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스터의 게임플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켓몬스터 게임플레이는 포켓몬스터 비디오 게임 시리즈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포괄한다. 게임은 플레이어가 가상의 지역을 탐험하며 포켓몬을 수집하고 훈련시켜, 체육관 관장과 사천왕, 챔피언에게 도전하는 구조를 가진다. 플레이어는 풀, 불꽃, 물 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여 모험을 시작하며, 포켓몬을 포획하고, 배틀을 통해 성장시킨다. 포켓몬은 다양한 기술을 배우고, 타입 상성을 활용하며, 능력치를 강화하여 전투에서 승리한다. 또한, 포켓몬 교환, 교배, 진화 등 다양한 시스템을 통해 게임플레이의 깊이를 더한다. 게임 내에는 포켓몬 도감, 포켓몬 뱅크, 포켓몬 홈과 같은 저장 시스템도 존재하며, 메가진화, 다이맥스, 테라스탈과 같은 배틀 메커니즘은 전투의 전략성을 높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켓몬스터 - 다지리 사토시
1965년 도쿄에서 태어난 다지리 사토시는 곤충 채집 경험과 아케이드 게임 열정을 바탕으로 게임 팬진 제작 및 게임프리크 설립 후 닌텐도 게임보이의 통신 기능을 활용한 포켓몬스터 시리즈를 통해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이자 게임프리크의 회장이다. - 포켓몬스터 - 사이토 나오키
사이토 나오키는 다마미술대학 졸업 후 코나미에서 근무하다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 만화가, 유튜버로 활동하며, 《듀얼 마스터즈》, 《포켓몬스터》, 《바키 시리즈》 등의 일러스트 작업과 《바키 도모에》 집필, 일러스트 강좌 유튜브 채널 운영, NFT 아트 판매 등 다방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비디오 게임 플레이 - 오픈 월드
오픈 월드는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탐험하고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비선형적인 게임 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디자인이다. - 비디오 게임 플레이 - 데스매치
데스매치는 FPS 게임의 한 종류로, 여러 플레이어가 가상 공간에서 서로를 죽여 점수를 얻는 게임 모드이며, 1993년 게임 《둠》을 통해 대중화되어 FPS 게임의 주요 모드로 자리 잡았다.
포켓몬스터의 게임플레이 | |
---|---|
게임플레이 개요 | |
게임 장르 | 롤플레잉 게임 |
핵심 요소 | 탐험 턴제 전투 포켓몬 수집 및 훈련 |
탐험 | |
게임 진행 방식 | 플레이어는 게임 세계를 탐험하며 다양한 장소를 방문하고, 아이템을 획득하며, 다른 캐릭터들과 상호 작용한다. |
월드맵 | 게임 세계는 다양한 지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지역은 독특한 환경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숨겨진 요소 | 게임 세계 곳곳에는 숨겨진 아이템, 포켓몬, 장소 등이 존재하며, 플레이어는 이를 탐험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
포켓몬 전투 | |
전투 시스템 | 대부분의 전투는 턴제 방식으로 진행되며, 플레이어는 자신의 포켓몬에게 공격, 방어, 아이템 사용 등의 명령을 내릴 수 있다. |
타입 상성 | 포켓몬은 각각 고유한 타입을 가지고 있으며, 타입에 따라 서로에게 강하거나 약한 상성을 가진다. |
상태 이상 | 전투 중 포켓몬은 다양한 상태 이상에 걸릴 수 있으며, 이는 전투에 큰 영향을 미친다. |
포켓몬 수집 및 훈련 | |
포획 | 플레이어는 몬스터 볼을 사용하여 야생 포켓몬을 포획할 수 있다. |
육성 | 포획한 포켓몬은 전투를 통해 경험치를 얻고 레벨업하며,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진화할 수 있다. |
진화 |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포켓몬은 더 강력한 형태로 진화할 수 있다. |
멀티플레이어 요소 | |
교환 |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와 포켓몬을 교환할 수 있다. |
대전 |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와 포켓몬 배틀을 즐길 수 있다. |
시리즈별 특징 | |
포켓몬스터 적·녹/포켓몬스터 파이어레드·리프그린 | 최초의 포켓몬 게임 151마리의 포켓몬 등장 |
포켓몬스터 금·은/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 | 100마리의 새로운 포켓몬 추가 시간 개념 도입 (낮/밤) 포켓몬의 알 부화 시스템 도입 |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135마리의 새로운 포켓몬 추가 더블 배틀 도입 포켓몬 콘테스트 도입 |
포켓몬스터 다이아몬드·펄/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 | 107마리의 새로운 포켓몬 추가 온라인 트레이드 및 배틀 도입 |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포켓몬스터 블랙 2·화이트 2 | 156마리의 새로운 포켓몬 추가 트리플 배틀 및 로테이션 배틀 도입 |
포켓몬스터 X·Y | 72마리의 새로운 포켓몬 추가 메가진화 도입 3D 그래픽 사용 |
포켓몬스터 썬·문/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 | 81마리의 새로운 포켓몬 추가 Z기술 도입 알로라폼 포켓몬 도입 |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 89마리의 새로운 포켓몬 추가 다이맥스 및 거다이맥스 도입 오픈 월드 요소 도입 |
Pokémon 레전드 아르세우스 | 새로운 게임플레이 스타일 (액션 RPG 요소) 오픈 월드 필드 탐험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오픈 월드 RPG 테라스탈 시스템 도입 |
2. 게임 구조
휴대용 게임기용 포켓몬스터 RPG 시리즈는 1996년 처음 작품부터 2019년 최근 작품까지 포켓몬 세계 각각의 특정한 가상의 지방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플레이어는 각 지방의 포켓몬 박사에게 스타팅 포켓몬을 받고 게임을 시작한다.[1] 플레이어는 풀, 불, 물 타입 중 하나의 포켓몬을 선택하며, 스타팅 포켓몬은 진화하면서 추가 타입을 얻는 경우가 많다. 각 게임의 주된 줄거리는 포켓몬을 이용하여 세계를 정복하려는 범죄 조직(로켓단, 마그마단, 아쿠아단, 갤럭시단, 플라즈마단, 플레어단, 스컬단, 옐단)을 물리치는 것이다.
포켓몬 세계에서 찾을 수 있는 주요 시설은 포켓몬센터, 프렌들리숍, 체육관이 있다. 포켓몬센터에서는 플레이어의 포켓몬을 무료로 치료해주며, 비치된 PC를 이용하여 모은 포켓몬을 정리하고, 포켓몬 도감을 평가받고, 도구를 맡기거나 찾아갈 수 있다.[1] 또한, 이곳에서 다른 카트리지와 연결하여 배틀이나 교환을 할 수 있다. 프렌들리숍은 플레이어가 배틀에서 이긴 뒤 받는 돈으로 각종 도구들을 살 수 있는 상점이다.[1] 게임을 진행하면 정기적으로 포켓몬 체육관이 있는 도시가 등장하며 모든 체육관에는 체육관 관장이 있다. 승리한 플레이어는 체육관 배지를 받고 다음 줄거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1] 체육관 배지 8개를 모두 모은 뒤에는 지방의 사천왕과 챔피언에게 도전할 수 있게 되고, 챔피언에게 승리하면 게임의 주된 줄거리를 마치게 된다.[1]
줄거리를 끝마치면 게임의 다른 요소들이 열리게 되는데, 먼저 갈 수 없었던 장소로 갈 수 있는 방법이 생긴다.[1] 이후에는 실질적으로 게임의 마지막이 없는 상태가 되는데, 플레이어가 적어도 모든 포켓몬을 각각 한 마리씩은 구하여 포켓몬 도감을 완성시키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가 된다. 1세대와 2세대 이외의 작품에서 플레이어가 특정한 조건을 달성하면 포켓몬 도감이 전국 도감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이전 시리즈에 등장했던 모든 포켓몬을 모아야 하는 임무가 주어진다. 포켓몬 종류는 각 게임 세대가 등장할 때마다 증가했는데, 첫 시리즈에서 151마리로 시작하여 최근 시리즈까지 898마리로 증가하였다.
