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라우디나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우디나는 지름 0.3mm에서 6.5mm, 길이 8mm에서 150mm까지 다양한 크기를 보이는 원통형 화석이다. 꽃병 모양의 방해석 튜브가 겹쳐진 형태이며, 무성생식을 통해 번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 캄브리아기에 등장하여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포식자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껍질이 진화하고, 캄브리아기 폭발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는 등 고생물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해양동물 - 위왁시아
    위왁시아는 캄브리아기에 번성한 2.5~5cm 크기의 해양 동물로, 경판과 가시로 덮인 몸과 달팽이 유사한 발을 가졌으며, 최근 연구에서 연체동물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고 전 세계에서 화석이 발견된다.
  • 고대 해양동물 - 작은껍질화석
    작은껍질화석은 1975년 명명된, 캄브리아기 이전과 초기에 번성하며 초기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작고 다양한 형태의 화석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 에디아카라기의 생물 - 에디아카라 생물군
    에디아카라 생물군은 선캄브리아 시대 말기 에디아카라기에 번성한 다세포 생물군으로, 해파리나 유연체와 유사한 형태의 화석으로 발견되며, 캄브리아기 폭발 이전 생명체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고생물학 및 진화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에디아카라기의 생물 - 작은껍질화석
    작은껍질화석은 1975년 명명된, 캄브리아기 이전과 초기에 번성하며 초기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작고 다양한 형태의 화석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클라우디나과
기본 정보
클라우디나
클라우디나
학명Cloudinidae
학명 명명자Hahn and Pflug, 1985
멸종 시기5억 5천 5백만 년 전 ~ 5억 2천 9백만 년 전
하위 분류
클라우디나 (Germs, 1972)
코노투부스 (Zhang and Lin 1986)
아쿠티코클라우디나 (Hahn and Pflug, 1985)
클라우디나 속 종Cl. hartmannae (Germs 1972)
Cl. riemkeae (Germs 1972)
Cl. lucianoi (Beurlen & Sommer, 1957) Zaine & Fairchild, 1985
Cl. sinensis (Zhang, Li et Dung, 1992)
Cl. carinata (Cortijo, Musa, Jensena et Palacios, 2009)
Cl. ningqiangensis (Cai et al., 2017)
Cl. xuanjiangpingensis (Cai et al., 2017)
코노투부스 속 종Co. hemiannulatus (Zhang and Lin 1986)
(기타)
이명Aulophycus lucianoi Beurlen & Sommer 1957 = C. waldei Hahn & Pflug, 1985 = C. lucianoi Zaine & Fairchild, 1985

2. 형태

클라우디나는 지름 0.3mm에서 6.5mm, 길이 8mm에서 150mm까지 다양한 크기를 보여준다.[41][6] 클라우디나 화석은 꽃병처럼 생긴 방해석 성분의 튜브가 여러 개 겹쳐진 형태이며 이 튜브의 원래 광물성분은 알려지지 않았으나[43][7] 고마그네슘 방해석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44][8] 각각의 원뿔모양 껍질은 그 아래에 상당한 크기의 빈 공간을 만들어내며 바로 밑에 있는 원뿔의 위에 겹쳐진다. 이렇게 되면 겉에서 보기에 이랑이 있는 형태가 만들어진다. 튜브의 전체적인 형태는 휘었거나 구불구불하며 간혹 가지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튜브의 벽 두께는 8에서 50마이크로미터 사이이며 보통 10~25μm 정도이다.[45][12] 예전에는 이 튜브가 시험관처럼 바닥이 있다고 생각되었으나,[41][6] 3차원적으로 세부적인 모습까지 복원한 것을 보면 튜브의 아래쪽은 열려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46][17] 튜브는 어느 정도 유연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47][19]

껍질 안에 생물의 "생활 공간"을 보여주는 클라우디나의 단면도.

