은 줄어들었다. 그는 여자친구와 함께 여행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했다. 플뤼어는 또한 밴드와 예술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6] 1981년 드러머로 크라프트베르크와 함께 세계 투어를 했지만, 그의 연주는 그 해의 ''Computer World''나 1986년 앨범 ''Electric Café''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1987년 그는 밴드를 떠났고, 프리츠 힐퍼트가 그를 대신했다.
3. 1. 《Autobahn》 (1974)
1974년, Autobahn의 발매와 함께 크라프트베르크는 처음 세 앨범의 사운드에서 벗어났다. 랄프 휘터와 플로리안 슈나이더는 미니무그와 EMS 신시 AKS와 같은 새로운 기술에 투자하여 크라프트베르크에게 새롭고 "절제된" 사운드를 선사했다. ''Autobahn''은 또한 코니 플랭크가 엔지니어링한 마지막 앨범이었다.[11] 미국에서 ''Autobahn''이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빌보드 톱 LP & 테이프에서 5위에 오르자, 휘터와 슈나이더는 스튜디오를 업데이트하는 데 투자하여 외부 프로듀서에 대한 의존도를 줄였다. 이 시기에 화가이자 그래픽 아티스트인 에밀 슐트가 정기적인 협력자가 되어 아트워크를 디자인하고, 가사를 공동 집필하며, 그룹과 함께 투어를 다녔다.[6] 초기 활동으로 얻은 자금을 투자하여 손에 넣은 미니 무그를 사용하여, 새 멤버 볼프강 플뤼어는 자작 전자 퍼커션 등을 구사하며 이전 음악을 새로운 차원으로 승화시킨 1974년 발표된 4번째 앨범 『아우토반』이 영미에서 히트했다. 특히 동명의 싱글 곡은 그 이전의 많은 뮤지션들이 신시사이저를 관념적이고 명상적인 음악에 사용하거나, 곡의 부속물로 사용했던 방식과는 크게 다르며, 곡의 길이가 20분을 넘고, 즉물적이면서도 어디까지나 그것 자체를 주체로 한 팝 음악이라는 수법으로 하나의 완성형이라고 할 수 있게 되었다.[134]1975년은 크라프트베르크의 라이브 쇼에서 전환점이 되었다. 미국 포노그램 Inc.의 재정적 지원으로, 그들은 처음으로 미국, 캐나다, 영국을 방문하는 ''Autobahn'' 앨범 홍보 투어를 할 수 있었다. 투어에서는 4인조의 새로운 안정적인 라이브 라인업을 선보였다. 휘터와 슈나이더는 미니무그와 ARP 오디세이와 같은 키보드 신시사이저를 계속 연주했으며, 슈나이더의 플루트 사용은 줄어들었다. 두 사람은 처음으로 라이브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으며, 슈나이더는 보코더로 자신의 목소리를 라이브로 처리했다. 볼프강 플뤼어와 새로운 멤버 카를 바르토스는 직접 만든 전자 타악기를 연주했다. 바르토스는 또한 무대에서 비브라폰을 사용했다. 휘터-슈나이더-바르토스-플뤼어의 구성은 1980년대 후반까지 유지되었으며, 현재 크라프트베르크의 고전적인 라이브 라인업으로 간주된다. 에밀 슐트는 일반적으로 투어 매니저 역할을 수행했다.[6] 플로리안의 지인인 음악 학교 교수의 제자이자, 클래식 분야의 다양한 일을 해왔던 카를 바르토스도 합류하여 미국 횡단 투어[135]도 실시되었다(칼 본인의 말이기도 하지만, 이후 크라프트베르크의 곡들의 주된 특징으로 펑키한 리듬, 뮤지크 콩크레트, 팝 음악의 혼합이 꼽힌다).
1975년 ''Autobahn'' 투어 이후, 크라프트베르크는 후속 앨범인 ''Radio-Activity'' (독일어 제목: ''Radio-Aktivität'') 작업을 시작했다. 새로운 장비에 대한 추가 투자를 통해, 클링클랑 스튜디오는 완전한 작동 스튜디오가 되었다. 비주얼이나 가사 등의 이미지에 관해서는 아우토반 이전부터 스테이지에 나오지 않는 멤버였던 시인이자 화가인 에밀 슐트의 공헌이 컸고, 당시의 비주얼 컨셉에는 표현주의나 대전으로 중단된 1930년대의 독일 모더니즘과 엘 리시츠키 등의 러시아 구성주의를 의식한 것 등이 있다.
3. 2. 《Radio-Activity》 (1975)
크라프트베르크는 1975년 무선 통신을 주제로 한 컨셉트 음반인 Radio-Activity를 발표했다. 이 음반은 독일어와 영어로 발매되었으며, 영어판은 76년 초에 발매되었다.[11] 이 앨범은 Autobahn보다 영국과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덜 성공했지만, 크라프트베르크에게 유럽 시장을 열어주는 역할을 했으며, 프랑스에서 골드 디스크를 받았다.[6]1975년 ''Autobahn'' 투어 이후, 크라프트베르크는 클링클랑 스튜디오를 완전한 작동 스튜디오로 만들고, 새로운 음반인 ''Radio-Activity'' 작업을 시작했다.[6] 에밀 슐트가 아트워크와 가사를 담당하였고, 미국 투어에서 발전된 라디오 통신을 주제로 사용했다.[6] 크라프트베르크는 앨범 홍보를 위해 뮤직비디오를 제작하고 여러 유럽 라이브 공연을 했다.[6]
1976년, 크라프트베르크는 ''Radio-Activity'' 앨범을 지원하는 투어를 했다. 데이비드 보위는 이 음반의 팬으로, 밴드를 그의 ''Station to Station'' 투어에 지원하도록 초대했지만, 그룹은 이 제안을 거절했다.[12] 몇 가지 혁신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크라프트베르크는 1976년 ''Radio-Activity'' 투어 이후 라이브 공연을 중단했다.
3. 3. 《Trans-Europe Express》 (1977)
크라프트베르크는 1975년 무선 통신을 테마로 한 컨셉트 음반인 Radio-Activity를 발매하여 전 세계적인 인기를 다시 얻었다. 이 음반은 독일어와 영어로 발매되었다.[6] 1977년에는 기차 여행을 주제로 한 Trans-Europe Express가 발매되었는데, 이는 음악의 기계화를 향한 발걸음이었다.[6] 이 앨범은 로스앤젤레스의 레코드 플랜트 스튜디오에서 믹싱되었고, EMI 프랑스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호화로운 기차 여행을 기자 회견으로 활용했다. 그해 말 뉴욕에서 이 앨범은 디스코 상을 수상했다.[6]1978년 발매된 The Man Machine는 인간성 상실을 드러내는 컨셉으로, 음악의 기계화가 더욱 극대화되었다. 이때까지 크라프트베르크 멤버들은 자신들을 로봇 같은 사람이라고 묘사했는데, '''We Are the Robots'''라는 곡으로 형상화했다. 카를 바르토스가 공동 작곡가로 이름을 올린 첫 번째 크라프트베르크 앨범이며, 커버는 러시아 예술가 엘 리시츠키와 절대주의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검정, 흰색, 빨간색으로 제작되었다. 군터 프로흘링이 촬영한 사진은 쿼텟이 빨간 셔츠와 검은 넥타이를 착용한 상징적인 이미지가 되었다.[6]
1981년 발매된 Computer World는 기술의 새로운 세계적인 지배에 대한 사색이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Computer Love로 영국에서 차트 정상을 기록한 후 다시 사라졌으며, 1986년 Electric Cafe 발매까지 5년간 휴업에 들어갔다.[6] 이 앨범은 1978년과 1981년 사이에 클링 클랑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이 기간의 대부분은 밴드가 투어에 사용할 수 있도록 스튜디오를 휴대할 수 있게 개조하는 데 사용되었다.[6] ''컴퓨터 세계''에 사용된 일부 전자 보컬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언어 번역기를 사용하여 생성되었다.[13] 싱글 컴퓨터 사랑은 B면인 ''인간-기계''의 수록곡 "모델"이 라디오 DJ들에게 더 인기를 얻자, EMI는 이 싱글을 재포장하여 "모델"을 A면으로 재발매했다. 이 싱글은 영국에서 1위를 차지했고, "모델"은 크라프트베르크의 그 나라에서 가장 성공적인 곡이 되었다.[6] 그 결과, ''인간-기계'' 앨범도 영국에서 성공을 거두어 1982년 2월 앨범 차트에서 9위에 올랐다.[14]
3. 4. 《The Man-Machine》 (1978)
크라프트베르크는 1978년에 《인간-기계》(독일어: ''Die Mensch-Maschine'')를 발매했다. 이 음반은 클링 클랑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고, 디트로이트 출신 엔지니어 레너드 잭슨이 참여했다. 카를 바르토스가 공동 작곡가로 이름을 올린 첫 번째 앨범이며, 커버는 러시아 예술가 엘 리시츠키와 절대주의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6] 군터 프로흘링이 촬영한 사진은 쿼텟이 빨간 셔츠와 검은 넥타이를 착용한 상징적인 이미지가 되었다. 이 앨범은 인간성의 상실을 드러내는 콘셉트로, 'We Are the Robots'라는 곡으로 형상화되었다.[6] 발매 후 크라프트베르크는 3년 동안 앨범을 발매하거나 투어를 하지 않았다. 그들의 음악은 기계화를 향한 발걸음이었고, 이는 인간성의 상실을 드러내는 컨셉이었다.3. 5. 《Computer World》 (1981)
크라프트베르크는 1981년 5월 EMI 레코드를 통해 ''컴퓨터 세계(독일어: ''Computerwelt'')''를 발매했다.[6] 이 앨범은 1978년과 1981년 사이에 클링 클랑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6] 이 기간의 대부분은 밴드가 투어에 사용할 수 있도록 스튜디오를 휴대할 수 있게 개조하는 데 사용되었다.[6] ''컴퓨터 세계''에 사용된 일부 전자 보컬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언어 번역기를 사용하여 생성되었다.[13]싱글 곡인 "컴퓨터 사랑"은 ''인간-기계''의 수록곡 "모델"과 함께 싱글로 발매되었다.[6] 라디오 DJ들이 B면에 더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EMI는 이 싱글을 재포장하여 "모델"을 A면으로 재발매했다. 이 싱글은 영국에서 1위를 차지했고, "모델"은 크라프트베르크의 그 나라에서 가장 성공적인 곡이 되었다.[6] 그 결과, ''인간-기계'' 앨범도 영국에서 성공을 거두어 1982년 2월 앨범 차트에서 9위에 올랐다.[14]
밴드의 라이브 공연은 노래 중심의 소재에 점점 더 집중했으며, 보컬의 사용이 늘고 퍼커션과 음악 모두에 시퀀싱 장비를 더 많이 사용했다. 차갑고 절제된 이미지와는 대조적으로, 이 그룹은 시퀀서를 상호 작용적으로 사용하여 라이브 즉흥 연주를 가능하게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크라프트베르크는 ''컴퓨터 세계''를 녹음할 당시 컴퓨터를 소유하고 있지 않았다.
