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양군은 경상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군으로, 태백산맥의 산간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신라 시대에 영양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 영양현으로 복현되었다. 1896년 경상북도 영양군으로 개편되었고, 1914년 진보군 일부를 편입하였다. 현재 1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 감소 추세에 있다. 지리적으로는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인해 '내륙의 섬'으로 불리며, 선캄브리아기 및 중생대 퇴적암 지질을 보인다. 사과와 고추 생산으로 유명하며, 문학가 오일도, 조지훈, 이문열 등을 배출한 문학의 고장으로도 알려져 있다. 인근 지역과 함께 국회의원 1명을 선출하며, 서울특별시 강동구, 은평구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군 - 수비면
수비면은 경상북도 영양군에 위치하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설치되었고, 발리리에 면 행정복지센터가 있으며, 9개의 법정리와 15개의 행정리로 구성되고, 수비초등학교, 수비중학교, 수비고등학교 등의 교육 기관이 있다. - 영양군 - 구주령
경상북도 울진군과 영양군을 잇는 구주령은 국도 제88호선 상의 고개로, 정상에는 휴게소와 옥녀당 사당이 있으며, 특히 휴게소 일대에는 백악기 지질 구조가 대규모로 드러나 있고, 옥녀당에는 조선시대 옥녀의 죽음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 경상북도의 군 - 칠곡군
칠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충적평야가 발달했으며, 1640년 칠곡도호부 설치 후 여러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의 관광지와 경부선, 중앙고속도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의성군
의성군은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조문국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의성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백악기 지질과 국가지질공원이 존재하고,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가 통합되었고, 대륙성 기후와 한지형 마늘 주산지, 그리고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훈련원이 있는 군이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영양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명칭 | 영양군 |
한자 표기 | 英陽郡 |
로마자 표기 | Yeongyang-gun |
McCune-Reischauer 표기 | Yŏngyang-gun |
관할 지역 | 경상북도 |
방언 | 경상 방언 |
면적 | 815.14km² |
인구 | 15,403명 (2024년 9월 기준) |
인구 밀도 | 21.8명/km² |
하위 행정 구역 | 1읍 5면 |
행정 구역 | |
읍 | 영양읍 |
면 | 입암면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석보면 |
상징 | |
군목 | 소나무 |
군화 | 연꽃 |
군조 | 백로 |
정치 | |
군수 | 오도창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임종득 (국민의힘, 영주시·영양군·봉화군)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영양군청 |
2. 역사
- 신라 초에는 고은(古隱)이었다.
- 고구려 장수왕 때는 고구려 땅이었다.
- 신라 말 영양(英陽)이었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예주부(영해)에 편속되었다.
- 1179년(고려 명종 9년) 영양현 신설, 별호는 익양이라 하였다.
- 1413년(조선 태종 13년) 영해부 편속되었다.
- 1683년(조선 숙종 9년) 영양현이 다시 설치되었다.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영양군[9]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영양군[10]
- 1914년 4월 1일 진보군 북면(현 입암면 일부), 동면(현 석보면 일부)을 영양군에 편입하였다.[11][12] 다만, 진보군 동면 낙평리는 영덕군 지품면으로 편입되었다.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영양군 읍내면, 동면 | 영양면 |
영양군 남면, 진보군 북면 | 입암면 |
영양군 수비면, 북초면 | 수비면 |
영양군 북초면, 일월면 | 일월면 |
영양군 청초면, 청이면 | 청기면 |
영양군 석보면, 진보군 동면 | 석보면 |
- 1950년 한국 전쟁 중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시적으로 점령하였다가 다시 대한민국이 수복하였다.
- 1962년 12월 12일 울진군 온정면 본신리를 수비면에 편입하였다.[13]
- 1979년 5월 1일 영양면을 영양읍으로 승격하였다.[14] (1읍 5면)
- 1987년 7월 1일 석보면 양구동, 수비면 기산동을 영양읍에, 입암면 방전동 일부를 석보면에 편입하고, 석보면 북계동을 옥계동으로 개칭하였다.
- 1994년 12월 26일 울진군 서면 왕피리 일부를 수비면 신암리에 편입하였다.
- 2003년 8월 5일 청기면 당동출장소를 당리출장소로 개칭하였다.
