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동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동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시대에 따라 관할 지역과 중심지가 변동되었다. 후한 말에 익주목 유장이 파군을 분할하여 설치했으며, 이후 고릉군, 파서군 등으로 개편되었다. 서진, 동진 시대를 거치며 양주, 익주 등으로 소속이 변경되었고, 남조 시대에는 삼파교위가 설치되어 남만을 통제했다. 파동군은 파주, 신주로 분리되기도 했으며, 수나라 때 군현제가 시행되면서 신주에 통폐합되었다가 다시 설치되기도 했다.

2. 역사

190년 (초평 원년), 익주유장파군을 분할하여 행정 구역을 개편하였다. 처음에는 거인에서 어복까지의 현을 묶어 '''고릉군'''(固陵郡)을 설치하였는데, 201년 (건안 6년)에 이 고릉군을 파동군으로 개칭하면서 파동군의 명칭이 처음 등장했다. 동시에 기존의 파군은 파서군으로, 옛 영녕군은 파군으로 조정되었다[1]。 다만 후한 말 삼파(三巴, 파군, 파동군, 파서군) 성립의 정확한 경위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에서 이설이 존재한다.

진나라 시대에 파동군은 처음 양주에 속했으나, 303년 (태안 2년) 익주로 편입되었고, 347년 (영화 3년) 환온성한을 평정한 후에는 형주 소속이 되었다[2]。 진나라 시기 파동군은 어복·거인·남포의 3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나라 때는 관할 현이 7개로 늘어났다[2]480년 (남조 제 건원 2년)에는 파동군을 중심으로 파주(巴州)가 잠시 설치되기도 했으나, 483년 (영명 원년) 파주가 폐지되면서 다시 형주 소속으로 돌아갔다. 제나라 시기에도 7개 현을 관할했다[4]남조 양나라 때는 새로 설치된 신주에 속하게 되었다.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현제를 폐지하면서 파동군은 신주에 통합되었다. 그러나 607년 (대업 3년) 주현제가 폐지되고 군현제가 다시 시행되자 신주는 파동군으로 개칭되었다. 이때의 파동군은 관할 범위가 크게 확장되어 14개 현을 포함했다[5]

618년 (무덕 원년), 당나라가 다시 군현제를 폐지하고 주현제를 시행하면서 파동군은 신주로 개칭되었고, 이로써 파동군이라는 행정 구역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6]

2. 1. 후한 말 ~ 촉한

190년 (초평 원년), 익주유장이 조영의 건의를 받아들여 파군을 분할하였다. 강주(江州)에서 임강(臨江)까지의 현들을 묶어 영녕군(永寧郡)을 설치하고, 거인(朐忍)에서 어복(魚復)까지의 현들을 모아 '''고릉군'''(固陵郡)을 두었으며, 전강(墊江) 이상의 현들은 그대로 파군으로 남겼다. 이후 201년 (후한 헌제 건안 6년), 유장은 다시 행정 구역을 개편하여 영녕군을 파군으로, 고릉군을 파동군으로, 기존의 파군을 파서군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조정하였다.[1][7] 다만, 후한 말 삼파(三巴)가 성립된 정확한 경위에 대해서는 초주의 『파기(巴記)』를 인용한 여러 역사 기록에서 다른 설명이 나타나기도 한다.

유비의 입촉 이후, 유비는 기존 파동군에 속했던 구윤(朐䏰), 어복(魚復), 한풍(漢豐), 양거(羊渠) 4개 현과 의도군에 속했던 무(巫), 북정(北井) 2개 현을 합쳐 새로이 '''고릉군(固陵郡)'''을 설치하였다.[8]

촉한 시기 파동군(또는 고릉군)에 속했던 주요 현은 다음과 같다.