크라프트베르크는 1981년 ''컴퓨터 세계'' 투어를 통해 라이브 공연으로 복귀했으며, 밴드는 실제로 클링 클랑 스튜디오 전체를 포장하여 함께 여행했다. 또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음악과 동기화된 백 프로젝션 슬라이드와 영화를 포함한 라이브 비주얼을 더 많이 사용하고, 세트 중에 휴대용 소형 악기를 사용하고, "로봇"을 연주하는 동안 무대에서 스스로의 복제 마네킹을 사용했다.
3. 6. 《Electric Café》 (1986)
1982년 크라프트베르크는 새로운 앨범 작업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Technicolor"라는 제목으로 작업했지만, 상표권 문제로 인해 1986년 처음 발매될 때 "Electric Café"로 변경되었다(2009년 리마스터 재발매에서는 원래 작업 제목인 "Techno Pop"으로 다시 제목이 변경되었다).[6] 이 녹음 세션의 곡 중 하나는 "Tour de France"였으며, EMI는 이 곡을 1983년에 싱글로 발매했다.[6] 이 곡은 밴드의 새롭게 발견된 사이클링에 대한 열정을 반영한 것이다. 육체적으로 힘든 ''Computer World'' 투어 이후, 랄프 휘터는 크라프트베르크의 이미지에 맞는 운동 형태를 찾고 있었고, 그 결과 그룹이 채식주의자가 되고 사이클링을 시작하도록 권장했다. "Tour de France"에는 자전거 체인, 기어 메커니즘, 사이클리스트의 호흡을 포함하여 이 테마를 따르는 사운드가 포함되었다.[6] 싱글 발매 당시 랄프 휘터는 나머지 밴드 멤버들에게 사이클링을 주제로 한 앨범 전체를 녹음해야 한다고 설득하려 했다. 하지만 다른 밴드 멤버들은 설득되지 않았고, 그 테마는 싱글에만 남게 되었다.[6] "Tour de France"는 독일어와 프랑스어로 발매되었다. 노래의 보컬은 적절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클링클랑 스튜디오 계단에서 녹음되었다.[6] "Tour de France"는 1984년 영화 ''Breakin''에 등장하여 크라프트베르크가 서부 해안 힙합에 미친 영향을 보여주었다.[6]1982년 5월 또는 6월,[15] "Tour de France" 녹음 중 랄프 휘터는 심각한 자전거 사고를 당했다.[6] 그는 머리 부상을 입고 며칠 동안 혼수상태에 빠졌다.[16] 1983년 볼프강 플뤼어는 스튜디오에서 시간을 덜 보내기 시작했다. 밴드가 시퀀서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그의 드러머 역할은 줄어들었다. 그는 여자친구와 함께 여행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했다. 플뤼어는 또한 밴드와 예술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6] 1981년 드러머로 크라프트베르크와 함께 세계 투어를 했지만, 그의 연주는 그 해의 ''Computer World''나 1986년 앨범 ''Electric Café''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1987년 그는 밴드를 떠났고, 프리츠 힐퍼트가 그를 대신했다.
4. 1990년대 이후 (1990-현재)
크라프트베르크는 1991년 히트곡 모음집인 《The Mix》를 발매했다.[17] 라이브 공연에서 수년간 물러난 후, 크라프트베르크는 유럽 투어를 더 자주 시작했는데, 1990년 2월, 이탈리아에서 몇 차례 비밀 공연을 했고, 이후 카를 바르토스가 밴드를 떠났다.[17] 다음 정식 투어는 1991년, 앨범 ''The Mix''를 위한 투어였다.[17] 휘터와 슈나이더는 신스팝 4중주 스타일의 공연을 계속하기를 원했고, 바르토스의 대체자로 페르난도 아브란테스를 영입했지만, 아브란테스는 곧 밴드를 떠났다.[17] 1991년 말, 오랜 기간 킹클랑 스튜디오의 사운드 엔지니어였던 헤닝 슈미츠가 투어의 남은 부분을 마무리하고 2008년까지 활동한 새로운 버전의 4중주를 완성하기 위해 투입되었다.[17]
1997년 크라프트베르크는 영국에서 열린 댄스 페스티벌 트라이벌 개더링에 출연했다.[17] 1998년에는 미국과 일본을 투어했으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서도 공연했다.[18] 이 기간 동안 세 곡의 새로운 노래가 연주되었고, 사운드 체크에서 두 곡이 더 테스트되었지만, 발매되지 않았다.[18]
1999년, 전 멤버 플뤼어는 독일에서 자서전 ''Ich war ein Roboter''를 출판했다. 나중에 출판된 영어판은 ''Kraftwerk: I Was a Robot''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1999년에 새로운 싱글인 Expo 2000를 발매했고, 투어 일정으로 팬들을 놀라게 했다. 1999년 7월, 싱글 "투어 드 프랑스"가 수년 동안 절판된 후 EMI에 의해 유럽에서 재발매되었다. 12인치 바이닐 싱글 재발매 외에 처음으로 CD로 발매되었다. 두 버전 모두 오리지널 커버에 묘사된 4인 사이클링 팩라인에서 플뤼어와 바르토스의 얼굴을 제거한 약간 변경된 아트워크를 특징으로 한다. 1999년, 크라프트베르크는 독일 하노버 엑스포 2000 세계 박람회를 위해 무반주 징글을 제작해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징글은 이후 싱글 "엑스포 2000"으로 발전하여 1999년 12월에 발매되었고, 2000년 11월에는 "Expo Remix"로 리믹스되어 재발매되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1986년 《Electric Café》 이후 처음으로 새로운 자료가 담긴 앨범인 《투르 드 프랑스 사운드트랙》을 2003년 8월에 발매했다.[20] 이 앨범은 1983년 작 Tour de France의 수정 버전으로 투르 드 프랑스 1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다. 앨범 발매 전인 2003년 1월과 2월, 밴드는 4대의 맞춤형 소니 VAIO 랩탑 컴퓨터를 사용하여 대규모 ''Minimum-Maximum'' 월드 투어를 시작했으며, 모든 클링 클랑 스튜디오를 독일에 남겨두었다.[20] 또한 4개의 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대체할 새로운 투명 비디오 패널 세트를 확보하여 그룹의 모든 시퀀싱, 사운드 생성, 시각적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의 운영을 간소화했다.[20] 이 시점부터 밴드의 장비는 수동 연주를 줄이고 시퀀싱 장비의 대화형 제어로 대체했다.[20] 11월에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열린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 깜짝 출연하여 "Aerodynamik"을 공연했다.[20]
2005년, 라이브 녹음인 《Minimum-Maximum》이 발매되었다. 2005년 6월, 밴드의 2004년 봄 투어 쇼를 바탕으로 편집된 밴드의 첫 번째 공식 라이브 앨범인 ''Minimum-Maximum''은 ''NME''로부터 찬사를 받았다.[20] 이 앨범에는 기존 스튜디오 앨범의 리워크된 트랙이 포함되었다. 여기에는 "Expo 2000"을 리워크한 "Planet of Visions"이라는 트랙이 포함되었다. 이 앨범 발매를 지원하기 위해 크라프트베르크는 세르비아,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터키, 그리스에서 공연하며 발칸 반도를 다시 한 번 빠르게 휩쓸었다. 12월에는 ''Minimum-Maximum'' DVD가 발매되었다. 2006년 동안 밴드는 노르웨이, 아일랜드, 체코, 스페인, 벨기에, 독일에서 열린 페스티벌에서 공연했다.
2008년 4월, 그룹은 미국 도시 미니애폴리스, 밀워키, 덴버에서 3번의 쇼를 공연했으며, 코첼라 밸리 뮤직 앤드 아츠 페스티벌의 공동 헤드라이너로 출연했다. 이는 2004년 이후 이 페스티벌에 두 번째로 출연하는 것이었다. 그해 늦게 아일랜드, 폴란드, 우크라이나, 호주, 뉴질랜드, 홍콩, 싱가포르에서도 추가 쇼가 진행되었다. 투어 4중주는 랄프 휘터, 헤닝 슈미츠, 프리츠 힐퍼트, 그리고 2008년에 정식 멤버가 된 비디오 기술자 스테판 파페로 구성되었다. 원년 멤버 플로리안 슈나이더는 라인업에서 빠졌다. 휘터는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21] 11월 21일, 크라프트베르크는 플로리안 슈나이더의 밴드 탈퇴를 공식적으로 확인했다.[22] ''The Independent''는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독일 전자 음악의 선구자인 플로리안 슈나이더가 솔로 경력을 위해 밴드를 떠난다는 소식에는 크라프트베르크적인 훌륭함이 있다. 성공적인 밴드들은 불과 몇 년 만에 해체되는 경우가 많다. 슈나이더와 그의 음악 파트너인 랄프 휘터는 음악적 차이점을 발견하는 데 40년이 걸린 것으로 보인다."[23] 11월 22일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Global Gathering에서 크라프트베르크의 헤드라인 세트는 프리츠 힐퍼트가 응급 상황을 겪으면서 시작 예정 시점 직전에 취소되었다.[24]
2009년, 크라프트베르크는 독일 볼프스부르크, 영국 맨체스터, 덴마크 란데르스에서 특별한 3D 배경 그래픽과 함께 콘서트를 열었다. 관객들은 제공된 3D 안경으로 이 쇼의 멀티미디어 부분을 볼 수 있었다. 맨체스터 국제 페스티벌의 일부인 맨체스터 콘서트(2009 맨체스터 국제 페스티벌)[25] 동안, GB 사이클링 팀 멤버 4명(제이슨 케니, 에드 클랜시, 제이미 스태프 및 게라인트 토마스)이 밴드가 "Tour de France"를 공연하는 동안 벨로드롬을 돌았다.[26] 그룹은 또한 여러 페스티벌 공연을 했으며, 마지막 공연은 9월의 와이트 섬에서 열린 Bestival 2009였다.[27] 2009년에는 11월에 ''The Catalogue'' 박스 세트가 발매되었다.[28] 이 앨범은 12인치 앨범 크기의 박스 세트로, 8개의 리마스터링된 CD가 카드보드 슬립케이스에 담겨 있으며, 각 앨범별 사진 및 아트워크가 담긴 LP 크기의 소책자도 포함되어 있다.
