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조약 (181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조약 (1814년)은 나폴레옹 전쟁에서 프랑스가 패배하고 나폴레옹이 엘바 섬으로 추방된 후, 프랑스와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이다. 1814년 5월 30일에 서명되었으며, 프랑스는 1792년 국경선을 회복하고 식민지를 일부 양도했다. 이 조약은 부르봉 왕가의 프랑스 왕정 복고를 승인했으며, 5년간 프랑스의 노예 무역을 폐지하고 스위스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조약 체결 후 빈 회의가 개최되었으며, 1815년 나폴레옹의 백일천하 이후 체결된 1815년 파리 조약과 구별하기 위해 제1차 파리 조약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4년 5월 - 노르웨이 헌법
노르웨이 헌법은 1814년에 제정되어 유럽에서 가장 민주적인 헌법으로 평가받았으며, 노르웨이 독립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고, 국왕, 국무회의, 스토르팅, 사법부, 인권 등 주요 내용을 담고 있으며, 2018년 개정된 121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1814년 5월 - 호스슈벤드 전투
1814년 3월 27일 앤드루 잭슨이 이끄는 미군이 앨라배마주 호스슈벤드에서 크리크족의 레드 스틱 부족을 격파하여 크리크 전쟁의 주요 전투 중 하나가 되었고, 이는 잭슨 요새 조약 체결과 토지 할양으로 이어졌다. - 포르투갈의 평화 조약 - 알카소바스 조약
알카소바스 조약은 1479년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왕국 간 전쟁을 종식시키며, 카스티야 왕위 계승 분쟁 해결, 카나리아 제도 지배권 및 특정 해역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규정했으나, 향후 영토 분쟁의 씨앗이 되었고 토르데시야스 조약의 계기가 되었다. - 포르투갈의 평화 조약 - 사라고사 조약
사라고사 조약은 1529년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체결한 조약으로, 몰루카 제도의 영유권을 확정하고 동경 17도를 기준으로 양국의 활동 범위를 분할했으며, 스페인은 필리핀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고 포르투갈로부터 35만 두카트를 받았다. - 1814년 오스트리아 제국 - 빈 회의
빈 회의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정치 지형을 재편성하기 위해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 회의이며, 정통주의와 세력 균형을 통해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고자 했고,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여러 국가의 영토를 조정하고 노예 무역 금지 등을 합의하여 빈 체제를 구축했다. - 1814년 오스트리아 제국 - 퐁텐블로 조약 (1814년)
1814년 4월 11일 퐁텐블로에서 체결된 퐁텐블로 조약은 나폴레옹 1세의 황제 권한 박탈 및 엘바섬 유배, 마리 루이즈에게 파르마 공국 양도 등을 규정했으나 영국 반대와 나폴레옹의 귀환으로 파기되었다.
파리 조약 (1814년) | |
---|---|
조약 정보 | |
조약명 | 파리 조약 |
![]() | |
별칭 | 제1차 파리 조약 제1차 파리 화약 |
조인일 | 1814년 5월 30일 |
조인 장소 | 파리 |
관련 전쟁 | 나폴레옹 전쟁 |
체결 국가 | 프랑스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포르투갈 왕국 스웨덴 왕국 스페인 왕국 |
내용 | |
주요 내용 | 프랑스 제1제국과 제6차 대프랑스 동맹 간의 전쟁 종결 |
관련 조약 | |
관련 조약 | 제2차 파리 조약 쇼몽 조약 |
2. 조약 체결의 배경
파리 전투 (1814) 이후 나폴레옹 전쟁에서 프랑스가 패배하고, 나폴레옹이 엘바 섬으로 추방되었다. 이후 전후 처리를 위해 연합국과 프랑스 사이에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2. 1. 폰텐블로 조약
2. 2. 파리 전투 (1814)
3. 조약 당사자
파리 조약은 프랑스와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간의 평화를 수립하였는데, 이들 국가는 3월 쇼몽에서 공동 전쟁 목표를 정의하였다. 조약 서명자는 다음과 같다.