파동군 소속 현 (촉한 시기)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어복현魚復縣충칭시 펑제현 백제진(白帝鎭) 백제성(白帝城)본래 어복현이었으나 222년(촉한 소열제 장무 2년) 영안현(永安縣)으로 개명되었다.
구윤현朐䏰縣충칭시 윈양현 쌍강진(雙江鎭) 동쪽
남포현南浦縣충칭시 완저우구본래 216년(후한 헌제 건안 21년) 신설된 양거현(羊渠縣)이었다. 230년(촉한 후주 건흥 8년) 양거현에서 남포현으로 개명되었다.[8]
한풍현漢豐縣충칭시 카이저우구216년 분리 신설되었다.[8]
북정현北井縣충칭시 우산현 쌍룡진(雙龍鎭) 일대209년(후한 헌제 건안 14년) 신설되었다. 처음에는 의도군 소속이었으나 216년 파동군(고릉군)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269년(서진 무제 태시 5년) 건평군으로 이관되었다.[9]


2. 2. 서진 ~ 동진

263년 촉한위나라에 멸망하면서 위의 땅이 되었고, 265년 서진이 건국되면서 서진의 땅이 되었다. 267년(서진 무제 태시 3년) 새로 설치된 양주에 편입되었으며, 이때 북정현은 건평군으로 이관되었다. 서진 시대 파동군은 다음 3개 현, 6,500호를 관할했다.[10]

현명한자비고
어복현魚復縣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영안현에서 개명됨.[9]
구윤현朐䏰縣
남포현南浦縣



303년(서진 혜제 태안 2년) 파동군의 소속이 익주로 변경되었다. 이후 347년(동진 목제 영화 3년) 환온성한을 멸망시킨 뒤에는 형주로 편입되었다.[9] 동진 시대 이후로는 무릉군, 의도군, 건평군, 천문군과 함께 군 내에 거주하던 남만의 활동이 활발해졌다.[11]

2. 3. 남조 (송, 제, 양)

남조 송나라 때 파동군은 7현 13,795호 45,237명을 관할했다.[9][2] 당시 군의 중심지에서 형주의 치소인 강릉까지 수로로 1,300리, 수도인 건강까지는 수로로 4,680리 거리였다.[9] 유송 효무제 대명 연간(457년 ~ 464년) 이후, 남만의 반란이 자주 일어나고 지역 주민들이 이를 피해 다른 곳으로 이주하면서 군이 점차 황폐해졌다.[11] 이에 유송 조정은 남만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파동군에 '''삼파교위(三巴校尉)'''라는 군관직을 잠시 설치했다. 삼파교위는 파동군뿐만 아니라 파군, 건평군 지역의 남만까지 관할했으며, 478년(유송 순제 승명 2년)에 다시 설치되기도 했다.[12] 송나라 시기 파동군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2]

송나라 시기 파동군 현황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민정비고
어복현魚復縣충칭시 펑제현 백제진(白帝鎭) 백제성(白帝城)후상(候相)
구윤현朐䏰縣충칭시 윈양현 쌍강진(雙江鎭) 동쪽령(令)송서 원문에는 거인(朐忍)으로 기록됨[2]
신포현新浦縣충칭시 카이저우구 태원향(太原鄕) 서남쪽421년(유송 무제 영초 2년) 한풍현에서 분리 신설됨.
남포현南浦縣충칭시 완저우구
한풍현漢豐縣충칭시 카이저우구
파거현巴渠縣충칭시 카이저우구 담가향(譚家鄕) 일대420년(유송 무제 영초 원년) 신설됨.
민양현黽陽縣미상송서 원문에는 면양(沔陽)으로 기록됨[2]



480년(남제 고제 건원 2년), 삼파교위가 관할하던 파동군, 건평군, 파군 지역이 형주에서 분리되어 '''파주(巴州)'''가 새로 설치되었다.[4] 이때 파동군은 파주의 중심지가 되어 파주자사가 파동태수를 겸임하게 되었다. 그러나 483년(남제 무제 영명 원년) 파주는 다시 폐지되었고, 파동군은 건평군과 함께 원래 소속인 형주로 돌아갔다.[12][4] 남제 시기 파동군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4]

남제 시기 파동군 현황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어복현魚復縣충칭시 펑제현 백제진(白帝鎭) 백제성(白帝城)
구현朐縣충칭시 윈양현 쌍강진(雙江鎭) 동쪽송대의 구윤현(朐䏰縣)과 동일 지역으로 추정됨. 남제서 원문에는 거인(朐忍)으로 기록됨[4]
남포현南浦縣충칭시 완저우구
섭양현聶陽縣미상
파거현巴渠縣충칭시 카이저우구 담가향(譚家鄕) 일대
신포현新浦縣충칭시 카이저우구 태원향(太原鄕) 서남쪽
한풍현漢豐縣충칭시 카이저우구



남조 양나라 때, 신주(信州)가 설치되었고, 파동군은 신주에 속하게 되었다.