공식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랄프 휘터는 그들의 첫 세 개의 실험적인 앨범 — ''크라프트베르크'', ''크라프트베르크 2'' 및 ''랄프와 플로리안'' — 에 대한 두 번째 박스 세트가 출시될 수 있으며, 다음 정규 앨범 발매 후에 상업적으로 출시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또한 Kraftwerk Kling Klang Machine이라는 iOS 앱을 출시했다.[29] 뮌헨의 렌바흐 하우스는 2011년 가을에 크라프트베르크 3-D 작품들을 전시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전시회를 시작하기 위해 세 번의 콘서트를 열었다.[30]
크라프트베르크는 2012년 3월 23일 마이애미에서 열린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에서 공연했다. 클라우스 비젠바흐의 주도로 뉴욕의 현대 미술관은 ''Kraftwerk – 회고전 1 2 3 4 5 6 7 8''이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열어 밴드는 ''아우토반''부터 ''투르 드 프랑스''까지 8일 동안 매진된 관객 앞에서 스튜디오 디스코그래피를 공연했다. 이 전시는 나중에 테이트와 뒤셀도르프의 [https://www.kunstsammlung.de/en/home.html K20]으로 순회 전시되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일본 도쿄에서 열린 노 누크스 2012 페스티벌에서 공연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또한 바르샤바에서 열릴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에서도 공연할 예정이었지만, 행사가 취소되었고 대신 크라프트베르크는 예테보리에서 열린 웨이 아웃 웨스트에서 공연했다. 회고전 기간 동안 2000 세트로 제한된 ''카탈로그'' 박스 세트의 한정판이 출시되었다. 12월에 크라프트베르크는 웹사이트에서 뒤셀도르프와 런던의 테이트 모던에서 ''카탈로그''를 공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3년 3월, 밴드는 구체적인 "정치적 이유"로 인해 중국의 음악 축제에서 공연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31] 8개의 앨범 ''The Catalogue''을 시드니에서 공연한 후 6월 인터뷰에서 랄프 휘터는 "이제 우리는 1에서 8까지 끝냈고, 이제 9번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32] 7월에는 제47회 몽트뢰 재즈 페스티벌에서 공연했다. 밴드는 또한 스코틀랜드 최대의 축제인 T in the Park (발라도, 킨로스)에서 7월 12일, 서퍽의 래티튜드 페스티벌에서 7월 20일, 더블린의 롱지튜드 페스티벌에서 7월 21일에 3-D 콘서트를 열었다.[33]
2013년 10월, 밴드는 네덜란드 아인트호벤에서 이틀 밤 동안 4번의 콘서트를 열었다. 랄프 휘터가 직접 선택한 에볼루온 (구 필립스 전자의 기술 박물관으로, 현재는 컨퍼런스 센터)은 레트로-미래주의적인 UFO와 같은 건축물로 유명하다.[34] ''스페이스랩''을 연주하는 동안 우주에서 내려오는 접시 모양의 건물에 대한 맞춤형 비주얼이 표시되었다.[35]
2014년, 크라프트베르크는 4일간의 3D ''카탈로그'' 투어를 로스앤젤레스의 월트 디즈니 콘서트 홀[36]과 뉴욕의 유나이티드 팰리스 극장에서 개최했다. 그들은 또한 스웨덴 스톡홀름의 시르쿠스(Cirkus)와 일본 도쿄의 음악 축제 서머 소닉에서도 공연했다.[37] 2014년 11월에는 3D ''카탈로그'' 라이브 세트가 6일부터 14일까지 프랑스 파리의 새로운 루이 비통 재단에서 공연되었다.[38] 그리고 1976년에 공연했던 파라디소 콘서트 홀에서 공연했다.[39] 2015년, 투르 드 프랑스가 그해 근처 네덜란드 도시 위트레흐트에서 시작될 것이라는 말을 들은 랄프 휘터는 크라프트베르크가 "그랜드 데파르" 동안 공연하기로 결정했다. 결국 밴드는 7월 3일과 4일에 티볼리브레덴부르크에서 세 번의 콘서트를 열어 "투르 드 프랑스 사운드트랙"을 공연했고, 그 사이에 투어의 시작을 방문했다.[40]
2017년 4월, 크라프트베르크는 8개의 앨범 전체를 담은 공연 실황 앨범이자 비디오인 ''3-D The Catalogue''를 발표했으며, 2017년 5월 26일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2018년 1월 28일에 열린 시상식에서 그래미상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앨범과 최우수 서라운드 사운드 앨범 후보로 지명되어, 전자 부문에서 수상하며 밴드 역사상 첫 번째 그래미상을 수상했다.[42]
2018년 7월 20일, 독일 우주 비행사 알렉산더 게르스트는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국제 우주 정거장에 탑승한 채 라이브 비디오 링크를 통해 밴드와 함께 "Spacelab"을 연주했다. 게르스트는 횓터와 듀엣으로 태블릿을 악기 삼아 멜로디를 연주하고 청중에게 짧은 메시지를 전달했다.[43]
2020년 4월 21일, 플로리안 슈나이더가 암과의 짧은 투병 끝에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020년 7월 3일, ''Trans Europe Express'', ''The Man Machine'', ''Computer World'', ''Techno Pop'' 및 ''The Mix''의 독일어 버전과 ''3-D The Catalogue''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전 세계에 처음 공개되었다.[45][46][47]
2020년 12월 21일, Parlophone/WEA는 디지털 컴필레이션 앨범인 ''Remixes''를 발매했다.[48] 여기에는 1991년, 1999년, 2000년, 2004년 및 2007년에 발매된 싱글에서 리믹스된 트랙과 1993년부터 MTV 유럽에서 징글로 사용된 "Musique Non-Stop"의 버전인 미공개곡 "Non Stop"이 포함되어 있다.[49]
2021년 10월 30일, 크라프트베르크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50] 2021년 11월, 밴드는 2022년 북미 투어 계획을 발표했다.[51]
4. 1. 《The Mix》 (1991)
크라프트베르크는 1991년 히트곡 모음집인 《The Mix》를 발매했다.[17] 라이브 공연에서 수년간 물러난 후, 크라프트베르크는 유럽 투어를 더 자주 시작했는데, 1990년 2월, 이탈리아에서 몇 차례 비밀 공연을 했고, 이후 카를 바르토스가 밴드를 떠났다.[17] 다음 정식 투어는 1991년, 앨범 ''The Mix''를 위한 투어였다.[17] 휘터와 슈나이더는 신스팝 4중주 스타일의 공연을 계속하기를 원했고, 바르토스의 대체자로 페르난도 아브란테스를 영입했지만, 아브란테스는 곧 밴드를 떠났다.[17] 1991년 말, 오랜 기간 킹클랑 스튜디오의 사운드 엔지니어였던 헤닝 슈미츠가 투어의 남은 부분을 마무리하고 2008년까지 활동한 새로운 버전의 4중주를 완성하기 위해 투입되었다.[17]4. 2. 《Expo 2000》 (1999)
크라프트베르크는 1999년에 새로운 싱글인 Expo 2000를 발매했고, 투어 일정으로 팬들을 놀라게 했다.4. 3. 《Tour de France Soundtracks》 (2003)
크라프트베르크는 1986년 《Electric Café》 이후 처음으로 새로운 자료가 담긴 앨범인 《투르 드 프랑스 사운드트랙》을 2003년 8월에 발매했다.[20] 이 앨범은 1983년 작 Tour de France의 수정 버전으로 투르 드 프랑스 1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다. 앨범 발매 전인 2003년 1월과 2월, 밴드는 4대의 맞춤형 소니 VAIO 랩탑 컴퓨터를 사용하여 대규모 ''Minimum-Maximum'' 월드 투어를 시작했으며, 모든 클링 클랑 스튜디오를 독일에 남겨두었다.[20] 또한 4개의 대형 프로젝션 스크린을 대체할 새로운 투명 비디오 패널 세트를 확보하여 그룹의 모든 시퀀싱, 사운드 생성, 시각적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의 운영을 간소화했다.[20] 이 시점부터 밴드의 장비는 수동 연주를 줄이고 시퀀싱 장비의 대화형 제어로 대체했다.[20] 11월에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열린 MTV 유럽 뮤직 어워드에 깜짝 출연하여 "Aerodynamik"을 공연했다.[20]4. 4. 《Minimum-Maximum》 (2005)
2005년, 라이브 녹음인 《Minimum-Maximum》이 발매되었다.5. 멤버
wikitext
활동 시기 | 구성원 | 발매 음반 |
---|---|---|
1970년 | ||
1970년 | ||
1970년 | ||
1970년 | ||
1970년 | ||
1971년 | ||
1971년 | ||
1971년 | ||
1971년–1973년 | ||
1973년 | ||
1973년 | ||
1973년 | ||
1973년 | ||
1974년 | ||
1974년–1975년 | ||
1975년–1987년 | ||
1987년–1990년 | ||
1990년–1991년 | ||
1991년–2008년 | ||
2008년–2013년 | ||
2013년–2023년 | ||
2023년–현재 |
※2024년 6월 기준
== 현재 멤버 ==
- 랄프 휘터 – 리드 보컬, 보코더, 신시사이저, 키보드 (1970–1971, 1971–현재); 오르간, 드럼 및 타악기, 베이스 기타, 기타 (1970–1971, 1971–1974)
크라프트베르크의 창립자. 학업을 우선하기 위해 1971년 한때 탈퇴했지만, 플로리안 슈나이더의 요청으로 같은 해에 복귀했다.
- 헤닝 슈미츠 – 음향 효과, 라이브 키보드 (1991–현재) 가입 이전에도 엔지니어로서 크라프트베르크와 관계를 맺고 있었다.
- 팔크 그리펜하겐 – 라이브 비디오 기술자 (2013–2022); 전자 타악기 (2023–현재)
- 게오르그 봉가르츠 - 라이브 비디오 기술자 (2023–현재)
== 이전 멤버 ==
크라프트베르크의 이전 멤버는 다음과 같다.
- '''플로리안 슈나이더'''(Florian Schneider) - 신시사이저, 백 보컬, 보코더, 컴퓨터 생성 보컬, 어쿠스틱 및 전자 플루트, 라이브 색소폰, 타악기, 일렉트릭 기타, 바이올린 (1970–2008; 2020년 사망)[197][198]: 크라프트베르크 창립 멤버 중 한 명으로, 2020년 4월 21일 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73세)
- 안드레아스 호만 (Andreas Hohmann) - 드럼 (1970): 첫 번째 앨범에도 참여했다.
- 토마스 로만(Thomas Lohmann) - 드럼 (1970): 1970년 극초기에 재적한 재즈 뮤지션.
