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메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메튬은 은백색의 방사성 금속 원소로, 란타넘족에 속하며 원자 번호는 61이다. 프로메튬은 자연계에 안정 동위원소가 존재하지 않아, 우라늄 핵분열 생성물에서 추출하거나 인공적으로 합성한다. 주요 동위원소인 프로메튬-147은 야광 페인트, 원자력 전지, 재료 두께 측정 등에 활용된다. 방사성 물질이므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메튬 - 프로메튬 동위 원소
프로메튬 동위 원소는 모두 방사성인 41개의 핵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반감기, 붕괴 방식, 핵 스핀을 가지고 야광 페인트, 원자력 배터리, 핵의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연구되고, 원자력 발전과 관련이 깊다. - 가상 인물의 이름이 포함된 화학 원소 - 토륨
토륨은 은백색의 방사성 악티늄족 금속 원소로, 높은 녹는점과 끓는점을 가지며 지구 지각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핵연료로서의 잠재력을 지니지만, 방사능으로 인해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가상 인물의 이름이 포함된 화학 원소 - 탄탈럼
탄탈럼은 1802년 발견된 청회색 전이 금속으로, 니오븀과 유사한 화학적 성질, 뛰어난 내식성, 높은 융점을 가지며 축전기, 합금, 의료용 임플란트 등에 사용되고 콩고민주공화국 콜탄 채굴과 관련된 분쟁 광물 이슈가 있다. - 란타넘족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란타넘족 - 루테튬
루테튬은 원소 기호 Lu, 원자 번호 71을 갖는 희토류 원소로, 란타넘족 중 밀도, 녹는점, 경도가 가장 높고, 주로 +3의 산화 상태를 가지며, 안정 동위원소와 방사성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하고, 제한적인 상업적 용도에도 불구하고 촉매, LED, PET, 연대 측정, 암 치료 등에 사용된다.
프로메튬 | |
---|---|
기본 정보 | |
![]() | |
일본어 이름 | 프로메치우무 (プロメチウム) |
영어 이름 | 프러미시엄 (Promethium) |
라틴어 이름 | 프로메티움 (Promethium) |
일반 정보 | |
원자 번호 | 61 |
원소 기호 | Pm |
발음 | [proʊˈmiːθiəm] |
주기 | 6 |
족 | 3 |
분류 | 란타넘족 |
블록 | f |
전자 배치 | [Xe] 4f 6s |
껍질별 전자 수 | 2, 8, 18, 23, 8, 2 |
상태 | 고체 |
밀도 | 7.26 g/cm3 |
녹는점 | 1315 K (1042 °C) |
끓는점 | 3273 K (3000 °C) |
융해열 | 7.13 kJ/mol |
기화열 | 289 kJ/mol |
결정 구조 | 육방정계 |
산화 상태 | 3 (약한 염기성 산화물) |
전기 음성도 | ? 1.13 |
이온화 에너지 | 1차: 540 kJ/mol 2차: 1050 kJ/mol 3차: 2150 kJ/mol |
원자 반지름 | 183 pm |
공유 반지름 | 199 pm |
자기 정렬 | 상자성 |
물리적 성질 | |
전기 저항 | (실온) est. 0.75 µΩ·m |
열 전도율 | 17.9 W/(m·K) |
열팽창 계수 | (실온) (α, poly) est. 11 µm/(m·K) |
영률 | (α form) est. 46 GPa |
전단 탄성 계수 | (α form) est. 18 GPa |
