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 낚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입문자를 위한 플라이 낚시 장비
- 3. 캐스팅 (Casting)
- 4. 파이팅 (Fighting)
- 5. 타잉 (Tying)
- 6. 자연 관찰
- 7. 플라이의 종류
- 8. 대상 어종
- 9. 첨연어 플라이 낚시 (Chum Salmon fly fishing)
- 10. 코호 연어 플라이 피싱 (Coho Salmon fly fishing)
- 11. 대물 송어 공략법
- 12. 스틸헤드 공략법
- 13. 전통적인 웨트 플라이 프리젠테이션 (Traditional wet fly presentation)
- 14. Articulated streamer
- 15. Intruderfly (인터루더 플라이)
- 16. 스페이 스윙에서 펄스 (pulse) 기법의 적용 (pulsing the swing)
- 17. 매듭
- 18. 역사
- 참조
1. 개요
플라이 낚시는 플라이(인공 미끼)를 전용 장비를 사용하여 원하는 지점에 던져 물고기를 잡는 낚시 방법이다. 플라이 낚시는 로드, 릴, 라인, 리더 등의 장비를 사용하며, 대상 어종과 낚시 장소에 따라 장비를 선택한다. 캐스팅, 파이팅, 타잉(플라이 제작) 기술이 중요하며, 다양한 종류의 플라이와 캐스팅 기법이 존재한다. 플라이 낚시는 송어, 연어, 농어 등 다양한 어종을 대상으로 하며, 스페이 캐스팅과 같은 특수한 기술도 활용된다. 플라이 낚시는 2세기 로마 시대부터 시작되어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발전해 왔으며, 현재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스포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플라이 낚시 | |
---|---|
개요 | |
종류 | 낚시 |
방법 | 인조 미끼를 사용 |
대상 어종 | 물고기 |
특징 | |
특징 | 낚싯줄과 인조 미끼의 무게로 캐스팅 |
주요 대상 | 송어, 연어 |
기원 | 영국, 스코틀랜드 |
역사 | |
기원 |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강 |
초기 형태 | 양털, 깃털 등을 이용한 미끼 사용 |
현대적 발전 | 다양한 재료와 기술을 활용한 미끼 개발 |
대중화 | 19세기 빅토리아 시대 |
기술 | |
캐스팅 | 플라이 낚시 전용 낚싯대와 릴 사용 |
드라이 플라이 | 물 위에 뜨는 인조 미끼 사용 |
님프 | 물속에 가라앉는 인조 미끼 사용 |
스트리머 | 물고기 모양의 인조 미끼 사용 |
장비 | |
낚싯대 | 플라이 낚시 전용 낚싯대 |
릴 | 플라이 낚시 전용 릴 |
낚싯줄 | 플라이 라인, 리더, 티펫 |
인조 미끼 | 드라이 플라이, 님프, 스트리머 |
기타 장비 | 웨이더, 조끼, 모자, 선글라스 |
추가 정보 | |
관련 서적 | 플라이 낚시 (에드워드 그레이) |
관련 광고 | J. R. 하틀리 (옐로우 페이지) |
2. 입문자를 위한 플라이 낚시 장비
플라이 낚시는 플라이를 원하는 지점(스폿)으로 보내기 위해 전용 장비를 사용한다.[40] 전용 장비로는 로드, 릴, 라인, 리더가 있으며, 이 외에도 웨이더(장화), 계류화, 가방, 뜰채, 모자 등 다양한 소품이 사용된다.
- 로드(Rod)는 대상 어종과 낚시 장소에 따라 선택한다. 0번부터 10번까지 있으며, 5번을 기준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길이가 길고 무거워진다. 0~3번은 산천어, 피라미, 갈겨니 등 소형 어종, 4~6번은 송어, 7~10번은 연어, 누치, 강준치 등 대형 어종을 잡는 데 주로 사용된다.
- 릴(Reel)은 로드 번호에 맞춰 크기(#1/2, #3/4, #5/6, #7/8, #9/10/11)를 선택한다.
- 라인(Line)은 로드 번호와 동일한 것을 구입하면 된다. 라인은 두께와 무게가 일정한 DT라인과 무게 중심을 앞쪽에 둔 WF라인이 있다.
- 리더(Leader)는 한국어로 목줄이라 번역되며, 라인과 플라이를 연결하는 가늘고 투명한 낚싯줄이다. 1X ~ 10X까지 있으며, 숫자가 낮을수록 두껍고 높을수록 가늘어진다. 리더는 4번을 기준으로 선택한다.
플라이 낚싯대는 일반적으로 담수 낚시에서는 1.8m(6피트)에서 연어나 스틸헤드를 위한 양손 낚시 또는 작은 개울에서의 텐카라 낚시의 경우 최대 4.5m(15피트)까지 다양하다. 평균적인 낚싯대는 담수와 해수에서 약 2.7m 길이에 무게는 3~5온스이다. 최근에는 작은 개울에서 낚시하기 위한 가볍고 짧은 낚싯대가 인기이며, 또 다른 추세는 작은 개울을 위한 더 긴 낚싯대이다. 사용되는 낚싯대 길이와 라인 무게는 지역 조건, 캐스팅되는 플라이의 종류,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달라진다.[40]
낚시를 할 때 낚시꾼은 캐스팅 팔의 집게손가락으로 플라이 라인을 낚싯대 손잡이에 가볍게 누르고, 자유로운 팔은 릴에서 라인을 당기거나 물에서 라인을 되감는 데 사용한다.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물면 낚시꾼은 집게손가락으로 라인을 낚싯대 손잡이에 대고 잡아 당긴 후 낚싯대 끝을 들어 올려 낚싯바늘을 건다.[40]
입문자용 전용 장비는 자신의 경제적, 신체적 능력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2. 1. 로드 (Rod)
플라이 낚싯대는 인공 미끼를 목표 어종에게 제시하고, 잡은 물고기와 싸우고 낚는 데 사용된다.[40] 플라이 낚시는 전용 장비를 사용하며, 로드는 자신이 잡고 싶은 대상어와 장소에 따라 선택한다.[40] 0번부터 10번까지 있으며, 5번을 기준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길이가 길고 무게가 많이 나간다. 0에서 3번은 산천어, 피라미, 갈겨니 등 작은 물고기, 4~6번은 송어, 7~10번은 연어, 누치, 강준치 등 크기가 큰 물고기를 잡는데 주로 사용된다.플라이 낚싯대는 담수 낚시에서는 일반적으로 1.8m(6피트) 길이이며, 연어나 스틸헤드를 위한 양손 낚시 또는 작은 개울에서의 텐카라 낚시의 경우 최대 4.5m(15피트) 길이이다. 담수와 해수용 평균 낚싯대는 길이가 약 2.7m(9피트)이고 무게는 3~5온스이지만, 최근에는 작은 개울에서 낚시하기 위한 가볍고 짧은 낚싯대가 추세이다. 또 다른 추세는 작은 개울을 위한 더 긴 낚싯대이다. 사용되는 낚싯대 길이와 라인 무게의 선택은 지역 조건, 캐스팅되는 플라이의 종류 및/또는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다르다.[40]
로드, 릴, 플라이 라인의 크기는 ○번, #○라고 부르며, 숫자가 커질수록 대형이 된다. 작은 것은 #0(제조사에 따라 #000도 있다)부터 최대 #15까지 있다.
- 0~1 : 소형 산천어 등. 덤불이 우거진 계곡, 계류 등의 근거리, 무풍.
