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 (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은 체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기물로, 각 플레이어가 게임 시작 시 8개씩 소유한다. 폰은 초기 배치에서 두 칸 전진하거나 대각선으로 적 기물을 잡는 등 특수한 이동 규칙을 가지며, 앙파상과 프로모션과 같은 독특한 규칙이 적용된다. 폰은 체스 기물 중 가치가 가장 낮지만, 폰의 배치 형태는 게임의 전략적 특징을 결정하며, 폰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전략적 가치를 지닌다. 폰은 차투랑가에서 기원하여 체스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15세기 유럽에서 두 칸 이동 규칙과 앙파상 규칙이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스의 기물 - 퀸 (체스)
퀸은 체스 기물 중 하나로,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칸 수 제한 없이 이동하며 가장 강력한 기물로 평가받고, 룩과 비숍의 움직임을 결합한 형태로 폰 9개의 가치를 지닌다. - 체스의 기물 - 룩 (체스)
룩은 체스 기물 중 하나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하며 캐슬링에 참여할 수 있고, 폰 5개와 유사한 가치를 가지며 중반 및 종반에 강력한 공격력을 발휘한다. - 체스 - 아티피셜 캐슬링
- 체스 - 대국 시계
대국 시계는 체스, 장기, 바둑 등 시간제한 경기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모래시계에서 디지털 시계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시간 측정 방식과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공정한 경기 진행을 위한 규칙과 게임별 사용 방식의 차이가 있다.
폰 (체스) | |
---|---|
체스 기물 | |
![]() | |
![]() | |
일반 정보 | |
종류 | 체스 기물 |
가치 | 1점 |
복수 | 폰 (pawns) |
유니코드 | ♙ (하얀 폰) ♟ (검은 폰) |
체스에서의 움직임 | |
이동 | 한 칸 앞으로 (처음에는 두 칸 앞으로도 가능) |
공격 | 대각선 앞 칸 |
특수 이동 | 앙파상 폰 승진 |
기타 정보 | |
관련 용어 | 랭크 파일 |
2. 초기 배치 및 명칭
백색 폰은 체스판의 2번째 랭크(가로줄), 흑색 폰은 7번째 랭크의 칸에 각각 8개씩 배치한다. 각 플레이어는 게임을 시작할 때 자신의 앞 두 번째 행을 따라 폰을 나란히 놓는다.
엄밀히 말하면 각 폰에는 위치한 파일(세로줄)에 따라 이름이 붙어 있다. 이는 "킹스 폰 오프닝"과 같은 오프닝 명칭의 유래가 되기도 한다. 기보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각 폰의 이름을 특별히 신경 쓸 필요는 없지만, 양쪽 끝의 룩 폰은 종반전에서 주의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13]
각 파일(세로줄)에 따른 폰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 '''a'''와 '''h''' 파일 폰: 룩 폰(Rook’s Pawn)
- '''b'''와 '''g''' 파일 폰: 나이트 폰(Knight’s Pawn)
- '''c'''와 '''f''' 파일 폰: 비숍 폰(Bishop’s Pawn)
- '''d''' 파일 폰: 퀸 폰(Queen’s Pawn)
- '''e''' 파일 폰: 킹 폰(King’s Pawn)
3. 기본적인 이동 규칙
체스의 기물 중 폰은 유일하게 이동하는 방식과 상대 기물을 잡는 방식이 다르므로 규칙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쇼기의 보와도 그 성격이 매우 다르다.
폰의 기본적인 움직임은 앞으로 한 칸씩 전진하는 것이다. 그러나 처음 움직이는 폰에 한해서는 앞으로 두 칸을 전진할 수 있는 선택권이 주어진다. 폰은 절대로 뒤로 움직일 수 없다.
상대 기물을 잡을 때는 이동 방식과 다르게, 대각선 앞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하여 잡는다. 즉, 폰은 직선으로 전진하고 대각선으로 잡는다.
