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영버스는 1978년 화진여객자동차로 설립되어, 부산광역시와 김해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좌석버스, 급행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회사이다. 2002년 태화교통을 인수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버스 준공영제 참여, 계열사 설립, 본사 및 영업소 이전을 거쳤다. 현재는 강서구 녹산동에 본사, 김해시 구산동에 김해영업소를 두고 있으며, 자일대우버스 및 현대자동차 차종을 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CMA CGM
CMA CGM은 1851년과 1855년에 설립된 프랑스 해운 회사의 합병으로 1996년 탄생하여 인수합병을 통해 성장한 세계적인 해운 및 물류 기업으로, 해운, 터미널 운영, 인터모달 운송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지만, 무기 불법 운송 연루 의혹과 함께 친환경 경영을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 197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빅토리 라이너
빅토리 라이너는 1945년 필리핀에서 설립되어 마닐라-올롱가포 노선으로 시작하여 필리핀 북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성장했으며, 다양한 서비스 확장과 전기 버스 도입을 통해 지속 가능한 교통을 지향한다. - 태영운송그룹 - 김해BUS
김해BUS는 김해시에 본사를 둔 버스 운송 업체로, 일반, 좌석, 공영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고, 2008년 김해순환버스로 설립되어 동부교통과 가야IBS로부터 일부 노선을 양수받아 2009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다. - 태영운송그룹 - 동부교통
동부교통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본사를 두고 김해 시내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송 기업으로, 풍유동 본사와 외동 영업소를 주요 차고지로 사용하며 김해시 최초로 수소 연료 전지 버스를 도입하는 등 친환경 버스 도입에 적극적이다. - 부산 사상구의 교통 - 사상역 (한국철도공사)
사상역은 1921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경부선과 가야선 열차가 정차하며, 부산-김해 경전철과 환승이 가능한 역이다. - 부산 사상구의 교통 - 관문대로
부산광역시 동구에서 사상구까지 이어지는 총 10.8km의 관문대로는 수정터널, 백양터널을 포함하며 주요 도로와 연결되고,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영화 '친구'의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태영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어 | Taeyoung Bus, Inc.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78년 2월 18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화전로 117 (화전동) (본사)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 480 (주례동) (면허등록지) |
사업 지역 | 경상남도 김해시 가락로 256 (구산동) (김해영업소) |
인물 | 손강식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마을버스 |
자본금 | 5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16,912,217,463원 (2020) |
영업이익 | -71,233,248원 (2020) |
순이익 | 8,603,027원 (2020) |
자산총액 | 10,575,911,138원 (2020.12) |
주주 | 정문흠: 85% 장정미: 15% |
종업원 | 182명 (2020.12) |
모기업 | 태영운송그룹 |
웹사이트 | 태영버스 |
2. 연혁
태영버스는 여러 차례의 인수 합병, 대표이사 변경, 사업 확장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78년 2월 18일 | 화진여객자동차 설립[1] |
1980년 1월 1일 | 화진 30대, 금진 26대 분리 독립[2] |
1982년 1월 11일 | 대표이사 김정호 사임, 전도화 취임 |
1985년 4월 1일 | 위험물 주유취급소(자가주유소)설치 허가 |
1988년 2월 5일 | 차고지 변경인가 |
1995년 12월 11일 | 심야버스 운행 인가 |
2002년 7월 2일 | 태화교통 인수 후 합명회사 태영버스로 상호변경 |
2002년 9월 3일 | 대표이사 전도화 사임, 조광래 취임 |
2002년 9월 5일 | 본사를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으로 이전 |
2004년 1월 19일 | 대표이사 조광래 사임, 배재국 취임 |
2004년 6월 19일 | 화진여객 인수 및 태영버스로 상호 변경, 용원영업소 신설 |
2007년 5월 15일 | 버스 준공영제 시행 |
2008년 7월 31일 | 일부를 분할하여 주식회사 태영공항리무진 설립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 |
2009년 12월 11일 | 제1회 부산고용대상에서 대상을 수상 |
2010년 5월 20일 | 대표이사 정문흠 취임 (2인 대표이사 체제) |
2012년 4월 27일 | 128번 노선 폐지 |
2014년 12월 15일 | 대표이사 배재국 사임, 선현득 취임 (2인 대표이사 체제) |
2017년 1월 10일 | 대표이사 선현득 사임, 천필우 취임 (2인 대표이사 체제) |
2017년 12월 11일 | 일부를 분할하여 주식회사 시티투어점보버스 설립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197) |
2019년 5월 31일 | 대표이사 정문흠 사임 (천필우 대표이사 단독체제) |
2021년 1월 1일 | 대표이사 천필우 사임, 손강식 취임 |
2023년 7월 29일 | 본사를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 강서공영차고지로 이전. 기존 구산동 본사는 1004번 감차와 함께 김해영업소로 격하, 창원 두동영업소 폐쇄 |
2. 1. 회사 설립 및 성장
- 1978년 2월 18일: 화진여객자동차 설립[1]
- 1980년 1월 1일: 화진 30대, 금진 26대 분리 독립[2]
- 1982년 1월 11일: 대표이사 김정호 사임, 전도화 취임
- 1985년 4월 1일: 위험물 주유취급소(자가주유소)설치 허가
- 1988년 2월 5일: 차고지 변경인가
- 1995년 12월 11일: 심야버스 운행 인가
- 2002년 7월 2일: 태화교통 인수 후 합명회사 태영버스로 상호변경
- 2002년 9월 3일: 대표이사 전도화 사임, 조광래 취임.