- 2~4 : 산천어, 열목어 등 연어과 어류. 계류의 중·근거리.
- 4~6 : 무지개송어 등 비교적 대형이 되는 어류. 중·대하천·호수의 중·원거리.
- 6~8 : 대형 무지개송어, 브라운트라우트, 아메기 등. 호수의 중·원거리.
- 8~10 : 연어(サーモン)나 솔트워터(바다 또는 기수역)에서의 시바스 등 대형 어류.
- 10~15 : 청새치, 가다랑어, 참치(ツナ) 등 초대형 어류.
잉어나 배스를 플라이 낚시로 낚는 사람도 많아졌으며, 배스를 노리는 플라이를 배스 플라이라고 부른다. 배스를 노리는 태클 번호는 6~8번 부근이 많다. 플라이를 정확하게 원거리로 던지기 위해 플라이 라인과 그 무게 균형을 고려해야 하며, 밀(알갱이)을 계량할 때 사용되는 그레인이라는 무게 단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0호 이상: 로드 #10~15번.
- 1~6호: 로드 #7~10번.
- 6~12호: 로드 #5~7번.
- 12~20호: 로드 #2~5번.
- 18~24호: 로드 #1번 이하~1번.
로드 번호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비슷한 크기라면 사용 가능하다.
2. 2. 릴 (Reel)
플라이 릴은 로드 번호에 따라 크기(#1/2, #3/4, #5/6, #7/8, #9/10/11)를 선택하면 된다.[40] 플라이 릴은 플라이 라인을 보관하고 무겁거나 빠르게 움직이는 물고기와 싸우기 위한 제동 장치(드랙)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40] 낚시를 할 때 낚시꾼은 캐스팅 팔의 집게손가락으로 플라이 라인을 낚싯대 손잡이에 가볍게 누르고, 자유로운 팔은 릴에서 라인을 당기거나 물에서 라인을 되감는 데 사용한다.[40]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물면 낚시꾼은 집게손가락으로 라인을 낚싯대 손잡이에 대고 잡아 당긴 후 낚싯대 끝을 들어 올려 낚싯바늘을 건다.[40]2. 3. 라인 (Line)
라인(Line)은 로드 번호에 맞춰 구입하며, 두께와 무게가 일정한 DT라인과 무게 중심을 앞쪽에 둔 WF라인이 있다.[40] 플라이 라인의 패키지에는 사양을 나타내는 기호가 있으며, 굵기 외에도 테이퍼 디자인이나 웻 플라이용 침하 속도 등에 따라 표기가 달라진다.[40]백킹라인(バッキングライン)은 언더와인딩 라인(下巻き糸)이라고도 불리며, 릴의 스풀 내경을 넓혀 낚싯줄 꼬임을 방지하고 플라이 라인을 감을 때 공간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릴은 스풀 내경이 가늘어 낚싯줄이 쉽게 꼬이는 경향이 있고, 플라이 라인을 모두 감아도 스풀에 공간이 남기 때문이다. 또한, 대형 어종을 대상으로 하거나 초장거리 캐스팅을 할 때 예비 라인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스풀 내경이 큰 "라지 아버 릴(ラージアーバーリール)"이나 초소형 릴에서는 백킹라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백킹라인은 일반적으로 가는 낙지줄과 같은 재질이며, 노란색 등으로 착색된 것도 있다. 착색 라인은 플라이 라인으로 색이 번질 수 있으므로 동계색 이외의 조합은 주의해야 한다.
2. 4. 리더 (Leader)
리더(Leader)는 한국어로 목줄이라 번역되고, 라인과 플라이를 이어주는 가늘고 투명한 낚시줄이다.[40] 리더는 1X ~ 10X가 있으며 숫자가 낮을수록 두껍고 높을수록 가늘어진다. 리더의 선택은 4번을 기준으로 사용된다. 리더와 티펫의 크기는 상기 태클과는 다른 표현으로, '''○X'''라고 부른다. 의미는 플라이와 같아서, '''숫자가 커질수록 가늘어진다(소형화)'''.[40]가장 작은 것은 10X(그 이하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 가장 큰 것은 04X(0X보다 4단계 위)까지 있다(더 큰 번호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 어디까지나 두께의 기준이며 강도와는 관계가 없고, 강도는 파운드(lb)로 별도 표기되어 있다.
- 0X 이상: 로드 사이즈 #10~15.
- 1~3X: 로드 사이즈 #7~10.
- 3~5X: 로드 사이즈 #5~7.
- 5~7X: 로드 사이즈 #2~5.
- 7~10X: 로드 사이즈 #1 이하~1.
엄밀히 말하면 리더는 테이퍼 부분만을 가리키고, 그 앞에 연결하는 테이퍼가 없는 가는 라인을 티펫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현재 판매되고 있는 리더에는 티펫이 이미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상품에는 리더+티펫의 길이가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리더라고 부르는 것은 상품명의 리더로, 리더+티펫을 의미한다. 리더 부분의 두꺼운 쪽을 버트(BUTT), 중간을 미들(MIDDLE), 그 앞의 팁 부분을 팁 또는 티펫(TIP or Tippet)이라고 부른다.
플로팅 라인에는 리더 상품 표기로 9ft 이상, 싱킹 라인에는 7.5ft 이하가 기준이다. 리더(티펫 부분)를 길게 하는 장점은 강물의 흐름에 라인이 눌리는 「드래그(또는 드랙)」의 영향이 적다는 점과, 물고기에게 들키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러나 길게 하면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쉽고, 캐스팅 시의 파워가 라인 끝까지 전달되기 어려워 다루기 어려운 점도 나타나므로 짧은 쪽이 다루기 쉽다. 따라서 초심자는 짧은 것(7.5ft 전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플라이와 티펫의 크기가 맞지 않으면 플라이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져 낚시하기 어려워진다.
티펫 | 호수 | 강도 | 플라이 크기 |
---|---|---|---|
0X | 3호 | 7kg | #1/0~4 |
1X | 2.5호 | 6kg | #4~8 |
2X | 2호 | 5kg | #6~10 |
3X | 1.5호 | 4kg | #10~14 |
4X | 1호 | 3kg | #12~16 |
5X | 0.8호 | 2kg | #14~22 |
6X | 0.6호 | 1.5kg | #16~24 |
7X | 0.4호 | 1kg | #18~26 |
8X | 0.3호 | 0.75kg | #20~28 |
2. 5. 기타 장비
플라이 낚시는 플라이를 원하는 지점(스폿)으로 보내기 위해 전용 장비를 사용한다.[40] 전용 장비로는 로드, 릴, 라인, 리더가 있으며, 이 외에도 웨이더, 계류화, 가방, 뜰채, 모자 등 다양한 소품이 사용된다.- 로드(Rod)는 대상 어종과 낚시 장소에 따라 선택한다. 0번부터 10번까지 있으며, 5번을 기준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길이가 길고 무거워진다. 0~3번은 산천어, 피라미, 갈겨니 등 소형 어종, 4~6번은 송어, 7~10번은 연어, 누치, 강준치 등 대형 어종을 잡는 데 주로 사용된다.
- 릴(Reel)은 로드 번호에 맞춰 크기(#1/2, #3/4, #5/6, #7/8, #9/10/11)를 선택한다.
- 라인(Line)은 로드 번호와 동일한 것을 구입하면 된다. 라인은 두께와 무게가 일정한 DT라인과 무게 중심을 앞쪽에 둔 WF라인이 있다.