부피 탄성 계수 | (α form) est. 33 GPa |
포아송 비 | (α form) est. 0.28 |
기타 정보 | |
CAS 등록번호 | 7440-12-2 |
동위 원소 | |
동위 원소 정보 | mn: "145" sym: Pm na: syn hl: "17.7 y" dm: ε de: "0.163" pn: "145" ps: Nd mn: "146" sym: Pm na: syn hl: "5.53 y" dm1: ε de1: "1.472" pn1: "146" ps1: Nd dm2: β de2: "1.542" pn2: "146" ps2: Sm mn: "147" sym: Pm na: trace hl: "2.6234 y" dm: β de: "0.224" pn: "147" ps: Sm |
2. 성질
프로메튬은 은백색 금속으로, 상온 및 상압에서 육방조밀충진구조(ABAC 스태킹)를 가진다. 비중은 7.2이며, 녹는점은 1,168 ℃, 끓는점은 2,460 ℃이다. 안정적인 원자가는 4f4 전자 배치를 갖는 3가이며, 수화 이온 Pm3+ aq는 연한 분홍색을 띤다. 물리적, 화학적 성질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59]
방사성으로 인해 청백색~녹색의 형광을 방출하며[59], 베타선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원자력 전지의 재료로 사용이 고려되고 있다.[57]
2. 1. 물리학적 성질
프로메튬은 은백색 금속으로, 상온, 상압에서 이중 육방 최밀 충진(dhcp) 구조를 가지며 강도는 63 kg/mm2이다.[6] 890 °C로 가열하면 체심 입방 격자 구조를 가지는 베타 동소체가 된다.[7]프로메튬 원자는 61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전자 배치는 Xe 4f5 6s2이다.[1] 7개의 4f 및 6s 전자는 원자가 전자이다.[1] 화합물을 형성할 때, 원자는 가장 바깥쪽의 두 개의 전자와 열린 부껍질에 속하는 하나의 4f 전자를 잃는다. 이 원소의 원자 반지름은 모든 란타넘족 원소 중에서 두 번째로 크지만, 인접한 원소들의 원자 반지름보다 약간 클 뿐이다.[1] 이것은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란타넘족 원자의 수축 경향(란타넘족 수축[2])에 대한 가장 주목할 만한 예외이다.
프로메튬의 많은 성질은 란타넘족 원소들 사이의 위치에 의존하며, 네오디뮴과 사마륨의 성질 사이의 중간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녹는점은 1,168 ℃, 끓는점은 2,460 ℃이다. 녹는점, 처음 세 가지 이온화 에너지 및 수화 에너지는 네오디뮴보다 크고 사마륨보다 작다.[1] 마찬가지로, 끓는점, 이온(Pm3+) 반지름 및 단원자 기체의 표준 생성열에 대한 추정치는 사마륨보다 크고 네오디뮴보다 작다.[1] 비중은 7.2이다.
방사성이 있기 때문에 청백색~녹색의 형광을 방출하는 성질이 있다.[59]
2. 2. 화학적 성질
프로메튬은 란타넘족 원소 중 세륨족에 속하며, 화학적으로 인접한 원소들과 매우 유사하다.[3] 불안정하기 때문에 프로메튬의 화학적 연구는 불완전하며, 몇몇 화합물이 합성되었지만 완전히 연구되지는 않았다. 일반적으로 프로메튬 화합물은 분홍색 또는 붉은색을 띤다.[3]Pm3+ 이온을 포함하는 산성 용액을 암모니아로 처리하면 물에 녹지 않는 수산화물인 Pm(OH)3의 젤라틴성 연갈색 침전물이 생성된다.[3] 염산에 용해되면 물에 녹는 노란색 염인 PmCl3이 생성된다.[3] 마찬가지로, 질산에 용해되면 질산염인 Pm(NO3)3이 생성된다. 후자 또한 잘 녹으며, 건조되면 Nd(NO3)3과 유사한 분홍색 결정을 형성한다.[3] Pm3+의 전자 배치는 [Xe] 4f4이며, 이온의 색깔은 분홍색이다.
