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롱바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롱바르는 12세기의 신학자이자 파리 주교였다. 이탈리아 북부에서 태어나 파리와 랭스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중세 신학의 표준 교과서로 사용된 《네 권으로 된 명제들》을 저술하여, 중세 스콜라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롱바르는 결혼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을 제시하고 사랑과 성령을 동일시하는 등, 다양한 신학적 사상을 펼쳤다. 1159년 파리 주교로 임명되었으나, 1160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기독교 신학자 - 장 보댕
장 보댕은 프랑스의 법학자, 정치철학자,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국가론』에서 제시한 주권 개념으로 절대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녀사냥에 대한 견해와 저술은 비판받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기독교 신학자 - 이레네오
이레네오는 2세기 후반의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영지주의를 비판하고 기독교 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 《이단 반박》을 통해 정통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고 신약성경 정경 확립과 구원사에 대한 독자적인 신학적 관점을 제시하여 초대 교회 신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피에르 롱바르 | |
---|---|
기본 정보 | |
직함 | 파리 주교 |
주요 저서 | Libri Quattuor Sententiarum Magna glossatura |
영향 받은 인물 | 타르수스의 바울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아비센나 가짜 디오니시오스 피에르 아벨라르 성 빅토르의 휴 |
영향을 준 인물 | 알베르토 마그노 토마스 아퀴나스 보나벤투라 둔스 스코투스 오컴의 윌리엄 가브리엘 비엘 |
출생일 | 1096년경 |
출생지 | 노바라, 롬바르디아 |
사망일 | 1160년 8월 21일/22일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소속 학파 | 스콜라 철학 |
모교 | 랭스 학교 볼로냐 대학교 |
인물 정보 | |
직업 | 사제, 신학자 |
2. 약력
피에르 롱바르는 1095년에서 1100년경 사이 이탈리아 북서부 루멜로노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30][31] 노바라 대성당, 루카의 대성당 학교, 볼로냐 대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13] 루카의 주교 오도의 후원으로 랭스와 파리에서 학업을 이어갔으며,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에게 추천되었다. 롱바르는 랭스의 대성당 학교에서 공부한 후, 약 1134년에 파리에 도착하여 생 빅토르 교회의 의전참사회원들에게 추천받았다.[14][32][15]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학교에서 10년간 학생들을 가르치며 피에르 아벨라르, 생빅토르의 위그를 만났고,[1] 1145년경 정식 교수가 되었다.[1] 롱바르의 학습법은 빠르게 인정받아 노트르담 대성당 의전참사회원들의 추천을 받기도 했다.[1]
1147년 차부제로 서품받았고, 교황 에우제니오 3세가 소집한 랭스 시노드에 참석하여 질베르의 주장을 단죄하는 법령에 서명했다.[33] 1150년 이후 부제를 거쳐 1152년 초 수석부제가 되었으며, 1156년 이전에 사제 서품을 받았다. 1159년 7월 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에 파리 주교로 성성되었다.
피에르 롱바르의 주교 임기는 짧았으며,[34] 1160년 7월 21일 또는 22일에 선종하였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피터 롱바르트는 이탈리아 북서부 루멜로노에서 가난한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30][31] 그의 출생 연도는 1095년에서 1100년경 사이로 추정된다. 그는 아마도 이탈리아의 노바라 대성당과 루카의 대성당 학교와 볼로냐 대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3] 루카의 주교 오도의 후원으로 그는 이탈리아를 떠나 랭스와 파리에서 학업을 이어갈 수 있었다. 오도는 그를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에게 추천했다. 롱바르는 먼저 랭스의 대성당 학교에서 공부했는데, 이곳에서는 마기스터 알베리히와 루톨프 오브 노바라가 가르치고 있었고, 그는 약 1134년에 파리에 도착했다.[14] 그곳에서 베르나르는 그를 생 빅토르 교회의 의전참사회원들에게 추천했다.[32][15]2. 2. 교수 생활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 학교에서 10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그는 당시 선구적인 신학자들로 손꼽히던 피에르 아벨라르와 생빅토르의 위그를 만났다.[1] 1142년까지 파리에서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1] 1145년경 피에르는 노트르담 대성당 학교에 정식 교수로 등용되었다.[1] 피에르가 교사로서 수입을 얻기 전까지 의전참사회원으로서 보수를 받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1]롱바르의 학습법은 사람들에게 급속도로 인정받았으며, 그 때문에 노트르담 대성당의 의전참사회원들은 그에게 노트르담 대성당의 의전참사회에 들어올 것을 종용하기도 했다.[1] 당시에 이는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었는데, 왜냐하면 노트르담 대성당의 의전참사회에는 한 사람도 빠짐없이 전부 카페 왕조의 일족이었기 때문이다.[1] 이들은 혈통이나 혼인관계를 통해 카페 왕조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집안의 친척이거나 일드프랑스나 루아르강 동부 유역에 기반을 둔 귀족의 후예들 또는 왕실 관료들의 일가 친척이었다.[1] 반면에 롱바르는 왕족이나 귀족도 아니었고, 혈통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교회 내에서도 그를 뒷받침해줄 후원자가 전혀 없었다.[1] 따라서 롱바르는 순전히 학문적 능력을 인정받아 의전참사회에 들어올 것을 종용받은 것으로 보인다.[1]
2. 3. 사제 서품과 주교 임명
1147년 피에르는 차부제로 서품받았다. 아마도 그는 1147년 파리에서 소집된 추기경회의에 참석했을 것으로 보이며, 질베르 드 라 포레 등을 조사하기 위해 교황 에우제니오 3세가 소집한 랭스 시노드에는 분명히 참석하였다. 피에르는 질베르의 주장을 단죄하는 법령에 서명한 사람들 중 한 명이다.[33] 1150년 이후 어느 시점에 그는 부제로 서품받았고, 1152년 초엽에는 수석부제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1156년이 오기 전에 사제 서품을 받았다. 1159년 7월 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에 그는 파리의 주교로 성성되었다.교구장으로서 피에르의 임기는 짧았다.[34] 그는 1160년 7월 21일 또는 22일에 선종하였다. 그의 후임 교구장은 노트르담 대성당을 지은 모리스 드 쉴리가 되었다.[35] 그의 무덤은 파리의 생미셸 성당에 조성되었으나 프랑스 혁명 때 파괴되었다. 현재는 비문만 남아 있다.
