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프로덕트 매니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담당하고 관리하는 사람으로, 제품 오너라고도 불린다. 제품의 시장 조사, 계획, 마케팅, 판매원 양성, 애프터 서비스 등 제품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수행하며, 제품별 이익 관리를 통해 기업 성장에 기여한다. 프로젝트 관리자, 프로그램 관리자, 제품 오너, 제품 마케팅 매니저 등 유사한 역할과 혼동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는 제품의 수익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품 관리자는 엔지니어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경력을 시작하여 전환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문적인 발전을 위해 데이터 기반 기술, 협력 능력, 재무 기술 등을 향상시켜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품 관리 - 낙수 효과
    낙수 효과는 부유층의 부가 증가하면 사회 전체로 긍정적인 효과가 확산되어 서민층의 경제적 상황도 개선된다는 이론이지만, 경제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오히려 소득 불균형 심화와 같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는 비판이 있다.
  • 제품 관리 - 제품 차별화
    제품 차별화는 기업이 경쟁 제품과 차별성을 부각하여 소비자 수요를 확보하는 전략으로, 단순, 수평, 수직적 차별화로 나뉘며 광고, 포장, 브랜드화 등의 마케팅 활동을 통해 경쟁 우위를 점하고 틈새 시장을 공략한다.
  • 경영직 - 교장
    교장은 학교 교육 활동을 총괄하고 교직원을 감독하며 학교 운영 전반을 책임지는 교육직 공무원의 최고 직위로, 국가와 학교 규모에 따라 역할과 임용 방식, 자격 요건이 다르다.
  • 경영직 - 최고경영자
    최고경영자는 이사회에서 권한을 위임받아 전략 경영, 주요 정책 결정, 조직 운영을 총괄하는 최고 경영 책임자로서, 역할은 조직 구조와 법률에 따라 다르며, 임명과 해임은 이사회의 권한이다.
프로덕트 매니저

2. 정의

마케팅 활동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는 특정 제품이나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달성하기 위해 조직된 팀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연구개발 분야의 프로젝트 매니저와 유사하게, 전통적인 업무 활동별 횡적 분할 조직이 아닌, 특정 목표 달성을 위한 종적 분할 조직팀을 이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프로덕트 매니저 제도는 1828년 미국의 P&G가 래버 소프(lava soapeng) 담당의 플랜트 매니저를 임명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2. 1. 주요 업무

제품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담당하고 관리하며 책임을 지는 사람으로, '프로덕트 오너'라고 부르기도 한다. 흔히 브랜드의 상품기획 부문에 속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히트 상품을 준비하는 활동을 의미하여 브랜드에 따라서 '머천다이저'라고도 부른다. 마케팅 계획 수립과 집행, 예산 집행, 각종 프로그램 집행, 심포지엄 등 제품과 관련된 모든 중요한 일을 결정한다. 권한이 큰 만큼 판매 실적 부진에 따른 책임과 부담도 크다.[13]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별로 임명되어 시장 조사, 제품 계획에서부터 판매원 양성, 광고, 애프터 서비스 등의 모든 마케팅 기능에 대하여 조사를 수행하고, 목적 달성의 방향으로 직무를 추진한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마케팅 부장의 스태프라고 할 수 있으나, 신제품의 판매에서 판매까지의 프로덕트팀 운영에 있어서는 라인의 부장으로서 팀을 조정하고 추진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품 관리자는 제품의 의도된 고객 또는 사용자, 경쟁사가 제공하는 제품, 그리고 제품이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에 얼마나 잘 부합하는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다. 제품 관리자의 업무 범위는 매우 다양하며, 일부는 하나 이상의 제품 라인을 관리하고 다른 사람(특히 대기업)은 제품의 작은 구성 요소 또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3]

금융 서비스 산업(은행, 보험 등)에서는 금융 상품(예: 신용카드 포트폴리오)과 그 손익을 관리하며 사업 개발 전략을 결정하기도 한다.[4]

이 용어는 다음과 같은 다른 유사한 역할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 '''프로젝트 관리자''': 일정 및 자원 관리에 관련된 모든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 '''프로그램 관리자''':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TPM)라고도 하며, 일정, 자원 및 부서 간 실행과 관련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 '''제품 오너''': 애자일 개발 방법론에서 인기 있는 역할로, 자체적으로 캡슐화된 기능 또는 기능 세트의 계획, 개발 및 릴리스와 관련된 모든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 '''제품 마케팅 관리자''': 제품의 아웃바운드 마케팅 활동을 담당하며, 개발 및 부서 간 실행은 담당하지 않는다.

