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는 1920년대 기계식 텔레비전 시대의 플라잉 스폿 스캐너에서 시작하여, 비디오 카메라 튜브의 발전을 거쳐 전자 텔레비전 시대를 열었다. 초기에는 크고 복잡한 장치였으나, 기술 발전을 통해 소형화되었고, 1970년대에는 휴대용 컬러 카메라가 등장했다. 1980년대 CCD 이미지 센서가 도입되면서 카메라 성능이 향상되었고, 2000년대 이후에는 디지털 기술과 플래시 스토리지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는 스튜디오, ENG, EFP, 원격, 블록, 립스틱 카메라 등 다양한 유형으로 제작되며,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기술과 구성 요소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진기 - 거리계 연동 카메라
거리계 연동 카메라는 렌즈의 인출량을 광학 거리계와 연동하여 분할상이나 이중상의 중첩으로 초점을 맞추는 카메라로, 1916년 코닥에서 처음 출시되어 라이카와 콘탁스 등의 성공으로 전성기를 누렸으나 일안 반사식 카메라 등장 후 쇠퇴, 일부 모델은 현재까지 생산되며 특정 분야에서 사용된다. - 사진기 - 일안 반사식 카메라
일안 반사식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반사 거울과 펜타프리즘을 거쳐 뷰파인더로 보여주어 촬영될 이미지를 직접 보면서 촬영할 수 있으며, 렌즈 교환을 통해 다양한 화각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지만 크고 무거우며 뷰파인더가 일시적으로 어두워지는 단점이 있다. - 일본의 발명품 - 컵라면
컵라면은 1971년 닛신식품의 안도 모모후쿠가 개발한 컵누들을 시초로 뜨거운 물만 부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라면으로, 편리성, 아사마 산장 사건을 통한 대중화, 한국 시장 경쟁 심화에 따른 변화, 용기 소재 변화, 야외 소비 문화 확산 등을 거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일본의 발명품 - 이모지
이모지는 1999년 NTT 도코모에서 처음 도입된 그림 문자로, 유니코드 표준 제정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플랫폼별 표현 방식 차이와 의미 해석 논란도 존재한다. - 영상 기술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이미지나 사물을 연속적으로 보여 움직임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 매체로, 실사 촬영 외 기술로 이미지를 움직이는 창작물을 의미하며, 제작 기법과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영상 기술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 | |
---|---|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 | |
![]() | |
종류 | 텔레비전 카메라 |
용도 | 전자식 움직이는 그림을 만드는 데 사용 텔레비전 스튜디오 텔레비전 외부 방송 영화 제작 |
관련 항목 | 캠코더 시네마토그래피 비디오 카메라 방송 제작 |
역사 | |
발명 | 1920년대 |
발명자 | 존 로지 베어드와 필로 판즈워스 |
기술적 특징 | |
이미지 센서 | CCD CMOS |
해상도 | SD HD UHD |
렌즈 | 교환 가능 |
오디오 입력 | XLR 커넥터 내장 마이크 |
비디오 출력 | SDI HDMI |
주요 제조업체 | |
기타 정보 | |
특징 | 고화질 영상 촬영 전문적인 오디오 기능 다양한 제어 기능 |
활용 분야 | 뉴스 제작 다큐멘터리 제작 스포츠 중계 영화 촬영 |
2. 역사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의 역사는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해왔다.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초기 기계식 텔레비전 시대에는 기계식 플라잉 스폿 스캐너가 최초의 비디오 카메라 역할을 했다.[1] 1930년대에 비디오 카메라 튜브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자 텔레비전 시대가 시작되었다. 초기 전자 카메라는 매우 컸고, 카메라 본체와 제어 장치가 분리되어 멀티코어 케이블로 연결되는 형태였다.
1950년대에는 전자 기술의 소형화로 흑백 카메라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휴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스튜디오 구성은 카메라 제어 장치(CCU)를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식이 유지되었다.
1950년대(미국), 1960년대 초(유럽)에는 컬러 카메라가 등장했다. RCA TK-40/41 시리즈와 같은 초기 컬러 카메라는 여러 개의 픽업 튜브를 사용했기 때문에 크고 무거웠다. 1970년대 초가 되어서야 휴대용 컬러 카메라가 일반화되었는데, 이때도 카메라 헤드와 CCU가 분리된 형태였다.
1970년대 초, 이케가미 HL-33,[1] RCA TKP45,[2] Thomson Microcam[3]과 같은 휴대용 2피스 컬러 카메라가 등장했다. 이 카메라는 별도의 VTR에 영상을 기록해야 했다. 1976년 RCA TK-76, 1977년 이케가미 HL-77, 1978년 소니(Sony) BVP-300의 도입으로 카메라 하나에 모든 전자 장치가 통합되어 휴대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전자 뉴스 수집(ENG) 카메라는 1970년대부터 TV 뉴스 제작에 사용되던 16mm 필름 카메라를 대체했다. 비디오 테이프는 필름보다 저렴하고 처리 시간이 빨라 뉴스 제작에 유리했다.
1980년대 중반에는 전하 결합 소자(CCD) 이미저가 등장하여 이미지 품질과 카메라 크기, 무게 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했다. 1990년대 초에는 튜브 기반 카메라가 거의 사라지고 CCD 카메라가 주류가 되었다. 스튜디오 카메라는 트라이액스 케이블을 사용하여 CCU와 연결되었고, 텔레프롬프터 등 다양한 장비를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HDTV 방송이 시작되면서 HDTV 카메라가 등장했다. 이와 함께 비디오 테이프를 대체하는 테이프리스 녹화 방식이 도입되었다. 1996년 이케가미와 아비드의 EditCam, 파나소닉의 P2 카메라, 소니의 XDCAM과 SxS 등 다양한 데이터 저장 장치 녹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2000년대에는 소니, 필립스 등 주요 제조사들이 디지털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를 출시했다. 이 카메라는 CCD 센서를 사용하고 플래시 스토리지에 영상을 기록했다. 이후 디지털 HDTV 카메라가 등장했고, 2010년대 이후 디지털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는 텔레비전 제작 분야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CCD 센서는 점차 CMOS 센서로 대체되었다.