3. 분류

클라우디나는 1972년에 초기 캄브리아기에서 발견되는 크리브리키아투스(Cribricyathea)강의 일원으로 분류되었다.[41] 글래스너(1976)는 이 분류를 받아들여 클라우디나가 다모류 환형동물 중에서도 석회관갯지렁이(serpulid)와 유사하다고 보았다.[48] 그러나 한과 플루크(1985), 그리고 콘웨이 모리스 등(1990)는 이러한 유연관계에 대해 의심을 품고 클라우디나를 독립된 과(Family)인 클라우디나과로 분류하였다.[49][50]

클라우디나 하트만아이(''Cloudina hartmannae'')는 출아법으로 번식하는 모습을 보이는데,[41] 이를 통해 무성생식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51] 그랜트(1990)는 클라우디나를 산호와 비슷한 자포동물로 분류하였다.[45] 관의 바닥이 뚫려 있어서 단일한 공간이라기보다 여러 개의 방이 이어져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클라우디나는 다모류 환형동물의 스템 그룹일 가능성이 높다.[46] 즉, 현생 다모류 환형동물의 "고모" 내지는 "사촌"격이라는 것이다. 이런 해석은 포식자들이 클라우디나의 껍질에 만든 구멍의 분포를 통해 뒷받침된다.[52][53] 그러나 많은 에디아카라기 생물들과 마찬가지로 클라우디나가 생명의 나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부터가 큰 논쟁거리이므로, 와 과 수준 사이에서 어떻게 분류할지를 논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일일 수 있다.[45][50][54]

4. 생태

클라우디나의 튜브는 종종 군집을 이루는 것으로 보이며, 때로는 고립되어 발견되기도 한다. 한 종으로만 이루어진 대규모 군집이 자주 발견되는 것은 클라우디나를 잡아먹고 사는 생물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41] 반면, 어떤 지역에서는 클라우디나 화석의 최대 20% 정도에서 포식자가 뚫어놓은 지름 15~400μm 내외의 구멍이 발견된다.[52][53] 이 구멍은 관 전체의 길이에 비추어 볼 때 고르게 분포해 있으며, 어떤 관에는 여러 개의 구멍이 발견되기도 한다. 포식자가 빈 튜브를 공격하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 클라우디나가 포식자의 공격을 견디고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것은 또 클라우디나가 관 내부에서 포식자의 공격에 대응해 위치를 옮길 수 있었거나, 관 길이 전체를 차지하고 있더라도 한쪽 측면에서 들어오는 포식자의 공격을 피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 전체의 길이에 비추어 포식자가 만든 구멍이 고르게 분포해 있었다는 것은 클라우디나가 바닥, 즉 미생물 매트에 파묻힌 채로 생활했을 것이라는 생각과 잘 들어맞지 않는 것인데, 클라우디나가 해조류나 초(reef) 환경에 살았을 것이라는 밀러의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것이기도 하다.[47]

나미비아의 나마 층군에서 발견된 화석을 보면 클라우디나는 초(reef)를 만드는 최초의 동물들 중 하나였던 것으로 보이는데,[58][59] 머신러닝을 이용한 3D 토모그래피 연구를 통해 '초를 만드는 '화석들이 실제로는 단순히 독립생활을 하는 개체들이 모여있던 것이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60]

복원된 ''클라우디나 하트만나이''와 추정되는 입 부분

4. 1. 군집 생활과 포식자

클라우디나는 보통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함께 얕은 바다였던 곳에서 발견된다. 클라우디나의 동위원소 조성을 보면 수온은 상대적으로 차가웠음을 알 수 있다.[55] 클라우디나는 일반적인 해저 퇴적물에서도 발견되므로 서식지가 미생물로 이루어진 마운드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56] 반면에 클라우디나는 연질부로만 이루어진 에디아카라 생물군과는 동일한 층준에서 발견된 적이 없는데, 에디아카라 생물군과 클라우디나가 번갈아가며 발견되는 지층은 존재한다. 이것으로 두 종류의 유기체들이 서로 다른 환경을 선호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46]

