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섭 (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섭》은 지식을 통합하는 방법을 다룬 책으로, 윌리엄 휴얼의 '귀납의 통섭' 개념에서 유래했다. 이 책은 다양한 분야의 사실과 이론을 연결하여 설명의 공통 기반을 만드는 것을 통섭으로 정의하며, 찰스 다윈의 진화론과 유전학의 결합, 아인슈타인의 연구, 과학과 종교의 목적 통일성 등을 예시로 제시한다. 또한, 통섭의 주요 사례와 적용 분야, 쟁점 및 비판,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등을 다루며, 사회 문제 해결과 정책 결정에 통섭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 책 - 자연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8권으로 이루어진 자연철학 논저로, 물질, 네 가지 원인, 잠재성과 실재성, 무한, 운동, 시간, 공간 등을 중심으로 자연 현상을 설명하고 우주를 움직이는 최초의 동자의 존재를 논증하며 서구 과학과 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과학 책 - 몽계필담
몽계필담은 북송 시대의 과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신 과가 은퇴 후 저술한 책으로, 천문학, 수학, 지질학, 인쇄술, 나침반, 석유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과 사회, 문화, 사상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활판인쇄술과 나침반에 대한 세계 최고(最古)의 기록을 포함하고 있다. - 미국의 논픽션 책 - 정의론
정의론은 존 롤스가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이라는 개념을 통해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한 정의의 원칙을 제시하며, 최대 자유 평등 원칙, 차등 원칙 및 기회균등 원칙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이론으로,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이념의 핵심으로 평가되어 사회 개혁 논의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 - 미국의 논픽션 책 - 열린 사회와 그 적들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은 칼 포퍼가 1945년에 출판한 저서로, 플라톤, 헤겔, 마르크스의 역사주의와 전체주의 사상을 비판하며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가치를 옹호한다.
통섭 (책)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책 정보 | |
![]() | |
제목 | 통섭: 지식의 통일 |
원제 |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
저자 | E. O. 윌슨 |
삽화가 | 해당사항 없음 |
표지 미술가 | 해당사항 없음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시리즈 | 해당사항 없음 |
주제 | 통섭 |
출판사 | 해당사항 없음 |
출판일 | 1998년 |
영어 출판일 | 해당사항 없음 |
미디어 유형 | 인쇄 (하드커버 및 페이퍼백) |
페이지 수 | 332쪽 |
ISBN | 9780679450771 |
OCLC | 해당사항 없음 |
DDC | 해당사항 없음 |
LCC | 해당사항 없음 |
이전 작품 | 해당사항 없음 |
다음 작품 | 해당사항 없음 |
2. 통섭의 정의와 기원
이 책에서 통섭이란 문자적으로 지식을 통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통섭은 설명을 하기 위해 공통된 기초지식을 새로 만들기 위해 여러 학문 분야를 통해 사실과 사실에 기초한 이론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 용어는 윌리엄 휴얼의 저서 《귀납적 과학 철학》에 나오는 '귀납의 통섭'이라는 말에서 가져온 것이다.[2]
2. 1. 윌리엄 휴얼의 '귀납의 통섭'
윌리엄 휴얼의 저서 《귀납적 과학 철학》에서 사용된 '귀납의 통섭'이라는 구절에서 통섭이라는 용어가 차용되었다.[2] 휴얼은 서로 다른 부류의 사실에서 얻은 귀납이 일치할 때 이러한 귀납의 통섭이 발생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런 방식으로 통섭은 이론의 진실성을 검증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2. 2. 에드워드 윌슨의 '통섭: 지식의 통합'
에드워드 윌슨은 그의 저서 《통섭: 지식의 통합》에서 통섭을 "분야를 넘나들며 사실과 사실에 기반한 이론을 연결하여 설명의 공통 기반을 만드는 지식의 문자 그대로의 '결합'"[2]으로 정의한다. 이 용어는 윌리엄 휴얼의 저서 《귀납적 과학 철학》에서 사용된 '귀납의 통섭'이라는 구절에서 가져왔다. 휴얼은 서로 다른 부류의 사실에서 얻은 귀납이 일치할 때 이러한 귀납의 통섭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방식으로 통섭은 이론의 진실성을 검증하는 방법이다.2. 3. 최재천의 통섭 개념 확장
최재천은 그의 번역서에서 통섭을 뇌의 작용 중 '설명하는 뇌'의 작용으로 확장하였다.[1] 그는 학문이 인문학으로 시작하여 인문학으로 마무리된다고 주장하며,[1] 언어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을 때 과학이 진정한 학문이 된다고 보았다.[1]3. 통섭의 주요 사례 및 적용 분야