2. 1. 주요 시설
2. 2. 스타팅 포켓몬
플레이어는 모험을 시작할 때 풀, 불꽃, 물 타입 중 하나의 스타팅 포켓몬을 선택한다.[56] 예외적으로 《포켓몬스터 피카츄》에서는 피카츄를,[57]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에서는 피카츄(레츠고 피카츄) 또는 이브이(레츠고 이브이)를 받는다. 각 시리즈별 스타팅 포켓몬은 다음과 같다.처음 만나는 포켓몬 | ||||
---|---|---|---|---|
《포켓몬스터 적·녹·청》, 《파이어레드·리프그린》 | 이상해씨 | 파이리 | 꼬부기 | |
《포켓몬스터 피카츄》 | 피카츄 | |||
《포켓몬스터 금·은·크리스탈》, 《하트골드·소울실버》 | 치코리타 | 브케인 | 리아코 | |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나무지기 | 아차모 | 물짱이 | |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 《Pt 기라티나》 | 모부기 | 불꽃숭이 | 팽도리 | |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블랙 2·화이트 2》 | 주리비얀 | 뚜꾸리 | 수댕이 | |
《X·Y》 | 도치마론 | 푸호꼬 | 개구마르 | |
《썬·문》《울트라썬·울트라문》 | 나몰빼미 | 냐오불 | 누리공 | |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 | 피카츄(레츠고 피카츄) | 이브이(레츠고 이브이) | ||
《포켓몬스터 소드 실드》 | 흥나숭 | 염버니 | 울머기 | |
《포켓몬스터 레전드 아르세우스》 | 나몰빼미 | 브케인 | 수댕이 | |
《포켓몬스터 스칼렛 바이올렛》 | 뜨아거 | 꾸왁스 | 나오하 |
롤플레잉 게임 포켓몬스터 시리즈는 전통적으로 플레이어가 모험을 시작할 때 서로 다른 세 종류의 포켓몬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이 세 포켓몬을 '''처음 만나는 포켓몬'''이라고 부른다.[56]
포켓몬을 선택한 후에는 라이벌이 플레이어가 선택한 포켓몬에 효과가 강한 상성을 갖는 포켓몬을 고르게 된다. 블랙·화이트, X·Y에서는 여러 명의 라이벌 캐릭터가 등장하여 나머지 두 마리 포켓몬을 고르게 된다.
2. 3. 포켓몬 체육관과 리그
각 지역에는 8개의 포켓몬 체육관이 있으며, 각 체육관은 특정 타입의 포켓몬을 전문으로 다루는 체육관 관장이 운영한다. 체육관 관장에게 승리하면 배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배지는 포켓몬 리그에 도전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또한, 승리한 도전자는 기술머신을 얻고, 특정 레벨 이하의 교환 포켓몬을 다룰 수 있게 되며, 파도타기나 풀베기 같은 비전머신 기술을 필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8개의 배지를 모두 모으면 포켓몬 리그에 도전할 수 있으며, 사천왕과 챔피언에게 차례로 승리해야 한다. 다만, 《포켓몬스터 썬·문》,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에서는 체육관 대신 시련이 존재하며, 《포켓몬스터 소드·실드》에서는 사천왕 대신 챔피언 컵 토너먼트를 통해 챔피언에게 도전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3. 포켓몬 포획
몬스터볼을 던져서 포켓몬을 잡을 수 있다. 포획률은 포켓몬 마다 다르며 포획률과 볼의 종류, 상태이상, 남은 HP(체력)에 따라 포켓몬을 잡을 수 있는 확률이 정해진다. 전설의 포켓몬과 환상의 포켓몬은 포획률이 매우 낮다.
포획은 ''포켓몬스터'' 프랜차이즈의 가장 인지도가 높고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포켓몬스터''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야생 포켓몬을 배틀에서 약화시킨 다음 몬스터볼을 던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29] ''Pokémon Go'', ''Pokémon Legends: Arceus,'' 및 ''Pokémon: Let's Go!''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포켓몬과 배틀을 하지 않고 몬스터볼을 직접 던져 포켓몬을 포획하며, 때로는 열매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30][31]
'''몬스터볼'''( "몬스터 볼")은 포켓몬 트레이너가 야생 포켓몬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구형 장치이다. 몬스터볼을 포켓몬에게 던지면 포켓몬은 스스로를 축소시켜 그 안에 들어가게 된다.[32]
마스터볼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포켓몬을 100%의 확률로 잡을 수 있는 볼이다. 8세대와 9세대를 제외하면 계정당 마스터볼을 한 개만 얻을 수 있다.
3. 1. 몬스터볼
'''몬스터볼'''( "몬스터 볼"}})은 포켓몬 트레이너가 야생 포켓몬을 잡기 위해 사용하는 구형 장치이다. 몬스터볼을 포켓몬에게 던지면 포켓몬은 스스로를 축소시켜 그 안에 들어가게 된다.[32] 포획은 ''포켓몬스터'' 프랜차이즈의 가장 인지도가 높고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포켓몬스터''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야생 포켓몬을 배틀에서 약화시킨 다음 몬스터볼을 던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29] ''Pokémon Go'', ''Pokémon Legends: Arceus,'' 및 ''Pokémon: Let's Go!''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포켓몬과 배틀을 하지 않고 몬스터볼을 직접 던져 포켓몬을 포획하며, 때로는 열매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30][31]
마스터볼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포켓몬을 100%의 확률로 잡을 수 있는 볼이다. 8세대와 9세대를 제외하면 계정당 마스터볼을 한 개만 얻을 수 있다.
3. 1. 1. 마스터볼
마스터볼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포켓몬을 100%의 확률로 잡을 수 있는 볼이다. 8세대와 9세대를 제외하면 계정당 마스터볼을 한 개만 얻을 수 있다.4. 포켓몬 배틀
포켓몬 간의 배틀은 《포켓몬스터》 비디오 게임 시리즈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포켓몬 배틀에서는 포켓몬을 강하게 만들고 게임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훈련된 포켓몬을 이용한다. 케이블 연결이나 무선 기술을 통해 플레이어 간의 배틀도 가능하다.
《포켓몬스터》는 턴제 시스템을 사용한다. 플레이어가 트레이너에게 도전하거나 야생 포켓몬과 마주치면 화면이 상대 포켓몬을 비추는 배틀 장면으로 바뀌고, 각각의 HP 막대와 선택 메뉴가 표시된다. 플레이어는 언제든지 자신이 잡은 포켓몬 중 최대 여섯 마리의 포켓몬을 휴대하여 파티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선두에 있는 포켓몬이 자동으로 가장 먼저 배틀에 출전한다. 각 턴이 시작하면 양쪽에서는 싸우거나, 도구를 사용하거나, 포켓몬을 교체하거나, 배틀에서 도망가기(트레이너와의 배틀에서는 도망갈 수 없다)를 선택할 수 있다. 양쪽이 싸운다를 선택하면 스피드에 따라서 선공이 결정되지만, 일부 기술, 도구, 효과는 먼저 적용될 수 있다(가령 트릭룸은 스피드를 반전시키고 애쉬열매는 HP가 1/4일 때 다음턴에 선공을 하게 된다). 양쪽이 그 외에 다른 메뉴를 선택하면 어떤 행동이든지 싸우기 전에 이루어진다.
