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임즈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템스 전투는 1812년 전쟁 중 1813년 10월 5일에 벌어진 전투로, 미국과 영국의 북서부 영토 지배권을 다투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이리 호 전투에서 미국의 승리로 보급선이 끊길 위기에 처한 영국군은 템스 강변의 모라비아타운으로 후퇴했고, 윌리엄 헨리 해리슨 소장이 이끄는 미군은 이를 추격했다. 테쿰세가 이끄는 인디언 동맹은 영국군과 함께 저항했지만, 테쿰세의 전사로 인해 동맹은 붕괴되었고, 미국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의 결과로 미국은 북서부 영토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했으며, 윌리엄 헨리 해리슨과 리처드 멘토 존슨은 국민적 영웅으로 부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3년 10월 - 하나우 전투
하나우 전투는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패배한 나폴레옹이 퇴각하는 과정에서 바이에른군과 벌인 전투로, 나폴레옹이 승리하여 퇴각로를 확보했으나 연합군과 프랑스군 모두 피해를 입었고 나폴레옹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 윌리엄 헨리 해리슨 - 폴른 팀버스 전투
폴른 팀버스 전투는 1794년 미국이 오하이오 영유권을 주장하며 서부 인디언 연맹과 벌인 전투로, 앤서니 웨인 장군의 미군이 승리하여 그린빌 조약 체결로 이어졌고 현재 전투터는 국립 사적지 및 기념 공원으로 남아있다. - 윌리엄 헨리 해리슨 - 북서 인디언 전쟁
북서 인디언 전쟁은 1785년부터 1795년까지 미국 북서부 영토에서 미국과 여러 원주민 부족 연합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로, 미국 정착민의 서부 확장과 원주민의 토지 방위 갈등 심화, 하마르 원정 실패, 세인트 클레어 패배, 폴른 팀버스 전투를 거쳐 그린빌 조약과 제이 조약으로 미국의 북서부 영토 지배권 확립을 가져왔으며, 미국 서부 진출 과정에서 원주민의 희생과 강제 이주를 야기한 미국과 원주민 관계의 중요한 분기점이다.
테임즈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 명칭 | 템스 전투 |
다른 명칭 | 모라비아타운 전투 |
관련 전쟁 | 테쿰세의 전쟁 미영 전쟁 |
날짜 | 1813년 10월 5일 |
장소 | 모라비안 오브 더 템스 퍼스트 네이션 근처, 채텀-켄트, 온타리오 |
결과 | 미국의 승리 |
추가 결과 | 테쿰세의 죽음 테쿰세 연맹의 해체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테쿰세의 연맹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
교전국 2 | 미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교전국 1 지휘관 | 테쿰세 (전사) 헨리 프록터 |
교전국 2 지휘관 | 윌리엄 헨리 해리슨 |
병력 규모 | |
교전국 1 병력 | 1,100–1,800명 |
교전국 1 상세 병력 | 인디언: 500–1,000명 영국 정규군: 600–800명 |
교전국 2 병력 | 3,760+명 |
교전국 2 상세 병력 | 민병대: 2,381명 자원 기병대: 1,000명 정규군: 120명 인디언: 260명 이리호에 배치된 미국 해군 (인원 미상) |
사상자 및 피해 | |
교전국 1 사상자 | 인디언: 16–33명 사망, 부상 및 포로 미상 영국군: 12–18명 사망, 22–35명 부상 후 포로, 566–579명 포로 |
교전국 2 사상자 | 10–27명 사망, 17–57명 부상 |
캠페인 정보 | |
관련 캠페인 | 미영 전쟁: 올드 노스웨스트 |
기타 | |
좌표 | 42°33′45″N 81°55′53″W |
이미지 | |
![]() |
2. 배경
1812년 전쟁 발발 이후, 영국군과 미국군은 북서부 영토의 지배권을 두고 치열하게 대립했다. 영국군은 이리 호를 장악하여 테쿰세가 이끄는 인디언 부족 연합에게 보급품을 지원했다. 그러나 1813년 9월, 올리버 해저드 페리가 이끄는 미국 해군이 이리호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상황이 역전되었다.[10] 보급선이 끊길 위기에 처한 영국군 헨리 프록터 장군은 테쿰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어퍼캐나다의 템스 강변 모라비아타운으로 후퇴를 결정했다.