다윈의 진화 이론과 유전학의 새로운 종합,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브라운 운동과 원자론 통합, 현대 물리학의 대통일 이론 등은 자연과학 내에서 이루어진 통합의 예시이다. 제럴드 홀턴은 세계가 통일된 질서를 가지며 자연 법칙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신념을 "이오니아 마법"이라고 불렀다.[3] 탈레스는 물이 모든 물질의 통일된 기반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자연에 대한 통일된 관점의 최초의 유물론적 이론으로 종종 인용된다.[3]
과학과 종교, 철학과 과학은 목적의 통일성을 가진다. 둘 다 우주를 설명하고 우주에서의 우리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하며, 철학자와 과학자는 생물학, 사회 과학, 인문학의 경계에서 함께 협력할 수 있다.[3] 교양 교육은 고등 교육에서 지식의 통일성을 인식함으로써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1]
계몽주의는 인권과 사회 진보에 적용된 과학 지식의 맥락에서 논의된다.[1] 콩도르세는 수학을 사회 과학에 체계적으로 적용했다.[1] 프랜시스 베이컨은 사회 과학과 인문학을 포함한 분야에서 건전한 지식의 기초로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옹호했다.[1] 르네 데카르트는 우주가 합리적이고 통일되어 있으며 상호 연결된 진리가 물리학에서 생물학, 도덕적 추론까지 이어진다고 믿었다. 그는 기하학과 대수학을 통합했다 (데카르트 좌표계 참고).[1] 아이작 뉴턴은 갈릴레이의 낙하체 법칙을 코페르니쿠스의 행성 운동 법칙과 통합했다 (만유인력의 법칙 참고).[1] 아돌프 케틀레와 오귀스트 콩트는 과학적 방법으로 행동을 연구하는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면서 사회 과학을 개척했다.[1] 윌슨은 인류가 질서를 보면서 무질서를 만들고, 무질서를 보면서 질서를 만드는 사람들 사이의 긴장에 의해 앞으로 나아간다고 주장하며, 포스트모더니즘과 과학의 목적의 통일성을 옹호한다.[3]
3. 1. 자연과학 내에서의 통섭
- 다윈의 진화 이론과 유전학의 새로운 종합은 통합의 한 예이다.[3]
- 세계는 통일된 질서를 가지며 자연 법칙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신념은 제럴드 홀턴에 의해 "이오니아 마법"이라고 불렸다.[3]
- 탈레스는 물이 모든 물질의 통일된 기반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종종 자연에 대한 통일된 관점의 최초의 유물론적 이론으로 인용된다.[3]
- 현대 물리학의 대통일 이론은 힘의 통일을 추구한다.[3]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연구는 브라운 운동과 원자론의 통합 등 물리학 분야 내에서 여러 통합의 예를 제공한다.[3]
-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는 물질이 근본적인 구성 요소를 갖는다는 환원주의적 아이디어를 제시한 그리스 원자론자로 여겨진다. 이 아이디어에 대한 과학적 탐구는 자연 과학 전반에 걸쳐 통일성을 가져왔다. 예를 들어, DNA의 분자 구조는 살아있는 세포 내의 유전 정보를 저장한다.[3]
- 윌슨은 세포가 화학 구성 요소로 설명되고, 배아 발달이 배아 세포 간의 상호 작용으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생물학 분야 간의 통섭 성공 사례를 논의하지만, 신경과학과 생태학에서와 같이 남아 있는 복잡계를 다루는 문제점을 지적한다.[3]
- 통계역학에서 기체 부피의 행동은 기체 분자(기체 운동론)로 설명된다.[3]
- 양자 화학은 양자역학적 계산에 의한 화학적 특성의 환원이다.[3]
3. 2.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 간의 통섭
환경 보호는 미국 환경 보호국과 같은 정부 규제 기관, 윤리학, 사회 과학, 생물학, 화학과 같은 자연 과학 분야의 지식을 결합해야 한다.[3][4] 유전자와 문화의 관계에서 문화의 기본 요소는 밈으로 상정된다. 밈이 뇌에 존재할 때, 의미론적 기억 내에서 밈이 작동하도록 하는 신경 네트워크 형태를 띤다. 유전자에서 문화로의 연결고리는 유전자가 (환경과의 협력 속에서) 뇌를 형성하고, 뇌는 문화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서 밈을 다룬다는 것이다.[3][4]3. 3. 사회 문제 해결과 정책 결정
정부 정책은 자연 과학, 사회 과학, 인문학의 전문 분야 전반에 걸친 통합된 지식을 필요로 한다.[1] 환경 보호는 미국 환경 보호국과 같은 정부 규제 기관, 윤리학, 사회 과학, 생물학, 화학과 같은 자연 과학 분야의 지식을 결합하는 것을 요구한다.[1]4. 통섭과 관련된 주요 쟁점 및 비판
Consilience영어과 관련된 쟁점은 주로 환원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과의 관계에서 비롯된다.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 같은 고대 그리스 원자론자들은 물질이 근본적인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환원주의적 관점을 제시했다. 이러한 관점은 현대 과학에서 DNA의 분자 구조가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같이 자연 과학 전반의 통일성을 보여주는 예시로 이어진다.