- 프랑스: 탈레랑[1]
- 영국: 캐슬리 경, 애버딘 백작, 캐서카트 백작[1]
- 러시아: 라주모프스키 백작, 네셀로데 백작[1]
- 오스트리아: 메테르니히 공작, 슈타디온 백작[1]
- 프로이센: 하르덴베르크 남작, 훔볼트[1]
포르투갈과 스웨덴도 조약에 서명하였고, 스페인은 7월 이후에 비준하였다. 연합국은 공동 문서에 서명하지 않았고, 대신 프랑스와 개별 조약을 체결하여 특정 수정을 허용하였다.
3. 1. 프랑스 측
본 조약은 1814년 4월 23일 샤를 드 부르봉 아르투아 백작(당시 섭정)과 연합국 간 휴전 협정 체결 이후, 1814년 5월 30일에 서명되었다. 나폴레옹은 폰텐블로 협상 결과로 4월 6일 황제직에서 퇴위하였다.5월 9일 탈레랑은 망명 중인 부르봉 왕 프랑스 루이 18세를 대표하여 쇼몽 연합국과 평화 협상을 시작하였다. 파리 조약에서 프랑스 측 서명자는 탈레랑이었다.[1]
3. 2. 연합국 측
파리 조약의 서명자는 다음과 같다.- 영국: 캐슬리 경, 애버딘 백작, 캐서카트 백작[1]
- 러시아: 라주모프스키 백작, 네셀로데 백작[1]
- 오스트리아: 메테르니히 공작, 슈타디온 백작[1]
- 프로이센: 하르덴베르크 남작, 훔볼트[1]
4. 조약 내용
이 조약은 4월 23일 알트와 백작 샤를과 제1차 대프랑스 동맹 간에 체결된 휴전 협정에 이어 체결되었다。이 조약으로 프랑스와 영국,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간의 평화가 성립되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3월의 쇼몽 조약에서 전쟁 목표를 설정했다。포르투갈 왕국과 스웨덴 왕국도 조약에 서명했으며, 스페인 왕국은 7월에 서명했다。평화 협상은 5월 9일 당시 망명 중이었던 부르봉 왕가의 루이 18세를 대표하여 샤를-모리스 드 타례랑-페리고르가 제1차 대프랑스 동맹과 진행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프랑스의 국경선을 1792년 당시 상태로 되돌리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패배 이후 프랑스의 이웃 국가들의 독립을 회복하는 데 동의했다。하지만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모두 같은 조약에 서명한 것이 아니었고, 각각 단독으로 프랑스와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조약 내용을 변경할 수 있었다。
전투를 종식시킨 이 조약은 최종적인 강화의 초안도 제공했다. 제32조에 따르면, 최종적인 강화는 조약 체결 후 2개월 이내에 나폴레옹 전쟁의 모든 교전국 간의 회의에서 결정된다。이 조항에 따라 빈 회의가 1814년 9월부터 1815년 6월까지 개최되었다。초안 내용은 부르봉 왕가의 왕정 복고를 혼란시키지 않도록 관대한 조건이었다. 즉, 1792년 6월 1일 시점의 프랑스 국경선이 확인되었고, 자르브뤼켄, 사를루이, 란다우, 몽벨리아르 백작령, 사보이아의 일부인 아누시와 샹베리, 아비뇽, 콩타 베네상/Comtat Venaissin영어을 획득하고, 전쟁 중에 얻은 전리품을 유지하는 것이 허용되는 대신 식민지를 몇 개 양도했다。
이 조약을 1815년 11월 20일의 또 다른 파리 조약과 구별하기 위해,1814년 5월 30일의 조약은 '''제1차 파리 조약''' 또는 '''제1차 파리 강화 조약''' (First Peace of Paris영어)이라고도 불린다。
조약은 여러 국가 간에 영토를 재분배했다. 특히 프랑스가 1792년 1월 1일 시점에 유지하고 있던 영토의 회복이 명시되었다.[5] 예를 들어, 과들루프의 회복이 명시되었지만[5], 과들루프는 영국이 1813년 스웨덴에 양도했었다. 이때 스웨덴은 배상금으로 2400만 프랑을 받았고, 과들루프 기금/Guadeloupe Fund영어이 설립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예외는 토바고섬, 세인트루시아, 세이셸, 모리셔스뿐이었다. 영국은 몰타섬의 소유가 확정되었다.[6] 조약은 1795년 바젤 조약에서 스페인으로부터 프랑스에 할양되었던 산토 도밍고 총독령/Captaincy General of Santo Domingo영어의 반환을 명시했다.[7]
