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자 철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자 철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둥베이 지역의 철도 노선으로, 도문역에서 가목사역까지 총 580.2km 구간을 운행한다. 일제강점기 일본이 둥베이 지역의 자원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했으며, 무투선, 무린선, 린자선으로 구성된다. 1930년대에 건설이 시작되어 1937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복선화 및 노선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훈춘, 무단장, 자무쓰 등이 있으며, 여러 노선과 연결되어 둥베이 지역의 중요한 교통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타이허시의 교통 - 허다 고속공로
    허다 고속공로는 헤이룽장성 허강시에서 랴오닝성 와팡뎬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485.955km의 고속공로로, 중국 동북 지역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수행하며 허강, 자무스, 무단장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
  • 자무쓰시의 교통 - 자무쓰역
    자무쓰역은 1937년 헤이룽장성 자무쓰시에 개장하여 초기에는 일본군의 자원 약탈에 활용되었으나, 2016년 재개발을 통해 확장 및 현대화되어 현재 여러 노선이 지나가는 철도 연결을 제공한다.
  • 자무쓰시의 교통 - 허다 고속공로
    허다 고속공로는 헤이룽장성 허강시에서 랴오닝성 와팡뎬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485.955km의 고속공로로, 중국 동북 지역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수행하며 허강, 자무스, 무단장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
  • 옌볜의 교통 -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옌지시에 위치하며, 1952년 군용 비행장으로 개항하여 여러 차례 확장 공사를 거쳐 국제선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옌볜의 교통 - 두만강대교
    두만강대교는 1938년 경흥교로 건설되어 중국 훈춘과 북한 원정리를 연결하며 권하와 두만강 합류 지점에 위치하고, 2016년 신두만강대교 완공으로 훈춘-라선 간 국제 버스 노선이 운영되어 경제 및 관광 교류에 기여한다.
투자 철로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명투자 철로
노선명 (원어)图佳铁路
로마자 표기Tújiā Tiělù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소재지헤이룽장성 ~ 지린성
운영 주체하얼빈 철로국 자무쓰 차량사업소, 무단장 차량사업소 / 선양 철로국 지린 차량사업소
상태영업 중
기점투먼(圖們)
종점자무쓰(佳木斯)
개통일1937년
영업 거리580 km
궤간표준궤
노선도

2. 노선 정보

투자 철로(도문역―가목사역) 구간의 거리는 580.2km이다.[6] 역의 개수는 양쪽 끝 역을 포함하여 52개이다.[6] 궤도 간격은 1,435mm(표준궤)이다.[6] 무단강역임구역 구간은 복선이며, 전 구간은 비전철화 구간이다.[3] 길림성 및 흑룡강성 동부의 중요한 교통로로, 연선의 주요 시·현으로는 훈춘, 왕청, 녕안, 무단강, 임구, 가목사를 경유한다.[1] 훈춘 - 무단강 구간을 '''무투선'''(牡圖線), 무단강 - 자무스 구간을 '''무자선'''(牡佳線)이라고도 부른다.[1] 훈춘에서 라오먀오까지는 길림성에, 라오쑹링에서 자무스까지는 흑룡강성에 속한다.[1] 훈춘에서 146.224km(루다오 - 더우거우쯔 구간)까지는 선양 철도국, 그 이북은 하얼빈 철도국의 관할이다.[2]

3. 역사

일본이 둥베이 3성을 점령한 후, 둥베이 3성의 동부로부터 외국 수송을 위한 석탄·목재·기타 자원을 일본으로 수송하기 위해, 자무쓰에서 무단장투먼을 거쳐 일제강점기 조선의 나진, 청진에 항구와 철도 건설을 필요로 했다.[4] 이 역사적 배경에서 투자선은 세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되었다.

첫 번째 구간은 무투선(牡图线, 투먼~무단장)이다. 1932년 3월에 노선을 선정하고, 10월에 탐사가 완료되었다. 1933년 6월 “만주국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착공되었다.[4] 지린-헤이룽장 두 성의 경계인 노야령(老爷岭)을 지나는 길이 1900m의 라오예링 터널(老松岭隧道)의 건설이 시작되어, 1934년 11월 15일 터널이 완공되었다. 1933년 10월 16일부터 1934년 12월 10일까지 무투선 부설을 완료하였다. 1935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영업했다.

두 번째 구간은 무린선(牡林线, 무단장~린커우 110km)이다. 1934년 1월에 측량이 완성되었다. 1934년 3월에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착공하였다. 1934년 12월 21일부터 무단장~린커우간 철도 건설을 시작하여, 1935년 4월 16일 개통되었다. 1935년 7월 10일에 시험 운영되었다. 1936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운영되었다.