- 한스-귄터 "찰리" 바이스 (Charly Weiss) - 드럼 (1970): 에버하르트와 플로리안과 함께 라이브 활동을 했다. 2009년 12월 31일, 장기 요양 중 사망했다. (향년 70세)
- 페터 슈미트 (Peter A. Schmidt) - 드럼 (1970)
- 클라우스 딩거(Klaus Dinger) - 드럼 (1970, 1971; 2008년 사망): 2008년 3월 21일,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향년 61세)
- 에버하르트 크라네만 (Eberhard Kranemann) - 베이스 기타, 첼로, 스틸 기타 (1970–1971)[115]: 샤를리 바이스와 플로리안과 함께 라이브 활동을 했다. 2017년 하랄트 그로스코프와 함께 앨범 "Krautwerk"를 발표했다. 이전부터 크라프트베르크의 기원은 자신의 밴드 Pissoff에 플로리안이 참여한 시점이라고 주장했으며, 자신의 페이스북에서도 크라프트베르크 재적 기간을 1967-1971로 기재하고 있다.[199]
- 후솅 네자데푸르 (Houschäng Néjadepour) - 일렉트릭 기타 (1970–1971): 에버하르트, 샤를리, 플로리안과 함께 라이브 활동을 했던 이란인 2세. 인도풍 기타 터치였다고 한다.[200]
- 미하엘 로터(Michael Rother) - 일렉트릭 기타 (1971): 랄프가 일시적으로 탈퇴했던 시기에 약 반년 동안 재적했다. 1975년 크라프트베르크의 미국과 영국 투어에 참여 요청을 받았지만, 자신의 밴드 "노이!"와 "Harmonia" 활동으로 바빠 정중히 거절했다고 나중에 말했다.[201] 결과적으로 투어에는 카를 바르토스가 참여하게 되었지만, 최근 오디오 기기 제조사가 후원한 바르토스의 앨범 시청 이벤트[202]를 통해 친구가 되어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2019년 인터뷰에서 로터는 바르토스가 크라프트베르크에서 얻은 경험에 대해 부러운 마음은 없다고 말했다.[203]
- 플라토 코스티치 (Plato Kostic Riviera) - 베이스 기타 (1973): 랄프의 학창 시절 친구로 그리스인[204]
- 에밀 슐트(Emil Schult) - 일렉트릭 기타, 전자 바이올린 (1973): 랄프, 플로리안 등과 함께 라이브 활동을 했다.
- 볼프강 퓌르(Wolfgang Flür) - 전자 타악기 (1973–1987)
- 클라우스 뢰더(Klaus Röder) - 일렉트릭 기타, 전자 바이올린 (1974–1975): 앨범 "아우토반"에 참여.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크라프트베르크에 가입한 것은 사고와 같은 것이었고, 팝 음악을 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205](2012년에 삭제[206]). 랄프와 플로리안에게 음악성의 차이로 탈퇴를 신청했지만, 신규 멤버 선정을 기다리라는 위로를 받았으나, 이후 연락이 없었고 카를 바르토스의 가입은 나중에 알게 되었다고 인터뷰에서 답했다.[207]
- 카를 바르토스(Karl Bartos) - 전자 타악기, 보컬, 라이브 비브라폰, 라이브 키보드 (1975–1990)[116][208]
- 페르난두 아브란테스(Fernando Abrantes) - 전자 타악기, 신시사이저 (1991): 앨범 "The Mix" 및 1991년 투어에 참여한 독일계 포르투갈인 뮤지션.
- 슈테판 파페 (Stefan Pfaffe) - 영상 테크니션 (2008–2012): 가입 이전에도 크라프트베르크와 관계가 있었다.
- 프리츠 힐페르트(Fritz Hilpert) - 전자 타악기 (1989–2022)[117]: "THE MIX" 시절부터 참여. 2023년부터 시작된 투어 이후부터는 참여하지 않아 탈퇴(은퇴)로 보이지만, 2024년 5월 시점에서는 공식 사이트에서 아무것도 공표되지 않았다.
5. 1. 현재 멤버
- 랄프 휘터 – 리드 보컬, 보코더, 신시사이저, 키보드 (1970–1971, 1971–현재); 오르간, 드럼 및 타악기, 베이스 기타, 기타 (1970–1971, 1971–1974)
크라프트베르크의 창립자. 학업을 우선하기 위해 1971년 한때 탈퇴했지만, 플로리안 슈나이더의 요청으로 같은 해에 복귀했다.
- 헤닝 슈미츠 – 음향 효과, 라이브 키보드 (1991–현재) 가입 이전에도 엔지니어로서 크라프트베르크와 관계를 맺고 있었다.
- 팔크 그리펜하겐 – 라이브 비디오 기술자 (2013–2022); 전자 타악기 (2023–현재)
- 게오르그 봉가르츠 - 라이브 비디오 기술자 (2023–현재)
5. 2. 이전 멤버
크라프트베르크의 이전 멤버는 다음과 같다.- 플로리안 슈나이더(Florian Schneider) - 신시사이저, 백 보컬, 보코더, 컴퓨터 생성 보컬, 어쿠스틱 및 전자 플루트, 라이브 색소폰, 타악기, 일렉트릭 기타, 바이올린 (1970–2008; 2020년 사망)[197][198]: 크라프트베르크 창립 멤버 중 한 명으로, 2020년 4월 21일 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73세)
- 안드레아스 호만 (Andreas Hohmann) - 드럼 (1970): 첫 번째 앨범에도 참여했다.
- 토마스 로만(Thomas Lohmann) - 드럼 (1970): 1970년 극초기에 재적한 재즈 뮤지션.
- 한스-귄터 "찰리" 바이스 (Charly Weiss) - 드럼 (1970): 에버하르트와 플로리안과 함께 라이브 활동을 했다. 2009년 12월 31일, 장기 요양 중 사망했다. (향년 70세)
- 페터 슈미트 (Peter A. Schmidt) - 드럼 (1970)
- 클라우스 딩거(Klaus Dinger) - 드럼 (1970, 1971; 2008년 사망): 2008년 3월 21일,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향년 61세)
- 에버하르트 크라네만 (Eberhard Kranemann) - 베이스 기타, 첼로, 스틸 기타 (1970–1971)[115]: 샤를리 바이스와 플로리안과 함께 라이브 활동을 했다. 2017년 하랄트 그로스코프와 함께 앨범 "Krautwerk"를 발표했다. 이전부터 크라프트베르크의 기원은 자신의 밴드 Pissoff에 플로리안이 참여한 시점이라고 주장했으며, 자신의 페이스북에서도 크라프트베르크 재적 기간을 1967-1971로 기재하고 있다.[199]
- 후솅 네자데푸르 (Houschäng Néjadepour) - 일렉트릭 기타 (1970–1971): 에버하르트, 샤를리, 플로리안과 함께 라이브 활동을 했던 이란인 2세. 인도풍 기타 터치였다고 한다.[200]
- 미하엘 로터(Michael Rother) - 일렉트릭 기타 (1971): 랄프가 일시적으로 탈퇴했던 시기에 약 반년 동안 재적했다. 1975년 크라프트베르크의 미국과 영국 투어에 참여 요청을 받았지만, 자신의 밴드 "노이!"와 "Harmonia" 활동으로 바빠 정중히 거절했다고 나중에 말했다.[201] 결과적으로 투어에는 카를 바르토스가 참여하게 되었지만, 최근 오디오 기기 제조사가 후원한 바르토스의 앨범 시청 이벤트[202]를 통해 친구가 되어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2019년 인터뷰에서 로터는 바르토스가 크라프트베르크에서 얻은 경험에 대해 부러운 마음은 없다고 말했다.[203]
- 플라토 코스티치 (Plato Kostic Riviera) - 베이스 기타 (1973): 랄프의 학창 시절 친구로 그리스인[204]
- 에밀 슐트(Emil Schult) - 일렉트릭 기타, 전자 바이올린 (1973): 랄프, 플로리안 등과 함께 라이브 활동을 했다.
- 볼프강 퓌르(Wolfgang Flür) - 전자 타악기 (1973–1987)
- 클라우스 뢰더(Klaus Röder) - 일렉트릭 기타, 전자 바이올린 (1974–1975): 앨범 "아우토반"에 참여.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크라프트베르크에 가입한 것은 사고와 같은 것이었고, 팝 음악을 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205](2012년에 삭제[206]). 랄프와 플로리안에게 음악성의 차이로 탈퇴를 신청했지만, 신규 멤버 선정을 기다리라는 위로를 받았으나, 이후 연락이 없었고 카를 바르토스의 가입은 나중에 알게 되었다고 인터뷰에서 답했다.[207]
- 카를 바르토스(Karl Bartos) - 전자 타악기, 보컬, 라이브 비브라폰, 라이브 키보드 (1975–1990)[116][208]
- 페르난두 아브란테스(Fernando Abrantes) - 전자 타악기, 신시사이저 (1991): 앨범 "The Mix" 및 1991년 투어에 참여한 독일계 포르투갈인 뮤지션.
- 슈테판 파페 (Stefan Pfaffe) - 영상 테크니션 (2008–2012): 가입 이전에도 크라프트베르크와 관계가 있었다.
- 프리츠 힐페르트(Fritz Hilpert) - 전자 타악기 (1989–2022)[117]: "THE MIX" 시절부터 참여. 2023년부터 시작된 투어 이후부터는 참여하지 않아 탈퇴(은퇴)로 보이지만, 2024년 5월 시점에서는 공식 사이트에서 아무것도 공표되지 않았다.
6. 음악 스타일 및 영향
크라프트베르크는 전자 음악[88][59], 일렉트로팝[60][88][59], 아트 팝[61][62][63], 하우스 음악[64], 신스팝[65][66][67], 전자 록[68] 등 다양한 장르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초기에는 아방가르드 음악[59][69][70]과 실험 록 스타일을 추구했으며,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과 비치 보이스[71], 제임스 브라운[8]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독일의 크라우트 록[72][88] 씬과도 연관되었던 이들은 1970년대 중반 "로봇 팝"[73]이라 불리는 전자 사운드로 전환했다.