2. 1. 초기 기계식 텔레비전 카메라
1920년대와 1930년대의 기계식 텔레비전 시대에는 최초의 비디오 카메라인 기계식 플라잉 스폿 스캐너가 사용되었다.[1] 1930년대에 비디오 카메라 튜브가 개선되면서 전자 텔레비전 시대가 열렸다. 초기 카메라는 매우 큰 장치였으며, 거의 항상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카메라 부분은 렌즈, 카메라 튜브 프리앰프 및 기타 필요한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있었고, 대구경 멀티코어 케이블을 통해 스튜디오의 별도 방이나 원격 트럭에 설치된 나머지 카메라 전자 장치에 연결되었다. 카메라 헤드는 자체적으로 비디오 사진 신호를 생성할 수 없었으며, 비디오 신호는 스위칭 및 전송을 위해 스튜디오로 출력되었다.2. 2. 전자식 텔레비전 카메라의 등장
1930년대에 비디오 카메라 튜브가 개선되면서 전자 텔레비전 시대가 열렸다. 초기의 카메라는 매우 큰 장치였으며, 거의 항상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카메라 부분은 렌즈와 카메라 튜브 프리앰프 및 기타 필요한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스튜디오의 별도 방 또는 원격 트럭에 설치된 카메라 전자 장치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된 대구경 멀티코어 케이블이 있었다. 카메라 헤드는 자체적으로 비디오 사진 신호를 생성할 수 없었다. 비디오 신호는 스위칭 및 전송을 위해 스튜디오로 출력되었다. 1950년대에 전자 소형화가 진행되어 일부 흑백 카메라가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심지어 휴대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러나 스튜디오 구성은 대형 케이블 번들이 카메라 제어 장치(CCU)로 신호를 다시 전송하는 형태로 유지되었다. CCU는 노출, 시스템 타이밍, 비디오 및 블랙 레벨과 같은 카메라의 기능을 정렬하고 작동하는 데 사용되었다.최초의 컬러 카메라는(미국에서는 1950년대, 유럽에서는 1960년대 초) 특히 RCA TK-40/41 시리즈로, 3개(일부 모델에서는 4개)의 픽업 튜브로 훨씬 더 복잡했으며 크기와 무게가 급격히 증가했다. 휴대용 컬러 카메라는 1970년대 초까지 일반화되지 않았으며, 첫 번째 세대의 카메라는 카메라 헤드 유닛(렌즈와 픽업 튜브를 포함하고 조작자 앞의 어깨 또는 몸체 지지대에 장착)과 케이블 번들을 통해 백팩 CCU에 연결되었다.[1]
2. 3. 컬러 텔레비전 카메라의 발전
초기 비디오 카메라는 1920년대와 1930년대의 기계식 텔레비전 시대에 사용된 기계식 플라잉 스폿 스캐너였다. 1930년대에 비디오 카메라 튜브가 개선되면서 전자 텔레비전 시대가 열렸다. 초기 카메라는 매우 큰 장치였으며, 거의 항상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카메라 부분은 렌즈, 카메라 튜브 프리앰프 및 기타 필요한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있었고, 스튜디오의 별도 방 또는 원격 트럭에 설치된 나머지 카메라 전자 장치에 연결된 대구경 멀티코어 케이블이 있었다. 카메라 헤드는 자체적으로 비디오 사진 신호를 생성할 수 없었다. 1950년대에 전자 소형화가 진행되어 일부 흑백 카메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심지어 휴대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러나 스튜디오 구성은 대형 케이블 번들이 카메라 제어 장치(CCU)로 신호를 다시 전송하는 형태로 유지되었다. CCU는 노출, 시스템 타이밍, 비디오 및 블랙 레벨과 같은 카메라의 기능을 정렬하고 작동하는 데 사용되었다.최초의 컬러 카메라(미국에서는 1950년대, 유럽에서는 1960년대 초)는 특히 RCA TK-40/41 시리즈로, 3개(일부 모델에서는 4개)의 픽업 튜브로 인해 훨씬 더 복잡했으며 크기와 무게가 급격히 증가했다. 휴대용 컬러 카메라는 1970년대 초까지 일반화되지 않았으며, 첫 번째 세대의 카메라는 카메라 헤드 유닛(렌즈와 픽업 튜브를 포함하고 조작자 앞의 어깨 또는 몸체 지지대에 장착)과 케이블 번들을 통해 백팩 CCU에 연결되었다.
이케가미 HL-33,[1] RCA TKP45[2] 및 Thomson Microcam[3]은 1970년대 초에 소개된 휴대용 2피스 컬러 카메라였다. 현장 작업의 경우, 카메라의 비디오 출력을 기록하기 위해 별도의 VTR이 여전히 필요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휴대용 1인치 릴투릴 VTR 또는 휴대용 3/4인치 U-matic VCR이었다. 보통 두 개의 카메라 유닛은 카메라 조작자가 운반하고 테이프 조작자는 휴대용 녹음기를 운반했다.
1976년 RCA TK-76, 1977년 이케가미 HL-77, 1978년 소니(Sony) BVP-300의 도입으로 카메라 조작자는 마침내 방송 품질의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원피스 카메라를 어깨에 짊어질 수 있게 되었다. 별도의 비디오 테이프 녹화 장치가 여전히 필요했다.
