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앵카레 부등식은 소볼레프 공간의 함수와 그 기울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등식이다. 이 부등식은 고전적 푸앵카레 부등식, 푸앵카레-비르팅거 부등식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유계 영역에서 정의된 함수에 대해 성립한다. 푸앵카레 부등식은 측도 공간, 소볼레프-슬로보데츠키 공간 등 다양한 공간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공간의 기하학적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푸앵카레 부등식에서 최적의 상수 C는 푸앵카레 상수로 알려져 있으며, 영역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이 부등식은 편미분 방정식, 함수 공간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해석학 정리 - 옌센 부등식 옌센 부등식은 볼록 함수 f에 대해 f의 기댓값은 f의 인수의 기댓값에 적용된 함수 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부등식으로,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포함한 여러 부등식 유도에 사용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해석학 정리 - 음함수와 양함수 음함수와 양함수는 함수의 표현 방식에 따른 분류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양함수, 관계식이 한 식 안에 포함된 경우를 음함수라 하며, 음함수는 양함수로 표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고, 음함수 미분법, 음함수 정리 등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부등식 - 구매력 평가 구매력 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하여 국가 간 물가 수준을 비교하고 환율을 계산하는 경제 이론으로, GDP 비교나 환율 예측 등에 활용되지만 여러 한계점도 존재한다.
부등식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는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등 짝을 이루는 물리량들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두 물리량의 불확정성은 플랑크 상수에 의해 제한된다.
''p''가 1 ≤ ''p'' < ∞를 만족하고, Ω가 적어도 하나의 경계를 갖는 부분 집합이라고 하자. 그러면 Ω와 ''p''에만 의존하는 상수 ''C''가 존재하여, 소볼레프 공간 ''W''01,''p''(Ω) 내의 모든 함수 ''u''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
1 ≤ *p* ≤ ∞ 이고, Ω가 립시츠 경계를 갖는 *n*-차원 유클리드 공간 '''R'''*n*의 유계연결열린 부분 집합(즉, Ω는 립시츠 영역)이면, Ω와 *p*에만 의존하는 상수 *C*가 존재하여, 소볼레프 공간 *W*1,*p*(Ω) 내의 모든 함수 *u*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
여기서
:
\int_{\Omega} u(y) \, \mathrm{d} y
는 Ω에 대한 *u*의 평균값이며, |Ω|는 영역 Ω의 르베그 측도를 나타낸다. Ω가 구일 때, 이 부등식은 (p,p)-푸앵카레 부등식이라고 불린다. 보다 일반적인 영역 Ω에 대해서는 소볼레 부등식으로 알려져 있다.
2. 1. 고전적 푸앵카레 부등식
$1 \le p < \infty$이고 $\Omega$가 적어도 한 방향으로 유계인 집합일 때, 소볼레프 공간 $W_0^{1,p}(\Omega)$ (경계에서 0의 값을 갖는 함수들의 공간)의 모든 함수 $u$에 대해, $\Omega$와 $p$에만 의존하는 상수 $C$가 존재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 $\|u\|_{L^p(\Omega)} \le C \|\nabla u\|_{L^p(\Omega)}$
2. 2. 푸앵카레-비르팅거 부등식
$1 \le p \le \infty$이고 $\Omega$가 립시츠 경계를 갖는 $n$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bb{R}^n$의 유계, 연결 열린 부분 집합일 때 (즉, $\Omega$는 립시츠 영역이다), 소볼레 공간 $W^{1,p}(\Omega)$의 모든 함수 $u$에 대해 $\Omega$와 $p$에만 의존하는 상수 $C$가 존재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 $\|u - u_\Omega\|_{L^p(\Omega)} \le C \|\nabla u\|_{L^p(\Omega)}$