윌슨은 신경과학과 인식론을 통합하려는 현대적 시도를 제시하며, 이것이 물리적 현실과 현실에 대한 우리의 정신 모델 사이의 불일치가 진화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명확히 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지식 통합 방법으로 실증주의와 실용주의를 제시하며, 전자는 객관적 관찰을, 후자는 실용적 가치를 강조한다.
윌슨은 세포가 화학 구성 요소로 설명되고, 배아 발달이 배아 세포 간의 상호 작용으로 설명되는 생물학 분야 간의 통섭이 성공한 사례를 언급하면서도, 신경과학과 생태학에서와 같이 남아 있는 복잡계를 다루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통계역학의 예시와 함께, 의식과 감정을 설명하는 신경생물학적 접근 방식을 설명하고, 미학의 신경생물학을 통해 예술에 대한 이해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또한 인공 감정과 관련하여 생물학, 심리학, 컴퓨터 과학 간의 통섭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윌슨은 인류가 질서와 무질서 사이의 긴장에 의해 앞으로 나아간다고 주장하며, 포스트모더니즘과 과학의 목적의 통일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4. 1. 환원주의와 통섭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 같은 그리스 원자론자들은 물질이 근본적인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환원주의적 생각을 제시했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면서 자연 과학 전반에 걸쳐 통일성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DNA의 분자 구조는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3][4]윌슨은 신경과학과 인식론을 통합하려는 현대적 시도를 제시한다. 그는 이것이 물리적 현실과 현실에 대한 우리의 정신 모델 사이의 불일치가 진화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명확히 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서로 다른 학문 분야의 지식을 비교하고 통합하는 방법으로는 실증주의와 실용주의가 있다. 실증주의는 주관적인 추론보다는 실험과 객관적인 관찰을 통해 생성된 사실에 우선순위를 둔다. 반면 실용주의는 효과가 입증되고 실용적 가치가 있는 방법과 기술에 우선순위를 둔다.[3][4]
현상을 구성 요소로 분해하는 환원에 의한 통섭과 더 기본적인 물리적 원리로부터 고차원 현상을 예측하는 종합에 의한 통섭을 비교하는 많은 예시가 제시된다. 구체적인 예시로 윌슨이 연구한 화학 신호가 있는데, 이 신호는 곤충의 사회적 행동을 조절한다. 윌슨은 인간 문화에서 뱀 상징이 자주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꿈의 활성화-합성 모델을 통합하기도 한다.[3][4]
윌슨은 세포가 화학 구성 요소로 설명되고, 배아 발달이 배아 세포 간의 상호 작용으로 설명되는 것처럼 생물학 분야 간의 통섭이 성공한 사례를 논한다. 하지만 신경과학과 생태학에서와 같이 남아 있는 복잡계를 다루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한다.[3][4]
통계역학은 기체 부피의 행동이 기체 분자(기체 운동론)로 설명되는 고전적인 예시이다. 양자 화학은 양자역학적 계산을 통해 화학적 특성을 환원시킨다. 윌슨은 뇌 생리학 측면에서 의식과 감정을 설명하는 신경생물학적 접근 방식을 설명하며, 이 노력이 생물학자, 심리학자, 철학자 간의 협력을 통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설명한다. 또한 미학의 신경생물학을 통해 예술에 의해 공유되고 탐구되는 주관적 경험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이해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공통적인 신경 활동 패턴이 기본적인 미적 경험과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질 것이다.[3][4]
인공 감정과 관련하여, 윌슨은 인간과 유사한 인공 지능은 풍부한 감각 입력을 처리하고 어린이가 학습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해당 입력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계산 장치의 엔지니어링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물학, 심리학, 컴퓨터 과학 간의 통섭이 필요하다.[3][4]
4. 2. 포스트모더니즘과 통섭
