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리코스 데 푸에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는 멕시코 프로 야구팀으로, 1920년대 초 푸에블라주에서 야구가 시작된 이후 여러 차례 리그에 참여했다. 1925년 74 레지미엔토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1963년, 1979년, 1986년에 멕시칸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2010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42년 팀 이름을 페리코스로 변경했으며, 에스타디오 데 베이스볼 에르마노스 세르단 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2년 설립된 야구팀 - 레오네스 델 카라카스
레오네스 델 카라카스는 1942년 창단되어 베네수엘라 프로 야구 리그에서 가장 많은 21번의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한 프로 야구팀으로, 2023/2024 시즌부터 시몬 볼리바르 카라카스 기념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나베간테스 델 마가야네스와의 라이벌 관계로 유명하다. - 멕시칸 리그 팀 -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는 1940년 창단된 멕시칸 리그의 프로 야구팀으로, 멕시코시티를 연고지로 하며 17번의 멕시칸 리그 우승을 기록했다. - 멕시칸 리그 팀 - 티그레스 데 킨타나로오
티그레스 데 킨타나로오는 1955년 창단되어 멕시칸 리그에서 활동하며, 12번의 리그 우승을 기록하고 마티아스 카리요 등 명예의 전당 헌액자를 배출한 멕시코 프로 야구팀이다. - 멕시코 프로 야구 - 멕시코 태평양 리그
멕시코 태평양 리그는 멕시코 북서부의 프로 야구 윈터 리그로, 1945년 태평양 연안 리그로 시작해 여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 이름으로 바뀌었고 카리브 시리즈에 참가하며, 2023년 현재 10개 팀이 참가하고 나란헤로스 데 에르모시요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 멕시코 프로 야구 -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는 1940년 창단된 멕시칸 리그의 프로 야구팀으로, 멕시코시티를 연고지로 하며 17번의 멕시칸 리그 우승을 기록했다.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연고지 | 푸에블라, 푸에블라주 |
창단 | 1938년 |
별칭 | "La novena emplumada" (깃털 달린 아홉 번째) |
구장 | 에스타디오 데 베이스볼 에르마노스 세르단 |
웹사이트 |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 공식 웹사이트 |
팀 정보 | |
리그 | 멕시칸 리그 |
감독 | 세르히오 오마르 가스텔룸 |
사장 | 호세 미겔 베호스 |
과거 팀명 | 앙헬레스 네그로스 데 푸에블라 |
과거 구장 | 파르케 푸에블라 (1938–1951) |
우승 기록 | |
세리에 델 레이 우승 | 5회 (1963, 1979, 1986, 2016, 2023) |
유니폼 | |
색상 | 녹색 및 금색 |
2. 역사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는 1942년부터 여러 리그에서 활동해 왔다. 1924년 이후 푸에블라주를 대표하는 주요 클럽으로는 1922년 알마잔 데 푸에블라, 1924년 74 레지미엔토(리가 메히카나 데 베이스볼의 첫 번째 챔피언), 1938년 클럽 데 베이스볼 허드슨 등이 있으며, 허드슨은 유니폼 색상으로 녹색과 흰색을 사용했다.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는 리가 메히카나 데 베이스볼에서 총 4번 우승했다. (1924년 74 레지미엔토, 1963년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 1972년/1986년 앙헬레스 네그로스)
1972년부터 1995년까지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는 정규 시즌 총 1,080승 871패, 4번의 남동부 디비전 우승, 2번의 멕시칸 리그 우승을 기록했다.[8]
연도 | 기록 | 순위 | 감독 | 플레이오프 |
---|---|---|---|---|
1972 | 72–65 | 6위 | 미겔 소텔로 / 페드로 라모스 | 진출 실패 |
1973 | 71–62 | 6위 | 토마스 에레라 / 호르헤 칼보 / 라울 카노 | 진출 실패 |
