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티아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티아낙은 인도네시아 서칼리만탄 주의 도시이자, 폰티아낙 술탄국의 수도였다. 1771년 10월 23일, 폰티아낙 술탄국의 수도로 설립되었으며, 카푸아스 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폰티아낙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로, 말레이인, 중국계, 다약족 등이 거주하며 인도네시아어와 폰티아낙 말레이어를 사용한다. 폰티아낙은 산업, 농업, 무역이 발달했으며, 수파디오 국제공항과 항구를 통해 교통이 편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칼리만탄주 - 카푸아스강
카푸아스강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긴 강으로 보르네오섬 서부를 흐르며, 서칼리만탄주의 주요 수로이자 교통로이며, 상류와 중류에는 국립공원이 위치하여 풍부한 동식물과 어류가 서식한다. - 서칼리만탄주 - 폰티아낙 술탄국
1771년 하드라마우트 출신 샤리프 압두르라흐만 알카르디에에 의해 폰티아낙 지역에 세워진 폰티아낙 술탄국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승인을 받아 술탄국으로 인정받았고, 일본 점령기에 왕족들이 학살당하는 비극을 겪었으며, 인도네시아 독립 후에는 인도네시아 공화국에 합류하여 현재 샤리프 마흐무드 알카드리에 술탄이 지역 문화 보존과 사회 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의 항구 도시 - 자카르타
자카르타는 인도네시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고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며, 동남아시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이다. - 인도네시아의 항구 도시 - 팔렘방
팔렘방은 인도네시아 남수마트라 주의 주도로 무시 강 하구에 위치한 역사 깊은 도시이며, 동남아시아 해상 무역 중심지이자 수마트라 남부 지역의 상업 중심지로서 다양한 랜드마크와 독특한 문화를 보유하고 2011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와 2018년 아시안 게임을 공동 개최한 스포츠 도시이다. - 인도네시아의 주도 - 암본
암본은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에 위치한 도시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950년 남몰루카 공화국 독립 운동의 중심지였고, 1999년 종교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현재는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공존하며 서비스업, 무역업, 농업, 어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 인도네시아의 주도 - 메단
메단은 인도네시아 북수마트라 주에 위치한 도시로, 1590년대에 작은 마을로 시작해 델리강과 바부라강의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성장하여,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에 담배 플랜테이션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경제 활동과 관광 자원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
폰티아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위치 | 칼리만탄 내 위치 |
행정 구역 | |
국가 | 인도네시아 |
지역 | 칼리만탄 |
주 | 서칼리만탄 주 |
설립 | 1771년 10월 23일 폰티아낙 술탄국에 의해 설립 |
네덜란드 정착 | 1779년 7월 5일 |
자치시 승격 | 1953년 |
시 승격 | 1965년 12월 31일 |
정치 | |
시장 | 아니 소피안 (Ani Sofian, 권한대행) |
부시장 | 공석 |
시 정부 | 시 정부 |
지리 | |
총 면적 | 118.21km² |
고도 | 1m |
최대 고도 | 1.5m |
최소 고도 | 0.8m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3년 추정) | 675468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거주민 | 폰티아낙 사람 |
경제 | |
HDI (2019) | 증가 0.794 (높음) |
기타 정보 | |
시간대 | IWST |
UTC 오프셋 | +7 |
지역 번호 | (+62) 561 |
차량 등록 번호 | KB |
웹사이트 | pontianakkota.go.id |
언어 정보 | |
병음 | Kūn diān |
조주어 | Kung¹ diêng⁶ |
하카어 | Khun-tîen |
추가 정보 | |
![]() | |
![]() | |
![]() | |
![]() | |
![]() |
2. 역사
폰티아낙은 독립적인 폰티아낙 술탄국의 수도로서, 보르네오 서부 해안의 오래된 무역 기지를 중심으로 1771년 10월 23일에 설립되었다. 이 도시는 강으로 인해 정기적인 홍수가 발생하는 늪지대와 열대 우림에 건설되었으며, 건물을 지면에서 띄우기 위해 말뚝 위에 건설해야 했다. 폰티아낙이라는 이름은 서칼리만탄 사람들이 ''폰티아낙'' (말레이어로 사나운 여성 유령)이라고 부르는 유령에 대한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폰티아낙은 샤리프 압두르라흐만 알카드리에와 그의 군대가 포격을 가해 그들을 공격한 유령을 물리칠 때까지 유령의 출몰지였다. 그는 그 후 유령이 출몰했던 바로 그 자리에 모스크와 궁전을 건설하고 그곳에 정착했다. 모스크와 궁전은 이 도시의 최초의 건물이었고, 오늘날까지 현지인들은 이를 기념하여 대나무 대포를 라마단과 기타 공휴일에 발사한다.[5]
중국어로 폰티아낙은 坤甸|쿤뎬중국어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지 하카 중국어로는 '''Khuntîen'''으로 알려져 있다.
말레이 신화에서 폰티아낙은 임신 중에 사망한 여성의 영혼이라고 하는 별의 생물의 이름이기도 하다. 폰티아낙에 대한 유사한 이야기는 이 도시가 대규모 자연 서식지에 건설되기 전에 칼리만탄(보르네오)에서 유행하는 신화 및 민간 전승에서 처음 등장했다.