다수의 클라우디나 표본에서 원뿔모양 껍질이 겹쳐지면서 만들어진 띠 모양의 이랑은 그 폭이 균일하지 않은데 이를 통해 클라우디나의 성장속도가 균일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돌프 자일아허는 클라우디나가 미생물 매트에 붙어있었으며 퇴적물이 쌓임에 따라 바닥에 묻히지 않기 위해 퇴적 속도에 맞게 성장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에 접힌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생기는 것은 미생물 매트가 기울어져 있을 때 생기는 것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57] 클라우디나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원래 살던 "그 자리에서(in situ)"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데, 자일아허의 주장에 따르면 클라우디나가 살아있던 당시에 그 주위에 쌓인 퇴적물인 미생물 매트 내부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하지만 오늘날까지 발견된 많은 클라우디나 표본들이 원래 살던 자리에서 쓸려나와 다른 곳에서 발견되었다. 자일아허의 가설을 반박하는 주장 중 하나로는 클라우디나의 벽에 포식자가 뚫은 구멍이 클라우디나의 위쪽 끝에서 집중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있다. 만일 클라우디나가 주로 미생물 매트에 묻힌 채로 살았다면 이런 구멍은 클라우디나의 위쪽 끝에 몰려있었을 것이다. 또 다른 가설로는 클라우디나가 해초에 붙어서 생활했다는 것인데,[46] 의심의 여지 없이 "그 자리에서" 화석화된 표본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클라우디나의 생활상에 대한 논쟁은 계속될 것이다.

클라우디나의 튜브는 종종 군집을 이루는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경우에는 따로 고립되어 발견되기도 한다. 한 종으로만 이루어진 대규모 군집이 자주 발견되는 것은 클라우디나를 잡아먹고 사는 생물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41] 반면, 어떤 지역에서는 클라우디나 화석의 최대 20% 정도에서 포식자가 뚫어놓은 지름 15~400μm 내외의 구멍이 발견된다.[52][53] 이 구멍은 관 전체의 길이에 비추어 볼 때 고르게 분포해 있으며 어떤 관에는 여러 개의 구멍이 발견되기도 한다. 포식자가 빈 튜브를 공격하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 클라우디나가 포식자의 공격을 견디고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것은 또 클라우디나가 관 내부에서 포식자의 공격에 대응해 위치를 옮길 수 있었거나, 관 길이 전체를 차지하고 있더라도 한쪽 측면에서 들어오는 포식자의 공격을 피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 전체의 길이에 비추어 포식자가 만든 구멍이 고르게 분포해 있었다는 것은 클라우디나가 바닥, 즉 미생물 매트에 파묻힌 채로 생활했을 것이라는 생각과 잘 들어맞지 않는 것인데, 클라우디나가 해조류나 초(reef) 환경에 살았을 것이라는 밀러의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것이기도 하다.[47]

나미비아의 나마 층군에서 발견된 화석을 보면 클라우디나는 초(reef)를 만드는 최초의 동물들 중 하나였던 것으로 보이는데,[58][59] 머신러닝을 이용한 3D 토모그래피 연구를 통해 '초를 만드는 '화석들이 실제로는 단순히 독립생활을 하는 개체들이 모여있던 것이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60]

5. 화석 산출지

클라우디나는 스트로마톨라이트 초(reef)에서 탄산칼슘이 풍부한 지역에서 발견된다. 함께 발견되는 화석으로는 나마칼라투스와 나마포이키아가 있는데, 나마칼라투스는 클라우디나와 마찬가지로 약간의 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독립생활을 했고, 나마포이키아는 단단한 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열린 공간의 바닥에 붙어 생활한다.[61][23]

클라우디나는 나미비아의 나마층군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6] 오만,[50][24] 중국의 뎅잉층,[50][53][24][25] 캐나다,[62][26] 우루과이,[63][64][27][28] 아르헨티나,[65][29] 남극,[66][30] 브라질,[67][31][32] 네바다,[68][33] 중앙 스페인, 북서 멕시코와 캘리포니아,[45][12] 그리고 서부와 남부 시베리아에서 발견되었다. 시베리아에서 클라우디나 화석은 선캄브리아기 말-캄브리아기 초의 아나바리테스 작은껍질화석과 관 모양의 골격화석인 플라티솔레니테스, 그리고 스피로솔레니테스 등과 함께 발견되었다.[69][70][34][35]

