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동로는 중국 송나라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에 해당한다. 태원부, 융덕부, 평양부 등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구역은 여러 현을 관할했다. 하동로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요나라 및 서하와의 관계, 방어 시설 등이 중요한 특징이었다. 또한 인구, 공물 등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동로에는 여러 주, 부, 군이 설치되었으며, 각 지역은 시대에 따라 변천을 거듭했다.
2. 행정 구역
각 군, 주, 부에 속한 현(縣)과 채(砦), 진(鎭)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주/부/군명 | 속현 | 속채/속진 |
---|---|---|
태원부 | 양곡현, 태곡현, 유차현, 수양현, 우현, 교성현, 문수현, 기현, 청원현, 평진현 | |
융덕부 | 상당현, 둔류현, 양원현, 노성현, 호관현, 장자현, 섭현, 여성현 | |
평양부 | 임분현, 홍동현, 양릉현, 신산현, 조성현, 분서현, 곽읍현, 기씨현, 악양현, 화천현 | |
강주 | 정평현, 곡옥현, 태평현, 익성현, 직산현, 강현, 원곡현 | |
택주 | 진성현, 고평현, 양성현, 단씨현, 릉천현, 심수현 | |
대주 | 안문현, 곽현, 오태현, 번치현 | |
흔주 | 수용현, 정양현 | |
분주 | 서하현, 평요현, 개휴현, 영석현, 효의현 | |
요주 | 요산현, 화순현, 유사현, 평성현 | |
헌주 | 정락현 | |
남주 | 의방현, 합하현, 누번현 | |
석주 | 이석현, 평이현, 방산현 | |
습주 | 현천현, 온천현, 포현, 대녕현, 석루현, 영화현 | |
자주 | 길향현 | |
인주 | 신진현 | 대화채, 대화보 |
부주 | 부곡현 | 영천보, 영변채, 영강보, 진위성 |
풍주 | 영안채, 보녕채 | |
위승군 | 동제현, 무향현, 심원현, 면상현 | |
평정군 | 평정현, 낙평현 | |
가남군 | 남곡현 | |
영화군 | 영화현 | |
화산군 | 하진채 | |
보덕군 | 대보진, 사곡진 | |
진령군 | 정호현, 임천현 | 신천채, 삼교보, 오룡채, 통진채, 영하채, 미천채, 통진보, 영하보, 미천보, 정천보 |
2. 1. 태원부(太原府)
태원군을 군명으로 하였고, 하동절도가 설치되었다. 979년(태평흥국 4년) 유계원의 북한을 멸망시키고 태원성을 파괴했다. 파괴된 성을 대신해 유차현(楡次縣)에 치소를 옮기고 긴급주(緊)로 격하시킨 후 군사를 두었다. 태원현을 폐지하고 평정현과 낙평현을 통합하여 평정군을 설치했다. 교성은 대통감(大通監)에 소속되었다. 982년, 치소를 당명감(唐明監)으로 옮겼다. 과거 하동로경락안무사(河東路經略安撫使)를 두었고 원풍연간에 차급부로 승격되었다. 1107년(대관 원년) 대도독부를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155,263호 1,241,768명이 살았다. 큰 구리거울(大銅鑒), 감초, 인삼, 반석(礬石)을 공납으로 바쳤다. 10개의 속현은 다음과 같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양곡현 | 陽曲縣 | 타이위안시 | 차적 | 백정채와 양흥채가 있었다. 부 치소가 있었다. |
태곡현 | 太曲縣 | 진중시 타이구현 | 차기 | |
유차현 | 楡次縣 | 진중시 위츠구 | ||
수양현 | 壽陽縣 | 진중시 서우양현 | 차기 | |