2. 4. ENG 카메라의 등장과 발전
전자 뉴스 수집(ENG) 카메라는 1970년대부터 TV 뉴스 제작을 위해 16mm 필름 카메라를 대체했는데, 필름으로 촬영하는 비용이 재사용 가능한 테이프로 촬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컸기 때문이다. 휴대용 비디오 테이프 제작은 또한 보여주거나 편집하기 전에 필름을 화학적으로 처리해야 할 필요성에 비해 뉴스 스토리를 빠르게 완성하는 데 훨씬 더 빠른 처리 시간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주간 뉴스 매거진 쇼를 위한 일부 뉴스 특집 기사는 1990년대까지 16mm 필름 카메라를 계속 사용했다.처음에는 이 모든 카메라가 튜브 기반 센서를 사용했지만, 전하 결합 소자(CCD) 이미저가 1980년대 중반에 등장하여 수많은 이점을 가져왔다. 초기 CCD 카메라는 튜브 기반 카메라의 색상이나 해상도에 미치지 못했지만, 소형 및 경량 카메라 도입, 더 좋고 안정적인 이미지(이미지 번인 또는 지연이 없는) 및 등록 불필요와 같은 CCD 기술의 이점으로 인해 CCD 이미저 개발이 빠르게 시작되었고, 튜브 센서에 필적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제공하게 되면서 튜브 기반 카메라를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후자는 1990년대 초까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결국, 레코더가 카메라 헤드에 영구적으로 결합된 카메라는 ENG의 표준이 되었다.
1976년 RCA TK-76, 1977년 이케가미 HL-77, 1978년 소니(Sony) BVP-300의 도입으로 카메라 조작자는 마침내 방송 품질의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원피스 카메라를 어깨에 짊어질 수 있게 되었다. 별도의 비디오 테이프 녹화 장치가 여전히 필요했다.
2. 5. CCD 및 CMOS 센서의 도입
1980년대 중반, 전하 결합 소자(CCD) 이미저가 등장하여 많은 이점을 가져왔다. 초기 CCD 카메라는 튜브 기반 카메라의 색상이나 해상도에 미치지 못했지만, 소형 및 경량 카메라 도입, 더 좋고 안정적인 이미지(이미지 번인 또는 지연이 없는) 및 등록 불필요와 같은 CCD 기술의 이점으로 인해 CCD 이미저 개발이 빠르게 시작되었다.[1] CCD는 튜브 센서에 필적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제공하게 되면서 튜브 기반 카메라를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1990년대 초에는 튜브 카메라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결국, 레코더가 카메라 헤드에 영구적으로 결합된 카메라는 ENG의 표준이 되었다.[1] 스튜디오 카메라에서 카메라 전자 장치는 축소되었고 CCD 이미저가 픽업 튜브를 대체했다.[1]1990년대 후반에 HDTV 방송이 시작되면서 뉴스 및 일반적인 용도로 적합한 HDTV 카메라가 도입되었다.[1] HDTV 카메라는 훨씬 더 나은 이미지 품질을 제공했지만 전체적인 작동은 표준 화질의 이전 제품과 동일했다. 카메라를 위한 새로운 녹화 방법이 비디오 테이프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는데, 테이프리스 카메라였다.[1] 1996년 이케가미와 아비드는 교체 가능한 하드 드라이브를 기반으로 EditCam을 도입했다. 파나소닉은 P2 카메라를 도입했는데, 이 카메라는 교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매체에 DVCPro 신호를 기록했다.[1] 소니의 XDCAM, 소니와 샌디스크(Sandisk)가 만든 ExpressCard 표준을 준수하는 플래시 메모리 표준인 SxS (S-by-S)등 여러 다른 데이터 저장 장치 녹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1] 결국 플래시 스토리지는 다른 형태의 녹화 매체를 대부분 대체했다.
2000년대에 소니, 필립스와 같은 주요 제조업체들은 디지털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를 도입했다. 이러한 카메라는 CCD 센서를 사용하고 플래시 스토리지에 비디오를 디지털 방식으로 녹화했다. 이어서 디지털 HDTV 카메라가 출시되었다.[1] 디지털 기술이 개선되고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으로 인해 2010년대 이후 디지털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는 텔레비전 스튜디오, ENG, EFP 및 기타 분야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CCD 센서는 결국 CMOS 센서로 대체되었다.
- 1987년 필립스/BTS-브로드캐스트 텔레비전 시스템스 Inc.는 첫 번째 핸드헬드 프레임 전송 CCD - 전하 결합 소자-CCD 카메라 LDK90을 출시했다.
- 2000년대에는 소니, 필립스와 같은 주요 제조업체들이 플래시 메모리 기반 디지털 텔레비전 카메라를 출시했다. 2010년대 이후, 이 저장 시스템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2. 6. HDTV 카메라와 테이프리스 녹화 방식
1990년대 후반에 HDTV 방송이 시작되면서 뉴스 및 일반적인 용도로 적합한 HDTV 카메라가 도입되었다. 이전의 표준 화질 카메라보다 훨씬 더 나은 이미지 품질을 제공했지만, 전체적인 작동은 동일했다. 비디오 테이프를 대체하기 위해 테이프리스 카메라라는 새로운 녹화 방법이 도입되었다. 1996년, 이케가미와 아비드는 교체 가능한 하드 드라이브를 기반으로 하는 EditCam을 도입했다. 파나소닉은 교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매체에 DVCPro 신호를 기록하는 P2 카메라를 도입했다. 소니의 XDCAM을 비롯한 여러 다른 데이터 저장 장치 녹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소니는 또한 소니 및 샌디스크(Sandisk)가 만든 ExpressCard 표준을 준수하는 플래시 메모리 표준인 SxS (S-by-S)를 도입했다. 결국 플래시 스토리지는 다른 형태의 녹화 매체를 대부분 대체했다.[6]2. 7. 디지털 텔레비전 카메라의 시대
1980년대 중반, 전하 결합 소자(CCD) 이미저가 등장하여 여러 가지 이점을 가져왔다. 초기 CCD 카메라는 튜브 기반 카메라의 색상이나 해상도에 미치지 못했지만, 소형 및 경량 카메라 도입, 더 좋고 안정적인 이미지(이미지 번인 또는 지연이 없는) 및 등록 불필요와 같은 CCD 기술의 이점으로 인해 CCD 이미저 개발이 빠르게 시작되었다. 튜브 센서에 필적하고 우수한 이미지를 제공하게 되면서 튜브 기반 카메라는 1990년대 초까지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결국, 레코더가 카메라 헤드에 영구적으로 결합된 카메라는 전자 뉴스 수집(ENG)의 표준이 되었다. 스튜디오 카메라에서 카메라 전자 장치는 축소되었고 CCD 이미저가 픽업 튜브를 대체했다. 카메라 헤드를 카메라 제어 장치(CCU)에 연결하는 두꺼운 멀티코어 케이블은 1970년대 후반에 트라이액스 연결, 여러 비디오 신호, 인터콤 오디오 및 제어 회선을 전달하고 1마일 이상을 실행할 수 있는 가느다란 비디오 케이블로 대체되었다. 카메라 내부가 축소되면서 전자 장치가 더 이상 인클로저의 크기를 결정하지 않았지만, 대형 스튜디오 렌즈, 텔레프롬프터, 전자 뷰파인더(EVF) 및 스튜디오 및 스포츠 제작에 필요한 기타 장비를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박스 모양이 유지되었다. 전자 현장 제작 카메라는 종종 장착 케이지 내 스튜디오 구성으로 장착되었다. 이 케이지는 추가 스튜디오 액세서리를 지원했다.