폰티아낙의 역사는 초기 발전, 식민지 시대, 독립 이후 시대로 구분할 수 있다.
2. 1. 초기 발전

네덜란드 역사가 V.J. Verth가 저술한 책 ''Borneos Afdeling Wester''에 담긴 폰티아낙시의 역사는 오늘날 지역 사회에 유통되는 이야기의 내용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그에 따르면, 네덜란드는 1773년 바타비아에서 폰티아낙으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Verth는 샤리프 후세인 빈 아흐메드 성직자 알카드리에(또는 다른 버전에서는 알 하비브 후신이라고 불림)의 아들인 샤리프 압두르라흐만이 멤파와 왕국을 떠나 방랑하기 시작했다고 기록했다. 반자르 지역에서 그는 반자르 술탄 수난 나타 네이처의 여동생과 결혼하여 왕세자로 서임되었다. 그는 상업에 성공하여 함선과 보트를 무장할 충분한 자본을 축적한 후 네덜란드 식민주의에 대항하는 투쟁을 시작했다.[6]
술탄 샌드의 도움을 받아 샤리프 압두르라흐만은 방카 근처에서 네덜란드 선박을 성공적으로 나포했고, 파시르 항구에서 영국 및 프랑스 선박도 나포했다. 압두르라흐만은 부자가 되었고, 카푸아스 강에 있는 섬에 정착지를 건설하려고 시도했다. 그는 란닥 강이 갈라지는 지점을 발견했고, 이 지역을 번성하는 무역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이곳이 바로 현재 폰티아낙이라고 불리는 지역이다. 그는 그 후 자신이 초대 술탄이 되어 폰티아낙 술탄국을 건국했다. 영향력 있는 아랍-말레이 작가인 압둘라 알-미스리는 이 시기에 폰티아낙 통치자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7]
술탄국은 18세기에 금 또는 주석 광산에서 일할 중국인 노동자를 수입했다. 많은 광산 회사(''콩시'')는 어느 정도 정치적 자율성을 누렸다. 네덜란드가 보르네오에서 세력을 확장함에 따라 1777년 중국인들은 뤄 팡보가 이끄는 란팡 공화국(중국어: 蘭芳共和國)을 선포하여 폰티아낙을 포함한 서 칼리만탄을 식민지화하려는 네덜란드의 시도에 반대했다. 정착민들은 뤄를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뤄는 모든 국가 문제에 공화국 시민의 협의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아이디어를 포함하여 많은 민주적 원칙을 시행했다. 그는 또한 포괄적인 행정, 입법 및 사법 기구를 만들었다. 공화국은 상비군을 두지 않았지만 징병제에 기반한 국민 민병대를 관리하는 국방부를 두었다. 평시에는 주민들이 주로 농업, 생산, 무역 및 광업에 종사했다. 란팡의 행정 구역은 3단계(성, 주, 현)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레벨의 지도자를 국민이 선출했다. 란팡은 폰티아낙 술탄국의 술탄 압두르라흐만과 동맹을 맺었다. 란팡은 또한 중국 청 제국의 조공국으로 선언되었다.
1771년 10월 23일, 폰티아낙은 폰티아낙 술탄국의 수도로서 오래된 교역 시장 주변에 설치되었다. 늪지에 건설되어 정기적으로 홍수를 겪었기 때문에 건물의 말뚝을 깊이 땅에 박아 고정하게 되었다.
2. 2. 식민지 시대
1778년, 바타비아(현재의 자카르타)에서 온 네덜란드 식민주의자들은 빌렘 아르딘폴라의 지휘 아래 폰티아낙에 들어섰다. 네덜란드는 현재 타나 세리부 또는 베르켄데팔 지역으로 알려진 황궁 맞은편 지역을 점령했다.[6]1779년 7월 5일, 네덜란드는 폰티아낙 술탄국과 베르켄데팔에 관한 협정을 맺어 이곳을 네덜란드 국가의 활동 지역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이후 이곳은 ''Resident het Hoofd Westerafdeeling van Borneo''(보르네오 서부 지역 수석 거주지)와 ''Assistant Resident het Hoofd der Afdeeling van Pontianak''(폰티아낙 군의 수석 보좌관)의 정부 소재지가 되었다. 이 지역은 이후 ''Controleur Onderafdeeling van het Hoofd Pontianak'' 또는 ''Plaatselijk Bestuur van Pontianak''가 되었다.[6] 폰티아낙의 섭정은 ''Plaatselijk Fonds''를 설립하여 정부 재산을 관리하고 세금 자금을 처리했다.
네덜란드는 처음에는 란팡 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했다. 그러나 보르네오에서 영토를 확장하면서 란팡의 관리들에게 저항을 받았다. 19세기 중후반, 중국 청나라는 약화되었고 란팡 공화국을 지원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린 아 신이 란팡의 마지막 지도자였으며, 란팡 시민들은 저항했지만 열악한 무기로 인해 실패했다. 란팡 시민들과 그 후손들 중 다수는 수마트라 또는 싱가포르로 향했다.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이 중국 ''콩시''를 상대로 벌인 콩시 전쟁은 다음과 같다.