이 지역은 깊은 산속에서 학자들이 시를 낭송하고 읽는 전통이 있는 문학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으며, 오일도, 조지훈, 이문열 등이 이곳에서 배출되었다. 군내에는 삼지리 마을에 연대암이라는 역사적인 사찰이 있다.
3. 지리
경상북도 동북부 태백산맥의 내륙지역에 위치하여 동쪽은 울진군과 영덕군, 서쪽은 안동시, 남쪽은 청송군, 북쪽은 봉화군 등 5개 시군과 경계하고 있다. 태백산맥이 동남방향으로 뻗어 많은 대소계곡을 형성하여 북고남저의 산간분지상의 지역을 이루고 있으며 전반적인 해발고도가 경북에서 가장 높다. 빛 공해 지수가 매우 낮은 지역으로 관내에 천문 육안 관측 가능 지역이 상당히 광범위하며 빛공해 방지 공원도 자리하고 있다.
접근이 어려운 고립된 지역인 영양군은 때때로 "내륙의 섬"이라고 불린다. 영양군은 울릉군을 제외하고 경상북도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군으로, 산악 지형에 깊은 계곡이 많고 경작 가능한 토지는 전체 면적의 10%에 불과하다.
4. 지질
영양군은 영남 지괴에 해당하는 북쪽 끝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경상 분지 안에 포함되어 있어, 90%가 중생대의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은 수비면의 북부 지역에만 조금 분포한다.[15] 입암면 연당리에 있는 선바위는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 지층 경상 누층군 청량산층과 도계동층으로 구성된다.[21]
4. 1. 선캄브리아기
수비면 최북단에 분포하는 선캄브리아기의 암석들은, '''원남층군'''과 '''율리층군''' 그리고 가장 오래된 '''평해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해층군'''(PCEp; Precambrian pyeonghae formation, 平海層)은 원래 울진군 평해읍에 분포하는 암석으로, 중생대 경상 누층군에 의해 덮여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국도 제31호선 주변에 소규모로만 분포한다. 분포지역의 남동부와 남서부는 각각 경상 누층군 울련산층과 동화치층에 의해, 북부는 원남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인다. 구성 암석은 편마암 및 운모편암 등이다.[16] '''원남층군'''은 이 지역(영양-울진-봉화군 경계지역)에 발달하는 선캄브리아기의 지층 중 최하부의 것으로 변성 퇴적암이다. 하부로부터 원남층, 동수곡층, 장군석회암층, 두음리층으로 구분된다.[17] 이 중 동수곡층은 영양군 내에 분포하지 않는다. '''율리층군'''은 영양군 내에서 봉화군 소천면 남회룡리와의 경계 지역인 수비면 신암리 서쪽 끝 지역에만 소규모 분포한다. 원남층군을 부정합으로 덮고 (암)회색 및 황회색의 편마암 및 천매암과 회색 변성사질암의 호층(互層)으로 구성되어 있다.[9]4. 2. 중생대 경상 누층군

수비면 최북단을 제외한 영양군의 나머지 모든 지역은 경상 분지의 중생대 퇴적암인 경상 누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이 도계동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5. 행정 구역
영양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양군의 면적은 815.1km2이며, 인구는 2021년 7월 기준 8,992세대, 16,396명이다. 인구의 43.6%가 영양읍에 거주한다. 1975년에는 인구가 70,791명을 기록했으나 이후 인구가 감소하였다.[18]
한반도에 설치된 군 중에서 가장 인구가 적다. 부속도서를 포함하면 울릉군이 1위, 영양군이 2위로 군 전체 인구가 읍 설치 기준에도 못 미친다.