크라프트베르크의 가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도시 생활과 기술, 아우토반[74], 기차 여행, 홈 컴퓨터 사용 등을 주제로 다루었다.[66] 바우하우스 미학의 영향을 받아 예술과 일상 기능의 통합을 추구했으며,[66] 미니멀 음악적인 가사는 현대 세계에 대한 찬양과 경고를 동시에 담아냈다.[74][75] 이들의 많은 노래는 현대 기술의 즐거움과 소외감이 공존하는 도시 생활의 역설을 표현한다.[74][75]
아우토반 발매 이후, 크라프트베르크는 ''Radio-Activity'', ''Trans-Europe Express'', ''The Man-Machine'', ''Computer World'', ''Tour de France Soundtracks'' 등 일련의 컨셉 앨범을 발표했다.[76] ''Tour de France Soundtracks''를 제외한 모든 앨범은 독일어 버전과 영어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언어 버전도 제작되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홈메이드 악기와 맞춤 제작 장치를 통해 음악 기술의 혁신을 추구했다.[6] 클링클랑 스튜디오를 복잡한 음악 악기이자 음향 연구소로 활용했으며, 특히 플로리안 슈나이더는 음악 기술에 매료되어 밴드의 기술적 측면을 담당했다.[6] 알렉세이 먼로는 크라프트베르크를 "비학술적 전자 음악에 산업 음악의 표현을 통합한 최초의 성공적인 예술가"라고 평가했다.[78]
랄프 운트 플로리안과 아우토반 앨범에서 맞춤 제작된 보코더를 사용했다.[79] 1975년에는 센서 패드가 있는 전자 드럼 키트 특허를 받았다.[83][80] 1973년 독일 제2 독일 텔레비전의 ''아스페크테''에서 볼프강 플뤼어가 이 장치를 연주했다.[81] ''아우토반''과 ''유럽 횡단 특급''을 위해 드럼 머신을 제작했다.[82] 1976년 ''Radio-Activity'' 투어에서는 광선 빔 활성화 드럼 케이지를 실험했지만, 곧 폐기되었다.[83] 같은 해, 음악 시퀀서인 신타노르마 시퀀서(Intervallomat)를 제작하여 ''유럽 횡단 특급'' 앨범의 리듬 사운드 제어에 사용했다.[83][84]
2002년 이후 라이브 공연은 가상 기술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85] 프리츠 힐페르트에 따르면, 노트북과 소프트웨어의 안정성 덕분에 복잡한 투어링 설정을 간소화할 수 있었다.[85]
음악 저널리스트 닐 맥코믹은 크라프트베르크를 "팝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그룹"이라고 평가했다.[88] ''NME''는 이들을 비틀즈와 함께 음악 역사상 가장 중요한 두 밴드 중 하나로 꼽았다.[20] AllMusic은 이들의 음악이 20세기 후반 팝씬의 거의 모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73]
크라프트베르크의 음악 스타일과 이미지는 신스팝 그룹인 게리 뉴먼,[89] 울트라복스,[89] 존 폭스,[89] 비자지,[89] 심플 마인즈,[89] 더 휴먼 리그, 소프트 셀,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 등에 영향을 주었다. 데페쉬 모드의 마틴 고어는 크라프트베르크를 "전자 음악 관련 모든 사람들의 대부"라고 칭했다.[88] 오케스트랄 매뉴버스 인 더 다크 (OMD)는 크라프트베르크의 영향을 받아 ''Sugar Tax'' 앨범에서 "Neon Lights"를 커버했다.[91][92]
힙합, 하우스, 드럼 앤 베이스 등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일렉트로 장르의 선구자로 여겨진다.[93] 언더월드의 칼 하이드[94], 테크노를 만든 '벨빌 3인조'[95], 레이디트론[96], 에이펙스 트윈[97], 비요크[98] 등이 크라프트베르크의 영향을 언급했다.
데이비드 보위[100],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101], 수지 앤 더 밴시스[103], 블론디[104], 심플 마인즈와 U2, LCD 사운드 시스템[105], 람슈타인[106], 존 프루시안테[107]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크라프트베르크에게서 영감을 받았거나 그들의 작품을 샘플링/커버했다.
마이크 마이어스가 연출한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Sprockets" 스케치 테마곡으로 크라프트베르크의 "Electric Café"가 사용되었다.[108][109] 코미디 ''The Big Lebowski''에는 크라프트베르크와 ''Autobahn''을 패러디한 밴드가 등장한다.[110]
2018년 BBC 라디오 4는 ''Kraftwerk: Computer Love''라는 다큐멘터리를 방송했다.[111] 2019년 크라프트베르크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 후보로 지명되었고,[112] 2021년 헌액자로 발표되었다.[113]
아프리카 밤바타는 크라프트베르크의 곡을 무단으로 사용하여 "일렉트로 펑크"라는 새로운 사운드를 만들어냈다[158]。 후안 아킨스는 데릭 메이에게 크라프트베르크와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를 가르치며 테크노 (디트로이트 테크노[159])의 기원에 영향을 주었다.
크라프트베르크는 채식주의와 사이클링을 통해 체력을 만들었으며, 자전거 경기 대회에서 착안한 곡 를 발표했다.
마이클 잭슨은 크라프트베르크와의 협력을 원했으며,[162][163] ''The Man-Machine''의 오리지널 멀티 트랙 사용을 제안받았지만, 랄프 휘터는 이를 정식으로 인정하지 않았다.[164]
제임스 브라운 다음으로 DJ용 레코드에 가장 많이 샘플링되는 음악으로 알려져 있다.[166] 볼프강과 카를은 80년대 말과 90년에 그룹에서 탈퇴했다.
라디오헤드, 레드 핫 칠리 페퍼스[178], 시스템 오브 어 다운[179], 콜드플레이[180], 다프트 펑크, 닥터 드레[https://tower.jp/article/news/2010/04/13/5242], 프란츠 퍼디난드, 듀란 듀란[181], 케미컬 브라더스[182], 에이펙스 트윈, LCD 사운드 시스템, 디지탈리즘, LFO, 벅-틱, 덴키 그루브, 폴리식스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스트들에게 장기적인 영향을 주었다.[183][184]
70년대부터 현재까지 그들의 음악은 영화에 자주 사용되고[185] 있지만, 개성적인 수법이나 명확한 주제를 가지지 않는 영상 작품에서는 그들의 음악의 존재감과 궁합이 좋지 않아 남용되지 않는다. 일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에서 BGM으로 사용될 때는 아우토반 이후의 곡들이 퀴즈나 통계를 표시하는 영상 등 사고력이 요구되는 장면에 많이 사용된다. 스트리트 댄스 곡으로도 폭넓게 사용된다.
컴퓨터 월드 투어에서는 신시사이저가 "거대한 상자"였던 시대의 콘서트 풍경을 보여주었지만,[186] 2002년 파리 시테 드 라 뮤지크 라이브 이후 노트북 PC (VAIO)와 스타인버그 사의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DAW) 소프트웨어인 Cubase를 사용하여 곡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영상을 투영하는 스타일로 변화했다.[187]
최근에는 관객이 전용 안경을 사용하여 무대를 감상하는 3D 콘서트가 개최되고 있다.
7. 음반 목록
크라프트베르크의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크라프트베르크'' (1970)
- ''크라프트베르크 2'' (1972)
- ''랄프 운트 플로리안'' (1973)
- ''아우토반'' (1974)
- ''라디오-아크티비ät'' (1975)
- ''유럽 횡단 특급'' (1977)
- ''인간-기계'' (1978)
- ''컴퓨터 벨트'' (1981)
- ''일렉트릭 카페'' (1986)
- ''더 믹스'' (1991)
- ''투르 드 프랑스 사운드트랙'' (2003)
『크라프트베르크』, 『크라프트베르크 2』, 『랄프 & 플로리안』 3장의 음반은 현재 정규반으로는 발매되지 않아 구하기 어렵다. 랄프는 "부정하지는 않지만 과거의 일에 대해선 별로 이야기하지 않는다."라고 말했고, 플로리안은 "과거의 유물[209]."이라고 언급했다. 랄프는 또한 "클링클랑 스튜디오의 서고에 있는 Kraftwerk 1과 2, Ralf & Florian과 라이브 테이프에 관해 에밀 슐트와 리마스터 작업을 진행 중이다[210]."라고 말했다.
1986년에 발매된 일렉트릭 카페는 2009년 11월 발매된 리마스터판부터 『테크노 팝』(Techno Pop)으로 개제되었다. 『The Mix』 (1991년)는 『아우토반』부터 『일렉트릭 카페』까지 수록된 곡의 리믹스 컴필레이션이다.
- ''Remixes'' (2020년) - 싱글반에만 수록되었던 리믹스 버전의 곡과 Music non stop의 리믹스 버전 (Non Stop으로 수록)의 컴필레이션 (디지털/스트리밍).[211]
- 『미니멈-맥시멈』 - ''Minimum-Maximum'' (2005년)
『방사능』 이후의 곡은 일부를 제외하고 영어 버전과 독일어 버전의 두 종류가 존재한다. 같은 앨범이라도 기본적으로 영·독 2가지 버전으로 발매된다 (『투르 드 프랑스』는 1가지 버전만). 예외로 「포켓 캘큘레이터」(『컴퓨터 월드』수록)처럼 영·독·불·일 4개 국어와 「쇼룸 더미」(『유럽 횡단 특급』수록)의 영·독·불 3개 국어, 「섹스 오브젝트」(『일렉트릭 카페』수록)의 영·독과 스페인판 초회 한정으로 수록된 스페인어판의 3개 국어, 1983년에 발매된 싱글 「투르 드 프랑스」(일본 미발매)의 독일어와 제목에 관련된 프랑스어의 2개 국어와 같은 예외도 있다.
1986년 앨범 『일렉트릭 카페』는, 한국판만 유교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섹스 오브젝트」를 컷하여 총 5곡이 수록된 버전으로 발매되었다.
세계적인 판매망은, 1975년의 『방사능』부터 1980년경까지는 EMI 계열이었지만, 1981년의 『컴퓨터 월드』 이후부터 북미만 워너 브라더스 (일렉트라)로 이행했다(다른 지역은 계속 EMI). 파롤폰 레이블 그룹의 워너에 의한 인수와 함께[212], 2013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아우토반 이후의 모든 타이틀이 워너 계열(파롤폰 레이블)에서 발매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ee them to believe it: why Kraftwerk is the world's most influential band
http://theconversati[...]
2017-06
[1]
웹사이트
Kraftwerk Are More Influential Than The Beatles. Let Us Explain
https://www.laweekly[...]
2017-09-26
[1]
웹사이트
Why Kraftwerk are still the world's most influential band
http://www.theguardi[...]
2013-01-27
[1]
Youtube
Kraftwerk - Pop Art (documentary 2013)
https://www.youtube.[...]
YouTube
2018-01-14
[2]
웹사이트
Lifetime Achievement Award: Kraftwerk
http://www.grammy.co[...]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
2014-01-14
[3]
뉴스
Tina Turner, Jay-Z, Foo Fighters Among Those Inducted Into Rock & Roll Hall Of Fame
https://www.npr.org/[...]
2021-05-12
[4]
웹사이트
CONCERTS
http://www.kraftwerk[...]
[5]
뉴스
Kraftwerk Add New Dates to 2022 North American Tour
https://consequence.[...]
2022-03-29
[6]
서적
Kraftwerk—Man, Machine & Music
SAF Publishing
[7]
서적
"Kraftwerk: Man, Machine and Music"
SAF Publishing Ltd.
1993
[8]
뉴스
Why Kraftwerk are still the world's most influential band
https://www.theguard[...]
2013-01-27
[9]
서적
'Kraftwerk': I Was A Robot
Sanctuary Publishing
[10]
서적
Generation Ecstasy: into the world of techno and rave culture
Routledge
[11]
웹사이트
allmusic ((( Kraftwerk > Charts & Awards > Billboard Albums )))
https://www.allmusic[...]
