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즙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1303년 진주에서 출생하였다. 1321년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여 판도좌랑을 거쳐 삼사의 판관을 역임했고, 1324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1347년 정치도감의 정치관으로 활동하며 기황후의 친족 기삼만의 불법적인 토지 겸병을 처벌하려다 옥사한 기삼만 사건에 연루되어 장형을 받고 사망했다. 문하찬성사로 치사하고 진천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원정이다. 강회백은 하즙을 "도량이 존엄하고 성품이 화순하며 관대하였다"고 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03년 출생 - 호조 다카토키
호조 다카토키는 가마쿠라 막부의 제14대 싯켄으로, 재임 기간 동안 여러 난과 막부 전복 시도를 겪었으며, 정치적 무능과 미흡한 대처로 가마쿠라 막부 멸망에 영향을 주었고 가마쿠라 공방전에서 자결하였다. - 1303년 출생 - 원 영종 (9대)
원 영종(9대)은 원 인종의 아들이자 쿠빌라이 칸의 증손으로, 유교적 통치 이념을 바탕으로 개혁 정치를 추진했으나 몽골 귀족들의 반발로 1323년 암살당했다. - 1380년 사망 - 호유용
호유용은 명나라 초 좌승상으로 권력을 남용하다 홍무제에 의해 역모죄로 처형되었고, 이 사건으로 재상 제도가 폐지되고 황제 중심의 독재 체제가 강화되었으며, 최근에는 사건 조작 가능성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1380년 사망 - 샤를 5세
샤를 5세는 백년 전쟁 시기 섭정으로 즉위하여 에티엔 마르셀의 반란과 자크리의 난을 진압하고 잃었던 영토를 회복했으며, 상비군과 관료층을 확립하여 프랑스 절대왕정의 기초를 다졌다. - 고려의 유학자 - 황희
황희는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까지 활동한 재상으로, 세종 시대에 영의정을 지내며 태평성대를 이끌었으나, 친인척 비리 옹호 논란도 있는 인물이다. - 고려의 유학자 - 길재
길재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자이자 문신으로, 삼은 중 한 명이며 성리학적 학문을 실천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으나 조선 건국 후 관직을 거절하며 사림파 학통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야은집』 저술 및 청백리에 선정되었다.
하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진주군 하즙 晉州君 河楫 |
출생일 | 1303년 |
출생지 | 고려 경상도 진주군 (現 대한민국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남사 |
사망일 | 1380년 8월 9일 (78세) |
국적 | 고려 |
본관 | 진양(晉陽) |
별명 | 자 득제(得齊) 호 송헌(松軒) 시호 원정(元正) |
별칭 | 하집(河楫)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하직의(河直漪) |
어머니 | 진주 정씨(晋州 鄭氏) |
배우자 | 진한대부인 철성 이씨 |
자녀 | 하윤원(아들) |
친인척 | 하보(조부), 하자종(손자) |
경력 | |
군주 | 충정왕 → 공민왕 |
섭정 | 왕태후 덕녕공주 패아지근씨(前) |
직책 |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
임기 | 1350년 ~ 1363년 |
학력 | |
학력 | 1324년 문과 갑과 3등 급제 |
2. 생애
1303년 진주의 이구산 밑 여사촌(현재 남사)에서 태어났다. 문하찬성사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진천부원군(晉川府院君)으로 책봉되었고, 시호는 원정(元正)이다.[3][4]
2. 1. 관직 진출
1321년 음서(천거)로 판도좌랑(判圖佐郞)에 임명되었으며, 삼사(三司)의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이후 1324년 문과에 응시하여 갑과(甲科) 3등으로 급제하였다.[2]2. 2. 정치 활동
1347년 (충목왕 3) 2월에 전민(田民)의 겸병 사태(兼倂事態)를 바로잡기 위해 설치된 정치도감(整治都監)의 정치관(整治官)으로 활동하였다. 사헌부 대관으로 재임시 기황후의 친족인 기삼만의 불법적인 토지 겸병을 처벌하는 과정에서 그가 옥사(獄死)하게 되자, 그 해 10월 원나라에서 온 직성사인(直省舍人) 승가노(僧家奴)에 의해 백문보, 신군평, 남궁민 등의 정치관들과 함께 장형에 처해졌다.[2]2. 3. 은퇴와 사망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벼슬에서 물러나 진천부원군(晉川府院君)으로 책봉되었다.[3][4] 시호는 원정(元正)이다.[3][4]3. 가족
하보(河保)를 할아버지로, 하직의(河直漪)를 아버지로 두었으며, 어머니는 진주 정씨(晋州 鄭氏) 부인이다. 부인은 철성 이씨(鐵城李氏)(진한대부인)이며, 아들은 하윤원(河允源)(대사헌)이다. 하자종(河自宗)(증좌의정)은 손자이다.
3. 1. 직계 조상
3. 2. 배우자와 자녀
부인은 철성 이씨(진한대부인)이며, 아들은 하윤원(대사헌)이다.[1]
3. 3. 직계 후손
4. 평가
강회백은 하즙의 초상화를 보고 그의 인품을 칭송하였다.[1] 하즙의 이름은 『진양지』 권3 「인물조」에 기록되어 있다.
4. 1. 강회백의 평가
강회백은 하즙의 초상화를 보고 "도량이 존엄하며 성품이 화순하고 관대하였다. 그의 호연함은 가을 달과 같고 온화함은 봄바람과 같았다."라고 평가하였다.[1]4. 2. 진양지 기록
강회백은 하즙의 초상화를 보고 “도량이 존엄하며 성품이 화순하고 관대하였다. 그의 호연함은 가을 달과 같고 온화함은 봄바람과 같았다.”라고 평하였다. 『진양지』 권3 「인물조」에 하즙의 이름이 올라 있다.참조
[1]
도서관
하버드대학교 옌칭도서관 소장 <고려열조등과록>
https://harvard-yenc[...]
[2]
역사서
《고려사》 권37 세가 권제37 충목왕(忠穆王) 3년 10월
http://db.history.go[...]
[3]
역사서
《고려사》 권112 열전 권제25 제신(諸臣) 하윤원
http://db.history.go[...]
[4]
논문
河承武의 晉陽河氏 家門人物硏究
2015
[5]
웹인용
'한국신학교육자상'수상 연합뉴스
http://m.yna.co.kr/k[...]
2018-05-12
[6]
웹인용
한국신학교육자상 수상 매일종교신문
http://m.dailywrn.co[...]
2018-05-12
[7]
뉴스
하승무 가문, 부산지역 유일, 대한민국 병역명문가 선정
http://m.viva100.com[...]
[8]
뉴스
전주서 하경덕 박사 탄생 110주년 학술대회 연합뉴스
http://m.news.naver.[...]
[9]
칼럼
'이홍구 칼럼' 하경덕의『사회법칙』80주년 중앙일보
http://mnews.join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