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 (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퀸(Queen)은 체스 기물 중 하나로,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칸 수 제한 없이 이동할 수 있어 가장 강력한 기물로 평가받는다. 원래는 '만트리' 또는 '파르진'으로 불리며 고문관, 총리를 의미했으나, 15세기 체스 개혁을 거치며 현대적인 퀸의 역할을 갖게 되었다. 퀸은 체스판에서 d1(백)과 d8(흑)에 위치하며, 룩과 비숍의 움직임을 결합한 형태로, 폰 9개의 가치를 지닌다. 퀸은 포크에 능하며, 퀸 희생을 통해 유리한 전술적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유니코드에는 흰색, 검은색, 중립 체스 퀸을 위한 세 개의 코드 포인트가 정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스의 기물 - 룩 (체스)
룩은 체스 기물 중 하나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하며 캐슬링에 참여할 수 있고, 폰 5개와 유사한 가치를 가지며 중반 및 종반에 강력한 공격력을 발휘한다. - 체스의 기물 - 비숍 (체스)
비숍은 체스에서 대각선으로 이동하는 기물로, 각 플레이어는 백색 칸과 흑색 칸 비숍을 하나씩 가지며, 일반적으로 폰 3개 가치로 평가되지만 상황에 따라 달라지고, '굿 비숍'과 '배드 비숍'으로 구분되며 엔드게임에서 특정 전략적 의미를 가진다. - 이사벨 1세 (카스티야) - 알카소바스 조약
알카소바스 조약은 1479년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왕국 간 전쟁을 종식시키며, 카스티야 왕위 계승 분쟁 해결, 카나리아 제도 지배권 및 특정 해역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규정했으나, 향후 영토 분쟁의 씨앗이 되었고 토르데시야스 조약의 계기가 되었다. - 이사벨 1세 (카스티야) - 가톨릭 군주
가톨릭 군주는 1469년 결혼한 이사벨 1세와 페르디난드 2세를 지칭하며, 이들의 결혼은 스페인 통합의 기초를 다지고 왕권 강화, 종교적 통합 정책 추진, 콜럼버스 아메리카 탐험 지원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종교 재판을 통한 탄압과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고통을 안겨준 논란도 있다. - 체스 - 아티피셜 캐슬링
- 체스 - 대국 시계
대국 시계는 체스, 장기, 바둑 등 시간제한 경기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모래시계에서 디지털 시계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시간 측정 방식과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공정한 경기 진행을 위한 규칙과 게임별 사용 방식의 차이가 있다.
퀸 (체스) | |
---|---|
체스 기물 정보 | |
![]() | |
![]() | |
코드 | 유니코드: ♕ ♛ |
특징 | |
이동 방식 |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칸 수 제한 없이 이동 가능 |
기물 가치 | 9 |
상대적 가치 | 폰 9개 |
위치 | 각 플레이어의 두 번째 랭크에서 킹 옆 |
보드에서의 역할 | 공격 및 방어 |
전략적 중요성 | 가장 강력한 기물 |
특수 능력 | 없음 |
역사적 기원 | 중세 시대 체스에서 발전 |
2. 역사
퀸은 원래 산스크리트어로 '만트리'(Mantri), 페르시아어로 '파르진'(Farzin) 등으로 불렸으며, '고문관', '총리'를 의미했다.[22][23] 초기에는 대각선으로 한 칸만 움직일 수 있었으나, 1300년경 첫 이동에 한해 같은 색 칸으로 두 칸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15세기 말, 스페인의 이사벨 1세 통치 기간에 현대적인 퀸의 이동 방식이 확립되었다. 이는 이사벨 1세의 강력한 권력, 성모 마리아 숭배,[4] 궁정 로맨스 전통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새로운 퀸의 규칙은 인쇄술의 발명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다.[15]
러시아에서는 퀸을 페르시아어 이름인 '페르즈'(ferz)로 불렀으며, 퀸이 나이트처럼 움직일 수 있는 변형 체스도 있었다.[19][20] 일본에서는 1230년경 독자적으로 퀸을 발명했으며, 다이쇼기에 포함되었다.
2. 1. 명칭
대부분의 언어에서 퀸은 '여왕' 또는 '여인'을 의미하는 단어로 불린다. 아시아 및 동유럽 언어에서는 '재상', '장관', '고문관' 등으로 불리는 경향이 있다.[8] 폴란드어에서는 주요 역사적 군사-정치 직함인 '헤트만'으로 알려져 있으며, 에스토니아어에서는 '깃발'을 의미하는 'lipp'라고 불린다.[22][23]러시아어에서 이 기물은 페르시아어 이름인 ''ferz''를 유지하고 있다. ''koroleva''(퀸)는 구어체이며 전문 체스 선수들은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korolevna''(왕의 딸), ''tsaritsa''(차르의 아내), ''baba''(노파)라는 이름은 1694년경부터 증명되었다.[7]
언어 | 명칭 | 의미 |
---|---|---|
스페인어 | dama | 여인 |
이탈리아어 | donna | 여인 |
프랑스어 | dame | 여인 |
독일어 | Königin | 여왕 |
아랍어 | وزير (wazir) | 비지어 (재상, 장관, 고문관) |
러시아어 | ферзь (ferz) | 페르시아어에서 유래, 재상 |
폴란드어 | hetman | 헤트만 (역사적 군사-정치 직함) |
에스토니아어 | lipp | 깃발 |
백 퀸은 d1, 흑 퀸은 d8에 배치한다. 체스판이 올바르게 놓이면 백 퀸은 흰색 칸, 흑 퀸은 검은색 칸에 위치한다. ("퀸은 자신의 색깔을 갖는다"는 기억술이 있다.) 퀸은 룩과 비숍의 움직임을 결합한 것으로,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칸 수 제한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이동 경로에 있는 적 기물을 잡을 수 있다. 아군 기물이 있는 칸이나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는 없다.
