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 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폐쇄 도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기에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등장했으며, 외부인의 출입이 엄격하게 통제되는 도시이다. 소련은 핵무기 개발 및 군사 산업 시설 보호를 위해 폐쇄 도시를 건설했으며, 미국은 맨해튼 계획과 관련된 기밀 도시를 건설했다. 이러한 도시는 기밀 유지를 위해 지도에 표시되지 않거나 위장된 이름으로 불렸으며, 주민들은 더 나은 혜택을 받았지만 거주 이전의 자유와 정보 접근에 제한을 받았다. 현대에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중국 등에서도 폐쇄 도시가 존재하며, 핵 시설 관련 폐쇄 도시는 사고 발생 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는 공식적인 폐쇄 도시는 없지만, 군사 분계선 인근의 민간인 통제 구역 등이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군사 - 러시아 공수군
러시아 공수군은 러시아군의 독립된 군종으로, 총참모부 직할의 전략적 예비군으로서 선제 공격 및 주요 지점 점령을 담당하며, 여러 분쟁에 참여했고, 매년 8월 2일을 공수군의 날로 기념하며 "Никто, кроме нас! (우리뿐이다!)"를 모토로 사용하고 하늘색 베레모를 착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소련의 군사 - 정치지도원
정치지도원은 공산주의 국가 군대에서 정치 교육, 사상 통제, 지휘관 감시를 수행하여 군의 정치적 안정과 사상적 통일을 목표로 하지만, 비효율성 문제로 폐지되거나 기능이 축소되기도 한다. - 소련의 과학과 기술 - 인터스푸트니크
인터스푸트니크는 소련의 오르비타-2 위성 방송망을 기반으로 코메콘 회원국들을 위해 설계된 국제 위성 통신 시스템으로, 몰니야-3형 위성에서 고리존트형 정지궤도 위성으로 발전하며 다양한 국가가 회원국으로 참여했다. - 소련의 과학과 기술 - 로모노소프 황금 메달
로모노소프 황금 메달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가 자연과학 및 인문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기 위해 러시아와 외국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 역사 왜곡 - 일본의 전쟁 범죄
일본의 전쟁 범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이 저지른 난징 대학살, 위안부 문제, 생체 실험, 포로 학대 등 수많은 인권 유린을 포함하는 범죄 행위로, 오늘날까지도 일본과 피해국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역사 왜곡 - 루흐나마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이 집필한 《루흐나마》는 투르크멘 민족의 역사, 문화, 도덕, 윤리를 다루는 책으로, 교육 과정 필수 교재 지정 및 광범위한 개인 숭배 조장 등 사회적 영향을 미쳤으나, 니야조프 사후 교육 과정에서 점차 제외되었다.
폐쇄 도시 | |
---|---|
지도 | |
개요 | |
유형 | 특정 목적을 위해 제한된 접근을 갖는 지역 또는 도시 |
목적 | 국가 안보 기밀 연구 특수 산업 보호 |
특징 | 특별 허가 필요 지도 및 일반 문서에서 삭제 또는 숨김 자체 정부 또는 특별 행정 기관 관할 |
역사 | |
기원 | 소련 (냉전 시대) 군사 및 과학 연구 시설 주변 |
냉전 이후 | 일부 도시 개방, 접근 제한 유지 |
국가별 현황 | |
러시아 | '자크리티예 아드미니스트라팁노-테리토리알니예 오브라조바니야 (ZATO)' 원자력, 군사 시설, 우주 산업 관련 도시 44개 ZATO 존재 |
미국 | 냉전 시대에 존재했던 '원자력 도시' (예: 오크리지, 로스앨러모스, 리칠랜드) 현재는 대부분 개방 |
기타 국가 | 과거 또는 현재 존재: 영국, 프랑스, 중국, 대한민국 (일부 군사 시설) |
예시 | |
러시아 | 세베로모르스크 (북해 함대 기지) 스네진스크 (핵무기 연구) 젤레노고르스크 (농축 우라늄 생산) |
미국 | 오크리지 (과거, 맨해튼 계획) 로스앨러모스 (과거, 맨해튼 계획) |
대한민국 | 계룡대 |
사회적 영향 | |
장점 | 높은 수준의 사회 서비스 및 인프라 특정 분야의 전문 인력 집중 |
단점 | 외부와의 교류 제한으로 인한 정보 접근성 제한 폐쇄적인 사회 분위기 지역 경제의 특정 산업 의존성 |
관련 용어 | |
유사 개념 | 군사 기지 보안 구역 계획 도시 |
반대 개념 | 개방 도시 |
2. 역사
폐쇄 도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기에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주로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핵무기나 화학 무기 개발과 같은 군사적 목적과 기밀 유지를 위해 만들어졌다.