- 리더(Leader)는 한국어로 목줄이라 번역되며, 라인과 플라이를 연결하는 가늘고 투명한 낚싯줄이다. 1X ~ 10X까지 있으며, 숫자가 낮을수록 두껍고 높을수록 가늘어진다. 리더는 4번을 기준으로 선택한다.
플라이 낚싯대는 일반적으로 담수 낚시에서는 1.8m(6피트)에서 연어나 스틸헤드를 위한 양손 낚시 또는 작은 개울에서의 텐카라 낚시의 경우 최대 4.5m(15피트)까지 다양하다. 평균적인 낚싯대는 담수와 해수에서 약 9피트(2.7m) 길이에 무게는 3~5온스이다. 최근에는 작은 개울에서 낚시하기 위한 가볍고 짧은 낚싯대가 인기이며, 또 다른 추세는 작은 개울을 위한 더 긴 낚싯대이다. 사용되는 낚싯대 길이와 라인 무게는 지역 조건, 캐스팅되는 플라이의 종류,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달라진다.[40]
낚시를 할 때 낚시꾼은 캐스팅 팔의 집게손가락으로 플라이 라인을 낚싯대 손잡이에 가볍게 누르고, 자유로운 팔은 릴에서 라인을 당기거나 물에서 라인을 되감는 데 사용한다.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물면 낚시꾼은 집게손가락으로 라인을 낚싯대 손잡이에 대고 잡아 당긴 후 낚싯대 끝을 들어 올려 낚싯바늘을 건다.[40]
입문자용 전용 장비는 자신의 경제적, 신체적 능력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3. 캐스팅 (Casting)
플라이 낚시에서 캐스팅은 라인의 무게를 이용하여 플라이를 던지는 기술이다.[32] 다른 낚시 방법과 달리 플라이 낚시는 미끼가 아닌 라인을 캐스팅하는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다. 플라이 미끼는 너무 가볍고 항력이 커서 자체 운동량으로 캐스팅될 수 없기 때문에, 플라이 라인은 다른 유형의 낚시에 사용되는 라인보다 무겁게 만들어져 캐스팅이 용이하다.[32] 플라이 라인의 질량 증가와 테이퍼형 리더 라인을 사용하여 미끼를 플라이 라인에 고정한다.[32]
플라이 캐스팅은 막대의 기저에서 정점까지, 그리고 플라이 라인을 통해 리더 끝까지의 충격량 전달로 설명할 수 있다.[32] 막대와 플라이 라인 모두 테이퍼형이기 때문에 더 적은 질량이 막대와 라인의 파동이 풀리면서 높은 속도에 도달한다.[33] 이 파동을 ''루프''라고 한다.[33] 막대 끝이 최고 속도에 도달하는 순간 캐스팅 방향이 결정된다.[32]
가장 일반적인 캐스팅은 포워드 캐스팅으로, 낚시꾼은 플라이를 공중으로 휘두르고 어깨 너머로 라인이 거의 직선이 될 때까지 뒤로 휘두른 다음 주로 아래팔을 사용하여 앞으로 휘두른다. 이 동작의 목표는 저장된 에너지로 막대 끝을 "로드"(굽힘)시킨 다음 그 에너지를 라인으로 전달하여 플라이 라인이 상당한 거리만큼 캐스팅되도록 하는 것이다. 막대를 구부리고 놓아 플라이 라인을 앞으로 갑자기 당기는 것만으로는 플라이 라인과 플라이를 멀리 던질 수 없다. 더 중요한 것은 지렛대 역할을 하는 호를 따라 막대를 움직여 낚시꾼의 손 움직임을 막대 끝의 여러 피트 호로 확대하는 것이다. 플라이를 물에 떨어뜨리지 않고 캐스팅하는 것을 '폴스 캐스팅'이라고 하며, 라인을 풀거나, 젖은 플라이를 말리거나, 캐스팅 위치를 재조정하는 데 사용한다.
플라이를 물에 떨어뜨리고 그 이후 물 위나 아래에서의 움직임은 플라이 낚시에서 가장 어려운 측면 중 하나이다. 낚시꾼은 라인이 물에 부드럽게 착지하고 플라이가 가능한 한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캐스팅하려고 한다. 어느 시점에서 물고기가 물지 않으면, 바람이나 물살에 따른 플라이의 움직임에 따라 낚시꾼은 라인을 집어 올려 다시 시도한다. 반면에 물고기가 물면, 낚시꾼은 막대 끝을 들어 올리면서 라인을 당긴다. 이것이 물고기 입에 "걸이"를 박는 것이다.
초보자는 던지고 싶은 곳을 향해 막대를 가리키는 경향이 있지만, 손의 움직임은 제어된 속도 증가 후 갑자기 멈춰야 한다. 그러면 막대가 풀리기 시작하고 막대 끝이 원하는 방향으로 고속에 도달한다. 숙련된 낚시꾼은 ''홀링'' 기술을 사용하여 라인이 막대 끝을 떠나는 속도를 높인다.
롤 캐스팅, 싱글 또는 더블 홀, 턱 캐스팅, 사이드 또는 커브 캐스팅 등 다양한 특수 캐스팅이 있다. 이러한 특수 캐스팅은 낚시꾼 뒤의 나무와 같은 문제를 피하거나, 물살에 의해 플라이가 라인을 당기는 것을 방지하거나, 플라이를 더 부드럽게 착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스페이 캐스팅은 플라이 낚시에서 사용되는 캐스팅 기법으로, "스페이 로드"라고 불리는 더 길고 무거운 양손 플라이 로드가 필요하다.[34] 스페이 캐스팅은 기본적으로 큰 롤 캐스팅으로, 높은 제방으로 인해 일반적인 백 캐스트 공간이 없는 스코틀랜드 스페이 강에서 개발되었다. 스페이 캐스팅은 연어, 스틸헤드, 바다송어와 같은 큰 송어를 잡기 위해 큰 강에서 사용되거나, 바닷물 서프 캐스팅에도 사용된다. 양손 스페이 기법을 사용하면 더 강력한 캐스팅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라인을 낚시꾼 앞에 유지하여 해안의 장애물을 피할 수 있다.
스페이 캐스팅은 오버헤드 캐스팅과 비교되어 뒷 공간이 협소한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이지만, 최근에는 최소한의 에너지를 이용한 캐스팅이 필요할 때 종종 응용된다. 크게 싱글핸드 스페이 캐스팅과 투 핸드 스페이 캐스팅으로 나눌 수 있다. 투 핸드 스페이 캐스팅의 경우 라인과 로드, 사용하는 손의 위치와 힘에 따라 주로 세 가지로 분류된다.
- 전통적인 스페이 캐스팅(Traditional spey casting): 영국 스코틀랜드 스페이 강에서 유래된 캐스팅으로, 롱벨리 라인과 14피트 이상의 무거운 스페이 로드를 이용한다. 오른손의 역할이 강조되고 롱벨리 라인으로 인해 뒷공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다.
- 스칸디나비안 스페이 캐스팅(Scandinavian spey casting) 또는 언더핸드 캐스팅(Underhand casting): 전통적인 스페이 캐스팅에 비해 짧은 벨리 부분과 러닝라인이 특징이며, 왼손을 이용한 슈팅을 통해 적은 에너지로 스페이를 실현할 수 있다. 로드 길이가 다소 길어야 유리하며, 라인이 가볍고 헤드가 슈팅헤드 라인 형태를 띤다.