황산염은 다른 세륨족 황산염과 마찬가지로 약간 용해된다. 옥살산염인 Pm2(C2O4)3 • 10 H2O는 모든 란타넘족 옥살산염 중 용해도가 가장 낮다.[3]
산화물은 네오디뮴 염이 아니라 해당 사마륨 염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옥살산염을 가열하여 합성된 산화물은 무질서한 구조를 가진 백색 또는 라벤더색 분말이다.[3] 이 분말은 600 °C로 가열하면 입방정계 격자로 결정화된다. 800 °C에서 추가로 어닐링한 다음 1750 °C에서 어닐링하면 각각 단사정계 및 육방정계 상으로 비가역적으로 변환되며, 마지막 두 상은 어닐링 시간과 온도를 조정하여 상호 변환될 수 있다.[8]
화학식 | 대칭성 | 공간군 | 번호 | 피어슨 기호 | a (pm) | b (pm) | c (pm) | Z | 밀도, g/cm3 |
---|---|---|---|---|---|---|---|---|---|
α-Pm | dhcp[6][7] | P63/mmc | 194 | hP4 | 365 | 365 | 1165 | 4 | 7.26 |
β-Pm | bcc[7] | Fm3m | 225 | cF4 | 410 | 410 | 410 | 4 | 6.99 |
Pm2O3 | 입방[8] | Ia3 | 206 | cI80 | 1099 | 1099 | 1099 | 16 | 6.77 |
Pm2O3 | 단사[8] | C2/m | 12 | mS30 | 1422 | 365 | 891 | 6 | 7.40 |
Pm2O3 | 육방[8] | P3m1 | 164 | hP5 | 380.2 | 380.2 | 595.4 | 1 | 7.53 |
프로메튬은 이온 형태로 +3의 안정한 산화수 하나만을 형성하며, 이는 다른 란타넘족 원소와 일치한다.[9]
화학식 | 색깔 | 배위 수 | 대칭성 | 공간군 | 번호 | 피어슨 기호 | 녹는점 (°C) |
---|---|---|---|---|---|---|---|
PmF3 | 자주색-분홍색 | 11 | 육방 | P3c1 | 165 | hP24 | 1338 |
PmCl3 | 라벤더 | 9 | 육방 | P63/mc | 176 | hP8 | 655 |
PmBr3 | 빨간색 | 8 | 사방 | Cmcm | 63 | oS16 | 624 |
α-PmI3 | 빨간색 | 8 | 사방 | Cmcm | 63 | oS16 | α→β |
β-PmI3 | 빨간색 | 6 | 삼방 | R3 | 148 | hR24 | 695 |
2. 3. 동위원소
프로메튬은 란타넘족 원소 중에서 유일하게 안정 동위원소가 없는 방사성 원소이며, 원자 번호 83번 비스무트(Bi)보다 원자 번호가 작은 두 방사성 원소 중 하나이다. 프로메튬의 붕괴 산물은 주로 네오디뮴(Nd)과 사마륨(Sm) 동위원소이다. (프로메튬-146은 두 원소의 동위원소로 붕괴가 가능하고 이보다 가벼운 프로메튬 동위원소는 주로 양전자 방출과 전자 포획을 통해 네오디뮴 동위원소로 붕괴되고 무거운 프로메튬 동위원소는 베타 붕괴를 거쳐서 사마륨으로 붕괴된다.)[20] 프로메튬 핵 이성체는 다른 프로메튬 동위원소로 붕괴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동위원소(145Pm)는 안정한 프라세오디뮴-141로 매우 드문 알파 붕괴를 한다.[20]가장 안정한 프로메튬 동위원소는 프로메튬-145이며, 전자 포획을 통해 17.7년의 반감기를 가진다.[20] 84개의 중성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정한 중성자 배열에 해당하는 마법수인 82보다 2개 더 많음), 알파 입자(2개의 중성자를 가짐)를 방출하여 82개의 중성자를 가진 프라세오디뮴-14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적으로 관찰된 알파 붕괴를 가지는 유일한 프로메튬 동위원소이다. 알파 붕괴에 대한 부분 반감기는 약 6.3×109년이며, 145Pm 핵이 이러한 방식으로 붕괴될 상대적 확률은 2.8×10-7%이다. 144Pm, 146Pm, 147Pm과 같은 다른 여러 프로메튬 동위원소도 알파 붕괴에 대한 양의 에너지 방출을 갖는다. 이들의 알파 붕괴는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관찰되지는 않았다.