폐쇄 도시는 일반적으로 외부인의 출입이 엄격하게 제한되었으며, 주민들 역시 도시 밖으로 나가는 데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일부 폐쇄 도시는 지도에서 삭제되거나, 우편 사서함 번호를 사용하여 존재 자체를 비밀로 유지하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폐쇄 도시는 '비밀 도시'라고 불리기도 한다.[48]
소련은 1940년대 후반 '사서함'이라는 이름으로 폐쇄 도시를 설치했다. 이들 도시는 무기 공장이나 원자력 연구소와 같은 기밀 군사, 산업, 과학 연구 단지가 있는 작은 도시, 그리고 보안상의 이유로 폐쇄된 국경 도시 및 지역의 두 종류로 나뉘었다.[53] 폐쇄 도시의 위치는 우랄산맥과 시베리아의 깊은 곳에 주로 설치되었는데, 이는 폭격기를 피하고 중공업이나 원자력 공업에 사용되는 다량의 물을 쉽게 구하기 위함이었다.[54]
미국도 제2차 세계 대전 중 맨해튼 계획의 일환으로 폐쇄 도시를 건설했다. 이들 도시는 핵무기 개발의 비밀을 유지하고 관련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중국, 북한, 카자흐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등 다른 국가에서도 다양한 이유로 폐쇄 도시가 존재했거나, 현재도 존재하고 있다.
2. 1. 소련 및 동구권
소련은 1940년대 후반부터 핵무기 개발, 군사 산업 시설 보호 등을 위해 폐쇄 도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이들 도시는 '사서함'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렸으며, 지도에 표시되지 않거나 위장된 이름으로 불렸다.[48] 소련의 폐쇄 도시는 크게 군사 산업 또는 원자력·핵무기와 관련된 산업이 존재하여 폐쇄된 도시와 군사 기밀상의 이유로 폐쇄된 국경 및 서방 국가와 국경을 접하는 지역,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다.[4]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등 동구권 국가에도 유사한 형태의 폐쇄 도시 및 지역이 존재했다.우크라이나에는 1990년대 중반까지 세바스토폴, 드니프로 등 11곳의 폐쇄 도시가 존재했다.[24] 에스토니아에는 실라매에, 팔디스키 등 두 곳의 폐쇄 도시가 있었다.[16] 소련의 폐쇄 도시는 주로 우랄산맥, 시베리아 등 내륙 지역에 위치했으며, 강과 호수 근처에 건설되어 수자원을 확보했다.[54]
폐쇄 도시 주민들은 더 나은 주거 환경, 생필품 공급 등 혜택을 받았지만,[1] 거주 이전의 자유, 정보 접근 등에 제한을 받았다. 예를 들어, 칼리닌그라드주 전체가 외국인뿐만 아니라 거주자가 아닌 소련 주민에 대해서도 여행이 제한되었다. 세바스토폴과 블라디보스토크도 소련 해군 기지가 있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국내 여행자도 제한되었다.
2. 2. 미국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은 핵무기 개발을 위한 맨해튼 계획의 일환으로 여러 폐쇄 도시를 건설했다. 이들 도시는 핵무기 개발의 비밀을 유지하고, 관련 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맨해튼 계획에 따라 1943년에 건설된 주요 폐쇄 도시는 오크리지, 로스앨러모스, 핸퍼드였다. 이들 도시는 건설 이전에 대규모 인구 밀집 지역이 아니었으며, 미 육군이 토지를 수용하고 주민들을 강제 퇴거시키는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초기에는 암호명으로 불렸으나 (오크리지는 '사이트 X', 로스앨러모스는 '사이트 Y', 핸퍼드는 '사이트 W'), 나중에는 정식 지명을 부여받았다.