우현 | 盂縣 | 양취안시 위현 | 차기 | |
교성현 | 交城縣 | 뤼량시 자오청현 | 차기 | 1039년(보원 2년), 대통감에 내속되었다. |
문수현 | 文水縣 | 뤼량시 원수이현 | 차기 | |
기현 | 祁縣 | 진중시 치현 | 차기 | |
청원현 | 淸源縣 | 타이위안시 칭쉬현 | 차기 | |
평진현 | 平晉縣 | 중 | 1070년(희녕 3년), 양곡현을 통폐합했다가 정화 5년에 복구했다. |
2. 2. 융덕부(隆德府)
상당군을 군명으로 하는 대도독부와 소의군 절도가 설치되었다. 태평흥국 초에는 소덕군을 두었다. 과거 하동로병마검할을 두었다. 오대십국시대 초 주전충의 후량군이 이극용의 후당군을 포위한 곳이다. 1101년(건중정국 원년) 노주(潞州)를 군으로 고치고, 1104년(숭녕 3년) 부로 승격시켰으며, 과거 두었던 소덕군 절도를 다시 두었다. 숭녕 연간에는 52,997호 133,146명이 살았다. 인삼, 꿀, 먹을 공납으로 바쳤다. 8현을 두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상당현 | 上黨縣 | 창즈시 | 望 | 부의 치소가 있었다. |
둔류현 | 屯留縣 | 창즈시 툰류현 | 上 | |
양원현 | 襄垣縣 | 창즈시 샹위안현 | 上 | |
노성현 | 潞城縣 | 창즈시 루청시 | 上 | 1072년, 여성현에 통폐합했다가 1086년(원우 원년)에 복구되었다. |
호관현 | 壺關縣 | 창즈시 후관현 | 中 | |
장자현 | 長子縣 | 창즈시 창즈현 | 中 | |
섭현 | 涉縣 | 한단시 서현 | 中 | |
여성현 | 黎城縣 | 창즈시 리청현 | 中 | 천성 3년, 치소를 현 동남쪽 백마역(白馬驛)에 두었다. |
2. 3. 평양부(平陽府)
1116년(정화 6년)에 진주(晉州)에서 부로 승격되었으며, 건웅군절도가 설치되었다. 숭녕연간에는 75,908호 185,254명이 살았다. 꿀, 밀랍으로 만든 초를 공납으로 바쳤으며, 10현을 두었다. 연반무(煉礬務)와 반산무(礬山務)가 있었다. 1113년(정화 3년) 조성현 부시봉(父始封)의 땅에 경조군(慶祚軍)을 설치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임분현 | 臨汾縣 | 린펀시 | 망 | |
홍동현 | 洪洞縣 | 린펀시 훙둥현 | 긴 | |
양릉현 | 襄陵縣 | 린펀시 샹펀현 서남 | 긴 | 1072년에 자주 향녕현(鄕寧縣, 린펀시 샹닝현)의 일부를 통폐합했다. 조장채(雕掌砦), 표미채(豹尾砦)가 있다. |
신산현 | 神山縣 | 린펀시 푸산현 | 상 | 한매보(韓買堡), 안국보(安國堡), 사벽보(史壁堡), 첩두보(疊頭堡) 등의 보가 있다. |
조성현 | 趙城縣 | 린펀시 훙둥현 조성진(趙城鎭) | 상 | 1072년에 진으로 격하되어 홍동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0년(원풍 3년)에 복구되었다. |
분서현 | 汾西縣 | 린펀시 펀시현 | 중 | 후예채(厚裔砦), 청안채(靑岸砦), 석교채(石橋砦), 청산채(靑山砦), 변백채(邊柏砦)가 있다. |
곽읍현 | 霍邑縣 | 린펀시 훠저우시 | 중 | |
기씨현 | 冀氏縣 | 린펀시 안쩌현 남 | 중 | 부성채(府城砦), 영흥채(永興砦), 도천보(陶川堡), 백련보(白練堡), 당곡보(當穀堡), 횡령보(橫嶺堡)가 있다. |
악양현 | 岳陽縣 | 린펀시 구현 악양진(岳陽鎭) | 중하 | |
화천현 | 和川縣 | 린펀시 안쩌현 북 화천진(和川鎭) | 중하 | 981년(태평흥국 6년) 심주(沁州)를 폐하고 현으로 내속되었다. 1072년에 진으로 격하되어 기씨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원우 원년)에 현으로 복구되었다. |