각 포켓몬은 기술을 사용하여 상대의 HP를 0으로 만들어 쓰러뜨려야 한다. 플레이어의 포켓몬이 승리하면 경험치를 받게 되고, 충분한 경험치를 쌓으면 포켓몬의 레벨이 오르게 된다. 플레이어의 포켓몬이 쓰러지면 다른 포켓몬을 사용하여야 하며, 야생 포켓몬과의 배틀일 경우에는 도망칠 수도 있다. 플레이어의 포켓몬이 모두 쓰러져 사용할 수 있는 포켓몬이 없으면 배틀에서 패배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들렀던 포켓몬 센터로 돌아가고 소지금의 일부를 잃게 된다.[58]
《포켓몬스터 루비·사파이어》부터는 각 플레이어가 한 번에 두 마리 포켓몬으로 팀 배틀을 펼치는 더블배틀이 도입되었다. 배틀의 기본 원리는 일반 배틀과 똑같지만, 여러 목표를 대상으로 하는 기술 중 일부는 상대뿐만 아니라 같은 편에게도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특성은 더블배틀에서만 적용된다. 3세대 게임에서는 다른 트레이너와만 더블배틀을 할 수 있었지만, 《디아루가·펄기아》에서는 플레이어가 NPC와 동행할 경우 야생 포켓몬과 더블배틀을 할 수 있다. 《블랙·화이트》에서부터는 이전 세대의 제한을 없애고, 특수한 타입의 풀숲에서 야생 포켓몬이 쌍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블랙·화이트》에서는 트리플배틀과[59] 로테이션배틀이 도입되었다.[60] 트리플배틀에서 양쪽은 한 번에 세 마리의 포켓몬을 내보낸다. 왼쪽에 있는 포켓몬은 상대 진영에서 오른쪽에 있는 포켓몬을 제외한 모든 포켓몬을 공격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로테이션배틀에서는 양쪽이 한 번에 세 마리 포켓몬을 내보내지만 한 턴에 가운데 한 마리의 포켓몬만 사용할 수 있다. 이 포켓몬은 턴을 소모하지 않고 다른 두 마리 중 한 마리로 계속 교체할 수 있다.
《포켓몬스터 X·Y》에서는 새로운 배틀 세 가지가 추가되었다. 스카이배틀은 숨어있는 스카이 트레이너와 할 수 있으며, 비행 포켓몬이나 부유 특성을 가진 포켓몬만 가능하다. 무리배틀은 한 번에 다섯 마리의 야생 포켓몬을 마주치는 것으로, 쉽게 싸우기 위해서는 여러 목표를 공격할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61][62][63] 나머지 배틀 형태인 거꾸로배틀은 보통의 배틀과 동일하지만 전체 타입 상성표가 뒤바뀐다는 특징이 있다. 이 배틀에서는 효과가 굉장한 공격이 별로인 공격으로 뒤바뀌고, 효과가 없는 기술은 무려 위력이 4배나 오른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4. 1. 배틀 종류
포켓몬스터의 배틀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싱글 배틀은 1대1 방식으로 진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배틀 형태이다. ''포켓몬스터 루비'' 및 ''사파이어''에서는 더블 배틀이 도입되었는데, 이 배틀에서는 양 팀이 두 마리의 포켓몬을 동시에 내보내어 전투를 벌인다. 특정 기술은 여러 대상을 공격할 수 있으며, 일부는 아군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일부 특성은 더블 배틀에서만 작동한다. 4명의 트레이너가 2명씩 팀을 이루는 멀티 배틀도 도입되었다.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 및 ''펄기아''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야생 포켓몬과의 더블 배틀이 도입되었다.''포켓몬스터 블랙'' 및 ''화이트''에서는 트리플 배틀[2]과 로테이션 배틀[3]이 새롭게 도입되었다. 트리플 배틀에서는 양 팀이 세 마리의 포켓몬을 동시에 내보내어 전투를 벌인다.[2] 로테이션 배틀에서는 양 팀이 세 마리의 포켓몬을 내보내지만, 한 번에 한 마리의 포켓몬만 사용하여 공격할 수 있다.[3] 배틀 중인 포켓몬은 턴을 소모하지 않고 다른 두 마리와 교체할 수 있다.[3]
《포켓몬스터 X·Y》에서는 무리 배틀, 스카이 배틀, 거꾸로 배틀이 도입되었다. 무리 배틀은 1대5 배틀이며, 스카이 배틀은 비행 타입 포켓몬이나 부유 특성을 가진 포켓몬만 참가 가능하다. 거꾸로 배틀에서는 타입 상성이 반대로 적용된다.
4. 2. 배틀 시설
게임 내에는 포켓몬스터 크리스탈에서 처음 도입된 '''배틀 타워''', '''배틀 서브웨이''', '''배틀 메종''', '''배틀 트리''' 등 다양한 배틀 전용 시설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설에서는 특별한 규칙으로 배틀을 진행하며, 승리 시 배틀 포인트(BP) 등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포켓몬스터 에메랄드에서 도입된 '''배틀 프런티어'''는 배틀 타워를 대체하며, 배틀 팰리스, 배틀 팩토리 등 독특한 게임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DP 디아루가와 펄기아 배틀 타워는 배틀 포인트(BP) 시스템을 사용하며, 포켓몬스터 Pt 기라티나에서는 배틀 프런티어로 대체되었다. 하트골드와 소울실버에도 배틀 프런티어가 존재한다. 각 경기장에서 승리하면 프론티어 브레인에게 도전할 수 있으며, 이들은 매우 강력한 포켓몬을 보유하고 있어 승리가 어렵다.
5. 포켓몬 타입
포켓몬의 타입은 각 포켓몬과 그들이 가진 기술의 강함과 약함을 결정짓는 기본적인 속성이다. 게임의 주요한 상성 관계의 예는 풀, 불꽃, 물 타입으로, 풀은 불꽃에 약하고, 불꽃은 물에 약하고, 물은 풀에 약해 각 타입의 약점이 서로 물고 물린다. 포켓몬의 상성 관계에는 무효도 존재하여, 고스트 타입은 노말과 격투 타입의 기술을 무효화한다. 이러한 약점, 내성, 무효는 포켓몬이 두 가지 타입을 가졌다면 결합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땅과 비행 타입을 가진 포켓몬은 비행 타입의 약점인 전기 기술을 땅 타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효화한다. 그러나, 땅과 비행이 모두 얼음에 약점을 가지기 때문에 얼음 기술에는 이중의 약점을 가지게 되어 네 배의 대미지를 받게 된다. 일부 포켓몬 특성은 이러한 상호 작용을 바꿀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부유는 포켓몬이 땅 타입 기술을 무효화할 수 있게 만든다.
《포켓몬스터 적·녹·청》, 《포켓몬스터 피카츄》 게임에서는 위에서 예시로 든 타입들과 함께 독, 에스퍼, 벌레, 바위, 드래곤을 합해 모두 15개의 포켓몬 타입이 있다. 《포켓몬스터 금·은》에서 새로운 두 타입 악과 강철이 추가되어 이후 14년간 포켓몬의 타입은 총 17개의 타입이 되었다. 게임에서 [http://bulbapedia.bulbagarden.net/wiki/Curse_%28move%29 저주 기술]은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에서 고스트 타입 기술로 바뀌기 전까지 알려지지 않은 타입("???" 타입)을 가지고 있었다. 콘솔 RPG 《포켓몬 콜로세움》과 《포켓몬스터 XD》에는 다크라고 부르는 특이한 기술 타입이 있으나, 이 콘솔 게임들 이외에는 쓰이지 않는다. 《포켓몬스터 XD》에서 다크 기술은 다크 포켓몬이 아닌 포켓몬에게 굉장한 효과를 주며, 다크 포켓몬에게는 별로인 효과를 준다. 《포켓몬스터 X·Y》에서는 새로운 18번째 타입 페어리를 도입하였다. 이 타입은 격투, 드래곤, 악에 두 배의 강점을 가지며, 불꽃, 독, 강철에 절반이 반감한다. 격투, 벌레, 악은 페어리에 절반이 반감하며, 독과 강철은 두 배의 강점을 가진다. 또한, 《포켓몬스터 X·Y》부터 악과 고스트 타입은 강철 타입 공격에 대한 반감이 사라졌다.