윌슨은 인류가 질서를 보면서 무질서를 만들고, 무질서를 보면서 질서를 만드는 사람들 사이의 긴장에 의해 앞으로 나아간다고 주장하며, 포스트모더니즘과 과학의 목적의 통일성에 대해 이야기한다.5. 통섭의 미래와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에드워드 윌슨의 저서 "통섭"에서 제시된 통섭의 개념은 미래 사회, 특히 한국 사회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하위 섹션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통섭, 한국 사회의 과제와 통섭, 교육 시스템과 통섭에 대해 다루고 있으므로, 이 섹션에서는 윌슨의 통섭 개념이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간략하게 언급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5. 1.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통섭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새로운 기술이 발전하면서 여러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는 통섭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윌슨은 인공 감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통섭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인공 감정: 윌슨은 인간과 유사한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서는 풍부한 감각 입력을 처리하고, 어린이가 학습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해당 입력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계산 장치를 개발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생물학, 심리학, 컴퓨터 과학 간의 통섭이 필요하다.
5. 2. 한국 사회의 과제와 통섭
한국 사회는 사회적 불평등, 저출산·고령화, 기후 변화와 같은 복잡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학문 분야를 융합하는 통섭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혁신 성장, 포용적 복지, 지속 가능한 발전과 같은 정책 방향을 통해 통섭적 접근을 추구하고 있다.예를 들어, 환경 보호는 윤리학, 사회 과학, 생물학, 화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해야 하는 과제이다. 프랜시스 베이컨은 일찍이 데이터 수집 및 분석(베이컨식 방법)이 사회 과학과 인문학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건전한 지식의 기초라고 주장했다. 콩도르세는 수학을 사회 과학에 체계적으로 적용하려 했으며, 아돌프 케틀레와 오귀스트 콩트는 과학적 방법으로 인간 행동을 연구하는 사회 과학의 기초를 닦았다.
르네 데카르트는 우주가 합리적이고 통일되어 있으며, 물리학에서 생물학, 도덕적 추론에 이르기까지 상호 연결된 진리가 존재한다고 믿었다. 그는 기하학과 대수학을 통합한 데카르트 좌표계를 창안했다. 아이작 뉴턴은 갈릴레이의 낙하체 법칙과 코페르니쿠스의 행성 운동 법칙을 통합하여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다.
이처럼 통섭적 접근은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다. 정부 정책은 자연 과학, 사회 과학, 인문학의 전문 지식을 통합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유전자와 문화의 관계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의 유전자는 뇌를 형성하고, 뇌는 문화를 구성하는 밈을 다룬다. 이러한 연결고리는 생물학, 사회 과학, 인문학의 경계에서 철학자와 과학자가 협력하여 목적의 통일성을 추구해야 함을 보여준다.
5. 3. 교육 시스템과 통섭
윌슨은 생물학, 심리학, 컴퓨터 과학 간의 통섭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과 유사한 인공 지능은 풍부한 감각 입력을 처리하고 어린이가 학습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해당 입력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계산 장치의 엔지니어링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안한다.[1] 유전자에서 문화로의 연결고리는 우리의 유전자가 (환경과의 협력 속에서) 우리의 뇌를 형성하고, 뇌는 문화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서 밈을 다루도록 한다는 것이다.[1]참조
[1]
웹사이트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https://wtf.tw/ref/w[...]
Vintage Books, Random House, New York
[2]
서적
Consilience
[3]
논문
The brain as a dream state generator: an activation-synthesis hypothesis of the dream process
1977-12
[4]
논문
Finding the Stuff that Dreams are Made Of
2001
[5]
웹사이트
Life is a Miracle
https://www.communio[...]
2023-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