여기서 $u_\Omega = \frac{1}
\int_{\Omega} u(y) \, \mathrm{d} y$는 $\Omega$에서 $u$의 평균값이고, $|\Omega|$는 정의역 $\Omega$의 르베그 측도를 나타낸다. $\Omega$가 구일 때 위의 부등식을 $(p,p)$-푸앵카레 부등식이라고 하며, 보다 일반적인 정의역 $\Omega$의 경우에는 소볼레 부등식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평균값을 빼야 하는 이유는 상수 함수를 고려하면 명확해진다. 상수 함수는 도함수가 0이지만, 평균값을 빼지 않으면 함수의 적분값을 임의로 크게 만들 수 있다. 상수 함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균값을 빼는 대신 다른 조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스 제로를 만족하거나 정의역의 부분집합에서 평균값을 빼는 것이다. 푸앵카레 부등식의 상수 $C$는 이러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함수에 상수값을 더하면 적분은 증가하지만 도함수의 적분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단순히 상수 함수를 제외하는 것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3. 일반화
측도 공간과 거리-측도 공간에서 푸앵카레 부등식은 일반적인 정의와 약간 다르다. 어떤 $1 \le q, p < \infty$와 상수 $C$, $\lambda \ge 1$에 대해, 공간 내의 각 공 $B$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하면, 이 공간은 $(q, p)$-푸앵카레 부등식을 만족한다고 한다.[12]
여기서 $u_B$는 $B$에서 $u$의 평균값, $\operatorname{rad}(B)$는 공 $B$의 반지름, $\lambda B$는 $B$를 $\lambda$배 확대한 공을 의미한다. $\|\nabla u\|$는 Heinonen과 Koskela가 정의한 $u$의 최소 $p$-약 상위 기울기이다.[2]
공간이 푸앵카레 부등식을 만족하는지 여부는 그 공간의 기하학과 분석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Cheeger는 푸앵카레 부등식을 만족하는 두 배 공간이 미분 개념을 허용한다는 것을 보였다.[3] 이러한 공간에는 부분 리만 다양체와 Laakso 공간이 포함된다.
다른 소볼레 공간에 대한 일반화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푸리에 변환 $\hat{u}$가 다음을 만족하는 함수 $u$들의 공간인 소볼레 공간 $H^{1/2}(\mathbf{T}^2)$ (단위 토러스 $\mathbf{T}^2$ 위의 L^2 공간에 속하는 함수들의 공간)을 고려해 보자.
여기서 $\operatorname{cap}(E \times \{0\})$는 $\mathbb{R}^3$의 부분집합으로 간주했을 때 $E \times \{0\}$의 조화 용량을 나타낸다.
또한, 르베그 측도를 가중치를 부여한 측도로 대체하는 가중 푸앵카레 부등식도 존재한다.
3. 1. 측도 공간에서의 푸앵카레 부등식
측도 공간에서 푸앵카레 부등식은 일반적인 정의와 약간 다르다. 어떤 $1 \le q, p < \infty$ 와 상수 $C$, $\lambda \ge 1$에 대해, 공간 내의 각 공 $B$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하면, 이 공간은 $(q, p)$-푸앵카레 부등식을 만족한다고 한다.[12]
여기서 $\operatorname{rad}(B)$는 공 $B$의 반지름을 나타내고, $\lambda B$는 $B$를 $\lambda$배 확대시킨 공을 의미한다. $\|\nabla u\|$는 Heinonen과 Koskela가 정의한 $u$의 최소 $p$-약 상위 기울기이다.[2]
어떤 공간이 푸앵카레 부등식을 만족하는지 여부는 그 공간의 기하학적, 해석적 성질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Cheeger는 푸앵카레 부등식을 만족하는 두 배 공간이 미분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보였다.[3] 이러한 공간에는 부분 리만 다양체와 Laakso 공간 등이 포함된다.
푸앵카레 부등식은 다른 소볼레 공간으로도 일반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리에 변환 $\hat{u}$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u$들의 공간인 소볼레 공간 $H^{1/2}(\mathbf{T}^2)$ (단위 토러스 $\mathbf{T}^2$ 위의 L^2 공간에 속하는 함수들의 공간)을 생각해 보자.
