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이라인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라인강은 슈타인 암 라인에서 시작하여 바젤에서 오버라인강으로 합류하는 라인강의 일부이다. 독일과 스위스 국경을 따라 흐르며, 샤프하우젠, 노이하우젠 암 라인팔 등 주요 도시를 지난다. 알프스 라인강과 달리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며, 주요 지류로는 비버강, 아레강 등이 있다. 하이라인강에는 라인 폭포와 같은 폭포와 급류가 있으며, 수력 발전소 건설과 방사능 폐기물 매립 문제 등 환경 문제도 존재한다. 여러 구간에서 여객선 운행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크트갈렌주의 강 - 요나강
    요나강은 스위스 취리히주 깁스빌 근처 바흐텔산에서 발원하여 오버제로 흘러드는 약 20km 길이의 강으로, 섬유 산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라인강 수계에 속한다.
  • 하이라인강 유역 - 글라트 계곡
    글라트 계곡은 스위스 취리히주 취리히 운터란트 지역에 위치한 라인강 지류로, 취리히 공항을 포함한 우수한 기반 시설과 교통망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과 인구 밀도가 높으며, glow 글라탈 협회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 하이라인강 유역 - 퇴스 계곡
    퇴스 계곡은 스위스 취리 가우에 위치하며, 퇴스강을 따라 상부와 하부로 나뉘고, 하이킹, 스케이트, 자전거 타기와 같은 레크리에이션 활동과 섬유 산업, 퇴스탈반 건설 등의 역사를 가진다.
하이라인강
개요
되를플링겐 근처 하이라인강 상류
위치독일, 스위스
시작점슈타인암라인의 하류 보덴호 (운터제)
종점바젤, 상류 라인강으로 이어짐
길이165km
지리
국가독일, 스위스
독일의 주바덴뷔르템베르크주
독일의 행정 구역콘스탄츠군, 뢰라흐군, 발츠후트군
스위스의 주아르가우주, 바젤란트주, 바젤슈타트주, 샤프하우젠주, 투르가우주, 취리히주
유역 면적24,900km²
수문학
좌안 지류아레강, 비르스강, 에르골츠강, 글라트강, 뫼린바흐강, 지슬레강, 투르강, 퇴스강
우안 지류알프강, 비버강, 두라흐강, 무르크강, 베라강, 부타흐강
추가 정보
라인강 거리콘스탄츠의 알테 라인브뤼케에서 시작하여 후크판홀란트의 북해에서 끝남

2. 명칭

19세기에 과학자들이 "하이라인"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였다. 무엇보다도 지질학자들은 하이라인(Hochrheinde)을 언어학적으로 상라인(Rhin Supérieur프랑스어, Oberrheinde)과 구별하려고 했다. 19세기까지는 '바디쉬-스위스 라인'이라고도 알려졌다.[4] 하이라인강은 그 북쪽으로 강을 따라가는 하이라인 철도 노선의 명칭에 영향을 주었다.

3. 지리

노이하우젠 암 라인팔의 라인 폭포


하이라인강은 슈타인 암 라인의 운터제(보덴호 하류)에서 시작하여 바젤의 라인 무릎( Rheinkniede )에서 오버라인강으로 이어진다.[2] 알프스 라인강과 북쪽으로 흐르는 오버라인강과는 대조적으로, 하이라인강은 대부분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른다.

노이하우젠 암 라인팔에는 유럽에서 가장 큰 평지 폭포라인 폭포가 있다. 라인 폭포는 너비 150m, 높이 23m이며, 겨울에는 평균 유량이 초당 250m3/s, 여름에는 평균 유량이 초당 600m3/s이다. 하이라인강의 급류는 165km 거리에서 해발고도 395m에서 252m로 낮아진다.[1]

3. 1. 유역

슈타인 암 라인바젤 사이의 하이라인강


하이라인강은 슈타인 암 라인의 운터제(보덴호 하류)에서 시작하여 라인 무릎( Rheinkniede )인 바젤에서 오버라인강으로 바뀐다.[2] 알프스 라인강과 북쪽으로 흐르는 오버라인강과는 대조적으로, 하이라인강은 대부분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른다.