5. 1. 타입 상성
포켓몬의 타입은 각 포켓몬과 기술의 강점과 약점을 결정하는 속성으로, 가위바위보와 같은 상성 관계를 가진다. 포켓몬은 약점 타입의 공격 기술에 두 배의 피해를 받고, 저항하는 타입의 기술에는 절반의 피해를 받는다.[4] 예를 들어, 불꽃 타입은 풀 타입에 강하고, 물 타입에 약하며, 땅 타입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포켓몬은 두 가지 타입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타입 상성은 복합적으로 적용된다.''포켓몬스터 적・녹・청・피카츄''에서는 노말, 불꽃, 물, 풀, 전기, 얼음, 격투, 독, 땅, 비행, 에스퍼, 벌레, 바위, 고스트, 드래곤의 15가지 타입만 존재했다. ''포켓몬스터 금・은''에서 악 타입과 강철 타입이 추가되었고,[5] ''포켓몬스터 X・Y''에서 페어리 타입이 추가되었다.[6] 일부 타입은 피해량과 관련 없는 특수한 속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전기 타입은 마비 상태가 되지 않는다.[7]
포켓몬이 사용하려는 기술이 사용자와 같은 타입일 경우, "자속 보정"으로 인해 위력이 50% 증가한다. "자속 보정"은 "Same-Type Attack Bonus"의 줄임말이다.[8]
초대 게임의 타입을 개발할 때, 비행 타입이 만들어지기 전에 노말, 불꽃과 같은 일반적인 타입이 먼저 구상되었다. 그 결과 비행 타입은 많은 포켓몬의 보조 타입으로 추가되었으며, 이는 프랜차이즈의 후속 게임에서도 반복되는 특징이다.[9]
6. 포켓몬 기술
많은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의 등장인물들처럼 포켓몬도 다양한 종류의 기술을 배우고 사용할 수 있다. 이 기술들은 대미지를 입히거나, 상태이상을 일으키거나, 체력을 회복하거나, 배틀 전체에 영향을 주는 행동을 취할 수 있다. 모든 기술은 타입, 위력, 명중률, 파워 포인트(PP)를 가지고 있다. 한 포켓몬이 배울 수 있는 기술은 포켓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진화 이후에 배우는 기술도 진화 이전에 배울 수 있는 기술과 완전히 똑같지 않다. 각 포켓몬은 어떤 경우든지 한 번에 최대 네 개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기술은 레벨 업, 기술머신과 비전머신, 기술레코드 사용, 가르침기술(NPC가 가르치는 기술)을 통해 배울 수 있다.
각 기술은 18 가지 포켓몬 타입으로 분류한다. 기술의 효과는 목표 포켓몬의 타입과 기술의 타입의 상성에 좌우된다. 이것에 따라서 "효과가 굉장했다!"(두 배 대미지, 네 배 대미지), "효과가 별로인 듯하다..."(절반 대미지,1/4대미지), "효과가 없는 것 같다..."(대미지와 모든 효과 없음)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자속 보정은 포켓몬과 같은 타입의 기술을 사용하면 기술의 위력이 1.5배 증가하며, 기술은 "물리"나 "특수" 중 하나로도 구분되는데, 이는 기술의 묘사에 따라 결정된다. 물리 기술은 펀치나 물기처럼 상대에게 직접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기술이며, 특수 기술은 일반적으로 불을 뿜거나 바람을 다루는 것처럼 원소를 조종하는 것을 뜻한다. 《디아루가·펄기아》 게임 이전까지는 포켓몬 타입 전체가 개별 기술에 상관없이 "물리" 혹은 "특수"로 구분되었다. 기술의 데미지는 각 포켓몬이 갖는 능력치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변화기술"은 직접적인 데미지를 주지는 않지만 자기 진영이나 상대 진영의 포켓몬의 능력치를 변화시킨다. 《블랙·화이트》 이전까지 존재했던 "???" 타입은 17개의 타입 중 하나인 고스트 타입으로 재분류되었다. "접촉"은 대부분의 물리 기술과 일부 특수 기술에 있는 개념으로, 일부 특성, 소지품, "니들가드"와 "킹실드"의 영향을 받는다. 대미지를 주는 기술은 목표 포켓몬의 약점, 저항, 능력치를 바탕으로 일정 HP를 없앨 수 있으며, 양쪽 포켓몬이 가지고 있는 도구와 특성이 요인이 되기도 한다.
각 기술은 목표 포켓몬에 맞출 수 있는 기회를 결정하는 특정한 명중률이 있으며, 사용 포켓몬의 명중률과 목표 포켓몬의 회피율도 함께 영향을 준다. 상대를 한 방에 쓰러뜨릴 수 있는 매우 강력한 기술은 매우 낮은 명중률을 가지고 있고, 100% 명중률을 가진 기술도 사용 포켓몬의 명중률과 목표 포켓몬의 회피율 변화 때문에 실패하기도 한다. 명중률 변화에 상관없이 반드시 목표에 맞는 기술은 매우 적다.
기술의 PP(파워 포인트)는 포켓몬이 기술을 얼마나 많이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강력한 기술은 명중률과 마찬가지로 낮은 양의 PP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 포켓몬이 한 기술의 PP를 전부 사용하면 더 이상 그 기술을 사용할 수 없으며, 배우고 있는 모든 기술의 PP를 전부 사용하면 "발버둥"이라는 기술을 대신 사용한다. 1세대 게임에서는 NPC 트레이너가 조종하는 포켓몬이 PP를 소모하지 않아 강력한 기술을 비정상적으로 많이 사용할 수 있었다.
대미지를 입힐 뿐만 아니라 특수한 효과를 가진 기술도 많다. 이러한 부차적인 효과들은 기술을 통해 독이나 얼음, 마비, 맹독, 잠듦, 화상과 같은 "상태이상"을 걸리게 할 수 있다. 배틀에서는 각각의 상태이상에 따라 그것에 걸린 포켓몬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전기 타입 기술에는 일정 확률로 목표가 마비에 걸리게 할 수 있는 기술이 많다. 일부 기술은 사용 전이나 후에 턴을 기다리게 하거나 반동대미지를 입히는 부정적인 부가 효과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튀어오르기는 대미지를 입히지도 않고 능력치를 변화시키지도 않는 기술이다.
필드에서 사용하여 작은 나무와 같은 장애물을 없애거나, 이전에 갔던 장소를 빠르게 여행할 수 있거나, 던전이나 동굴을 탈출할 수 있거나, 포켓몬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들도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대개 비전머신을 사용해 익힌 다음 특정한 배지를 획득한 이후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6. 1. 기술 분류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의 등장인물과 마찬가지로, 포켓몬은 매우 다양한 기술을 배울 수 있다.[12] 이러한 기술들은 데미지를 입히거나, 상태 이상을 유발하거나, 체력을 회복시키거나, 전투에 어떤 방식으로든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12] 모든 기술은 위력, 명중률, 그리고 기술 포인트(PP)를 가지고 있다.[12] 각 기술은 18가지 포켓몬 타입 중 하나로 분류된다.[12]''다이아몬드''와 ''펄'' 이후, 데미지를 입히는 기술은 공격하는 포켓몬과 방어하는 포켓몬의 어떤 스탯을 사용하여 데미지를 계산하는지에 따라 물리 또는 특수로 분류된다.[12] 물리 기술은 직접적인 물리 공격을 사용하는 반면, 특수 기술은 특수한 힘을 이용한 공격을 사용한다. 변화 기술은 능력치를 변화시키거나 상태 이상을 유발하는 기술이다.