6. 고생물학적 중요성

클라우디나는 최초로 발견된 작은껍질화석은 아니지만, 작은껍질화석들 중 가장 초기의 것이면서 가장 풍부한 종류이기도 하다.[71] 에디아카라기 후기에 있었던 겉껍질의 진화는 포식자에 대항하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생각되며 진화 군비 경쟁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다.[71][72] 포식자가 뚫은 구멍의 흔적이 클라우디나 표본에서 흔히 보이는 반면에 유사한 껍질화석이면서 때로 같은 층에서 발견되는 시노투불리테스에서는 이러한 구멍을 찾아볼 수 없다. 클라우디나에서 발견되는 구멍이 클라우디나 표본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을 보면 포식자가 먹이를 선택할 때 크기를 보고 골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포식자가 먹잇감을 선택적으로 공격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포식에 대한 반응으로 종분화가 일어났으리라 추측할 수 있으며 이것은 캄브리아기 초기에 동물이 빠른 속도로 다양해진 사건의 잠재적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53] 비록 최초로 발견된 소형 쉘 화석은 아니지만, ''클라우디나''는 가장 초기에 나타났고 가장 풍부한 화석 중 하나이다.[36] 후기 에디아카라기의 외골격 진화는 포식자로부터의 방어 수단으로 여겨지며, 이는 진화적 군비 경쟁의 시작을 알린다.[36][37] ''클라우디나'' 표본에서는 포식자의 굴착 흔적이 흔하게 발견되지만, 유사한 쉘 화석으로 동일 지층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있는 ''시노투불리테스''에서는 그러한 굴착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게다가, ''클라우디나''에서 발견되는 굴착 흔적의 직경은 표본의 크기에 비례하는데, 이는 포식자가 먹잇감의 크기를 선택했음을 시사한다. 포식자가 선택적으로 공격했다는 이 두 가지 지표는 포식에 대한 반응으로 종분화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는 초기 캄브리아기의 동물 급증의 잠재적 원인으로 종종 가정된다.[25]

6. 1. 캄브리아기 대폭발과의 연관성

클라우디나는 최초로 발견된 작은껍질화석은 아니지만, 가장 초기에 나타났고 가장 풍부한 화석 중 하나이다.[71][36] 에디아카라기 후기에 있었던 겉껍질의 진화는 포식자에 대항하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되며 진화 군비 경쟁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다.[71][72][36][37] 클라우디나 표본에서는 포식자가 뚫은 구멍의 흔적이 흔히 보이지만, 유사한 껍질화석이면서 때로 같은 층에서 발견되는 시노투불리테스에서는 이러한 구멍을 찾아볼 수 없다. 클라우디나에서 발견되는 구멍이 클라우디나 표본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을 보면 포식자가 먹이를 선택할 때 크기를 보고 골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53][25] 포식자가 먹잇감을 선택적으로 공격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포식에 대한 반응으로 종분화가 일어났으리라 추측할 수 있으며 이것은 캄브리아기 초기에 동물이 빠른 속도로 다양해진 사건의 잠재적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53][25]