여기서 $\operatorname{cap}(E \times \{0\})$는 $\mathbb{R}^3$의 부분집합으로 간주했을 때 $E \times \{0\}$의 조화 용량을 나타낸다.[4]
또한, 르베그 측도를 가중치를 부여한 측도로 대체한 가중 푸앵카레 부등식도 존재한다.
3. 2. 소볼레프-슬로보데츠키 공간에서의 푸앵카레 부등식
0 < s < 1영어이고 p ∈ [1, ∞)영어일 때, 소볼레프-슬로보데츠키 공간 Ws,p(Ω)영어에서 푸앵카레 부등식은 다음과 같이 일반화될 수 있다.[4]
:
여기서 uΩ영어는 Ω영어에 대한 u영어의 평균이고, C영어는 s, p영어 및 Ω영어에 의존하는 상수이다. 이 부등식은 모든 유계 Ω영어에 대해 성립한다. [u]s,p영어는 세미노름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4. 푸앵카레 상수
푸앵카레 부등식에서 최적의 상수 *C*는 영역 Ω에 대한 푸앵카레 상수라고 불린다. 푸앵카레 상수를 결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p* 값과 영역 Ω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존하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14][15] 그러나 특수한 경우에는 다루기 쉽다. 예를 들어, Ω가 지름이 *d*인 유계, 볼록 립시츠 영역인 경우, 푸앵카레 상수는 *p* = 1일 때 최대 *d*/2이고, *p* = 2일 때 최대 *d*/π이다.[15] 이는 지름만으로 푸앵카레 상수에 대한 최상의 추정치이다. 매끄러운 함수의 경우, 이는 함수의 레벨 집합에 대한 등주 부등식의 적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16] 1차원에서 이것은 함수에 대한 비르팅거 부등식이다.
그러나 일부 특수한 경우 상수 *C*를 구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 = 2인 경우, 단위 이등변 직각삼각형 영역에서 *C* = 1/π (*d*/π, 여기서 d=\sqrt{2})이다.
또한 매끄럽고 제한된 영역 Ω의 경우, 공간 W^{1,2}_0(\Omega)에서 라플라스 연산자에 대한 레일리 몫은 (음의) 라플라시안의 최소 고유값 λ1에 해당하는 고유함수에 의해 최소화되며, 다음이 성립한다.
[1]
논문
Sur les Equations aux Dérivées Partielles de la Physique Mathématique
http://www.jstor.org[...]
1890
[2]
논문
Quasiconformal maps in metric spaces with controlled geometry
[3]
논문
Differentiability of Lipschitz functions on metric measure spaces
1999-08-01
[4]
논문
"Γ-limit of a phase-field model of dislocations"
[5]
논문
An optimal Poincaré inequality in ''L''1 for convex domains
[6]
논문
An optimal Poincaré inequality for convex domains
[7]
웹사이트
L1 Poincare Inequality
http://maze5.net/?pa[...] [8]
논문
Estimation of interpolation error constants for the P0 and P1 triangular finite elements
[9]
논문
Improved Poincaré inequalities in fractional Sobolev spaces
2018
[10]
논문
Limiting embedding theorems for W^{s,p} when s\uparrow 1 and applications
[11]
논문
Sur les Equations aux Dérivées Partielles de la Physique Mathématique
http://www.jstor.org[...]
1890
[12]
논문
Quasiconformal maps in metric spaces with controlled geometry
[13]
논문
Differentiability of Lipschitz functions on metric measure spaces
1999-08-01
[14]
논문
An optimal Poincaré inequality in ''L''1 for convex domains
[15]
논문
An optimal Poincaré inequality for convex domains
[16]
웹인용
L1 Poincare Inequality
http://maze5.net/?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