하나의 포켓몬이 배울 수 있는 기술은 포켓몬의 종에 따라 다르며, 심지어 다른 포켓몬에서 진화한 포켓몬도 전임자가 배우는 모든 기술을 반드시 배우는 것은 아니다.[12] 각 포켓몬은 한 번에 총 4개의 기술만 사용할 수 있다.[12] 기술은 레벨 업, 기술머신(TM)과 비전머신(HM) 사용, 교배, 그리고 기술 가르침(기술을 가르치는 NPC)을 통해 배울 수 있다.[12] ''포켓몬 레전드: 아르세우스''에서는 각 기술을 "민첩 스타일" 또는 "강력 스타일"로 사용할 수 있다.[12] 민첩 스타일은 명중률, 위력, 효과 지속 시간을 감소시키는 반면, 상대방이 움직이기 전에 플레이어가 움직일 수 있는 횟수를 증가시키며, 강력 스타일은 그 반대 효과를 가진다.[12]
7. 포켓몬 능력치
모든 포켓몬은 배틀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총 여섯 종류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18] 1세대 게임에서는 특수공격과 특수방어가 특수라는 하나의 능력치로 결합되어 있었다.[19]
- '''HP''' ('''H'''ealth '''P'''oint): 포켓몬의 체력이다. HP가 0이 되면 포켓몬은 기절하며, 포켓몬 센터에서 회복하거나 특별한 도구를 쓰지 않으면 배틀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포켓몬 세계에서 포켓몬은 절대 배틀의 결과로 인해 죽지 않는다.
- '''공격''': 포켓몬의 물리 공격의 세기를 결정한다. 3세대까지는 노말, 격투, 땅, 강철 등 물리 대미지와 연관된 타입의 기술에 따라 물리 공격으로 분류되었으나, 디아루가·펄기아부터는 각 공격 기술이 물리나 특수 공격으로 제각각 분류되었다.
- '''방어''': 포켓몬이 물리 공격을 받았을 때의 받는 데미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 '''특수공격''': 포켓몬의 특수 공격의 세기를 결정한다.
- '''특수방어''': 포켓몬이 특수 공격을 받았을 때의 받는 데미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 '''스피드''': 배틀 명령이 입력된 후, 스피드 능력치에 따라 포켓몬의 행동 우위가 결정된다. 순서가 정해진 일부 기술의 경우에는 포켓몬이 가장 빠른 기술에서 가장 느린 기술 순으로 사용한다. 상태이상인 '마비'에 걸리면 1/2로 저하된다.
이밖에도 포켓몬의 레벨 업의 영향을 받지 않는 명중률과 회피율이라는 능력치가 있다. 명중률을 증가시키면 기술을 맞추기 쉬워지고, 회피율을 증가시키면 상대 포켓몬의 기술을 피하기 쉬워진다.
능력치뿐만 아니라 배틀도 능력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많은 포켓몬 기술과 도구를 통해 포켓몬의 능력치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포켓몬의 능력치는 종족값, 노력치, 성격, 개체값에 따라 레벨 업 시 증가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다양하게 작용하여 각 포켓몬은 고유한 능력치를 가지게 된다.
7. 1. 능력치 종류
모든 포켓몬은 배틀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총 여섯 종류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18] 1세대 게임에서는 특수공격과 특수방어가 특수라는 하나의 능력치로 결합되어 있었다.[19]- '''HP''' ('''H'''ealth '''P'''oint): 포켓몬의 체력이다. HP가 0이 되면 포켓몬은 기절하며, 포켓몬 센터에서 회복하거나 특별한 도구를 쓰지 않으면 배틀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포켓몬 세계에서 포켓몬은 절대 배틀의 결과로 인해 죽지 않는다.
- '''공격''': 포켓몬의 물리 공격의 세기를 결정한다. 3세대까지는 노말, 격투, 땅, 강철 등 물리 대미지와 연관된 타입의 기술에 따라 물리 공격으로 분류되었으나, 디아루가·펄기아부터는 각 공격 기술이 물리나 특수 공격으로 제각각 분류되었다.
- '''방어''': 포켓몬이 물리 공격을 받았을 때의 받는 데미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 '''특수공격''': 포켓몬의 특수 공격의 세기를 결정한다.
- '''특수방어''': 포켓몬이 특수 공격을 받았을 때의 받는 대미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 '''스피드''': 배틀 명령이 입력된 후, 스피드 능력치에 따라 포켓몬의 행동 우위가 결정된다. 순서가 정해진 일부 기술의 경우에는 포켓몬이 가장 빠른 기술에서 가장 느린 기술 순으로 사용한다. 상태이상인 '마비'에 걸리면 1/2로 저하된다.
이밖에도 포켓몬의 레벨 업의 영향을 받지 않는 명중률과 회피율이라는 능력치가 있다. 명중률을 증가시키면 기술을 맞추기 쉬워지고, 회피율을 증가시키면 상대 포켓몬의 기술을 피하기 쉬워진다.
능력치뿐만 아니라 배틀도 능력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많은 포켓몬 기술과 도구를 통해 포켓몬의 능력치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포켓몬의 능력치는 종족값, 노력치, 성격, 개체값에 따라 레벨 업 시 증가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다양하게 작용하여 각 포켓몬은 고유한 능력치를 가지게 된다.
7. 2. 추가 능력치
모든 포켓몬은 스탯이라 불리는 6가지 능력치를 가진다.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가 그것이다.[18] 이 스탯들은 전투 중에 기술, 아이템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바뀔 수 있다.- '''HP''' (체력): HP가 0이 되면 포켓몬은 쓰러진다. 포켓몬 센터에서 회복하거나 특별한 아이템을 사용해야 전투에 복귀할 수 있다.
- '''공격''': 물리 공격의 강도를 결정한다.
- '''방어''': 물리 공격에 대한 저항력을 결정한다.
- '''특수 공격''': 특수 공격의 위력을 결정한다.
- '''특수 방어''': 특수 공격에 대한 저항력을 결정한다.
- '''스피드''': 스피드가 높은 포켓몬은 일반적으로 전투에서 먼저 기술을 사용한다. 스피드가 같을 경우, 난수 생성기에 의해 무작위로 순서가 결정된다.
명중률과 회피율은 레벨 업으로 상승하지 않지만, 전투 중에는 바뀔 수 있다. 명중률이 높으면 기술이 명중할 확률이 높아지고, 회피율이 높으면 상대방의 기술이 빗나갈 확률이 높아진다. 급소 명중률은 포켓몬의 기술이 급소에 명중할 확률에 영향을 주며, 다른 스탯(HP 제외)보다 변경하기 어렵다.
''포켓몬스터 적, ''녹, ''청'', ''피카츄 버전''에서는 특수 공격과 특수 방어 스탯이 "특수" 스탯 하나로 통합되어 있었다.[19]
포켓몬의 종족값, 노력치, 성격, 개체값에 따라 레벨업 시 스탯이 다르게 증가하여 각 포켓몬에게 고유한 스탯을 부여한다.
8. 포켓몬 진화
'''포켓몬 진화'''는 포켓몬의 형태가 변화하는 현상으로, 대개 능력치가 상승한다. 진화는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조건은 전투 경험을 충분히 쌓아 레벨을 올리는 것이다.