1974 | 81–56 | 3위 | 토니 카스타뇨 | 1라운드 패배 |
1975 | 80–58 | 4위 | 토니 카스타뇨 | 1라운드 패배 |
1976 | 80–55 | 1위 | 클레멘테 카레라스 | 1라운드 패배 |
1977 | 96–54 | 1위 | 라울 카노 | 1라운드 패배 |
1978 | 85–65 | 4위 (동률) | 라울 카노 | 진출 실패 |
1979 | 86–51 | 2위 | 호르헤 피치 | 리그 우승 |
1980 | 63–25 | 1위 | 호르헤 피치 / 로젠도 도밍게스 | 파업으로 시즌 중단 |
colspan="5"| | ||||
1985 | 70–54 | 5위 | 맥스 올리베라스 | 진출 실패 |
1986 | 88–41 | 1위 | 로돌포 산도발 | 리그 우승 |
1987 | 71–52 | 2위 | 로돌포 산도발 / 로베르토 멘데스 | 진출 실패 |
colspan="5"| | ||||
1993 | 52–74 | 14위 | 베르나르도 칼보 / 미겔 가스파르 / 그레고리오 루케 | 진출 실패 |
1994 | 33–96 | 16위 | 베르나르도 칼보 / 모이세스 카마초 | 진출 실패 |
1995 | 52–63 | 12위 | 프란시스코 에스트라다 | 진출 실패 |
2014 시즌 후, 페리코스는 몬클로바 광산 재벌 제라르도 베나비데스 파페에게 인수되었다. 베나비데스는 페리코스를 경기력, 경기장 환경 개선, 지역 사회 활동 등 모든 면에서 멕시칸 리그 베이스볼(LMB) 최고 팀 중 하나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2. 1. 창단 초기 (1920년대 ~ 1930년대)
푸에블라주는 1920년대 초 멕시코 북부에서 군 복무를 마치고 돌아온 푸에블라 출신자들이 현지인들에게 이 새로운 스포츠를 소개하면서 야구를 접하게 되었다. 현지인들은 틈틈이 야구를 즐겼고, 주 전역에 수많은 아마추어 야구팀이 생겨났다.[1]1922년, 안드레스 사르소사 베라스테기 장군은 아마추어 야구 클럽 알마잔 데 푸에블라를 창단했다.[1] 이전 푸에블라의 모든 야구 클럽들은 멕시코 시티로 내려가 다른 주의 아마추어 클럽들과 시범 경기를 치렀다. 1924년, 클럽의 소유주가 된 후안 앤드루 알마잔 장군은 클럽을 멕시코 시티로 이전했다. 클럽을 맡을 사람이 없어 클럽은 잊혀졌다. 이 클럽의 첫 번째 선수로는 라몬 아르톨라, 하신토 하키넷, 라몬 몬테스 데 오카, 펠리페 카사레스 등이 있었다.
1925년, 이 새로운 스포츠에 대한 열정과 사랑이 커지면서 알레한드로 아귈라 고메스 장군에 의해 새로운 야구 리그가 창설되었고, 푸에블라주는 최초의 프로 야구 클럽을 갖게 되었다. 안드레스 사르소사는 아틀릭스코시에 홈 구장을 둔 푸에블라주를 대표하는 야구 클럽 74 레지미엔토[1]의 창립자이자 소유주였다. 이 새로운 리그를 창립한 클럽은 아그라리오, 과나후아토, 엘 나시오날 데 비스클러, 엘 멕시코, 그리고 푸에블라의 74 레지미엔토였다. 창립 첫해의 초기 아이돌 중 일부는 중견수 오스카 마르티네스, 포수 하키노, 유격수 하비에르 페레즈, 투수 고메즈였으며, 쿠바 출신 헤수스 "마탄자스" 발데스가 코치를 맡았다. 74° 레지미엔토는 1925년 최초의 야구 챔피언이었다. 이 클럽은 이후 산루이스포토시로 이전했지만, 다시는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지 못했다.
1924년 74 레지미엔토가 챔피언으로 등극한 멕시코 최초의 야구 토너먼트가 열렸다.[1]
클럽 | 순위 | 승리 경기 | 패배 경기 |
---|---|---|---|
74 레지미엔토 | 1 | 10 | 6 |
멕시코 | 2 | 10 | 6 |
아그라리아 (카르모나) | 3 | 8 | 6 |
나시오날 | 4 | 7 | 7 |
과나후아토 | 5 | 5 | 9 |
아길라 | 6 | 0 | 10 |
2. 2. 1940년대 ~ 1960년대

1938년, 푸에블라주에는 데르피노 페레스 경이 창단한 클럽 데 베이스볼 허드슨이라는 세 번째 반(半)프로 구단이 있었다. 구단의 색상은 녹색과 흰색이었다. 1939년 구단은 지역 자동차 대리점 소유주인 돈 카스토에게 매각되어 구단 이름을 쉐보레로 변경하고, 같은 해에 멕시칸 리그에 참가시켰다. 이것이 푸에블라 시를 대표하는 첫 번째 팀이었다. 구단의 유니폼은 흰색이었고, 셔츠 중앙에 쉐보레라는 구단 이름과 파란색 번호가 새겨져 있었다. 1939년부터 1941년까지 플레이했으며, 그해 겨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쉐보레 팀의 선수로는 로베르토 비야레알, 베토 아빌라, 콜린, 페드로 메사, 레오폴도 세르반테스 "라바노", 앙헬 카스트로, 기예르모 프리치, 베르나르도 로페스, 도밍고 피게로아, 비달 로메로 "차차파", 라파엘 페드로소, "숭고", 후안 루나, 마리오 크루스, 페르난도 갈리나, 아폴리나르 풀리도 "폴린", 에밀리아노 사르다, 마리오 콜라조가 있었다.