총 41개의 프로메튬 동위원소가 알려져 있으며, 126Pm부터 166Pm까지 범위를 가진다.[12] 이 원소는 또한 18개의 핵 이성체를 가지고 있으며, 질량수는 133~142, 144, 148, 149, 152, 154이다(일부 질량수는 둘 이상의 이성체를 가짐). 이 중 가장 안정적인 것은 프로메튬-148m이며, 반감기는 43.1일이다. 이는 프로메튬-143~147을 제외한 모든 프로메튬 동위원소의 기저 상태 반감기보다 길다. 프로메튬-148m은 기저 상태인 프로메튬-148보다 반감기가 더 길다.[20]
마린스키 등의 발견 방법에 따르면, 자연계에서 프로메튬은 프로메튬-147이 천연 우라늄 광석 중에 극미량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우라늄의 자발 핵분열 결과, 극히 적은 양이 생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 존재량은 극히 적어 지구 전체의 존재량은 불과 780g으로 추정된다.[59]
프로메튬에는 안정 동위원소가 존재하지 않고, 모든 동위원소가 방사성이다. 이처럼 방사성 동위원소만 존재하는 원소는, 테크네튬과 비스무트 이후의 원소가 있다.
항성 안드로메다자리 GY 별에서는 휘선 스펙트럼 중에 프로메튬이 발견되었다.
3. 역사
1902년 체코의 화학자 보후슬라프 브라우너(Bohuslav Brauner)는 네오디뮴과 사마륨 사이의 성질 차이가 당시 알려진 란타넘족 원소들 중 가장 크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 사이에 중간적인 성질을 가진 원소가 존재할 것이라고 제안했다.[21] 1914년 헨리 모즐리(Henry Moseley)는 원자번호가 실험적으로 측정 가능한 원소의 성질임을 발견하고, 몇몇 원자번호에 해당하는 원소가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아냈는데, 61번 원소도 그 중 하나였다.[22]
이후 여러 연구팀이 61번 원소를 찾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고, 1926년에는 두 팀이 발견을 주장하기도 했다. 이탈리아의 과학자들은 모나자이트(monazite)에서 분리한 용액에서 61번 원소의 X선 스펙트럼을 얻었다고 주장하며 "플로렌티움(florentium)"이라는 이름을 붙였고,[25][26][27][28][29][30] 미국의 과학자들은 "일리늄(illinium)"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31][32][33] 그러나 이들의 발견은 모두 불순물에 의한 오인으로 밝혀졌다.
1934년 요제프 마타우흐(Josef Mattauch)가 마타우흐 동중원소 규칙(Mattauch isobar rule)을 발표하면서 61번 원소가 안정한 동위원소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34]
프로메튬은 1945년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에서 제이콥 A. 마린스키(Jacob A. Marinsky), 로렌스 E. 글렌데닌(Lawrence E. Glendenin), 찰스 D. 코리엘(Charles D. Coryell)이 우라늄 핵분열 생성물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나,[36][37]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7년에야 공식 발표되었다.