"진화의 돌"을 사용하거나 다른 플레이어와 포켓몬을 교환하는 것도 초기에 사용된 진화 방법이다. 이후에는 포켓몬의 친밀도, 게임 내 시간, 교환 시 특정 아이템 소지, 성별, 포켓몬이 레벨업하는 장소 등 다양한 조건들이 진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9. 포켓몬 교배
《포켓몬스터 금·은》에서 포켓몬 교배가 처음 도입되었다. 포켓몬은 게임 내의 포켓몬 키우미 집에서 교배할 수 있다. 키우미 집은 일반적으로 노인이나 부부가 운영하는 사업체로, 트레이너의 포켓몬을 일정 요금을 받고 키워준다. 두 마리의 호환 가능한 포켓몬을 키우미 집에 맡기면, 결국에는 포켓몬 알을 낳게 되며, 트레이너는 이 알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 트레이너가 일정 거리를 이동한 후, 알은 부화하여 어린 포켓몬이 되는데, 일반적으로 어미 포켓몬의 진화 계통에서 가장 낮은 단계의 포켓몬이다.
10. 포켓몬 교환
플레이어는 호환되는 두 게임을 연결하여 서로의 포켓몬을 교환할 수 있다.[33] ''포켓몬'' 시리즈는 가능한 한 많은 포켓몬을 잡는 것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교환은 ''포켓몬''의 중요한 측면으로 여겨진다.[34] 특정 포켓몬은 진화를 하려면 교환이 필요하며, 예외적으로 ''포켓몬 레전드: 아르세우스''에서는 일부 포켓몬이 연결 코드 아이템으로 진화할 수 있다.[35] 다른 포켓몬은 진화를 위해 아이템을 지닌 채 교환해야 하며, 쪼마리와 방패톱은 서로 교환해야 진화한다.[36]
일부 게임에서는 글로벌 트레이딩 시스템(GTS)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다른 포켓몬과 교환할 특정 포켓몬을 요청할 수 있고, 전 세계의 플레이어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다.[37]
다른 게임에서는 원더 트레이드 (''소드''와 ''실드''에서는 "깜짝 교환"으로 알려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원더 트레이드를 시도한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무작위 포켓몬과 포켓몬을 교환할 수 있다.[33]
10. 1. 통신 교환 시스템
플레이어는 호환되는 두 게임을 연결하여 서로의 포켓몬을 교환할 수 있다.[33] ''포켓몬'' 시리즈는 가능한 한 많은 포켓몬을 잡는 것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교환은 ''포켓몬''의 중요한 측면으로 여겨진다.[34] 특정 포켓몬은 진화를 하려면 교환이 필요하며, 예외적으로 ''포켓몬 레전드: 아르세우스''에서는 일부 포켓몬이 연결 코드 아이템으로 진화할 수 있다.[35] 다른 포켓몬은 진화를 위해 아이템을 지닌 채 교환해야 하며, 쪼마리와 방패톱은 서로 교환해야 진화한다.[36]일부 게임에서는 글로벌 트레이딩 시스템(GTS)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다른 포켓몬과 교환할 특정 포켓몬을 요청할 수 있고, 전 세계의 플레이어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다.[37]
다른 게임에서는 원더 트레이드 (''소드''와 ''실드''에서는 "깜짝 교환"으로 알려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원더 트레이드를 시도한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무작위 포켓몬과 포켓몬을 교환할 수 있다.[33]
11. 포켓몬 도감
'''포켓몬 도감'''(: '''포켓몬 백과사전'''}})은 다양한 종류의 포켓몬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제공하도록 설계된 전자 기기이다.[44] 'Pokédex'라는 이름은 'Pokémon'과 'index'의 혼성어이다.[45] 비디오 게임에서 포켓몬을 처음 잡으면, 키, 몸무게, 종족 타입, 그리고 짧은 설명이 플레이어의 포켓몬 도감에 추가된다. 각 지방마다 고유한 포켓몬 도감이 있으며, 외형, 기록된 포켓몬의 종류, 그리고 기능이 다르다. 다른 모든 ''포켓몬'' 게임보다 훨씬 이전 시대인 ''포켓몬 레전드: 아르세우스''에서는 플레이어에게 최초의 포켓몬 도감을 완성하는 임무가 주어진다.[46]
'''전국도감'''은 모든 지방의 포켓몬을 기록할 수 있게 해준다. ''포켓몬스터 소드''와 ''실드''에서 삭제된 후, 많은 팬들은 전국도감이 없다는 것은 모든 포켓몬을 ''소드''와 ''실드''로 옮길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실망했다.[47][48] 전국도감은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와 ''샤이닝 펄''에서 부활했지만, 오리지널 ''디아루가''와 ''펄기아'' 게임에 존재하는 포켓몬만 허용했다.[49] 이는 리메이크가 아닌 다른 게임에서는 여전히 부재중이다.[50]
11. 1. 전국도감
'''전국도감'''은 모든 지방의 포켓몬을 기록할 수 있게 해주는 도감이다.[47][48] 《포켓몬스터 소드·실드》에서 삭제되어 많은 팬들이 실망했으나,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와 《샤이닝 펄》에서 부활했다.[49] 하지만, 이 버전에서는 오리지널 《디아루가》와 《펄기아》 게임에 존재하는 포켓몬만 등록이 가능했다.[49] 다른 리메이크가 아닌 게임에서는 여전히 전국도감을 지원하지 않는다.[50]12. 포켓몬 저장 시스템
12. 1. 포켓몬 뱅크
'''포켓몬 뱅크'''는 플레이어가 최대 3,000마리의 포켓몬을 온라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에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닌텐도 3DS용 애플리케이션이다. 호환되는 게임의 패키지 버전과 다운로드 버전 모두에서 포켓몬을 맡기거나 꺼낼 수 있으며, 두 개의 시스템 없이도 두 버전 간에 포켓몬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포켓몬 트랜스포터'''라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포켓몬스터 블랙, 화이트, 블랙 2 및 화이트 2''에서 포켓몬 뱅크로 포켓몬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이후 최신 게임으로 가져올 수 있다.[51][52][53]2013년 12월 27일에 출시될 예정이었으나 닌텐도 네트워크 서비스의 예상치 못한 트래픽 증가로 인해 연기되었다. ''포켓몬 뱅크''는 2014년 1월 22일 일본, 2014년 2월 4일 유럽, 2014년 2월 5일 북미에서 닌텐도 eShop을 통해 정식 출시되었다.[51][52][53]
2017년 1월 24일 업데이트를 통해 ''포켓몬스터 썬''과 ''문''이 ''포켓몬 뱅크''와 호환되게 되었다. 플레이어는 ''뱅크''와 ''썬'' 및 ''문'' 사이에서 포켓몬을 전송하고 맡길 수 있지만, 전송된 포켓몬은 이전 게임으로 되돌릴 수 없다. ''포켓몬 트랜스포터''도 업데이트되어 버추얼 콘솔 버전의 ''포켓몬스터 적'', ''녹'', ''청'', ''피카츄''에서 잡은 포켓몬을 ''포켓몬스터 썬''과 ''문''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업데이트는 또한 ''썬''과 ''문''에 없었던 전국도감의 부재를 보완하기 위해 앱 내에 새로운 전국도감을 추가했다.[51][52][53]
12. 2. 포켓몬 홈