1990년대 후반에 HDTV 방송이 시작되면서 뉴스 및 일반적인 용도로 적합한 HDTV 카메라가 도입되었다. 훨씬 더 나은 이미지 품질을 제공했지만 전체적인 작동은 표준 화질의 이전 제품과 동일했다. 카메라를 위한 새로운 녹화 방법이 비디오 테이프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는데, 테이프리스 카메라였다. 이케가미와 아비드는 1996년 교체 가능한 하드 드라이브를 기반으로 EditCam을 도입했다. 파나소닉은 P2 카메라를 도입했다. 이 카메라는 교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매체에 DVCPro 신호를 기록했다. 여러 다른 데이터 저장 장치 녹화 시스템이 도입되었는데, 특히 소니의 XDCAM이 있다. 소니는 또한 소니 및 샌디스크(Sandisk)가 만든 ExpressCard 표준을 준수하는 플래시 메모리 표준인 SxS (S-by-S)를 도입했다. 결국 플래시 스토리지는 다른 형태의 녹화 매체를 대부분 대체했다.
2000년대에 소니 및 필립스와 같은 주요 제조업체는 디지털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를 도입했다. 이러한 카메라는 CCD 센서를 사용하고 플래시 스토리지에 비디오를 디지털 방식으로 녹화했다. 이어서 디지털 HDTV 카메라가 출시되었다. 디지털 기술이 개선되고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으로 인해 2010년대 이후 디지털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는 텔레비전 스튜디오, ENG, EFP 및 기타 분야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CCD 센서는 결국 CMOS 센서로 대체되었다.
3. 주요 기술 및 구성 요소
텔레비전은 화상을 전송하기 위해 2차원의 명암을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주사(走査) 또는 스캐닝(scanning)이라고 하며, 이 전기 신호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텔레비전 카메라라고 한다. 텔레비전 카메라는 촬상관과 그의 제어 장치 및 증폭기 등으로 구성된다.[1]
화상을 분해하고 다시 화상을 만들어 내는 것의 예로 신문사진이 있다. 신문사진은 화상을 많은 점으로 분해하고, 신문지상에 재현할 때는 흰 곳은 점의 크기를 작게 하고, 검은 곳은 크게 하여 농도의 차를 나타낸다.[1]
이와 마찬가지로 텔레비전에서도 화상을 점으로 분해한다. 먼저 렌즈로 상을 맺고 상이 있는 곳에 작은 광전관을 많이 배열한다. 스위치를 전환하면 스위치가 접속된 광전관으로부터 광전류가 저항에 흘러 출력으로 나온다. 즉, 순차적으로 스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주사가 행해지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광상(光像)이 전기 신호로 바뀌게 된다.[1]
실제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크기는 세로 3, 가로 4의 비율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로를 525개의 점으로 분할한다. 그렇게 되면 가로에 배열되는 점의 수는 525 × 700 = 367,500개나 된다. 이 점들 하나하나를 화소(繪素)라고 한다.[1]
이와 같이 매우 가늘게 나누고 있으나 이 방법은 그다지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광전관에는 쉴 새 없이 빛이 들어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개의 광전관이 유효하게 동작하는 시간은 전체의 약 40만 분의 1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1]
초기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는 진공관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캡처하고 처리했다. 1980년대 이후에는 고체 상태 이미지 센서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주요 기술 및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연도 | 기술/구성 요소 | 설명 |
---|---|---|
1926년 ~ 1933년 | 플라잉 스폿 스캐너 | 기계식 디스크를 사용하는 카메라 |
1936년 | 아이코노스코프 카메라 | RCA에서 개발 |
1946년 | 이미지 오르티콘 튜브 | RCA TK-10 스튜디오 카메라, 4개의 렌즈 터렛 사용. RCA TK-30은 현장 카메라로 널리 사용됨. |
1948년 | 이미지 오르티콘 카메라 | 듀몽 마르코니 MK IV. 마르코니의 첫 번째 카메라는 1938년에 공개됨.[4] |
1950년 | 비디콘 카메라 튜브 | 더 작은 카메라 제작 가능. 플럼비콘 등장 전까지 이미지 오르티콘 튜브 사용. |
1952년 | 휴대용 카메라 | 최초의 워키루키 "휴대용 카메라" 등장 |
1953년 | 컬러 텔레비전 카메라 | RCA TK-40 |
1954년 | 이미지 오르티콘 튜브 | RCA TK-11 스튜디오 카메라, 4개의 렌즈 터렛 사용. RCA TK-31은 현장 카메라로 널리 사용됨. |
1962년 | 휴대용 핸드헬드 TV 카메라 | 이케가미에서 개발 |
1965년 | 플럼비콘 픽업 튜브 | 필립스에서 발명, 튜브 카메라에 더 깨끗한 화면 제공 |
1987년 | 전하 결합 소자(CCD) 카메라 | 필립스/BTS에서 LDK90 출시 |
2000년대 | 플래시 메모리 기반 디지털 카메라 | 소니, 필립스 등에서 출시 |
3. 1. 촬상 방식