3. 역할 및 중요성

마케팅 활동에서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는 특정 제품(Product)이나 프로젝트(Project)를 완성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된 팀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연구개발 분야의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Manager)와 유사하게, 전통적인 업무 활동별 횡적 분할 조직이 아닌, 특정 목표 중심의 종적 분할 조직을 관리한다는 특징이 있다.

프로덕트 매니저 제도는 1928년 미국의 P&G(The Procter & Gamble Co.)가 '래버 소프'(lava soap) 담당 플랜트 매니저(plant manager)를 임명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제품 관리자는 제품의 대상 고객, 경쟁 환경, 회사 비즈니스 모델과의 적합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다.[3] 그 역할 범위는 관리하는 제품 라인이나 기업 규모에 따라 다양하며, 금융 서비스 산업 등 특정 분야에서는 해당 산업의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4]

이 역할은 프로젝트 관리자, 프로그램 관리자, 제품 오너, 제품 마케팅 관리자 등 유사한 다른 직무와 혼동되기도 한다.[5] 제품 관리자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제품 개발 전반의 다양한 활동을 조율하며,[6] 시장 동향과 경쟁을 평가하여 제품의 방향을 결정한다. 팀 내 협업을 촉진하고,[7] 비즈니스, 디자인, 기술 영역의 교차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3. 1. 역할

제품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담당하고 관리하며 책임을 지는 사람으로, '프로덕트 오너'라고 부르기도 한다. 흔히 브랜드의 상품기획 부문에 속하며, 경우에 따라 히트 상품을 준비하는 활동을 지칭하거나 브랜드에 따라 '머천다이저'라고 불리기도 한다. 마케팅 계획 수립과 집행, 예산 집행, 각종 프로그램 집행, 심포지엄 등 제품과 관련된 모든 중요한 일을 결정한다. 권한이 큰 만큼 판매 실적 부진에 따른 책임과 부담도 크다.[13]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별로 임명되어, 해당 제품의 시장 조사, 제품 계획에서부터 판매원 양성, 광고, 애프터 서비스 등 모든 마케팅 기능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직무를 추진한다. 조직 내에서는 마케팅 부장의 스태프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신제품 개발부터 판매까지의 프로덕트 팀 운영에 있어서는 라인 관리자로서 팀을 조정하고 추진하는 기능을 갖기도 한다.

제품 관리자는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 또는 사용자, 경쟁사의 제품, 그리고 해당 제품이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에 얼마나 잘 부합하는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역할의 범위는 매우 다양해서, 여러 제품 라인을 관리하는 경우도 있고, 특히 대기업에서는 제품의 작은 구성 요소나 기능만을 관리하기도 한다.[3]

금융 서비스 산업(은행, 보험 등)에서는 제품 관리자가 신용 카드 포트폴리오와 같은 금융 상품과 그 손익을 관리하며, 사업 개발 전략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4]

이 용어는 다음과 같은 다른 유사한 역할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역할주요 활동
프로젝트 관리자일정 및 자원 관리와 관련된 모든 활동
프로그램 관리자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 TPM)일정, 자원 및 부서 간 실행과 관련된 활동
제품 오너 (애자일 개발 방법론)자체적으로 캡슐화된 기능 또는 기능 세트의 계획, 개발 및 릴리스와 관련된 모든 활동
제품 마케팅 관리자제품의 아웃바운드 마케팅 활동 (개발 및 부서 간 실행은 담당하지 않음)



제품 관리자 역할은 기업의 제품 라인이 복잡해짐에 따라 이를 관리하고 해당 제품의 수익성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제품 관리자는 고객과 효과적으로 협력하고 제품이 해결하려는 문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주요 기술을 갖추고 있다면 다양한 배경에서 올 수 있다.[5]

제품 관리자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이 제공되도록 다양한 활동을 조율할 책임이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 제품 관리자의 역할은 소프트웨어의 수명 주기에 따라 변화한다. 개발 초기에는 제품의 의도된 사용자를 만나 요구 사항 수집을 수행하고,[6] 수명 주기 후반에는 제품의 인수 테스트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제품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제품 관리자는 최종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대변하고, 시장 동향과 경쟁 상황을 평가하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어떤 기능을 개발할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요청하거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특정 기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개발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 결정을 돕기 위해 제품 관리자는 제품에 대한 비전이나 결정을 위한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제품 발전을 위해 팀의 모든 구성원 간의 응집력 있고 집중된 협업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7] 제품 관리자는 종종 비즈니스, 디자인, 기술의 교차점에 위치한다고 여겨진다.