2019년 5월 28일, ''Pokémon Home''은 ''포켓몬 뱅크''의 후속작으로 공개되었다.[54] 2020년 2월에 iOS, 안드로이드 및 닌텐도 스위치로 출시되었다.[54] ''Bank''와 마찬가지로 포켓몬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지원하며, ''Bank'', ''Pokémon Go'', 그리고 닌텐도 스위치의 모든 본가 ''포켓몬'' 게임과 연동된다.[54] 또한 ''Bank''와 유사하게 구독 모델을 채택하여, 사용자는 제한적인 기능과 최대 30마리의 포켓몬을 무료로 저장할 수 있으며, "프리미엄 플랜"을 통해 모든 기능을 이용하고 최대 6,000마리의 포켓몬을 저장할 수 있다.[55] ''Pokémon Home''의 각 버전은 여러 가지 독점 기능을 제공하며, 모바일 버전은 다른 사용자와 포켓몬을 교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54]13. 특수한 포켓몬
13. 1. 색이 다른 포켓몬
히카루 포케몬/光るポケモン일본어은 ''포켓몬스터 금·은''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게임보이 컬러 시스템의 새로운 색상 기능을 보여주는 방식이었다.[42] 이들은 일반적인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진 포켓몬이다. 초기 게임에서는 색상 팔레트를 바꾸는 방식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1/4,096의 확률로 색이 다른 포켓몬을 만날수 있다(''포켓몬스터 X''와 ''Y'' 이전에는 1/8,192).[42]
"색이 다른"이라는 용어는 한때 비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영어권 게임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2009년 색이 다른 밀로틱을 배포하는 이벤트였다.[43]
13. 2. 배포 포켓몬
특정 포켓몬과 아이템은 이벤트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금》과 《은》에서 처음 도입된 '''이상한 선물''' 기능을 통해 플레이어는 기간 한정 이벤트에서 게임 내 보상을 받을 수 있다.[38][39] 일부 보상은 온라인 시리얼 코드 또는 온라인 기능을 통해 배포되지만,[38][40] 다른 보상은 오프라인 이벤트에서만 얻을 수 있다.[41]14. 배틀 메커니즘
14. 1. 메가진화
'''메가진화'''는 《포켓몬스터 X·Y》에서 처음 등장하였고, 《포켓몬 레전드 Z-A》에서 다시 등장하는 시스템으로, 특정 포켓몬의 능력을 더욱 증가시킨다. 플레이어 캐릭터가 키스톤이라는 아이템을 가지고 있고, 포켓몬이 해당 종에 맞는 메가스톤을 지니고 있다면, 해당 포켓몬은 전투 중에 메가진화할 수 있다. 메가진화가 가능한 모든 포켓몬은 하나의 메가진화 형태를 가지며, 리자몽과 뮤츠는 각각 두 개의 형태를 가진다. '''원시회귀'''라고 알려진 유사한 능력은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서 소개되었으며, 가이오가와 그란돈에게만 적용된다.14. 2. 다이맥스
'''다이맥스'''는 《포켓몬스터 소드·실드》에서 도입된 시스템이다.[23][24] 다이맥스를 하면 포켓몬이 거대화하여 3턴 동안 HP가 증가한다.[23][24] 다이맥스 상태에서는 모든 기술이 더 강력하고 부가 효과가 있는 "다이맥스 기술"로 바뀐다.[23]일부 포켓몬은 '''거다이맥스'''라는 특별한 형태로 다이맥스할 수 있다.[25] 거다이맥스 포켓몬은 일반적인 다이맥스 기술과는 다른 부가 효과를 가진 "G-Max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25] 거다이맥스를 할 수 있는 포켓몬은 이상해꽃, 리자몽, 거북왕, 버터플, 피카츄, 꼬시, 괴력몬, 팬텀, 킹크랩, 라프라스, 이브이, 잠만보, 쓰레기, 멜메탈, 고릴타, 에이스번, 인텔리레온, 거다이맥스, 거다이 아머, 갑, 석탄산, 액, 갈, 모래뱀, 스트린, 브로, 마, 마, 브림, 브림, 두랄, 우라오스 등이 있다.[25]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와 함께 맥스 레이드 배틀에 참여하여 다이맥스 포켓몬과 싸울 수 있으며, 거다이맥스 가능한 포켓몬을 얻을 수도 있다.[26]
14. 3. 테라스탈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도입된 시스템으로, 포켓몬이 보석처럼 빛나는 테라스탈 타입으로 변신하여 타입과 기술 위력을 변화시킨다. 포켓몬스터 스칼렛과 바이올렛은 '''테라스탈'''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포켓몬에게 수정 같은 외형을 부여하고 타입을 변경시킨다.[27] 각 포켓몬은 상대방에게 알려지지 않은 비밀 "테라 타입"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테라 타입은 주 타입과 일치하지만, 때로는 관련 없는 타입이 될 수도 있다. 포켓몬이 테라스탈화하면 주 타입은 테라 타입으로 대체된다. 이는 또한 포켓몬의 약점을 새로운 타입에 맞게 변경하고, 해당 타입의 기술을 강화한다.[27] "테라 버스트"라는 기술은 기술머신을 통해 배울 수 있으며, 테라스탈화 시 포켓몬의 테라 타입으로 타입이 변경된다.''푸른 염원''에서는 스텔라 타입이라는 새로운 타입이 도입되었다. 스텔라 타입은 이 테라 타입을 가진 포켓몬이 테라스탈화할 때만 발현될 수 있다. 스텔라 타입 상태에서 포켓몬은 원래의 약점을 유지하는 동시에 모든 기술이 한 번 강화된다. 스텔라 타입으로 강화된 기술을 사용한 후에는 해당 기술의 강화 효과가 사라진다. 이는 유사한 타입을 가진 두 개의 기술을 가진 포켓몬에게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눈부신 광선을 스텔라 부스트와 함께 사용하면, 눈부신 광선을 제외한 다른 모든 페어리 타입 기술도 부스트 효과를 잃게 된다.
14. 3. 1. 스텔라 타입
''푸른 염원''에서는 스텔라 타입이라는 새로운 타입이 도입되었다. 스텔라 타입은 이 테라 타입을 가진 포켓몬이 테라스탈화할 때만 발현될 수 있다. 스텔라 타입 상태에서 포켓몬은 원래의 약점을 유지하는 동시에 모든 기술이 한 번 강화된다. 스텔라 타입으로 강화된 기술을 사용한 후에는 해당 기술의 강화 효과가 사라진다. 이는 유사한 타입을 가진 두 개의 기술을 가진 포켓몬에게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눈부신 광선을 스텔라 부스트와 함께 사용하면, 눈부신 광선을 제외한 다른 모든 페어리 타입 기술도 부스트 효과를 잃게 된다.참조
[1]
웹사이트
Pokémon Ruby/Sapphire
http://uk.gba.gamesp[...]
GameSpy
2006-05-30
[2]
웹사이트
バトル {{!}} 「ポケットモンスターブラック・ホワイト」公式サイト
http://www.pokemon-s[...]
2010-10-16
[3]
웹사이트
ローテーションバトル {{!}} 「ポケットモンスターブラック・ホワイト」公式サイト
http://www.pokemon-s[...]
2010-10-16
[4]
웹사이트
Pokémon Sword and Shield type strength and weakness chart
https://www.polygon.[...]
2022-10-13
[5]
웹사이트
Pokemon Sword and Shield Type Chart
https://web.archive.[...]
2022-10-13
[6]
웹사이트
Why Game Freak Introduced The Fairy Type In Pokemon
https://kotaku.com/w[...]
2017-12-15
[7]
웹사이트
Pokemon: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Paralysis (Status Condition)
https://gamerant.com[...]
2022-11-21
[8]
웹사이트
Pokemon Legends: Arceus Type Chart - Strength & Weakness List
https://www.vg247.co[...]
2022-10-13
[9]
간행물
2008-12
[10]
웹사이트
Pokemon Scarlet and Violet's Terastallize mechanic makes Pokemon shiny and changes their type
https://www.gamesrad[...]