1942년, 구단은 더 많은 사람들을 유치하기 위해 이름을 페리코스(앵무새)로 변경했다. 상류층의 관습, 즉 모든 부유한 가정의 현관에 말하는 앵무새를 두는 풍습 때문에 앵무새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42년과 1946년 사이에 리그는 멕시코 시티, 베라크루스, 몬테레이, 누에보 라레도, 탐피코, 푸에블라의 6개 팀으로 구성되었다. 1946년에는 산 루이스 포토시, 1947년에는 토레온이 합류했다. 1948년, 선수권 대회 우승 부진으로 팬들의 발길이 끊기자 데르피노 페레스는 리그에서 팀을 철수하기로 결정했고, 이 결정은 4년간 지속되었다.
1952년,[2] 구단은 구단주 돈 알레호 페랄타 이 디아스 세발로스와 함께 25,000석 규모의 새로운 이그나시오 사라고사 경기장에서 경기를 시작하며 복귀했다. 첫 경기 선발 라인업은 코치 척 제노베스, 유격수 겸 1루수 알 그룬왈드, 투수 호세 바체, 외야수 알레한드로 "카니타스" 모레노, 구스타보 페르난데스, 척 뷰헬러, 오틸리오 크루즈였다. 투수진에는 미셸 가베스, 메모 로페스, 라미로 카바예로, 인디오 벨트란, 에밀리오 페레르, 그리고 포수 밥 녹이 있었다. 버디 베이커와 찰스 드러먼드는 시즌 중반에 팀에 합류했으며, 조지와 에스테베 보로스도 시즌 말에 합류했다. 많은 스타 선수들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구단은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1957년,[2]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구단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선수 교환 계약을 체결하고 지미 아데어를 감독으로 파견받았으며, 포수 샘 헤어스톤, 유격수 론 핸슨도 합류했다. 론 핸슨은 MLB로 복귀하기 전까지 짧은 기간 동안 푸에블라에서 뛰었으며,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활약하며 아이콘이 되었다.
1958년,[2] 푸에블라는 베라크루스 주의 포사 리카 구단과 결승전에서 맞붙게 되었다. 1925년 이후 첫 우승을 기대하는 25,000명의 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챔피언십 경기는 푸에블라의 이그나시오 사라고사 경기장에서 열렸다. 하지만 10회 말에 포사 리카가 2점을 득점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최종 점수는 5-3이었다. 1959년 2월 15일, 푸에블라는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이는 푸에블라가 리가 인베르날 베라크루사나에서 마지막으로 활동한 시즌이기도 하다. 푸에블라는 1949년부터 1959년까지 리가 인베르날 베라크루사나에서 활동했다.[3]
1960년, 푸에블라는 누에보 라레도로부터 프랜차이즈를 인수하여 다시 한번 멕시칸 리그에 합류하게 되었다. 1961년에는 베라크루스 로호스 델 아길라에게 준우승을 차지했고, 1962년에는 호세 게레로 "엘 사카티요" 감독 하에 4위를 기록했다.
1963년, 안토니오 "토니" 카스타뇨 감독과 로날도 카마초, 모이세스 카마초, 다니엘 뱅크헤드, 호르헤 피치, 오스카 로드리게스 등 주요 선수들의 활약으로 "페리코스"라는 이름으로 첫 번째 멕시칸 리그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는 이 클럽이 참여했던 모든 리그에서 세 번째 공식 타이틀이었다. 이후 이탈리아인 투수 카를로스 미누티가 이탈리아 코뮌의 작은 도시 푸에블라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미나의 치필로에서 합류했는데, 비록 2세대 시칠리아 출신이지만 팔레르모에서 왔다.
1964년과 1965년에는 각각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1964년), 멕시코 티그레스(1965년)에게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안토니오 "토니" 카스타뇨가 감독을 맡았다. 1967년에는 호세 루이스 가르시아 감독 하에 팀이 최하위로 마감했다. 1968년에는 토니 카스타뇨 감독 하에 4위를 기록했다. 1969년에는 클럽의 부진한 경기력으로 인해 토니 카스타뇨 감독 하에 3년 동안 푸에블라를 떠나 유카탄 주로 향했다.