3. 2. 중요성

프로덕트 매니저는 특정 제품을 책임지고 시장조사, 제품 계획부터 판매원 교육, 광고, 사후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모든 마케팅 관련 활동을 조사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업무를 추진한다. 마케팅 부서장의 지원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신제품 개발부터 판매까지의 과정을 이끄는 팀장으로서 팀을 조율하고 이끄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 역할의 주된 목적은 제품별 이익 관리를 철저히 하여 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확보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활동은 다음과 같다.

  • 제품별 광고비, 판매촉진 비용, 판매 경비 등 마케팅 비용이 적절한지 검토한다.
  • 판매액 구성을 분석하여 이익률이 낮은 제품의 비중이 크지 않은지 확인한다.
  • 재고율, 반품률 등이 기준치를 넘어 이익을 저해하지 않는지 항상 점검한다.

이를 통해 이익률이 높은 상품을 개발하고, 불필요한 재고를 줄여 적정 재고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품 관리자는 제품의 잠재 고객이나 사용자, 경쟁사의 제품, 그리고 자사 제품이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과 얼마나 잘 맞는지를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역할의 범위는 매우 다양해서, 여러 제품 라인을 관리하는 경우도 있고, 대기업에서는 제품의 특정 기능이나 작은 부분을 담당하기도 한다.[3]

금융 서비스 산업(은행, 보험 등)에서는 금융 상품(예: 신용 카드 포트폴리오)과 그 손익을 관리하며, 사업 개발 전략을 결정하는 역할도 맡는다.[4]

프로덕트 매니저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유사한 역할과 혼동되기도 한다.

역할주요 책임
프로젝트 관리자일정 및 자원 관리에 관련된 활동 수행
프로그램 관리자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 TPM)일정, 자원 및 부서 간 실행 관련 활동 수행
제품 오너 (애자일 개발 방법론)특정 기능 또는 기능 세트의 계획, 개발, 릴리스 관련 활동 수행
제품 마케팅 관리자제품의 외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 담당 (개발 및 실행 제외)



제품 관리자 역할은 기업 내 복잡한 제품 라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해당 제품의 수익성을 보장하기 위해 생겨났다. 제품 관리자는 고객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제품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면 다양한 배경을 가질 수 있다.[5]

특히 소프트웨어 제품 관리자의 경우, 제품 개발 초기에는 사용자를 만나 요구사항 수집을 수행하고,[6] 개발 후반에는 제품의 인수 테스트에 집중하는 등 제품 수명 주기에 따라 역할의 초점이 달라진다. 개발 과정 전반에 걸쳐 제품 관리자는 최종 사용자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시장 동향과 경쟁 상황을 분석하여 어떤 기능을 개발할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이 있거나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특정 기능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제품 관리자는 제품에 대한 비전이나 의사결정의 기준을 제시하기도 한다. 또한, 제품 개발을 위해 팀 구성원 모두가 긴밀하고 집중적으로 협력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7] 제품 관리자는 종종 비즈니스, 디자인, 기술이라는 세 영역의 교차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4.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프로덕트 매니저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조율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은 제품의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사용자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시장 동향과 경쟁 상황을 평가하여 제품에 필요한 기능을 결정한다.[7] 제품 관리자는 종종 비즈니스, 디자인, 기술이라는 세 영역이 만나는 지점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위치에 있다고 여겨진다.