윌리엄 헨리 해리슨이 이끄는 미군은 디트로이트 요새를 탈환하고 앰허스트버그 요새를 점령하려 했다. 영국군은 이리 호를 장악하여 병력과 인디언 및 그 가족에게 식량을 공급했다. 이리 호는 물로만 효과적으로 물품을 조달할 수 있었고, 주로 롱 포인트에서 조달했기에 영국군에게 중요했다. 만약 이리 호에 대한 해상 지휘권이 미국으로 넘어가면 영국군은 동쪽으로부터의 지원에서 차단될 수 있었다.
영국 함선은 1813년 7월 말까지 호수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 미국 해군은 프레스케 아일만에서 자체 해군을 건설하고 있었고, 올리버 해저드 페리가 지휘했다. 7월 동안 영국군은 미국군을 프레스케 아일에 묶어두었지만, 물품을 받기 위해 봉쇄를 이틀 동안 해제해야 했다. 페리는 자신의 함선을 호수로 이동시켰고, 영국군은 그들을 공격하지 못했다. 페리의 해군은 함선이 무장하고 인원이 배치되자마자 앰허스트버그에 대한 봉쇄를 시작했고, 식량 공급이 빠르게 고갈되었다. 보급품이 거의 소진되자 영국군은 페리와 전투를 벌였지만, 페리는 이리 호 전투에서 완승을 거두었다.
2. 1. 영국군의 후퇴
프록터 장군의 후퇴는 제대로 관리되지 못했다. 병사들의 배급량은 절반으로 줄었고, 사기는 점점 떨어지고 있었다.[12] 테쿰세는 프록터가 전투 의지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 불만을 품고 계속 싸울 것을 요구했다.[12]> 우리 배는 한 방향으로 갔고, 우리는 우리 아버지(프록터)가 모든 것을 묶고 다른 방향으로 도망갈 준비를 하는 것을 보고 매우 놀랐습니다. 붉은 아이들에게 그의 의도를 알리지 않고 말입니다. ... 우리는 우리 아버지의 행동을 꼬리를 등에 달고 다니는 뚱뚱한 동물에 비유해야 합니다. 그러나 겁을 먹으면 다리 사이에 꼬리를 떨어뜨리고 도망갑니다.[11]
프록터는 식량이 부족하고 요새의 대포가 배에 장착하기 위해 제거되었기 때문에 에머스트버그 요새를 방어할 수 없었다.[11] 그는 1813년 9월 27일 템스 강을 따라 후퇴하기 시작했고, 테쿰세는 어쩔 수 없이 그를 따라갔다. 프록터는 모라비아타운까지만 후퇴하기로 합의했지만, 그곳을 요새화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다.[12]
프록터는 명령 없이 41연대의 어거스터스 워버튼 대령에게 군대의 주력을 맡기고, 아내와 가족, 다른 여성과 부양 가족, 그리고 개인 짐과 함께 후퇴를 이끌었다고 한다.[12]
3. 전력
윌리엄 헨리 해리슨이 이끄는 미군은 최소 3,500명의 보병과 기병으로 구성되었다. 아이작 쉘비가 이끄는 켄터키 민병대 5개 여단과 리처드 멘토 존슨 대령 휘하의 1,000명의 자원 기병이 있었다. 존슨 부대원의 일부는 미시간 주 레이즌 강 지역 출신으로, "레이즌 강을 기억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헨리 프록터가 이끄는 영국군은 약 800명, 테쿰세가 이끄는 인디언은 약 500명이었다.[12]
3. 1. 미군