샤프하우젠과 토스강의 합류 지점 사이에서는 약 20km 동안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며, 라인아우에서 뚜렷한 굽이](meander)]를 이룬다. 동부에서는

3. 2. 지류

하이라인강의 주요 지류는 비버, 두라흐, 투어, 퇴스, 글라트, 부타흐, 아레강, 알프, 무르크, 지슬레강, 베라강, 에르골츠강, 비르스강이다.[3]

초당 590m3/s의 유량을 가진 아레강은 초당 439m3/s의 유량을 가진 라인강보다 유량이 더 많다.[6] 따라서 수문학적인 관점에서 라인강은 아레강의 지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라인강은 아레강보다 약간 더 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주요 강으로 간주된다.

3. 3. 폭포와 급류



유럽에서 가장 큰 평지 폭포라인 폭포샤프하우젠 마을 근처의 노이하우젠 암 라인팔과 라우펜-우휘젠에 있다. 너비는 150m, 높이는 23m이다. 겨울에는 평균 유량이 초당 250m3/s이고, 여름에는 평균 유량이 초당 600m3/s이다.

하이라인강의 급류는 165km 거리에서 해발고도 395m에서 252m로 낮아지는 비교적 높은 경사면에서 발생하며, 뷔름 빙하기 동안 강의 경로 변화와 관련이 있다. 노이하우젠 암 라인팔에서 강은 이전에 묻힌 개울로 흘러들어 샤프하우젠에서 라인 폭포를 형성한다. 다음 급류는 코블렌츠의 카델부르크 급류이다. 라우펜부르크 근처에서 빙하기 이후의 라인강은 이전의 퇴적된 수로를 찾지 못하고 검은 숲 수정의 돌출부에 부딪혔다. 강은 협곡을 만들었고, 그 안에 라우펜부르크 급류가 생겼다. 라우펜부르크와 슈뵈르슈타트 급류는 암석을 폭파하고 댐으로 수위를 높여 인위적으로 제거되었다.[1]

3. 4. 주요 도시 및 지역

하이라인강 유역은 일부 지역은 넓지만, 다른 부분은 협곡과 같아 인구 밀도가 다르다. 하이라인강의 주요 도시로는 슈타인 암 라인, 샤프하우젠, 노이하우젠 암 라인팔, 발트슈트, 라우펜부르크, 바트 젝킹겐, 라인펠덴, 바젤이 있다. 독일-스위스 국경에 해당하는 강 하류의 일부 마을은 라우펜부르크와 라우펜부르크 (바덴), 라인펠덴라인펠덴 (바덴)과 같이 양쪽에 위치해 있다.

하이라인강을 따라 딩켈베르크, 아우크스가우, 프릭탈, 테이블 쥐라, 알브가우, 아르가우, 호첸발트, 클레트가우, 취르지비트, 취리히가우, 헤가우, 투르가우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들이 있다.

4. 환경 문제

하이라인강의 환경 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내용
수력 발전수력 발전소 건설로 강의 특성이 장거리에 걸쳐 변경되었다. 라우펜부르크와 슈뵈르슈타트 급류는 유수 흐름 개선을 위해 암석을 폭파하여 제거한 후 수력발전댐으로 인해 범람했다.[13] 슈타인 암 라인과 디센호펜 사이는 댐이 건설되지 않았다.
방사능 폐기물스위스는 독일 국경 근처 벤켄[15]에 핵폐기물을 매립할 계획이다.[16]


4. 1. 수력 발전의 영향

수력 발전소 건설로 강의 특성이 장거리에 걸쳐 변경되었다. 라우펜부르크와 슈뵈르슈타트 급류는 원래 유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암석을 폭파하여 제거되었으며, 이후 수력발전댐으로 인해 범람했다.[13]