4. 1. 역할 변화

제품 관리자 역할은 기업의 제품 라인이 복잡해짐에 따라 이를 관리하고 제품의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제품 관리자는 다양한 배경을 가질 수 있지만, 고객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제품이 해결하려는 문제를 이해하는 능력이 중요하다.[5]

제품 관리자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조율하는 책임을 진다. 특히 소프트웨어 제품 관리자의 역할은 제품의 수명 주기에 따라 변화한다. 개발 초기에는 사용자를 만나 요구 사항 수집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며,[6] 개발 후반에는 제품의 인수 테스트에 집중할 수 있다. 제품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제품 관리자는 최종 사용자의 요구를 대변하고, 시장 동향과 경쟁 상황을 평가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어떤 기능을 개발할지 결정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이나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특정 기능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 결정을 돕기 위해 제품 관리자는 제품에 대한 비전이나 의사 결정의 기준을 제시하기도 한다. 또한 제품 개발을 위해 팀 구성원 모두가 협력하고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도 중요한 역할이다.[7] 제품 관리자는 종종 비즈니스, 디자인, 기술 영역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고 여겨진다.

4. 2. 애자일 개발과 프로덕트 오너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는 제품 전달의 책임을 제품 오너가 맡는다. 이는 제품 관리자나 엔지니어링 관리자가 제품 개발 단계에서 맡을 수 있는 프로젝트 역할로, 전술적 계획과 요구 사항의 성공적인 구현을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제품 관리자는 제품의 시장 성공을 목표로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는 반면, 제품 오너는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생성된 제품 또는 기능 증분의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가치는 조직 내부의 이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제품의 시장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는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오너는 주로 제품 개발 자체에 집중하며, 그 책임은 해당 프로젝트 기간으로 한정될 수 있다. 반면, 제품 관리자 역할은 시장과 제품 라인에 대한 장기적인 시각을 필요로 한다.

애자일 프로젝트 내에서 제품 오너의 주요 일상 업무는 제품 백로그를 만들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제품 백로그는 개발팀이 수행해야 할 작업 목록으로, 프로젝트를 통해 창출될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관리된다.[8] 제품 백로그는 주로 사용자 스토리 형태로 작성되는데, 이는 특정 기능이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해야 하는지를 간략하게 설명한 것이다. 각 사용자 스토리에는 해당 기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인 인수 기준이 포함된다. 기능의 구체적인 개발 방법은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협력하여 결정한다. 개발 스프린트가 끝나면, 제품 오너는 개발된 기능이 사전에 정의된 인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지 확인해야 하며, 이 확인이 완료되어야 해당 기능에 대한 작업이 공식적으로 끝난 것으로 간주된다.[9]

5. 다른 역할과의 관계

제품 관리자는 제품의 목표 고객이나 사용자, 경쟁사의 제품, 그리고 제품이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과 얼마나 잘 맞는지를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다. 제품 관리자의 업무 범위는 매우 다양하여, 일부는 하나 이상의 제품 라인을 관리하기도 하고, 특히 대기업에서는 제품의 작은 구성 요소나 기능만을 관리하기도 한다.[3]

금융 서비스 산업(은행, 보험 등)에서는 제품 관리자가 신용 카드 포트폴리오와 같은 금융 상품과 그 손익을 관리하며, 사업 개발 전략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4]

프로덕트 매니저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다른 유사한 역할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3]


  • 프로젝트 관리자: 일정 및 자원 관리에 관련된 활동을 주로 수행한다.
  • 프로그램 관리자: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TPM)라고도 하며, 일정, 자원 관리 및 부서 간 실행과 관련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 제품 오너: 애자일 개발 방법론에서 주로 사용되는 역할로, 특정 기능 또는 기능 세트의 계획, 개발, 출시와 관련된 활동을 수행한다.
  • 제품 마케팅 관리자: 제품의 아웃바운드 마케팅 활동을 담당하며, 제품 개발이나 부서 간 실행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


특히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는 제품 전달 책임을 제품 오너가 맡는 경우가 많다. 제품 오너는 제품 개발 단계에서 전술적 계획과 요구 사항의 성공적인 구현을 보장하는 프로젝트 역할에 가깝다. 반면, 제품 관리자는 제품의 시장 성공에 초점을 맞추고 전략적이며 장기적인 관점을 가진다. 제품 오너는 조직 내부의 이익을 포함하여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생성된 제품이나 결과물의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반드시 제품의 시장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오너는 주로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그 책임이 프로젝트 기간으로 한정될 수 있는 반면, 제품 관리자는 시장과 제품 라인에 대한 장기적인 시각을 필요로 한다.[8]