조약이 제1차 대프랑스 동맹국의 수장들과 프랑스 국왕 루이 18세 사이에 체결되었기 때문에, 조약은 부르봉 왕가에 의한 프랑스 왕정을 승인했다.[8]
조약은 5년의 기간 동안 프랑스의 노예 무역을 폐지했다(반면 노예 제도 자체는 유지했다).[9] 또한 스위스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10]
4. 1. 프랑스의 국경 변화
프랑스는 나폴레옹이 점령한 지역을 모두 포기하고 1792년 1월 1일 당시의 국경선을 유지하게 되었다. 이 조약으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패배 이후 연합국은 프랑스의 국경을 1792년 경계로 축소하고 이웃 국가들의 독립을 회복하기로 합의했다. 영국은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모리셔스, 몰타, 토바고 섬, 세인트루시아를 새로운 식민지로 편입하였다.

조약은 여러 국가 간에 영토를 재분배했다. 특히 프랑스가 1792년 1월 1일 시점에 유지하고 있던 영토의 회복이 명시되었다.[5] 예를 들어 과들루프의 회복이 명시되었지만, 과들루프는 영국이 1813년 스웨덴에 양도했었다. 이때 스웨덴은 배상금으로 2400만 프랑을 받았고, 과들루프 기금이 설립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예외는 토바고섬, 세인트루시아, 세이셸, 모리셔스뿐이었다. 영국은 몰타섬의 소유가 확정되었다.[6] 조약은 1795년 바젤 조약에서 스페인으로부터 프랑스에 할양되었던 산토 도밍고 총독령의 반환을 명시했다.[7]
4. 2. 식민지 재분배
영국은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모리셔스, 몰타, 토바고 섬, 세인트루시아를 새로운 식민지로 편입하였다.[6] 프랑스는 과들루프를 반환받았으나,[5] 영국이 연합에 가입했을 때 스웨덴에 할양했던 과들루프에 대한 대가로 스웨덴은 2,400만 프랑을 보상받았고, 이는 과들루프 기금을 만들어냈다. 예외적으로 토바고섬, 세인트루시아, 세이셸, 모리셔스는 영국의 통치하에 남게 되었다. 또한 영국은 몰타 섬에 대한 주권을 유지했다.[6]이 조약은 1795년 바젤 조약에 의해 프랑스로 이전되었던 산토 도밍고 영토를 스페인에 반환했다.[7]
4. 3. 기타
프랑스는 강대국들에 대한 배상 의무를 면제받았다. 5년 동안 프랑스의 노예 무역은 폐지되었으나, 노예 제도 자체는 유지되었다. 또한 스위스의 독립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5. 조약의 영향
몇몇 강대국들은 조약의 평화적인 의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프랑스 세력의 재확립을 우려했다. 프랑스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네덜란드는 빌헬름 1세에게 오렌지-나사우 왕가의 군주가 되어 줄 것을 요청했고, 그는 1813년 말에 이를 수락했다. 이는 1815년 빈 회의와 동시에 나폴레옹의 백일 천하에서 일어난 일의 첫 단계였다. 1815년 3월, 네덜란드 연합 왕국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오스트리아 제국이 지배했던 저지대 지역을 네덜란드에 추가한 것이며, 빌헬름 1세가 국왕이 되었다. 그의 아들 빌헬름은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는데, 전투 장소는 네덜란드 연합 왕국에 있었다. 네덜란드가 빌헬름 1세에게 요청을 했지만, 나폴레옹 전쟁의 강대국들은 1814년 6월 21일에 체결된 런던 8개 조항에서 프랑스와의 국경에 있는 강력한 국가를 빌헬름을 국왕으로 하여 지원하기 위한 비밀 협정을 맺었다. 따라서 네덜란드의 행동은 영국과 그 협정의 다른 서명국의 강력한 지원을 받았다.