이러한 미국의 폐쇄 도시는 소련의 폐쇄 도시와는 몇 가지 차이점을 보였다. 우선, 미국의 폐쇄 도시는 제너럴 일렉트릭, 웨스팅하우스와 같은 민간 대기업이 참여하여 시설 건설 및 자재 공급을 담당했다. 또한, 맨해튼 계획 종료 후 오크리지와 로스앨러모스는 정식 지명과 자치체로 공표되었지만, 주민 관리는 계속되었고, 인종 차별이 강화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냉전 종식 이후, 이러한 도시들은 점차 개방되었지만, 핵연료 및 핵 폐기물 재처리 시설인 핸퍼드는 여전히 핸퍼드 사이트로 불리며, 핵 시설 노동자 외에는 거주가 제한되고 있다. 또한, 네바다 핵실험장의 머큐리와 듀그웨이 시험장의 듀그웨이도 외부인의 출입이 엄격하게 제한된다.[52]
1957년부터 1962년 사이에는 미국 영토의 약 3분의 1이 소련 시민에게 폐쇄되기도 했다.[45]
2. 3. 기타 국가
- 중국의 경우, 중국핵공업집단공사(中国核工业总公司第四零四厂)는 간쑤성 서부 고비 사막에 위치한 폐쇄 도시로, "핵 도시" (核城)라고도 불린다. 1958년에 건설된 이곳은 중국 최대의 핵 산업 기지였으며, 중국 최초의 군사 원자로가 건설되었고, 핵폭탄 핵심 부품의 80%가 생산되었다.[26][27][28] 1969년에는 핵 사고도 발생했다.[29] 2007년, 대부분의 주민들은 인근의 자위관 시로 이주했다. 칭하이성의 일부 외딴 지역은 외국인 여행 제한이 있으며, 외국인 여행 증명서(外国人旅行证)를 신청해야 한다.[30] 다롄 시의 뤼순커우 구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북해 함대 기지가 있어 2009년까지 제한 구역이었으나, 현재는 일부를 제외하고 개방되었다.
- 북한의 영변 핵과학연구센터는 24.8km2 면적의 폐쇄 도시에 위치해 있다.[31] 북한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거주 군(郡) 밖으로 이동하거나 평양에 들어가려면 허가가 필요하므로, 북한 전체를 폐쇄된 국가로 간주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한국군사분계선 내에는 대성동 (남한)과 기정동 (북한) 두 개의 "평화 마을"이 있다. 대성동은 비거주자 출입에 군사적 호위가 필요하며, 기정동은 방문객 출입이 불가능하다.
- 카자흐스탄에는 바이코누르 (러시아 임대 및 관리), 프리오제르스크, 쿠르차토프 (과거 세미팔라틴스크-21) 등의 폐쇄 도시가 있었다.[17][18][19]
-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는 비무슬림에게 폐쇄되어 있으며, 메디나 시내 중심가에도 유사한 제한이 있다.[35][36]
- 일본의 경우, 오쿠노 섬은 전시 하 독가스 개발 섬으로 지도에서 삭제되었다. 주일 미군 기지 내 거주 구역은 미군 ID가 없으면 들어갈 수 없어 폐쇄 도시와 유사하다.
3. 현대의 폐쇄 도시
소련 붕괴 이후 많은 폐쇄 도시가 개방되었으나, 러시아, 중국 등 일부 국가에는 여전히 폐쇄 도시가 존재한다.
페름[56]과 같은 일부 도시는 소련 붕괴 이전에 개방되었고, 칼리닌그라드와 블라디보스토크는 1992년에 개방되었다. 1993년 러시아 연방 헌법 개정으로 폐쇄 도시 정책이 바뀌면서 모든 폐쇄 도시는 법적으로 연방 관구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총 42개의 폐쇄 도시가 알려져 있으며, 거주 인구는 150만 명이다. 이들 중 75%는 러시아 국방부에서 관리하며, 나머지는 로사톰에서 관리한다.[57] 약 15개의 폐쇄 도시가 더 있다고 추측되지만, 러시아 정부는 존재 여부와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다.[58]
일부 폐쇄 도시는 외국인의 투자를 받을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지만, 외국인의 출입에는 허가가 필요하다. 외국인 투자가 개방된 폐쇄 도시의 예로는 미국과 러시아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원자력 도시 계획(Nuclear Cities Initiative, NCI)에 포함된 사로프, 스네진스크, 젤레즈노고르스크가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폐쇄 도시는 계속 줄어들었으나, 2001년 10월 30일 노릴스크, 탈나흐, 카예르칸, 두딘카, 이가르카에는 러시아인 및 벨라루스인을 제외한 외국인의 방문이 일부 제한되었다.