2. 4. 강주(絳州)
숭녕연간에는 59,903호 94,237명이 살았다. 방풍나물, 밀랍으로 만든 초, 묵을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을 두었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정평현 | 正平縣 | 윈청시 신장현 | 望 | |
곡옥현 | 曲沃縣 | 린펀시 취워현 | 望 | |
태평현 | 太平縣 | 린펀시 샹펀현 분성진(汾城鎭) | 望 | 1072년, 자주(慈州)가 폐지되자 향녕현(지금의 린펀시 샹닝현)의 일부를 태평현과 직산현에 분할 편입시켰다. |
익성현 | 翼城縣 | 린펀시 이청현 | 上 | |
직산현 | 稷山縣 | 윈청시 지산현 | 中 | |
강현 | 絳縣 | 윈청시 장현 | 中 | 중산채(中山砦), 화애채(花崖砦), 화산채(華山砦)가 있다. |
원곡현 | 垣曲縣 | 윈청시 위안취현 남 | 下 | 동전감(銅錢監)이 있다. |
2. 5. 택주(澤州)
숭녕연간에 44,133호 91,852명이 살았다. 흰 석영, 우여량(禹餘糧), 인삼을 공납으로 바쳤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진성현 | 晉城縣 | 진청시 | 긴(緊) | 정강 원년에 천정관(天井關)에서 개명된 웅정관(雄定關)이 있다. |
고평현 | 高平縣 | 진청시 가오핑시 | 상(上) | |
양성현 | 陽城縣 | 진청시 양청현 | 상(上) | |
단씨현 | 端氏縣 | 진청시 친수이현 북부 정장진(郑庄镇) | 중(中) | |
릉천현 | 陵川縣 | 진청시 링촨현 | 중(中) | |
심수현 | 沁水縣 | 진청시 친수이현 | 중하(中下) |
2. 6. 대주(代州)
대주(代州)는 상급주로 군명은 안문군이며 방어를 두었다. 경덕 2년, 당림현(唐林縣)을 폐하고 현치소가 있던 곳에 연변안무사(沿邊安撫司)를 설치했다. 숭녕연간에는 33,258호, 159,857명이 살았다. 사향, 대껍질(靑), 푸른돌(碌)을 공납으로 바쳤다. 북쪽으로 요나라의 서경도와 바로 이웃하고 있었다. 4개 현을 두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안문현 | 雁門縣 | 신저우시 다이현 | 中下 | 호곡채(胡穀砦), 안문채(雁門砦), 서형채(西陘砦)가 있었다. |
곽현 | 崞縣 | 신저우시 위안핑시 북 | 中下 | |
오태현 | 五台縣 | 신저우시 우타이현 | 中下 | |
번치현 | 繁畤縣 | 신저우시 판스현 | 下 | 번치채(繁畤砦), 여월채(茹越砦), 대석채(大石砦), 의흥야채(義興冶砦), 보흥군채(寶興軍砦), 병형채(瓶形砦), 매회채(梅回砦), 마곡채(麻穀砦)가 있었다. |
2. 7. 흔주(忻州)
정양군이 설치된 하급주로, 숭녕연간에는 18,186호 42,232명이 살았다. 해옥사(解玉砂), 사향노루를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두었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수용현 | 秀容縣 | 신저우시 | 緊 | 1072년 정양현을 통폐합했다가 1086년에 복구했다. 석령관채(石嶺關砦), 흔구채(忻口砦), 운내채(雲內砦), 도합채(徒合砦)가 있다. |
정양현 | 定襄縣 | 신저우시 딩샹현 | 中下 |
2. 8. 분주(汾州)
서하군 소속으로 숭녕연간에는 51,697호 185,698명이 살았다. 토시(土絁), 석고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서하현 | 西河縣 | 진중시 펀양시 | 望 | 영리서감(永利西監)이 있었다. |
평요현 | 平遙縣 | 진중시 핑야오현 | 望 | |