윌리엄 헨리 해리슨 소장이 이끄는 미군은 최소 3,500명의 보병과 기병으로 구성되었다.[10] 여기에는 덩컨 맥아더와 루이스 카스 장군 휘하의 정규 보병 부대, 아이작 쉘비가 이끄는 켄터키 민병대 5개 여단, 리처드 멘토 존슨 대령이 이끄는 켄터키 기병대가 포함되었다. 존슨 대령의 기병대는 대부분 켄터키 출신이었지만, 일부는 미시간 주의 레이즌 강 지역 출신으로, "레이즌 강을 기억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사기가 높았다.[10]3. 2. 영국군 및 인디언 동맹
헨리 프록터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은 대부분 제41 연대 소속으로 약 800명이었다. 제1대대 참전 용사들은 1803년부터 캐나다에서 복무했으며, 1813년 여러 전투에서 막대한 사상자를 냈고, 이리호 전투에는 150명 이상이 바클레이의 함선에서 복무했다. 이들은 제2대대 소속의 젊은 병사들로 보충되었다.[12] 연대 장교 대부분은 프록터의 지휘에 불만을 품었지만, 서열 다음인 워버튼 대령은 그를 지휘에서 해임하려는 어떤 움직임도 용납하지 않았다.[12]테쿰세는 약 500명의 인디언을 이끌었다.[12] 영국군은 윌리엄 헨리 해리슨 군을 피해 도망가기 위해 길고 빠른 행군을 강요받았고, 식량 배급도 절반으로 줄었다.[12] 영국 병사들은 점차 사기가 떨어지고 있었고, 프록터가 싸우려 하지 않자 테쿰세 등 인디언 전사들은 참을 수 없었다. 프록터는 인디언의 반란을 두려워했다.[11]
4. 전투 경과
1813년 10월 4일, 테쿰세는 채텀 근처에서 미군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소규모 교전을 벌였으나, 곧 압도당했다.[13] 1813년 10월 5일, 헨리 프록터는 모라비아타운에서 영국군을 배치하고 미군을 저지하려 했다. 그는 템스 강둑에서 윌리엄 헨리 해리슨을 함정에 빠뜨려 대포 사격으로 미군을 몰아낼 계획이었지만, 진지를 구축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다. 테쿰세는 쇼니 족 전사들을 이끌고 영국군 우측의 늪지대에 배치되어 미군의 측면 공격을 준비했다. 테쿰세는 영국군 대열을 따라 말을 타고 다니며 각 장교와 악수를 한 뒤 전사들과 다시 합류했다.[13]
해리슨 장군은 전장을 살펴본 후, 제임스 존슨에게 기마총병으로 영국 정규군을 정면 공격하라고 명령했다. 인디언의 측면 사격에도 불구하고 존슨의 켄터키군은 돌파했고, 영국군은 포격을 하지 못했다. 지쳐 사기가 저하된 영국 정규군은 단 한 번의 총격을 가한 뒤 혼란 속에서 후퇴했다.
프록터와 그의 병력 약 250명은 전장에서 도주했고, 나머지 병사들은 무기를 버리고 항복했다. 전장을 탈출한 리처드 불록 중위의 척탄병 중대를 포함한 대부분의 영국군은 영국군 대열의 오른쪽에 있었는데, 그곳은 늪지대이고 나무가 더 울창했다.[14]
테쿰세 등은 멈춰서 싸움을 계속했으나, 테쿰세가 전사하면서 인디언 동맹의 저항은 무너졌다. (테쿰세의 죽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테쿰세의 죽음=== 에서 다룬다.)
