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세랑 변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세랑 변수는 작은 천체의 궤도 요소를 기반으로 정의되는 값으로, 천체의 궤도 긴반지름, 이심률, 궤도 경사 및 섭동 천체의 궤도 긴반지름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이 변수는 혜성의 궤도 변화를 연구하고, 혜성의 동일성을 판별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목성이나 해왕성에 의한 섭동을 받는 천체들을 분류하고, 스윙바이를 활용한 탐사선 궤도 설계, 그리고 은하 중심 블랙홀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궤도 - 궤도면
    궤도면은 인공위성과 발사체의 궤도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 지구 중력의 비구형성으로 인해 회전하며, 발사 시점은 목표 궤도면과 발사 기지의 교차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 궤도 - 다체 문제
    다체 문제는 상호작용하는 여러 물체의 운동을 다루는 문제로, 특히 중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천체들의 운동을 예측하는 문제가 대표적이며, 삼체 문제부터는 해석적 해를 구하기 어려워 섭동 이론이나 수치 해석 등의 방법이 활용된다.
티세랑 변수

2. 정의

작은 천체의 궤도 긴반지름을 a, 궤도 이심률을 e, 궤도 경사각을 i로 하고, 섭동 천체의 궤도 긴반지름을 a_P라고 할 때, 티세랑 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2][3]

:T_P\ = \frac{a_P}{a} + 2\cos i\sqrt{\frac{a}{a_P} (1-e^2)}

3. 티세랑의 판별식

펠릭스 티세랑은 혜성목성과 같은 섭동 천체의 영향을 받아 궤도가 크게 변하더라도, 특정 변수 값은 섭동 전후에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티세랑의 판별식'이라고 하며, 서로 다른 시기에 관측된 두 천체가 동일한 천체인지 판별하는 데 사용된다.[1]

구체적으로 태양-목성-혜성으로 이루어진 삼체계에서 혜성의 질량은 다른 두 천체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혜성이 목성의 궤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다. 또한 목성의 공전 궤도는 거의 원에 가깝다.

혜성의 궤도는 목성에서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다면 케플러의 법칙에 따라 타원 궤도를 그리지만, 목성 근처를 지나가면 목성의 중력에 의한 섭동을 받아 궤도가 크게 바뀔 수 있다. 그 결과, 목성 근처를 통과하기 전과 후에 같은 혜성임에도 불구하고 궤도가 매우 다르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시간에 다른 위치에서 관측된 혜성이 같은 혜성인지, 아니면 서로 다른 두 혜성인지 판별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만약 두 혜성이 동일하다면, 혜성의 장반경(a, a'), 이심률(e, e'), 궤도 경사각(i, i')의 섭동 전후 값은 다음의 티세랑 판별식을 근사적으로 만족한다.

:\frac{a_\mathrm{J}}{a} + 2\cos i\sqrt{\frac{a}{a_\mathrm{J}} (1-e^2)} = \frac{a_\mathrm{J}}{a'} + 2\cos i'\sqrt{\frac{a'}{a_\mathrm{J}} (1-e'^2)}

여기서 a_\mathrm{J}는 목성의 궤도 장반경이다. 이 식은 원 제한 삼체 문제에서 보존되는 양인 야코비 적분으로부터 유도된다. 따라서 이 식이 성립하는 혜성은 동일한 혜성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통해 혜성의 동일성을 판별할 수 있다.

3. 1. 티세랑 파라미터 보존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목성의 섭동을 받는 혜성의 궤도 변화 시뮬레이션. 빨간 점은 태양, 검은 점은 목성, 파란 점은 혜성을 나타낸다. 거리 및 시간 단위는 목성 공전 운동의 반지름 및 주기이다. 옅은 파란색 타원은 초기 궤도, 진한 파란색 타원은 섭동 후의 궤도이다.


위 애니메이션에서 혜성의 장반경, 이심률, 티세랑 매개변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목성의 섭동으로 장반경은 4.0에서 1.9로, 이심률은 0.80에서 0.64로 변화했지만, 티세랑 매개변수는 2.65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4. 응용

목성에 의한 섭동의 티세랑 변수 T_J소행성목성족 혜성을 구분할 때 사용된다.[23] 다모클레스족은 목성 티세랑 변수가 2 이하(T_J \le 2)이다.[24] 작은 천체가 큰 천체를 만나 섭동되기 전후의 티세랑 변수는 거의 일정하므로, 이 값을 통해 천체가 섭동을 받았는지 알 수 있다. 해왕성에 의한 섭동의 티세랑 변수 T_N산란원반 천체와 그 이외의 해왕성 바깥 천체를 구분하는 데 쓰인다.