- 2002년 9월 5일: 본사를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으로 이전.
- 2004년 1월 19일: 대표이사 조광래 사임, 배재국 취임.
- 2004년 6월 19일: 화진여객 인수 및 태영버스로 상호 변경, 용원영업소 신설
- 2007년 5월 15일: 버스 준공영제 시행
- 2008년 7월 31일: 일부를 분할하여 주식회사 태영공항리무진 설립.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
- 2009년 12월 11일: 제1회 부산고용대상에서 대상을 수상
- 2010년 5월 20일: 대표이사 정문흠 취임. (2인 대표이사 체제)
- 2012년 4월 27일: 128번 노선 폐지
- 2014년 12월 15일: 대표이사 배재국 사임. 선현득 취임. (2인 대표이사 체제)
- 2017년 1월 10일: 대표이사 선현득 사임, 천필우 취임. (2인 대표이사 체제)
- 2017년 12월 11일: 일부를 분할하여 주식회사 시티투어점보버스 설립.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 197)
- 2019년 5월 31일: 대표이사 정문흠 사임. (천필우 대표이사 단독체제)
- 2021년 1월 1일: 대표이사 천필우 사임. 손강식 취임.
- 2023년 7월 29일: 본사를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 강서공영차고지로 이전. 기존 구산동 본사는 1004번 감차와 함께 김해영업소로 격하, 창원 두동영업소 폐쇄
2. 2. 태화교통 인수 및 사명 변경
2002년 7월 2일 태화교통을 인수하여 합명회사 태영버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1] 2002년 9월 3일 대표이사 전도화가 사임하고 조광래가 취임하였으며,[1] 2002년 9월 5일 본사를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으로 이전하였다.[1]2. 3. 준공영제 참여 및 사업 확장
2002년 태화교통을 인수하여 합명회사 태영버스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2004년 화진여객을 인수하면서 사업을 확장했다.[1] 2007년 5월 15일부터 버스 준공영제에 참여하고 있다.[1] 2008년 7월 31일 주식회사 태영공항리무진,[1] 2017년 12월 11일 주식회사 시티투어점보버스를 설립하여[1] 일부 사업을 분할했다.2. 4. 본사 이전 및 영업소 변경
- 2002년 9월 5일: 본사를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으로 이전하였다.
- 2004년 6월 19일: 화진여객에서 태영버스로 상호를 변경하면서 용원영업소를 신설하였다.
- 2023년 7월 29일: 본사를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 강서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 기존 구산동 본사는 1004번 감차와 함께 김해영업소로 격하되었고, 창원 두동영업소는 폐쇄되었다.
3. 운행 노선
태영버스는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본사를 둔 버스 운송 업체로,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시내버스'''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주요 경유지 | 공동 배차 |
---|---|---|---|---|
55번 | 강서공영차고지 | 하단역 | 삼성전기후문, 용원네거리, 경제자유구역청, 지사산단, 생곡, 성산, 강서경찰서 | |
55-1번 | 강서공영차고지 | 강서구청역 | 르노코리아, 명지더힐시그니처, 국회부산도서관, 강서경찰서, 대저역 | 금진여객, 영신여객 |
55-2번 | 강서공영차고지 | 강서공영차고지 | 송정다리, 용원네거리,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명지환승센터, 명지시장, 강서경찰서 | 금진여객, 영신여객 |
58번 | 강서공영차고지 | 하단역 | 농심, 화전공단, 녹산중학교, 강서경찰서, 명지국제신도시 | |
58-2번 | 강서공영차고지 | 사하구청 | 용원네거리, 경제자유구역청, 신호주거단지, 명지국제신도시, 하단역 | |
520번 | 강서공영차고지 | 서부지법 | 용원네거리, 경제자유구역청, 가덕천성동, 대항마을, 르노코리아, 명지환승센터 |
'''좌석버스'''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주요 경유지 |
---|---|---|---|
58-1번 | 강서공영차고지 | 하단역 | 청안동, 용원네거리, 경제자유구역청, 녹산공단, 신호주거단지, 명지오션시티 |
58-1번(심야) | 강서공영차고지 | 하단역 | 청안동, 용원네거리, 경제자유구역청, 녹산공단, 신호주거단지,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 |