읍면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영양읍 | 英陽邑 | 130.84km2 | 3,671 | 7,148 |
입암면 | 立岩面 | 79.06km2 | 1,215 | 2,119 |
청기면 | 靑杞面 | 140.01km2 | 1,017 | 1,703 |
일월면 | 日月面 | 125.6km2 | 979 | 1,753 |
수비면 | 首比面 | 217.56km2 | 952 | 1,684 |
석보면 | 石保面 | 122.03km2 | 1,158 | 1,989 |
영양군 | 英陽郡 | 815.1km2 | 8,992 | 16,396 |
읍·면 | 한글 | 한자 | 법정리 |
---|---|---|---|
영양읍 | 영양읍 | 英陽邑 | 감천리, 기산리, 대천리, 동부리, 모창리, 무학리, 삼지리, 상원리, 서부리, 양구리, 전곡리, 하원리, 현리, 화천리, 황룡리 |
입암면 | 입암면 | 立岩面 | 교리, 금학리, 노달리, 대천리, 방전리, 병옥리, 산해리, 삼산리, 신구리, 신사리, 연당리, 량항리, 흥구리 |
청기면 | 청기면 | 靑杞面 | 구매리, 기포리, 당리, 무진리, 사리, 산운리, 상청리, 저리, 정족리, 청기리, 토곡리, 토구리, 행화리 |
일월면 | 일월면 | 日月面 | 가곡리, 가천리, 곡강리, 도계리, 도곡리, 문암리, 섬촌리, 오리리, 용화리, 주곡리, 칠성리 |
수비면 | 수비면 | 首比面 | 계리, 발리리, 본신리, 송하리, 수하리, 신암리, 신원리, 오기리, 죽포리 |
석보면 | 석보면 | 石保面 | 답곡리, 삼의리, 소계리, 신평리, 옥계리, 요원리, 원리리, 주남리, 지경리, 택전리, 포산리, 홍계리, 화매리 |
6. 인구
7. 교통
2016년 12월, 인근 청송군에 서산영덕고속도로 동청송영양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개통 전에는 전국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 중 하나로 교통이 매우 불편하였다. 다른 지역에서 영양으로 가려면 대부분 이웃한 안동을 경유해야만 했다. 현재 철도편은 전혀 없으며 국도는 국도 제31호선과 국도 제88호선이 유일하다. 이나마도 4차선 확장이나 직선화가 되어 있지 않다. 영양군에서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봉화군의 양원역이다.[1]
8. 문화·관광
- 두들마을
: 영양군청 주도로, 석보면 두들마을(이문열의 고향) 등 문인의 고향 4곳에서 답사 프로그램 '소풍'을 선보였는데, 두들마을 답사는 석천서당과 정부인 안동 장씨 예절관 등으로 이어진다. 전통한옥체험관에서 음식디미방 요리를 먹을 수 있다.[20]

- 삼지마을
: 백두대간의 일월산(해발 1211m)은 영양지역에 우뚝 솟은 산이다. 이 산에서 발원한 대천(반변천)은 영양읍 북쪽에서 장군천과 합쳐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그 길이가 무려 109.4km이다. 영양읍 삼지리의 삼지마을은 그 옛날에는 코끼리산에 부딪친 물길이 마을을 휘감아 돌아 '물돌이 마을'로 불렸다. 그러나 물길이 바뀌면서 마을에는 더 이상 물이 흘러들지 않는다. 대신 물이 돌던 땅은 논이 됐고 구하도에는 원댕이못, 탑밑못, 바대못 등 3개의 연못이 남아‘삼지(三池)’라는 이름이 전해온다. 현재 구하도에는 사진과 같이 수변공원이 조성되어 있다.[21]
- 선바위와 남이포
: 입암면 연당리에 있는 선바위와 남이포는 '영양고추'와 같이 영양의 상징과 같은 곳이다. 선바위는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 지층 경상 누층군 청량산층과 도계동층으로 구성되며 선바위 관광지에서 다리를 건너 청량산층 절벽 밑으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가면 '남이정'이란 정자가 나온다. 강 건너 절벽에 촛대처럼 하늘로 치솟은 바위가 선바위다. 남이포는 조선시대 남이 장군이 모반세력을 평정한 곳이라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21]
- 일월산
- 척금대
- 영양산촌생활박물관
- 조지훈문학관(芝薰 文學館)
- 수하계곡
- 서석지
- 이외에 측백수림, 연당마을, 두메송하마을, 영양고추홍보관, 용화리삼층석탑, 삼의계곡, 일월산과 자생화공원, 반딧불이천문대 및 생태공원 등이 있다.[21]
영양군은 사과와 고추로 유명하며, 영양고추시험장이 있다. 1984년부터 영양고추를 대표하는 '고추아가씨'를 선발하고 있다. 이 지역은 깊은 산속에서 학자들이 시를 낭송하고 읽는 전통이 있는 문학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으며, 오일도, 조지훈, 그리고 이문열 등이 이곳에서 배출되었다. 군내에는 삼지리 마을에 연대암이라는 역사적인 사찰이 있다.