또한, 폰에는 '앙파상'(En passant|앙파상fra)이라는 특수한 잡기 규칙이 존재한다. 이는 상대 폰이 첫 수에 두 칸 전진했을 때 특정 조건 하에서 그 폰을 잡을 수 있는 규칙이다.[2]
폰이 상대방 진영의 가장 끝 칸(백 기준 8번째 행, 흑 기준 1번째 행)까지 전진하면, 퀸, 룩, 비숍, 나이트 중 하나로 승진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강력한 기물인 퀸으로 승진시키는 경우가 많지만, 전술적인 이유로 다른 기물로 승진시키는 '언더프로모션'도 가능하다.[3]
폰의 이동과 잡기, 앙파상, 승진에 대한 자세한 규칙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기본 이동
각 플레이어는 체스 게임 시작 시 자신의 진영 두 번째 행에 8개의 폰을 나란히 배치한다.폰은 기본적으로 앞쪽(상대방 진영 방향)으로 한 칸씩 수직으로 전진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뒤로는 절대로 물러설 수 없다. 폰이 아직 한 번도 움직이지 않은 시작 위치에 있을 경우, 특별한 선택지가 주어진다. 만약 처음 움직이는 폰의 바로 앞 칸과 그 다음 칸(즉, 한 칸 앞과 두 칸 앞)이 모두 비어 있다면, 플레이어는 폰을 한 칸만 전진시키거나 두 칸을 한 번에 전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행(백 기준 2행, 흑 기준 7행)에 있는 e2 폰은 앞 칸인 e3와 그 앞 칸인 e4가 모두 비어 있다면, e3로 이동하거나 e4로 바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폰의 전진에는 제약이 따른다. 폰의 바로 앞 칸에 아군이든 적군이든 어떤 기물이 놓여 있다면, 그 폰은 앞으로 전진할 수 없다. 즉, 경로가 막힌 상태가 된다. 또한, 폰은 바로 앞에 있는 적의 기물을 잡을 수도 없다. 소스에 포함된 예시 그림처럼, b열과 c열의 폰은 전진할 수 있지만, e열과 g열의 폰은 바로 앞에 다른 기물이 위치하여 전진이 불가능하다.
3. 2. 첫 수 이동
체스 게임 시작 시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진영 두 번째 행에 8개의 폰을 배치한다.폰은 기본적으로 앞에 비어있는 칸으로 한 칸씩 수직으로 전진하여 움직인다. 하지만 시작 지점(두 번째 행)에 있는 폰은 '''첫 수에 한하여''' 특별한 이동 규칙이 적용된다. 첫 수를 둘 때, 폰 바로 앞 칸과 그 앞 칸(총 두 칸)이 모두 비어 있다면, 앞으로 한 칸 또는 두 칸을 전진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처음부터 한 칸만 움직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백색 폰이 e2에 있고 e3과 e4 칸이 모두 비어 있다면, 이 폰은 첫 수로 e3으로 이동하거나 e4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c4에 있는 폰이라면(이미 한 번 이상 움직인 폰), c5로만 이동할 수 있다.
두 칸을 전진하는 경우에도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는 없다. 즉, 폰이 이동하려는 경로에 아군이나 적군의 다른 기물이 있다면 해당 방향으로 전진할 수 없다. 폰은 오직 앞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뒤로나 옆으로는 움직일 수 없다.
3. 3. 기물 잡기
다른 체스 기물들과 달리, 폰은 이동하는 방식과 기물을 잡는 방식이 다르다. 폰은 오직 대각선 앞 한 칸으로 움직여 상대 기물을 잡을 수 있으며, 잡은 후에는 해당 칸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c4 칸의 백 폰은 대각선 앞인 b5 칸의 흑 비숍이나 d5 칸의 흑 나이트를 잡을 수 있다. 만약 b5의 비숍을 잡으면 백 폰은 b5 칸으로 이동하고, d5의 나이트를 잡으면 d5 칸으로 이동한다. 대각선 전방에 적의 기물이 없는 한, 폰은 대각선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폰은 뒤로 이동하거나 뒤에 있는 기물을 잡을 수 없다.만약 폰의 양쪽 대각선 앞 칸에 모두 상대 기물이 있다면, 어느 쪽 기물을 잡을지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4 칸의 백 폰 앞에 d5 칸의 흑 룩과 f5 칸의 흑 비숍이 있다면, 백 폰은 룩을 잡고 d5로 가거나, 비숍을 잡고 f5로 갈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두 기물을 잡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황에 따라서는 양쪽 기물 중 어느 것도 잡지 않고 앞으로 한 칸 전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바로 앞 칸인 e5가 비어있어야 한다).