작전명 | 기간 |
---|---|
보르네오 서해안 원정 | 1822년–1824년 |
몬트라도의 중국인 공격 | 1850년–1854년 |
보르네오 만도르의 중국인 봉기 | 1884년–1885년 |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의 우세한 장비와 무기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였기 때문에 란팡은 결국 1884년 네덜란드에 항복하고 해산되었다. 청나라의 개입을 경계한 네덜란드는 란팡 공화국을 공개적으로 병합하지 않고 다른 괴뢰 정권을 창출했다. 청나라가 붕괴된 1912년이 되어서야 네덜란드는 점령을 선포했다. 폰티아낙은 이후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여러 레지던시 중 하나인 Residentie Westerafdeeling van Borneo로 지정되었다.
1942년, 일본군은 폰티아낙을 점령하고 네덜란드를 추방했다. 일본 군정은 폰티아낙 술탄국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일본은 곧 술탄국을 불신하게 되었고, 1943년에서 1944년 사이에 일본군은 말레이 인도네시아인, 아랍 인도네시아인,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자바인, 마나도인, 다야크족, 부기스족, 바탁족, 미낭카바우인, 네덜란드인, 인도계 인도네시아인, 인도인을 포함한 칼리만탄의 엘리트들을 대량 체포했다. 또한, 모든 말레이 술탄을 포함하여 일본 통치를 전복하려는 음모를 꾸몄다는 혐의로 이들을 학살했는데, 이는 폰티아낙 학살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항복 이후, 1947년 10월 18일 폰티아낙의 네덜란드 군사 법원은 일본 해군 제독 가마다 미치아키에게 전범 혐의로 유죄를 선고하고 사형을 선고했다.
2. 3. 독립 이후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항복한 후, 네덜란드는 폰티아낙으로 돌아왔다. 네덜란드가 유엔에서 인도네시아에 대한 통제를 재개하려는 시도에 대한 국제적인 반대로 인해, 네덜란드는 수카르노의 공화국을 자바와 수마트라의 사실상 정부로 인정하고 1949년 12월 27일에 인도네시아 연합 공화국(RUSI)에 독립을 부여해야 했다. 폰티아낙은 미국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연방 국가 중 하나인 서칼리만탄 주의 수도가 되었다. 폰티아낙은 폰티아낙 술탄국의 마지막 술탄인 술탄 하미드 2세가 이끌었다. 그러나 하미드 2세는 전 KNIL 대위 레이몬드 웨스터링과 공모하여 반둥과 자카르타에서 반공화국 쿠데타를 조직한 혐의를 받았다.[3] 쿠데타에서 하미드의 역할은 서칼리만탄이 인도네시아 공화국에 통합되어야 한다는 여론을 더욱 부추겼다.
정부 위원회의 현장 조사 후, RUSI 하원은 서칼리만탄을 인도네시아 공화국에 병합하는 것에 대해 50대 1로 투표했다. 마카사르에서 해산된 KNIL 군대와의 충돌과 암본 남 몰루카스 공화국의 분리 시도 이후, 연방 형태의 미국 인도네시아는 1950년 8월 17일에 해체되었고, 인도네시아는 자카르타의 중앙 정부가 지배하는 단일 국가로 전환되었다. 폰티아낙은 이후 새로운 서칼리만탄 주의 수도가 되었다.[3]
3. 지리
폰티아낙은 적도에 위치하며 해발 0.1~1.5m 높이에 있다. 카푸아스 베사르 강과 주요 지류인 카푸아스 케실 강 및 란닥 강에 의해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이 도시는 카푸아스 강 삼각주의 평지에 위치하며 지면 높이는 해발 0.1~1.9m이다.
이 도시는 점토 유형의 물리적 특성을 가진 평탄면과 충적 퇴적물 위에 건설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토양은 카푸아스 강에서 유래된 이탄과 실트 퇴적물의 형태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토양은 매우 불안정하고 지지력이 매우 낮다. 강을 따라 있는 토양 조성은 열대성 수생 지역을 생성하는 강수 과정, 영구적으로 포화된 플루바우언트 조건과 결합된 열대성 플루에번트, 유기물을 포함한 다양한 조성과 형태의 새로운 사파이어 퇴적물에서 유래된다.
폰티아낙은 다양한 종류의 유기토, 회색토, 부식토, 충적토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곳에서는 이탄 토양의 두께가 최대 1~6m에 달하여 대형 건물을 짓거나 농장을 건설하기에 지지력이 부족하다.
1963년 대통령령 제243호에 의해 이 도시는 중부 인도네시아 시간 (WITA, GMT+8)대에 속하게 되었다. 1988년 1월 1일 대통령령 제41호에 따라 서칼리만탄은 (중부 칼리만탄과 함께) 중부 인도네시아 시간 (WITA)대에서 1시간 앞당겨져 서부 인도네시아 시간 (WIB)대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1988년 폰티아낙 시는 새해를 두 번 맞이했는데, GMT+8에서 00:00, GMT+7에서 00:00에 각각 새해를 맞이했다.