참조

[1] 논문 Transitional Ediacaran–Cambrian small skeletal fossil assemblages from South China and Kazakhstan: Implications for chronostratigraphy and metazoan evolution
[2] 뉴스 Fossil Reveals Earth's Oldest Known Animal Guts - The find in a Nevada desert revealed an intestine inside a creature that looks like a worm made of a stack of ice cream con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01-10
[3] 논문 Transitional Ediacaran–Cambrian small skeletal fossil assemblages from South China and Kazakhstan: Implications for chronostratigraphy and metazoan evolution
[4] 논문 The end of the Ediacaran: Two new exceptionally preserved body fossil assemblages from Mount Dunfee, Nevada, USA
[5] 논문 Discovery of bilaterian-type through-guts in cloudinomorphs from the terminal Ediacaran Period 2020-01-10
[6] 논문 New shelly fossils from Nama Group, South West Africa 1972-10
[7] 논문 Seawater Chemistry and Early Carbonate Biomineralization 2007-06-01
[8] 문서 "Zhuravlev, A.Y., Wood, R.A., and Penny, A.M. (2015). Ediacaran skeletal metazoan interpreted as a lophophorate. Proc. R. Soc. B 282, 20151860. Available at: http://rspb.royalsocietypublishing.org/lookup/doi/10.1098/rspb.2015.1860."
[9] 논문 Early Phanerozoic annelid worms and their geological and biological significance
[10] 논문 Die Cloudinidae n. fam., Kalk-Röhren aus dem Vendium und Unter-Kambrium
[11] 논문 Skeletogenesis and asexual reproduction in the earliest biomineralizing animal Cloudina
[12] 논문 Shell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Cloudina, a potential index fossil for the terminal Proterozoic http://lib.bioinfo.p[...] 2008-07-19
[13] 논문 Inconsistencies in proposed annelid affinities of early biomineralized organism Cloudina (Ediacaran): structural and ontogenetic evidences
[14] 문서 Ca/Mg ratios
[15] 문서 "{{Walcott 2009|domke}}"
[16] 논문 Biomat-related lifestyles in the Precambrian
[17] 웹사이트 A Revised Morphology of Cloudina with Ecological and Phylogenetic Implications http://ajm.pioneerin[...] 2007-04-24
[18] 논문 Borings in Cloudina Shells: Complex Predator-Prey Dynamics in the Terminal Neoproterozoic
[19] 논문 Some observations on Cloudina, a terminal Proterozoic index fossil from Namibia
[20] 논문 Earliest skeletal animals were reef builders
[21] 논문 Ediacaran metazoan reefs from the Nama Group, Namibia https://www.pure.ed.[...] 2014
[22] 논문 Multiscale approach reveals that Cloudina aggregates are detritus and not in situ reef constructions 2018-02-22
[23] 웹사이트 Neoproterozoic Microbial-Metazoan Reefs, Nama Region, Namibia http://gsa.confex.co[...]
[24] 논문 The early skeletal organism Cloudina: new occurrences from Oman and possibly China
[25] 논문 Predatorial Borings in Late Precambrian Mineralized Exoskeletons 1992-07-17
[26] 논문 Namacalathus-Cloudina assemblage in Neoproterozoic Miette Group (Byng Formation), British Columbia: Canada's oldest shelly fossils 2001-12-01
[27] 논문 Grupo Arroyo del Soldado: paleontologia, edad y correlaciones (Vendiano-Cámbrico Inferior, Uruguay)
[28] 서적 Sedimentology, palaeontology, and stratigraphy of the Arroyo del Soldado Group (Vendian to Cambrian, Uruguay)
[29] 문서 by Yochelson and Herrera, 1974; they could have mistaken them for ''Salterella''. See Grant 1990 for reference and discussion.
[30] 논문 Discovery of Early Cambrian Fossils at Taylor Nunatak, Antarctica
[31] 논문 Ediacaran ramp depositional model of the Tamengo Formation, Brazil https://linkinghub.e[...] 2024-07-07
[32] 논문 Comparison of Aulophycus lucianoi Beurlen & Sommer from Ladario (MS) and the genus Cloudina Germs, Ediacaran of Namibia
[33] 논문 Ediacaran fossils from the southwestern Great Basin, United States http://jpaleontol.ge[...]
[34] 논문 A section of Vendian in the east of West Siberian Plate (based on data from the Borehole Vostok 3)
[35] 논문 First finds of problematic Ediacaran fossil ''Gaojiashania'' in Siberia and its origin http://geolmag.geosc[...] 2009-09
[36] 서적 Neoproterozoic – Cambrian Biological Revolutions http://www.nrm.se/do[...] 2008-07-18