2. 3. 앙헬레스 데 푸에블라 (1970년대 ~ 1980년대)
1985년, 구단은 마코 올리바라스 감독과 함께 리그로 복귀했다. 구단은 70승 54패를 기록하며 지구 5위를 차지하여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좋지 않은 시즌을 보낸 후 구단주들은 구단 이름을 안헬레스 네그로스 데 푸에블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으며, 영어로 번역하면 '검은 천사'라는 뜻이다.[4]1986년, 새로운 이름인 안헬레스 네그로스 데 푸에블라는 효과를 보인 듯했다. 그해 구단은 .347의 타율을 기록했고 경기당 평균 7득점을 기록하며 1986년 최고의 공격력을 선보였다. 에이킨스는 산도발 감독 아래에서 구단에 네 번째 타이틀을 안겨주는 기억에 남는 해를 보냈다. 안헬레스는 88승 41패로 지구 1위를 차지했다. 8강전에서 디아블로스 로호스를, 준결승전에서 티그레스 데 멕시코를 꺾고, 결승전에서는 술타네스 데 몬테레이를 꺾었다. 이 우승 시즌의 선수로는 포르피리오 멘도사, 앞서 언급된 에이킨스, 산체스, 스톡스틸, 카터가 있었다. 선발 투수진은 하이메 오로스코, 헤르만 히메네스, 마르틴 카마레나, 아이작 히메네스로 구성되었다. 이 해 푸에블라는 .347의 타율, .531의 장타율, 907 득점으로 팀 기록을 세웠다. 1986년 안헬레스는 역대 100대 마이너 리그 팀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5]
1987년, 안헬레스 네그로스는 할리스코로 매각되어 이전되기 전 푸에블라에서 마지막 해를 보냈다.[6] 그해 구단은 지구 2위를 차지했지만, 베르나르도 칼보 감독과 시즌 중반에 모이세스 카마초로 교체된 후 71승 52패로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2. 4. 1990년대 ~ 현재
1993년, 구단은 원래 이름인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로 다시 돌아왔지만, 52승밖에 거두지 못하며 좋지 않은 시즌을 보냈다.[7] 1994년에는 더욱 심각한 부진을 겪으며 33승 96패를 기록했다. 1995년에도 구단은 계속 고전했고, 결국 구단주들은 구단을 매각하여 칸쿤의 랑고스테로스 데 칸쿤이 되었다.[6] 2000년까지 푸에블라에서는 프로 야구가 다시 열리지 않았다.2000년, 지역 사업가이자 신임 구단주인 리카르도 헤네인 메제르가 아구아스칼리엔테스 릴레로스 프랜차이즈를 인수하면서 구단은 5년 만에 복귀했다. 구단은 엔리케 레예스 가르시아 감독을 고용했지만, 5경기 만에 호세 후안 벨라세틴으로 교체되었다. 구단은 괜찮은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지만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실패했다.
2003년, 구단은 62승 48패로 디비전 4위를 기록하며 거의 28년 만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그러나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멕시코 디아블로스 로호스에게 8-7로 패배하며 시리즈를 4-3으로 내줬다.
2004년, 푸에블라주는 티그레스를 환영했고, 이들은 페리코스와 같은 구장에서 경기를 치렀다. 두 구단 간의 라이벌 관계는 푸에블라 내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페리코스는 8강전에서 아구아스칼리엔테스를 꺾었지만, 준결승에서 살티요 사라페로스에게 패했다.
2005년, 지역 라이벌 티그레스가 리그 우승을 차지한 반면, 페리코스는 좋지 않은 시즌을 보냈다.
2006년, 페리코스는 64승 44패로 북부 디비전 2위를 기록하며 반등했지만, 1라운드에서 살티요 사라페로스에게 패했다.
2007년, 티그레스가 킨타나로오로 떠나면서 페리코스는 푸에블라에 남은 유일한 구단이 되었다. 페리코스는 최악의 시즌을 보내며 최하위 3개 팀 안에 들었다.
2008년에는 43승 75패의 형편없는 성적으로 북부 디비전 7위로 시즌을 마쳤다.
2009년, 페리코스는 선발 투수 안드레스 메사의 활약에 힘입어 62승 43패를 기록하며 좋은 시즌을 보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유카탄 레오네스를 꺾었지만, 2라운드에서 킨타나로오 타이거스에게 패했다.