애자일 프로젝트 내에서 제품 오너의 주요 역할은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를 생성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제품 백로그는 개발팀이 수행해야 할 작업 목록으로,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관리된다.[8] 제품 백로그는 기능이 수행해야 할 작업에 대한 간략한 설명인 사용자 스토리와, 해당 기능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기 위한 기준인 인수 기준으로 구성된다. 기능 개발의 구체적인 방법은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협의하여 결정한다. 개발 스프린트가 끝나면 제품 오너는 인수 기준이 충족되었는지 확인하며, 이때 해당 기능에 대한 작업이 공식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간주한다.[9]

5. 1. 프로젝트 매니저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프로젝트 매니저'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5. 2. 프로그램 관리자

5. 3. 마케팅 매니저

마케팅 활동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는 특정 제품이나 계획(프로젝트)을 완성하고 달성하기 위해 조직된 팀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기존의 업무 활동별 횡적 분할 조직과 달리, 특정 목표 달성을 위한 종적 분할 조직팀을 관리한다는 점에서 프로젝트 매니저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프로덕트 매니저 제도는 1828년 미국 프록터 앤드 갬블(The Procter & Gamble Co.)에서 '래버 소프'(lava soap) 담당의 플랜트 매니저(plant manager)를 임명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사람으로, '프로덕트 오너'라고도 불린다. 주로 브랜드의 상품 기획 부문에 속하며, 때로는 히트 상품을 준비하는 활동을 지칭하기도 하고, 브랜드에 따라 '머천다이저'라고 불리기도 한다. 마케팅 계획 수립과 집행, 예산 집행, 각종 프로그램 운영, 심포지엄 개최 등 제품과 관련된 모든 중요한 의사결정을 담당한다. 큰 권한만큼 판매 실적 부진에 대한 책임과 부담도 크다.[13]

광고 분야에서는 특정 광고주의 광고 계획이나 캠페인을 기획, 실행, 평가하기 위해 광고대행사 내에 전문가 그룹이나 팀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를 프로덕트 팀(product team)이라고도 부르며, 일반적으로 팀의 책임은 AE(Account Executive, 광고주 담당자)가 맡는다. AE의 요청에 따라 미디어, 크리에이티브, 마케팅, 세일즈 프로모션 등 각 분야 전문가들로 팀이 구성된다. AE는 광고대행사에 소속되어 광고주와 대행사 간의 연락을 담당하며, 광고주의 광고를 전담하는 어카운트 서비스(account service) 팀, 특히 광고 기획을 담당하는 어카운트 매니지먼트(account management) 부문에 속한다. AE는 광고주에게는 대행사를 대표하고, 대행사에게는 광고주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제품별 책임자를 두어 각 부문과의 연락 및 조정을 통해 제품이 시기적절하게 출시되도록 촉진하는 전문가 제도를 프로덕트 매니저 제도(product manager system)라고 한다.[13]

6. 경력 발전

제품 관리자의 경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작되고 발전한다. 다른 직무에서 전환하거나, 특정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경력을 시작할 수 있다. 초기에는 개인 기여자로서 실무 경험을 쌓으며 영향력을 통해 팀을 이끌고,[10] 점차 관리직으로 승진하여 최고 제품 책임자와 같은 고위직까지 오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분석, 협업, 재무 등 다양한 전문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며,[11] 이러한 경험은 최고 경영진으로 성장하는 데 밑거름이 되기도 한다.[12]

6. 1. 승진 경로

제품 관리자는 엔지니어나 다른 전문 분야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제품 관리 직무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다. 채용 시에는 사례 기반의 제품 전략 면접, 분석 면접, 행동 면접 등을 혼합한 구조화된 면접 과정을 거친다. 최근에는 구글의 어소시에이트 제품 매니저(Associate Product Manager) 프로그램이나 페이스북의 로테이션 제품 매니저(Rotational Product Manager) 프로그램처럼 대규모 기술 기업들이 신입 졸업생을 직접 채용하여 훈련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초기 경력의 제품 관리자는 직접적인 부하 직원이 없는 개인 기여자(Individual Contributor)로서, 여러 기능 부서로 이루어진 제품 팀 내에서 '영향력을 통해 리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0] 경력이 쌓이면 그룹 제품 매니저(Group Product Manager), 제품 리드(Product Lead) 또는 제품 디렉터(Product Director)와 같은 직책을 맡아 다른 제품 관리자들을 관리하게 된다. 승진 경로의 정점에는 최고 제품 책임자(Chief Product Officer, CPO)가 있으며, 이들은 제품 헤드(Head of Product) 또는 제품 부사장(VP of Product)으로도 불린다. CPO는 제품 전략 수립, 부서 간 조정, 인력 채용 및 관리 등 제품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총괄한다.