2022-10-13
[11]
웹사이트
How Does Stellar Type Work in Pokémon?
https://esi.si.com/p[...]
2024-01-12
[12]
웹사이트
12 major changes in Pokémon Legends: Arceus
https://www.polygon.[...]
2022-10-13
[13]
웹사이트
New Pokemon Sun and Moon Trailer Reveals Alola Forms, Z-Moves, New Pokemon and More
https://www.ign.com/[...]
2022-10-14
[14]
웹사이트
Pokémon Sun and Moon: Z-Moves and Z-Crystals Guide - Z-Rings
https://web.archive.[...]
2022-10-14
[15]
웹사이트
Pokémon Sun and Moon are changing one of the series' most frustrating mechanics
https://www.polygon.[...]
2022-10-14
[16]
잡지
HMs Are Not In Pokémon Sword And Shield
https://web.archive.[...]
2022-10-14
[17]
문서
Official Pokémon Scenario Guide Diamond and Pearl version p. 277
[18]
웹사이트
Pokémon Natures: How Personality Changes Stats And Abilities
https://www.thegamer[...]
2019-04-23
[19]
웹사이트
25 Things Wrong With Pokémon Red And Blue Everyone Chooses To Ignore
https://screenrant.c[...]
2019-04-23
[20]
웹사이트
Pokémon Brilliant Diamond and Shining Pearl EV training guide
https://www.polygon.[...]
2022-10-14
[21]
웹사이트
Pokémon Sword and Shield guide: How to EV train
https://www.polygon.[...]
2022-10-14
[22]
웹사이트
What are IVs and EVs in Pokémon?
https://dotesports.c[...]
2022-10-14
[23]
뉴스
Pokémon Sword and Shield Dynamaxing explained - including Dynamax Pokémon, Dynamax Candy, Dynamax Level and Max Moves explained
https://www.eurogame[...]
Gamer Network
2019-11-26
[24]
웹사이트
Pokémon Sword and Shield ban shows the divide between competitive scenes
https://www.polygon.[...]
Vox Media
2022-10-15
[25]
웹사이트
Pokemon Sword and Shield: Gigantamax Vs. Dynamax Details Explained
https://www.ign.com/[...]
2022-10-15
[26]
웹사이트
Pokémon Sword and Shield: Guide to Max Raid Battles
https://www.polygon.[...]
2022-10-15
[27]
웹사이트
What is Terastallizing in Pokemon Scarlet & Violet? Terastal phenomenon explained
https://www.dexerto.[...]
2022-11-17
[28]
웹사이트
All Pokemon Starters by Generation
https://dotesports.c[...]
2022-10-17
[29]
웹사이트
Pokémon Violet and Scarlet Might Return to Traditional Catching Mechanics
https://www.ign.com/[...]
2022-10-17
[30]
웹사이트
Pokémon GO - How To Catch Pokémon: Throwing Tips, Poké Balls, & Capture Rates
https://www.nintendo[...]
2022-10-17
[31]
뉴스
Pokémon Let's Go catching, catch combo and bonuses explained - how to catch Pokémon in both handheld and docked
https://www.eurogame[...]
Gamer Network
2019-03-08
[32]
웹사이트
Pokemon Shrink Themselves Down To Fit In Poke Balls, Apparently
https://www.gamespot[...]
2022-10-17
[33]
웹사이트
Pokemon Sword and Shield online trading {{!}} Can you trade for specific Pokemon on the GTS?
https://www.gamerevo[...]
2022-10-24
[34]
웹사이트
Trading Pokémon in Pokémon Go guide: How it works, who you can trade and more
https://www.polygon.[...]
2022-10-24
[35]
웹사이트
Pokémon Legends Arceus guide: How to trade Pokémon
https://www.polygon.[...]
2022-10-24
[36]
웹사이트
Pokémon Sword and Shield guide: Special evolution methods and requirements
https://www.polygon.[...]
2022-10-24
[37]
웹사이트
Bless Pokemon Home users' outrageous trade requests
https://www.polygon.[...]
2022-10-24
[38]
웹사이트
Pokémon Sword And Shield Codes: Full List Of Mystery Gift Codes
https://www.nintendo[...]
2022-10-26
[39]
웹사이트
Pokemon Legends: Arceus - All Mystery Gift Codes
https://www.vg247.co[...]
2022-10-26
[40]
뉴스
Pokémon Sword and Shield free gift Meowth: How to download special early-purchase bonus Meowth explained
https://www.eurogame[...]
2022-10-26
[41]
웹사이트
How to unlock Gen 4 and 5 Pokemon Mystery Events in 2018
https://www.shacknew[...]
2022-10-26
[42]
웹사이트
One Man's Five-Year Quest To Find A Shiny Pokémon
https://kotaku.com/o[...]
2017-12-15
[43]
웹사이트
US Video Game Championships 2009 Milotic
http://www.pokemonvg[...]
2023-06-28
[44]
웹사이트
Pokemon Scarlet and Violet's new-look Pokedex is amazing
https://www.gamesrad[...]
2022-10-14
[45]
서적
Official Pokémon Scenario Guide Diamond and Pearl version
[46]
웹사이트
Pokémon Legends: Arceus: Easy Pokedex Tips That Will Make A Huge Difference
https://kotaku.com/p[...]
2022-10-14
[47]
웹사이트
Why Pokémon Sword and Shield's limited Pokédex is such a huge deal to fans
https://www.polygon.[...]
2022-10-14
[48]
웹사이트
Not All Pokémon Can Be Imported Into Sword And Shield
https://www.kotaku.c[...]
Univision Communications
2019-06-17
[49]
뉴스
Sinnoh Pokédex and National Pokédex in Pokémon Brilliant Diamond and Shining Pearl
https://www.eurogame[...]
2022-10-14
[50]
웹사이트
Pokemon Scarlet and Violet won't end the National Pokedex controversy
https://www.gamesrad[...]
2022-10-14
[51]
웹사이트
Pokemon Bank Getting National Pokedex Feature With Sun And Moon Support
http://www.slashgear[...]
2016-09-21
[52]
웹사이트
Pokémon Sun and Moon Officially Announced
http://www.ign.com/a[...]
2016-02-27
[53]
웹사이트
Pokemon Bank Now Compatible With Sun and Moon
http://www.ign.com/a[...]
2017-01-25
[54]
웹사이트
Pokemon Home: Price, Features and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www.cnet.com[...]
2022-10-19
[55]
웹사이트
Pokémon Home costs three times more than the service it replaces
https://www.engadget[...]
2022-10-19
[56]
웹사이트
"''Pokémon Ruby'' review (page 1)"
http://uk.gba.gamesp[...]
2006-05-30
[57]
웹사이트
"''Pokémon Yellow'' Critical Review"
http://uk.gameboy.ig[...]
2006-03-27
[58]
문서
"''Pokémon Diamond Version'' instruction booklet"
[59]
웹인용
バトル {{!}} 『ポケットモンスターブラック・ホワイト』公式サイト
http://www.pokemon-s[...]
2010-10-16
[60]
웹인용
ローテーションバトル {{!}} 『ポケットモンスターブラック・ホワイト』公式サイト
http://www.pokemon-s[...]
2010-10-16
[61]
웹인용
New Ways to Battle!
http://www.pokemonxy[...]
Pokemonxy.com
2013-06-12
[62]
웹인용
「スカイバトル」と「群れバトル」|『ポケットモンスター X』『ポケットモンスター Y』公式サイト
http://www.pokemon.c[...]
Pokemon.co.jp
2013-06-12
[63]
웹인용
Pokemon X and Y's Horde Battles and Sky Battles revealed
http://www.polygon.c[...]
Polygon
2013-09-04
[64]
문서
X Y에서 처음으로 페어리 타입이 등장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