폰의 바로 앞 칸에 상대 기물이 있어도, 대각선 앞 칸에 다른 상대 기물이 있다면 그 대각선 기물을 잡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바로 앞 칸에 있는 기물은 잡을 수 없다. 예를 들어, e4 칸의 백 폰 앞에 e5 칸의 흑 나이트가 있고, 대각선 앞인 d5 칸에 흑 룩, f5 칸에 흑 비숍이 있다면, 백 폰은 d5의 룩이나 f5의 비숍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잡을 수 있지만, 바로 앞 e5의 나이트는 잡을 수 없다. 만약 대각선 앞 칸 중 한쪽에만 기물이 있다면 (예: d4 폰 앞에 d5 나이트, c5 비숍), c5의 비숍만 잡을 수 있고 d5의 나이트는 잡을 수 없다. 이 경우 비숍을 잡지 않으면 폰은 움직일 수 없다.
특별한 경우로 '앙파상'이라는 규칙을 통해 기물을 잡을 수도 있다. 앙파상은 상대 폰이 첫 수에 두 칸을 전진했을 때, 그 폰이 지나쳐 간 칸이 자신의 폰의 공격 범위(대각선 앞)에 해당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특수한 잡기 규칙이다. 이때, 자신의 폰은 마치 상대 폰이 한 칸만 전진한 것처럼, 그 지나쳐 간 빈칸으로 이동하여 상대 폰을 잡을 수 있다. 앙파상으로 잡는 폰은 상대 폰이 지나간 칸(한 칸만 전진했을 경우 위치했을 칸)으로 이동하며, 두 칸 전진했던 상대 폰은 체스판에서 제거된다. 앙파상은 상대 폰이 두 칸을 전진한 바로 다음 차례에만 할 수 있으며, 이 기회를 놓치면 이후에는 해당 폰에 대해 앙파상을 할 수 없다. 앙파상은 체스에서 유일하게, 잡는 기물이 잡히는 기물이 있던 칸으로 이동하지 않는 잡기 방법이다.[2]
4. 앙파상
'''앙파상'''(en passant|앙파상프랑스어, "통과하면서"라는 뜻)은 폰으로 상대방의 폰을 잡는 특별한 방법이다.[2] 폰이 처음 위치에서 두 칸 앞으로 움직였을 때, 특정 조건 하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앙파상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 잡는 기물과 잡히는 기물 모두 폰이어야 한다.
- 상대방 폰이 자신의 초기 위치에서 두 칸 앞으로 전진한 직후에만 가능하다. 만약 다른 수를 두면 앙파상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잃게 된다.[2]
- 앙파상을 할 수 있는 폰은 특정 랭크(백 폰은 5번째 랭크, 흑 폰은 4번째 랭크)에 위치해야 한다.
- 상대방 폰이 두 칸을 움직이면서 지나간 칸이 자신의 폰에게 공격받고 있을 때, 자신의 폰을 그 지나간 칸으로 이동시켜 상대 폰을 잡을 수 있다. 이는 마치 상대 폰이 한 칸만 움직인 것처럼 간주하여 잡는 방식이다.[2]
- 앙파상으로 폰을 잡으면, 잡는 폰은 반드시 대각선 옆 칸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e열에 있던 폰이 앙파상으로 잡으면 d열이나 f열로 이동한다.
- 앙파상은 체스에서 유일하게 잡는 기물이 잡힌 기물이 있던 칸으로 이동하지 않는 캡처 방법이다.[2]
- 앙파상은 권리이지만 의무는 아니다. 즉, 앙파상을 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다른 수를 둘 수 있다.
역사적으로 앙파상은 폰이 한 칸씩만 전진할 수 있었던 옛 체스 규칙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기보에서는 앙파상을 "'''e.p.'''"로 표기하기도 한다. (예: exd6 e.p.)[17]
5. 프로모션
폰은 오직 앞으로만 움직일 수 있고 뒤로는 돌아갈 수 없다. 상대방 진영의 마지막 행(백은 8번째 행, 흑은 1번째 행)에 도달한 폰은 더 이상 전진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 폰은 '''프로모션'''(Promotion, 승격)이라는 특별한 규칙에 따라 다른 기물로 변신해야 한다.[14]
상대방의 마지막 행에 도달한 폰은 즉시 같은 색깔의 퀸, 룩, 비숍, 나이트 중 하나로 바꿔야 한다. 킹으로는 바꿀 수 없다. 플레이어는 폰을 마지막 행으로 옮기는 동시에 어떤 기물로 승격시킬지 선언하고 해당 기물로 교체한다. 체스 기물 중 프로모션이 가능한 것은 폰뿐이다.[18]
예를 들어, 백색 b7 폰을 b8 칸으로 전진시키면서 "퀸!"이라고 선언하면, b7에 있던 폰은 사라지고 b8 칸에 백색 퀸이 놓인다. 기보에는 이 수를 “b8=Q” 또는 “b8Q”라고 적는다.