세 번째 단락은 린자선(林佳线, 린커우~자무쓰)이다. 린커우~보리(勃利) 구간은 1934년 10월에 측량을 마치고, 1935년 5월에 공사가 시작되었다. 1935년 10월 1일 린커우~자무쓰까지 철도가 건설되었고, 1935년 12월 중순에는 보리역까지 건설되었다. 보리~자무쓰 구간은 1935년 2월에 측량이 완료되었고, 1936년 12월 10일에 자무쓰까지 철로가 건설되면서, 투자선의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1937년 1월 15일 린자선 시험운영을 시작했다. 1937년 7월 1일 린자선이 정식으로 운영되었다.[4]

1941년, 투먼~신싱 간 30km 복선이 건설되었다.[7]

투자선이 개통된 후 일본 당국은 둥베이 동부 지역에 자원을 확보했으며, 예를 들어, 현지 , 허강(鹤岗) 석탄, 샤오싱안링 산맥에서 백두산까지 구간의 목재가 투먼(图门)을 통해 일본 본토로 이송되었다. 동시에, 일본은 투자선을 따라 쳰전(千振,현 화난현)과 (弥荣,현 멍자강현) 등으로 이민을 갔다. 투자선의 건설과 운영을 둘러싸고 둥베이 항일연군(东北抗日联军)은 일본 만주 당국과 계속 격렬한 전투 충돌을 벌였다.

1941년 12월 7일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이후 군운열차(军运列车)가 대량으로 증가하면서 상운열차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1958년 무단장 철로관리국은 무단장~린커우(林口) 구간에 복선 확장을 시작하였고, 1962년 국가압축기본건설로 인해 건설이 중단되었다. 1982년 국가는 지시(鸡西), 치타이허(七台河)의 석탄 외부 수송 능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무린(牡林) 구간 복선 건설 및 부대 개조를 계획에 포함시켰다. 하얼빈 철로국은 1985년 5월 무린선(牡林线) 복선 건설을 시작했다. 1992년 무린선 복선이 조성되어 운영되었다.

3. 1. 일제강점기 건설 배경

일본이 둥베이 3성을 점령한 후, 둥베이 3성의 동부로부터 외국 수송을 위한 석탄·목재·기타 자원을 일본으로 수송하기 위해, 일제강점기 시기 조선의 나진, 청진에 항구와 철도 건설을 필요로 했다.[4] 이러한 배경에서 투자선은 세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되었다.

  • 무투선(牡图线, 투먼~무단장): 1933년 6월 “만주국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착공되어 1935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영업했다.
  • 무린선(牡林线, 무단장~린커우 110km): 1934년 3월에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착공하여, 1936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운영되었다.
  • 린자선(林佳线, 린커우~자무쓰): 1935년 5월에 공사가 시작되어, 1937년 1월 15일 시험운영을 시작하고, 1937년 7월 1일 정식으로 운영되었다.[4]


투자선이 개통된 후 일본 당국은 둥베이 동부 지역에 자원을 확보했으며, , 허강(鹤岗) 석탄, 샤오싱안링(小兴安岭) 산맥에서 백두산까지 구간의 목재가 투먼(图门)을 통해 일본 본토로 이송되었다.[7] 동시에, 일본은 투자선을 따라 쳰전(千振,현 화난현)과 (弥荣,현 멍자강현) 등으로 이민을 갔다. 투자선의 건설과 운영을 둘러싸고 둥베이 항일연군(东北抗日联军)은 일본만주 당국과 계속 격렬한 전투 충돌을 벌였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이후 군운열차(军运列车)가 대량으로 증가하면서 상운열차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3. 2. 구간별 건설 과정

일본이 둥베이 3성을 점령한 후, 둥베이 3성의 동부로부터 외국 수송을 위한 석탄·목재·기타 자원을 일본으로 수송하기 위해, 자무쓰에서 무단장과 투먼을 거쳐 조선(일제강점기 시기)의 나진, 청진에 항구와 철도 건설을 필요로 했다. 이 역사적 배경에서 투자선은 세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되었다.[4]

  • 무투선(牡图线, 투먼~무단장): 1932년 3월 노선 선정 및 10월 탐사 완료 후, 1933년 6월 “만주국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착공되었다. 지린-헤이룽장 두 성의 경계인 노야령(老爷岭)을 지나는 길이 1900m의 라오예링 터널(老松岭隧道) 건설이 1934년 11월 15일 완공되었다. 1933년 10월 16일부터 1934년 12월 10일까지 무투선 부설을 완료하고, 1935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영업했다.