대부분의 프로페셔널 카메라는 렌즈 바로 뒤에 광학 프리즘 블록을 사용한다. 이 프리즘 블록(두 개의 이색성 프리즘으로 구성된 삼색 조립체)은 이미지를 빨강, 녹색 및 파랑의 세 가지 기본 색상으로 분리하여 각 색상을 각 프리즘 표면에 장착된 별도의 전하 결합 소자(CCD) 또는 액티브 픽셀 센서(CMOS 이미지 센서)로 보낸다. 일부 고급 소비자용 카메라도 이와 같이 작동하여 단일 비디오 픽업으로 일반적으로 가능한 것보다 더 높은 해상도 이미지와 더 나은 색상 충실도를 생성한다.단일 센서 베이어 필터 및 트리플 센서 디자인 모두에서 센서에 의해 생성된 약한 신호는 뷰파인더에서 사용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로 인코딩되기 전에 증폭되고 전송 및 녹화를 위해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된다. 아날로그 출력은 일반적으로 색상과 휘도 정보를 단일 출력으로 결합한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 또는 3개의 별도 커넥터를 통한 R-Y B-Y Y 컴포넌트 비디오 출력 형태였다.[1]
3. 1. 1. 주사(Scanning)
텔레비전은 화상을 보내는 데 2차원의 명암을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주사 혹은 스캐닝(scanning)이라고 하는데, 이에 의하여 전기신호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텔레비전 카메라라고 한다. 텔레비전 카메라는 촬상관과 그의 제어장치 및 증폭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1]화상을 분해하고 다시 화상을 만들어 내는 것의 예로 신문사진이 있다. 신문사진은 화상을 많은 점으로 분해하고, 신문지상에 재현할 때는 흰 곳은 점의 크기를 작게 하고, 검은 곳은 크게 하여 농도의 차를 내고 있다.[1]
이와 마찬가지로 텔레비전에서도 화상을 점으로 분해한다. 먼저 렌즈로 상을 맺고 상이 있는 곳에 작은 광전관을 많이 배열한다. 이렇게 하여 스위치 S를 전환해 가면 스위치가 접속된 광전관으로부터 광전류가 저항 Ri에 흘러 출력으로 나온다. 즉, 순차 스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주사가 행하여지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광상(光像)이 전기신호로 바뀌게 된다.[1]
그런데 실제 텔레비전에서는 화면의 크기는 세로 3, 가로 4의 비율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로를 525개의 점으로 분할한다. 그렇게 되면 가로에 배열되는 점의 수는 도합 525 × 700 = 367,500개나 된다. 이 점들의 하나하나를 화소라고 한다.[1]
이와 같이 매우 가늘게 나누고 있으나 이 방법은 그다지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광전관에는 쉴 새 없이 빛이 들어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개의 광전관이 유효하게 동작하는 시간은 전체의 약 40만 분의 1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1]
3. 1. 2. 회소(Picture Element)
텔레비전은 화상을 2차원의 명암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주사(走査) 혹은 스캐닝(scanning)이라고 한다. 텔레비전 카메라는 촬상관과 그 제어 장치 및 증폭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화상을 분해하고 다시 화상을 만들어 내는 것의 예로 신문사진이 있다. 신문사진은 화상을 많은 점으로 분해하고, 신문 지상에 재현할 때는 흰 곳은 점의 크기를 작게 하고, 검은 곳은 크게 하여 농도의 차이를 나타낸다.
텔레비전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화상을 점으로 분해한다. 먼저 렌즈로 상을 맺고 상이 있는 곳에 작은 광전관을 많이 배열한다. 스위치를 전환하면 스위치가 접속된 광전관으로부터 광전류가 저항에 흘러 출력으로 나온다. 즉, 순차적으로 스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주사가 행해지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광상(光像)이 전기 신호로 바뀌게 된다.
실제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크기는 세로 3, 가로 4의 비율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로를 525개의 점으로 분할한다. 그렇게 되면 가로에 배열되는 점의 수는 525 × 700 = 367,500개나 된다. 이 점들 하나하나를 회소(繪素)라고 한다.
이와 같이 매우 가늘게 나누고 있으나 이 방법은 그다지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광전관에는 쉴 새 없이 빛이 들어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개의 광전관이 유효하게 동작하는 시간은 전체의 약 40만 분의 1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3. 2. 촬상관 및 촬상 소자
텔레비전은 화상을 전송하기 위해 2차원의 명암을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주사(走査) 혹은 스캐닝(scanning)이라고 하며, 이 전기 신호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텔레비전 카메라라고 한다.신문 사진은 화상을 많은 점으로 분해하여 흰 곳은 점을 작게, 검은 곳은 크게 하여 농도를 표현하는 것과 유사하게, 텔레비전 카메라도 화상을 점으로 분해한다. 렌즈로 맺힌 상이 있는 곳에 작은 광전관을 많이 배열하고, 순차적으로 스위치를 전환하여 광전류를 출력함으로써 광상(光像)을 전기 신호로 바꾼다.
실제 텔레비전에서 화면의 크기는 세로 3, 가로 4의 비율이며, 세로는 525개의 점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가로에 배열되는 점의 수는 총 525 × 700 = 367,500개나 된다. 이 점들을 회소(繪素)라고 한다.
이러한 방식은 광전관이 빛을 계속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광전관이 유효하게 동작하는 시간이 전체의 약 40만 분의 1에 불과하여 효율적이지 않다.
- 1952년에는 최초의 워키루키 "휴대용 카메라"가 등장했다.
