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 방정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펠 방정식은 제곱수가 아닌 양의 정수 n에 대해, $x^2 - ny^2 = 1$ 형태의 부정 방정식을 말한다. 고대 그리스와 인도에서 2의 제곱근의 유리수 근사값과 관련하여 연구되었으며, 브라마굽타, 바스카라 2세 등의 인도 수학자들은 펠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17세기에는 유럽 수학자들이 펠 방정식을 재발견하고, 윌리엄 브롱커가 일반 해법을 제시했으며, 라그랑주가 일반 이론을 개발했다. 펠 방정식은 연분수를 이용하여 해를 구할 수 있으며, 대수적 수론, 체비셰프 다항식, 스토르메르 정리 등 다양한 수학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분수 - 파데 근사
파데 근사는 함수의 도함수 값이 일치하도록 유리 함수로 근사하는 방법으로, 발산 급수 재합산, 특이점 분석 등에 응용되며 다점 파데 근사 등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 연분수 - 불완전 감마 함수
불완전 감마 함수는 감마 함수의 적분 구간을 나누어 정의되며 상부 불완전 감마 함수와 하부 불완전 감마 함수로 나뉘고, 확률론, 통계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는 함수이다. - 디오판토스 방정식 - 베주 항등식
베주 항등식은 주 아이디얼 정역에서 두 원소의 최대공약수를 그 두 원소의 정수 배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며,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통해 베주 계수를 구할 수 있고, 정수, 다항식 등 다양한 대수적 구조로 확장 가능하다. - 디오판토스 방정식 - 피타고라스 삼조
피타고라스 삼조는 a² + b² = c²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세 쌍 (a, b, c)이며, 특히 서로소인 세 정수로 이루어진 경우를 원시 피타고라스 삼조라고 한다.
펠 방정식 | |
---|---|
개요 | |
유형 | 디오판토스 방정식 |
변수 | x y n |
방정식 | x² - ny² = 1 |
역사 | |
기원 | 고대 인도 수학 |
관련된 수학자 | 페르마 오일러 펠 (오류로 인해) |
방법 | 차크라발라 법 |
2. 역사
펠 방정식은 이미 기원전 수 세기전부터 무리 제곱근의 유리 근삿값을 구하기 위하여 널리 연구되었다. 기원전 400년경 인도와 그리스의 수학자들은 $x^2 - 2y^2 = 1$ 및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방정식 $x^2 - 2y^2 = -1$ 에서 나오는 수들을 연구했는데, 이는 이러한 방정식들이 2의 제곱근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6]
아르키메데스는 3의 제곱근을 유리수로 근사했고, 아르키메데스의 소떼 문제는 펠 방정식으로 다시 공식화하여 풀 수 있다. 문제가 담긴 원고에는 아르키메데스가 고안하여 에라토스테네스에게 보낸 편지에 기록되었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아르키메데스의 저술이라는 주장은 현재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7][8][9]
인도 수학에서 브라마굽타는 브라마굽타의 항등식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여 $x^2 - Ny^2 = k$의 해를 생성할 수 있었다. 바스카라 2세는 차크라발라(순환) 방법을 제시하여 펠 방정식을 푸는 일반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17세기 여러 유럽 수학자들이 펠 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재발견했다. 피에르 드 페르마는 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찾았고, 존 월리스와 윌리엄 브롱커가 이 문제에 대한 해를 제시했다.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이 해가 존 펠 때문이라고 잘못 생각하여 펠의 이름을 따서 방정식의 이름을 지었다.[16] 이후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펠 방정식의 일반 이론을 개발했다.[17]
2. 1. 고대 그리스와 인도
기원전 400년경, 그리스와 인도의 수학자들은 $x^2 - 2y^2 = 1$ 형태의 방정식을 연구했는데, 이는 2의 제곱근의 유리수 근사값과 관련이 있다.[6] 바우다야나는 ''x'' = 17, ''y'' = 12와 ''x'' = 577, ''y'' = 408이 펠 방정식의 해임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2의 제곱근에 대한 근사값을 제시했다.[5] 아르키메데스는 3의 제곱근을 유리수로 근사하기 위해 펠 방정식을 사용했으며,[6] 그의 아르키메데스의 소떼 문제는 펠 방정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고대 문제 중 하나이다.[7][8][9] 디오판토스는 $a^2x^2 + c = y^2$ 형태의 방정식을 연구했는데, 이는 펠 방정식과 동등하다.[10]2. 2. 인도 수학
7세기경 브라마굽타는 저서 《브라마스푸타시단타》(ब्राह्मस्फुटसिद्धान्तsa)에서 오늘날 '''브라마굽타 항등식'''이라고 불리는 공식을 사용하여 펠 방정식의 해에 대한 점화식을 발견하였다. 12세기 바스카라 2세(भास्कराचार्यsa, 1114–1185)는 1150년에 일반적인 ''n''에 대한 펠 방정식의 일반해(차크라발라 방법)를 제시하고, 인 경우의 해:
를 제시하였다.