3. 1. 61번 원소 탐색
1902년, 체코의 화학자 보후슬라프 브라우너(Bohuslav Brauner)는 당시 알려진 란타넘족 원소들 중 네오디뮴과 사마륨 사이의 성질 차이가 가장 크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 사이에 중간적인 성질을 가진 원소가 존재할 것이라고 제안했다.[21] 1914년, 헨리 모즐리(Henry Moseley)는 원자번호가 실험적으로 측정 가능한 원소의 성질임을 발견하고, 몇몇 원자번호에 해당하는 원소가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 빈자리는 43, 61, 72, 75, 85, 87이었다.[22] 주기율표의 빈칸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여러 연구팀이 자연 환경에서 다른 희토류 원소들 사이에서 예측된 원소를 찾기 시작했다.[23][24]최초의 발견 주장은 이탈리아 피렌체(Florence)의 루이지 롤라(Luigi Rolla)와 로렌초 페르난데스(Lorenzo Fernandes)에 의해 발표되었다. 브라질산 광물인 모나자이트(monazite)에서 몇몇 희토류 원소 질산염 농축액을 분별결정법으로 분리한 후, 주로 사마륨을 포함하는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은 사마륨과 61번 원소에 기인하는 X선 스펙트럼을 나타냈다. 그들은 그들의 도시를 기념하여 61번 원소를 "플로렌티움(florentium)"이라고 명명했다. 이 결과는 1926년에 발표되었지만, 과학자들은 실험은 1924년에 수행되었다고 주장했다.[25][26][27][28][29][30] 또한 1926년,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의 스미스 홉킨스(Smith Hopkins)와 렌 인테마(Len Yntema)는 61번 원소의 발견을 발표했다. 그들은 대학교의 이름을 따서 이 원소를 "일리늄(illinium)"이라고 명명했다.[31][32][33] 그러나 이 두 발견 모두 잘못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61번 원소에 "해당하는" 스펙트럼 선이 디디뮴(didymium)의 스펙트럼 선과 동일했기 때문이다. 61번 원소에 속한다고 생각되었던 선들은 사실 몇 가지 불순물(바륨, 크롬, 백금)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1934년, 요제프 마타우흐(Josef Mattauch)는 마타우흐 동중원소 규칙(Mattauch isobar rule)을 공식화했다. 이 규칙의 간접적인 결과 중 하나는 61번 원소가 안정한 동위원소를 형성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34] 1938년부터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의 H. B. Law 등이 핵 실험을 수행했다. 1941년에 네오디뮴이나 사마륨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아닌 핵종이 생성되었고, "사이클로늄(cyclonium)"이라는 이름이 제안되었지만, 61번 원소가 생성되었다는 화학적 증거가 부족하여 이 발견은 크게 인정받지 못했다.[35]
3. 2. 프로메튬의 발견과 합성
1945년(공식 발표는 1947년)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의 제이콥 A. 마린스키(Jacob A. Marinsky), 로렌스 E. 글렌데닌(Lawrence E. Glendenin), 찰스 D. 코리엘(Charles D. Coryell)은 우라늄 핵분열 생성물에서 프로메튬을 분리하고 특징을 규명했다.[36][37] 이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군사 관련 연구로 인해 발견을 즉시 발표하지 못하고 1947년에 발표했다. 원래 제안된 이름은 연구소의 이름을 따서 "클린토늄"(clintonium)이었지만, 발견자 중 한 명의 아내인 그레이스 메리 코리엘(Grace Mary Coryell)이 그리스 신화의 프로메테우스에서 따온 "프로메튬"(prometheum)을 제안했다. 프로메테우스는 올림푸스 산에서 불을 훔쳐 인간에게 가져다준 티탄으로, "인류 지성의 대담함과 오용 가능성 모두"를 상징한다.[38] 이후 철자는 대부분의 다른 금속과 일치하도록 "프로메튬"(promethium)으로 변경되었다.1963년, 프로메튬(III) 플루오르화물을 사용하여 프로메튬 금속을 합성했다. 사마륨, 네오디뮴, 아메리슘 불순물로부터 정제된 프로메튬(III) 플루오르화물을 탄탈럼 도가니에 넣고, 다른 탄탈럼 도가니에는 프로메튬보다 10배 많은 리튬 금속을 넣었다. 진공 상태에서 이들을 혼합하여 프로메튬 금속을 생성했다.