'''급행버스'''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주요 경유지 | 공동 배차 |
---|---|---|---|---|
1004번 | 구산동 | 부산역 | 김해시청, 대저역, 백양터널, 서면, 부산진시장 | [1] |
1004번(심야) | 구산동 | 서구청 | 김해시청, 대저역, 서부터미널, 서면, 부산진시장, 부산역 | [2] |
1005번 | 강서공영차고지 | 서부터미널 | 르노코리아, 명지환승센터, 국회부산도서관, 강서경찰서,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
1009-1번 | 강서공영차고지 | 서면(네오스포) | 르노코리아, 명지환승센터, 김해국제공항, 강서구청역, 백양터널 | |
2000번 | 하단역 | 고현버스터미널 | 명지신도시, 경제자유구역청, 거가대교, 장목, 옥포중학교, 거제소방서 | 동진여객, 동원여객, 동남여객, 삼화여객, 세일교통 |
2029번 | 김해국제공항 | 해운대백병원.부흥고 | 주례역, 서면역, 광안역, 백스코, 장산역 | 부산여객, 부일여객 |
3. 1. 시내버스
- 55번 : 강서공영차고지 - 삼성전기후문 - 용원네거리 - 경제자유구역청 - 지사산단 - 생곡 - 성산 - 강서경찰서 - 하단역
- 55-1번 : 강서공영차고지 - 르노코리아 - 극동스타클래스 - 명지더힐시그니처 - 국회부산도서관 - 강서경찰서 - 세산삼거리 - 지사휴먼시아 - 렛츠런파크입구 - 대저역 - 강서구청역 (이 노선은 금진여객, 영신여객과 공동 배차)
- 55-2번 : 강서공영차고지 → 송정다리 → 용원네거리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부영아파트 → 엘크루블루오션 → 명지환승센터 → 명지시장 → 강서경찰서 → 강서공영차고지 (이 노선은 금진여객, 영신여객과 공동 배차)
- 58번 : 강서공영차고지 - 녹산하수처리장 - 부산지ங்களைப்중소벤처기업청 - 농심 - 화전공단 - 녹산중학교 - 강서경찰서 - 명지국제신도시 - 하단역
- 58-2번 : 강서공영차고지 - 용원네거리 - 경제자유구역청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주거단지 - 명지오션시티 - 명지국제신도시 - 하단역 - 사하구청
- 520번 : 강서공영차고지 - 용원네거리 - 경제자유구역청 - 가덕천성동 - 대항마을 - 르노코리아 - 엘크루블루오션 - 명지환승센터 - 서부지법
3. 2. 좌석버스
58-1번: 강서공영차고지 - 청안동 - 용원네거리 - 경제자유구역청 - 녹산공단 - 신호주거단지 - 명지오션시티 - 하단역58-1번(심야): 강서공영차고지 - 청안동 - 용원네거리 - 경제자유구역청 - 녹산공단 - 신호주거단지 - 명지오션시티 - 명지국제신도시 - 하단역
3. 3. 급행버스
- 1004번: 구산동 - 김해시청 - 대저역 - 백양고입구 - 백양터널 - 가야시장(가야역) - 서면 - 부산진시장 - 부산역 -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1]
- 1004번(심야): 구산동 - 김해시청 - 대저역 - 백양고입구 - 서부터미널 - 서면 - 부산진시장 - 부산역 - 서구청[2]
- 1005번: 강서공영차고지 - 르노코리아 - 부산차량등록사업소 - 명지환승센터 - 국회부산도서관 - 강서경찰서 - 세산교차로 - 지사과학단지 - 경마공원 - 조만포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감전수문 - 서부터미널
- 1009-1번: 강서공영차고지 - 르노코리아 - 명지환승센터 - 경일고등학교 - 서부산유통단지역 - 김해국제공항 - 강서구청역 - (← 구포역 ← 덕천교차로) - 모라주공아파트 - 백양터널 - 부산시민공원 - 서면(네오스포아파트)
- 2000번: 하단역 ↔ 명지신도시 ↔ 경제자유구역청 ↔ 거가대교 ↔ 장목 ↔ 옥포중학교 ↔ 거제소방서 ↔ 고현버스터미널 (이 노선은 동진여객, 동원여객, 동남여객, 삼화여객, 세일교통과 공동 배차)
- 2029번: 김해국제공항 ↔ 주례역 ↔ 서면역 ↔ 광안역 ↔ 백스코 ↔ 장산역 ↔ 해운대백병원.부흥고 (부산여객, 부일여객과 공동 배차)
4. 이전 보유 노선
5. 차고지
6. 보유 차종
태영버스는 자일대우버스와 현대자동차의 버스를 운용하고 있다.
6. 1. 자일대우버스
- 자일대우 BS090 뉴 로얄미디
- 자일대우 BS106 뉴 로얄시티
- 자일대우 BS110 뉴 로얄논스텝
- 자일대우 FX II 116 크루징 애로우
- 자일대우 FX116 하모니
6. 2.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 일렉시티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참조
[1]
문서
사업자 등록 정보
[2]
문서
220번 버스 노선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