2. 4. 서위, 북주, 수

552년(양 원제 승성 원년), 익주자사 무릉왕 소기가 파촉에 근거하여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틈타 위지형이 지휘하는 서위의 군대가 파촉을 침공했다. 이로 인해 파촉 전역이 서위에 편입되면서 파동군 또한 서위의 영토가 되었다.[13][14]

555년(서위 공제 2년), 남만 수령 향오자왕(向五子王)이 신주와 파동군의 중심지인 백제성을 공격했다. 향오자왕은 이후 무성 연간(559년~560년)에 다시 백제성을 공격하여 개부 양장화를 살해하고 파동군을 포함한 신주 전역을 정복했다. 북주는 그를 완전히 제압하는 데 어려움을 겪다가 566년(북주 무제 천화 원년) 무렵에 그를 격파하고 신주를 다시 설치했다. 이때 유비의 옛 궁성이 있던 땅 남쪽에 새로 성을 쌓고 그곳에 신주를 두면서 치소가 옮겨졌다. 또한 무현, 신릉, 자귀 등 협곡 내 군사적 요충지와 가까웠기 때문에 본주에 총관부가 설치되었다.[15]

581년(수 문제 개황 원년), 수나라가 군현제를 폐지하면서 파동군은 신주에 통폐합되었다.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신주총관부가 폐지되고 파동군이 재설치되었다. 당시 파동군은 14현 21,370호를 거느렸으며, 부릉군 동쪽과 검안군 근교 일대의 많은 주군현을 흡수하면서 충칭시 중동부, 남동쪽 돌출부 지역 일부, 구이저우성 퉁런시 인근까지 군역이 크게 확장되었다.[14][5]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인복현人復縣충칭시 펑제현 신성향(新城鄕) 동남 → 충칭시 펑제현 백제진(白帝鎭) 백제촌(白帝村)566년 향오자왕을 토벌한 뒤 신성향 동남쪽에 치소를 두었으나, 578년(북주 무제 선정 원년) 본래 치소인 백제성 일대로 옮겨졌다. 현내에 염정(鹽井), 백염산(白鹽山)이 있었다.
운안현雲安縣충칭시 윈양현 운양진(雲陽鎭) 서북561년(북주 무제 보정 원년) 구윤현(朐䏰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남포현南浦縣충칭시 완저우구557년(북주 명제 2년) 안향군(安鄉郡)으로 분리되면서 안향현(安鄉縣)으로 개명되었다. 이후 안향군이 만천군(萬川郡)으로 개명되었다. 수나라 때 신주에 만천군이 통폐합되면서 본주의 속현이 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양산현梁山縣서위 때 설치되었다. 현내에 고량산(高梁山)이 있었다.
대창현大昌縣충칭시 우산현 대창진(大昌鎭)북주 때 세워진 영창군(永昌郡)이 폐지되며 북정현이 통폐합되었다.
무산현巫山縣충칭시 우산현581년, 신주의 속군이었던 건평군이 통폐합되면서 본주에 내속되었다. 무산(巫山)이 있었다.
자귀현秭歸縣이창시 쯔구이현 귀주진(歸州鎭) 서북581년 자귀군(秭歸郡)이 폐지되면서 본주로 내속되었고, 장녕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파동현巴東縣언스시 바둥현 구현평촌(舊縣坪村)본래 귀향현(貴鄕縣)으로, 양나라신릉군에 속했다. 북주 때 신릉군이 폐지되며 본군의 속현으로 편입되었고, 낙향현(樂鄉縣)으로 개명되었다. 개황 말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내에 무협(巫峽)이 있었다.
신포현新浦縣충칭시 카이저우구 태원향(太原鄕) 서남581년 주안군(周安郡)이 폐지되면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611년(수 양제 대업 7년) 치소가 태원향 동남쪽에 있던 송현치소로 옮겨졌다.
성산현盛山縣충칭시 카이저우구서위 때 한풍현(漢豐縣)이 영녕현(永寧縣)으로 개명되었다. 598년 영녕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임강현臨江縣충칭시 중현557년 양나라 때 설치된 임강군(臨江郡)이 임주(臨州)로 승격되었다. 581년 임강군이 폐지되고, 607년 임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현내에 평도산(平都山), 팽계(彭溪)가 있었다.
무녕현武寧縣충칭시 완저우구 무릉진(武陵鎭)561년 북주가 남주(南州), 남도군(南都郡), 원양현(源陽縣)을 동시에 같은 곳에 두었다. 후에 남도군은 회덕군(懷德郡), 원양현은 575년에 무녕현(武寧縣)으로 개명되었다. 581년 남주, 회덕군이 신주에 통폐합되면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석성현石城縣581년 용주(庸州)로 분리되었으나, 607년 파동군에 용주가 통폐합되면서 본군의 속현으로 내속되었다.
무천현務川縣퉁런시 옌허 투자족 자치현 화평가도(和平街道) 오강(烏江) 동안599년(수 문제 개황 9년) 신설되었다.