슈타인 암 라인과 디센호펜 사이의 하이라인강은 댐이 건설되지 않았다. 라인강의 첫 번째 발전소는 현재 샤프하우젠에 있으며, 다젠호펜보다 약간 높은 곳까지 댐의 영향을 미친다. 다음 발전소(크라프트베르크 레킹엔)는 레킹겐과 퀴사베르크에 있다. 레킹엔 이후 하이라인강은 코블렌츠 급류를 통해 아레강과 합류하는 곳까지 자유롭게 흐른다. 다음 수력 발전소(크라프트베르크 알브루크-도게른)는 라이프슈타트와 도게른에 있다. 여기와 바젤 사이에 7개의 발전소가 더 있다. 하이라인강에는 모두 11개의 댐과 12개의 수력 발전소가 있다(아우그스트/빌렌댐에는 2개의 발전소가 있다).

4. 2. 방사능 폐기물 문제

스위스는 독일과의 국경 근처에 있는 벤켄[15]에 핵폐기물을 매립할 계획이다.[16]

5. 교통

하이라인강은 여러 구간에서 여객선과 보트 투어가 운행될 정도로 수상 교통이 발달한 곳이다.

5. 1. 수상 교통

하이라인강의 라인펠덴–바젤[8], 에글리사우와 Ellikon am Rhein 사이(마르탈렌 자치구)[9], 그리고 위쪽 하이라인강과 ''언터제''(샤프하우젠콘스탄츠) 구간에는 여객선 노선이 운행된다.[10] 에글리사우와 라인 폭포(독일어: Rheinfallde)[11], 라인 폭포와 레킹겐 사이에는 보트 투어가 있다.[9]

참조

[1] 웹사이트 "''Rheinkilometrierung'' [Rhine kilometrage]" https://www.schiffun[...] 2024-06-22
[2] 웹사이트 "''Der Hochrhein'' [The High Rhine]" https://www.deutsche[...] 2024-06-22
[3] 웹사이트 Überblicksbericht der Flussgebietsgemeinschaft Rhein zur Bewirtschaftungsplanung nach Wasserrahmenrichtlinie für den 3. Bewirtschaftungszeitraum https://flussgebiete[...] FGG Rhein 2020-12-10
[4] 서적 Der Hochrhein G. Braun
[5] 웹사이트 Geology of Switzerland https://nagra.ch/en/[...] Nagra 2024-06-24
[6] 웹사이트 High Rhine https://www.iksr.org[...] ICPR –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Rhine 2024-06-15
[7] 웹사이트 Home http://www.hochrhein[...]
[8] 웹사이트 "''Schifffahrt Rheinfelden – Basel'' [Boat trip Rheinfelden–Basel]" https://www.tourismu[...] 2024-06-08
[9] 웹사이트 "''SZR (Schifffahrtsgesellschaft Züri-Rhy)''" https://www.szr.ch/e[...] 2024-07-28
[10] 웹사이트 "''Schifffahrtsgesellschaft Untersee und Rhein (URh)'' [Boat trip Schaffhausen–Konstanz]" https://www.urh.ch/e[...] 2024-06-08
[11] 웹사이트 "''Schiffmändli''" https://schiffmaendl[...] Ernst Mändli AG 2024-06-08
[12] 문서 Reinhard Valenta: Eine Landschaft im Wandel; Der Hochrhein zwischen Waldshut und Rheinfelden. in: Bosch, M. A. Enderle, H. Fricker & R. Valenta: Der Hochrhein. G.Braun Verlag, Karlsruhe, 1997, p.6-29
[13] 문서 The town of [[Rekingen]] on the Swiss side of the river spells its name with -k-; the village on the German side spells its name with -ck-; since the power station is on the German side, it uses the -ck- spelling
[14] 웹사이트 http://www.hochrhein[...]
[15] 웹인용 Proposed sites for burying radwaste https://www.nagra.ch[...] 2015-10-29
[16] 뉴스 Swiss radwaste deep repository in the border area is on the way to becoming a reality https://www.suedku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