3. 1. 기후
폰티아낙은 쾨펜의 기후 구분 (Af)에 따른 열대 우림 기후의 특징을 보이며, 뚜렷한 계절 변화 없이 연중 매우 많은 강수량을 보인다.[21] 이 도시는 연중 많은 강우량을 경험하며, 연평균 강수량은 2896mm에 달한다. 7월과 8월에만 월 평균 강수량이 150mm 미만으로 떨어진다. 기온은 연중 일정하며, 평균 최고 기온은 31°C, 평균 최저 기온은 23°C이다.[21]세계 기상 기구에 따르면, 폰티아낙 (수파디오 국제공항)의 1991~2020년 평균 기후는 다음과 같다.[8]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1.6°C | 31.8°C | 32.1°C | 32.3°C | 32.4°C | 32.3°C | 32.1°C | 32.3°C | 32.2°C | 31.9°C | 31.7°C | 31.4°C | 32°C |
평균 기온 (°C) | 25.9°C | 26°C | 26.4°C | 26.6°C | 26.9°C | 26.8°C | 26.5°C | 26.6°C | 26.4°C | 26.1°C | 26°C | 25.9°C | 26.3°C |
평균 최저 기온 (°C) | 23.1°C | 23.1°C | 23.3°C | 23.6°C | 23.7°C | 23.4°C | 23°C | 23.1°C | 23.2°C | 23.3°C | 23.3°C | 23.2°C | 23.3°C |
강수량 (mm) | 281.2mm | 216.9mm | 233.4mm | 269.8mm | 255.9mm | 203.2mm | 182mm | 161.9mm | 175.2mm | 311.4mm | 331.2mm | 312.1mm | 2934.2mm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6.6 | 13.6 | 15.0 | 16.5 | 17.1 | 12.6 | 11.7 | 11.0 | 13.2 | 19.2 | 20.7 | 19.6 | 186.8 |
UN 산하 세계 기상 기구의 자료에 따르면, 1991년에서 2020년 사이 폰티아낙의 평균 최고 기온은 32.7°C, 평균 기온은 27.7°C, 평균 최저 기온은 22.7°C이다.[20] 연간 강수량은 3196mm이며, 평균 강수일수는 238일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2.4°C | 32.7°C | 32.9°C | 33.2°C | 33°C | 33.2°C | 32.9°C | 33.4°C | 32.6°C | 32.6°C | 32.2°C | 32°C | 32.7°C |
평균 기온 (°C) | 27.6°C | 27.7°C | 28°C | 28.2°C | 28.2°C | 28.2°C | 27.7°C | 27.9°C | 27.6°C | 27.7°C | 27.4°C | 27.2°C | 27.7°C |
평균 최저 기온 (°C) | 22.7°C | 22.6°C | 23°C | 23.2°C | 23.4°C | 23.1°C | 22.5°C | 22.3°C | 22.6°C | 22.8°C | 22.6°C | 22.4°C | 22.7°C |
강수량 (mm) | 260mm | 215mm | 254mm | 292mm | 256mm | 212mm | 201mm | 180mm | 295mm | 329mm | 400mm | 302mm | 3196mm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5 | 13 | 21 | 22 | 20 | 18 | 16 | 25 | 14 | 27 | 25 | 22 | 238 |
4. 행정 구역
폰티아낙 시는 6개의 행정 구역(''kecamata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역의 면적, 인구, 행정동(켈루라한, ''kelurahan'')의 수는 다음과 같다.
카푸아스 강을 기준으로 남쪽에 4개 구(서쪽에서 동쪽 순서), 북쪽에 2개 구(동구와 북구는 란닥 강으로 분리)가 위치한다.
5. 인구
2010년 인구 조사에서 폰티아낙의 인구는 554,764명,[9] 2020년 인구 조사에서는 658,685명으로 나타났으며,[4] 2023년 중반 기준 최신 공식 추정치는 675,468명이다.[1] 1990–2000년 인구 증가율은 연간 0.7%였으며, 2000-2010년 기간에는 연간 1.8%로 증가했다.
폰티아낙은 다문화 도시로, 화교, 말레이인, 다야크족이 주를 이루며, 자바인, 부기스족 등 다른 지역 출신 이주민들도 소수 거주한다.
5. 1. 민족 구성
2009년 폰티아낙시 정부 웹사이트는 다음과 같은 민족 데이터를 게시했다.[14]
폰티아낙에서는 서로 다른 민족 간의 결혼이 흔하다.
다른 인도네시아 도시에 비해 폰티아낙은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이 상당수 거주하는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다. 중국인들은 수세기 동안 폰티아낙에 거주해 왔다.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3세기부터 서부 보르네오를 지나 중국으로 돌아가기 전 항해 여행의 마지막 휴식을 취했다. 7세기부터 많은 중국인들이 서부 보르네오에서 무역을 시작했다. 중국 상인 외에도 17세기에 네덜란드의 식민지화로 대규모 중국인들이 금을 채굴하기 위해 들어왔다. 이 중국 광부들 대부분은 푸젠성 또는 광둥성에서 왔다.