2. 4. 파리 주교 재임과 사망
1159년 7월 29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에 피에르 롱바르는 파리의 주교로 성성되었다.[33]피에르 롱바르의 주교 임기는 짧았다.[34] 1160년 7월 21일 또는 22일에 선종하였으며, 노트르담 대성당을 건축한 모리스 드 쉴리가 그의 뒤를 이었다.[35] 그의 무덤은 파리의 생미셸 성당에 조성되었으나 프랑스 혁명 때 파괴되었고, 현재는 비문만 남아 있다.
3. 저술
피에르 롱바르는 시편과 바오로 서간에 대한 주석집을 집필했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그가 남긴 가장 유명한 저서는 중세 대학교 강단에서 표준 신학 교과서로 채택된 《네 권으로 된 명제들, 명제집》(Libri Quattuor Sententiarum)이다.[36] 1220년대부터 16세기까지 성경을 제외하고 이 책만큼 많은 사람이 찾은 기독교 문헌은 없었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를 비롯해 오컴의 윌리엄과 가브리엘 비엘 등 중세의 모든 주요 사상가들이 이 책의 영향을 받았다. 심지어 젊은 시절의 마르틴 루터도 이 책에 대한 해설을 달았으며, 장 칼뱅도 자신의 기독교 강요에서 100회 이상 이 책을 인용했다.[21]
《4권의 명제집》은 교부들과 많은 중세 사상가들의 관련 구절을 성경 구절과 함께 모은 편집물로, 당시 기독교 신학의 거의 모든 분야를 다루었다. 피에르 롱바르는 권위자들의 인용을 통해 가르쳤던 랑의 안셀무스의 전통에서, 성경 구절의 스콜라 이전 주석에 확고히 자리 잡고 있다.[22] 이 책은 모든 신학적 문제에 대한 주석을 모으고, 자료를 체계적인 순서로 배열하며, 서로 다른 관점을 옹호하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을 조화시키려는 최초의 주요 노력으로 평가받는다. 《명제집》은 제1권에서 삼위일체로 시작하여, 제2권에서 창조 신화로 넘어가고, 제3권에서 타락한 창조물의 구원자인 그리스도를 다루며, 제4권에서는 그리스도의 은총을 매개하는 성례를 다룬다.
- ''마그나 글로사투라(Magna glossatura)''
- ''명제집(Sentences)''
4. 신학 사상
피에르 롱바르는 구약 시대와 신약 시대의 구원 방식에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그는 사랑을 성령과 동일시하는 독특한 주장을 펼쳤으며, 결혼이 당사자 간의 합의만으로 성립된다고 보았다. 그의 신학 사상은 이후 트렌트 공의회에서 일부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교황 알렉산데르 3세에 의해 지지되어 교회법에 영향을 주었다.