:PmF3 + 3 Li → Pm + 3 LiF
이렇게 생성된 프로메튬 샘플은 녹는점과 같은 금속의 특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1963년, ORNL에서는 이온 교환 방법을 사용하여 원자로 연료 처리 폐기물에서 약 10g의 프로메튬을 생산했다.[20][39][40]
프로메튬은 우라늄 핵분열의 부산물에서 회수하거나, 146Nd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147Nd로 전환한 다음, 11일의 반감기를 가진 베타 붕괴를 통해 147Pm으로 붕괴시켜 생산할 수 있다.[41]
1902년 체코의 화학자 보후슬라프 브라우너(Bohuslav Brauner)는 네오디뮴과 사마륨 사이의 원자량 차이가 당시 알려진 모든 란타노이드 원소 중 가장 크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두 원소 사이에 미지의 원소가 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60]
1913년 영국의 물리학자 모즐리가 모즐리의 법칙을 통해 원자번호가 원자핵 속의 양성자 수에 대응한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주기율표가 원자번호 순서로 정확하게 배열되었다.
이로써 몰리브데넘과 루테늄 사이의 43번 원소(테크네튬)와 네오디뮴과 사마륨 사이의 61번 원소(프로메튬) 등이 미지의 원소임이 명확해졌다. 하지만 두 원소 모두 알려진 모든 핵종이 방사성이고 불안정했기 때문에 발견되는 데 시간이 걸렸다.
몇몇 발견 보고가 있지만, 확실한 것은 1947년에 마린스키, 글렌데닌, 코리엘 등이 우라늄-235의 핵분열 생성물 중에서 이온 교환법을 사용하여 프로메튬-147, 149를 분리하여 발견했다는 것이다.[61][59]
4. 자연에서의 존재
프로메튬은 주로 우라늄-238의 자발 핵분열 생성물로 자연에서 극미량 생성된다.[18] 피치블렌드 샘플에서는 4 × 10−18의 농도로 프로메튬이 함유된 것이 확인되었다.[17] 우라늄 때문에 지구 지각에 존재하는 프로메튬은 560g 정도로 추정된다.[18]
1965년, 올라비 에라메츠는 아파타이트에서 정제된 희토류 농축물에서 미량의 147Pm을 분리하여 자연계에서 프로메튬의 존재량 상한선이 10−21임을 밝혔다. 이는 우라늄의 자연 핵분열이나 146Nd의 우주선 파쇄에 의해 생성되었을 수 있다.[15]
그란 사소 국립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유로피움-151은 5 × 1018년의 반감기를 가지고 프로메튬-147로 붕괴한다고 한다.[18] 유로피움은 지구 지각의 약 12g의 프로메튬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8]
프로메튬은 안드로메다에 있는 별 HR 465의 스펙트럼에서도 확인되었으며, HD 101065(프리빌스키의 별)와 HD 965에서도 발견되었다.[19] 프로메튬 동위원소의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이들은 그러한 별의 표면 근처에서 생성되어야 한다.[20]
5. 생산
프로메튬은 자연에서 극미량으로 발견되거나, 핵반응을 통해 인공적으로 생성된다.
우라늄-238의 자발 핵분열 생성물로서 자연에서 생성될 수 있다. 피치블렌드 샘플에서는 질량으로 4 × 10−18 농도의 프로메튬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졌다.[17] 지구 지각에는 우라늄으로 인해 560g의 프로메튬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8]
1965년, 올라비 에라메츠는 아파타이트에서 정제된 희토류 농축물에서 미량의 147Pm을 분리하여 자연계에서 프로메튬의 존재량 상한선이 10−21임을 밝혔다. 이는 우라늄의 자연 핵분열이나 146Nd의 우주선 파쇄에 의해 생성되었을 수 있다.[15]
안드로메다자리의 별 HR 465의 스펙트럼에서도 프로메튬이 확인되었으며, HD 101065(프리빌스키의 별)와 HD 965에서도 발견되었다.[19] 프로메튬 동위원소의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이들은 그러한 별의 표면 근처에서 생성되어야 한다.[20]
산업적으로 응용되는 유일한 동위원소는 프로메튬-147이다. 프로메튬-147은 주로 우라늄-235에 열중성자를 충돌시켜 대량으로 생산되며, 총 생산량의 2.6%를 차지한다.[45] 다른 방법으로는 네오디뮴-147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네오디뮴-147은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프로메튬-147로 붕괴한다. 네오디뮴-147은 풍부화된 네오디뮴-146에 열중성자를 충돌시키거나,[45] 입자 가속기에서 탄화우라늄 표적에 고에너지 양성자를 충돌시켜 얻을 수 있다.[42] 또는, 우라늄-238에 고속 중성자를 충돌시켜 고속 핵분열을 일으켜서 생성할 수도 있다.[43]