- 스카짓 캐스팅(Skagit casting): 미국 서북부와 캐나다의 스틸헤드 낚시에 특화된 캐스팅이다. 스캔디 라인보다 헤드가 짧고 굵어 무거운 훅을 유속이 빠른 강에서 바닥권을 스윙하기 위해 디자인되었다. 왼손이 40%, 오른손이 약 60%의 에너지를 분담한다.
스칸디나비안 시스템(Scandi system)과 스카짓 시스템(Skagit system)은 각각 다른 상황에 적합하다. 스캔디 시스템은 여름철 스틸헤드나 코호 연어 낚시에 적합하며, 착수 시 물파장을 최소화하여 예민한 물고기를 놀라게 하지 않는다. 스카짓 시스템은 겨울철 대물 브라운 송어나 무지개 송어, 스틸헤드를 공략하는데 특화되어 있다.
스페이 캐스팅을 이용한 스윙 기법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업스트림 45도 캐스팅 후 데드 드리프팅 후 스윙
- 전방 90도 캐스팅 후 데드 드리프팅 후 스윙
- 다운스트림 45도 캐스팅 후 멘딩 이후 스윙
- 다운 스트림 75도 캐스팅 후 스윙
강폭과 수심에 따라 적절한 스윙 기법을 선택할 수 있다. 스윙 기법의 핵심은 강의 흐름에 라인이 드랙이 걸려 플라이가 대상어종에서 도망치는 모양을 연출하는 것이다.
4. 파이팅 (Fighting)
한번 걸리면, 작은 송어는 릴을 이용하거나 릴 손으로 낚싯줄을 당기면서 낚싯대 손잡이와 집게손가락 사이에 줄을 끼우는 것만으로도 쉽게 끌어올릴 수 있다. 낚싯대 끝을 높이 유지하여 낚싯대의 휨이 낚싯줄에 저항하는 물고기의 힘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큰 송어는 잡히기 전에 강력한 돌진으로 낚싯줄을 풀어놓는 경우가 많다. 낚싯줄이 이미 릴에 감겨 있는 스피닝 낚시와 달리, 플라이 낚싯줄과 플라이 릴로 큰 물고기를 다루는 것은 특별한 어려움을 제시할 수 있다. 보통 물고기가 걸리면 릴과 낚싯대 손의 집게손가락 사이에 여분의 플라이 낚싯줄이 감겨 있다. 문제는 큰 물고기를 놓치지 않고(또는 낚싯대 손잡이, 발, 막대기 또는 그 밖의 다른 것에 낚싯줄이 감기지 않도록) 느슨한 플라이 낚싯줄을 릴에 감는 것이다. 경험이 있는 경우, 낚시꾼의 손가락으로 나가는 낚싯줄에 가벼운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정말 큰 송어를 릴에 감을 수 있다. 여분의 낚싯줄이 릴에 감기면, 낚시꾼은 릴의 드랙 시스템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지치게 할 수 있다. 물고기를 놀라게 하지 않는다면 더 무거운 티펫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지친 물고기는 너무 일찍 놓아주면 쉽게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무거운 티펫 소재를 사용하면 낚시꾼은 물고기를 너무 지치게 하지 않고 잡을 수 있다.
5. 타잉 (Tying)
인공 미끼는 크게 모방형과 유인형으로 나뉜다. 모방형은 자연 먹이를 닮았으며, 유인형은 먹이를 모방하지 않아도 본능적인 공격을 유발하는 특징을 지닌다. 인공 미끼는 사용 방식에 따라 수면에 뜨는 드라이 플라이, 부분적으로 잠기는 이머저, 수면 아래에서 사용하는 나이프, 스트리머, 웻 플라이 등으로 구분된다. 드라이 플라이는 보통 메뚜기, 잠자리, 강도래 등 물 표면에 착지하거나 떨어지는 육상 곤충, 또는 케이디스플라이처럼 물 표면에서 나오는 곤충을 모방한다. 포퍼와 헤어 버그는 생쥐나 개구리 등을 닮게 만든다. 수중 인공 미끼는 수생 곤충의 유충, 약충, 번데기, 미끼 물고기, 가재, 거머리, 지렁이 등 다양한 먹이를 모방한다. 웻 플라이의 일종인 스트리머는 피라미류, 거머리, 스커드 등을 모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적으로 낚시꾼들은 털, 깃털, 실 등을 사용해 물고기의 먹이를 닮은 인공 미끼를 만들어왔다. 초기에는 일반적인 수생 곤충이나 미끼 물고기를 모방했지만, 오늘날에는 마일라, 고무와 같은 다양한 천연 및 합성 재료를 사용하여 수생 및 육상 곤충, 갑각류, 지렁이, 미끼 물고기, 식물, 육류, 알, 작은 파충류, 양서류, 포유류, 조류 등 담수 및 해수 어류의 먹이를 표현한다.
6. 자연 관찰
7. 플라이의 종류
가장 넓은 의미에서 인공 미끼는 모방형과 유인형으로 분류된다. 모방형은 자연 먹이를 닮았고, 유인형은 본능적인 공격을 유발하는 다양한 특징을 사용한다. 인공 미끼는 수면에 떠서(드라이 플라이), 부분적으로 잠겨서(이머저), 또는 수면 아래에서(나이프, 스트리머, 웻 플라이) 사용할 수 있다. 드라이 플라이는 일반적으로 메뚜기, 잠자리, 강도래, 개미, 딱정벌레, 돌좀 또는 케이디스플라이처럼 물 표면에 착지하거나, 떨어지거나(육상 곤충), 또는 물 표면에서 나오는 곤충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수면 인공 미끼에는 생쥐, 개구리 등을 닮은 포퍼와 헤어 버그가 있다. 수중 인공 미끼는 수생 곤충 유충, 약충 및 번데기, 미끼 물고기, 가재, 거머리, 지렁이 등 다양한 먹이를 닮도록 설계되었다. 스트리머로 알려진 웻 플라이는 일반적으로 피라미류, 거머리 또는 스커드를 모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역사적으로 낚시꾼들은 물고기의 먹이를 모방하기 위해 털, 깃털 및 실로 만든 인공 미끼를 만들어왔다. 초기 인공 미끼의 대부분은 일반적인 수생 곤충과 미끼 물고기를 모방했다. 오늘날 인공 미끼는 다양한 천연 및 합성 재료(마일라 및 고무 등)로 제작되어 수생 및 육상 곤충, 갑각류, 지렁이, 미끼 물고기, 식물, 육류, 알, 작은 파충류, 양서류, 포유류 및 조류 등 모든 종류의 담수 및 해수 어류 먹이를 나타낸다.
플라이(훅)의 크기는 낚싯대 등과 명칭은 같지만 의미가 반대여서, 숫자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가장 작은 것은 #32(그 이하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이고, 가장 큰 것은 #4/0(#0의 네 단계 위)까지 있다(더 큰 번호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 #32는 쌀알보다 작은 크기이다.
- 0호 이상: 로드 #10~15번.
- 1~6호: 로드 #7~10번.
- 6~12호: 로드 #5~7번.
- 12~20호: 로드 #2~5번.
- 18~24호: 로드 #1번 이하~1번.
단, 사람에 따라 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로드 번호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비슷한 크기라면 사용 가능하며 문제 없다. 플라이와 티펫의 크기가 맞지 않으면 플라이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져 낚시하기 어려워진다.