에스토니아에는 최근까지 실라매에와 발디스키 두 곳의 폐쇄 도시가 존재했다. 실라매에는 소련의 원자력 발전소와 핵무기 시설에 사용될 연료봉과 핵분열성 물질을 제조하는 화학 공장이 있었으며, 1991년 에스토니아가 재독립할 때까지 폐쇄 도시였다. 발디스키에는 소련 해군 원자력 잠수함 훈련 센터가 있었으며, 1994년 러시아 해군이 철수할 때까지 폐쇄 도시였다.
카자흐스탄에는 러시아가 관리하는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를 지원하기 위해 건설된 바이코누르, 세미팔라틴스크 핵 실험장이 있는 쿠르차토프, 사리샤간 ABM 실험장이 있는 프리오제르스크 3곳의 폐쇄도시가 있다.
중국에는 핵무기 개발을 목적으로 건설된 폐쇄 도시인 제9연구소(칭하이성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가 존재하며, "서북 핵무기 연구 설계 학회", "211 공장"이라고도 불린다.[26][27][28][29] 중국핵공업집단공사는 간쑤성 서부 고비 사막에 위치한 폐쇄 도시로, "핵 도시"라고도 불린다.
다롄 시 뤼순커우 구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북해 함대 기지가 있어 2009년까지 전역이 제한 구역이었으나, 현재는 군항 주변 등 일부를 제외하고 개방되어 외국인 여행이 가능하다. 다퉁 후이족 투족 자치현 (라오예산 제외), 황중 현 (타얼쓰 사원 제외), 시닝시 칭하이성 주변의 황위안 현과 같은 일부 외딴 지역은 외국인 여행 제한이 유지되고 있다.
3. 1. 러시아






러시아는 세계에서 폐쇄 도시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1993년 러시아 연방의 새로운 헌법 채택으로 폐쇄 도시의 지위가 개혁되었고, 이후 "폐쇄 행정-영토 구역"(ZATO)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모든 ZATO는 연방법에 의해 도시 오크루크의 지위를 가진다.
2010년 1월 1일 기준으로 러시아에는 42개의 공식적인 폐쇄 도시(ZATO)가 있으며, 약 130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50] 이들 도시는 주로 핵 개발, 군사 시설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75%는 러시아 연방 국방부에서 관리하며 나머지는 로사톰에서 관리한다.[57] 약 15개의 폐쇄 도시가 더 있다고 추측되지만, 러시아 정부는 그 존재 여부와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다.[58]
일부 폐쇄 도시는 외국인의 투자를 받을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지만, 외국인의 출입에는 허가가 필요하다. 외국인 투자가 개방된 폐쇄 도시의 예로는 미국과 러시아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원자력 도시 계획(Nuclear Cities Initiative, NCI)에 포함된 도시로, 사로프, 스네진스크, 젤레즈노고르스크가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폐쇄 도시는 계속 줄어들었으나, 2001년 10월 30일 북부의 도시 노릴스크, 탈나흐, 카예르칸, 두딘카, 이가르카에는 러시아인 및 벨라루스인을 제외한 외국인의 방문이 일부 제한되었다.
러시아의 폐쇄 도시 목록은 다음과 같다.
주/지방 | 도시 | 설명 |
---|---|---|
알타이 지방 | 시비르스키 | |
아무르주 | 치올콥스키 | 이전에는 스보보드니-18(Свободный-18ru)로 알려졌으며, 스보보드니 우주 기지라고도 불리는 러시아 국방부의 두 번째 시험 우주 기지 부지이다. |
아르한겔스크주 | 미르니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부지. |
아스트라한주 | 즈나멘스크 | 이전에는 카푸스틴 야르-1(Капустин Яр-1ru)로 알려졌으며, 카푸스틴 야르 (공군 기지)와 "제4 미사일 시험장"이 위치해 있다.[9] |
바시키르 공화국 | 메즈고리예 | 이전에는 우파-105(Уфа-105ru)와 벨로레츠크-15(Белорецк-15ru)로 알려졌으며, 전략 물자 기술 공급 및 유지보수 제129국이 위치해 있다. |
첼랴빈스크주 | 로코모티프니 | |
첼랴빈스크주 | 오조르스크 | 이전에는 첼랴빈스크-65(Челябинск-65ru)와 첼랴빈스크-40(Челябинск-40ru)로 알려졌으며, 핵 물질 처리 및 재활용 공장이 위치해 있다.[10] |
첼랴빈스크주 | 스네진스크 | 이전에는 첼랴빈스크-70(Челябинск-70ru)로 알려졌으며, 러시아 연방 핵 센터 두 곳 중 한 곳이 위치해 있다. |
첼랴빈스크주 | 트료흐고르니 | 이전에는 즈라토우스트-36(Златоуст-36ru)로 알려졌으며, 원자력 발전소 및 무기 제작을 위한 부품 및 기계 개발 장소가 위치해 있다. |