2. 3. 중세 이슬람 수학
10세기 페르시아의 수학자 알 카라지(아부 바크르 카라지fa)는 디오판토스의 기법을 바탕으로 펠 방정식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였다.[10]2. 4. 유럽 수학
17세기 여러 유럽 수학자들이 펠 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재발견했다. 피에르 드 페르마는 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찾았고, 1657년 편지에서 영국 수학자들에게 도전 과제로 제시했다.[12] 케넬름 디그비에게 보낸 편지에서 베르나르 프레니클 드 베시는 페르마가 150까지의 ''N''에 대한 가장 작은 해를 찾았다고 말했고, 존 월리스에게 ''N'' = 151 또는 313인 경우를 풀도록 도전했다. 월리스와 윌리엄 브롱커는 이 문제에 대한 해를 제시했지만, 월리스는 편지에서 해가 브롱커 때문이라고 제안했다.유럽 수학에서 펠 방정식의 일반해는 17세기 영국의 윌리엄 브롱커가 최초로 발견하였다.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1766년~1769년 동안 브롱커의 해법이 옳고, 이 해법으로 모든 해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펠 방정식이 항상 무한히 많은 해를 가진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펠 방정식"이라는 이름은 영국의 수학자 존 펠(1611 – 1685)의 이름을 딴 것이다.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1759년에 펠과 브롱커의 이름을 혼동하여 잘못 이름붙였는데, 펠은 펠 방정식과 별다른 관계가 없었다.[46] 존 펠과 방정식의 관련성은 그가 토마스 브랭커의 번역[14]인 요한 라인의 1659년 책 ''Teutsche Algebra''[15]를 영어로 개정하면서, 방정식에 대한 브런커의 해에 대한 논의를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오일러는 이 해가 펠 때문이라고 잘못 생각하여 펠의 이름을 따서 방정식의 이름을 지었다.[16]
라그랑주는 형태의 수에 대한 연분수와 대수적 조작을 기반으로 하는 펠 방정식의 일반 이론을 1766년에서 1769년 사이에 개발했다.[17] 특히 라그랑주는 브런커-월리스 알고리즘이 항상 종료됨을 증명했다.
3. 해법
펠 방정식의 해법은 주어진 *n*에 대해 최소 해인 기본해를 찾고, 그 기본해로부터 다른 모든 해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곱수가 아닌 양의 정수 *n*에 대해 펠 방정식은 항상 자명한 해 (1, 0) 이외의 정수해를 갖는다. 펠 방정식의 최소 해는 연분수 전개를 통해 구한 근사 분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찾을 수 있다.[35] 예를 들어 $n=7$의 경우, $\sqrt{7} = [2; \overline{1, 1, 1, 4}]$ 로 주기가 4(짝수)이므로, $[2; 1, 1, 1]$에서 근사 분수 $\frac{8}{3}$를 통해 최소 해 (8, 3)을 얻는다.
하나의 해 $(x, y)$를 얻었다면, 다음 식을 통해 다른 해들을 계산할 수 있다.
:
펠 방정식의 모든 해는 최소 해의 거듭제곱으로 표현된다.
해의 공식에서 $\alpha=x+y\sqrt{n},\; \beta=x-y\sqrt{n}$이라고 하면,
:
을 얻는다. 즉, 펠 방정식의 해에 대해 $\frac{y_k}{y}, 2x_k$는 뤼카 수열을 구성한다.