나폴레옹에 의해 통합되었던 많은 독일 국가들은 1814년 파리 조약 이후에도 그 지위를 유지했다. 프로이센은 네덜란드의 빌헬름 1세와의 교환을 통해 프랑스 국경 근처 서독 지역을 얻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여러 다른 정치 단체들이 인정되었다.
나폴레옹의 짧은 권력 회복과 패배 후, 다음 해에 새로운 파리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4월 23일 알트와 백작 샤를과 제1차 대프랑스 동맹 간에 체결된 휴전 협정에 이어 체결되었다。이 조약으로 프랑스와 영국,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간의 평화가 성립되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3월의 쇼몽 조약에서 전쟁 목표를 설정했다。포르투갈 왕국과 스웨덴 왕국도 조약에 서명했으며, 스페인 왕국은 7월에 서명했다。평화 협상은 5월 9일 당시 망명 중이었던 부르봉 왕가의 루이 18세를 대표하여 샤를-모리스 드 타례랑-페리고르가 제1차 대프랑스 동맹과 진행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프랑스의 국경선을 1792년 당시 상태로 되돌리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패배 이후 프랑스의 이웃 국가들의 독립을 회복하는 데 동의했다。하지만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은 모두 같은 조약에 서명한 것이 아니었고, 각각 단독으로 프랑스와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조약 내용을 변경할 수 있었다。
전투를 종식시킨 이 조약은 최종적인 강화의 초안도 제공했다. 제32조에 따르면, 최종적인 강화는 조약 체결 후 2개월 이내에 나폴레옹 전쟁의 모든 교전국 간의 회의에서 결정된다。이 조항에 따라 빈 회의가 1814년 9월부터 1815년 6월까지 개최되었다。초안 내용은 부르봉 왕가의 왕정 복고를 혼란시키지 않도록 관대한 조건이었다. 즉, 1792년 6월 1일 시점의 프랑스 국경선이 확인되었고, 자르브뤼켄, 사를루이, 란다우, 몽벨리아르 백작령, 사보이아의 일부인 아누시와 샹베리, 아비뇽, 을 획득하고, 전쟁 중에 얻은 전리품을 유지하는 것이 허용되는 대신 식민지를 몇 개 양도했다。
이 조약을 1815년 11월 20일의 또 다른 파리 조약과 구별하기 위해,1814년 5월 30일의 조약은 '''제1차 파리 조약''' 또는 '''제1차 파리 강화 조약''' (First Peace of Paris영어)이라고도 불린다。
5. 1. 빈 회의 개최
이 조약 제32조에 따라, 나폴레옹 전쟁의 모든 교전국이 참여하는 회의에서 향후 두 달 이내에 체결될 최종 합의의 초안이 제시되었다.[1] 이 조항에 따라 1814년 9월부터 1815년 6월까지 빈 회의가 개최되었다.[1]연합국은 강대국들 사이의 공정한 세력 분포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평화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선언했으며, 프랑스가 왕정으로 복고되었으므로 프랑스에 가혹한 조건을 부과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1]
5. 2. 부르봉 왕정 복고
조약은 프랑스에서 부르봉 왕가의 복귀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였다. 루이 18세가 프랑스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이 조약은 프랑스 국왕 루이 18세와 연합군 강대국의 국가 원수들 사이에서 체결되었다.5. 3. 네덜란드 연합 왕국 성립
나폴레옹 몰락 이후, 프랑스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네덜란드는 빌헬름 1세에게 오렌지-나사우 왕가의 군주가 되어 줄 것을 요청했고, 그는 1813년 말에 이를 수락했다. 1815년 3월에는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를 합병하여 네덜란드 연합 왕국을 수립하고 빌헬름 1세를 국왕으로 추대했다. 그의 아들 빌헬름은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는데, 전투 장소는 네덜란드 연합 왕국에 있었다.이러한 네덜란드의 행보는 1814년 6월 21일 체결된 런던 8개 조항에서 프랑스와의 국경에 강력한 국가를 세우고자 했던 영국 및 협정 서명국들의 지원을 받았다.