4. 1. 구원론
그는 구약의 성도와 신약의 그리스도인들의 구원 방법이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구약의 남성들은 할례로 의롭게 되고, 여성들은 믿음과 선행을 통하여 의롭다고 칭한다고 주장하였다.[37]4. 2. 성례론
장 칼뱅은 그의 저서 강요 4권 14장에서 성례에 관하여 서술하면서, 피에르 롱바르가 성례를 의와 구원의 원인으로 만들었다고 반박하였다. 칼뱅은 성례에 대하여 의와 구원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38]4. 3. 사랑과 성령의 동일시
피에르 롱바르의 가장 유명하고 논란이 많았던 교리는 그의 저서 『명제집』 제1권 17구분에서 사랑을 성령과 동일시한 것이었다.[23] 이 교리에 따르면, 기독교인이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할 때, 이 사랑은 문자 그대로 하느님이며, 그는 신성을 얻어 삼위일체의 삶 속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생각은, 불완전한 형태이긴 하지만,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특정 언급에서 추론할 수 있다(『삼위일체론』 13.7.11 참조).[23] 이 주장이 명시적으로 이단으로 선언된 적은 없지만, 피에르 롱바르의 가르침의 이 부분을 따르려 한 신학자는 거의 없었다.[23] 트렌트 공의회는 암묵적인 방식으로 이 견해를 비난했을 수 있으며, 『가톨릭 백과사전』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23]> 트렌트 공의회에 따르면, 성화 은총은 단순히 ''하나의'' 형식적 원인이 아니라, 우리 의화의 "''유일한'' 형식적 원인"(''unica causa formalis'')이다. 이 중요한 결정으로 공의회는 부처와 일부 가톨릭 신학자(그로퍼, 세리판도, 알베르트 피기우스)의 오류를 배제했는데, 그들은 추가적인 "하느님의 외적인 은총"(''favor Dei externus'')이 의화의 본질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법령은 또한 의화의 형식적 원인(즉, 성화 은총)이 성령의 ''격''이며, 성령은 실체적 거룩함과 사랑, 즉 창조되지 않은 은총(''gratia increata'')이라는 피에르 롱바르의 견해도 효과적으로 무효화했다. 의화는 영혼의 내적 성화와 쇄신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형식적 원인은 분명히 창조된 은총(''gratia creata'')이어야 하며, 이는 영구적인 자질, 초자연적인 변화 또는 영혼의 부수적 속성(''accidens'')이어야 한다.[23]
4. 4. 혼인
피에르 롱바르는 『명제집』에서 결혼이 당사자 간의 합의에 의해 성립한다고 보았으며, 그라티아누스의 분석(『장래의 약혼』 참조)과는 달리, 완벽한 결혼으로 간주되기 위해 성관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24][25] 그는 당사자 간의 상호 합의가 절대적으로 파기할 수 없는 결혼을 구성하는 데 충분하며, 성관계와 무관하게 결혼의 유일한 원인이라고 강조했다.[26] 롱바르의 이러한 해석은 나중에 교황 알렉산데르 3세에 의해 지지되었으며, 교회의 결혼 해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5. 참고 문헌
- 이은선, 피터 롬바르드의 신론
참조
[1]
서적
The Cultural Collections Unit: 2nd Edition
[2]
서적
Werke: Vol.XV
[3]
서적
Coheleth; commonly called The Book of Ecclesiastes
https://archive.org/[...]
[4]
웹사이트
Peter Lombard (1095-1160)
https://www.iep.utm.[...]
[5]
서적
The Sheed & Ward Anthology of Catholic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6]
서적
'Influence and noninfluence of Dionysius in the Western Middle Ages'
Paulist Press
[7]
서적
History of Latin Christianity: Vol.VI
[8]
서적
Chambers's encyclopædia: Vol.VI
[9]
서적
Lehrbuch der christlichen Dogmengeschichte
https://archive.org/[...]
[10]
간행물
"De justa haereticorum punitione, libri III"
[11]
간행물
Biografisch-Bibliografisches Kirchenlexikon
[12]
서적
Pierre Lombard: sa vie, ses œuvres, sa morale
[13]
학술지
Peter Lombard
https://www.britanni[...]
2024-04-02
[14]
간행물
[15]
간행물
Opera omnia
[16]
간행물
[17]
간행물
Contra quatuor labyrinthos Franciae
[18]
문서
[19]
웹사이트
Peter Lombard
https://www.nndb.com[...]
2019
[20]
웹사이트
Peter Lombard
[21]
서적
Scholasticism
https://archive.org/[...]
A. Constable
[22]
간행물
scholasticism
[2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Justification
https://www.newadven[...]
2024-10-06
[24]
서적
Mediaeval Commentaries on the ''Sentences'' of Peter Lombard
[25]
학술지
The Canon Law On the Formation of Marriage and Social Practice in the Later Middle Ages
1983-06
[26]
서적
The Separation of the Spouses with the Bond Remaining: Historical and Canonical Study with Pastoral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Gregorian Biblical BookShop
1997
[27]
서적
キリスト教神学入門
教文館
2002
[28]
서적
The Cultural Collections Unit: 2nd Edition
[29]
서적
Lehrbuch der christlichen Dogmengeschichte
https://archive.org/[...]
[30]
간행물
Biografisch-Bibliografisches Kirchenlexikon
[31]
서적
Pierre Lombard: sa vie, ses œuvres, sa morale
[32]
간행물
Opera omnia
[33]
간행물
[34]
문서
[35]
웹사이트
Peter Lombard
[36]
서적
Scholasticism
https://archive.org/[...]
A. Constable
[37]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
[38]
서적
Kidokkyo kangyo = Institution of the Christian religion
https://www.worldcat[...]
K'ŭrisŭch'yan Daijesŭt'ŭ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