대부분의 경우, 폰은 가장 강력한 기물인 퀸으로 승격시킨다. 이론적으로는 8개의 폰이 모두 프로모션하여 한 플레이어가 9개의 퀸을 가질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체스 세트에는 각 색깔별로 퀸이 하나씩만 들어 있는 경우가 많다 (간혹 예비 퀸이 포함된 세트도 있다). 따라서 실제 경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대응하기도 하지만, 이는 공식 규칙은 아니다.
- 이미 잡힌 퀸이 있다면 그것을 사용한다.
- 잡힌 퀸이 없고 잡힌 룩이 있다면, 룩을 뒤집어서 퀸 대신 사용한다.
하지만 공식 토너먼트 경기에서는 이런 방법이 허용되지 않으며, 뒤집힌 룩은 룩으로 간주될 수 있다.[3] 필요하다면 다른 체스 세트에서 기물을 빌려와야 한다.
드물게 퀸이 아닌 룩, 비숍, 나이트로 승격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 언더 프로모션이라고 한다.
5. 1. 언더 프로모션
폰이 상대방 진영의 마지막 행(8번째 행)까지 전진하면, 그 즉시 같은 색의 퀸, 룩, 비숍, 나이트 중 하나의 기물로 바꿔야 한다. 이를 프로모션(승진)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강력한 기물인 퀸으로 승진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드물게 퀸이 아닌 다른 기물(룩, 비숍, 나이트)로 승진시키는 것이 더 유리할 때가 있다. 이렇게 퀸 외의 기물로 승진하는 것을 '''언더 프로모션'''(Underpromotion)이라고 부른다.
언더 프로모션은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루어진다.
- '''스테일메이트 회피''': 폰을 퀸으로 승진시켰을 때 상대방이 스테일메이트(무승부)가 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룩이나 비숍으로 승진시킨다.
- '''나이트 활용''': 나이트의 특수한 이동 방식을 이용하여 즉시 체크를 걸거나 다른 전술적 이득을 얻기 위해 나이트로 승진시킨다.
예를 들어, 백의 폰이 마지막 행에 도달했고, 이 폰을 퀸으로 승진시키면 흑의 킹이 합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칸이 전혀 없어 스테일메이트가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비록 백이 기물에서 압도적으로 유리하더라도 스테일메이트가 되면 경기는 무승부로 끝나게 된다. 이런 경우, 백은 폰을 퀸 대신 '''룩'''으로 승진시켜 스테일메이트를 피하고, 이후 체크메이트를 통해 승리하는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
6. 폰의 가치
폰은 단독으로는 가장 약한 기물이며 가치가 낮다. 하지만 체스 기물의 절반을 차지하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물이기도 하다. 또한 다른 기물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1점)으로 사용된다.
기물 | 킹 | 퀸 | 룩 | 비숍 | 나이트 | 폰 |
---|---|---|---|---|---|---|
가치 | ∞ (무한대) | 9 | 5 | 3 | 3 | 1 |
이러한 평가는 일반적인 기준일 뿐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체스의 국면에 따라 각 기물의 실제 가치는 달라진다. 특히 폰은 프로모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기물보다 국면에 따른 가치 변동이 크다. 프로모션 직전(백 7랭크, 흑 2랭크)에 있는 폰은 그 가치가 크게 상승하여 3점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구분 | 일반 폰 | 7랭크 백 폰 | 2랭크 흑 폰 |
---|---|---|---|
가치 | 1 | 3 | 3 |
7. 다양한 폰의 형태
체스에서 "폰은 체스의 영혼[15]"이라고 말할 정도로 폰은 매우 중요한 기물이다. 폰의 배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붙어 있으며, 각 형태는 게임의 전략에 영향을 미친다. 주요 폰 형태는 다음과 같다.