3. 속현

190년 (초평 원년), 익주목 유장파군을 분할하여 영녕군과 '''고릉군'''을 설치했다. 이때 고릉군은 거인에서 어복까지의 현을 관할했다. 201년 (건안 6년), 유장은 고릉군을 '''파동군'''으로 개칭했다[1]。 파동군이 처음 설치될 당시의 속현 구성은 촉한 시대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진나라 때 파동군은 처음 양주에 속했다가 303년 익주로, 347년에는 환온의 성한 정벌 이후 형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2]。 이 시기 파동군은 어복현, 거인현, 남포현의 3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송나라 때는 어복현, 거인현, 신포현, 남포현, 한풍현, 파거현, 면양현의 7개 현을 관할하며 속현의 수가 늘어났다[2]

480년 잠시 파주가 설치되어 파동군을 포함한 3개 군을 관할했으나, 483년 파주가 폐지되면서 파동군은 다시 형주 소속으로 돌아갔다. 남조 제나라 시기 파동군은 어복현, 거인현, 남포현, 섭양현, 파거현, 신포현, 한풍현의 7개 현을 관할했다[4]

남조 양나라 때는 신주가 설치되면서 파동군은 신주에 속하게 되었다.

58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파동군은 신주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607년 주현제가 폐지되고 군현제가 다시 시행되면서 신주는 파동군으로 개칭되었다. 이때 파동군은 인복현, 운안현, 남포현, 양산현, 대창현, 무산현, 자귀현, 파동현, 신포현, 성산현, 임강현, 무녕현, 석성현, 무천현의 14개 현을 관할하며 영역이 크게 확장되었다[5]

618년 당나라가 다시 군제를 폐지하고 주현제를 시행하면서 파동군은 신주로 개칭되었고, 파동군이라는 행정 구역 명칭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6]

3. 1. 촉한

201년(후한 헌제 건안 6년), 유장은 영녕군에서 '''파동군'''을 분리하여 신설했다.[7] 유비의 입촉 이후, 유비는 파동군의 구윤현, 어복현, 한풍현, 양거현 4개 현과 의도군의 무현, 북정현 2개 현을 합쳐 '''고릉군(固陵郡)'''을 설치했다.[8] 고릉군의 속현은 다음과 같다.

고릉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어복현魚復縣충칭시 펑제현 백제진(白帝鎭) 백제성(白帝城)본래 어복현(魚復縣)이었으나 222년(촉한 소열제 장무 2년), 영안현(永安縣)으로 개명되었다.
구윤현朐䏰縣충칭시 윈양현 쌍강진(雙江鎭) 동쪽
남포현南浦縣충칭시 완저우구본래 216년(후한 헌제 건안 21년) 신설된 양거현(羊渠縣)이었다. 230년(촉한 후주 건흥 8년) 양거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8]
한풍현漢豐縣충칭시 카이저우구216년 분리 신설되었다.[8]
북정현北井縣충칭시 우산현 쌍룡진(雙龍鎭) 일대209년(후한 헌제 건안 14년)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에는 의도군에 속했지만 216년 고릉군으로 편입되었다. 269년(서진 무제 태시 5년) 건평군으로 편입되었다.[9]


3. 2. 서진 ~ 동진

263년(촉한 후주 염흥 원년) 촉한위나라에 멸망하면서 파동군은 위나라의 땅이 되었다. 이후 265년 서진이 건국되면서 서진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267년(서진 무제 태시 3년)에는 새로 설치된 양주에 속하게 되었고, 기존의 북정현은 건평군으로 이관되었다. 서진 시대의 파동군은 3개 현과 6,500호를 거느렸다.[10]