폰티아낙 중국인의 두 주요 하위 그룹은 차오저우와 객가인이다. 차오저우족은 광둥 북동부 해안에서, 객가인은 푸젠 내륙에서 서칼리만탄으로 온다. 객가인들은 마을과 광산 지역에 거주하는 선구자 집단으로 광부, 농부, 소규모 상인으로 일한다. 이는 무역을 위해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하는 차오저우족과는 대조적이다. 현재에도 차오저우족은 폰티아낙시와 폰티아낙 남부에서 가장 큰 중국계 민족을 형성하고 있다. 객가인들은 대부분 폰티아낙 북부에 거주한다.
폰티아낙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은 말레이인이다. 폰티아낙 말레이인은 이 도시의 초기 거주자 중 하나이다. 폰티아낙은 수세기 동안 위대한 말레이 왕국인 폰티아낙 술탄국의 수도였다. 말레이인들은 대부분 폰티아낙의 카푸아스강과 기타 강둑에 거주한다. 그들은 또한 도시의 해안 지역에도 거주한다. 대부분의 폰티아낙 말레이인들은 상인, 정부 관리, 기타 직업에 종사한다.
폰티아낙에 거주하는 다른 주요 민족은 다약족, 부기스족, 마두라인, 자바인이다. 폰티아낙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다약족은 서칼리만탄 내륙 지역의 원주민/토착민이다. 일부 다약족은 전통적인 의식과 춤을 포함하는 토착 신앙을 여전히 실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다약족은 기독교로 개종했으며 더욱 도시화되었다. 부기스족, 자바인, 마두라인은 인도네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온 이민자들이다. 그들은 네덜란드에 의해 제정되고 신질서 기간 동안 계속된 이주 프로그램으로 인해 폰티아낙으로 이주했다. 마두라인과 다약족 사이에는 종종 갈등이 발생했다.
폰티아낙은 다문화 도시이다. 인구의 대부분은 화교 인도네시아인이며, 광둥성 차오산 지역 출신 조주인과 객가인을 조상으로 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말레이인과 다야크족도 많다. 국내 다른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 (자바인, 부기스족, 바탁족, 미낭카바우족, 마두라인, 순다족, 발리인, 암본인, 파푸아인)은 소수이다.
5. 2. 언어
인도네시아어는 폰티아낙과 인도네시아 다른 지역의 공용어이다. 폰티아낙의 토착어이자 주요 공용어는 폰티아낙 말레이어인데, 이는 말레이어의 독특한 변종으로 말레이시아, 리아우, 인도네시아의 리아우 제도, 싱가포르의 조호르-리아우 말레이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폰티아낙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주요 차이점은 "Kami" 대신 "Kamek"을, "Kalian" 대신 "Kitak"을 사용한다는 점인데, 이는 사라왁 말레이어와 더 유사하다. 하지만, 폰티아낙의 많은 사람들은 인도네시아어를 제2 언어로 사용하기도 한다.폰티아낙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주요 언어는 중국어이다. 폰티아낙에는 여러 중국어 방언이 존재하며, 그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조주어와 객가어이다. 조주어는 광둥성에서 유래한 민남어의 한 변종이다. 복건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이 높다. 조주어는 주로 도시의 중부 및 남부 지역과 도시 남부 교외에서 사용된다. 객가어는 도시 북부와 도시 북부 교외에서 사용된다. 폰티아낙에는 객가어 화자보다 조주어 화자가 더 많다. 이러한 중국어 방언들은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및 기타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그들은 인도네시아어 및 기타 언어에서 단어를 차용했다. 따라서 중국 출신의 원어민은 폰티아낙 사람들과 조주어 및 객가어로 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광동어 및 복건어와 같은 다른 중국어 방언은 화자 수가 적다.
자바어, 마두라어, 부기어 및 다양한 다약 방언과 같은 다른 언어도 사용된다.
5. 3. 종교
폰티아낙 인구의 대다수는 무슬림(63.4%)이며, 나머지는 불교(23.2%), 가톨릭 신자(9.1%), 개신교 신자(3.2%), 유교 신자(1.3%), 힌두교 신자(0.1%) 및 기타(0.1%)이다.[15] 대부분의 무슬림은 말레이인, 자바인, 마두라인 등이다. 불교와 유교를 믿는 사람들은 대부분 중국계 인도네시아인인 반면, 많은 중국인들은 기독교를 믿기도 한다. 다약족은 가톨릭 또는 개신교를 믿는 동시에 지역 신앙을 포함한다. 일부 다약족은 또한 지역 민속 종교인 카하린간을 믿는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정부는 카하린간을 종교로 인정하지 않으며, 카하린간 신앙을 따르는 사람들을 힌두교도로 분류한다.폰티아낙에는 여러 예배 장소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폰티아낙의 중심 모스크로 여겨지는 자미 모스크 오브 폰티아낙이다. 폰티아낙 술탄국의 옛 궁전 단지에 위치한 이 모스크는 가장 오래된 모스크이며, 폰티아낙 시의 설립을 증명하는 두 건물 중 하나이다. 처음에는 이 모스크가 폰티아낙 술탄국의 정부 중심지이기도 했다. 이 모스크의 이름은 모스크 건설을 완료할 때까지 이어진 술탄 샤리프 압두르라흐만의 아들인 샤리프 우스만 알카드리가 지었다.