- 패스드 폰 (Passed Pawn): 전진 경로 상의 정면과 양옆 파일에 상대방 폰이 없어 전진하기 쉬워진 폰이다. 예를 들어, 백색 폰이 d5 칸에 있고 c, d, e 파일에 흑색 폰이 없다면 이 폰은 패스드 폰이 된다. 패스드 폰은 그 자체로 강력한 무기가 되며, 특히 게임 종반전에서 승격을 노릴 때 매우 유리하다.
- 더블 폰 (Doubled Pawns): 같은 파일에 아군 폰 두 개가 세로로 겹쳐 있는 형태이다. 세 개가 겹치면 트리플 폰 (Triple Pawns)이라고 부른다. 뒤쪽 폰은 움직이기 어렵고 앞쪽 폰을 지키기도 힘들어 약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킹 주변에 더블 폰이 생기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종반전에는 불리한 형태로 간주된다.
- 백워드 폰 (Backward Pawn): 주변 아군 폰들보다 뒤처져 있고, 상대방 폰에 의해 전진이 막혀 있으며, 다른 아군 폰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폰이다. 예를 들어, f3 칸의 백색 폰이 f4 칸의 흑색 폰에 막혀 있고, e3이나 g3 칸에 백색 폰이 없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런 폰은 공격받기 쉬운 약점이 된다. 주로 3랭크나 4랭크에 위치한 폰을 가리킨다.
- 아이솔레이티드 폰 (Isolated Pawn): 양옆 파일에 아군 폰이 없어 고립된 폰이다. 공격받을 경우 다른 폰으로 지킬 수 없고, 비숍, 나이트, 룩, 퀸, 킹과 같은 다른 기물로 보호해야 한다. 아이솔레이티드 폰 앞의 칸(예: e4 폰이 고립되었다면 e5 칸) 역시 상대방이 활용하기 좋은 약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
- 폰 체인 (Pawn Chain): 아군 폰 두 개 이상이 대각선으로 서로를 방어하며 연결된 형태이다. (예: d4, e5, f6) 폰끼리의 결속력은 강하지만, 자신의 비숍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도 있다. 폰 체인에서는 가장 뒤쪽(베이스)에 있는 폰이 다른 폰의 보호를 받지 못해 가장 약한 지점이 된다. (예: d4, e5, f6 체인에서는 d4 폰)
- 픽스드 폰 (Fixed Pawns): 같은 파일에서 서로 마주보며 움직일 수 없게 된 아군 폰과 상대방 폰을 말한다. (예: 백색 e4 폰과 흑색 e5 폰) 이런 형태는 게임 중 흔히 나타나며, 상황에 따라 유리할 수도 불리할 수도 있다.
8. 전략
폰의 배치는 체스 게임의 전략적 특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른 기물들은 잘못된 위치에 놓이더라도 다시 유리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가 많지만, 폰은 움직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한번 잘못 배치되면 되돌리기 어렵다. 따라서 폰의 위치와 구조는 게임 전체의 전략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폰의 전략적 활용과 관련된 주요 개념들은 다음과 같다.
- '''폰 구조''': 체스판 위 폰들의 전체적인 배치를 의미하며, 게임의 장기적인 계획과 기물 활동 공간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폰들이 사슬처럼 연결된 '''폰 체인'''은 특정 칸들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지만, 동시에 특정 기물의 활동을 제약하기도 한다.
- '''고립된 폰''': 인접한 파일에 아군 폰이 없어 다른 폰의 지원을 받기 어려운 폰이다. 공격에 취약할 수 있고, 폰 앞의 칸이 상대 기물의 활동 거점이 되는 약점을 가질 수 있다.
- '''전진 폰''': 프로모션을 향해 나아가는 경로에 상대방 폰의 방해가 없는 폰을 말한다. 특히 엔드게임 단계에서 매우 강력한 무기가 되며, 전진 폰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전략 목표가 된다.[4]
- '''겹쳐 있는 폰''': 같은 파일에 아군 폰이 두 개 이상 놓인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서로를 보호하기 어렵고 앞쪽 폰이 뒤쪽 폰의 전진을 막아 약점으로 간주된다.
이처럼 폰의 위치와 구조는 게임의 다양한 국면에서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가지며, 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승리에 필수적이다.