티펫 | 호수 | 강도 | 플라이 크기 |
---|---|---|---|
0X | 3호 | 7kg | #1/0~4 |
1X | 2.5호 | 6kg | #4~8 |
2X | 2호 | 5kg | #6~10 |
3X | 1.5호 | 4kg | #10~14 |
4X | 1호 | 3kg | #12~16 |
5X | 0.8호 | 2kg | #14~22 |
6X | 0.6호 | 1.5kg | #16~24 |
7X | 0.4호 | 1kg | #18~26 |
8X | 0.3호 | 0.75kg | #20~28 |
※위 표는 기준이며, 제조사에 따라 약간의 오차가 있다.
8. 대상 어종
플라이 낚시는 송어, 쏘가리, 연어를 낚는 방법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파이크, 농어, 빙어류, 잉어를 비롯한 다양한 민물 어종과 붉은 도다리, 스누크, 타르폰, 보니피시, 스트라이프드 베이스와 같은 다양한 바다 어종에도 사용된다.[35] 플라이 낚시로 잡을 수 있는 어종은 매우 다양하며, 기술 발전과 더 강력한 장비의 개발로 와후, 참치, 마린, 상어와 같은 더 큰 육식성 바닷물고기도 플라이 낚시의 대상이 되고 있다.[35] 사실상 주요 먹이원이 플라이 자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복제되고 적절한 장비가 사용되는 한 어떤 물고기라도 플라이로 노리고 잡을 수 있다.[35]
송어 플라이 낚시는 매우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다양한 방법과 여러 종류의 플라이를 사용하여 즐길 수 있다.[35] 플라이 낚시의 많은 기법은 송어 낚시에서 처음 개발되었다.[35] 송어는 대부분 수면 아래에서 먹이 활동을 하지만, 대규모 부화(버그 해치)가 있을 때나 여름철 작은 산 계곡에서는 육상 곤충을 먹기도 한다.[35]
바다 플라이 낚시는 민물 낚시에 비해 더 무거운 장비를 사용하며, 더 크고 강력한 물고기를 다루고 더 크고 무거운 플라이를 던지기 위함이다.[35] 바다 플라이 낚시는 작은 물고기, 게, 새우 등을 닮은 젖은 플라이를 주로 사용하지만, 팝퍼와 같은 표면 미끼도 사용된다.[35] 플라이 태클로 잡는 바다 어종에는 보니피시, 붉돔(redfish), 퍼밋, 스눅, 얼룩무늬 바다 송어(spotted sea trout), 참치, 돌고래(dorado) (마히마히(mahi-mahi)), 돛새치, 타르폰, 줄무늬농어, 연어, 자이언트 트레벌리, 청새치 등이 있다.[35] 연안 해역의 바다 어종은 작은 미끼로 채비(chumming)하거나 큰 미끼 없는 유인물을 트롤링하여 유인한다.[35]
바다 플라이 낚시용 릴은 강력한 드랙 시스템을 갖춘 특수 제작된 릴을 사용하며, 더 크고 무겁고 내식성이 있어야 한다.[35] 내식성 장비는 바다 낚시에서 내구성의 핵심이다.[35] 바다 플라이 낚시는 배에서 주로 이루어지지만, 해안에서도 가능하다.[35] 바다 물고기는 일반적으로 잡기 더 어렵고 겁이 많으며, 더 크기 때문에 송어 낚시꾼은 새로운 기술을 연습해야 한다.[35] 특히 얕은 곳에서 낚시할 때는 정확하게 캐스팅하는 것이 중요하다.[35]
바다 플라이 낚시 바늘은 내구성과 내식성이 뛰어나야 하며, 스테인리스강이나 고탄소강으로 만들어진다.[35]
9. 첨연어 플라이 낚시 (Chum Salmon fly fishing)
첨연어 플라이 낚시에서 플라이 선택은 주로 어트랙터 계열이 사용된다. 스틸헤드 낚시의 인터루더 계열 플라이도 첨연어 낚시에 적합하다.
바다와 민물이 만나는 지역에서는 첨연어가 먹이활동을 위해 플라이를 공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는 코호, 핑크, 킹 연어와 유사하게 훅을 리트리브하여 첨연어를 공략할 수 있으며, 핑크 계열의 플라이가 효과적이다.
강에서 산란(spawning)을 기다리거나 짝짓기 과정에 있는 첨연어는 알자리를 지키거나 영역을 침범하는 것에 대해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습성을 이용하여 데드 드리프팅(dead drifting)되는 훅이나 스윙되는 훅으로 공략할 수 있다. 강의 수위에 따라 싱킹팁을 사용하거나 다양한 무게의 훅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플로트 채비에 싱커(sinker)를 달아 데드 드리프팅하는 방식은 플라이 로드와 릴을 사용하지만, 기어(Gear) 채비를 이용한 플로팅 낚시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센터핀 낚시나 플로팅 낚시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데드 드리프팅은 조과 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며,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는 개인의 몫이다.
첨연어 스윙기법을 활용한 낚시 방법은 앞서 언급된 스윙기법들을 참고할 수 있다.
10. 코호 연어 플라이 피싱 (Coho Salmon fly fishing)
바다에서의 코호 연어 낚시는 캐스팅이 우선되어야 한다. 훅은 미노우 계열과 어트렉트 계열로 나뉘며, 다양한 색상 중 그린, 오렌지, 핑크 계열이 무난하다.
강에서 코호 연어 낚시는 느리게 흐르는 강의 웅덩이(tailout) 지역이나 강변의 나무, 바위 등 수심이 깊고 그늘진 곳을 공략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곳에는 코호 연어가 주로 머무르기 때문이다. 미노우 계열 훅이나 어트렉터 계열의 핑크색 훅, 플래시한 재료를 이용한 플라이를 캐스팅한 후 다양한 속도로 리트리브하면 코호 연어가 훅을 따라와 물게 된다.
이는 송어 스트리머 낚시와 유사하다. 코호 연어는 다소 겁이 많아 목줄이나 훅의 착수에 신경 쓰는 것이 좋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코호 연어는 체급에 비해 바늘털이 및 파이팅이 강하고, 적극적으로 플라이 훅을 문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대상어이다.
킹새먼과 핑크 새먼 역시 첨새먼 기법을 이용하면 어렵지 않게 낚을 수 있다.
11. 대물 송어 공략법
스트리머 스윙 및 리트리브 기법은 강에서 대물 무지개송어(25인치급 이상) 및 브라운 송어(27인치급 이상)를 공략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다. 최근 트라웃 전용 스페이 로드와 OPST 커맨드 헤드 같은 라인의 보급으로 스트리머 낚시가 더욱 쉬워졌다. 과거에는 8번 로드를 사용해야 6인치급 스트리머를 강의 반대편으로 던질 수 있었지만, 트라웃 스페이 로드와 스카짓 시스템(skagit system) 라인을 활용하면 무거운 훅을 더 적은 캐스팅으로 쉽게 던질 수 있어 대물 공략에 유리하다.