- 1953년, RCA TK-40은 방송용 최초의 컬러 텔레비전 카메라였다. RCA는 1978년 TK-47까지 고급 카메라 시장을 선도했으며, 이는 RCA의 마지막 고급 튜브 카메라였다.[6]
- 1954년, RCA의 TK-11 스튜디오 카메라는 3인치 IO – 이미지 오르티콘 튜브와 4개의 렌즈 터렛을 사용했다. RCA TK-31 (1954)은 현장 카메라로 널리 사용되었다. TK-31은 휴대용 카메라 제어 장치가 있는 TK-11과 동일하며, TK-11/TK-31과 이전 TK-10/TK-30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다.
- 이케가미는 1962년 최초의 진정한 휴대용 핸드헬드 TV 카메라를 출시했다.
- 필립스의 노렐코 카메라 라인도 PC-60 (1965), PC-70 (1967) 및 PCP-90 (1968 핸드헬드)과 같은 모델로 매우 인기가 있었다. 미국의 주요 방송사 CBS는 PC-60 및 PC-70 장치의 초기 주요 고객이었다. 필립스/BTS-브로드캐스트 텔레비전 시스템스 Inc.는 나중에 LDK 카메라 라인을 출시했는데, LDK 6 (1982)는 마지막 고급 튜브 카메라였다.
- 보쉬 Fernseh는 미국에서 튜브 카메라 KCK-40 (1978)으로 끝나는 고급 카메라 라인(KCU, KCN, KCP, KCK)을 판매했다. 캘리포니아주 유니버설 시티에 있는 이미지 트랜스폼은 "이미지 비전" 시스템에 특수 개조된 24 프레임 KCK-40을 사용했다. 이 시스템은 거의 NTSC 대역폭의 두 배인 10 MHz 대역폭을 가졌다. 이것은 맞춤형 사전 HDTV 비디오 시스템이었다. 최고조에 달했을 때 이 시스템은 1982년 "몬티 파이튼 라이브 앳 할리우드 볼"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것은 필름 레코더를 사용하여 필름 아웃을 한 최초의 주요 고화질 아날로그 광대역 비디오 테이프-투-필름 후반 작업이었다.
- 2000년대에는 소니, 필립스와 같은 주요 제조업체들이 플래시 메모리 기반 디지털 텔레비전 카메라를 출시했다. 2010년대 이후, 이 저장 시스템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2. 1. 비디오 카메라 튜브
- 1926년부터 1933년까지 "카메라"는 기계식 디스크를 사용하는 플라잉 스폿 스캐너의 한 종류였다.
- 1936년, RCA의 아이코노스코프 카메라가 등장했다.
- 1946년, RCA의 TK-10 스튜디오 카메라는 3인치 IO – 이미지 오르티콘 튜브와 4개의 렌즈 터렛을 사용했다. RCA TK-30 (1946)은 현장 카메라로 널리 사용되었다.
- 1948년, 듀몽 마르코니 MK IV는 이미지 오르티콘 카메라였다. 마르코니의 첫 번째 카메라는 1938년에 공개되었다.[4]
- 1950년, 비디콘 카메라 튜브가 등장하면서 더 작은 카메라가 가능해졌다. 이미지 오르티콘 튜브는 플럼비콘이 등장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 필립스는 1965년 플럼비콘 픽업 비디오 카메라 튜브를 발명하여 튜브 카메라에 더 깨끗한 화면을 제공했다.
3. 2. 2. 전하 결합 소자(CCD)
텔레비전 카메라는 촬상관과 그 제어 장치 및 증폭기 등으로 구성된다. 촬상관은 화상을 전기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1987년, 필립스/BTS는 최초의 핸드헬드 전하 결합 소자(CCD) 카메라 LDK90을 출시했다.[4]3. 2. 3. CMOS 센서
해당 문서에는 CMOS 센서에 대한 내용이 없다.3. 3. 프리즘 블록
대부분의 프로페셔널 카메라는 렌즈 바로 뒤에 광학 프리즘 블록을 사용한다. 이 프리즘 블록은 두 개의 이색성 프리즘으로 구성된 삼색 조립체로, 이미지를 빨강, 녹색, 파랑의 세 가지 기본 색상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각 색상은 프리즘 표면에 장착된 별도의 전하 결합 소자 (CCD) 또는 액티브 픽셀 센서 (CMOS 이미지 센서)로 보내진다. 일부 고급 소비자용 카메라도 이와 같이 작동하여 단일 비디오 픽업으로 일반적으로 가능한 것보다 더 높은 해상도 이미지와 더 나은 색상 충실도를 생성한다.단일 센서 베이어 필터 및 트리플 센서 디자인 모두에서 센서에 의해 생성된 약한 신호는 증폭된 후 전송 및 녹화를 위해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되고, 뷰파인더에서 사용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로 인코딩된다. 아날로그 출력은 일반적으로 색상과 휘도 정보를 단일 출력으로 결합한 컴포지트 비디오 신호 또는 3개의 별도 커넥터를 통한 R-Y B-Y Y 컴포넌트 비디오 출력 형태였다.
4. 카메라 유형 및 용도
프로페셔널 비디오 카메라는 다양한 유형과 용도로 사용된다. 크게 스튜디오 카메라, ENG(Electronic News Gathering) 카메라, EFP(Electronic Field Production) 카메라, 그리고 기타 카메라(원격 카메라, 블록 카메라, 립스틱 카메라)로 나눌 수 있다.
- 스튜디오 카메라: 주로 텔레비전 스튜디오 내에서 사용되며, 카메라 받침대에 설치되어 높이와 위치를 조절한다. 카메라 제어 장치(CCU)를 통해 제어되며, 방송 조정실(PCR)의 원격 제어 패널을 사용하여 영상 엔지니어가 화면의 밸런스를 맞춘다. 이동 촬영(OB) 시에는 삼각대에 설치하기도 한다. 자체 녹화 장치가 없어 케이블에 묶여 있으며, 탤리 램프를 통해 카메라가 '라이브' 상태임을 알린다.