4. 1. 테쿰세의 죽음

테쿰세와 그의 추종자들은 남아서 계속 싸웠다. 리처드 멘토 존슨 대령은 미국 주력군으로부터 주의를 돌리기 위해 약 20명의 기병을 이끌고 인디언 진지로 돌격했지만, 테쿰세와 그의 부대는 머스킷 사격으로 이에 응수하여 기병 돌격을 멈추게 했다. 존슨의 병력 15명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했고, 존슨 본인은 다섯 번이나 총을 맞았으며, 그의 주력군은 늪지 진흙에 빠졌다. 테쿰세는 이 전투 중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5]
주력군은 늪을 통과했고, 제임스 존슨의 부대는 영국군에 대한 공격으로부터 풀려났다. 테쿰세의 죽음에 대한 소식이 퍼지면서 미국 증원군이 집결했고, 인디언의 저항은 붕괴되었다. 존슨이 테쿰세를 사살한 것으로 알려졌지만,[16] 증거는 불분명하다. 윌리엄 휘틀리도 그를 죽인 것으로 여겨진다. 변호사이자 한 팔 사격수인 제임스 A. 드레인 시니어는 자서전 ''한 손으로'' (1927)에서 휘틀리의 손녀로부터 휘틀리와 테쿰세가 동시에 서로를 죽였다는 가족 전승을 들었다고 썼다.
5. 전투 결과
테임즈 전투는 미국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다. 이 승리로 미국은 북서부 영토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했으며, 테쿰세의 죽음으로 그가 이끌던 인디언 동맹은 사실상 와해되었다.
윌리엄 헨리 해리슨은 이 전투의 승리로 국민적 영웅으로 떠올라 훗날 미국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기반을 마련했다. 리처드 멘토 존슨은 테쿰세를 죽였다는 명성을 얻어 미국 부통령이 되었다. 반면, 헨리 프록터는 전투 후 겁쟁이라는 비난을 받고 군법 회의에 회부되어 지휘권을 잃고 6개월 동안 계급과 급여를 정지당하는 형을 선고받았다.[21]
역사가들은 프록터에게 다소 동정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리 호가 미국군의 지배하에 있었고, 디트로이트 전선에는 제한된 전력과 물자밖에 없었다는 점을 그 근거로 들고 있다.
5. 1. 피해 규모

테임즈 전투의 피해 규모에 대해서는 여러 보고가 있다.
영국군은 해리슨은 전사 72명, 부상 22명이라고 보고했지만, 제41 연대 리처드 불록 중위는 전사 12명, 부상 36명이라고 보고했다. 전투 1년 후, 영국군 오거스터스 워버튼 대령과 윌리엄 에반스 중령은 전사 18명, 부상 25명이라고 보고했다.[6] 해리슨은 영국군 포로를 601명으로 보고했는데, 여기에는 전투 전 후퇴 중 잡힌 포로와 전투 후 낙오병이 포함되었다.[7]
인디언 측은 테쿰세를 포함하여 16명이 사망했다고 기록했다.[4] 그러나 해리슨은 전투 후 숲에서 인디언 시신 33구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5] 프로크터 장군은 1813년 10월 23일자 편지에서 "인디언과 우리에게 라운드 헤드의 죽음은 심각한 손실을 가져왔다"고 썼다. 한편, 미군 병사들은 기념품을 얻기 위해 죽은 인디언들의 두피를 벗기고 껍질을 벗겼다.[17]
5. 1. 1. 미군
미군의 전투 피해에 대해서는 여러 보고가 있다. 해리슨은 7명이 즉사, 5명이 부상으로 사망, 17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보고했다. 아이작 셸비 소장은 7~8명이 즉사, 4명이 부상으로 사망, 약 20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말했다. 참전 용사 로버트 매카피는 10명 사망, 35명 부상, 피터 트리스러 주니어는 14명 사망, 20명 부상이라고 보고했다.[8]역사가 사무엘 R. 브라운은 존슨의 연대에서 25명이 사망 또는 치명상, 50명이 부상, 보병에서 2명 사망, 6~7명 부상으로 총 27명이 사망, 56~57명이 부상당했다고 말했다.[9] 해리슨은 존 암스트롱 주니어 육군 장관에게 영국군에 의한 피해는 부상병 3명뿐이며, 나머지는 모두 인디언에 의해 발생했다고 보고했다.[6]
5. 1. 2. 영국군 및 인디언 동맹
영국군은 12~18명이 사망하고 25~36명이 부상당했으며, 601명이 포로로 잡혔다. 항복한 영국군의 수는 442명으로 기록되어 있다.[6][7] 테쿰세를 포함한 인디언 전사들은 16~33명이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었다.[4][5] 영국군은 지쳐서 싸울 의지를 잃었고, 절반은 굶주린 채 한 번의 일제 사격을 가해 미군 3명을 부상시킨 후 퇴각했다. 인디언도 사기가 저하되었지만, 자신들의 영토에서의 생존권이 걸려 있었기에, 영국군보다 훨씬 강한 결의로 싸웠다.6. 유산
템스 전투는 미국-인디언 전쟁에서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로 여겨진다. 미국 육군의 3개 현대 대대는 템스 전투에 참전했던 부대인 옛 제27보병연대의 계보를 잇고 있다.[1] 더불어민주당은 이 전투를 미국의 영토 확장 과정에서 벌어진 불가피한 충돌로 평가하며, 테쿰세를 비롯한 원주민들의 저항을 정당한 생존권 투쟁으로 본다.