8. 1. 폰 구조
'''폰 구조'''는 체스판에서 폰의 배치를 의미하며, 게임의 전략적 특징을 주로 결정한다. 다른 기물들은 일시적으로 좋지 않은 위치에 놓여도 더 유리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지만, 한번 잘못 배치된 폰은 움직임이 제한되어 위치를 바꾸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필리도르가 "폰은 체스의 영혼[15]"(The pawns are the soul of chess.eng)이라고 말했듯이, 폰은 체스에서 매우 중요한 기물이다.폰은 대각선으로 잡고 앞으로 똑바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 폰들은 각 색깔의 두 개 이상의 폰으로 이루어진 대각선 '''폰 체인'''에 갇힐 수 있으며, 각 플레이어는 한 가지 색깔의 칸을 제어한다. 오른쪽 그림은 프렌치 디펜스의 한 형태로, 흑과 백의 d폰과 e폰이 서로 묶여 폰 체인을 형성한 모습이다.
이 상황에서 백은 장기적인 공간 이점을 가지고 있다. 백은 흑보다 기물을 위한 좋은 칸을 찾기가 더 쉬울 것이고, 특히 킹사이드 공격을 염두에 둘 수 있다. 반대로 흑은 c8의 비숍이 자신의 폰들에 의해 활동 반경이 제한되는 '''나쁜 비숍'''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킹사이드에서 활동하기 어려워진다. 반면에 백의 중앙 폰은 다소 과도하게 전개되어 공격에 취약할 수도 있다. 흑은 즉각적인 ...c5로 백 폰 체인을 약화시키거나 나중에 ...f6을 시도하여 중앙 싸움을 걸 수 있다.
폰 구조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중요한 것들에는 다음과 같은 이름이 붙어 있다.
- '''패스드 폰'''(Passed Pawneng): 자신의 앞을 가로막거나, 양옆 파일에서 공격할 수 있는 상대방 폰이 없는 폰을 말한다. 전진하기 쉬워 종반전에서 승진을 노릴 때 강력한 무기가 된다. 예를 들어, d5 칸에 있는 백색 폰 앞에 d열에 흑색 폰이 없고, 인접한 c열과 e열에도 백색 폰을 공격할 수 있는 흑색 폰이 없다면 이 폰은 패스드 폰이다.
- '''더블 폰'''(Doubled Pawnseng): 같은 파일에 아군 폰이 두 개 겹쳐 있는 상태를 말한다. 세 개가 겹친 경우는 '''트리플 폰'''(Triple Pawnseng)이라고 불린다. 뒤쪽 폰은 앞쪽 폰에 막혀 움직이기 어렵고, 앞쪽 폰을 지키기도 어려워 약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킹 주변에 더블 폰이 생기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 '''백워드 폰'''(Backward Pawneng): 주변의 다른 아군 폰들보다 뒤처져 있는 폰을 말한다. 주로 3랭크나 4랭크에 위치하며, 상대방 폰에 의해 전진이 막혀 있고 인접한 파일에 자신을 지켜줄 아군 폰도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f3에 있는 백색 폰이 f4의 흑색 폰에 막혀 전진할 수 없고, e파일과 g파일에 백색 폰이 없어 보호받지 못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이런 폰은 상대 기물의 공격 목표가 되기 쉽다.
- '''아이솔레이티드 폰'''(Isolated Pawneng): 양옆 인접한 파일에 아군 폰이 없어 고립된 폰을 말한다. 다른 폰의 보호를 받기 어려워 상대에게 공격받을 경우, 폰이 아닌 다른 기물로 지켜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또한, 아이솔레이티드 폰 바로 앞의 칸(예: e4 폰이 아이솔레이티드 폰일 경우 e5 칸) 역시 상대 기물이 활용하기 좋은 약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
- '''폰 체인'''(Pawn Chaineng): 아군 폰들이 대각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사슬처럼 이어진 형태를 말한다. 폰끼리 서로를 보호하여 견고한 구조를 이루지만, 폰 체인과 같은 색깔 칸을 움직이는 비숍의 활동을 제약하기도 한다. 폰 체인에서는 가장 뒤쪽에 있는 폰(체인의 뿌리)이 다른 폰의 보호를 받지 못해 가장 약한 지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
- '''픽스드 폰'''(Fixed Pawnseng): 같은 파일에서 서로 마주 보고 있어 양쪽 모두 더 이상 전진할 수 없게 된 폰들을 말한다. 즉, 폰의 움직임이 서로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이러한 구조는 게임 중 자주 나타나며, 상황에 따라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8. 2. 고립된 폰
인접한 파일에 아군 폰이 없어 고립된 폰을 '''고립된 폰'''(Isolated Pawneng)이라고 한다. 인접한 파일의 폰들은 공격과 방어에서 서로를 지원할 수 있으나, 고립된 폰은 이러한 지원을 받을 수 없다. 따라서 적에게 공격받을 경우, 폰 이외의 다른 기물로 방어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고립된 폰 앞의 칸은 지속적인 약점이 될 수 있다. 상대방 기물이 이 칸에 위치하면, 고립된 폰의 전진을 막을 뿐만 아니라 다른 폰으로 그 기물을 쫓아낼 수도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흑이 d5 칸에 고립된 폰을 가지고 있다면, 왕과 폰을 제외한 모든 기물이 제거된 엔드게임에서는 이 폰의 약점이 흑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하지만 미들게임 단계에서는 고립된 폰이 중앙 통제에 기여하거나 기물 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등 긍정적인 측면도 가질 수 있으며, 엔드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교환될 가능성도 있다.