다른 예배 장소로는 성 요셉 대성당, 푸라 기리파티 물라르만, 비하라 부디사트바 카라니야 메타, 그리고 서칼리만탄 기독교 교회 폰티아낙 교회가 있다. 이 중 일부는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일부는 인도네시아 정부에 의해 건설되었다.
6. 경제
2015년 폰티아낙 시의 총 지역 내 총생산(GRDP)은 2010년 사업 분야 기준 20.8조인도네시아 루피아에 달했다. 2014년에 비해 2015년 상품 및 서비스 생산량은 9600억인도네시아 루피아(4.84%) 증가했다. 폰티아낙 시 경제는 주로 산업, 농업, 무역에 의존하며, 특히 무역, 호텔, 레스토랑 부문은 최근 몇 년간 가장 큰 경제 기반이었다.
이는 GDP의 백분율 분포를 통해 알 수 있는데, 대규모 및 소매 무역 부문이 18.3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사용 측면에서 GDP는 상품 및 서비스 생산물이 소비, 투자 또는 외국/지역과의 무역 목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준다. 2015년 폰티아낙 시의 총수요는 전년 대비 4.84% 성장했으며, 가계 소비 부문이 10.61조인도네시아 루피아(51%)를 기여했다.
6. 1. 산업
2005년 폰티아낙 시의 대규모 및 중규모 산업 기업 수는 34개였다. 이들 기업에 흡수된 노동력은 3,300명으로, 생산직 2,700명, 기타 노동자 및 관리자 600명으로 구성되었다. 폰티아낙 북구에 위치한 기업들이 약 2,952명으로 가장 많은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대규모 또는 중규모 기업의 총 생산액은 1.51조인도네시아 루피아에 달했으며, 특히 고무 산업 기업이 주를 이루는 폰티아낙 북구에 위치한 대규모 산업 기업들의 생산액이 높았다. 반면 폰티아낙 시에 위치한 기업들의 생산액은 28.5억인도네시아 루피아로 가장 적었다.
2005년 폰티아낙 시의 모든 대규모 및 중규모 산업 기업에서 얻은 부가가치(NTB)는 2175.7억인도네시아 루피아였으며, 간접세는 462780000IDR였다. 요소 비용으로 얻은 부가가치는 2171억인도네시아 루피아였다.
소규모 산업 중심지인 농업 및 임업(IHPK)의 산업 결과에 따르면, 수아이 쿨에 위치한 스낵 식품 산업이 329명의 고용을 창출하며 가장 큰 지역 소규모 산업으로 나타났다. 이 산업의 투자 가치는 249500000IDR였고, 판매액은 780500000IDR였다. 워터 타로 직물 산업은 17500000IDR를 투자하여 16개의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1.1억인도네시아 루피아의 판매액을 기록했다. 이 산업은 대부분 폰티아낙 동부의 탄중 훌루에 위치해 있다.
6. 2. 농업
2006년 기준으로 폰티아낙의 주요 작물은 카사바, 쌀, 참마였다. 주민들은 채소와 알로에 베라도 재배했다. 잭프루트, 바나나, 파인애플도 시내에서 재배되었다. 폰티아낙의 농장에서는 육우 및 젖소, 염소, 돼지, 닭을 사육한다.폰티아낙 주변 지역에서는 속칭 크라톰으로 알려진 허브인 ''Mitragyna speciosa''가 재배되며, 폰티아낙은 이 허브의 주요 수출 중심지이다.
6. 3. 무역
폰티아낙시에서 무역은 빠르게 성장하는 사업 중 하나이다. 현대 무역은 2001년 두바이시에 말 썬 아파트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 아야니 메가 몰과 폰티아낙 몰과 같은 현대적인 쇼핑 센터가 도시 곳곳에 건설되기 시작했다. 다양한 국내 소매 기업들이 폰티아낙에서 사업을 시작하고 있다.7. 교통
폰티아낙은 도로, 항공, 해상 교통망이 잘 갖추어져 있다. 시내 및 시외 대중교통 수단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7. 1. 도로
- 칼리만탄 서해안 도로 (폰티아낙~믐파와 현~싱카왕~삼바스 현)
- 폰티아낙~타얀 도로
- 카푸아스 교
- 란닥 교

폰티아낙은 트랜스-칼리만탄 고속도로 남부 노선에 위치해 있어, 칼리만탄의 다른 주요 도시들(팔랑카라야, 반자르마신, 사마린다 등)과 연결된다. 또한, 이 고속도로를 통해 동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로도 이동할 수 있다. 폰티아낙에서 말레이시아 사라왁의 쿠칭까지는 약 340km(약 6시간 30분 소요),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까지는 약 1100km(약 18시간 소요) 거리이다. 말레이시아나 브루나이로 가려면 엔티콩 국경 검문소를 통과해야 한다.