- ENG 카메라: 뉴스 카메라 오퍼레이터가 사용하도록 설계된 카메라로, 캠코더와 유사하지만 더 크고 무겁다. 카메라 숄더 서포트나 어깨에 숄더 스톡으로 지지하며, 유압 헤드가 있는 삼각대에 장착된다. 3개의 CCD 또는 CMOS 능동 픽셀 센서를 사용하며, 교환 렌즈를 사용한다. 중성 농도 필터 선택을 위한 회전 필터 휠이 있고, 주요 컨트롤은 물리적 스위치로 조작한다. 화이트 밸런스, 초점, 조리개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BNC 커넥터를 사용한다. 오디오를 위한 XLR 커넥터 입력 커넥터가 있으며, 무선 마이크를 위한 슬롯이 있다. 타임 코드 섹션을 통해 시간 사전 설정을 할 수 있고, 바와 톤을 사용할 수 있다. 베타캠, DVCPRO, 디스크 직접 기록, 플래시 메모리 등 전문 매체에 기록한다.
- EFP 카메라: 전자 현장 제작(EFP) 카메라는 스튜디오 카메라와 유사하게 여러 대의 카메라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사용되지만, 스튜디오 외부 환경에서 사용된다. 콘서트, 스포츠, 특별 이벤트의 실시간 뉴스 보도에 사용되며, 어깨에 메거나 카메라 받침대, 크레인에 장착할 수 있다. 자체 녹화 기능이 없으며, 광섬유, 트라이액스, 무선 주파수 등을 통해 신호를 중계차로 전송한다.[1]
- 기타 카메라:
- 원격 카메라: 원격 제어를 통해 작동하도록 설계된 매우 작은 카메라 헤드이다.
- 블록 카메라: 카메라 헤드가 작은 블록 형태이며, 원격으로 제어된다.
- 립스틱 카메라: 립스틱 용기와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며, 작은 위치에 장착하거나 붐 폴 끝에 장착된다.
4. 1. 스튜디오 카메라
대부분의 텔레비전 스튜디오 카메라는 바닥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공압 또는 유압 메커니즘을 갖춘 카메라 받침대를 사용하여 스튜디오 내의 높이와 위치를 조절한다. 다중 카메라 설정의 카메라는 카메라 제어 장치(CCU)라고 하는 장치로 제어되며, 이 장치는 트라이액스 케이블, 광섬유 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멀티코어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에 연결된다. CCU는 젠록 및 기타 장비와 함께 텔레비전 스튜디오의 중앙 장치실(CAR)에 설치된다. 각 카메라에 대한 방송 조정실(PCR)의 원격 제어 패널은 영상 엔지니어가 화면의 밸런스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이동 촬영(OB)과 같이 정식 텔레비전 스튜디오 외부에서 사용되는 경우, 삼각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삼각대 모델에 따라 바퀴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초기 모델은 아날로그 신호 기술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구식이 되었으며, 디지털 데이터 모델로 대체되었다.
스튜디오 카메라는 가볍고 작아서 받침대에서 분리하여 렌즈를 더 작은 크기로 교체하여 카메라 운영자의 어깨에 올려놓고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자체 녹화 장치가 없으며 케이블에 묶여 있다. 또한 카메라는 삼각대 (사진), 카메라 돌리 또는 크레인 샷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카메라는 이전 세대의 스튜디오 카메라보다 훨씬 더 다재다능해졌다. 이러한 카메라는 탤리 램프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촬영 대상과 카메라 운영자에게 카메라가 '라이브' 상태, 즉 해당 신호가 현재 '주요 프로그램'에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작은 신호 램프이다.
4. 2. ENG(Electronic News Gathering) 카메라
ENG(Electronic News Gathering) 비디오 카메라는 원래 뉴스 카메라 오퍼레이터가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소형 소비자용 캠코더와 유사한 점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다.- ENG 카메라는 더 크고 무겁다(작은 움직임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됨). 일반적으로 카메라 숄더 서포트 또는 카메라 오퍼레이터의 어깨에 숄더 스톡으로 지지되어 손의 무게를 덜어주고, 손은 줌 렌즈 제어를 조작하는 데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 카메라는 유압 헤드가 있는 삼각대 및 퀵 릴리스 플레이트가 있는 기타 지지대에 장착된다.
- 각 기본 색상당 1개씩, 3개의 CCD 또는 CMOS 능동 픽셀 센서가 사용된다.
- 교환 렌즈를 사용한다.
- 렌즈는 중간 서보 제어 없이 수동으로 직접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렌즈 줌 및 초점은 카메라 제어 유닛(CCU)에 의해 작동되는 텔레비전 스튜디오 구성으로 원격 제어로 조작할 수 있다.
- 85A 및 중성 농도 필터를 선택하기 위한 렌즈 뒤 회전 필터 휠.
- 즉시 액세스해야 하는 컨트롤은 카메라 제조업체에 관계없이 카메라의 동일한 일반 위치에 있는 하드 물리적 스위치에 있으며, 이득 선택, 화이트 밸런스/블랙 밸런스, 컬러 바 선택, 레코드 시작 컨트롤이 메뉴 선택에 있지 않다.
- 모든 설정, 화이트 밸런스, 초점, 조리개를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자동 설정을 완전히 비활성화할 수 있다.
- 비디오 출력 및 젠록 입력을 위한 전문적인 BNC 커넥터.
- 전자식 뷰파인더(EVF) 또는 외부 CRT 뷰파인더를 작동할 수 있다.
- 오디오를 위한 최소 2개의 XLR 커넥터 입력 커넥터가 포함되어 있다.
- 휴대용 무선 마이크를 위한 직접 슬롯 인.
- 오디오는 물리적인 노브를 통해 쉽게 액세스하여 수동으로 조정한다.
- 완전한 타임 코드 섹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간 사전 설정을 허용한다. 여러 카메라 설정을 타임 코드 동기화하거나 마스터 클럭에 ''잼 동기화''할 수 있다.
- 바와 톤을 카메라에서 사용할 수 있다(SMPTE 컬러 바 바, 모니터 보정 및 그림 복제 및 전송 시 레벨 설정을 단순화하는 참조 신호).