퀸은 체스 기물 중 가장 강하며, 기물 중에서 가장 가치가 높다. 일반적으로 폰 9개의 가치를 지닌다.
3. 배치 및 이동
4. 가치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 기물의 가치 없음 9 5 3 3 1
이 평가는 일반적인 것이며, 절대적이지 않다. 체스의 국면에 따라서 기물의 가치는 변한다.
퀸은 룩과 비숍의 조합보다 약간 강하지만, 2개의 룩보다는 약간 약하다.[1] 퀸을 상대 퀸을 제외한 단일 기물과 교환하는 것은 거의 항상 불리하다.
퀸이 룩과 비숍의 조합보다 강한 이유는, 비록 같은 수의 칸을 제어하더라도 두 가지이다.
룩과 비숍의 조합에 유리한 요소는 그들이 한 칸을 두 번 공격(또는 방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 퀸은 한 번만 할 수 있다. 그러나 경험상 이 요소는 일반적으로 퀸에게 유리한 점보다 덜 중요하다.[1]
퀸은 보드가 열려 있고, 적의 킹이 제대로 방어되지 않거나, 적 진영에 ''느슨한''(즉, 방어되지 않은) 기물이 있을 때 가장 강력하다. 퀸은 긴 사정거리와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 때문에 포크를 실행하는 데 적합하다. 다른 장거리 기물(예: 룩과 비숍)에 비해 퀸은 폐쇄적인 위치에서 제약이 적고 더 강력하다.
5. 전략
퀸은 넓은 범위와 기동성을 가지고 있어 포크에 능하다.[2] 특히 적 킹이 취약하거나 방어되지 않은 기물이 있을 때 강력하다.
초반에 퀸을 너무 빨리 전개하는 것은 적의 공격에 노출될 위험이 있어 일반적으로 좋지 않다.[2] 초보자들은 종종 초반에 퀸을 전개하여 적 진영을 약탈하고 스칼라스 메이트와 같은 초반 체크메이트를 시도하기도 한다. 그러나 초반 퀸 공격은 고수준의 체스에서는 드물다. 예외적으로, 스칸디나비아 방어 (1.e4 d5)와 같이 흑이 두 번째 및 세 번째 수에서 퀸을 움직이는 오프닝은 견고하다고 평가받으며 세계 선수권 레벨에서도 사용되었다. 댄버스 오프닝 (1.e4 e5 2.Qh5)과 같이 덜 일반적인 오프닝도 고수준 게임에서 관찰되는데, 미국의 그랜드마스터 나카무라 히카루가 가끔 사용하기도 했다.
퀸 교환은 종종 체스 엔드게임의 시작을 알리지만, 퀸 엔드게임도 존재한다. 때로는 엔드게임 훨씬 전에 오프닝에서 퀸을 교환하기도 한다. 엔드게임에서 흔한 목표는 폰을 퀸으로 승진시키는 것이다. 퀸과 킹 대 단독 킹은 기본 메이트 중 하나로 쉽게 이길 수 있다. 퀸과 킹 대 룩과 킹은 퀸을 가진 플레이어가 이기지만, 쉽지는 않다.
퀸은 이동력이 가장 강한 기물이므로, 초반에는 적의 공격 목표가 되기 쉽다. 따라서 퀸을 빠르게 전개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여겨진다. 반면, 중반 이후에는 퀸을 판 중앙 부근에 두면 강력하다.
퀸은 다른 말을 지키는 데 적합하지 않으며, 퀸으로만 지켜지는 말은 약점이 되기 쉽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전술에 이용되거나 핀될 가능성이 높다.
- 방어가 벗어나기 쉽다.
- 다른 말을 지키면 퀸의 가동 범위가 대폭 제한된다.
5. 1. 퀸 희생
'''퀸 희생'''은 더 유리한 전술적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퀸을 의도적으로 희생하는 것을 말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예시 중 하나는 불멸의 경기에서 아돌프 안데르센이 체크메이트에 도달하기 위해 퀸(다른 3개의 기물과 함께)을 희생한 것이다.6. 유니코드
유니코드에는 퀸을 나타내는 세 가지 코드 포인트가 정의되어 있다.[1]
- U+2655 흰색 체스 퀸 (♕)
- U+265B 검은색 체스 퀸 (♛)
- U+1FA01 중립 체스 퀸 (🨁)
참조
[1]
서적
Lærebok i sjakk
[2]
웹사이트
Nakamura's 2.Qh5
http://www.chessninj[...]
ChessNinja.com
2005-04-22
[3]
기타
[4]
기타
[5]
기타
[6]
기타
[7]
기타
[8]
기타
[9]
기타
[10]
기타
[11]
기타
[12]
웹사이트
Francesco di Castellvi vs. Narciso Vinyoles, Valencia 1475
http://www.chessgame[...]
[13]
기타
[14]
기타
[15]
기타
[16]
기타
[17]
기타
[18]
서적
[19]
웹사이트
В. Даль Ф-ФЮЛА
http://vidahl.agava.[...]
2013-07-07
[20]
웹사이트
http://www.classes.r[...]
[21]
문서
https://archive.org/[...]
[22]
웹사이트
Chatrang or Chaturanga, the oldest Chess
http://history.chess[...]
History of Chess
2009-12-28
[23]
웹사이트
Piececlopedia: Ferz
http://www.chessvari[...]
chessvariants.org
2001-12-15
[24]
서적
[25]
웹사이트
Mediaeval European Chess
http://history.chess[...]
History of Chess
2012-04-21
[2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