[12]
문서
"Vorsprung durch Technik ? Kraftwerk and the British Fixation with Germany"
Continuum Books
[13]
웹사이트
Datamath
http://www.datamath.[...]
Datamath
2001-12-05
[14]
웹사이트
Kraftwerk albums Chart
http://www.officialc[...]
[15]
문서
Der Klang der Maschine
[16]
뉴스
'I got a new head, and I'm fine'
https://www.theguard[...]
2009-06-18
[17]
웹사이트
2 Cents: Kraftwerk, Tribal Gathering
http://www.physicsro[...]
1997-05-25
[18]
웹사이트
Aktivitaet Online - Archive - General articles - Kraftwerk's live werk of Autumn 1997
http://www.aktivitae[...]
[19]
웹사이트
"Kraftworld, Kraftwerk 1998" Tour
http://www.kraftworl[...]
[20]
뉴스
"Kraftwerk: Minimum-Maximum Live"
https://www.nme.com/[...]
2005-06-02
[21]
뉴스
Interview: Ralf Hutter of Kraftwerk
http://www.nzherald.[...]
2008-09-27
[22]
뉴스
Kraftwerk's co-founder Florian Schneider leaves band
https://www.telegrap[...]
2009-01-07
[23]
뉴스
"Nice Werk"
https://www.independ[...]
2009-01-07
[24]
웹사이트
"Illness forces Kraftwerk to miss Melbourne Global Gathering"
http://www.inthemix.[...]
2008-11-23
[25]
웹사이트
MIF.co.uk
http://www.mif.co.uk[...]
[26]
뉴스
Kraftwerk/Steve Reich
https://www.theguard[...]
2009-07-03
[27]
웹사이트
Kraftwerk to headline Bestival
http://ventnorblog.c[...]
2009-02-26
[28]
웹사이트
More and more remastered Kraftwerk eight-CD promo boxed sets auctioned via eBay
http://www.side-line[...]
2012-12-01
[29]
뉴스
Article
http://kraftwerk.tec[...]
2006
[30]
웹사이트
Lenbachhaus – Kunstbau
http://www.lenbachha[...]
[31]
뉴스
Kraftwerk denied festival appearance in China
https://www.theguard[...]
2013-03-29
[32]
뉴스
Kraftwerk's Ralf Hütter: 'Now we can concentrate on album number nine'
https://www.theguard[...]
2013-06-12
[33]
뉴스
Sun cream at the ready as Longitude festival gets underway in Marlay Park
https://www.irishtim[...]
2018-06-19
[34]
웹사이트
Kraftwerk: 'Optreden in Evoluon is geweldig'
http://www.ed.nl/ext[...]
[35]
Youtube
Kraftwerk – Spacelab (Live @ Evoluon 18-10-2013)
https://www.youtube.[...]
YouTube
2013-10-18
[36]
웹사이트
Kraftwerk – KRAFTWERK 1 2 3 4 5 6 7 8 – LAPhil
http://kraftwerk.lap[...]
2012-09-24
[37]
웹사이트
Summer Sonic 2014 Lineup
http://www.summerson[...]
2014-05-19
[38]
웹사이트
Computer World (3-D Le Catalogue): Kraftwerk – Fondation Louis Vuiton, Paris – November 10, 2014
http://www.myconcert[...]
[39]
웹사이트
Kraftwerk sets 8-night Paradiso residency
http://www.nltimes.n[...]
2014-09-09
[40]
웹사이트
Special Report Kraftwerk At The Tour De France – Electronic Sound
https://www.electron[...]
2024-07-04
[41]
뉴스
Kraftwerk to open Tour de France in Dusseldorf
https://www.dw.com/e[...]
2017-01-31
[42]
웹사이트
Kraftwerk and LCD Soundsystem among Grammy Awards 2018 winners
https://www.resident[...]
[43]
Youtube
Good evening, Kraftwerk / Guten Abend Kraftwerk, guten Abend Stuttgart!
https://www.youtube.[...]
YouTube
2018-07-21
[44]
웹사이트
Kraftwerk
https://www.discover[...]
[45]
뉴스
Remembering Kraftwerk's Florian Schneider, the prophet of the post-human
https://nationalpost[...]
2020-05-08
[46]
웹사이트
Kraftwerk co-founder Florian Schneider-Esleben dies aged 73
https://apnews.com/6[...]
2020-05-06
[47]
웹사이트
Kraftwerk's German language albums, 3-D documentary hit streaming services for first time
https://consequence.[...]
2020-07-02
[48]
웹사이트
Remixes
https://www.qobuz.co[...]
[49]
Youtube
MTV Europe - Music Non-Stop (1993-97) - ALL Idents
https://www.youtube.[...]
2013-06-05
[50]
웹사이트
Kraftwerk have been inducted into the Rock & Roll Hall Of Fame
https://mixmag.net/r[...]
2024-07-04
[51]
웹사이트
Kraftwerk Announce 2022 North American Tour
https://pitchfork.co[...]
2021-11-01
[52]
간행물
Tourdates 2022
https://www.rollings[...]
2021-01-01
[53]
Youtube
Optic & Music I
https://www.youtube.[...]
2023-01-01
[54]
웹사이트
Optic & Music II
https://www.stimme.d[...]
2023-01-01
[55]
웹사이트
Optic & Music III
https://www.krone.at[...]
2024-01-01
[56]
웹사이트
Optic & Music IV
https://www.bild.de/[...]
2024-01-01
[57]
웹사이트
Kraftwerk Announce Career-Spanning Residency in Los Angeles
https://pitchfork.co[...]
2024-01-10
[58]
웹사이트
Kraftwerk perform 'Merry Christmas, Mr Lawrence' in tribute to Ryuichi Sakamoto
https://mixmag.net/r[...]
2024-07-31
[59]
웹사이트
The Kraftwerk conference: Why a bunch of academics consider the German electropoppers worthy of their own symposium
https://www.independ[...]
2015-01-21
[60]
서적
Continuum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f the World: VolumeII: Performance and Production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3-07-08
[61]
웹사이트
Kraftwerk announce residency at New York's Moma
https://www.theguard[...]
2012-02-16
[62]
웹사이트
Beatles to Receive Grammy Lifetime Achievement Award
http://ultimateclass[...]
2013-12-13
[63]
뉴스
Made in Detroit, Different Music Models
http://mobile.nytime[...]
2016-05-31
[64]
웹사이트
House Roots
https://www.80s80s.d[...]
2021-01-01
[65]
웹사이트
Kraftwerk brought their 3D tour to United Palace Theatre (pics, set list), do it again tonight
http://www.brooklynv[...]
2014-04-02
[66]
웹사이트
Ladies und Gentlemen, the future has arrived
https://www.independ[...]
2013-01-27
[67]
웹사이트
Review: Kraftwerk rocks Northrop Auditorium, German-style
http://www.twincitie[...]
2015-10-06
[68]
웹사이트
10 Most Influential Electronic Rock Artists
https://whatculture.[...]
2022-02-10
[69]
웹사이트
Video Surfaces of Kraftwerk's Television Debut in 1970
https://consequence.[...]
2014-03-26
[70]
웹사이트
What Does Kraftwerk Mean to You?
http://www.thestrang[...]
[71]
웹사이트
D>Elektro – MATERIAL – Kraftwerk – Interview 11/76 – P. Alessandrini
http://www.thing.de/[...]
2012-12-14
[72]
서적
Deutsch Als Fremdsprache
https://books.google[...]
Peter Lang
[73]
AllMusic
2012-09-11
[74]
서적
Kraftwerk: from Dusseldorf to the Future With Love
Ebury Press
1998
[75]
웹사이트
DNA I
https://www.theguard[...]
2012
[76]
서적
Kraftwerk: Future Music from Germany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20-02-27
[77]
간행물
The man behind Kraftwerk's machines
https://edmontonjour[...]
2015-09-14
[78]
서적
Interrogation Machine: Laibach and NSK
https://archive.org/[...]
Cambridge: The MIT Press
[79]
웹사이트
Kraftwerk Vocoder (Barth / Leunig) sold: $12,500
http://www.sequencer[...]
2006-06-25
[80]
Youtube
'Tomorrow''s world' (1976 TV performance)
https://www.youtube.[...]
YouTube
2008-01-23
[81]
서적
"Kraftwerk": I Was A Robot
Sanctuary Publishing
2001
[82]
서적
Generation Ecstasy
Routledge
2013
[83]
웹사이트
Aktivitaet Online – Archive – General articles – Kling Klang: The Electronic Garden
http://www.aktivitae[...]
[84]
웹사이트
Synthanorma Sequenzer – description by D. Matten
http://www.elektropo[...]
[85]
문서
Interview: ''The Future Is Virtual – Music Tech Talk With Fritz Hilpert''
Sounds & Performance magazine
2009
[86]
Youtube
Top 100 Albums: Kraftwerk Trans-Europe-Express commented by Johnny Marr and Mark Radcliffe
https://www.youtube.[...]
YouTube
2007-04-01
[87]
뉴스
The 21 people who changed music – They are the robots.
Q Magazine
2007-11
[88]
뉴스
Kraftwerk: the most influential group in pop history?
https://www.telegrap[...]
2013-01-30
[89]
문서
Kraftwerk: Music Non-Stop
2011
[90]
Youtube
"Synth Britannia"
https://www.youtube.[...]
BBC Four
2009-10-19
[91]
웹사이트
OMD biography
http://omd.uk.com/ht[...]
[92]
웹사이트
OMD discography: Sugar Tax
https://omd.uk.com/d[...]
[93]
문서
"The story of ORCH5, or, the classical ghost in the hip-hop machine"
Popular Music
2005-11-09
[94]
웹사이트
Underworld's Dubnobass ... 20 years on
https://www.theguard[...]
2014-10-09
[95]
웹사이트
KEXP 90.3 FM – KEXP Documentary: POP Goes Electronic
http://www.kexp.org/[...]
[96]
웹사이트
Ladytron: 604 - Release Music Magazine review
http://www.releasema[...]
[97]
뉴스
Tank boy
https://www.theguard[...]
2001-10-05
[98]
서적
Björk: Wow and Flutter
https://books.google[...]
ECW Press
[99]
웹사이트
Bakers Dozen: Alex Paterson of the Orb Chooses His Favourite 13 Albums
http://thequietus.co[...]
2010-11-04
[100]
문서
Bowie: An Illustrated Record
1981
[101]
문서
The album Trans-Europe Express was played over the PA before Joy Division's concerts. New Order's song "Your Silent Face" also has some similarities with "Europe Endless" and had a working title of "KW1", or "Kraftwerk 1". New Order also recorded a song called "Krafty" that appeared as a single and on the album Waiting for the Sirens' Call.
