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해 구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해 구씨는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당나라 장군 구대림을 시조로 하며, 구대림은 663년 일본으로 가던 중 동해에서 표류하여 평해에 정착했다고 전해진다.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을 토벌한 구선혁을 1세조로 하여 세계가 이어졌으며, 구선혁의 후손에서 구종직, 구달손, 구치곤 등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평해 구씨는 충청남도 서천군, 부여군, 경상북도 영양군, 상주시 등에 집성촌을 이루었으며, 구덕환, 구병삭, 구인환 등이 있다. 2015년에는 15,297명이 평해 구씨 성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해 구씨 - 구만섭
    구만섭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총무처, 행정안전부, 대통령비서실 등에서 근무하며 천안시 부시장,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국가기록원장, 행정안전부 차관보 등을 역임했고, 현재 대통령비서실 지방시대비서관으로 재직 중이다.
  • 평해 구씨 - 구동우
    구동우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OB 베어스 투수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은퇴 후 NC 다이노스와 롯데 자이언츠에서 코치로 활동했다.
평해 구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 이름평해 구씨
한자 표기平海丘氏
국가한국
민족한국
관향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시조구대림
중시조구선혁(丘宣赫)
창설자구대림
지역
주요 거주지울진군
집성촌충청남도 서천군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대덕리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화천동
경상북도 상주시
인물
주요 인물구종직
구치곤
구덕환
구병삭
구인환
구만섭
통계
2015년 인구15,297명
기타
참고 사항아카데미 한국학 연구소 평해구씨 平海丘氏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90725&cid=42835&categoryId=42835&mobile

2. 역사

평해 구씨의 시조 구대림과 중시조 구선혁 대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구대림 이후 구선혁 이전까지의 세계는 실전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평해 구씨 측에서는 구대림이 663년 당나라에서 일본으로 가는 도중 동해에서 풍랑을 만나 경상북도 평해에 표착하였다고 주장한다. 반면, 평해 황씨 측 기록에는 황락과 구대림이 함께 28년(후한)에 교지군(베트남 하노이의 옛 지명)으로 가는 도중이었다고 하여 양측의 기록이 일치하지 않는다.[4]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평해 구씨의 시조 '''구대림'''(丘大林)은 당나라 장군으로, 663년 일본에 사신으로 가던 중 동해에서 풍랑을 만나 경상북도 평해의 월송정(月松亭) 부근에 표착(漂着)하여 해안의 남쪽 언덕 미포(美浦)에 터를 잡고 살게 되었다고 한다. 구대림이 살았던 곳은 구미진(丘尾津)이라 불린다. 시조의 묘소는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황보리에 있으며, 매년 음력 3월 15일에 춘향제(春享祭)를 지낸다.[4]

구대림 이후 세계(世系)는 전해지지 않아, 고려 공민왕이방실과 함께 홍건적을 토벌하여 공신에 책봉되고 민부전서(民部典書)에 오른 '''구선혁'''(丘宣赫)을 1세조(一世祖)로 한다. 구선혁의 아들 구천우(丘天雨)는 고려 충숙왕 때 판도판서를 지냈고, 구천우의 아들 구춘호(丘春浩), 구춘경(丘春景), 구춘서(丘春瑞), 구춘보(丘春甫) 4형제가 모두 벼슬을 역임하여 가문을 번성시켰다.

구춘호의 손자 구종직(丘從直)은 1444년(세종 26년) 문과에 급제하여 공조판서좌찬성(左贊成)을 지냈다.[4] 구종직의 아들 구달손(丘達孫)은 1465년(세조 11년)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하였고, 구달손의 아우 구숙손(丘夙孫)도 1474년(성종 5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구춘보의 손자 구치곤(丘致崑)은 1464년(세조 10년) 문과에 급제하여 좌부승지·한성부우윤을 거쳐 대사헌에 올랐다. 구치곤의 아우 구치강(丘致岡)도 1453년(단종 1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다. 구치강의 아들 구영안(丘永安)은 1469년(예종 1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다만, 평해 구씨 측에서는 구대림이 한반도에 온 것이 663년 당나라에서 일본으로 가는 도중이라고 주장하지만, 황(黃)씨 측 기록에는 황락(黃洛)과 구대림이 함께 28년(후한)에 교지국(베트남 하노이의 옛 지명)으로 가는 도중이었다고 하여 기록이 일치하지 않는다.

2. 2. 고려 시대

고려 공민왕이방실과 함께 홍건적을 토벌하여 공신에 책훈되고 민부전서(民部典書)에 오른 '''구선혁'''(丘宣赫)을 1세조(一世祖)로 한다.[4] 구선혁의 아들 구천우(丘天雨)는 고려 충숙왕 때 판도판서를 지냈고, 구천우의 아들 구춘호(丘春浩), 구춘경(丘春景), 구춘서(丘春瑞), 구춘보(丘春甫) 4형제는 모두 벼슬을 역임하여 가문을 번성시켰다.

구춘호(丘春浩)의 손자 구종직(丘從直)은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하여 공조판서좌찬성(左贊成)을 지냈다.[4] 구종직의 아들 구달손(丘達孫)은 1465년(세조 11년)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하였고, 구달손의 아우 구숙손(丘夙孫)은 1474년(성종 5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구춘보(丘春甫)의 손자 구치곤(丘致崑)은 1464년(세조 10) 문과에 급제하여 좌부승지·한성부우윤을 거쳐 대사헌에 올랐다. 구치곤의 아우 구치강(丘致岡)도 1453년(단종 1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다. 구치강의 아들 구영안(丘永安)은 1469년(예종 1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2. 3. 조선 시대

고려 공민왕이방실과 함께 홍건적을 토벌하여 공신에 책훈되고 민부전서(民部典書)에 오른 '''구선혁'''(丘宣赫)을 1세조(一世祖)로 한다. 구선혁의 아들 구천우(丘天雨)는 고려 충숙왕 때 판도판서를 지냈고, 구천우의 아들 구춘호(丘春浩), 구춘경(丘春景), 구춘서(丘春瑞), 구춘보(丘春甫) 4형제가 모두 벼슬을 역임하여 가문을 번성시켰다.[4]

구춘호의 손자 구종직(丘從直)은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하여 공조판서좌찬성(左贊成)을 지냈다.[4] 구종직의 아들 구달손(丘達孫)은 1465년(세조 11년)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하였고, 구달손의 아우 구숙손(丘夙孫)도 1474년(성종 5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구춘보의 손자 구치곤(丘致崑)은 1464년(세조 10) 문과에 급제하여 좌부승지·한성부우윤을 거쳐 대사헌에 올랐다. 구치곤의 아우 구치강(丘致岡)도 1453년(단종 1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을 지냈다. 구치강의 아들 구영안(丘永安)은 1469년(예종 1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3. 본관

평해(平海)는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일대의 지명이다. 고구려 때 근을어현(斤乙於縣)이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평해로 고쳐 유린군(有隣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 때 예주(禮州)의 영현이 되었고, 1172년(명종 2)엔 지군사로 승격되었다. 1466년(세조 12)에 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울진군 평해면이 되었고, 1963년에는 울진군이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1980년 평해읍으로 승격되었다.

4. 집성촌


5. 인물


  • 구덕환 - 의사, 국회의원이다.
  • 구병삭 -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아시아공법연구소 이사장이다.
  • 구인환 - 소설가이다.

6.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2,608가구10,560명
2000년4,128가구13,176명
2015년15,297명[2]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평해구씨 平海丘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6
[3] 뉴스 평해구씨(平海丘氏) https://web.archive.[...] 韓国学中央研究院
[4] 간행물 구종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