큰 훅, 특히 성인 손바닥 크기의 articulated fly는 큰 피라미를 형상화한 것으로, 대물 송어를 유인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훅은 기존의 6번 송어 로드로는 캐스팅하기 어렵기 때문에 트라웃 스페이나 스위치 로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스윙 기법 외에도 다양한 리트리브 속도와 길이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물 송어는 먹이 활동을 줄이고 한 번에 큰 미끼를 무는 경향이 있으므로, 큰 플라이를 사용하여 강의 바닥권을 중심으로 공략하는 것이 좋다. T8, T11 같은 싱킹 팁이나 rio사의 imow tip 시스템을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강의 유속이 느리면 빠른 리트리브를, 유속이 빠르면 스윙과 함께 로드 팁을 트위칭(twitching)하는 방식으로 플라이를 움직이는 것이 좋다. 핵심은 플라이를 살아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다.
스트리머 낚시는 마릿수 조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대물 송어의 짜릿한 손맛을 경험할 수 있는 매력적인 기법이다.
12. 스틸헤드 공략법
스틸헤드 공략에 있어 스윙기법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는 넓은 강에서 스틸헤드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울 때 광범위한 지역을 탐색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스틸헤드가 있는 위치를 정확히 안다면 지역 규정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데드 드리프팅 님핑 기법이나 플로팅 기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스윙 기법은 여전히 유용한 선택지이다.
스윙 기법은 인터루더 플라이를 활용하여 스틸헤드의 본능적인 공격성을 유도한다. 인터루더가 스틸헤드의 산란 장소에 침입하면, 알자리를 지키려는 본능으로 인해 공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움직이는 베이트 피쉬를 모방하여 먹이 활동을 유도하는 측면도 있다. 실제로 스틸헤드는 강에서 장거리 이동을 하거나 오래 생존해야 할 경우, 기존 연구와 달리 먹이 활동을 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도 나타나고 있다.
스윙 기법의 핵심은 바닥층 어딘가에 있을 스틸헤드의 눈앞으로 드랙이 걸린 플라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여름철 스틸헤드의 경우, 스칸디나비안 시스템에 싱킹팁을 이용할 때, 리더 라인(leader line)과 티펫(tippet)은 플로로 카본과 같이 빛 반사가 적은 라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코호 낚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싱킹팁에서 리더와 티펫의 길이는 여름철의 경우 7~9피트, 겨울철의 경우 3~5피트를 주로 사용한다.
겨울철 스윙 기법에서는 무거운 인터루더 플라이를 사용하기 위해 주로 무거운 싱킹팁(T11, T14)이 사용될 수 있다.
스윙 기법을 사용할 때, 단순히 강물이 플라이 라인을 밀어내는 것에만 의존하지 않고, 플라이 로드를 앞뒤로 움직여 플라이가 물속에서 베이트 피쉬처럼 움직이게 하거나, 로드 팁을 가볍게 트위칭하여 위아래로 흔들어 주는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13. 전통적인 웨트 플라이 프리젠테이션 (Traditional wet fly presentation)
오랜 전통에서 스윙낚시는 웻플라이와 소프트 헤클을 수면 아래에서 운영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여기에 더하여, 이 당시 광범위하게 사용된 스윙기법이 최근의 플라이 라인과 훅의 변화에 따라서 그 프리젠테이션 방법이 바뀌고 있지만, 대부분의 플라이 피셔맨들은 스윙에서 전통적인 방법과 최근의 경향을 혼동하거나 혼용하고 있다.
스틸헤드, 연어, 대물 송어 공략에 있어서 가장 먼저 플라이 낚시인이 고려해야 할 것은 자신의 대상어가 강의 어떤 환경에 있는가 하는 점이다. 스틸헤드인지 송어인지 나아가 연어인지, 강의 수위가 높은지 유속이 빠른지, 그리고 강의 폭이 넓어 공략이나 탐색해야 할 지역을 고려해야 한다.
스틸헤드를 기준으로 보면 여름철 스틸헤드 공략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스칸디나비안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웻 플라이 스윙을 구사해도 무리가 없다. 그러나, 플라이 라인이 다운 스트림 45도를 지나는 기점을 기준으로 라인을 아래 다운 스트림으로 멘딩을 해서 브로드사이드 드리프트 스윙을 해주는 것도 하나의 옵션이다.
겨울철 스틸헤드의 경우 무거운 인터루더 플라이 계열을 사용하거나 무거운 싱킹팁을 사용하여 강바닥을 훑고 지나가는 방식인 이 브로드사이드 스윙기법을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스틸헤드나 연어들이 바닥권에서 수면으로 올라오는 경우가 적고, 상대적으로 깊은 수심층을 공략할 수 있고, 특히 테일아웃 지역에서, 또는 강뚝 근처의 대상어를 공략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14. Articulated streamer
켈리 갤럽(Kelly Galloup)은 유명한 스트리머 낚시인으로, 자신만의 이름을 건 스트리머를 많이 개발했다. 켈리 스트리머의 특징은 Articulated이고 dumbbell eye를 사용하며, 더빙이나 립 재료로 부력이 약하고 픽업 시에 물을 적게 머금는 재료를 이용한다는 점이다.
수량이 많고 급하며 훅을 수심 아래로 프리젠테이션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싱킹 라인에 3피트 정도의 리더 조합으로 켈리의 스트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훅을 날리기 위해서는 350grains 이상의 라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토미 린치(Tommy Lynch)의 스트리머 패턴은 배스 버그 형태의 헤드를 하고 있고, 트레일러 훅과 메인 훅에 부력이 많이 추가되는 형태이다. 이 패턴은 무게가 가벼워 강의 표면에 뜨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심이 낮고 흐름이 완만한 강에서 싱킹 라인과 조합하여 운용하면 대물 송어를 공략할 수 있다. 특히 여름철 아침이나 늦은 시각에 효과적이며, 훅의 크기와 부피 덕분에 대물 송어가 잘 덤빈다는 장점이 있다.
스트리머 낚시에서 리더의 길이는 보통 5피트를 넘기지 않으며, 3피트에서 5피트 사이가 적당하다. 낚시 지역의 형태와 수심을 고려하여 적절한 스트리머 패턴과 운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15. Intruderfly (인터루더 플라이)
인터루더 플라이는 대상 어종의 먹잇감을 연구하여 그에 맞는 재료와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로 베이트 피쉬, 작은 오징어류, 태평양 새우(Prawn), 리치(leech) 등이 대상어의 주요 먹잇감이며, 이를 바탕으로 타잉 재료와 크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송어의 먹잇감인 스컬핀(sculpin)을 모방하려면 해당 재료와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기존의 천연재료보다는 인조(synthetic)재료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인조재료는 다양한 색상과 반짝거리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물을 덜 흡수하여 캐스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루더 플라이 타잉 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더빙 볼(dubbing ball)이다. 더빙 볼은 재료가 우산처럼 펴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이는 물속에서 살아있는 듯한 움직임을 연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트레일 훅의 길이는 테일 재료의 끝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하며, 훅은 가급적 재료 속에 숨겨져야 한다.
인터루더 플라이는 플라이 낚시꾼의 상상력과 창조력을 자극하며, 인조재료와 천연재료의 혼합, 대상어종의 먹잇감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도 발전하고 있다. Ed Ward, Jerry French, Scott Howell 등의 전문가들에게서 인터루더 플라이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16. 스페이 스윙에서 펄스 (pulse) 기법의 적용 (pulsing the swing)
투핸드 스페이로드나 스위치로드로 겨울철 스틸헤드를 공략할 때 많은 가이드들이 펄스 기법(pulsing the swing)을 사용하도록 한다. 펄스 기법은 연어 시즌에 공격성이 강한 코호나 쉬눅(킹) 연어를 공략하거나, 코호 플라이 낚시에서 로드 팁을 위아래로 흔드는 트위칭(twitching) 기법과 유사하게 대상 어종의 공격성을 유도한다.