- 레코딩은 베타캠 또는 DVCPRO 또는 디스크 직접 기록 또는 플래시 메모리의 일부 변형과 같은 전문 매체에 이루어진다. 후자 두 가지의 경우처럼 데이터 기록인 경우, 소비자 장치보다 훨씬 높은 데이터 속도(또는 적은 비디오 압축)가 사용된다.

4. 3. EFP(Electronic Field Production) 카메라

전자 현장 제작(EFP) 카메라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스튜디오 카메라와 유사하지만, 중계 방송과 같이 스튜디오 외부 환경에서 콘서트, 스포츠, 특별 이벤트의 실시간 뉴스 보도에 사용된다. 이러한 다재다능한 카메라는 어깨에 멜 수도 있고, 스튜디오 카메라 장착용으로 제작된 크고 초점 거리가 매우 긴 줌 렌즈와 함께 카메라 받침대와 크레인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자체적으로 녹화 기능이 없으며, 광섬유, 트라이액스, 무선 주파수 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멀티 코어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중계차로 전송한다.[1]
4. 4. 기타 카메라

원격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원격 제어를 통해 작동하도록 설계된 매우 작은 카메라 헤드이다.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더 큰 ENG 및 EFP 유형의 성능에 근접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블록 카메라는 카메라 헤드가 작은 블록 형태이며, 종종 렌즈 자체보다 작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일부 블록 카메라는 완전히 자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다른 카메라는 센서 블록과 사전 증폭기만 포함하고 있어 별도의 카메라 제어 장치에 연결해야 작동한다. 카메라의 모든 기능은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렌즈 초점 및 줌 제어 기능도 포함된다. 이러한 카메라는 팬 및 틸트 헤드에 장착되며, 기둥이나 타워 꼭대기, 방송 부스의 구석 또는 농구 골대 뒤와 같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봇식 돌리, 카메라 붐 및 크레인의 끝에 배치하거나, 그림과 같이 케이블로 지지되는 하네스에 "비행"할 수도 있다.
립스틱 카메라는 렌즈와 센서 블록을 결합한 것이 립스틱 용기와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카메라는 경주용 자동차와 같이 작은 위치에 단단히 장착되거나 붐 폴 끝에 장착된다. 센서 블록과 렌즈는 긴 다중 도체 케이블로 나머지 카메라 전자 장치와 분리된다. 카메라 설정은 이 상자에서 조작되며, 렌즈 설정은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제자리에 장착될 때 설정된다.
4. 4. 1. 원격 카메라
원격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원격 제어를 통해 작동하도록 설계된 매우 작은 카메라 헤드이다.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더 큰 ENG 및 EFP 유형의 성능에 근접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블록 카메라는 카메라 헤드가 작은 블록 형태이고, 종종 렌즈 자체보다 작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일부 블록 카메라는 완전히 자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다른 카메라는 센서 블록과 사전 증폭기만 포함하고 있어 작동하려면 별도의 카메라 제어 장치에 연결해야 한다. 카메라의 모든 기능은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종종 렌즈 초점 및 줌을 제어하는 기능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팬 및 틸트 헤드에 장착되며, 기둥이나 타워 꼭대기, 방송 부스의 구석 또는 농구 골대 뒤와 같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봇식 돌리, 카메라 붐 및 크레인의 끝에 배치하거나, 그림과 같이 케이블로 지지되는 하네스에 "비행"할 수도 있다.
립스틱 카메라는 렌즈와 센서 블록을 결합한 것이 립스틱 용기와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이 카메라는 경주용 자동차와 같이 작은 위치에 단단히 장착되거나 붐 폴 끝에 장착된다. 센서 블록과 렌즈는 긴 다중 도체 케이블로 나머지 카메라 전자 장치와 분리된다. 카메라 설정은 이 상자에서 조작되며, 렌즈 설정은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제자리에 장착될 때 설정된다.
4. 4. 2. 블록 카메라
원격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원격 제어를 통해 작동하도록 설계된 매우 작은 카메라 헤드이다.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더 큰 ENG 및 EFP 유형의 성능에 근접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블록 카메라는 카메라 헤드가 작은 블록 형태이며, 종종 렌즈 자체보다 작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일부 블록 카메라는 완전히 자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지만, 다른 카메라는 센서 블록과 사전 증폭기만 포함하고 있어 작동하려면 별도의 카메라 제어 장치에 연결해야 한다. 카메라의 모든 기능은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종종 렌즈 초점 및 줌을 제어하는 기능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팬 및 틸트 헤드에 장착되며, 기둥이나 타워 꼭대기, 방송 부스의 구석 또는 농구 골대 뒤와 같은 고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봇식 돌리, 카메라 붐 및 크레인의 끝에 배치하거나, 그림과 같이 케이블로 지지되는 하네스에 "비행"할 수도 있다.
4. 4. 3. 립스틱 카메라
립스틱 카메라는 렌즈와 센서 블록을 결합한 것이 립스틱 용기와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이 카메라는 경주용 자동차와 같이 작은 위치에 단단히 장착되거나 붐 폴 끝에 장착된다. 센서 블록과 렌즈는 긴 다중 도체 케이블로 나머지 카메라 전자 장치와 분리된다. 카메라 설정은 이 상자에서 조작되며, 렌즈 설정은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제자리에 장착될 때 설정된다.참조
[1]
웹사이트
HD Time Machine
http://www.hdcamerag[...]
2014-09-22
[2]
웹사이트
RCA TV Camera Section
http://www.oldradio.[...]
2014-09-22
[3]
웹사이트
Thomson TTV1602 Microcam
http://www.tvcameram[...]
2014-09-22
[4]
웹사이트
link to MK IV
http://www.chalkhill[...]
[5]
웹사이트
The Knacker's Yard - Studio
http://www.meldrum.c[...]
[6]
서적
The History of Television, 1942 to 2000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8-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