  • 무린선(牡林线, 무단장~린커우 110km): 1934년 1월 측량 완료 후, 3월에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착공하였다. 1934년 12월 21일부터 무단장~린커우간 철도 건설을 시작하여 1935년 4월 16일 개통되었다. 1935년 7월 10일 시험 운영을 거쳐 1936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운영되었다.

  • 린자선(林佳线, 린커우~자무쓰): 린커우~보리(勃利) 구간은 1934년 10월 측량을 마치고 1935년 5월 공사가 시작되었다. 1935년 10월 1일 린커우~자무쓰까지 철도가 건설되었고, 1935년 12월 중순에는 보리역까지 건설되었다. 보리~자무쓰 구간은 1935년 2월 측량이 완료되었고, 1936년 12월 10일에 자무쓰까지 철로가 건설되면서, 투자선의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1937년 1월 15일 린자선 시험운영을 시작했고, 1937년 7월 1일 정식으로 운영되었다.


1941년, 투먼~신싱 간 30km 복선이 건설되었다.[7]

투자선이 개통된 후 일본 당국은 둥베이 동부 지역에 자원을 확보했으며, 예를 들어, 현지 , 허강(鹤岗) 석탄, 샤오싱안링(小兴安岭) 산맥에서 백두산까지 구간의 목재가 투먼(图门)을 통해 일본 본토로 이송되었다. 동시에, 일본은 투자선을 따라 쳰전(千振,현 화난현)과 (弥荣,현 멍자강현) 등으로 이민을 갔다. 투자선의 건설과 운영을 둘러싸고 둥베이 항일연군(东北抗日联军)은 일본만주 당국과 계속 격렬한 전투 충돌을 벌였다.

1941년 12월 7일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이후 군운열차(军运列车)가 대량으로 증가하면서 상운열차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1958년 무단장 철로관리국은 무단장~린커우(林口) 구간에 복선 확장을 시작하였고, 1962년 국가압축기본건설로 인해 건설이 중단되었다. 1982년 국가는 지시(鸡西), 치타이허(七台河)의 석탄 외수 능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무린(牡林) 구간 복선 건설 및 부대 개조를 계획에 포함시켰다. 하얼빈 철로국은 1985년 5월 무린선(牡林线) 복선 건설을 시작했고, 1992년 무린선 복선이 조성되어 운영되었다.

3. 3. 일제강점기 자원 수송 및 항일 투쟁

일본은 둥베이 3성을 점령한 후, 둥베이 3성의 동부로부터 외국으로 석탄, 목재, 기타 자원을 수송하기 위해 자무쓰에서 무단장과 투먼을 거쳐 조선(일제강점기 시기)의 나진, 청진에 항구와 철도 건설을 필요로 했다.[4] 이러한 배경에서 투자선은 세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되었다.

1933년 6월 "만주국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착공되어[4] 1934년 12월 10일까지 무투선(투먼~무단장) 부설을 완료하였고, 1935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영업했다. 무린선(무단장~린커우)은 1934년 3월에 착공하여 1935년 4월 16일 개통되었고, 1936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운영되었다. 린자선(린커우~자무쓰)은 1935년 5월에 공사가 시작되어 1936년 12월 10일에 자무쓰까지 철로가 건설되면서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1937년 7월 1일 정식 운영되었다.[4] 1941년에는 투먼~신싱 간 30km 복선이 건설되었다.[7]

투자선 개통 후, 일본 당국은 둥베이 동부 지역의 , 허강(鹤岗) 석탄, 샤오싱안링(小兴安岭) 산맥에서 백두산까지 구간의 목재 등을 투먼(图门)을 통해 일본 본토로 이송했다.[4] 이와 함께, 일본은 투자선을 따라 쳰전(千振, 현 화난현)과 (弥荣, 현 멍자강현) 등으로 이민을 갔다. 투자선 건설과 운영을 둘러싸고 둥베이 항일연군(东北抗日联军)은 일본 및 만주 당국과 격렬한 전투 충돌을 벌였다.[4]

1941년 12월 7일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군수물자 수송 열차가 증가하면서 일반 화물 열차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4]

1958년 무단장 철로관리국은 무단장~린커우 구간 복선 확장을 시작했으나, 1962년 중단되었다. 1982년 지시(鸡西), 치타이허(七台河)의 석탄 외부 수송 능력 증대를 위해 무린 구간 복선 건설 및 부대 개조를 계획에 포함시켰고, 하얼빈 철로국은 1985년 5월 무린선 복선 건설을 시작하여 1992년 완공했다.[4]

3. 4. 태평양 전쟁 시기

일본이 둥베이 3성을 점령한 후, 둥베이 3성의 동부로부터 외국 수송을 위한 석탄·목재·기타 자원을 일본으로 수송하기 위해, 자무쓰에서 무단장과 투먼을 거쳐 조선(일제강점기 시기)의 나진, 청진에 항구와 철도 건설을 필요로 했다.[4] 이 역사적 배경에서 투자선은 세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되었다.