9. 교육 기관
경상북도 영양군에는 과거 고등학교 3개교, 중학교 6개교, 초등학교 37개교(분교 7개 포함)가 있었으나, 현재는 고등학교 3개교, 중학교 4개교, 초등학교 7개교(분교 1개 포함)만 남아있다.[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
'''고등학교'''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비고 |
---|---|---|---|
영양고등학교 | 영양읍 중앙로 81 | 7학급 | 1953년 5월 15일 개교, 영양중학교 병설 |
영양여자고등학교 | 영양읍 영양창수로 141 | 9학급 | 1973년 3월 4일 개교, 영양여자중학교 병설 |
수비고등학교 | 수비면 낙동정맥로 2417 | 3학급 | 1984년 3월 5일 개교, 라급 벽지학교 지정 및 수비중학교 병설 |
'''중학교'''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비고 |
---|---|---|---|
영양중학교 | 영양읍 중앙로 81 | 6학급 | 1946년 12월 1일 개교, 영양고등학교 병설 |
석보중학교 | 석보면 석보로 572-6 | 2학급 | 1964년 3월 5일 개교 |
수비중학교 | 수비면 낙동정맥로 2417 | 5학급 | 1965년 3월 10일 개교, 라급 벽지학교 지정 및 수비고등학교 병설 |
영양여자중학교 | 영양읍 영양창수로 141 | 5학급 | 1971년 3월 6일 개교, 영양여자고등학교 병설 |
일월면 가곡리 156 | - | 1998년 3월 1일 폐교 | |
입암면 산해1길 9-4 | - | 2019년 2월 28일 폐교 |
'''초등학교'''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비고 |
---|---|---|---|
영양초등학교 | 영양읍 군청길 25 | 14학급 | 1911년 4월 1일 개교 |
석보초등학교 | 석보면 원리길 3 | 8학급 | 1921년 1월 16일 개교 |
일월초등학교 | 일월면 영양로 2410 | 8학급 | 1928년 5월 10일 개교 |
수비초등학교 | 수비면 한티로 499 | 5학급 | 1933년 3월 1일 개교, 라급 벽지학교 지정 |
입암초등학교 | 입암면 입암로 162 | 8학급 | 1933년 5월 15일 개교 |
영양중앙초등학교 | 영양읍 영양창수로 53 | 8학급 | 1965년 4월 3일 개교 |
일월초등학교 청기분교 | 청기면 장갈로 1445 | 3학급 | 1932년 5월 5일 개교, 라급 벽지학교 지정 |
영양읍 감천리 402 | - | 1989년 3월 1일 폐교 | |
일월면 용화리 37 | - | 1990년 3월 1일 폐교 | |
석보면 택전1길 11 | - | 1991년 3월 1일 폐교 | |
청기면 기포리 408 | - | 1992년 3월 1일 폐교 | |
수비면 죽파리 546-2 | - | 1992년 3월 1일 폐교 | |
수비면 본신리 61 | - | 1992년 3월 1일 폐교 | |
영양읍 기산길 191-11 | - | 1993년 3월 1일 폐교 | |
입암면 선바위로 612 | - | 1993년 3월 1일 폐교 | |
청기면 구매리 49 | - | 1993년 3월 1일 폐교 | |
청기면 재일로 795 | - | 1993년 3월 1일 폐교 | |
석보면 화무로 944 | - | 1993년 9월 1일 폐교 | |
수비면 가천로 607 | - | 1994년 3월 1일 폐교 | |
일월면 영양로 4163-9 | - | 1994년 3월 1일 폐교 | |
영양읍 비리동천길 1 | - | 1994년 3월 1일 폐교 | |
석보면 칠성봉길 9 | - | 1994년 3월 1일 폐교 | |
일월면 영양로 3315 | - | 1994년 9월 1일 폐교 | |
청기면 청기로 559 | - | 1995년 3월 1일 폐교 | |
영양읍 영양창수로 644 | - | 1995년 3월 1일 폐교 | |
석보면 소계리 240-2 | - | 1995년 3월 1일 폐교 | |
일월면 오리길 54 | - | 1995년 3월 1일 폐교 | |
영양읍 영양창수로 958-10 | - | 1995년 3월 1일 폐교 | |
영양읍 화매리 561-8 | - | 1995년 9월 1일 폐교 | |
수비면 반딧불이로 129 | - | 1996년 3월 1일 폐교 | |
일월면 가곡리 220 | - | 1998년 3월 1일 폐교 | |
입암면 선바위로 230-35 | - | 1999년 3월 1일 폐교 | |
석보면 원요로 251 | - | 1999년 3월 1일 폐교 | |
입암면 영양로 205 | - | 2000년 3월 1일 폐교 | |
청기면 청기4길 31 | - | 2008년 3월 1일 폐교 | |
수비면 낙동정맥로 4372 | - | 2009년 2월 28일 폐교 | |
청기면 재일로 1383-23 | - | 2015년 3월 1일 폐교 |
'''병설유치원'''
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비고 |
---|---|---|---|
영양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병설된 초등학교와 같음 | 4학급 | 특수학급 1학급 포함 |
영양중앙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 | 1학급 | |