[37] 저널 The Verdun Syndrome: Simultaneous origin of protective armour and infaunal shelters at the Precambrian–Cambrian Transition http://www.paleo.pan[...] 2008-07-30
[38] 뉴스 Fossil Reveals Earth’s Oldest Known Animal Guts - The find in a Nevada desert revealed an intestine inside a creature that looks like a worm made of a stack of ice cream cones. https://www.nytimes.[...] 2020-01-10
[39] 저널 Discovery of bilaterian-type through-guts in cloudinomorphs from the terminal Ediacaran Period https://www.nature.c[...] 2020-01-10
[40] 저널 Transitional Ediacaran–Cambrian small skeletal fossil assemblages from South China and Kazakhstan: Implications for chronostratigraphy and metazoan evolution
[41] 저널 New shelly fossils from Nama Group, South West Africa 1972-10
[42] 저널 The end of the Ediacaran: Two new exceptionally preserved body fossil assemblages from Mount Dunfee, Nevada, USA
[43] 저널 Seawater Chemistry and Early Carbonate Biomineralization 2007-06-01
[44] 문서 1. Zhuravlev, A.Y., Wood, R.A., and Penny, A.M. (2015). Ediacaran skeletal metazoan interpreted as a lophophorate. Proc. R. Soc. B 282, 20151860. Available at: http://rspb.royalsocietypublishing.org/lookup/doi/10.1098/rspb.2015.1860.
[45] 저널 Shell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Cloudina, a potential index fossil for the terminal Proterozoic http://lib.bioinfo.p[...] 2008-07-19
[46] 웹인용 A Revised Morphology of Cloudina with Ecological and Phylogenetic Implications http://ajm.pioneerin[...] 2007-04-24
[47] 저널 Some observations on Cloudina, a terminal Proterozoic index fossil from Namibia
[48] 저널 Early Phanerozoic annelid worms and their geological and biological significance
[49] 저널 Die Cloudinidae n. fam., Kalk-Röhren aus dem Vendium und Unter-Kambrium
[50] 저널 The early skeletal organism Cloudina: new occurrences from Oman and possibly China
[51] 저널 Skeletogenesis and asexual reproduction in the earliest biomineralizing animal Cloudina
[52] 저널 Borings in Cloudina Shells: Complex Predator-Prey Dynamics in the Terminal Neoproterozoic
[53] 저널 Predatorial Borings in Late Precambrian Mineralized Exoskeletons 1992-07-17
[54] 저널 Inconsistencies in proposed annelid affinities of early biomineralized organism Cloudina (Ediacaran): structural and ontogenetic evidences http://paleopolis.re[...] 2007-04-24
[55] 문서 Ca/Mg ratios
[56] 문서 "{{Walcott 2009|domke}}"
[57] 저널 Biomat-related lifestyles in the Precambrian
[58] 저널 Earliest skeletal animals were reef builders
[59] 저널 Ediacaran metazoan reefs from the Nama Group, Namibia https://www.pure.ed.[...] 2014
[60] 저널 Multiscale approach reveals that Cloudina aggregates are detritus and not in situ reef constructions 2018-02-22
[61] 웹사이트 Neoproterozoic Microbial-Metazoan Reefs, Nama Region, Namibia http://gsa.confex.co[...]
[62] 저널 Namacalathus-Cloudina assemblage in Neoproterozoic Miette Group (Byng Formation), British Columbia: Canada's oldest shelly fossils 2001-12-01
[63] 저널 Grupo Arroyo del Soldado: paleontologia, edad y correlaciones (Vendiano-Cámbrico Inferior, Uruguay)
[64] 서적 Sedimentology, palaeontology, and stratigraphy of the Arroyo del Soldado Group (Vendian to Cambrian, Uruguay)
[65] 문서 by Yochelson and Herrera, 1974; they could have mistaken them for ''Salterella''. See Grant 1990 for reference and discussion.
[66] 저널 Discovery of Early Cambrian Fossils at Taylor Nunatak, Antarctica
[67] 저널 Comparison of Aulophycus lucianoi Beurlen & Sommer from Ladario (MS) and the genus Cloudina Germs, Ediacaran of Namibia
[68] 저널 Ediacaran fossils from the southwestern Great Basin, United States http://jpaleontol.ge[...]
[69] 저널 A section of Vendian in the east of West Siberian Plate (based on data from the Borehole Vostok 3)
[70] 저널 First finds of problematic Ediacaran fossil ''Gaojiashania'' in Siberia and its origin http://geolmag.geosc[...] 2009-09
[71] 서적 Neoproterozoic – Cambrian Biological Revolutions http://www.nrm.se/do[...] 2008-07-18
[72] 논문 The Verdun Syndrome: Simultaneous origin of protective armour and infaunal shelters at the Precambrian–Cambrian Transition http://www.paleo.pan[...] 2008-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