8. 3. 전진 폰
프로모션 경로에서 적의 폰에 의해 막히거나 잡힐 수 없는 폰을 '''전진 폰'''(Passed Pawn)이라고 한다. 즉, 해당 폰의 앞을 가로막는 적의 폰이 없고, 인접한 파일에도 해당 폰의 전진을 방해할 수 있는(잡을 수 있는) 적의 폰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엔드게임은 종종 폰을 먼저 프로모션시키는 쪽이 승리하기 때문에, 엔드게임 단계에서 전진 폰을 보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결정적일 수 있다. 특히 아군 폰에 의해 보호받는 '''보호된 전진 폰'''(Protected Passed Pawn)은 더욱 강력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체스판의 특정 구역에서 한 플레이어가 상대보다 더 많은 수의 폰을 보유한 상태, 즉 '''폰 다수'''(Pawn Majority)는 전진 폰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는다.
예를 들어, 루벤 파인과 팔 벤코가 제시한 엔드게임 상황[4]을 살펴보면 전진 폰의 위력을 알 수 있다. 해당 상황에서 백은 c5 칸에 보호된 전진 폰을 가지고 있고, 흑은 h5 칸에 '''외부 전진 폰'''(Outside Passed Pawn)을 가지고 있다. 양측 모두 킹과 3개의 폰을 가지고 있고 킹의 위치도 비슷하여 언뜻 보기에는 동등한 상황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백이 보호된 전진 폰의 강점을 통해 이긴다. 흑의 킹은 멀리 떨어진 h열의 폰(외부 전진 폰)을 지키면서 동시에 백의 c열 폰이 프로모션하는 것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은 흑의 h-폰을 결국 잡아내고 자신의 c-폰을 프로모션시켜 게임에서 이길 수 있다.[4]
프랑스의 체스 마스터 프랑수아앙드레 다니칸 필리도르는 "폰이야말로 체스의 혼이다."(The pawns are the soul of chess.|폰즈 아 더 소울 오브 체스eng)[15]라고 말하며 폰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8. 4. 겹쳐 있는 폰
폰으로 상대 기물을 잡은 결과, 같은 파일에 자신의 폰 두 개가 놓이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겹쳐 있는 폰(Doubled Pawns)이라고 한다.겹쳐 있는 폰은 일반적으로 나란히 있는 폰보다 약점으로 간주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겹쳐진 폰들은 서로를 방어해 줄 수 없다.
- 인접한 파일에 있는 아군 폰의 보호를 받기 어렵다.
- 앞쪽에 있는 폰이 뒤쪽 폰의 전진 경로를 막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겹쳐 있는 폰은 움직이기도 어렵고 방어하기도 까다롭다. 특히 종반전에서는 결정적인 약점이 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오른쪽 다이어그램에서 흑의 c-파일 폰들은 겹쳐 있어 흑에게 전략적인 불리함으로 작용한다.
드물지만 겹쳐 있는 폰이 유리하게 작용하는 상황도 있다. 폰들이 특정 파일의 연속된 칸들을 통제하여 상대 기물이 중요한 칸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만약 폰이 겹쳐 있으면서 동시에 고립된 폰(Isolated Pawn) 상태라면, 이는 더욱 심각한 약점이 된다. 이런 폰들 앞을 상대 기물이나 폰 하나가 막고 있다면, 두 폰 모두의 움직임이 봉쇄되고 이를 돌파하기 매우 어렵다.