303년(서진 혜제 태안 2년)에는 다시 익주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347년(동진 목제 영화 3년) 환온성한을 멸망시킨 후에는 형주로 편입되었다.[9] 동진 시대 이후 파동군은 무릉군, 의도군, 건평군, 천문군 등과 함께 군 내에 거주하던 남만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지역이 되었다.[11]

서진 시대 파동군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서진 시대 파동군 소속 현
현명한자비고
어복현魚復縣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 영안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9]
구윤현朐䏰縣
남포현南浦縣


3. 3. 남조 송

남조 송 시기 파동군은 7현 13,795호 45,237명을 거느렸다. 본군에서 형주의 치소인 강릉까지 수로로 1,300리였고, 수도인 건강까지는 수운으로 4,680리 거리였다.[9]

유송 효무제 대명 연간(457년 ~ 464년) 이후, 남만의 반란이 잦아지고 지역 주민들이 이를 피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군은 점차 황폐화되었다.[11] 유송 조정은 이러한 남만을 통제하기 위해 파동군에 '''삼파교위(三巴校尉)'''라는 군관직을 잠시 설치했다. 이 삼파교위는 파동군뿐만 아니라 파군, 건평군 지역까지 관할하며 해당 지역의 남만을 관리했다. 삼파교위 직책은 478년(유송 순제 승명 2년)에 다시 설치되기도 하였다.[12]

파동군 행정 구역 (남조 송)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민정비고
어복현魚復縣충칭시 펑제현 백제진(白帝鎭) 백제성(白帝城)후상(候相)
구윤현朐䏰縣충칭시 윈양현 쌍강진(雙江鎭) 동쪽령(令)
신포현新浦縣충칭시 카이저우구 태원향(太原鄕) 서남쪽421년(유송 무제 영초 2년) 한풍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남포현南浦縣충칭시 완저우구
한풍현漢豐縣충칭시 카이저우구
파거현巴渠縣충칭시 카이저우구 담가향(譚家鄕) 일대420년(유송 무제 영초 원년) 신설되었다.
민양현黽陽縣미상


3. 4. 남조 제

480년 (남제 고제 건원 2년), 삼파교위의 관할지였던 파동군, 건평군, 파군이 '''파주(巴州)'''로 분리되었고, 파동군은 파주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로 인해 파주자사는 파동태수를 겸임하게 되었다. 그러나 483년 (남제 무제 영명 원년) 파주가 폐지되고 속군들이 원래 소속으로 돌아가면서, 파동군은 건평군과 함께 형주로 다시 편입되었다.[12]

남조 제 시기 파동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어복현魚復縣충칭시 펑제현 백제진(白帝鎭) 백제성(白帝城)
구현朐縣
남포현南浦縣충칭시 완저우구
섭양현聶陽縣미상
파거현巴渠縣충칭시 카이저우구 담가향(譚家鄕) 일대
신포현新浦縣충칭시 카이저우구 태원향(太原鄕) 서남
한풍현漢豐縣충칭시 카이저우구


3. 5. 수

581년(수 문제 개황 원년), 수나라는 군현제를 폐지하였고, 이에 따라 파동군은 신주에 통폐합되었다.[15] 583년(개황 3년)에도 군제가 폐지되면서 파동군은 신주에 편입되었다.[5]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주현제가 폐지되고 군현제가 다시 실시되면서 신주총관부가 폐지되고 신주는 파동군으로 개칭되었다.[14][5] 이때 파동군은 14개 현, 21,370호를 거느렸으며, 부릉군 동쪽과 검안군 근교의 여러 주군현을 흡수하여 군의 영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확장된 영역은 현재의 충칭시 중동부와 남동쪽 돌출부 지역 일부, 구이저우성 퉁런시 인근까지 포함했다.[14]

수나라 시대 파동군의 소속 현은 다음과 같다.[5]