폰티아낙에는 현재 유료 도로가 없지만, 싱카왕 연결 도로 및 말레이시아 인근 엔티콩 국경 검문소까지의 고속도로 건설 제안이 있다.
주로 오토바이가 이용되며, 대중교통으로는 미니밴(opelet)이나 자전거 택시가 있다. 시내버스(시영)와 인근 도시를 잇는 장거리 버스가 운행 중이며, 말레이시아 사라왁 주의 주도 쿠칭행 버스도 있다. 육로로 말레이시아나 브루나이 방면으로 갈 경우, 사라왁 주 테베두 국경 마을을 거쳐 Jalan Trans-Kalimantan으로 진입한다.
7. 2. 항공

수파디오 국제공항은 폰티아낙과 서칼리만탄의 주요 공항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후 인도네시아 정부가 공항을 개발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공항은 시 경계 내에 위치하지 않고, 시내 중심가에서 17km 떨어진 쿠부 라야 군에 있다. 현재 터미널 규모 면에서 발릭파판의 술탄 아지 무하마드 술라이만 공항 다음으로 칼리만탄에서 두 번째로 큰 공항이다.
낡고 과도하게 사용되던 터미널을 대체하기 위해 새롭고 현대적인 터미널이 건설된 후, 현재 공항은 연간 38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이전 터미널의 두 배에 달하는 규모이다. 공항은 자바와 칼리만탄을 포함한 인도네시아의 다른 주요 도시로 가는 국내선 직항편을 운행한다. 또한 쿠알라룸푸르, 쿠칭과 같은 말레이시아의 일부 도시로 가는 국제선도 운행한다. 폰티아낙을 오가는 승객 수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공항이 다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공항으로 가는 유일한 방법은 택시, 자가용 또는 담리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수파디오 국제공항에서는 국제선(말레이시아) 및 국내선이 취항한다. 자카르타까지 매일 10편 이상 운항하고 있으며, 족자카르타, 수라바야, 바탐섬, 쿠칭, 쿠알라룸푸르와도 연결된다.
7. 3. 해상
폰티아낙 항구는 카푸아스 강 둑에 위치해 있으며, 서칼리만탄주의 146,800에 달하는 지역을 연결하며 도시의 경제적 동맥 역할을 한다. 이 지역의 크기는 자바 섬과 마두라 섬을 합한 것과 비슷하다. 주요 도시로는 폰티아낙, 신테테, 삼바스, 신탕, 상가우, 카푸아스 훌루, 텔록 에어, 케타팡, 싱카왕 등이 있다.PT. 펠린도 II(Persero)의 관할 하에 신테테 항구와 케타팡 항구 등 두 개의 항만 구역이 있다.
이 항만의 배후지는 농장, 임업, 광업, 원자재 가공 산업이 주를 이룬다. 이 지역의 경제 활동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펠린도 II는 폰티아낙 항만의 컨테이너 터미널을 운영해 왔다. 여기에는 두 대의 컨테이너 크레인과 이 지역의 하역 활동을 최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현대식 장비가 갖춰져 있다.
폰티아낙 횡단 항구는 주요 여객 항구이다. 이곳을 통해 자카르타, 수라바야, 메단, 바탐 등 인도네시아의 다른 도시로 페리 연결이 가능하다. 현재 이 항구는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와 같은 국제 목적지를 운행하지 않는다.
해로로는 자카르타, 스마랑, 치르본, 케타팡 등과 연결되어 있다.
8. 교육
폰티아낙시 교육청 자료에 따르면, 2015년 폰티아낙에는 유치원 111개, 초등학교 161개, 중학교 76개, 고등학교 44개, 직업학교 29개가 있다. 초등학교(SD)의 학생-교사 비율이 22:1로 가장 높다.
폰티아낙의 7~12세 연령대의 학교 참여율(APS)은 지난 3년 동안 약 100%였다. 13~15세 연령대의 학교 참여율은 최근 몇 년 동안 상당히 변동했지만, 100%에 육박하며 계속 증가하고 있다.
국립 탄중푸라 대학교는 1963년 폰티아낙에 설립되었다. 사립 대학교로는 폰티아낙 무하마디야 대학교, 폰티아낙 위디야 다르마 대학교, 사브다 세티아 기술경영 연구원, 판차 박티 대학교, STMIK (Sekolah Tinggi Manajemen Informatika dan Komputer), 이슬람 대학교 (STAIN), POLNEP (폰티아낙 국립 폴리텍), AKBID St. Benedicta가 있다.
학교 종류 | 수 |
---|---|
유치원 | 111개 |
초등학교 | 161개 |
중학교 | 76개 |
고등학교 | 44개 |
직업학교 | 29개 |
대학교 종류 | 대학교 이름 |
---|---|
국립 | 탄중푸라 대학교 |
사립 | 폰티아낙 무하마디야 대학교 |
폰티아낙 위디야 다르마 대학교 | |
사브다 세티아 기술경영 연구원 | |
판차 박티 대학교 | |
STMIK | |
이슬람 대학교 (STAIN) | |
POLNEP (폰티아낙 국립 폴리텍) | |
AKBID St. Benedicta |
9. 문화
폰티아낙은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로, 연중 다채로운 행사가 열린다. 중국계/인도네시아 화교는 음력 설날, 정월 대보름, 청명절을 기념하고, 말레이족은 이드 알 피트르, 이드 알 아드하, 마울리드를 기념한다. 다약족은 수확을 기념하는 가와이 다약(Gawai Dayak) 축제를 연다. 이러한 행사들은 도시 곳곳에서 화려한 문화 축제로 이어진다.