1960년대 초,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는 연간 650그램의 프로메튬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44] 세계 유일의 대량 생산 시설이었다. 미국에서는 1980년대 초 프로메튬의 그램 단위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2010년 이후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 2010년 기준으로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대량으로 프로메튬-147을 생산하는 유일한 국가였다.[45]
6. 응용
프로메튬-147은 실험실 밖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프로메튬 동위원소이다.[20] 주로 산화물이나 염화물 형태로 사용되며, 반감기가 비교적 길고 감마선을 방출하지 않아 비교적 안전하다.[20]
일부 신호등에는 프로메튬-147을 포함한 야광 페인트가 사용된다. 이 페인트는 프로메튬-147이 방출하는 베타선을 흡수하여 빛을 내는 형광체를 포함하고 있다.[20] 과거에는 라듐-226이 야광 도료에 사용되었지만, 안전 문제로 인해 프로메튬-147과 삼중수소로 대체되었다.[46]
원자력 전지에서는 프로메튬-147이 방출하는 베타 입자를 작은 프로메튬 광원에 두고, 두 개의 반도체 판 사이에서 전류로 변환한다.[3][20] 최초의 프로메튬 기반 배터리는 1964년에 조립되었으며, 약 5년의 수명을 가진다.[48][3]
프로메튬은 재료의 두께를 측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20] 프로메튬 광원에서 나오는 방사선의 양을 측정하여 재료의 두께를 파악한다.[49] 또한, 휴대용 X선 광원, 우주 탐사선 및 인공위성의 보조 열원이나 전력원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50]
프로메튬-147은 일부 필립스 CFL(소형 형광등) 글로우 스위치에도 사용된다.[52] 과거 시계 문자판 등의 야광 도료에도 사용되었으나, 안전 문제로 현재 일본에서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7. 주의사항
프로메튬은 생물학적 역할이 없다. 프로메튬-147은 베타 붕괴 과정에서 모든 생명체에 위험한 감마선을 방출한다.[53] 소량의 프로메튬-147을 다룰 때는 일정한 주의사항을 준수하면 위험하지 않다.[54] 일반적으로 장갑, 신발 덮개, 안전 고글, 그리고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보호복을 착용해야 한다.[55]
프로메튬이 인체 எந்த 기관에 영향을 주는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골조직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55] 밀봉된 프로메튬-147은 위험하지 않으나, 포장이 손상되면 환경과 인간에게 위험해진다. 방사능 오염이 발견되면 오염된 지역을 비누와 물로 씻어야 하지만, 프로메튬은 주로 피부에 영향을 미치므로 피부를 긁어서는 안 된다. 프로메튬 누출이 발견되면 해당 지역을 위험 지역으로 지정하고 대피시킨 후, 응급 서비스에 연락해야 한다. 방사능을 제외하고는 프로메튬의 위험은 알려져 있지 않다.[55]
참조
[1]
서적
Greenwood&Earnshaw
[2]
서적
Cotton&Wilkinson5th
[3]
웹사이트
promethium
http://www.britannic[...]
[4]
논문
Observation of a promethium complex in solution
2024-05-01
[5]
서적
Chemistry of the f-block elements
Gordon & Breach
[6]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promethium
[7]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12-06-20
[8]
논문
Polymorphic Modifications of Pm2O3
[9]
서적
Holleman&Wiberg
[10]
논문
Promethium: To Strive, to Seek, to Find and Not to Yield
2020-07-10
[11]
서적
Lanthanide And Actinide Chemist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2]
논문
Measuring the β-decay properties of neutron-rich exotic Pm, Sm, Eu, and Gd isotopes to constrain the nucleosynthesis yields in the rare-earth region
2022
[13]
논문
The NUBASE evaluation of nuclear and decay properties
http://www.nndc.bnl.[...]