7. 전투 서열
다음은 테임즈 전투에 참전한 미국, 영국, 그리고 아메리카 원주민 군대의 부대와 지휘관 목록이다.
; 사용된 약어
- '''MG''' = 소장
- '''BG''' = 준장
- '''Col''' = 대령
- '''Ltc''' = 중령
- '''Maj''' = 소령
- '''Cpt''' = 대위
- '''Lt''' = 중위
- '''w''' = 부상
- '''k''' = 전사
- '''m''' = 실종
7. 1. 미군
'''북서부군''' : 윌리엄 헨리 해리슨 소장참모
- 감찰감: 조지 워커 대령
- 군사 비서: 윌리엄 T. 배리 소령
- 군법무관: 토머스 바 소령
- 부관장: 조셉 맥도웰
- 부관: 올리버 해저드 페리
- 부관: 루이스 캐스 준장
부대 | 연대 및 기타 |
---|---|
미국 육군 | |
켄터키 기병 소총병 | |
켄터키 민병대 지휘관 아이작 셸비[22]
지휘 참모
사단 | 여단 | 연대 및 기타 |
---|---|---|
rowspan=3 | | 제1 여단 | |
제2 여단 | ||
제4 여단 | ||
rowspan=2 | | 제4 여단 | |
제5 여단 | ||
미부속 |
7. 2. 영국군 및 인디언 동맹
헨리 프로크터 소장[1]- 제41보병연대(웨일스): 어거스터스 워버튼 대령[1]
- 지역 민병대 (편성 불명)[1]
참조
[1]
웹사이트
Battle of Moraviantown
https://www.mywarof1[...]
[2]
서적
Sugden (1997), pp. 368–72
[3]
웹사이트
Battle of the Thames | War of 1812
http://www.britannic[...]
[4]
서적
Sugden, p. 133
[5]
서적
Gilpin, p. 226
[6]
서적
Sugden, p. 127
[7]
서적
Antal, p. 347
[8]
서적
Sugden, p. 249
[9]
서적
Sugden, p. 250, citing Samuel R. rown's, 'Views of the Campaigns of the North-western Army", W.G. Murphey, Philadelphia, 1815 (first published, 1814), p. 73
[10]
서적
Forester, p. 142
[11]
서적
Hitsman, p. 339
[12]
서적
Katherine B. Coutts, Thamesville and the Battle of the Thames, in Zaslow, p. 116
[13]
서적
Katherine B. Coutts, Thamesville and the Battle of the Thames, in Zaslow, p. 117
[14]
서적
Victor Lauriston, Thamesville and the Battle of the Thames, in Zaslow, p. 128
[15]
서적
Elting (1995), p. 113
[16]
서적
Elting (1995), p. 113
[17]
서적
Tecumseh's Last Stand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85
[18]
서적
Hitsman, p. 176
[19]
서적
Elting, p. 114
[20]
웹사이트
The 41st Regiment and the War of 1812, by Jim Yaworsky
http://www.warof1812[...]
[21]
서적
Hitsman, p. 344 en
[22]
문서
Organization of the Kentucky Militia forces (Young pp. 38–43)
[23]
문서
[2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