입암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 | 1학급 | |
일월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 | 1학급 | |
일월초등학교 청기분교 병설유치원 | - | 1학급 | 라급 벽지학교 지정 |
수비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 | 1학급 | 라급 벽지학교 지정 |
석보초등학교 병설유치원 | - | 1학급 |
10. 출신 인물
이 지역은 깊은 산골에서 학자들이 시를 읊고 글을 읽는 전통이 있는 문학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으며, 오일도, 조지훈, 이문열 등이 이곳 출신이다.[1]
11. 정치
12.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3]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ko: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1895-05-26
[4]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
법률
경상북도령 제2호
1914-03-16
[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10]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2]
법률
경상북도령 제2호
1914-03-16
[13]
법률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1962-12-12
[14]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5]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6]
웹인용
도계동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
[17]
웹인용
삼근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
[18]
간행물
영양군 통계연보
http://www.yyg.go.kr[...]
[19]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20]
뉴스
산골로 떠나는 ‘소풍’ … 별미와 문학이 반기네
http://life.joins.co[...]
중앙일보사
2009-06-15
[21]
뉴스
경북 영양 ‘삼지마을’ 물길은 말라도 풍광은 그대로
http://sports.khan.c[...]
경향신문
2008-06-17
[22]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23]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24]
문서
현재 지번주소 말소
[25]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26]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27]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28]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29]
문서
특수학급 1학급 포함
[30]
문서
도로명주소 미발급
[31]
문서
도로명주소 미발급
[32]
문서
도로명주소 미발급
[33]
문서
도로명주소 미발급
[34]
문서
도로명주소 미발급
[35]
문서
도로명주소 미발급
[36]
문서
도로명주소 미발급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특별재난지역 전통시장에서 30% 할인받고 명절 준비하세요
"현금환전 뒤 폐기 대상 지역화폐 민가서 소각" 신고…경찰 조사
“장마철에 복구 공사도 못 해”…경북 산불 100일 이재민들
임시조립주택에 머무는 산불 이재민 어쩌나···경북, 폭염 대비책 강화
“살아남았지만 희망 없어”…경북 산불 피해 주민들이 상경한 이유
정부, 영남 산불 이재민에 의료급여 지원 시작
4400여동 잿더미 되는 동안…‘비상소화장치’는 없었다
경북 산불 폐기물 154만t…“6월 말까지 처리”
경북 산불 피해 복구비 1조8310억원 확정…역대 최대
‘경북 산불 피해지역 돕고 관광까지’···‘자원봉사+관광’ 아이디어 나와
'경북 산불' 낸 피의자 2명 구속 기로…1명은 혐의 부인 | JTBC 뉴스
경북 북부 산불 피해 5개 시·군, 농어민수당 먼저 받는다
산불 피해 농가에 벼·콩 정부보급종 1200여t 추가 무상 공급
단국대, 산불 피해 재학생 위해 특별장학금 100만원 지급
경북 안동 산불 피해 이재민, ‘모듈러주택’ 첫 입주
[현장] “불탄 나무들 휘떡휘떡 넘어져…비오면 산사태 겁난다카이”
환경파괴 비판받았는데···경북 산불 확산 막은 ‘이것’
영남 산불 피해면적 10만4천ha로 잠정집계…기존 발표치의 2.2배
경북농협, 산불피해 복구지원 성금 23억원 전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