[102]
서적
The Blue Monday Diaries: In the Studio with New Order
Plexus Publishing Ltd
2015-11-30
[103]
간행물
Intervista: I Kraftwerk, redeirelettronica: 'Partiamo per il Tour de France'
http://www.archiviol[...]
2003-08-22
[104]
서적
Blondie – Parallel Lines
https://books.google[...]
The Mojo Collection: the ultimate music companion
2007
[105]
뉴스
Falstaff with a synth: LCD Soundsystem at Alexandra Palace
https://www.ft.com/c[...]
Financial Times
2017-09-25
[106]
간행물
Die zehn erfolgreichsten Singles von Rammstein
https://www.rollings[...]
2020-03-30
[107]
웹사이트
Kraftwerk hatten noch Mut zum Risiko ...
http://www.laut.de/J[...]
2004-03-01
[108]
서적
Dreams of Germany: Musical Imaginaries From the Concert Hall to the Dance Floor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9
[109]
웹사이트
Riding the Trans-Europe Express
https://www.moma.org[...]
2011-02-24
[110]
뉴스
The Dude abides: The Big Lebowski 20 years on
https://www.irishtim[...]
2018-09-22
[111]
웹사이트
Kraftwerk: Computer Love, Soul Music – BBC Radio 4
http://www.bbc.co.uk[...]
BBC
2018-01-24
[112]
뉴스
Thin Lizzy nominated for Rock & Roll Hall of Fame 2020 induction
https://www.irishtim[...]
[113]
뉴스
Class of 2021 Inductees
https://www.rockhall[...]
[114]
뉴스
C6 Fest – Kraftwerk faz show impecável para plateia reverente no Rio
https://ambrosia.com[...]
[115]
웹사이트
Kraftwerk: Über Leverkusen in den Musik-Olymp
http://www.ksta.de/s[...]
2014-01-24
[116]
웹사이트
KARL BARTOS – Curriculum vitae Karl Bartos
http://www.karlbarto[...]
Karl Bartos
[117]
웹사이트
Kraftwerk – About _ Facebook
https://www.facebook[...]
KraftwerkOfficial
[118]
문서
1970年代後半以降のラルフ・ヒュッターはクラフトワークの音楽を好んで“ロボ・ポップ”と称した他、やがて20世紀のクラシック、またはインダストリアル・フォークソングとも称している
[119]
문서
音楽ライターでレコード制作者のパスカル・ビュッシーは1994年の著書『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の前書きで「クラフトワークに影響を受けたグループがあまりに膨大な数にのぼるので、その名を列挙したり、インタビューをするのがとても無理なことが分かった」と記している。
[120]
뉴스
'Call Them the Beatles Of Electronic Dance Music'''
http://www.nytimes.c[...]
NEIL STRAUSS
1997
[121]
문서
植物園で出会ったという。
[122]
문서
クラフトワークと親しいジャーナリスト ポール・アレッサンドリーニは「面白いことに二人は上層中産階級の出なんだ。彼らは大ブルジョワ出身のインテリで、それとは違った世界を発見しようとしたんじゃないか。それでロックの世界に入り込んでみようとしたわけだ」と推察している。
[123]
문서
ラルフや後に加入するカールは「クラシックや行進曲、英語で歌われるポップスでは無く自分たちの音楽を持とうと思った」と事あるごとに語っている。最もそれらの音楽を否定してはおらず、70年代半ば以降ラルフは「僕たちがやっているのはクラシックだから、曲もクラシックになる」と発言していた。また後にレコード会社で彼らを担当することになるマクシム・シュミットは「グループとしての力、クラシック性、強さ、全てがクラフトワークの中にはあった。それはラルフによって与えられたものだ」と発言している。
[124]
문서
クラフトワークの音楽の根底には伝統的なドイツ特有のリズム感があるとも発言している。
[125]
문서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P30
[126]
문서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P40
[127]
문서
ドイツのグループでありながら英語で名乗るタンジェリン・ドリームなどとの違いが意識されていた。ラルフ曰く「ドイツ語はとてもメカニカルで、それを音楽の基本構造として使っている」
[128]
문서
ピンク・フロイドからの影響をインタビュアーに指摘されたラルフは「逆だ。彼らこそフランスの新古典主義音楽やドイツの電子音楽から多くを得ている」と返した。
[129]
문서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P114
[130]
문서
40年後にニューヨーク近代美術館(MoMA)で回顧展が行われた事について結成当時からアート・シーンに関わりがあった事にラルフはインタビューで言及している他、フローリアンは「自分達の友人には音楽家よりも医者やコンピューターの専門家、心理学者、作家、画家など他分野の人の方が多い」と発言した事もある
[131]
문서
楽器の発案や人工音声の制作を得意としたフローリアンについて後に加入するカールは「音楽家というよりはアーティストに近い」と形容している。またグループの共同作業者であったエーミール・シュルトは「常に引っ張り役だったのはフローリアンで、新しい展開をする段になると、フローリアンが物事を前に進めた。気性からいって彼はみんなと速度が違っていた。音楽に磨きがかかっていたら、それはフローリアンのおかげだ」と発言している。
[132]
문서
主にザ・フーなどに影響されていたヴォルフガングは、当時長髪だったラルフの外見にドアーズからの影響を感じたと著書ロボット時代で振り返っている
[133]
문서
2013年のインタビューでラルフの口から「当時のアルバムはコレクター向け」と位置付けられた
[134]
문서
ラルフは「我々は頭脳的なことばかりを意味するエレクトロニック(ミュージック)に体幹(ハート=筋肉)を加えた」と表現している
[135]
문서
フローリアンは「自分たちのヒーローであるビーチ・ボーイズと同じ地に立てて光栄だ」と語った。また楽曲アウトバーンの歌詞"Wir fahr'n fahr'n fahr'n auf der Autobahn"は正確なドイツ語を若干崩しておりビーチ・ボーイズの楽曲Fun, Fun, Funのフレーズを意識したと言われている(ヒットした要因にもあげられる)
[136]
문서
「演奏者は音楽のダイナミズムを表現するためにステージ上で情熱的になる事が多いのにクラフトワークは徹底してクールですね」とのインタビューに対しラルフは「音楽は我々にとってより精神的なものなんだ。ボタンの操作を誤ってしまう訳にはいかないのでステージ上では無暗やたらに飛び回る事はできない。電子機材は非常に繊細なもので、その操作はミクロ単位でメスを動かすようなものなんだ」と答えている。また「オーディエンスの反応は気にしていますか?」と聞かれ「もちろんだ、我々は20人から2万人の前で演奏するがオーディエンスの反応はいつだってライヴの重要な要素さ」と答えている。
[137]
문서
フローリアンの発案で制作された光電管製の巨大な檻型電子ドラムは反応が極めて不確実であったものの、何らかの面倒なトラブルに見舞われた日のステージに限って何故か上手く作動したとヴォルフガングは著書ロボット時代で振り返っている
[138]
문서
メンバーの名前があしらわれたネオンは専門店で働いていたフローリアンの妹が用意した物であった
[139]
문서
当時ラルフはボウイとのコラボレーションについて示唆した事があったがグループの独自性を優先する為に実現はされなかった
[140]
문서
パンク・ロックの祖の一人とされながらも知的な一面でも知られるイギー・ポップと共に楽曲ヨーロッパ特急の歌詞に登場している(これもボウイを通じて実際に面会した経験が元になっている。イギーは当時ラルフとフローリアンに夢中だった)
[141]
문서
ボウイは特にフローリアンの乾いたユーモアを評価しておりアルバム英雄夢語り (ヒーローズ)に彼の名を冠したV-2 シュナイダーなる楽曲を収めた
[142]
문서
ドキュメンタリー映画「ジョイ・ディヴィジョン#映画|ジョイ・ディヴィジョン」
[143]
문서
アルバム放射能制作当時のスタジオ内ではキンクスが愛聴されていた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
[144]
문서
初期からアルバム人間解体以前のクラフトワークは日本などでは「ジャーマン・プログレッシブ・ロック」として紹介されていた
[145]
문서
アウトバーン・ツアーでのヘヴィースケジュールから喚起されたと同時に彼らに対するイメージがやがて“マン・マシーン”なるコンセプトへと繋がっていった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
[146]
문서
2012年より開催されている『Retrospective 1 2 3 4 5 6 7 8』ではこの特徴がそのまま活かされていると言える
[147]
문서
因みにクラフトワークを脱退しノイ!で活動した時期のクラウス・ディンガーのボーカルがパンク的歌唱の祖とする説もある
[148]
문서
少なくともヴォルフガングはそう意識していたと著書ロボット時代に記している
[149]
문서
アルバムヨーロッパ特急のドイツ国内盤のジャケットで使用されたモノクロの写真はラモーンズのデビューアルバムのジャケット写真に見られる現実重視型のアプローチからの影響を反映している。これはクラフトワークの様に高価な機材を扱うバンドとしては異例のアプローチであった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P123
[150]
문서
パンクの興隆と共にプログレッシヴ・ロック・シーンは勢いを弱めていったが クラフトワークはその確信犯的な非人間性・非観念性によって糾弾を免れたのみならずパンク~ニュー・ウェイヴ (音楽)|ニュー・ウェイヴムーヴメントの中でも特殊な磁力を発する事となった
[151]
문서
これはビートルズやチャック・ベリー、ローリング・ストーンズなどのファンでもあったカールのメロディセンスに因るところも小さくない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
[152]
문서
初来日時に親交を持った坂本龍一が後年にリリースしたシングルZERO LANDMINEにサウンドロゴを提供した。またNO NUKES2012で初披露された福島第一原発事故を意識した日本語の歌詞も坂本龍一の監修である SIGHT特別号 NO NUKES (ノーヌークス) 2012 2012年 09月号
[153]
문서
細野晴臣は「クラフトワークを聴き込むほどドイツとかヨーロッパの歴史の深さに圧倒されるばかりだったんです。これは僕らにはできない。彼らに対抗する方法論が見つけだせなかったそんな時に北京の楽団が自分たちは東洋人であるという意識を刺激してくれた」と語っている Yellow Magic Orchestra USA(2003リイシュー時のインタビューより)
[154]
웹사이트
「ベルギーのクラフトワーク」テレックス・インタビュー
https://snakefinger.[...]