개휴현 | 介休縣 | 진중시 제슈시 | 上 | |
영석현 | 靈石縣 | 진중시 링스현 | 中 | 양량남관(陽涼南關), 양량북관(陽涼北關)이 있었다. |
효의현 | 孝義縣 | 뤼량시 샤오이시 | 上 | 태평흥국 원년에 중양현으로 고쳤다가 후에 본명으로 되돌렸다. 1072년 진으로 격하되어 개휴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에 복구되었다. |
2. 9. 요주(遼州)
낙평군 소속의 하급주로, 1074년(원풍 원년)에 주를 폐지하고 평성현(平城縣)과 화순현(和順縣)을 진(鎭)으로 격하시켜 요산현(遼山縣)에 통폐합했다. 그리고 요산현을 평정군(平定軍)에 두었다. 유사현(榆社縣)은 진으로 격하시켜 위승군(威勝軍)의 무향현(武鄕縣)으로 통폐합했다. 원풍 원년에 주를 복구하고 현으로 격하된 진들을 내속시켰다. 1086년에 화순현, 유사현, 평성현을 복구했다. 숭녕연간에는 7,315호가 살았으며, 인삼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1]
2. 10. 헌주(憲州)
1002년(함평 5년), 치소를 정락군(靜樂)으로 옮기면서 군을 폐지했다. 누번현은 남주로 이관되었다. 1070년(희녕 3년) 헌주를 폐지하고 정락현을 남주에 예속시켰다가 1077년(원풍 원년) 주를 복구하고 정락현을 다시 두었다. 1115년(정화 5년) 분원군(汾源郡)이라는 군명을 받았다. 숭녕 연간에는 2,722호 7,444명이 살았다. 1현을 두었다.
2. 11. 남주(嵐州)
태평흥국 5년(980년), 남곡례현(南曲禮縣)에 가남군(岢嵐軍)이 설치되었다. 숭녕연간에는 13,269호 66,224명이 살았다. 사향을 공납으로 바쳤다. 3개의 현을 두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의방현 | 宜芳縣 | 뤼량시 란현 | 中 | 비연보(飛鳶堡)가 있다. |
합하현 | 合河縣 | 뤼량시 싱현 서북 | 中下 | 유랑채(乳浪砦)가 있다. |
누번현 | 樓煩縣 | 타이위안시 뤄판현 | 下 | 함평 5년(1002년), 헌주(憲州)에 일시적으로 이관되었다. |
2. 12. 석주(石州)
현재의 뤼량시 리스구 일대로, 창화군(昌化郡)이 설치되었다. 원풍 5년, 가로채(葭蘆砦)와 오보채(吳堡砦)를 본주에 내속시키고 이 두 채를 관할하는 연변순검사(沿邊都巡檢使)를 두었다. 이로 하여금 3주에 각각 연변순검사를 두게 되었다. 처음에 5현을 두었다가 1099년(원부 2년), 가로채(葭蘆砦)를 진녕군(晉寧軍)으로 독립시키고 주내의 임천현을 본군에 소속시켰다. 1109년(대관 3년), 정호현을 진녕군에 이관시켰다. 숭녕연간에는 15,809호 72,929명이 살았다. 꿀, 밀랍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2. 13. 습주(隰州)
대녕군(大寧郡)은 하급주로 단련(團練)을 두었다. 1072년(북송 신종 희녕 5년) 자주(隰州)가 폐지되자 문성현(文城縣)을 흡수한 길향현(吉鄕縣)을 내속시켰다. 1086년(북송 철종 원우 원년) 자주를 복구했고, 1092년(북송 철종 원우 7년) 상평관(常平關)과 영녕관(永寧關)이 부치소(府治所) 서쪽 경계에 있어 주치소(州治所)를 옮겼다. 숭녕(崇寧) 연간(1102년 ~ 1106년)에는 38,284호 138,439명이 살았다. 꿀, 밀랍을 공납으로 바쳤다. 6현을 두었다.[1]현급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현천현 | 顯川縣 | 린펀시 시현 | 上 | |
온천현 | 溫泉縣 | 뤼량시 자오커우현 동북 | 上 | 녹반일무채(碌礬一務砦), 수두채(水頭砦), 백벽채(白壁砦), 선봉채(先鋒砦)가 있었다. |