캄차카 지방 | 빌류친스크 | 이전에는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50(Петропавловск-Камчатский-50ru)로 알려졌으며, 러시아 태평양 함대 잠수함 부대의 기지이며, 핵 잠수함 생산에도 관여한다. |
키로프주 | 페르보마이스키 | 이전에는 유라-2(Юрья-2ru)로 알려졌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 딕손 | |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 솔네치니 | 이전에는 우주르-4(Ужур-4ru)로 알려졌다.[11] |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 젤레노고르스크 | 이전에는 크라스노야르스크-45(Красноярск-45ru)로 알려졌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 젤레즈노고르스크 | 이전에는 크라스노야르스크-26(Красноярск-26ru)로 알려졌다. |
모스크바주 | 크라스노즈나멘스크 | 이전에는 골리치노-2(Голицыно-2ru)로 알려졌다. |
모스크바주 | 몰로데요주니 | 이전에는 나로-포민스크-5(Наро-Фоминск-5ru)로 알려졌다. |
모스크바주 | 블라시하 | 이전에는 고르키-2(Горький-2ru)로 알려졌다. |
모스크바주 | 보스호드 | 이전에는 노보페트로프스크-2(Новопетровск-2ru)로 알려졌다. |
모스크바주 | 즈뵤즈드니 고로도크 | 이전에는 셰올코보-14(Щёлково-14ru)로 알려졌다. |
무르만스크주 | 알렉산드로프스크 | 폐쇄 행정-영토 구역으로, 가지예보, 폴랴르니, 스네즈노고르스크 마을을 포함한다. |
무르만스크주 | 오스트로브노이 | |
무르만스크주 | 세베로모르스크 | |
무르만스크주 | 스네즈노고르스크 | |
무르만스크주 | 비디아예보 | |
무르만스크주 | 자오조르스크 | |
니즈니노브고로드주 | 사로프 | 이전에는 아르자마스-16 |
오렌부르크주 | 코마로프스키 | |
펜자주 | 자레치니 | 이전에는 펜자-19[12] |
페름 지방 | 즈뵤즈드니 | 이전에는 페름-76(Пермь-76ru)로 알려졌다. |
프리모르스키 지방 | 포키노 | 이전에는 슈코토보-17(Шкотово-17ru)로 알려졌다.[13] |
프스코프주 | 스무라뱌예보 | |
사라토프주 | 미하일롭스키 | |
사라토프주 | 시하니 | |
사라토프주 | 스베틀리 | |
스베르들롭스크주 | 레스노이 | 이전에는 스베르들롭스크-45 |
스베르들롭스크주 | 노보우랄스크 | 이전에는 스베르들롭스크-44 |
스베르들롭스크주 | 스보보드니 | |
스베르들롭스크주 | 우랄스키 | |
톰스크주 | 세베르스크 | 이전에는 톰스크-7 |
트베리주 | 오조르니 | |
트베리주 | 솔네치니 | |
블라디미르주 | 라두즈니 | |
자바이칼 지방 | 고르니 | 이전에는 치타-46(Чита-46ru)로 알려졌다. |
3. 2.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에는 러시아에서 관리하는 폐쇄 도시가 3곳 존재한다.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를 지원하기 위해 건설된 바이코누르, 세미팔라틴스크 핵 실험장이 있는 쿠르차토프, 사리샤간 ABM 실험장이 있는 프리오제르스크이다.
- 바이코누르는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근처에 있는 도시로, 러시아가 임대하여 관리하고 있다. 비거주 방문자는 바이코누르 시와 우주 기지를 방문하기 위해 러시아 당국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승인은 단순히 러시아 비자를 소지하는 것과는 별개이다. 카자흐스탄의 일부 관광 기구는 바이코누르와 그곳에 있는 박물관을 방문하는 여행을 조직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프리오제르스크[17]
- 쿠르차토프[18]는 과거 세미팔라틴스크 핵 실험장이 있던 곳으로 폐쇄 도시였으며, 우편 번호인 세미팔라틴스크-21로 알려져 있다.[19]
3. 3. 중국
중국에는 핵무기 개발을 목적으로 건설된 폐쇄 도시인 제9연구소(칭하이성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가 존재하며, "서북 핵무기 연구 설계 학회", "211 공장"이라고도 불린다.[26][27][28][29]중국핵공업집단공사(中国核工业总公司第四零四厂)는 간쑤성 서부 고비 사막에 위치한 폐쇄 도시로, "핵 도시" (核城)라고도 불린다. 1958년에 건설된 중국 최대의 핵 산업 기지로, 중국 최초의 군사 원자로가 건설되었고, 중국 핵폭탄 핵심 부품의 80%가 이곳에서 생산되었다. 1980년대까지 외부인에게 폐쇄되었으며, 1969년에는 핵 누출 사고도 있었다. 비밀 유지를 위해 "''간쑤 광산 지역''" (甘肃矿区)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고, 2007년 대부분의 주민이 자위관 시로 이주했다.