3. 1. 기본해 계산
fundamental solution영어이라고 불리는 기본해는 $\sqrt{n}$의 연분수 전개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sqrt{n}$의 정칙 연분수에 대한 수렴값 수열을 $\frac{h_i}{k_i}$라고 하면, 펠 방정식을 만족하며 x를 최소화하는 양의 정수쌍 $(x_1, y_1)$은 어떤 i에 대해 $x_1 = h_i$이고 $y_1 = k_i$를 만족한다. 이 쌍을 기본해라고 한다.[35]$\sqrt{n}$의 정칙 연분수는 $\left[\lfloor\sqrt{n}\rfloor;\overline{a_1,a_2,\ldots,a_{p-1}, 2\lfloor\sqrt{n}\rfloor}\right]$ 형태로 표현 가능하며, $(a_1, a_2, \ldots, a_{p-1})$는 회문이다. 기본해는 주기의 길이 p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35]
$\qquad (x_1,y_1)=\begin{cases}(h_{p-1},k_{p-1}),&\text{ p가 짝수일 때}\\(h_{2p-1},k_{2p-1}),&\text{ p가 홀수일 때}\end{cases}$
예를 들어, $n = 7$인 경우, $\sqrt{7}$의 연분수는 $[2; \overline{1, 1, 1, 4}]$이다. 주기의 길이가 4(짝수)이므로, 기본해는 $[2;1,1,1] = \frac{8}{3}$에서 $(x_1, y_1) = (8, 3)$이다.
$n=13$인 경우, $\sqrt{13}=[3;\overline{1,1,1,1,6}]$으로 주기가 홀수이다. 이때 기본해는 주기의 두 번째 발생 직전의 연분수인 $\frac{649}{180}$로부터 $(x_1, y_1)=(649, 180)$이다.
다음은 $n \le 128$에 대한 $x^2 - ny^2 = 1$의 기본해 목록이다. (n이 완전제곱수인 경우는 제외)
n | x | y |
---|---|---|
2 | 3 | 2 |
3 | 2 | 1 |
5 | 9 | 4 |
6 | 5 | 2 |
7 | 8 | 3 |
8 | 3 | 1 |
10 | 19 | 6 |
11 | 10 | 3 |
12 | 7 | 2 |
13 | 649 | 180 |
14 | 15 | 4 |
15 | 4 | 1 |
17 | 33 | 8 |
18 | 17 | 4 |
19 | 170 | 39 |
20 | 9 | 2 |
21 | 55 | 12 |
22 | 197 | 42 |
23 | 24 | 5 |
24 | 5 | 1 |
26 | 51 | 10 |
27 | 26 | 5 |
28 | 127 | 24 |
29 | 9801 | 1820 |
30 | 11 | 2 |
31 | 1520 | 273 |
32 | 17 | 3 |
33 | 23 | 4 |
34 | 35 | 6 |
35 | 6 | 1 |
37 | 73 | 12 |
38 | 37 | 6 |
39 | 25 | 4 |
40 | 19 | 3 |
41 | 2049 | 320 |
42 | 13 | 2 |
43 | 3482 | 531 |
44 | 199 | 30 |
45 | 161 | 24 |
46 | 24335 | 3588 |
47 | 48 | 7 |
48 | 7 | 1 |
50 | 99 | 14 |
51 | 50 | 7 |
52 | 649 | 90 |
53 | 66249 | 9100 |
54 | 485 | 66 |
55 | 89 | 12 |
56 | 15 | 2 |
57 | 151 | 20 |
58 | 19603 | 2574 |
59 | 530 | 69 |
60 | 31 | 4 |
61 | 1766319049 | 226153980 |
62 | 63 | 8 |
63 | 8 | 1 |
65 | 129 | 16 |
66 | 65 | 8 |
67 | 48842 | 5967 |
68 | 33 | 4 |
69 | 7775 | 936 |
70 | 251 | 30 |
71 | 3480 | 413 |
72 | 17 | 2 |
73 | 2281249 | 267000 |
74 | 3699 | 430 |
75 | 26 | 3 |
76 | 57799 | 6630 |
77 | 351 | 40 |
78 | 53 | 6 |
79 | 80 | 9 |
80 | 9 | 1 |
82 | 163 | 18 |
83 | 82 | 9 |
84 | 55 | 6 |
85 | 285769 | 30996 |
86 | 10405 | 1122 |
87 | 28 | 3 |
88 | 197 | 21 |
89 | 500001 | 53000 |
90 | 19 | 2 |
91 | 1574 | 165 |
92 | 1151 | 120 |
93 | 12151 | 1260 |
94 | 2143295 | 221064 |
95 | 39 | 4 |
96 | 49 | 5 |
97 | 62809633 | 6377352 |
98 | 99 | 10 |
99 | 10 | 1 |
101 | 201 | 20 |