펄스 기법은 캐스팅 후 멘딩 동작이 끝난 후 라인에 드랙이 걸려 스윙을 할 때 플라이의 움직임에 작은 애니메이션 효과를 넣어주는 동작이다. 투핸드 로드를 라인과 일직선 상에서 앞뒤로 약 15cm 정도 움직여 규칙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플라이에 작은 움직임을 준다. 이 기법은 킹연어나 움직임이 적은 코호 등에 효과적이며, 로드를 스윙에 따라 앞뒤로 15cm 정도 움직여주는 단순한 동작이다.
스윙 시 인터루더 플라이를 리트리브(stripping)하는 동작은 펄스 기법과 유사한 결과를 낼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송어 대상 스트리머 리트리브의 속도와 길이보다 낮추어 느린 속도로 짧게 천천히 리트리브하면 펄스 기법과 유사한 동작을 연출할 수 있다.
펄스 기법은 쉬눅 연어 공략이나 코호, 특히 겨울철 스윙에서 스틸헤드의 공격성이 자신의 영역을 지키려는 시점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대물 송어를 공략하기 위한 트라웃 스페이의 스윙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유속이 빠른 지역보다는 강폭이 넓어지면서 유속이 느린 지역의 테일아웃 등에서 효과적이다.
17. 매듭
플라이 낚시에서 여러 부품(플라이 라인, 백킹 등)을 연결하는 데 몇 가지 매듭이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41] 대부분의 플라이 낚시꾼들이 사용하는 매듭에는 루어를 리더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개선된 클린치 매듭, 백킹을 스풀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오버핸드 슬립 매듭 또는 아보 매듭, 플라이 라인을 백킹에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알브라이트 매듭이 있다.[42] 비미니 트위스트를 사용하여 플라이 라인 백킹에 루프를 만들 수도 있다.[42]
플라이 라인 끝에 루프를 추가하여 리더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루프는 플라이 라인 끝에 직접 루프를 만들거나, 꼰 루프 또는 모노필라멘트 나일론 루프(예: 그레이 루프)를 추가하는 방식이 있다. 또는 모노필라멘트 나일론 또는 플루오로카본을 네일 또는 튜브 매듭, 또는 니들 매듭을 사용하여 플라이 라인 끝에 묶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이중 외과의 매듭 또는 퍼펙션 루프를 사용하여 이 모노필라멘트 버트 길이 또는 버트 섹션 끝에 루프를 묶어, 루프-투-루프 연결을 통해 테이퍼형 또는 테이퍼형이 아닌 리더를 연결할 수 있다.[43] 플라이 라인과 리더 사이에 루프-투-루프 연결을 사용하면 테이퍼형 리더를 빠르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일부 전통주의자들은 블러드 매듭, 배럴 매듭 또는 "외과의 매듭"으로 서로 연결된 점점 더 가늘어지는 지름의 모노필라멘트 라인을 사용하여 직접 테이퍼형 리더를 만들기도 한다.[44]
18. 역사
루이 리드의 목판화, 1900년.]]
많은 사람들은 인공 미끼를 이용한 최초의 기록된 낚시를 2세기 후반 로마 제국(Roman Empire)의 클라우디우스 아이리아누스(Claudius Aelianus)에게 돌린다. 그는 아스트라에우스 강(Astraeus River)에서 마케도니아(Macedon) 낚시꾼들이 붉은 양털을 갈고리에 묶고, 수탉의 목덜미 아래에서 자라는 두 개의 깃털을 붙여 낚시를 했다고 묘사했다.[3][4] 그러나 윌리엄 래드클리프(William Radcliff, 1921)는 마르티알리스(Martial, Marcus Valerius Martialis)가 아이리아누스보다 약 200년 전에 "속임수 파리에 의해 유인되어 죽임을 당하는 스카루스(scarus)가 떠오르는 것을 보지 못했는가"라고 기록했다고 주장했다.[5]
전통적인 일본의 플라이 낚시는 "텐카라(Tenkara)"(テンカラ일본어, 문자 그대로: "하늘에서")로 알려져 있다.[6] 텐카라는 일본 산악 지방에서 전문 어부와 여관 주인들이 아유(Ayu sweetfish), 송어(Oncorhynchus masou), 산천어(Salvelinus leucomaenis)를 잡기 위한 방법으로 시작되었다. 일본의 또 다른 낚시 방식인 아유 낚시(Ayu fishing)는 12세기부터 일본 농민들에게 인기를 얻었으며, 부시(무사)의 정신을 단련하기 위한 공식 정책의 일환으로 장려되었다.[7] 플라이 낚시용 파리는 430년 전 아유 낚시를 위해 일본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며,가가 지방(Kaga region)의 전통적인 지역 공예품으로 여겨진다.[8][9]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낚시꾼들은 1840년부터 호수와 석호에서 송어를 인공 파리로 낚시해 왔다. 영국의 저수지에서의 정수 송어 낚시 역사는 스라이버그 저수지(Thrybergh Reservoir), 비른위 호수(Lake Vyrnwy), 레이븐스소프 저수지(Ravensthorpe Reservoir), 블래그던 호수(Blagdon Lake) 등이 송어 낚시터로 개장되면서 시작되었다.[10]
1496년 ''세인트 올번스 서적''에 포함된 ''낚시에 관한 논문''에는 낚싯대, 낚싯줄, 낚시 바늘 제작법과 다양한 플라이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지침이 담겨 있다. 1613년 존 데니스가 쓴 ''낚시의 비밀''에는 '플라이를 던지다'라는 표현이 처음으로 언급되었다.[11]
잉글랜드 내전 이후 플라이 낚시 기술은 큰 발전을 이루었다. 로버트 베네이블스는 1662년에 ''경험 많은 낚시꾼 또는 개선된 낚시''를 출판했고, 리처드 프랭크는 스코틀랜드 연어 낚시와 인공 플라이를 사용한 송어 낚시를 기술했다.[12] ''낚시꾼 완전 지침서''는 아이작 월턴이 1653년에 썼으며, 찰스 코튼이 두 번째 부분을 추가했다.[12] 찰스 커비는 1655년에 개선된 낚시 바늘인 커비 벤트를 발명했다.[13]
18세기는 주로 전 세기에 개발된 기술이 정착된 시대였다. 낚싯대에 고리가 달리기 시작했고, 분절식 낚싯대가 일반화되었으며, 대나무가 낚싯대 상단 부분에 사용되었다. 산업은 상업화되어 옷감·실·모자 등을 파는 상점에서 낚싯대와 용품이 판매되었다. 어니서스 우스턴슨은 1761년에 자신의 상점을 설립하고 왕실 납품 허가장을 받았다.[14]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플라이 라인 제조에 변화가 나타났다.