첫 번째 구간은 무투선(牡图线, 투먼~무단장)이다. 1932년 3월에 노선을 선정하고, 10월에 탐사가 완료되었다. 1933년 6월 “만주국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차공되었다. 지린-헤이룽장/黑龙江중국어 두 성의 경계인 노야령(老爷岭)을 지나는 길이 1900m의 라오예링 터널(老松岭隧道)의 건설이 시작되어, 1934년 11월 15일 터널이 완공되었다. 1933년 10월 16일부터 1934년 12월 10일까지 무투선 부설을 완료하였다. 1935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영업했다.

두 번째 구간은 무린선(牡林线, 무단장~린커우 110km)이다. 1934년 1월에 측량이 완성되었다. 1934년 3월에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착공하였다. 1934년 12월 21일부터 무단장~린커우간 철도 건설을 시작하여, 1935년 4월 16일 개통되었다. 1935년 7월 10일에 시험 운영되었다. 1936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운영되었다.

세 번째 단락은 린자선(林佳线, 린커우~자무쓰)이다. 린커우~보리(勃利) 구간은 1934년 10월에 측량을 마치고, 1935년 5월에 공사가 시작되었다. 1935년 10월 1일 린커우~자무쓰까지 철도가 건설되었고, 1935년 12월 중순에는 보리역까지 건설되었다. 보리~자무쓰 구간은 1935년 2월에 측량이 완료되었고, 1936년 12월 10일에 자무쓰까지 철로가 건설되면서, 투자선의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1937년 1월 15일 린자선 시험운영을 시작했다. 1937년 7월 1일 린자선이 정식으로 운영되었다.

1941년, 투먼~신싱 간 30km 복선이 건설되었다.[7]

투자선이 개통된 후 일본 당국은 둥베니 동부 지역에 자원을 확보했으며, 예를 들어,현지 , 허강(鹤岗중국어) 석탄, 샤오싱안링(小兴安岭) 산맥에서 백두산까지 구간의 목재가 투먼(图门)을 통해 일본 본토로 이송되었다. 동시에, 일본은 투자선을 따라 쳰전(千振,현 화난현)과 (弥荣,현 멍자강현) 등으로 이민을 갔다. 투자선의 건설과 운영을 둘러싸고 둥베이 항일연군(东北抗日联军)은 일본만주 당국과 계속 격렬한 전투 충돌을 벌였다.

1941년 12월 7일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이후 군운열차(军运列车)가 대량으로 증가하면서 상운열차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1958년 무단장 철로관리국은 무단장~린커우(林口) 구간에 복선 확장을 시작하였고, 1962년 국가압축기본건설로 인해 건성이 중단되었다. 1982년 국가는 지시(鸡西), 치타이허(七台河)의 석탄 외수 능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무린(牡林) 구간 복선 건설 및 부대 개조를 계획에 포함시켰다. 하얼빈 철로국은 1985년 5월 무린선(牡林线) 복선 건설을 시작했다. 1992년 무린선 복선이 조성되어 운영되었다.

3. 5. 전후 복구 및 확장

일본이 둥베이 3성을 점령한 후, 둥베이 3성의 동부로부터 외국 수송을 위한 석탄·목재·기타 자원을 일본으로 수송하기 위해, 자무쓰에서 무단장투먼을 거쳐 조선(일제강점기 시기)의 나진, 청진에 항구와 철도 건설을 필요로 했다.[4] 이 역사적 배경에서 투자선은 세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되었다.

첫 번째 구간은 무투선(牡图线, 투먼~무단장)이다. 1932년 3월에 노선을 선정하고, 10월에 탐사가 완료되었다. 1933년 6월 “만주국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차공되었다.[4] 지린-헤이룽장 두 성의 경계인 노야령(老爷岭)을 지나는 길이 1900m의 라오예링 터널(老松岭隧道)의 건설이 시작되어, 1934년 11월 15일 터널이 완공되었다. 1933년 10월 16일부터 1934년 12월 10일까지 무투선 부설을 완료하였다. 1935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영업했다.

두 번째 구간은 무린선(牡林线, 무단장~린커우 110km)이다. 1934년 1월에 측량이 완성되었다. 1934년 3월에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착공하였다. 1934년 12월 21일부터 무단장~린커우간 철도 건설을 시작하여, 1935년 4월 16일 개통되었다. 1935년 7월 10일에 시험 운영되었다. 1936년 7월 1일에 정식으로 운영되었다.