다롄 시 뤼순커우 구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북해 함대 기지가 있어 2009년까지 전역이 제한 구역이었으나, 현재는 군항 주변 등 일부를 제외하고 개방되어 외국인 여행이 가능하다.
다퉁 후이족 투족 자치현 (라오예산 제외), 황중 현 (타얼쓰 사원 제외), 시닝시 칭하이성 주변의 황위안 현과 같은 일부 외딴 지역은 외국인 여행 제한이 유지되고 있다. 외국인은 사전에 외국인 여행 증명서(外国人旅行证)를 신청해야 하며, 해당 지역에 들어간 후 24시간 이내에 현지 경찰에 숙소를 신고해야 한다.[30]
4. 특징 및 문제점
폐쇄 도시는 핵무기나 화학 무기 개발과 같이 국가 기밀과 관련된 특수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도시이다. 이러한 도시는 주로 핵무기나 화학 무기 제조, 군사 활동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그 가족들이 거주한다. 일반적인 도시와 달리, 폐쇄 도시는 울타리나 벽 등으로 둘러싸여 있고, 검문소 등을 통해 출입이 엄격하게 제한되어 일반인의 출입이 불가능하다.
폐쇄 도시 주민들은 도시 밖으로 나가는 것에도 제한을 받으며, 허가나 절차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주민이 도시 밖으로 이사하는 것도 여러 형태로 제한되거나, 국가로부터 압력을 받거나, 가능하더라도 감시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아, 해당 도시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대부분 평생 그 도시에서 살게 된다.[48]
도시의 존재를 지도에 표시하지 않거나, 상공 비행을 제한하거나, 도로를 봉쇄하거나, 우편 사서함 번호를 도시 이름 대신 사용하는 등, 도시의 존재 자체를 최대한 비밀로 하는 경우도 있어서 '비밀 도시'라고 불리기도 한다.[48]
현재 러시아와 CIS 국가들에는 다수의 폐쇄 도시가 존재한다. 이는 미국이 핵무기 개발을 위해 비밀 도시를 만든 것을 소련이 모방하여 만들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자나 언론인들의 지적에 따르면, 미국과 러시아에만 약 30개의 비밀 도시가 현재 존재한다고 한다.
4. 1. 특징
폐쇄 도시는 철조망, 감시탑, 검문소 등으로 둘러싸여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는 경우가 많다.[1] 도시의 존재 자체가 기밀로 취급되기도 하며, 지도에 표시되지 않거나 위장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소련의 폐쇄 도시였던 사로프는 '아르자마스-16'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는데, 실제로는 아르자마스에서 약 75km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1]폐쇄 도시 주민들은 거주 이전의 자유, 정보 접근 등에 제한을 받는다.[1] 외부와의 연락이나 정보 공개가 제한되기도 한다. 그러나 더 나은 주거 환경, 생필품 공급, 급여 보너스 등의 혜택을 받기도 했다.[1]

4. 2. 문제점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의 핵무기 개발과 같은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폐쇄 도시는 국가 안보 강화와 기밀 유지를 용이하게 하지만 여러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사고 발생 시 심각한 피해: 특히 핵 시설 관련 폐쇄 도시의 경우, 사고 발생 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체르노빌과 프리피야트는 출입 및 거주가 제한되는 폐쇄 도시가 되었다.[48] 후쿠시마현 역시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대부분의 도시가 제한되어 있다.