영국의 플라이 낚시는 19세기에도 계속 발전하여 플라이 낚시 클럽이 생겨났고, 플라이 타잉과 플라이 낚시 기법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이 출판되었다. 알프레드 로널즈는 ''플라이 낚시의 곤충학''을 1836년에 출판하여 플라이 낚시와 관련된 곤충학에 관한 종합적인 저술을 남겼다.[16][17]
현대 릴 디자인은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당시 주로 사용되던 모델은 '노팅엄(Nottingham) 릴'이었다. 조지 스나이더는 1810년 최초의 미국산 베이트캐스팅 릴을 만들었다.[21] 19세기 중반부터 대나무 낚싯대가 선호되었으며, 조지 코튼(George Cotton)과 그의 선배들은 긴 낚싯대와 가벼운 낚싯줄을 사용하여 파리를 낚았다.[22]
낚시 도구 디자인은 1880년대부터 개선되기 시작했다. 새로운 목재를 플라이 낚싯대 제조에 도입하고, 말총 대신 실 낚싯줄을 사용하면서 더 먼 거리의 캐스팅이 가능해졌다. 미국의 찰스 F. 오비스(Charles F. Orvis)는 1874년 새로운 릴과 파리 디자인을 설계했다.[23][24] 앨버트 일링워스(Albert Illingworth, 1st Baron Illingworth)는 1905년 현대식 고정형 스풀 스피닝 릴의 형태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22]
19세기 중후반, 귀족과 중산층, 하층민의 여가 기회가 확대되면서 플라이 낚시의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영국의 철도망 확장으로 주말 낚시 여행이 가능해졌고, 부유한 사람들은 해외로 낚시 여행을 떠났다.[25] 노르웨이(Norway)의 대형 강에는 많은 연어(salmon)가 서식하여 영국 낚시꾼들이 몰려들었다.
영국 남부에서는 드라이 플라이 낚시가 엘리트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F. M. 할포드(F. M. Halford)가 "현대 드라이 플라이 낚시의 아버지"로 여겨진다.[26][27] G. E. M. 스쿠스(G. E. M. Skues)는 님프와 웻 플라이 기법을 발전시켰다. 잉글랜드 북부와 스코틀랜드에서는 웻 플라이 낚시가 더 인기 있었다.
미국에서는 드라이 플라이와 웻 플라이 낚시 모두 환경에 적응되었다. 미국의 플라이 낚시꾼들은 농어 낚시(bass fishing)에 인공 미끼를 사용한 최초의 낚시꾼으로 여겨진다.[28] 19세기 후반, 시어도어 고든(Theodore Gordon)은 산송어(brook trout)가 풍부한 개울에서 플라이 장비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뉴잉글랜드(New England)의 앨버트 비겔로우 페인(Albert Bigelow Paine)은 ''텐트 거주자(The Tent Dwellers)''에서 플라이 낚시에 대해 썼다.
플라이 낚시 참여는 1920년대 초에 최고조에 달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는 소설을 통해 플라이 낚시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호주(Australia)에서 플라이 낚시는 갈색 송어(brown trout)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 시작되었다.[29] 제임스 아렌델 유얼(James Arndell Youl)에 의해 1864년에 이루어졌다. 무지개 송어는 1894년까지 도입되지 않았다. 알프레드 로날즈(Alfred Ronalds)의 딸 마리아 샹클린(Maria Shanklin)은 호주 최초의 중요한 플라이 타잉 사업을 설립했다.[30][31]
1950년대 초 저렴한 유리섬유 낚싯대, 합성 플라이 라인, 모노필라멘트 리더의 개발은 플라이 낚시의 인기를 되살렸다. 최근 베이비붐 세대(baby boomers)가 이 스포츠를 발견하면서 플라이 낚시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
참조
[1]
서적
A Complete Guide to Fishing
Marshall Cavendish Books
1977
[2]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Fishing
Parragon Books
2003
[3]
논문
The Location of the Trout-River Astraeus
https://grbs.library[...]
1995-06-09
[4]
웹사이트
Where Did Fly Fishing Originate?
https://flyrods.com/[...]
2021-08-21
[5]
서적
Fishing from the Earliest Times
https://www.gutenber[...]
2023-08-20
[6]
프레젠테이션
presentation to Catskills Fly Fishing Center and Museum
2009-05
[7]
서적
The Fly
2003
[8]
웹사이트
Jewelry with a Samurai Spirit
https://web.archive.[...]
2009-08-19
[9]
웹사이트
石川県 文化のポータルサイト - 石川新情報書府 -
https://web.archive.[...]
2009-08-19
[10]
웹사이트
history
http://webdatauk.wix[...]
[11]
서적
The Language of Fly-Fishing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0
[12]
웹사이트
Fly fishing techniques in the fifteenth century
https://web.archive.[...]
2014-07-16
[13]
서적
The Science of Fly-fish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03
[14]
웹사이트
Welcome To Great Fly Fishing Tips
https://web.archive.[...]
2014-07-16
[15]
웹사이트
Fishing Tackle Chapter 3
https://web.archive.[...]
2014-07-16
[16]
서적
The Fly
Medlar Press
2001
[17]
서적
American Fly Fishing-A History
The Easton Press
1996
[18]
서적
Bibliotheca Piscatoria
https://archive.org/[...]
W. Satchell
1883
[19]
서적
Angling Giants—Anglers Who Made History
The Medlar Press
2010
[20]
서적
Nymphs
Winchester Press
1973
[21]
웹사이트
Fly Fish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web.archive.[...]
2014-07-16
[22]
웹사이트
fishing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4-01-27
[23]
서적
A Treasury of Reels: The Fishing Reel Collection of The American Museum of Fly Fishing
The American Museum of Fly Fishing
1990
[24]
서적
The Orvis Story: 150 Years of an American Sporting Tradition
The Orvis Company, Inc.
2006
[25]
웹사이트
Fly Fishing in the Years 1800 - 1850
https://web.archive.[...]
2014-07-16
[26]
서적
F.M. Halford and the Dry-Fly Revolution
Rober Hale
2002
[27]
서적
Halford and the Dry Fly
Stackpole Books
2007
[28]
서적
Black Bass and the Fly Rod
Stackpole Books
1993
[29]
뉴스
The Argus
1864-04-14
[30]
서적
Alfred Ronalds: Angler, Artisan and Australian Pioneer
Medlar Press
2022
[31]
논문
Maria Ronalds Shanklin: Pioneer Fly Tier in Australia
2021
[32]
서적
Modern Fly Casting Method
Odysseus Editions
1991
[3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1-07-20
[34]
웹사이트
Spey Fly Fishing - Demystifying the Two Handed Rod
https://web.archive.[...]
2009-05-19
[35]
웹사이트
Extraterrestrials: 12 Best Terrestrial Flies for Trout Fishing
http://www.outdoorli[...]
Bonnier Corporation
2014-06-02
[36]
서적
Flies, Ties, and Techniques
Ivy Press
2008
[37]
웹사이트
Fly Fishing, Fly Presentation, Mending - MidCurrent
http://www.midcurren[...]
2009-04-07
[38]
서적
The New Encyclopaedia of Fly Fishing
Robert Hale
1999
[39]
서적
A History of Flyfishing
Merlin Unwin Books
1992
[40]
서적
The Orvis Fly Fishing Guide
The Lyons Press
2017-05-01
[41]
웹사이트
Analyzing The Top 7 Fly Fishing Knots, Tippet To Fly [Clinch Ranked Last]
https://anchorfly.co[...]
2021-08-21
[42]
웹사이트
Rigging
www.flycatcherinc.co[...]
[43]
서적
The Orvis Fly Fishing Guide
The Lyons Press
2007
[44]
웹사이트
Leaders
https://www.demystif[...]
2021-03-08
[45]
웹사이트
明治期トーマス・グラバーが愛した“湯ノ湖と湯川”
http://www.naisuimen[...]
全国内水面漁業協同組合連合会日光支所
2018-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