4. 1. 태양계 소천체 분류

목성에 의한 섭동의 티세랑 변수(T_J)는 소행성(T_J > 3)과 목성족 혜성(2 < T_J < 3)을 구분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6] 다모클로이드 소행성군은 목성 티세랑 변수가 2 이하(T_J \le 2)로 정의된다.[8] 해왕성에 의한 섭동의 티세랑 변수(T_N)는 산란 원반 천체(해왕성의 섭동을 받음)와 그 이외의 해왕성 바깥 천체(해왕성의 섭동을 안 받음. 예: 90377 세드나)를 구분하는 데 쓰인다.

4. 2. 스윙바이 궤도 설계

티세랑 변수의 준보존성은 중력 보조(스윙바이)를 이용해 외태양계 탐사선의 궤도를 제한한다.[7] 따라서 외부 태양계 탐사선을 보낼 때 스윙바이를 활용하는 궤도를 설계하는 데 사용된다.[23]

4. 3. 기타 응용

우리은하 중심을 공전하는 항성들의 티세랑 파라미터를 통해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25] 티세랑 변수는 궤도를 도는 별들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은하수 중심에 중간 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추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7] 은하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 (SMBH) 근방에 중간 질량 블랙홀 (IMBH)이 존재한다면, 티세랑 변수를 사용하여 초대질량 블랙홀 근방의 별의 궤도로부터 중간 질량 블랙홀의 위치를 추측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2013년 현재 이 방법으로 발견된 중간 질량 블랙홀은 없다.[25]

5. 관련 개념

티세랑 변수는 3체계에서 섭동된 해밀턴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들로네 표준 변수 중 하나에서 파생되었다.[1] 고차 섭동 항을 무시하면 다음 값이 보존된다.

: \sqrt{a (1-e^2)} \cos i

결과적으로, 섭동은 코자이 공명으로 알려진 궤도 경사 및 이심률 사이의 공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원에 가깝고 경사가 높은 궤도는 낮은 경사를 대가로 매우 이심률이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메커니즘은 태양 근접 혜성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긴 반장축을 갖는 큰 이심률이 작은 근일점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 메커니즘에 의해 혜성은 태양에 매우 가까운 근일점과 큰 궤도 이심률을 가진 "선그레이저"가 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raité de Mécanique Céleste Gauthier-Villards
[2] 서적 Solar System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The scattering of small bodies in planetary systems: constraints on the possible orbits of cometary material: Scattering in planetary systems 2012-03-11
[4] 간행물 Inclination pathways of planet-crossing asteroids 2021-11-26
[5] 간행물 Orbit injection of planet-crossing asteroids 2023-11-20
[6] 웹사이트 Dave Jewitt: Tisserand Parameter http://www2.ess.ucla[...] 2018-03-27
[7] 서적 Dynamics and Evolution of Galactic Nuclei https://openlibra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The Damocloids http://www2.ess.ucla[...] UCLA – Department of Earth and Space Sciences 2017-02-15
[9] 웹사이트 Jupiter Fact Sheet https://nssdc.gsfc.n[...] 2021-02-04
[10] 서적 太陽系と惑星 日本評論社 2008-02-25
[11] 간행물 彗星状に見える小惑星たち https://www.asj.or.j[...] 日本天文学会
[12] 웹사이트 The Damocloids http://www2.ess.ucla[...] UCLA - Department of Earth and Space Sciences 2021-01-25
[13] 웹사이트 Tisserand Parameter http://www2.ess.ucla[...] UCLA - Department of Earth and Space Sciences 2021-01-25
[14] 간행물 The scattering of small bodies in planetary systems: constraints on the possible orbits of cometary material
[15] 웹사이트 ティスランの判定式 https://astro-dic.jp[...] 日本天文学会 2021-01-25
[16] 서적 Dynamics and Evolution of Galactic Nuclei https://openlibra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간행물 Cluster Core Dynamics in the Galactic Center
[18] 웹사이트 Tisserand criterion https://farside.ph.u[...] 2021-02-04
[19] 서적 The Lidov-Kozai Effect - Applications in Exoplanet Research and Dynamical Astronomy Springer
[20] 간행물 Sur la théorie de la capture des comètes périodiques 1889
[21] 서적 Traité de mécanique céleste https://archive.org/[...] Paris Gauthier-Villars 1896
[22] 서적 Solar System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웹인용 Dave Jewitt: Tisserand Parameter http://www2.ess.ucla[...] 2018-03-27
[24] 웹인용 The Damocloids http://www2.ess.ucla[...] UCLA – Department of Earth and Space Sciences 2017-02-15
[25] 서적 인용 Dynamics and Evolution of Galactic Nuclei https://openlibra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