- 주민 통제 및 감시: 폐쇄 도시에서는 주민들의 도시 밖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거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전출 역시 제한되거나 당국의 감시 대상이 될 수 있어, 해당 도시에서 태어난 아이들 대부분이 평생 그 도시에서 살게 되는 경우가 많다.[48]
- 존재 자체의 비밀 유지: 폐쇄 도시 중에는 도시의 존재를 지도에 표시하지 않거나, 상공 비행 제한, 도로 봉쇄, 우편 사서함 번호 사용 등의 방법으로 존재 자체를 비밀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폐쇄 도시는 '비밀 도시'라고 불리기도 한다.[48]
- 환경 오염: 핵연료 및 핵 폐기물 재처리 시설로 건설된 핸퍼드 사이트의 경우, 핵연료 냉각 등에 사용된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폐액이 컬럼비아 강에 방류되기도 하였다. 또한 고준위 방사성 폐액 저장 탱크의 노후화로 인해 누출 사고가 발생하여 지하수와 토양이 오염되기도 하였다.
- 미국의 사례: 맨해튼 계획에 따라 건설된 오크리지, 로스앨러모스, 핸퍼드는 초기에는 비밀 도시였으나, 1947년 이후 존재 자체가 공개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시설 내용은 비밀로 유지되었고, 주민 관리가 계속되었다. 네바다 핵실험장의 Mercury, Nevada|머큐리영어와 더그웨이 시험장의 Dugway, Utah|더그웨이영어도 외부인의 출입이 엄격하게 제한된다.[52]
5. 한국과의 관련성
대한민국에는 공식적인 폐쇄 도시는 없지만, 군사분계선 인근의 민간인 통제 구역, 군사 시설 보호 구역 등이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대성동(자유의 마을)은 비거주자의 출입에 군사적 호위가 필요한 특수한 지역이다.[31]
북한의 경우, 영변 핵과학연구센터는 24.8km2 면적의 폐쇄 도시에 위치해 있다.[31] 북한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거주하는 군(郡) 밖으로 이동하려면 허가가 필요하며, 평양에 들어가는 데에도 추가 허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북한 전체를 폐쇄된 국가로 간주할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참조
[1]
뉴스
Mailbox44
https://web.archive.[...]
2022-08-26
[2]
웹사이트
New Opportunities for Russia's Closed Cities
https://www.nti.org/[...]
2005-10-04
[3]
웹사이트
City border
https://web.archive.[...]
FOTOESCAPE
2013-03-16
[4]
웹사이트
Secret Citie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1-08
[5]
서적
Ethnic group divided: social stratification and nationality policy in the Soviet Un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6]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ZATO
JAI Press
2007
[7]
서적
Motivation and Redirection: Rationale and Achievements in the Russian Closed Nuclear Cities
Springer
2006
[8]
웹사이트
Вопреки распространённому мнению, Норильск закрыт и для граждан Беларуси - Визовые новости по странам бывшего СССР
https://web.archive.[...]
2017-03-31
[9]
뉴스
Secret Cities Revealed
https://www.washingt[...]
2015-01-13
[10]
뉴스
Russian village evacuation as rocket blast sparks radiation fears: Nyonoksa residents asked to leave within a day after last week's explosion that spiked radiation levels up to 16 times.
https://www.aljazeer[...]
2019-08-13
[11]
웹사이트
About the Settlement
http://zato-solnechn[...]
Official website of Solnechny
[12]
뉴스
Zarechny: a rare glimpse into one of Russia's last closed cities
https://www.theguard[...]
2014-06-16
[13]
웹사이트
Russian Nuclear-Powered Submarine Dismantlement and Related Activities: A Critique
https://web.archive.[...]
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2007-05-24
[14]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Ф от 4 июля 1992 г. N 470 "Об утверждении Перечня территорий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 регламентированным посещением для иностранных граждан" (с изменениями и дополнениями)
http://base.garant.r[...]
GARANT
[15]
웹사이트
Norilsk: A Closed City in Siberia
http://theprotocity.[...]
2020-02-10
[16]
웹사이트
FORMER CLOSED CITIES IN THE SOVIET BALTIC SEA REGION / LANDSCAPE
https://dspace.emu.e[...]
2014
[17]
잡지
A Look Inside the 'Closed Cities,' the Radioactive Ruins on Russia's Border With Kazakhstan
http://www.newsweek.[...]
2014-09-28
[18]
잡지
Photos: The Ruins of the USSR's Secret Nuclear Cities
https://www.wired.co[...]
2014-10-15
[19]
웹사이트
UN News Special Report: 'Ground Zero' at the former Semipalatinsk nuclear test site in Kazakhstan
https://news.un.org/[...]