포현 | 蒲縣 | 린펀시 푸현 | 中 | |
대녕현 | 大寧縣 | 린펀시 다닝현 | 中 | |
석루현 | 石樓縣 | 뤼량시 스러우현 | 中 | 상평채(上平砦)와 영녕채(永寧砦)가 있었다. |
영화현 | 永化縣 | 린펀시 융허현 | 中 |
2. 14. 자주(慈州)
본래 길향현, 문성현, 향녕현의 3현을 두었다가 1072년(북송 신종 희녕 5년) 주를 폐하면서 길향현은 문성현을 흡수해 습주에 이관되었고 향녕현은 평양부에 이관되었다.[1] 1086년(북송 철종 원우 원년), 길향군을 자주로 복구했다.[1] 호구수는 알 수 없다.[1] 1현을 두었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길향현 | 吉鄕縣 | 린펀시 지현 | 中 | 1072년 자주가 폐지되면서 습주로 이관되었고 현에 길향군사가 설치되었다.[1] 문성현(文城縣, 린펀시 지현 서북 문성진(文城镇))이 진으로 격하되 본현에 편입되었다.[1] 1086년 자주로 복구되면서 본주에 내속되었다.[1] |
2. 15. 인주(麟州)
인주(麟州)는 하급주로 군명은 신진군(新秦郡)이다. 건덕 초에 주 치소를 오아보(吳兒堡)로 옮겼다. 967년(건륭 8년)에 건녕군절도(建寧軍節度)를 설치했고 단공 초에 진서군절도(鎭西軍節度)로 개명했다. 숭녕연간에는 3,482호 8,684명이 살았다. 시호를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신진현 | 新秦縣 | 위린시 선무시 | 상 | 1115년에 은성현(銀城縣, 위린시 선무시 산구성(山旧城))과 연곡현(連穀縣, 위린시 선무시 북 황양성(黄羊城))을 통폐합했다. 신당채(神堂砦), 정강채(靜羌砦), 혜령보(惠寧堡), 진천보(鎭川堡)가 있다. 구 은성현 지역에 굴야천(屈野川), 오원새(五原塞砦), 은성채(銀城砦), 신목채(神木砦), 건녕채(建寧砦), 숙정보(肅定堡), 신목보(神木堡), 통진보(通津堡), 난간보(闌干堡)가 있다. 연곡현 지역에는 굴야천보(屈野川堡)와 횡양보(橫陽堡)가 있다. |
대화채 | 大和砦 | 선무시 동남 | 1099년 대화곡에서 축조되어 지금의 이름을 받았다. 동으로 신목채까지 약 88.51km, 남으로 미천채(彌川砦)까지 약 48.28km, 서로 요미랑(饒咩浪) 경계의 돈대까지 약 112.65km, 북으로 청수곡(淸水穀)까지 약 32.19km이다. | |
대화보 | 大和堡 | 선무시와 위린시 사이 장성 지역 | 1099년 마마랑(麻乜娘)에서 축성되어 지금의 이름을 받았다. 동으로 숙정보까지 약 40.23km, 남으로 청수곡까지 약 32.19km, 서로 송목골퇴(松木骨堆)의 경계까지 약 104.61km, 북으로 은성채까지 약 24.14km이다. |
2. 16. 부주(府州)
1102년(숙종 7년)에 영안군(永安軍)에서 정강군(靖康軍)으로 개명되었으며, 1115년(예종 10년)에 영하군(榮河郡)으로 승격되었다. 과거 인부로군마사(麟府路軍馬司)가 관할했다가 태원부대주로검할(太原府代州路鈐轄鈐轄)의 관할로 변경되었다. 숭녕연간(1102년 ~ 1106년)에는 1,242호 3,185명이 살았다. 감초를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부곡현 | 府穀縣 | 위린시 푸구현 | 하(下) | 안풍채(安豊砦), 영부채(寧府砦), 백승채(百勝砦), 하빈보(河濱堡), 척후보(斥堠堡), 정안보(靖安堡), 서안보(西安堡)가 있다. |
영천보(寧川堡)는 부주 안풍채 바깥에 있는 아홉 번째 채로 1098년(숙종 3년)에 영천보라는 이름을 받았다. 동으로 척후보까지 30리, 남으로 정화보 경계까지 30리, 서로 풍주 영풍채까지 15리, 북으로 보령채 경계까지 30리 거리이다.