전문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 기술(제품 분석, 단위 경제, 지표 기반 의사 결정 등), 다른 부서와의 협업 능력, 재무 관련 지식 등을 꾸준히 향상시켜야 한다.[11] 제품 관리자는 책임지는 업무 범위가 넓기 때문에, 기술 기업의 최고 경영진(C-level) 리더십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과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2]

6. 2. 역량 개발

제품 관리자는 종종 엔지니어나 다른 기능 분야 전문가로 경력을 시작하여 제품 관리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다. 채용 시에는 일반적으로 사례 기반의 제품 전략 면접, 분석 면접, 전통적인 행동 면접을 혼합한 구조화된 면접 과정을 거친다. 최근에는 구글의 어소시에이트 제품 매니저(Associate Product Manager|어소시에이트 프로덕트 매니저eng) 프로그램이나 페이스북의 로테이션 제품 매니저(Rotational Product Manager|로테이션 프로덕트 매니저eng) 프로그램처럼, 대규모 기술 기업들이 신규 졸업생을 직접 채용하고 훈련하는 프로그램도 늘어나고 있다.

개인 기여 제품 관리자는 직접적인 부하 직원을 두지 않고, 여러 기능이 통합된 제품 팀 내에서 "영향력을 통해 리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0] 경력이 쌓이면 그룹 제품 매니저(Group Product Manager|그룹 프로덕트 매니저eng), 제품 리드(Product Lead|프로덕트 리드eng), 제품 디렉터(Product Director|프로덕트 디렉터eng) 등의 직책을 맡아 다른 제품 관리자들을 관리하게 된다. 최고 제품 책임자(CPO, Chief Product Officer)는 제품 전략, 조정, 채용, 관리 등 모든 제품 관련 활동을 총괄한다.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 기술, 즉 제품 분석, 단위 경제, 지표를 활용한 의사 결정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다른 부서와의 협업 능력과 재무 관련 기술도 향상시켜야 한다.[11]

제품 관리자는 책임 범위가 넓기 때문에 기술 기업의 C-레벨 리더십 역할을 위한 훈련 과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2]

7. 저명한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덕트 매니저 역할을 맡았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8.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커뮤니티

프로덕트 매니저의 경력 발전을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커뮤니티에 가입하는 것이다. 많은 커뮤니티가 시작되었으며, 주요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커뮤니티는 다음과 같다.


  • ProductTank
  • Lenny Rachiskvey and Friends
  • Product School

참조

[1] 서적 Cracking the PM career https://www.cracking[...]
[2] 서적 Cracking the PM interview: how to land a product manager job in technology https://books.google[...]
[3] 서적 Organizational behavior and the practice of management Scott, Foresman and Co 1982
[4] 웹사이트 Importance and Components of the Financial Services Sector https://www.investop[...] 2023-03-17
[5] 서적 Take Charge Product Management https://books.google[...] Greg Geracie 2010-07
[6] 서적 Agile Excellence for Product Managers: A Guide to Creating Winning Products with Agile Development Teams https://books.google[...] Happy About
[7] 서적 Software Engineering: Evolution and Emerging Technologies https://archive.org/[...] IOS Press
[8] 웹사이트 What is a Product Owner? https://www.scrum.or[...] 2019-10-18
[9] 서적 Agile Excellence for Product Managers: A Guide to Creating Winning Products with Agile Development Teams https://books.google[...] Happy About
[10] 웹사이트 Influence Without Authority https://generalassem[...] 2019-04-17
[11] 웹사이트 Поймали звезду: как «Вечерний Ургант для продактов» выручил 50 млн руб. : https://pro.rbc.ru/d[...] 2024-07-05
[12] 웹사이트 Want to Be a Great CEO? Be a Great Product Manager First https://www.inc.com/[...] 2019-04-17
[13] 문서 《매스컴대사전》 한국언론연구원(현 한국언론진흥재단(1993년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