2019-08-29
[20]
서적
Environment, Forced Migration and Social Vulnerabil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7-12-30
[21]
뉴스
The Russian ammunition depot from Cobasna discuss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Beirut explosion
https://www.moldova.[...]
2020-08-09
[22]
뉴스
Transnistria's explosive inheritance from the Soviet era
https://www.dw.com/e[...]
2015-12-01
[23]
뉴스
Cel mai mare depozit ilegal de arme din Europa de Est
https://www.dw.com/r[...]
2015-11-27
[24]
웹사이트
Grappling with environmental risks in the fog of war
https://thebulletin.[...]
2022-03-10
[25]
뉴스
East Arnhem Land Access Permits
https://www.eastarnh[...]
eastarnhemland.com.au
2023-03-09
[26]
뉴스
China Boasts Breakthrough In Nuclear Technology
https://web.archive.[...]
The Weekly Voice.
2011-01-07
[27]
뉴스
404:与世隔绝的核城往事
http://mt.sohu.com/2[...]
GEO杂志
2015-02-03
[28]
서적
河西开发史研究
甘肃教育出版社
1996
[29]
뉴스
静静地守候 默默地奉献
https://web.archive.[...]
中央国家机关团工委2013年“根在基层·中国梦”(美丽中国)调研实践活动
2015-12-31
[30]
뉴스
未办手续进入限制区域 6名外国人被责令离开
http://roll.sohu.com[...]
青海法制报
2013-08-05
[31]
뉴스
More Underground Facilities Near Yongbyon: A Potential Challenge for Future Denuclearization Deals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0-04-01
[32]
웹사이트
Isla Guadalupe
http://islas.org.mx/[...]
Conservación de Islas
2018-08-17
[33]
웹사이트
Isla Guadalupe White Shark Trip - FAQs
http://sdsharkdiving[...]
San Diego Shark Diving
2018-08-17
[34]
웹사이트
Guadalupe Island, Giant Fortress
http://www.squalodiv[...]
Squalo Divers
2018-08-17
[35]
서적
The Hajj: The Muslim Pilgrimage to Mecca and the Holy Place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
서적
What everyone needs to know about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7]
뉴스
Fårö och norra Gotland var förbjudet för utlänningar
https://helagotland.[...]
2022-05-25
[38]
웹사이트
Tighter Security Checks for Visitors
http://www.dugway.ar[...]
Dugway Proving Ground/United States Army
2017-11-10
[39]
웹사이트
DPG Visitors Guide
http://www.dugway.ar[...]
United States Army, Dugway Proving Ground
2017-11-10
[40]
서적
109 East Palace: Robert Oppenheimer and the Secret City of Los Alamos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2023-08-03
[41]
뉴스
Up to a tenth of New York City's coronavirus dead may be buried in a potter's field: An analysis found that more than 2,334 adults were buried on Hart Island last year, up from 846 in 2019
https://www.nytimes.[...]
2023-10-10
[42]
뉴스
COVID-19 Initiative
https://www.hartisla[...]
2023-10-10
[43]
뉴스
Lost in the Pandemic: Inside New York City's Mass Graveyard on Hart Island
https://time.com/591[...]
2023-10-29
[44]
서적
Hart Island
[45]
웹사이트
Russians Were Once Banned From a Third of the U.S.
https://web.archive.[...]
[46]
웹사이트
Restricting Soviet Travel in the U.S. During the Cold War
https://blogs.loc.go[...]
[47]
간행물
The Closed Cities Of 'Tenet' Are A Real Relic Of The Soviet Union And Beyond
https://www.esquire.[...]
2020-08-29
[48]
문서
[49]
웹사이트
秘密めいた閉鎖都市
http://jp.rbth.com/s[...]
러시아NOW
2016-05-02
[50]
서적
『ユーラシア・ブックレットNo.153 ロシアの旧秘密都市』
東洋書店
2010-06-20
[51]
논문
Motivation and Redirection: Rationale and Achievements in the Russian Closed Nuclear Cities
Springer
[52]
웹사이트
Closed Cities »Useful Notes
https://tvtropes.org[...]
tvtroops
2024-10-20
[53]
웹사이트
Secret Citie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1-08
[54]
서적
Ethnic group divided: social stratification and nationality policy in the Soviet Un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웹인용
City border
http://photo-escape.[...]
FOTOESCAPE
2013-03-16
[56]
문서
[57]
논문
A short history of the ZATO
JAI Press
[58]
논문
Motivation and Redirection: Rationale and Achievements in the Russian Closed Nuclear Cities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