2010년, 페리코스는 챔피언십까지 진출했지만 살티요 사라페로스에게 패했다.
2011년, 페리코스는 53승 53패로 북부 디비전 4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멕시코 시티에 패했다.
2012년, 페리코스는 52승 57패로 6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13년, 알폰소 '휴스턴' 히메네스 감독 하에 58승 48패로 북부 디비전 3위를 기록했다. 구단의 루이스 마우리시오 수아레스는 타율 0.413을 기록하며 타격왕을 차지했지만, 팀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몬테레이에 패했다.
2014년, 조 알바레스 감독 하에 61승 48패로 남부 디비전 2위를 기록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캄페체를 꺾고, 라이벌 킨타나로오 타이거스를 꺾고 챔피언십에 진출했지만, 멕시코 시티에 4경기 스윕으로 패했다.
2014 시즌 후, 페리코스는 몬클로바 광산 재벌 제라르도 베나비데스 파페에게 매각되었다. 베나비데스는 페리코스를 경기장 환경 개선, 지역 사회 활동 등 모든 측면에서 LMB 최고 팀 중 하나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3. 역대 주요 선수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는 1938년 창단된 클럽 데 베이스볼 허드슨을 시작으로 여러 선수들이 팀을 거쳐갔다. 1942년에는 상류층의 관습을 따라 팀명을 페리코스(앵무새)로 변경했다.
1957년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선수 교환 계약을 통해 지미 아데어 감독, 포수 샘 헤어스톤, 유격수 론 핸슨 등을 영입했다. 1963년에는 "페리코스"라는 이름으로 첫 멕시칸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이탈리아 출신 투수 카를로스 미누티가 합류하기도 했다.
1979년, 푸에블라 앙헬레스(Ángeles de Puebla)로 팀명을 변경하고 세 번째 멕시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1986년, 안헬레스 네그로스 데 푸에블라는 타율 0.347, 장타율 0.531, 907득점의 팀 기록을 세우며 역대 100대 마이너 리그 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3. 1. 멕시코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이름 | 포지션 | 헌액 연도 |
---|---|---|
베토 아빌라 | 2루수 | 1971 |
호날두 "로니" 카마초 | 1루수 | 1983 |
모이세스 카마초 | 2루수 | 1986 |
미겔 소텔로 | 투수 | 1985 |
호세 "사카티요" 게레로 | 3루수 | 1989 |
오스카 로드리게스 | 외야수/중견수 | 1993 |
프란시스코 "파킨" 에스트라다 | 포수 | 2000 |
로돌포 "루디" 산도발 | 포수 | 2001 |
호르헤 피치 | 유격수 | 2001 |
후안 수비 | 투수 | 2013 |
3. 2. 기타 주요 선수
1939–1941 | 1952–1953 | 1959–60 | 1963년 챔피언 | 1986년 챔피언 | 포지션 플레이어 |
---|---|---|---|---|---|
4. 마스코트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에는 페페 페리코와 아킬레스, 이렇게 두 개의 마스코트가 있다. 2009년에 처음 소개된 앵무새 페페 페리코는 2020년 팬 투표를 통해 멕시칸 리그 최고의 마스코트로 선정되었다. 2020년에는 아킬레스라는 새로운 마스코트도 소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rticle Baseball history in Puebla from 1920–1943
http://www.jaimecerv[...]
[2]
웹사이트
Pericos de Puebla official site history page
http://www.pericosde[...]
[3]
웹사이트
Pericos de puebla history
http://beismex.galeo[...]
2009-11-21
[4]
웹사이트
El equipo más poderoso, Ángeles Negros
https://www.milb.com[...]
Mexican League
2015-09-04
[5]
웹사이트
Top 100 Teams
http://www.milb.com/[...]
Minor League Baseball
2017-05-09
[6]
웹사이트
Pericos el mejor equipo de la liga, con la peor asistencia de la temporada
https://www.elsoldep[...]
2016-06-27
[7]
웹사이트
Puebla team record from 1942–2000
https://www.baseball[...]
[8]
웹사이트
Champion list from 1925–2003 from www.esmas.com
http://www.esmas.com[...]
[9]
웹사이트
La historia detrás de Pepe Perico; la directiva de Pericos se olvidó de su creador
https://www.periodic[...]
2020-07-17
[10]
웹사이트
Pepe Perico, la mejor mascota de la LMB
https://www.eluniver[...]
2020-07-14
[11]
웹사이트
Acata club Pericos de Puebla disposición de cierre de operaciones
https://www.milenio.[...]
2020-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