102 | 101 | 10 |
103 | 227528 | 22419 |
104 | 51 | 5 |
105 | 41 | 4 |
106 | 32080051 | 3115890 |
107 | 962 | 93 |
108 | 1351 | 130 |
109 | 158070671986249 | 15140424455100 |
110 | 21 | 2 |
111 | 295 | 28 |
112 | 127 | 12 |
113 | 1204353 | 113296 |
114 | 1025 | 96 |
115 | 1126 | 105 |
116 | 9801 | 910 |
117 | 649 | 60 |
118 | 306917 | 28254 |
119 | 120 | 11 |
120 | 11 | 1 |
122 | 243 | 22 |
123 | 122 | 11 |
124 | 4620799 | 414960 |
125 | 930249 | 83204 |
126 | 449 | 40 |
127 | 4730624 | 419775 |
128 | 577 | 51 |
3. 2. 추가 해 계산
펠 방정식의 기본해 $(x_1, y_1)$이 주어지면, 나머지 해 $(x_k, y_k)$는 다음 점화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18]:
:
또는, 다음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18]
:
3. 3. 효율적인 계산 방법
$\sqrt{n}$의 정칙 연분수에 대한 수렴값의 수열을 $\frac{h_i}{k_i}$로 나타낼 때, 펠 방정식을 풀고 x를 최소화하는 양의 정수쌍 $(x_1, y_1)$은 어떤 i에 대해 $x_1 = h_i$이고 $y_1 = k_i$를 만족한다. 이 쌍을 기본해라고 한다. $\sqrt{n}$의 정칙 연분수에서 정수열 $[a_0; a_1, a_2, \ldots]$은 항상 주기적이므로, 기본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35]$\qquad (x_1,y_1)=\begin{cases}(h_{p-1},k_{p-1}),&\text{ p가 짝수일 때}\\(h_{2p-1},k_{2p-1}),&\text{ p가 홀수일 때}\end{cases}$
빠른 정수 곱셈을 위한 Schönhage–Strassen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연분수 방법으로 기본해를 찾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하지만 해의 자릿수가 입력값 n의 자릿수의 다항식보다 훨씬 큰 $\sqrt{n}$만큼 클 수 있기 때문에 다항 시간 알고리즘은 아니다.[18]
기본 해 $(x_1, y_1)$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18]
:
예를 들어 아르키메데스의 소떼 문제에서 펠 방정식 $x^2 - 410286423278424 y^2 = 1$의 기본 해는 매우 큰 수이지만,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18]
:
여기서
:
이고 $x'_1$과 $y'_1$는 각각 45자리와 41자리의 십진수 자릿수만을 가진다.
소인수분해를 위한 quadratic sieve(이차체) 접근 방식과 관련된 방법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곱 표현을 찾을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연분수 방법보다 효율적이지만 여전히 다항 시간 이상이 걸린다. 일반화된 리만 가설을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18]
:
여기서 $N$ = log $n$은 입력 크기이다.
양자 컴퓨터를 이용하면 펠 방정식의 해에 대한 곱셈 표현을 다항 시간 내에 찾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9][20]
제곱수가 아닌 양의 정수 $n$에 대해 펠 방정식은 항상 자명한 해 $(x = 1, y = 0)$ 이외의 정수해를 갖는다. 또한 하나의 해 $(x, y)$를 얻었다면,
:
는 모두 펠 방정식의 해가 된다.
최소 해를 얻는 방법으로는 연분수 전개에서의 근사 분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자주 사용된다. $\sqrt{n}$의 연분수 전개를 $[a_0; a_1, a_2, \ldots, a_m]$로 두고, 근사 분수 $\frac{P}{Q}$를 $[a_0; a_1, a_2, \ldots, a_{m-1}]$로 하면, $(x, y) = (P, Q)$가 해가 된다. 단, 주기 $m$이 홀수인 경우에는 우변 = −1의 해가 얻어지므로, 1의 해를 얻으려면 위 식을 제곱해야 한다.