수나라 시대 파동군 소속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인복현人復縣충칭시 펑제현 신성향(新城鄕) 동남 → 충칭시 펑제현 백제진(白帝鎭) 백제촌(白帝村)566년 향오자왕 토벌 후 신성향 동남쪽에 치소를 두었으나, 578년(북주 무제 선정 원년) 본래 치소인 백제성 일대로 옮겨졌다. 현 내에 염정(鹽井)과 백염산(白鹽山)이 있었다.
운안현雲安縣충칭시 윈양현 운양진(雲陽鎭) 서북561년(북주 무제 보정 원년) 구윤현(朐䏰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남포현南浦縣충칭시 완저우구557년(북주 명제 2년) 안향군(安鄉郡)으로 분리되면서 안향현(安鄉縣)으로 개명되었고, 안향군은 만천군(萬川郡)으로 개명되었다. 수나라 때 만천군이 신주에 통폐합되면서 본주의 속현이 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양산현梁山縣서위 때 설치되었다. 현 내에 고량산(高梁山)이 있었다.
대창현大昌縣충칭시 우산현 대창진(大昌鎭)북주 때 세워진 영창군(永昌郡)이 폐지되며 북정현이 통폐합되었다.
무산현巫山縣충칭시 우산현581년, 신주의 속군이었던 건평군이 통폐합되면서 본주에 속하게 되었다. 무산(巫山)이 있었다.
자귀현秭歸縣이창시 쯔구이현 귀주진(歸州鎭) 서북581년 자귀군(秭歸郡)이 폐지되면서 본주로 속하게 되었고, 장녕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파동현巴東縣언스시 바둥현 구현평촌(舊縣坪村)본래 귀향현(貴鄕縣)으로, 양나라신릉군에 속했다. 북주 때 신릉군이 폐지되며 본군의 속현으로 편입되었고, 낙향현(樂鄉縣)으로 개명되었다. 개황 말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현 내에 무협(巫峽)이 있었다.
신포현新浦縣충칭시 카이저우구 태원향(太原鄕) 서남581년 주안군(周安郡)이 폐지되면서 본군으로 속하게 되었다. 611년(수 양제 대업 7년) 치소가 태원향 동남쪽에 있던 송현(松峴) 치소로 옮겨졌다.
성산현盛山縣충칭시 카이저우구서위 때 한풍현(漢豐縣)이 영녕현(永寧縣)으로 개명되었다. 598년 영녕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임강현臨江縣충칭시 중현557년 양나라 때 설치된 임강군(臨江郡)이 임주(臨州)로 승격되었다. 581년 임강군이 폐지되고, 607년 임주가 폐지되면서 본군으로 속하게 되었다. 현 내에 평도산(平都山), 팽계(彭溪)가 있었다.
무녕현武寧縣충칭시 완저우구 무릉진(武陵鎭)561년 북주가 남주(南州), 남도군(南都郡), 원양현(源陽縣)을 동시에 같은 곳에 두었다. 후에 남도군은 회덕군(懷德郡)으로, 원양현은 575년에 무녕현(武寧縣)으로 개명되었다. 581년 남주와 회덕군이 신주에 통폐합되면서 본군으로 속하게 되었다.
석성현石城縣581년 용주(庸州)로 분리되었으나, 607년 용주가 파동군에 통폐합되면서 본군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무천현務川縣퉁런시 옌허 투자족 자치현 화평가도(和平街道) 오강 동안599년(수 문제 개황 19년)에 신설되었다.



618년(당 고조 무덕 원년), 당나라가 군제를 폐지하고 주현제를 다시 시행하면서 파동군은 신주로 다시 개칭되었고, 파동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6]

참조

[1] 서적 『華陽国志』巴志
[2] 서적 『宋書』州郡志三
[3] 서적 『晋書』地理志上
[4] 서적 『南斉書』州郡志下
[5] 서적 『隋書』地理志上
[6] 서적 『旧唐書』地理志二
[7] 서적 《삼국지》 32권 촉서 제 2 선주전 https://zh.wikisourc[...]
[8] 서적 《화양국지》 1권 파지 파동군 남포현 https://zh.wikisourc[...]
[9] 서적 《송서》 37권 지 제27 주군지 3 형주 파동공상 https://zh.wikisourc[...]
[10] 서적 《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https://zh.wikisourc[...]
[11] 서적 《송서》 97권 열전 제57 이만열전 형주만 https://zh.wikisourc[...]
[12] 서적 《남제서》 15권 지 제7 주군지 下 파주 파동군 https://zh.wikisourc[...]
[13] 서적 《양서》 5권 본기 제5 원제 https://zh.wikisourc[...]
[14] 서적 《수서》 29권 지 제24 지리지 上 양주 파동군 https://zh.wikisourc[...]
[15] 서적 《주서》 49권 열전 제41 이역열전 上 만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