폰티아낙은 화교/인도네시아 화교, 말레이, 다약족, 자바인 등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은 요리로도 유명하다. 폰티아낙 음식은 그 다양성으로 인해 미식의 천국으로 불리며, 다음과 같은 요리들이 대표적이다.
요리 종류 | 요리 이름 | 설명 |
---|---|---|
밥 | 나시 캡 차이 | 다양한 반찬과 함께 먹는 밥 |
생선 | 고등어 오타 오타 | 바나나 잎으로 싸서 구운 고등어 어묵. 땅콩 소스와 함께 먹는다. |
빵 | 바오자이 | 다양한 속을 채운 찐빵 |
기타 | 바탕 부록 | |
만두 | 초이 판 (차이 쿠에) | 얇은 껍질에 고구마, 토란, 부추 등을 채운 중국 요리[17] |
디저트 | 렉 타우 수안 (绿豆爽|녹두상중국어) | 바삭한 쌀 칩을 넣은 녹두 디저트 |
죽 | 부부르 페다스 | |
국수 | 야미 | 다양한 종류의 달걀 면, 가는 면, 쌀국수 "쿠에티아우"를 미니 만두 "키아우"와 함께 볶은 요리 |
기타 | 파세리 나나스 | |
생선 | 이칸 아삼 페다스 | |
죽 | 프웨 키 뮤 (부부르 페사왓) | 많은 반찬과 함께 나오는 쌀죽 |
빵 | 두리안 타르트 | |
밥 | 나시 아얌 "코이 펭" | |
떡 | 칼로치 | |
빵 | 월병 ("궉 피아") | |
기타 | 꿰 키아 텡 | |
기타 | 텐칼록 | |
기타 | 렘방 | |
생선 | 헤 뮤 | 다양한 종류의 생선을 밥과 함께 제공 |
기타 | 렘폭 두리안 | |
밥 | 나시 카리 | |
빵 | 로티 캡 | |
기타 | 템포약 | |
기타 | 빙케 | |
기타 | 헤켕 (새우 춘권) | |
빵 | 타르 수수 | |
만두 | 차이 꿰 |
9. 1. 관광
- 적도 기념비
- 서칼리만탄 주립 박물관
- 롱하우스
- 말레이 하우스
- 카다리아 왕궁
10. 자매 도시
폰티아낙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Kota Pontianak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4-02-28
[2]
웹사이트
Data Kota Pontianak 2018 (Metode Baru)
https://ipm.bps.go.i[...]
2020-06-03
[3]
웹사이트
Daftar 10 Kota Besar di Kalimantan
https://kataomed.com[...]
2020-05-25
[4]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1
[5]
뉴스
Matahari Tegak Dua Kali Setahun di Kota Khatulistiwa
http://www.bernama.c[...]
Situs Berita Nasional Malaysia
[6]
웹사이트
Sejarah Berdirinya Kota Pontianak
http://pemkot.pontia[...]
[7]
서적
Southeast Asia and the Middle East: Islam, Movement, and the Longue Durée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09
[8]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3-10-19
[9]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Jakarta
2011
[10]
논문
VALUES IN PONTIANAK MALAY COMMUNITIES
https://jurnaliainpo[...]
2023-06-03
[11]
논문
Role Of Culture And Acculturation On Information Sharing In Aspect Of Behavioral Accounting
http://jos.unsoed.ac[...]
2023-06-03
[12]
뉴스
Jumlah Prosentase Berdasarkan Keberagaman Suku di Kota Pontianak
https://pontianak.tr[...]
2019-06-27
[13]
뉴스
Kota Pontianak: Dari Kerajaan Pontianak hingga Pusat Perdagangan dan Jasa
https://www.kompas.i[...]
2022-03-14
[14]
웹사이트
Suku Bangsa
http://www.pontianak[...]
2022-02-10
[15]
웹사이트
Peringatan
http://sp2010.bps.go[...]
2018-02-15
[16]
웹사이트
Solar phenomenon casts no shadows
https://www.thejakar[...]
2020-06-03
[17]
웹사이트
Choipan, A Famous Savory Snack In Pontianak
https://voi.id/en/li[...]
2023-05-04
[18]
뉴스
Tol Pontianak-Singkawang akan Perkuat Akses ke Pelabuhan Kijing
https://www.liputan6[...]
2020-03-21
[19]
뉴스
Jalan Bebas Hambatan Akan Dibangun Menghubungkan Entikong dan Pontianak
https://finance.deti[...]
2020-03-21
[20]
웹사이트
Weather Information for Pontianak
http://www.worldweat[...]
2011-03-17
[21]
웹인용
Climate: Pontianak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20-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