[155]
문서
クラフトワークを「ヨーロッパ的ソウルミュージック|ソウル」と評し、16歳の頃に後に妻となったアリソンに『人間解体』のLPをプレゼントした事もフロム・ザ・スカイ・ダウンで語られる
[156]
문서
U2はシングルヴァーティゴ (曲)|ヴァーティゴに{{仮リンク|ネオン・ライツ (クラフトワークの曲)|en|Neon Lights (Kraftwerk song)|label=ネオン・ライツ}}のカヴァーを収録している
[157]
문서
メンバー全員にとって気配りの行き届いた日本は心地よく「絶対にまた来よう」と確約し合ったという。またヴォルフガングは著書ロボット時代に“日本の都市における秩序と相互の生活への気配りに関して、私たちヨーロッパ人はまだまだ学ぶことがある”と記している。
[158]
문서
これは以前ブライアン・イーノが想像していたクラフトワークとPファンクを組合わせたロボ・ファンクなる発想と同じ物であった
[159]
문서
これら“テクノ”という呼称は日本で使われだした上述のテクノポップという呼称をクラフトワークが気に入り自らの楽曲・歌詞として使用した物を更にデリックが部分的に使用したものである
[160]
문서
クラシック音楽や現代音楽のみならずジョン・コルトレーン、チャールズ・ミンガスなどのモダン・ジャズの知識に加え、音響的な側面でMC5やザ・ストゥージズにも関心があったラルフはドイツ語・英語に加えフランス語とスペイン語にも堪能である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
[161]
문서
ラルフ曰く「これこそ私だ。マン・マシーンだ」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
[162]
문서
エルトン・ジョンもその一人である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P203
[163]
문서
マイケルはアルバムバッド (アルバム)|バッド以降 サウンドのエレクトロ化を深め、楽曲『ダーティー・ダイアナ』では『ヨーロッパ特急 (アルバム)|Abzug』に酷似したサウンドが使用されている
[164]
문서
ラルフはマイケルに対してライバル心を持っていたとも言われ、またデビッド・ボウイの時と同様にグループの独自性や孤高性を優先した為であるとグループに近い人物は推測している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P204
[165]
문서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 P204
[166]
문서
機材の進歩の速さが制作のペースを追い越してしまったと言われるエレクトリック・カフェの発表によるツアーは行われなかった。またこの時期のクラフトワークはクイーン (バンド)|クイーンを思わせる作風に接近したが、しばらくして以前の作風に戻ったという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
[167]
문서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 P224、ヴォルフガング・フリューア『クラフトワーク ロボット時代』
[168]
문서
以前は楽曲ロボットの演奏時に登場していたマネキンは主に上体が遠隔操作出来るロボットに取って替わられた。ラルフはこの事をとても喜んでいた。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
[169]
문서
ラルフはクラフトワークが原子力発電所に反対する理由に「放射性廃棄物の最終処分について誰にも納得のいく説明ができない」事を挙げている 月刊rokin'on MAY2013 P93
[170]
문서
U2やパブリック・エナミーも出演した
[171]
문서
97年にイギリスのレイブ_(音楽)|レイヴイベント {{仮リンク|トライバル・ギャザリング|en|Tribal Gathering}}に出演した際はデトロイト・テクノの出演者のブースが全員クラフトワークを見るために閉鎖された。ストレンジ・デイズ2004年No.55 P72 中野泰博文
[172]
문서
カールらと共に自然とグループを離れたエーミール・シュルトは5年近くに及んだ作業から生まれたこのアレンジに対して「レオナルド・ダ・ヴィンチ|ダヴィンチがモナ・リザの絵を撤回して再び描き直すだろうか?」と懐疑的であった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P228
[173]
문서
彼等の新作アルバムの発表予告はラルフ自身の口から出た場合であっても決して信頼出来ない程に余りにも長い間実現しないままであった
[174]
문서
当時 MTVヨーロッパ・ミュージック・アワードでライヴパフォーマンスを行う際にカイリー・ミノーグは「どんなアーティストだって彼らの影響を受けているわ!」と紹介した
[175]
문서
本人は「クラフトワークとしての活動に興味が持てなくなった」と語り、ラルフは、ヴォルフガングの著書にも詳述されているフローリアンの長年の長期的なツアー嫌いについて言及した
[176]
문서
以前ラルフは自身とフローリアンの関係を「いうなれば陰陽、ミスター・クリングとミスター・クラングさ」と言い表していた。ストレンジ・デイズ2004年No.55P70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ディスク・ガイド・シリーズ#016テクノ・ポップ 美馬亜貴子監修 掲載のインタビュー
[177]
문서
同年に行われたクラフトワーク自身も認知する彼ら最大級のファン・サイトが運営されていたブラジルを含む南米ツアーで彼らをスペシャル・ゲストに迎えたレディオヘッドやジミ・ヘンドリックスのファンであった。
[178]
문서
因みにギタリストのジョン・フルシアンテはアウトバーン以前にクラフトワークを脱退しノイ!を結成したミヒャエルのギタープレイに影響を受けており、ジャムセッションを行った事もある
[179]
웹사이트
彼らのアルバム『Hypnotize』『メズマライズ』内の楽曲はビーチ・ボーイズ,ゾンビーズと共にクラフトワークからの影響を受けているとダロン・マラキアンは語っている
https://www.barks.jp[...]
[180]
웹사이트
楽曲X&Y|TalkでComputer Loveのリフが使われている件についてクリス・マーティンは「Computer Loveのリフを聴いたとき、“俺たちが作ったんだったら良かったのに”って思ったよ。彼らがコールドプレイを知ってるかどうかもわからなかったから、自己紹介から始めなきゃならなかったんだ。15歳の少年みたいだよ。ラルフ様、僕はコールドプレイというバンドで歌っています・・・・・・とかなんとかさ。みんなに彼らがOKしてくれたのは奇跡だって言われてるよ」と述べた
https://www.barks.jp[...]
[181]
문서
ライブ・パフォーマンスにおける視覚効果のパロディーはデビュー当時のデペッシュ・モードにも見られた
[182]
문서
デビューシングルで「Ohm Sweet Ohm」の冒頭をサンプリングしている。
[183]
문서
特に2000年にウーヴェ・シュミットによって発表されたクラフトワークのラテン・カヴァー集「プレイズ・クラフトワーク」は注目をあつめ、再リリースの際にはフローリアンが直々にコメントを寄せるなど数あるクラフトワークカヴァーの中でも特筆に値する作品と言える
[184]
웹사이트
ラルフは2013年のインタビューで「あらゆる世代のエレクトロニック・ミュージシャン達からのフィードバックには本当に勇気づけられる。それはまさに自分が楽曲ロボットで書いた通り “バッテリーをチャージしてエネルギーは満タン”という具合なんだよ」と話している
http://www.scmp.com/[...]
[185]
문서
クリス・ペティット監督作の『Radio On』や近年ではデンマークの監督Michael Madsenによるオルキルオト原子力発電所の放射性廃棄物処理場についてのドキュメンタリー・フィルム『100,000年後の安全』などがある他、クラフトワークのレコードを撮影現場でも欠かさなかったというライナー・ヴェルナー・ファスビンダーは70年代後半の作品でクラフトワークの音楽を使用している
[186]
문서
ラルフ曰く「我々はスタジオを演奏する」「我々の活動はスタジオが全てに優先する」 パスカル・ビュッシー 『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他
[187]
문서
過去に使われた楽器等は全てKLING KLANGに安置されているとの事
[188]
문서
これに依ってラルフはクラフトワークを“マルチメディアなKLING KLANG(プロダクト)”と表現している
[189]
문서
THE MIXでのツアーからは楽曲ヨーロッパ特急組曲のエンディングにKLING KLANG MUSIK FILMなるロゴが表示されるまでに至った(ミニマム・マキシマムでも確認できる)
[190]
웹사이트
KRAFTWERK.TECHNOPOP.COM.BR - LAST NEWS - 2009-JAN-7
http://kraftwerk.tec[...]
2009-01-07
[191]
웹사이트
クラフトワーク(Kraftwerk)アルバム再現ライヴ『3-D The Catalogue』が映像作品&CD化
https://tower.jp/art[...]
TOWER RECORDS
2017-05-09
[192]
웹사이트
クラフトワーク、来日公演が決定
https://www.barks.jp[...]
BARKS
2018-11-19
[193]
웹사이트
クラフトワークの共同創設者、フローリアン・シュナイダーが73歳で死去
https://rollingstone[...]
Rolling Stone Japan
2020-05-07
[194]
웹사이트
2021年「ロックの殿堂」入りアーティストが発表。FOO FIGHTERS(フー・ファイターズ)、JAY-Z(ジェイ・Z)、Tina Turner(ティナ・ターナー)、Carole King(キャロル・キング)など
https://tower.jp/art[...]
TOWER RECORDS
2021-05-14
[195]
웹사이트
Kraftwerk - About _ Facebook
https://www.facebook[...]
2012
[196]
웹사이트
Falk Grieffenhagen
http://www.grieffenh[...]
2013-03
[197]
웹사이트
Claudia Schneider-EslebenはInstagramを利用しています 「Florian Schneider 7.4.1947 - 21.4.2020 Thank You so much for Your overwhelming Love & Affection for Florian! . . He passed in Peace with…」
https://www.instagra[...]
2020-05-08
[198]
뉴스
クラフトワークの創設者の1人、フローリアン・シュナイダー死去
https://www.barks.jp[...]
2020-05-07
[199]
웹사이트
Eberhard Kranemann _ Facebook
https://www.facebook[...]
2014
[200]
서적
Kraftwerk:Publikation
http://www.musicroom[...]
Omnibus Press (A Division of Music Sales Limited)
2015
[201]
서적
Electri_City. Elektronische Musik aus Düsseldorf
https://www.suhrkamp[...]
ズーアカンプ
2014
[202]
Youtube
Karl Bartos Press Screening in Hamburg 2013 - YouTube
https://www.youtube.[...]
YouTube
2013
[203]
웹사이트
German Guitar God Michael Rother Talks Kraftwerk, Neu!, and the Dubious Term _Krautrock_ - Slog - The Stranger
https://www.thestran[...]
The Stranger
2019
[204]
문서
パスカル・ビュッシー『クラフトワーク―「マン・マシーン」とミュージック』P45
[205]
웹사이트
KLAUS RÖDER - Biographie
http://www.klaus-roe[...]
Klaus Röder
2007
[206]
웹사이트
Klaus Röder - Biographie
http://www.klaus-roe[...]
Klaus Röder
2012
[207]
웹사이트
Germankraft.de Kraftwerk Chronik Interview mit Klaus Röder "der röder" Stellungnahme von Klaus Röder (Kraftwerker von 1974-1975) zum Buch von Wolfgang Flür .
http://www.kraftwerk[...]
Marko Schmidt
1999-02-25
[208]
웹사이트
KARL BARTOS - Curriculum vitae Karl Bartos (カール・バルトス経歴)
http://www.karlbarto[...]
2016
[209]
서적
デヴィッド・バックリー『クラフトワーク』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2013年6月
[210]
웹사이트
Kraftwerk – Album By Album - Uncut
http://www.uncut.co.[...]
2013-01-04
[211]
웹사이트
クラフトワーク リミックス・アルバム『Remixes』全曲公開
http://amass.jp/1428[...]
2020-12-27
[21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