[14]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15]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16]
논문
Experimental searches for rare alpha and beta decays
2019
[17]
논문
Promethium in pitchblende
1968-05-01
[18]
논문
Search for α decay of natural Europium
[19]
논문
On the possible presence of promethium in the spectra of HD 101065 (Przybylski's star) and HD 965
[20]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1]
논문
A Revised Periodic Table: With the Lanthanides Repositioned
[22]
서적
Atomic and Nuclear Physics: An Introduction in S.I. Units
Van Nostrand
[23]
서적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56
[24]
논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The Rare Earths–The Last Member
https://chemistry.un[...]
2016
[25]
논문
Über das Element der Atomnummer 61
[26]
논문
Florentium or Illinium?
[27]
논문
Florentium or Illinium?
[28]
논문
Florentium. II
[29]
논문
Florentium
[30]
논문
Über Das Element der Atomnummer 61 (Florentium)
[31]
논문
The Element of Atomic Number 61; Illinium
[32]
논문
The New Element of Atomic Number 61: Illinium
[33]
논문
Über das Element 61 (Illinium)
[34]
서적
Handbook on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Rare Earths
Elsevier
[35]
서적
The Lost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36]
논문
The chemical identification of radioisotopes of neodymium and of element 61
[37]
논문
Discovery of Promethium
https://web.archive.[...]
2006-09-17
[37]
논문
Discovery of Promethium
https://www.ornl.gov[...]
2018-06-17
[38]
서적
Inorganic 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39]
논문
Chemical study on th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promethium-147
[40]
웹사이트
Ion exchange purification of promethium-147 and its separation from americium-241, with 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as the eluant
https://web.archive.[...]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2011-01-31
[40]
보고서
Ion exchange purification of promethium-147 and its separation from americium-241, with 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as the eluant
https://www.osti.gov[...]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2018-06-17
[41]
웹사이트
The Element Promethium
http://education.jla[...]
Science Education
2012-02-26
[42]
서적
Applications of inorganic mass spectrometry
Springer
[43]
서적
Applications of inorganic mass spectrometry
Wiley-IEEE
[44]
서적
On the Home Front: The Cold War Legacy of the Hanford Nuclear Sit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5]
서적
Radioisotope Thin-Film Powered Microsystems
https://books.google[...]
Springer
[46]
서적
Man-made and natural radioactivity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adiochronology
Springer
[47]
서적
Disease and the Environment
Government Printing Office
[48]
논문
Construction of a promethium-147 atomic battery
[49]
서적
The Terrorist Effect – Weapons of Mass Disruption: The Danger of Nuclear Terrorism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2-01-13
[50]
서적
A guide to the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Radioisotope power systems: an imperative for maintaining U.S. leadership in space exploration
National Academies Press
[52]
웹사이트
MSDS for the Philips CFL lamps containing Pm-147
https://www.msdsdigi[...]
[53]
논문
Reed Business Information
[54]
서적
Operator, organizational, direct support, and general support maintenance manual: installation, operation, and checkout procedures for Joint-Services Interior Intrusion Detection System (J-SIIDS).
https://books.google[...]
Headquarters, Departments of the Army, Navy, and Air Force
[55]
웹사이트
Radioactive Material Safety Data Sheet
https://web.archive.[...]
2012-02-10
[56]
웹사이트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elements and inorganic compounds
http://www-d0.fnal.g[...]
CRC press
[57]
서적
希土類元素の化学
化学同人
[58]
서적
コットン・ウィルキンソン無機化学
培風館
[59]
서적
元素111の新知識
講談社
1998
[60]
논문
A Revised Periodic Table: With the Lanthanides Repositioned
[61]
논문
The Chemical Identification of Radioisotopes of Neodymium and of Element 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