매우 드물게 한 플레이어가 같은 파일에 세 개의 폰을 갖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삼중 폰(Triple Pawns)이라고 부른다.
8. 5. 잘못된 룩 폰
체스 엔드게임에서 비숍이 있을 때, 룩 폰은 비숍의 사각형 색상에 따라 ''잘못된 룩 폰''일 수 있다. 이것은 몇몇 포지션이 그렇지 않으면 이길 수 있는 상황에서 무승부가 되도록 만든다.9. 역사
폰은 체스의 가장 오래된 형태인 차투랑가에서 유래했으며, 다른 주요 체스 버전에도 모두 존재한다. 차투랑가에서 폰은 앞으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었고, 대각선 앞으로 한 칸 떨어진 곳의 기물을 잡을 수 있었다.
중세 체스에서는 게임을 더 흥미롭게 만들기 위해 각 폰에 평민의 직업 이름을 붙였다.[5] 각 폰에 부여된 직업은 다음과 같다.
열 | 직업 | 설명 (위치) |
---|---|---|
가장 왼쪽 열 | 도박꾼, "하류 인생", 메신저 | 사악함을 의미하는 방향 |
왼쪽 기사 앞 | 도시 경비대, 경찰관 | 기사가 도시 경비대를 훈련시켰기 때문[6] |
왼쪽 비숍 앞 | 여관 주인 | |
퀸 앞 | 의사 | |
킹 앞 | 상인, 환전상 | |
오른쪽 비숍 앞 | 직조공, 사무원 | 비숍을 위해 일했기 때문 |
오른쪽 기사 앞 | 대장장이 | 말을 돌봤기 때문 |
오른쪽 룩 앞 | 노동자, 농부 | 성을 위해 일했기 때문[7] |
이러한 직업 부여의 가장 유명한 사례는 윌리엄 캑스턴[8]이 인쇄한, 영어로 인쇄된 두 번째 책인 ''체스 게임과 놀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은 단순한 체스 책을 넘어 당시 사회에 대한 정치적 논평으로도 여겨졌다.[7]
폰이 첫 수에 두 칸을 이동할 수 있는 능력과 이에 따른 앙파상 규칙은 15세기 유럽에서 도입되었다.[9] 앙파상은 폰이 처음 위치에서 상대 폰이 통제하는 칸을 안전하게 지나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승격 규칙 역시 역사를 거치며 변화해왔다.
참조
[1]
웹사이트
Chess Pieces and their Meanings
http://j.whyville.ne[...]
2015-09-19
[2]
논문
en passant
[3]
뉴스
Controversial Finish To Canadian Championship -- Update
https://www.chess.co[...]
2017-07-12
[4]
논문
[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chess pieces
https://web.archive.[...]
Library.thinkquest.org
2013-08-12
[6]
웹사이트
The Bachelors: Pawns in Duchamp's Great Game
http://toutfait.com/[...]
[7]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Chess Federation
http://main.uschess.[...]
Main.uschess.org
2013-01-23
[8]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A Short History of English Printing, by Henry R. Plomer
http://www.gutenberg[...]
Gutenberg.org
2007-01-18
[9]
논문
[10]
서적
Latvian-English Dictionary: Volume I A - M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08-07-30
[11]
웹사이트
Definition of PAWN
https://www.merriam-[...]
2022-12-15
[12]
뉴스
pawn
https://www.thefreed[...]
[13]
문서
ルーク・ポーンは「呪われたポーン」とされていて、パスポーンであってもプロモーションが難しいケースが比較的多い。
[14]
문서
この「プロモーション」の訳語に関しては、日本チェス協会(JCA)が日本チェス規約の中で定めている用語に準拠した。
[15]
문서
詳細については「[[フランソワ=アンドレ・ダニカン・フィリドール|フィリドール]]」を参照
[16]
문서
[[샹치]]의 포(砲)와 비슷하다.
[17]
문서
기보를 쓰는 경우 반드시 붙일 필요는 없다.
[18]
문서
같은 색(아군)의 [[퀸 (체스)|퀸]], [[비숍]], [[나이트 (체스)|나이트]], [[룩 (체스)|룩]]을 가리킨다. 이전은 아군의 기물뿐만 아니라 적의 기물로의 승격도 가능했었다. 하지만 현재에는 같은 색의 기물로의 승격만이 공식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고금을 막론하고 [[킹 (체스)|킹]]으로는 승격하지 못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