세 번째 단락은 린자선(林佳线, 린커우~자무쓰)이다. 린커우~보리(勃利) 구간은 1934년 10월에 측량을 마치고, 1935년 5월에 공사가 시작되었다. 1935년 10월 1일 린커우~자무쓰까지 철도가 건설되었고, 1935년 12월 중순에는 보리역까지 건설되었다. 보리~자무쓰 구간은 1935년 2월에 측량이 완료되었고, 1936년 12월 10일에 자무쓰까지 철로가 건설되면서, 투자선의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1937년 1월 15일 린자선 시험운영을 시작했다. 1937년 7월 1일 린자선이 정식으로 운영되었다.[4]

1941년, 투먼~신싱 간 30km 복선이 건설되었다.[7]

투자선이 개통된 후 일본 당국은 둥베니 동부 지역에 자원을 확보했으며, 예를 들어,현지 , 허강(鹤岗) 석탄, 샤오싱안링(小兴安岭) 산맥에서 백두산까지 구간의 목재가 투먼(图门)을 통해 일본 본토로 이송되었다. 동시에, 일본은 투자선을 따라 쳰전(千振,현 화난현)과 (弥荣,현 멍자강현) 등으로 이민을 갔다. 투자선의 건설과 운영을 둘러싸고 둥베이 항일연군(东北抗日联军)은 일본만주 당국과 계속 격렬한 전투 충돌을 벌였다.

1941년 12월 7일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이후 군운열차(军运列车)가 대량으로 증가하면서 상운열차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1958년 무단장 철로관리국은 무단장~린커우(林口) 구간에 복선 확장을 시작하였고, 1962년 국가압축기본건설로 인해 건성이 중단되었다.1982년 국가는 지시(鸡西), 치타이허(七台河)의 석탄 외수 능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무린(牡林) 구간 복선 건설 및 부대 개조를 계획에 포함시켰다. 하얼빈 철로국은 1985년 5월 무린선(牡林线) 복선 건설을 시작했다. 1992년 무린선 복선이 조성되어 운영되었다.

4. 기술

투자선은 무단강을 닝안 철로대교(宁安铁路大桥), 원춘 철로대교(温春铁路大桥), 하이랑 철로대교(海浪铁路大桥), 화린 철로대교(桦林铁路大桥)를 통해 네 번 건넌다. 모두 철근 콘크리트 교각 위에 강철판이 있는 교량으로, 길이는 20m이다.

5. 역 목록

투먼 - 투먼베이 - 스셴 - 싼다오거우 - 신싱 - 왕칭 - 다싱거우 - 먀오링 - 톈차오링 - 뤄퉈산 - 춘양 - 라오먀오 - 라오쑹링 - 루다오 - 더우거우쯔 - 마롄허 - 둥징청 - 스터우 - 란강 - 닝안 - 웬춘 - 하이랑 - 카루툰/카루툰중국어 - 무단장 - 푸장전 - 바다거우 - 화린 - 차이허 - 우린 - 주자거우 - 바오린 - 추산 - 샹양 - 린커우 - 구청전 - 야허 - 칭산 - 후산 - 푸링 - 퉁톈툰 - 보리 - 다시 - 싱수 - 우컨 - 옌자 - 화난 - 바후리 - 멍자강 - 선자뎬 - 창파툰 - 둥자무쓰 - 자무쓰

6. 연결 노선

투먼역에서는 창투선과 투훈선이 연결된다. 무단장역에서는 빈쑤이선이 연결된다. 린커우 역에서는 린미선이 연결된다. 보리 역에서는 보치선이 연결된다. 자무스역에서는 쑤이지아선, 지아푸선, 허강선, 하자선이 연결된다.

참조

[1] 웹사이트 哈爾濱鉄路局運営線路示意図 http://www.shcce.com[...]
[2] 웹사이트 哈爾濱鉄路局概況 (中華人民共和国鉄道部) http://www.china-mor[...]
[3] 웹사이트 中長期鉄路網計画図 http://www.chinesera[...]
[4] 웹사이트 伊藤壽一朝鮮度量衡協会理事の経済視察報告について* https://dl.ndl.go.jp[...]
[5] 웹사이트 하얼빈철도국 관할구역 노선도 http://www.shcce.com[...]
[6] 웹사이트 중장기 철도망 계획도 http://www.chinesera[...]
[7] 웹사이트 帝国主义争夺路权,中国铁路缓慢发展时期(3) http://www.cttgs.com[...] 2010-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