6. 1815년 파리 조약과의 관계
1814년 파리 조약은 '제1차 파리 조약'으로 불리기도 하며, 나폴레옹의 백일천하 이후 체결된 1815년 파리 조약('제2차 파리 조약')과 구별된다. 1815년 파리 조약은 1814년 조약보다 프랑스에 더 가혹한 조건을 부과하였다.
몇몇 강대국들은 조약의 평화적인 의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프랑스 세력의 재확립을 우려했다. 프랑스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네덜란드는 빌헬름 1세에게 오렌지-나사우 왕가의 군주가 되어 줄 것을 요청했고, 그는 1813년 말에 이를 수락했다. 이는 1815년 빈 회의와 동시에 나폴레옹의 백일 천하에서 일어난 일의 첫 단계였다. 1815년 3월, 네덜란드 연합 왕국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오스트리아 제국이 지배했던 저지대 지역을 네덜란드에 추가한 것이며, 빌헬름 1세가 국왕이 되었다. 그의 아들 빌헬름은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는데, 전투 장소는 네덜란드 연합 왕국에 있었다. 네덜란드가 빌헬름 1세에게 요청을 했지만, 나폴레옹 전쟁의 강대국들은 1814년 6월 21일에 체결된 런던 8개 조항에서 프랑스와의 국경에 있는 강력한 국가를 빌헬름을 국왕으로 하여 지원하기 위한 비밀 협정을 맺었다. 따라서 네덜란드의 행동은 영국과 그 협정의 다른 서명국의 강력한 지원을 받았다.
나폴레옹에 의해 통합되었던 많은 독일 국가들은 1814년 파리 조약 이후에도 그 지위를 유지했다. 프로이센은 네덜란드의 빌헬름 1세와의 교환을 통해 프랑스 국경 근처 서독 지역을 얻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여러 다른 정치 단체들이 인정되었다.
참조
[1]
백과사전
Paris, Treaties of
Encyclopædia Britannica
[2]
웹사이트
La première ambassade française en Haïti
https://ht.ambafranc[...]
Government of France
2017-10-27
[3]
간행물
Création des postes diplomatiques et consulaires
Revue d'histoire diplomatique
1986
[4]
서적
Haïti et la France, 1804–1848: le rêve brisé
Karthala
2008
[5]
조약
Treaty of Paris (1814) 제9조
s:Treaty of Paris (1[...]
[6]
조약
Treaty of Paris (1814) 제7조
s:Treaty of Paris (1[...]
[7]
조약
Treaty of Paris (1814) 제8조
s:Treaty of Paris (1[...]
[8]
조약
Treaty of Paris (1814) 서문
s:Treaty of Paris (1[...]
[9]
조약
Treaty of Paris (1814) 추가 제1조
s:Treaty of Paris (1[...]
[10]
조약
Treaty of Paris (1814) 제6조
s:Treaty of Paris (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