영변채(寧邊砦)는 1099년(숙종 4년)에 축성되었다. 동으로 영부채 경계까지 30리, 남으로 정화 경계까지 30리, 서로 오화봉(吳厖烽)까지 15리, 북으로 보령채 경계까지 30리 거리이다.
영강보(寧疆堡)는 1124년(인종 2년)에 만들어졌다.
진위성(震威城)은 1124년(인종 2년)에 철골을 사용해서 지어졌다.
2. 17. 풍주(豊州)
경력 원년(1041년)에 주를 정복하여 송나라의 땅으로 편입시켰고, 1062년에 부주 나박천(蘿泊川) 일대의 늪지가 있는 땅에 설치했다. 후에 군사를 두었다. 1115년, 영풍군이란 군명을 받았다. 숭녕 연간에는 153호 411명이 살았다. 감초와 시호를 공납으로 바쳤다. 영안채(永安砦)와 보녕채(保寧砦)의 2개의 채가 있다.2. 18. 위승군(威勝軍)
978년(태평흥국 3년), 노주 동제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고 군을 설치했다. 숭녕연간에는 19,962호 37,726명이 살았다. 토시(土絁)를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동제현 | 銅鞮縣 | 창즈시 친현 | 中 | 태평흥국 초에 무향현과 함께 노주에서 본군에 내속되었다. |
무향현 | 武鄕縣 | 창즈시 우샹현 | 上 | 1074년(희녕 7년) 요주를 폐했을 때 진으로 격하되어 유사현에 편입되었다가 원풍 원년에 요주가 복구되면서 복원되었다. |
심원현 | 沁源縣 | 창즈시 친위안현 | 中下 | 981년(태평흥국 6년)에 심주를 현으로 격하시키고 본군에 내속시켰다. 금나라에서 심주를 복원했다. |
면상현 | 綿上縣 | 창즈시 친위안현 서북 | 中下 | 천원 2년, 대통감을 본현에 내속시켰다. 경력 6년에 치소를 군 서북쪽 대각사(大覺寺)의 땅에 옮겼다. |
2. 19. 평정군(平定軍)
977년(태평흥국 2년), 진주(鎭州) 광양채(廣陽砦)에 평정군(平定軍)을 설치했다.[1] 2년 뒤 병주(幷州) 평정현(平定縣)과 낙평현(樂平縣)을 평정군에 편입시켰다.[1] 숭녕(崇寧) 연간에는 9,306호 28,607명이 살았으며, 견직물을 공물로 바쳤다.[1] 평정군에는 2개의 현이 있었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평정현 | 平定縣 | 양취안시 핑딩현 | 中 | 979년에 광양현(廣陽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옛 정형관(井陘關)과 백정채(百井砦)가 있다. |
낙평현 | 樂平縣 | 진중시 시양현 | 中 | 정양채(靜陽砦)가 있다. |
2. 20. 가남군(岢嵐軍)
980년, 남주(嵐州) 남곡현(嵐穀縣)에 군을 분리 신설했다. 숭녕연간에는 2,917호 6,720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남곡현 | 嵐穀縣 | 신저우시 커란현 | 下 | 희녕 3년에 폐지되었다가 원풍 6년에 복구되었다. 영화채(永和砦)와 홍곡채(洪穀砦)를 비롯하여 6개의 채가 있다.[1] |
2. 21. 영화군(寧化軍)
영화현(寧化縣)은 신저우시 닝우현 서남쪽 영화고성(寧化故城)에 위치했다. 희녕 3년에 폐지되었다가 1086년에 복구되었으며, 숭녕 3년에 진으로 격하되었다. 서양채(西陽砦), 뇌자채(腦子砦), 세요채(細腰砦), 굴곡채(窟穀砦) 등 4개의 채가 있었다. 숭녕 연간에는 1,718호 3,821명이 살았으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화현 | 寧化縣 | 신저우시 닝우현 서남 영화고성(寧化故城) | 희녕 3년에 폐지, 1086년 복구, 숭녕 3년 진으로 격하. 서양채(西陽砦), 뇌자채(腦子砦), 세요채(細腰砦), 굴곡채(窟穀砦)의 4개 채 |
2. 22. 화산군(火山軍)