예를 들어 $n$이 7이라면, $\sqrt{7} = [2; 1, 1, 1, 4]$ (주기는 4로 짝수)이므로, $[2; 1, 1, 1]$에서 근사 분수 $\frac{8}{3}$가 얻어지고, $(x, y) = (8, 3)$이 최소 해가 된다.
해의 공식에서
:
이라고 하면,
:
을 얻는다. 즉, 펠 방정식의 해에 대해 $\frac{y_k}{y}, 2x_k$는 뤼카 수열을 구성한다.
4. 확장된 펠 방정식
$x^2 - ny^2 = -1$ 형태의 방정식(음의 펠 방정식)이나 $x^2 - dy^2 = N$ 형태의 방정식(일반화된 펠 방정식)도 펠 방정식이라고 불린다.
4. 1. 펠 방정식 (우변이 -1)
$x^2 - ny^2 = -1$ 형태의 방정식도 펠 방정식이라고 불린다. 이 방정식은 $n$ 값에 따라 해가 없을 수도 있다. 해가 존재하는지는 $\sqrt{n}$을 연분수 전개했을 때 순환절의 길이(주기)가 홀수인 경우로 판별할 수 있다.[42]해가 존재하는 $n$의 필요조건은 다음과 같다.[42]
- 4의 배수가 아니다.
- 4k + 3 형태의 소인수를 갖지 않는다.
- $k^2 + \frac{2k}{a}$ (단, $0 < a < 2k$, $a$는 $2k$의 약수) 형태가 아니다.
$n$이 4k + 1 형태의 소수이거나 8k + 5 형태의 소수의 2배인 경우에는 반드시 해를 갖는다는 보고도 있다.[44] 또한, $n = k^2 + 1$ 형태라면 $(x, y) = (k, 1)$이 해가 된다.[45]
$x^2 - ny^2 = -1$이 풀 수 있는 처음 몇 개의 수 $n$은 다음과 같다.
: 1, 2, 5, 10, 13, 17, 26, 29, 37, 41, 50, 53, 58, 61, 65, 73, 74, 82, 85, 89, 97, ...
음의 펠 방정식이 특정 $n$에 대해 해를 갖는 경우, 그 기본 해는 정의 방정식의 양변을 제곱하여 양의 경우($x^2-ny^2=1$)에 대한 기본 해를 이끌어낼 수 있다. 즉, $(x^2 - ny^2)^2 = (-1)^2$ 이므로, $(x^2 + ny^2)^2 - n(2xy)^2 = 1$이 된다.
음의 펠 방정식의 해는 연분수 방법을 사용하여 찾을 수 있다. $(x + \sqrt{n} y)(x - \sqrt{n} y) = -1$이므로, $k$가 홀수일 때 다음 해는 $i(x_k + \sqrt{n} y_k) = (i(x + \sqrt{n} y))^k$에 따라 결정된다. 결과적인 재귀 관계는 다음과 같다.
:$x_k = x_{k-2} x_1^2 + n x_{k-2} y_1^2 + 2 n y_{k-2} y_1 x_1$
:$y_k = y_{k-2} x_1^2 + n y_{k-2} y_1^2 + 2 x_{k-2} y_1 x_1$
이는 음의 펠 방정식에 대한 무한한 해의 집합을 제공한다.
4. 2. 일반화된 펠 방정식
::위 식은 '''일반화된'''[33][34] (또는 '''일반'''[35]) '''펠 방정식'''이라고 한다. 방정식 은 해당 '''펠 방정식의 해'''이다.[35] 라그랑주는 1768년에 이 방정식을 푸는 재귀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문제를 인 경우로 축소했다.[36][37] 이러한 해는 위에 설명된 연분수 방법을 사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이 의 해이고 이 의 해라면, 인 은 의 해이다. 이 원리는 ''곱셈 원리''라고 한다.[35] 해 을 해 의 ''펠 배수''라고 한다.
에 대해 모든 해가 그 집합의 해의 펠 배수인 유한한 해 집합이 존재한다. 특히, 가 의 기본 해라면, 방정식의 각 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