982년(태평흥국 7년) 남주(嵐州)에서 독립했다. 1067년(치평 4년)에 화산현(火山縣)을 설치했다가 1071년(희녕 4년)에 폐지했다. 숭녕(崇寧) 연간에는 5,045호 9,480명이 살았다. 시호(枾柹, 감)를 공납으로 바쳤다. 1개의 채(砦)가 있었다.[1]하진채(下鎭砦)는 신저우시 허취현 서남쪽에 있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1]
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하진채 | 下鎭砦 | 신저우시 허취현 서남 | 본래 웅용채(雄勇砦), 편두채(偏頭砦), 동가채(董家), 횡곡채(橫穀砦), 길고채(桔槔砦), 호수채(護水砦)의 6채를 두었다가 경력(慶曆) 초에 하진채를 신설했다. 가우(嘉祐) 6년에 편두채를 폐하고 희녕(熙寧) 원년에 길고채를 폐했다. 元丰九域志|원풍구희지중국어에 따르면 1채로 영채가 줄었다고 한다. |
2. 23. 보덕군(保德軍)
993년(순화 4년), 남주(南州)에 정강군(定羌軍)을 신설했다. 1004년(경덕 원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숭녕(崇寧) 연간에는 963호 4,050명이 살았다. 견직물(絹織物)을 공납(貢納)으로 바쳤다. 2개의 진(鎭)을 두었다.진명 | 한자 |
---|---|
대보진 | 大堡津 |
사곡진 | 沙穀津 |
2. 24. 진령군(晉寧軍)
1082년(북송 원풍 5년)에 서쪽 국경 지역의 가로채(葭蘆砦)를 수복하였다.[1] 같은 해 6월에 오보채(吳堡砦, 지금의 우부현 북쪽)를 추가해 석주에 두었다.[1] 1089년(북송 원우 4년)에 가로채가 서하에게 함락되면서 폐지되었다가 1097년(북송 소성 4년)에 다시 수복했다.[1] 1099년(북송 원부 2년), 가로채에 진령군을 설치하고 석주의 임천현을 본군에 내속시켰다.[1] 군의 군정은 남석로연변안무사(嵐石路沿邊安撫使)와 습주, 석주, 남주를 맡던 도순검사가 맡았다.[1] 1109년(북송 대관 3년), 석주 정호현을 본군에 내속시켰다.[1]진령군은 동쪽으로 극호채(克胡砦)격하(隔河)까지 5리, 남쪽으로 오보채까지 170리, 서쪽으로 신천채(神泉砦)까지 25리, 북쪽으로 통진채(通秦砦)까지 20리 거리였다.[1] 진령군에는 2개의 현을 두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정호현 | 定胡縣 | 위린시 자현 | 中 | 과거 정호채, 천혼진채(天渾津砦), 오보채의 3개 채를 두었다. 동쪽으로 황하, 남쪽으로 수덕군 백초채까지 90리, 서쪽으로 수덕군 의합채까지 60리, 북쪽으로 진령군까지 170리였다. |
임천현 | 臨泉縣 | 뤼량시 린현 | 中下 | 극호채와 가로채의 2개 채를 두었다. 후에 진령군이라고 했다. |
요약이 주어졌으나, 참조할 원문 소스가 없으므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위키텍스트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원문 소스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죄송합니다. 이전 답변에서 원본 소스가 없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는 시스템 오류였습니다. 여전히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있기 때문에 주어진 요약(`summary`)과 섹션 제목(`section-title`)을 바탕으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source`에 해당하는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춰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3. 하동로의 군사적 중요성
4. 하동로의 사회·경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